KR102083661B1 -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661B1
KR102083661B1 KR1020190054541A KR20190054541A KR102083661B1 KR 102083661 B1 KR102083661 B1 KR 102083661B1 KR 1020190054541 A KR1020190054541 A KR 1020190054541A KR 20190054541 A KR20190054541 A KR 20190054541A KR 102083661 B1 KR102083661 B1 KR 10208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licorice
ethanol
tur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938A (ko
Inventor
윤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웰디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웰디앤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웰디앤에이치
Publication of KR2019005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2Cassia, e.g. golden show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의 분해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여 숙취 해소에 상승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간 독성에 대하여 간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간 기능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angover containing Silybum marianum, Curcuma longa, Glycyrrhiza glabra and Cassia tora}
본 발명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을 분해하여 숙취 해소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임상 증상에 따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및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나눌 수 있고, 대개 하루 60-80 g의 알코올을 10년 정도 마실 때 발생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과다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세포 안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금주만 하게 되면 곧 회복할 수 있으나, 계속 음주하게 되면 간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염은 간세포의 괴사와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황달, 발열 또는 우상복부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알코올성 간염 환자 중 약 40%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경변증은 정상 간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신 피로감, 식욕감퇴, 복수,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또는 혼수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정상적인 에탄올의 대사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에탄올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을 통해 간장으로 이동한다. 간세포에는 알콜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가 있어 알콜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옮겨져,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된다. 또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Ⅱ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는 Ⅰ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Ⅱ형 아세트알데히드 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다. 산화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히드 및/또는 에탄올의 독작용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 받아 다양한 숙취 현상을 느끼게 된다.
알코올은 다른 에너지원과 달리 대부분이 간에서 분해되고, 간에서 분해되지 않은 알코올은 계속 혈액과 더불어 순환되며 시간이 경과되어야 없어진다. 특히, 한국인, 중국인 또는 일본인 등의 동양인은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이 서양인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알코올 분해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사되지 못한 알코올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코올 해독 및 숙취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식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 수준을 현저하게 억제하여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간 독성에 대하여 간 세포를 보호하여 간 기능 회복 효과가 우수한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놀랍게도 특정한 식물 추출물들의 조합이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의 수준의 억제에 상승 효과를 발휘하여, 숙취 해소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밀크씨슬(Silybum marianum), 강황(Curcuma longa), 감초(Glycyrrhiza glabra) 및 결명자(Cassia tor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4가지 성분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 수준의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각각의 성분이 단독으로 나타내는 숙취 해소 효과에 비해 현저하게 상승된 효과, 즉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또는 식은땀 등의 증상을 의미한다. 숙취의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운동 능력 저하, 혈액적 변화 및 호르몬 변화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숙취 해소'는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을 분해 또는 억제하여 이들의 혈중 농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려, 상기와 같은 숙취 증상을 예방 또는 해소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밀크씨슬(Silybum marianum)은 국화과 식물의 일종으로, 씨앗에서 추출한 실리마린 성분이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밀크씨슬은 알코올 또는 기타 독성 물질로 인한 간세포를 복구시키는 효능, 및 새로운 간세포가 독소로 인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염증을 줄여주는 등 강력한 항산화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황(Curcuma longa)은 약용으로 쓰이는 뿌리 쪽에 여러 가지 유용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성분은 커큐민(Curcumin)이다. 강황의 주요 효능은 간 기능을 개선하고 담즙의 분비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초(Glycyrrhiza glabra)는 한약재료로서 사용되는 식물이며, 트리터펜(triterpene)계 사포닌,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리퀴리틴(Liquiritin), 아스파라긴(Asparagin),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포도당 등을 함유하고 있다. 감초의 감미 성분인 글리시리진산의 2-글루쿠론(glucuron)산 배당체인 글리시리진은 약물중독, 식물중독 또는 체내대사물의 중독에 대한 해독 작용뿐만 아니라 세균 소독 등의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명자(Cassia tora)는 콩과 식물의 일종이다. 