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250B1 - 광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250B1
KR102083250B1 KR1020157018247A KR20157018247A KR102083250B1 KR 102083250 B1 KR102083250 B1 KR 102083250B1 KR 1020157018247 A KR1020157018247 A KR 1020157018247A KR 20157018247 A KR20157018247 A KR 20157018247A KR 102083250 B1 KR102083250 B1 KR 102083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hydroxyl group
photocurable composition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452A (ko
Inventor
도시유키 다카하시
가즈히코 마쓰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5009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8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9J1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1/00Adhesive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9J161/2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9J161/2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with urea or thiou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1/00Adhesive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9J1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9J1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08L2312/06Crosslinking by 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Abstract

기재(基材)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경화성 접착제를 제공한다.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 (B) 알콜 화합물,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D) 광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상기 (B) 알콜 화합물이,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아미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폴리알킬올화 멜라민, 폴리알킬올화 글리콜우릴, 폴리알킬올화 하이드록시에틸렌우레아, 폴리알킬올화 우레아, 폴리알킬올화 벤조구아나민, 폴리알킬올화 스피로구아나민, 및 폴리알킬올화 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조성물{PHOTOCURABLE COMPOSITION}
본 발명은, 광경화성 조성물 및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기재(基材)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경화성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광경화성 조성물은,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照射)에 의해 경화되는 조성물이며, 속경화성(速硬化性)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접착제, 도료, 각종 레지스트 등의 다방면에 걸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광경화성 조성물로서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물인 광경화성 재료, 고체 폴리비닐아세탈, 및 광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고체 광경화성 필름 접착제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한편, 활성 메틸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거쳐서 얻어지는 멜라민 수지나 우레아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알려져 있고, 열경화제나 열 가교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메톡시메틸멜라민을 밀착성 향상제로서 사용한 광경화성 아크릴계 착색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고, 특허 문헌 3에는, 멜라민계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는 광경화성 피복용 시트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고, 특허 문헌 4에는, 경화제로서 멜라민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 광 및 열경화성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고, 특허 문헌 5에는, 멜라민 화합물을 가교제나 밀착성 향상제로서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멜라민 화합물을 접착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것은 아니다.
일본공개특허 평05-21430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5-188591호 공보 일본특공평7-01501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10-14774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5-089651호 공보
그러나, 광경화성 수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각종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등의 기재와의 밀착성에 있어서 아직도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경화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열경화성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는 활성 메틸올기를 가지는 화합물, 및 알콜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광경화성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 (B) 알콜 화합물,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D) 광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B) 알콜 화합물이,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아미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B) 알콜 화합물이, 폴리올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폴리알킬올화 멜라민, 폴리알킬올화 글리콜우릴, 폴리알킬올화 하이드록시에틸렌우레아, 폴리알킬올화 우레아, 폴리알킬올화 벤조구아나민, 폴리알킬올화 스피로구아나민, 및 폴리알킬올화 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하기 군 1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군 1>
Figure 112015066017257-pct00001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폴리알킬올화 멜라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66017257-pct00002
(상기 일반식(I) 중에서, R1,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로 중단될 수도 있음.)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폴리알킬올화 우레아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66017257-pct00003
(상기 일반식(III) 중에서, R51 및 R5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로 중단될 수도 있다. R52 및 R5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n=1 또는 2이며, n=2일 때, R52 및 R53은 서로 결합하여 2량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D) 광 개시제가, 광산발생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E)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메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F) 단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상기 어느 하나의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경화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A) 성분은,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활성 알킬올기란, 산소 원자에 인접하는 메틸렌기를 가지는 것이며, 산 촉매에 의한 반응성이 높다. 활성 알킬올기의 탄소 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1∼5이다. 본 발명의 (A) 성분은, 열경화제나 열 가교제로서가 아닌, 광경화성 수지로서, 광조사에 의해 광 개시제의 작용에 의해 중합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활성 알킬올기를 분자 내에 복수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술포아미드 수지, 우레아 수지, 아닐린 수지 등의 아미노 수지; 멜라민 단량체, 우레아, 하이드록시에틸렌우레아(글리옥살우레아), 글리콜우릴, 벤조구아나민, 스피로구아나민, 구아니딘, 이소시아누르산 디시안디아미드, 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노 화합물이나 아미드 화합물의 아미노기를 알킬올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알킬올화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군 1로분터 선택되는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이, 합성의 용이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군 1>
Figure 112015066017257-pct00004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알킬올화 멜라민, 폴리알킬올화 글리콜우릴, 폴리알킬올화 하이드록시에틸렌우레아, 폴리알킬올화 우레아, 폴리알킬올화 벤조구아나민, 폴리알킬올화 스피로구아나민, 폴리알킬올화 아크릴아미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들은 일부 자기(自己) 축합한 올리고머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폴리알킬올화 멜라민이, 합성이 용이하며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66017257-pct00005
(상기 일반식(I) 중에서, R1,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로 중단될 수도 있다.)
상기 일반식(I) 중, R1, R2, R3, R4, R5 및 R6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이소부틸, 아밀, 이소아밀, tert-아밀, 2-메톡시에틸, 3-메톡시프로필, 4-메톡시부틸, 메톡시에톡시에틸, 3-메톡시부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폴리알킬올화 우레아가, 합성이 용이하며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66017257-pct00006
(상기 일반식(III) 중에서, R51 및 R5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로 중단될 수도 있다. R52 및 R5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n=1 또는 2이며, n=2일 때, R52 및 R53은 서로 결합하여 2량체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IV) 또는 일반식(V)으로 표시되는 폴리알킬올화 우레아가, 합성이 용이하며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66017257-pct00007
(상기 일반식(IV) 중에서, R55 및 R6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로 중단될 수도 있다. R56, R57, R58 및 R5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5066017257-pct00008
(상기 일반식(V) 중에서, R61, R62, R63 및 R6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로 중단될 수도 있다.)
상기 R51, R54, R55, R60, R61∼R64가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로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R52, R53, R56∼R59가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톡시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활성 알킬올기끼리 축합하여 올리고머체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모노머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모노머와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수지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어 예를 들면, 사이멜 303, 235, 254, 325, 1128, 1156, 1170(MT 아쿠아 폴리머사 제조), 마이코트 102, 105, 506(MT 아쿠아폴리머사 제조), 유반 20N, 20SB, 20SE60, 122, 125, 128, 220, 225, 2020(미쓰이화학사 제조), 니카락 MW-30M, MW-30HM, MW-390, MW-100LM, MX-750LM, MX-45, MX-410(산와 케미컬사 제조) 등의 멜라민 수지; 니카락 BL-60, BX-4000 등의 구아나민 수지; 니카락 MX-270, MX-280, MX-290 등의 우레아 수지 등이 있다.
상기 (B) 알콜 화합물은,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가하는 것이며, 특별히 제한없이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n-펜탄올, 이소펜탄올, tert-펜탄올, n-헥산올, tert-헥산올, n-헵탄올, 이소헵탄올, tert-헵탄올, n-옥탄올, 2-에틸헥산올, tert-옥탄올, n-노닐알코올, 이소노닐알코올, tert-노닐알코올, n-데칸올, 이소데칸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1가의 알코올 및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3-메틸-1,3-부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2-옥탄디올, 옥탄디올(2-에틸-1,3-헥산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1,2-데칸 디올, 1,2-도데칸디올, 1,2-테트라데칸디올, 1,2-헥사데칸디올, 1,2-옥타데칸디올, 1,12-옥타데칸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올, 1,2-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수첨 비스페놀 A, 수첨 비스페놀 F, 스피로 골격 함유 알코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 및 펜타시클로펜타데칸디메틸올 등의 지환식 알코올 및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소르바이드, 메틸디에탄올 아민 등의 2가 알코올 및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2,3-부탄트리올, 1,2,4-부탄트리올, 2-메틸-1,2,3-프로판트리올, 1,2,3-펜탄트리올, 1,2,4-펜탄트리올, 1,3,5-펜탄트리올, 2,3,4-펜탄트리올, 2-메틸-2,3,4-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디트리메틸올프로판, 2,3,4-헥산트리올, 2-에틸-1,2,3-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4-프로필-3,4,5-헵탄트리올, 펜타메틸글리세린(2,4-디메틸-2,3,4-펜탄트리올),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3가 알코올 및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틸올프로판,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 및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옥세탄알코올, 3-에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2-하이드록시에틸(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2-하이드록시 프로필(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옥세탄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크릴아미드 화합물 등이 있다.