결명자에 포함된 크리소파놀(chrysophanol) 및 에모딘(emodin)은 장 운동을 촉진시키고, 오브투신(obtusin) 및 루브로프사린(rubrofusarin)은 혈압 및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눈의 피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의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식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밀크씨슬, 강황, 감초 또는 결명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밀크씨슬 추출물은 밀크씨슬 종자로부터 다중 용매(multi solvent)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강황 추출물은 강황의 뿌리줄기로부터 알코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결명자 추출물은 결명자의 잎으로부터 물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감초 추출물은 감초의 뿌리로부터 물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있어서, 밀크씨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30 중량%, 바람직하게 15~2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0~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강황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30 중량%, 바람직하게 15~2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0~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감초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30 중량%, 바람직하게 12~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4~2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결명자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40 중량%, 바람직하게 15~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0~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4가지 성분 중 어느 하나의 함량이 상기 함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 분해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각 성분들의 혼합에 의한 숙취 해소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상기 4가지 성분 중 어느 하나의 함량이 상기 함량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 분해 효과의 상승폭이 크지 않고,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며, 기호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 내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의 중량비는 1 : 0.5~1.5 : 0.3~1.5 : 0.5~1.8 (밀크씨슬 : 강황 : 감초 : 결명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비는 1 : 0.7~1.3 : 0.5~1.3 : 0.7~1.5 (밀크씨슬 : 강황 : 감초 : 결명자)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비는 1 : 0.8~1.2 : 0.7~1.2 : 0.8~1.3 (밀크씨슬 : 강황 : 감초 : 결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4가지 성분의 추출물들이 상기 중량비로 혼합되는 경우,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여, 숙취 해소에 상승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밀크씨슬 추출물 100~160 mg, 강황 추출물 100~150 mg, 감초 추출물 70~120 mg 및 결명자 추출물 125~175 mg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미결정셀룰로스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캡슐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캡슐 제형 내 성분의 총 중량은 550~600 m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크씨슬(Silybum marianum), 강황(Curcuma longa), 감초(Glycyrrhiza glabra) 및 결명자(Cassia tora)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물들은 상기 함량 또는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크씨슬(Silybum marianum), 강황(Curcuma longa), 감초(Glycyrrhiza glabra) 및 결명자(Cassia tor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 기능 개선'은 에탄올에 의해 간 독성이 유발된 이후에,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 분해 효과를 통해 간 기능을 회복하고 간 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의 조합은 숙취 해소용 건강식품, 피로 회복제 또는 간 보호제 등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대상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등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1회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성인 섭취량은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200 내지 3,500mg을 1회, 하루 2-3회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음주 전 및/또는 후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재료는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된 안전한 것이며, 이들의 추출물도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경구로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각 성분의 유효량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화제 등의 첨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인 액제, 현탁제, 캡슐제, 정제, 껌, 환제 또는 과립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을 현저하게 분해 또는 억제하며, 4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인해 숙취 해소에 상승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간 독성에 대하여 간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수준에 대한 각 실험군의 실험 결과값의 곡선 아래 총 면적(AUC)을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각 실험군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아세트알데히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각 실험군에 대하여 시간별 아세트알데히드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1가지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1~5)의 실험 결과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2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6~9)의 실험 결과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3가지 또는 4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10~11, 및 실시예 1~2)의 실험 결과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혈중 에탄올 수준에 대한 각 실험군의 실험 결과값의 곡선 아래 총 면적(AUC)을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는 각 실험군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에탄올 수준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은 각 실험군에 대하여 시간별 에탄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는 1가지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1~5)의 실험 결과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는 2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6~9)의 실험 결과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은 3가지 또는 4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10~11, 및 실시예 1~2)의 실험 결과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과 평가
(1) 실험 재료
숙취와 관련된 에탄올 대사 과정에 여러 실험 물질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재료로 에탄올(Merck; Item code: 1.00983.0511 - 500ML) 및 아세트알데히드(Source: Sigma; Cat No.: 402788 - 5ML)가 사용되었다.