상기 (A) 복수의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에 대한 (B) 알콜 화합물의 사용 비율은, (A) 복수의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B) 알콜 화합물 20∼8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300 질량부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모노머와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디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환과 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올의 탈수 축합 반응에 의해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테르 올리고머를 얻고, 이어서, 그 양 말단의 수산기를 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폴리카르본산과 폴리올의 축합에 의해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를 얻고, 이어서, 그 양 말단의 수산기를 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에 있어서, 다관능성은 2관능 이상을 의미하지만, 통상, 20관능 이하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500∼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D) 광 개시제로서는, 광산발생제, 광 라디칼 발생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광 개시제는, 산을 발생시켜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B) 알콜 화합물을 반응시키거나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 또는 후술하는 (F)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경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광산발생제로서는, 광조사에 의해 루이스산을 발생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공지의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술폰산 유도체, 카르본산 유도체, 오늄염 또는 그의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옥심술포네이트, 하이드록시이미드에스테르, 금속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오늄염이, 산발생능이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늄염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하기 일반식, [A]r+[B]st-로 표시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염(단, r은 1∼4의 수, t는 1∼4의 수, s는 전하를 중성으로 유지하는 계수이다.)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양이온 [A]r+는 오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조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 [(R7)fQ]r+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R7은 탄소 원자수가 1∼60이며, 탄소 원자 이외의 원자를 몇 개 포함할 수도 있는 유기기이다. f는 1∼5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f개의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는, 방향환을 가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Q는 S, N, Se, Te, P, As, Sb, Bi, O, I, Br, Cl, F, N=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자 또는 원자단이다. 또한, 양이온 [A]r+ 중의 Q의 원자가를 q로 했을 때, r=f-q가 되는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 필요하다(단, N=N은 원자가 0으로서 취급함).
또한, 음이온 [B]t-는, 할로겐화물 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조는, 예를 들면, 일반식 [LXg]t-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L은 할로겐화물 착체의 중심 원자인 금속 또는 반금속(Metalloid)이며, B, P, As, Sb, Fe, Sn, Bi, Al, Ca, In, Ti, Zn, Sc, V, Cr, Mn, Co 등이다. X는 할로겐 원자이다. g는 3∼7이 되는 정수이다. 또한, 음이온 [B]t- 중의 L의 원자가를 p로 했을 때, t=g-p가 되는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일반식의 음이온 [LXg]t-의 구체예로서는,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3,5-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BF4)-,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F6)-,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SbF6)-,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AsF6)-,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SbCl6)-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이온 [B]t-는, 하기 일반식 [LXg - 1(OH)]t -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L, X, g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그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음이온으로서는, 과염소산 이온 (ClO4)-, 트리플루오로메틸아황산 이온 (CF3SO3)-, 플루오로술폰산 이온(FSO3)-, 톨루엔술폰산 음이온,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 음이온, 캠퍼술포네이트,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헥사데카플루오로옥탄술포네이트, 테트라아릴보레이트,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오늄염 중에서도, 하기의 (1)∼(3)의 방향족 오늄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 이들 중에서,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페닐디아조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메톡시페닐디아조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메틸페닐디아조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의 아릴디아조늄염