실험 동물은 245-260g 체중의 수컷 알비노 위스타 랫(Albino Wistar rats, Rattus norvegicus)이 그룹 당 8마리로 사용되었다. 실험 동물은 에탄올 투여 전에 일주일 동안 실험 조건에 순응시켰다.
초기 무작위 추출은 최근 체중을 기초로 수행하였다. 그룹 평균 ± 20% 이내의 개별 체중을 가진 동물만이 사용되었다. 동물은 희석된 피크르산 용액 및 케이지 카드로 확인하였다. 무작위 추출 후, 케이지 카드 및 동물 표시로 동물을 확인하였다.
랫은 실험 과정에서 4개 그룹으로 수용되었다. 실내 온도는 22 ± 3°C로 유지하였고, 상대 습도는 30~70%로 유지하였다. 인공 조명은 12시간 밝은 상태 및 12시간 어두운 상태로 제공되도록 설정하였다. 자외선 처리된 물 및 승인된 업체로부터 얻은 실험실 설치류 사료를 랫에게 자유롭게 제공하였다.
(2) 실험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는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13개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 실험 물질 투여량 - 방식
(p.o: 경구 투여)
I(비교예 1) 에탄올 대조군 - 비히클(Vehicle) -
II(비교예 2) 결명자(Cassia tora) 45 mg/kg - p.o.
III(비교예 3) 밀크시슬(Silybum marianum) 45 mg/kg - p.o.
IV(비교예 4) 강황(Curcuma longa) 45 mg/kg - p.o.
V(비교예 5) 감초(Glycyrrhiza glabra) 45 mg/kg - p.o.
VI(비교예 6) 결명자(Cassia tora) + 밀크시슬(Silybum marianum) 45 mg/kg - p.o.
VII(비교예 7) 강황(Curcuma longa) + 감초(Glycyrrhiza glabra) 45 mg/kg - p.o.
VIII(비교예 8) 결명자(Cassia tora) + 강황(Curcuma longa) 45 mg/kg - p.o.
IX(비교예 9) 밀크시슬(Silybum marianum) + 감초(Glycyrrhiza glabra) 45 mg/kg - p.o.
X(비교예 10) 결명자(Cassia tora) + 밀크시슬(Silybum marianum) + 강황(Curcuma longa) 45 mg/kg - p.o.
XI(비교예 11) 밀크시슬(Silybum marianum) + 강황(Curcuma longa) + 감초(Glycyrrhiza glabra) 45 mg/kg - p.o.
XII(실시예 1) 결명자(Cassia tora) + 밀크시슬(Silybum marianum) + 강황(Curcuma longa) + 감초(Glycyrrhiza glabra) 45 mg/kg - p.o.
XIII(실시예 2) KSY
결명자(Cassia tora) + 밀크시슬(Silybum marianum) + 강황(Curcuma longa) + 감초(Glycyrrhiza glabra) + MCC+Syloid
45 mg/kg - p.o.
실험 방법(Protocol approval number: IAEC/NR-PCL-03/06/18)은 인도의 the Committee for the Purpose of Control and Supervision on Experiments on Animals (CPCSEA)에 따라, Institutional Animal Ethics Committee (IAEC) of Natural Remedies Private Limited, Bangalore에 의해 승인되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 물질을 0.5%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CMC)에 현탁시키고, 비히클 및 실험 물질을 모든 동물에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 물질의 투여 1시간 이후, 동물에게 5 mL/kg 체중의 무수 에탄올을 경구 투여하였다.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측정을 위해, 헤파린 처리된 바이알에 에탄올 투여하고 30분, 1시간, 2시간 및 4시간 이후, 레트로 오비탈 플렉서스(retro-orbital plexus)를 통해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에탄올(Merck) - 100-PPM, 250-PPM, 500-PPM, 1000-PPM & 2500-PPM 및 아세트알데히드(Sigma) - 2-PPM, 5-PPM, 10-PPM, 50-PPM & 100-PPM의 표준을 Agilent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Head Space with FID detecto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GC 바이알 속에 약 1.5 mL의 표준을 제조하고, Agilent 7697A 오토샘플러를 사용하여 주입하였다. 약 500 μL (~ 500 mg)의 헤파린화된 혈액을 1 mL의 10% 과염소산이 들어있는 GC 바이알에 넣었다. 각 바이알에 첨가된 혈액의 무게를 기록하여 계산에 사용하였다.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수준은 각각 500 PPM 및 10 PPM의 표준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헤드 스페이스 샘플러 조건(conditions)
기기(Instrument) Agilent 7697A Headspace Sampler
오븐 온도(Oven temperature) 90 °C
루프(Loop) 100 °C
수송 라인(Transfer line) 110 °C
바이알 평형(Vial equilibration) 10 minutes
주사 시간(Injection time) 0.5 minutes
GC 사이클(GC cycle) 20 minutes, 20 mL
충진 방식(Fill mode) Default
충진 압력(Fill pressure) N2,9psi
추출 방식(Extraction mode) Single extraction
GC 조건(conditions)
기기(Instrument) Agilent 7890B GC
주입구(Inlet) 200 °C; split: 50:1
수송 가스(Carrier gas) N2, flow mode: 1.93 mL/min
주사 부피(Injection volume) 1 mL from 1 mL headspace loop
칼럼(Column) Agilent DB-WAX(30 m Х 0.32 mm I.D. ; Thickness = 0.25 μm)
오븐 온도(Oven temperature) Hold at 60 °C for 4 minutes,Then 60 °C to 100 °C at 10 °C/min, hold for 1 minutes,
Then 100 °C to 250 °C at 50 °C/min,
hold for 2 minutes.
FID 250 °C ; H2: 30 mL/min; make up + constant flow: N2, 30 mL/min; air: 400 mL/min
FID 신호 20 HZ
에탄올 또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047600573-pat00001
곡선 아래 총 면적을 계산하고, 통계 소프트웨어 IBM SPSS version 2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변동량 균질성 실험을 기초로 하는 포스트-혹(post-hoc) 실험으로 본페로니 테스트를 사용하였다. One way ANOVA를 적용하고 데이터들은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3) 실험 결과
혈액 내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수준을 Agilent GC-H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에 개시된 바와 같다.
혈액 아세트알데히드 수준에 대한 실험 물질의 효과
혈액 아세트알데히드 수준 (μg/mL) (Mean ± SEM)
그룹 30 Min 1 Hr 2 Hr 4 Hr
에탄올 대조군-비히클 (비교예 1) 14.6 ± 1.33 17.64 ± 2.23 22.46 ± 2.43 22.86 ± 1.44
결명자(비교예 2) 14.6 ± 2.70 14.77 ± 2.16 18.14 ± 1.80 18.17 ± 1.03
밀크씨슬(비교예 3) 14.08 ± 1.21 15.03 ± 1.25 16.06 ± 1.85 17.11 ± 1.51
강황(비교예 4) 12.66 ± 1.004 13.06 ± 0.80 16.82 ± 1.45 18.01 ± 1.50
감초(비교예 5) 16.26 ± 2.65 15.09 ± 1.56 16.74 ± 1.65 17.07 ± 0.81
결명자 + 밀크씨슬(비교예 6) 14.3 ± 1.68 13.61 ± 1.24 14.78 ± 1.45 17.76 ± 1.42
강황 + 감초(비교예 7) 12.53 ± 0.43 12.91 ± 0.61 16.42 ± 2.64 18.92 ± 1.84