(2)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4-메틸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4-tert-부틸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릴큐밀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의 디아릴요오도늄염
(3) 하기 군 2 또는 군 3으로 표시되는 술포늄 양이온과 헥사플루오로안티몬 이온,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이온 등의 술포늄염
<군 2>
Figure 112015066017257-pct00009
<군 3>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0
또한, 광산발생제로서, 그 외에,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1,2,3,4,5,6-η)-(1-메틸에틸)벤젠]-아이언-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의 철-아렌 착체나, 트리스(아세틸아세토나토)알루미늄, 트리스(에틸아세토나토아세타토)알루미늄, 트리스(살리실알데히다토)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 착체와 트리페닐실라놀 등의 실라놀류와의 혼합물 등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광산발생제 중에서도, 실용면과 광 감도의 관점에서, 방향족 요오도늄 염, 방향족 술포늄염, 철-아렌 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일반식(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 술포늄염이, 감도의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1
(상기 일반식(II) 중에서, R21, R22, R23, R24, R25, R26, R27, R28, R29, R30, R39, R40, R41, R42 및 R4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산소 원자 또는 유황 원자로 중단되어 있어도 된다, 탄소 원자수 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탄소 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10의 에스테르기;를 나타내고, R31, R32, R33, R34, R35, R36, R37 및 R3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산소 원자 또는 유황 원자로 중단되어 있어도 된다, 탄소 원자수 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R21, R22, R23, R24, R25, R26, R27, R28, R29, R30, R31, R32, R33, R34, R35, R36, R37, R38, R39, R40, R41, R42 및 R43으로 표시되는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도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R21, R22, R23, R24, R25, R26, R27, R28, R29, R30, R31, R32, R33, R34, R35, R36, R37, R38, R39, R40, R41, R42 및 R43로 표시되는, 할로겐 원자 또는 에폭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산소 원자 또는 유황 원자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이소부틸, 아밀, 이소아밀, tert-아밀, 헥실, 시클로헥실, 헵틸, 옥틸, 노닐, 에틸옥틸, 2-메톡시에틸, 3-메톡시프로필, 4-메톡시부틸, 2-부톡시에틸, 메톡시에톡시에틸, 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 3-메톡시부틸, 2-메틸티오에틸,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메틸, 디클로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디브로모메틸, 트리브로모메틸, 디플루오로에틸, 트리클로로에틸, 디클로로디플루오로에틸, 펜타플루오로에틸, 헵타플루오로프로필, 노나플루오로부틸, 데카플루오로펜틸, 트리데카플루오로헥실, 펜타데카플루오로헵틸, 헵타데카플루오로옥틸, 메톡시메틸, 1,2-에폭시에틸, 메톡시에틸, 메톡시에톡시메틸, 메틸티오메틸, 에톡시에틸, 부톡시메틸, tert-부틸티오메틸, 4-펜테닐옥시메틸, 트리클로로에톡시메틸, 비스(2-클로로에톡시)메틸, 메톡시시클로헥실, 1-(2-클로로에톡시)에틸, 1-메틸-1-메톡시에틸, 에틸디티오에틸, 트리메틸실릴에틸, 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 에틸옥시카르보닐메틸, 에틸카르보닐메틸, 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 아크릴로일옥시에틸,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2-메틸-2-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메틸, 아세틸에틸, 2-메톡시-1-프로페닐, 하이드록시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1-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3-하이드록시프로필, 3-하이드록시부틸, 4-하이드록시부틸, 1,2-디하이드록시에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R21, R22, R23, R24, R25, R26, R27, R28, R29, R30, R39, R40, R41, R42 및 R43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1∼10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부틸 옥시, s-부틸 옥시, tert-부틸 옥시, 이소부틸 옥시, 펜틸옥시, 이소아밀 옥시, t-아밀 옥시, 헥실 옥시, 시클로헥실 옥시, 시클로헥실메틸옥시, 테트라하이드로후라니르옥시,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옥시, 2-메톡시 에틸 옥시, 3-메톡시 프로필 옥시, 4-메톡시 부틸 옥시, 2-부톡시 에틸 옥시, 메톡시 에톡시 에틸 옥시, 메톡시 에톡시 에톡시 에틸 옥시, 3-메톡시 부틸 옥시, 2-메틸티오에틸 옥시, 새 플루오로메틸옥시 등을 들 수 있다.