결명자 + 강황(비교예 8) 12.9 ± 1.15 14.51 ± 1.58 15.73 ± 1.97 18.77 ± 1.84
밀크씨슬 + 감초(비교예 9) 11.37 ± 1.70 13.02 ± 1.64 13.5 ± 1.76 16.01 ± 1.60#
결명자 + 밀크씨슬 + 강황(비교예 10) 11.43 ± 0.59 12.56 ± 0.57 16.21 ± 1.36# 16.79 ± 1.10#
밀크씨슬 + 강황 + 감초(비교예 11) 12.5 ± 0.49 13.69 ± 1.04 16.1 ± 1.28 18.24 ± 1.74
결명자 + 밀크씨슬 + 강황 + 감초(실시예 1) 12.98 ± 0.83 12.95 ± 0.91 13.88 ± 1.40# 13.72 ± 0.76#
KSY결명자 + 밀크씨슬 + 강황 + 감초 + MCC + Syloid (실시예 2) 13.71 ± 1.53 12.92 ± 1.21 12.93 ± 2.18 14.08 ± 2.03#
(상기 값들은 Mean ± SEM으로 표시됨; n = 8, #p < 0.05, 에탄올 대조군 Vs 처리군)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수준에 대한 실험 결과값의 곡선 아래 총 면적(AUC)을 계산하여,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실시예 1~2의 4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은 동일한 양의 다른 비교예에 비해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수준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실험군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아세트알데히드 수준의 변화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1가지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1~5)의 실험 결과 값을 도 4에 나타내었으며, 2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6~9)의 실험 결과 값을 도 5에 나타내었으며, 3가지 또는 4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10~11, 및 실시예 1~2)의 실험 결과 값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를 볼 때, 결명자, 밀크씨슬, 강황 및 감초로 이루어진 4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2는 투여량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또는 억제 효과가 나머지 비교예들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또는 억제, 즉 숙취 해소에 관하여, 본원발명의 4가지 성분들의 조합으로 인해 상승 효과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혈액 에탄올 수준에 대한 실험 물질의 효과
혈액 에탄올 수준 (mg/dL) (Mean ± SEM)
그룹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에탄올 대조군-비히클(비교예 1) 114.96 ± 13.89 160.55 ± 28.65 216.98 ± 39.15 215.42 ± 27.01
결명자(비교예 2) 130.32 ± 19.95 132.07 ± 17.51 174.54 ± 16.54 183.4 ± 19.05
밀크씨슬(비교예 3) 118.99 ± 8.89 138.62 ± 13.38 152.12 ± 17.75 172.83 ± 17.97
강황(비교예 4) 102.9 ± 3.01 109.68 ± 4.20 151.66 ± 12.90 174.3 ± 17.08
감초(비교예 5) 132.27 ± 34.58 137.27 ± 28.18 148.74 ± 23.65 169.29 ± 13.17
결명자 + 밀크씨슬(비교예 6) 110.4 ± 11.07 112.25 ± 10.46 135.2 ± 15.84 169.74 ± 17.60
강황 + 감초(비교예 7) 104.84 ± 6.96 105.11 ± 10.44 137.99 ± 30.13 170.85 ± 25.47
결명자 + 강황(비교예 8) 110.33 ± 14.79 126.3 ± 18.68 151.82 ± 21.50 172.05 ± 14.48
밀크씨슬 + 감초(비교예 9) 93.84 ± 14.84 106.13 ± 12.25 117.86 ± 16.83 148.03 ± 11.23
결명자 + 밀크씨슬 + 강황(비교예 10) 116.46 ± 8.98 129.32 ± 9.19 179.4 ± 23.08 182.69 ± 17.80
밀크씨슬 + 강황 + 감초(비교예 11) 114.38 ± 8.13 120.84 ± 7.78 162.42 ± 10.76 183.75 ± 12.70
결명자 + 밀크씨슬 + 강황 + 감초(실시예 1) 124.48 ± 13.28 127.18 ± 16.74 137.75 ± 19.40 147.48 ± 13.01
KSY결명자 + 밀크씨슬 + 강황 + 감초 + MCC + Syloid (실시예 2) 118.84 ± 13.43 124.82 ± 21.73 124.06 ± 22.56 149.32 ± 28.60
(상기 값들은 Mean ± SEM으로 표시됨; n = 8)
상기 에탄올 수준에 대한 실험 결과값의 곡선 아래 총 면적(AUC)을 계산하여, 도 7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실시예 1~2의 4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은 동일한 양의 다른 비교예에 비해 혈중 에탄올 수준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실험군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에탄올 수준의 변화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1가지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1~5)의 실험 결과 값을 도 10에 나타내었으며, 2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6~9)의 실험 결과 값을 도 11에 나타내었으며, 3가지 또는 4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비교예 10~11, 및 실시예 1~2)의 실험 결과 값을 도 1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를 볼 때, 결명자, 밀크씨슬, 강황 및 감초로 이루어진 4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2는 투여량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에탄올 분해 또는 억제 효과가 나머지 비교예들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에탄올 분해 또는 억제, 즉 숙취 해소에 관하여, 본원발명의 4가지 성분들의 조합으로 인해 상승 효과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유효 성분들인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각각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결명자 잎(Cassia tora leaves)를 90-95℃의 물로 추출 및 여과하고, 여과물을 세척한 후 25-30% T.S로 NMT 70℃의 온도에서 450-550 mmHg 진공으로 농축하였다. 이후 인렛(In let) 온도 160℃-175℃ 및 아울렛(Out let) 온도 105℃-115℃로 분무 건조한 후, 분쇄시키고 체질(sieve)하였다. 감초 뿌리(Glycyrrhiza glabra roots)도 결명자 잎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강황 뿌리줄기(Curcuma longa rhizomes)은 75-80℃의 에탄올로 추출 및 여과하고, 여과물을 세척한 후 50-60% T.S로 NMT 70℃의 온도에서 450-550 mmHg 진공으로 농축하였다. 이후 NMT 80℃의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여 탁한 페이스트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밀크씨슬 종자(Silybum marianum seeds)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 후 진공 농축하고, 70-75℃로 에탄올 용출 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세척한 후 50-60% T.S로 NMT 70℃의 온도에서 450-550 mmHg 진공으로 농축하였다. 이후 NMT 80℃의 온도에서 진공 건조한 후, 분쇄 및 체질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통상의 캡슐제 제조 방법에 따라 밀크씨슬 추출물 130 mg, 강황 추출물 125 mg, 감초 추출물 95 mg, 결명자 추출물 150 mg, 미결정셀룰로스 및 이산화규소를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 학명 양/캡슐(mg) 백분율(%)
1 밀크씨슬(실리마린) 종자 추출물 Silybum marianum 130(65mg) 22.81
2 결명자(잎) 추출물 Cassia tora 150 26.32
3 강황(뿌리줄기) 추출물 Curcuma longa 125 21.93
4 감초(뿌리) 추출물 Glycyrrhiza glabra 95 16.66
5 미결정셀룰로스 58.6 10.28
6 이산화규소 11.4 2
총  570 100

Claims (8)

  1. 밀크씨슬(Silybum marianum), 강황(Curcuma longa), 감초(Glycyrrhiza glabra) 및 결명자(Cassia tora)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은 종자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 및 진공 농축하고, 65-80℃로 에탄올 용출 및 여과한 후, 60-70℃의 온도에서 400-600 mmHg로 진공 농축하여 제조되며,
    상기 강황 추출물은 뿌리줄기를 70-85℃의 에탄올로 추출 및 여과하고, 60-70℃의 온도에서 400-600 mmHg로 진공 농축하여 제조되며,
    상기 감초 추출물은 뿌리를 85-100℃의 물로 추출 및 여과하고, 60-70℃의 온도에서 400-600 mmHg로 진공 농축 후 분무 건조하여 제조되며,
    상기 결명자 추출물은 잎을 85-100℃의 물로 추출 및 여과하고, 60-70℃의 온도에서 400-600 mmHg로 진공 농축 후 분무 건조하여 제조되며,
    투여 4시간 이후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수준이 감소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30 중량%로 포함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30 중량%로 포함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30 중량%로 포함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명자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40 중량%로 포함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 추출물의 중량비는 1 : 0.5~1.5 : 0.3~1.5 : 0.5~1.8 (밀크씨슬 : 강황 : 감초 : 결명자)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1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숙취 해소용 조성물.