R21, R22, R23, R24, R25, R26, R27, R28, R29, R30, R39, R40, R41, R42 및 R43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2∼10의 에스테르기로서는,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 페녹시카르보닐, 아세톡시, 프로피오닐옥시, 부티릴옥시, 클로로아세틸옥시, 디클로로아세틸옥시, 트리클로로아세틸옥시, 트리플루오로아세틸옥시, tert-부틸카르보닐옥시, 메톡시아세틸옥시, 벤조일옥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광 라디칼 개시제로서는, 종래 기지(旣知)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벤조페논, 페닐비페닐케톤, 1-하이드록시-1-벤조-시클로헥산, 벤조인, 벤질디메틸케탈, 1-벤질-1-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벤조일)프로판, 2-모르폴릴-2-(4'-메틸머캅토)벤조일프로판, 티옥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디에틸티옥산톤, 에틸안트라퀴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벤조인부틸에테르, 2-하이드록시-2-벤조일프로판, 2-하이드록시-2-(4'-이소프로필)벤조일프로판, 4-부틸벤조일트리클로로메탄, 4-페녹시벤조일디클로로메탄, 벤조일포름산 메틸, 1,7-비스(9'-아크리디닐)헵탄, 9-n-부틸-3,6-비스(2'-모르폴리노이소부티로일)카르바졸, 2-메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4,4-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트리페닐포스핀, 캠퍼퀴논, 과산화 벤조일,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 2-(O-벤조일옥심)], 에타논,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 1-(0-아세틸옥심) 등이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N-1414, N-1717, N-1919, PZ-408, NCI-831, NCI-930((주)ADEKA사 제조), IRGACURE369, IRGACURE907, IRGACURE OXE 01, IRGACURE OXE 02(BASF(주)사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에 대한 (D) 광 개시제의 사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략 통상의 사용 비율로 사용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C) 광 개시제 0.05∼1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부이다. 지나차개 적으면 경화가 불충분해지기 쉬우며, 지나치게 많으면 경화물의 강도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E)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더 가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알코올류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코올류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과, 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이다. 이들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방향족 에폭시 수지의 아크릴레이트이며, 적어도 1개의 방향핵을 가지는 다가 페놀 또는 그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아크릴산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이다.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또는 그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를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글리시딜에테르를, 아크릴산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노볼락 수지와 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과,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이다. 이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방향족 에폭시 수지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이며, 적어도 1개의 방향핵을 가지는 다가 페놀 또는 그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메타아크릴산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또는 그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를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글리시딜에테르를, 메타아크릴산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노볼락 수지와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서 바람직한 것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나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에 수산기 함유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이소시아네이트류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나, 수산기 함유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이소시아네이트류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 등이다.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바람직한 것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나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에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이소시아네이트류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이소시아네이트류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다.
여기서 사용하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로서 바람직한 것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다염기산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이 있다. 다염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무수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등이 있다.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로서 바람직한 것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로서는, 전술한 화합물와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가 있다.
수산기 함유 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바람직한 것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아크릴산 에스테르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로서는, 전술한 화합물과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산기 함유 아크릴산 중, 지방족 2가 알콜과 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아크릴산 에스테르는 특히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바람직한 것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로서는, 전술한 화합물과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산기 함유 메타 아크릴산 중, 지방족 2가 알콜과 메타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특히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는,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2가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로서 바람직한 것은,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바람직한 것은,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여기서 사용하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로서 바람직한 것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1종 또는 2종 이상의 1염기산, 다염기산, 및 페놀류와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로서는, 전술한 화합물과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1염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부틸카르본산, 벤조산 등이 있다. 