  8. 삭제
KR1020190054541A 2017-09-29 2019-05-09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83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6990 2017-09-29
KR1020170126990 2017-09-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953A Division KR20190038386A (ko) 2017-09-29 2018-09-27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938A KR20190051938A (ko) 2019-05-15
KR102083661B1 true KR102083661B1 (ko) 2020-03-02

Family

ID=65919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953A KR20190038386A (ko) 2017-09-29 2018-09-27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190054541A KR102083661B1 (ko) 2017-09-29 2019-05-09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953A KR20190038386A (ko) 2017-09-29 2018-09-27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90038386A (ko)
CN (1) CN10956853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220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우진생활건강 깔라만시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40095621A (ko) 2022-12-16 2024-06-26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약용식물 추출물 및 해조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369B1 (ko) * 2021-10-26 2024-04-25 재단법인 경남항노화연구원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KR102642547B1 (ko) * 2022-11-11 2024-03-05 한국식품연구원 레비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WiKim0168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42548B1 (ko) * 2022-11-11 2024-03-05 한국식품연구원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WiKim0170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17338860A (zh) * 2023-11-13 2024-01-05 吴剑波 一种用于促进乙醇分解的提取物制备方法及该提取物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94B1 (ko) 2011-05-02 2013-08-28 보해양조주식회사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36193A (zh) * 2000-07-31 2002-02-20 雷学军 一种含天然药物成份的降血脂功能水及其制作方法
KR100638491B1 (ko) * 2004-05-18 2006-10-25 약초나라(주)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20130092652A (ko) * 2012-02-12 2013-08-21 왕연중 숙취해소용 자연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94B1 (ko) 2011-05-02 2013-08-28 보해양조주식회사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220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우진생활건강 깔라만시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40095621A (ko) 2022-12-16 2024-06-26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약용식물 추출물 및 해조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8538A (zh) 2019-04-05
CN109568538B (zh) 2022-02-25
KR20190038386A (ko) 2019-04-08
KR20190051938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661B1 (ko) 밀크씨슬, 강황, 감초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EP0925068B1 (en) Us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olyphenols from grapes or from wine, in particular resveratrol, and yeast extracts
JP4669920B2 (ja) 血糖上昇抑制且つ血圧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機能性素材
CN104906406B (zh) 一种防治酒精性肝损伤的天然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US2009023291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Liquiritigeni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
WO2012023146A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reformulated turmeric extract and a method thereof
KR101756804B1 (ko)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KR20130020095A (ko) 멀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Jalili et al. An overview of therapeutic potentials of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A traditionally valuable herb with a reach historical background
WO2013108822A1 (ja) 脱ラムノシルアクテオシド含有オリーブ抽出物
KR101830048B1 (ko) 가자나무열매추출물 및 암라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209028B1 (ko)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06812A (ko)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Grover Areca catechu L.(Chikni Supari): A Review Based Upon its Ayurvedic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JP2014526486A (ja) 脂質異常症の治療用のチョウセンアザミの抽出物
JP3549997B2 (ja) リパーゼ阻害効果を有する食品組成物および医薬組成物
KR100543556B1 (ko)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JP6778506B2 (ja) 機能性食品組成物
KR20150063905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20123032A (ko) 1 차 담즙산 및 2 차 담즙산 생성 조절제
WO2010129524A2 (en) Plant medicinal compounds
KR20150016373A (ko) 시미시푸가 추출물의 신규한 약학적 용도
JP7361903B2 (ja) 芫花、威霊仙、及び天麻の複合生薬抽出物を含む神経変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623811B1 (ko) 고려엉겅퀴 잎 발효추출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063130A (ja) 抗糖尿病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