다염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무수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등이 있다. 페놀류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 p-노닐페놀, 비스페놀 A 등이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로서 바람직한 것은,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와 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이며, 상기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바람직한 것은,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와 메타 아크릴산을 반응 시켜 얻어지는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여기서 사용하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로서 바람직한 것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이며, 지방족 다가 알코올로서는, 전술한 화합물과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이 있다.
상기 알코올류의 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바람직한 것은, 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알코올, 및 그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와 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이며, 예를 들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그리고, 이들 아크릴레이트 중, 다가 알코올의 폴리아크릴레이트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류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바람직한 것은, 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알코올, 및 그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와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이며, 예를 들면,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그리고,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중, 다가 알코올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E)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시판품으로서는, SA1002(미쓰비시화학사 제조), 비스 코트 195, 비스 코트 230, 비스 코트 260, 비스 코트 215, 비스 코트 310, 비스 코트 214HP, 비스 코트 295, 비스 코트 300, 비스 코트 360, 비스 코트 GPT, 비스 코트 400, 비스 코트 700, 비스 코트 540, 비스 코트 3000, 비스 코트 3700(오사카 유기화학공업사 제조), 카야라드 R-526, HDDA, NPGDA, TPGDA, MANDA, R-551, R-712, R-604, R-684, PET-30, GPO-303, TMPTA, THE-330, DPHA, DPHA-2H, DPHA-2C, DPHA-2I, D-310, D-330, DPCA-20, DPCA-30, DPCA-60, DPCA-120, DN-0075, DN-2475, EB-645, EB-648, EB-3700(다이셀·유씨피사 제조), T-1420, T-2020, T-2040, TPA-320, TPA-330, RP-1040, RP-2040, R-011, R-300, R-205(일본화약사 제조), 아로닉스 M-210, M-220, M-233, M-240, M-215, M-305, M-309, M-310, M-315, M-325, M-400, M-408, M-450, M-6200, M-6400(도아합성사 제조),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BP-4EA, BP-4PA, BP-2EA, BP-2PA, DCP-A(쿄에이샤화학사 제조), 뉴프론티어 ASF-400(신닛테츠화학사 제조), 리폭시 SP-1506, SP-1507, SP-1509, VR-77, SP-4010, SP-4060(쇼와전공사 제조), NK에스테르 A-BPE-4(신나카무라화학공업사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E)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략 통상의 사용 비율로 사용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E)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0.5∼1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질량부이다. 지나치게 적으면 밀착성이 불충분해지기 쉽고, 지나치게 많으면 경화물의 강도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에는, (F) 단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를 더 가할 수 있다. 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단관능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단관능 메타크릴아미드 화합물 등이 있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tert-부틸, 아크릴산 N-옥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아크릴산 이소노닐, 아크릴산 이소데실, 아크릴산 스테아릴, 아크릴산 라우릴, 아크릴산 베헤닐, 아크릴산 메톡시에틸, 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 아연 등의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알릴,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tert-부틸,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 스테아릴, 메타크릴산 라우릴 등의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디메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단관능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메타크릴아미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에는, 광 증감제를 더 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카르콘 유도체나 디벤잘아세톤으로 대표되는 불포화 케톤류, 벤질이나 캠퍼퀴논으로 대표되는 1,2-디케톤 유도체, 벤조인 유도체, 플루오렌 유도체, 나프토퀴논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크산텐 유도체, 티옥산텐 유도체, 크산톤 유도체, 티옥산톤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케토쿠마린 유도체, 시아닌 유도체, 메로시아닌 유도체, 옥소놀 유도체 등의 폴리메틴 색소, 아크리딘 유도체, 아진 유도체, 티아진 유도체, 옥사진 유도체, 인돌린 유도체, 아줄렌 유도체, 아줄레늄 유도체, 스쿠아릴륨 유도체, 포르피린 유도체, 테트라페닐포르피린 유도체, 트리아릴메탄 유도체, 테트라벤조포르피린 유도체, 테트라피라디노포르피라진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테트라아자포르피라진 유도체, 테트라퀴녹살리로포르피라진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유도체, 서브프탈로시아닌 유도체, 피릴륨 유도체, 티오피릴륨 유도체, 테트라피린 유도체, 아눌렌 유도체, 스피로피란 유도체, 스피로옥사진 유도체, 티오스피로피란 유도체, 금속 아렌 착체, 유기 루테늄 착체, 나프탈렌 유도체, 안트라센 유도체, 페난트렌 유도체, 피렌 유도체, 나프타센 유도체, 페릴렌 유도체, 펜타센 유도체 등의 축합 다환 방향족 유도체 및 아크리딘 유도체, 벤조티아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오카와라신(大河內 信)등 편, 「색소 핸드북」(1986년, 코단샤), 오오카와라신등 편, 「기능성 색소의 화학」(1981년, 씨엠씨), 이케모리츄자브로(池森 忠三朗)등 편, 「특수 기능 재료」(1986년, 씨엠씨)에 기재된 색소 및 증감제를 예로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그 외에, 자외선으로부터 근적외선 영역에 걸친 광에 대하여 흡수를 나타낸 색소나 증감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는, 가열에 의해 양이온 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술포늄염, 티오페늄염, 티오라늄염, 벤질암모늄, 피리디늄염, 히드라지늄염 등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트리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등의 폴리알킬폴리아민류; 1,2-디아미노시클로헥산, 1,4-디아미노-3,6-디에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아민 등의 지환식 폴리아민류; m-크실렌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페닐술폰 등의 방향족 폴리아민류; 상기 폴리아민류와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부틸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글리시딜에테르류 또는 카르본산의 글리시틸에스테르류 등의 각종 에폭시 수지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에폭시 부가 변성물; 상기 유기 폴리아민류와, 프탈산, 이소프탈산, 다이머산 등의 카르본산류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아미드화 변성물; 상기 폴리아민류와 포름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및 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tert-부틸페놀, 레조르신 등의 핵에 적어도 1개의 알데히드화 반응성 장소를 가지는 페놀류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만니히(Mannich)화 변성물; 다가 카르본산(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이산, 2-메틸숙신산, 2-메틸아디프산, 3-메틸아디프산, 3-메틸펜탄이산, 2-메틸옥탄이산, 3,8-디메틸데칸이산, 3,7-디메틸데칸이산, 수첨 다이머산, 다이머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본산류;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본산류; 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본산류;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스산, 피마자유 지방산의 3량체 등의 트리카르복시산류; 피로멜리트산 등의 테트라카르본산류 등)의 산무수물; 디시안디아미드, 이미다졸류, 카르본산에스테르, 술폰산에스테르, 아민이미드 등이 있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아데카오프톤 CP77, 아데카오프톤 CP66(ADEKA사 제조), CI-2639, CI-2624(일본소다사 제조), 산에이드 SI-60L, 산에이드 SI-80L, 산에이드 SI-100 L(산신화학공업사 제조) 등이 있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광경화성 조성물 중의 고형분의 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01∼10 질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킬 때 130∼180 ℃에서 20분∼1시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메틸에틸디메톡시실란, 메틸에틸디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킬 관능성 알콕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알릴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케닐 관능성 알콕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관능성 알콕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 관능성 알콕시실란, γ-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머캅토 관능성 알콕시실란,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티탄테트라노르말부톡시드 등의 티탄알콕시드류, 티탄디옥틸록시비스(옥틸렌글리코레이트), 티탄디이소프로폭시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의 티탄 킬레이트류, 지르코늄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 지르코늄트리부톡시모노아세틸아세트네이트 등의 지르코늄 킬레이트류, 지르코늄트리부톡시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지르코늄 아실레이트류, 메틸트리이소시아네이트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실란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에는, 또한, 수산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폴리머를 가하여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의 분자량은, 5000∼5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에는, 통상, 필요에 따라 상기 (A)∼(D)의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하고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 셀로솔브, 에틸 셀로솔브, 클로로포름, 염화 메틸렌, 헥산, 헵탄, 옥탄,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롤 코터, 커튼 코터, 각종 인쇄, 침지 등의 공지의 수단에 의해 지지 기체 상에 적용된다. 또한, 일단 필름 등의 지지 기체 상에 실시한 후, 다른 지지 기체 상에 전사(轉寫)할 수도 있으며, 그 적용 방법으로 제한은 없다.
상기 지지 기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바람직한 예로서는, 유리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판, 폴리카보네이트판, 폴리이미드판, 폴리아미드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판, 폴리스티렌판, 폴리염화비닐판, 폴리올레핀판, 시클로올레핀 폴리머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판, 노르보르넨판, 폴리비닐알코올판, 아세트산 셀룰로오스판, 폴리아릴레이트판, 폴리술폰판, 폴리에테르술폰판, 실리콘 웨이퍼, 반사판, 방해석판, 석영판, 유리판, 종이, 목재, 금속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글로우 방전 처리, 조면화(粗面化) 처리, 약품 처리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한 표면 처리나, 앵커 코트제나 프라이머 등의 코팅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다른 모노머, 다른 광 개시제, 무기 필러(filler), 유기 필러,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소포제(消泡劑), 증점제, 계면활성제, 레벨링제, 난연제, 가소제, 안정제, 중합 금지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정전(靜電) 방지제, 유동 조정제, 접착 촉진제 등의 각종 수지 첨가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照射)에 의해 경화되지만,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X선, 방사선, 고주파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자외선이 경제적인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광원으로서는, 자외선 레이저, 수은 램프, 크세논 레이저,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의 구체적인 용도로서는, 접착제 외에, 도료, 코팅제, 라이닝제, 잉크, 레지스트, 액상(液狀) 레지스트, 인쇄판, 절연 바니스, 절연 시트, 적층판, 프린트 기판, 반도체 봉지제(封止劑), 성형 재료, 접착제, 유리 섬유 함침제, 실러(sealer),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프리즘 렌즈 시트, 프로젝션 텔레비전 등의 스크린에 사용되는 프레넬 렌즈 시트, 렌티큘러 렌즈 시트 등의 렌즈 시트의 렌즈부, 또는 이와 같은 시트를 사용한 백라이트 등, 마이크로 렌즈 등의 광학 렌즈, 광학 소자, 광 커넥터, 광 도파로(導波路), 광학적 조형용 주형제(注型劑) 등이 있으며, 예를 들면, 코팅제로서 적용할 수 있는 기재로서는 금속, 목재, 고무,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제품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을 접착제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지지 기판에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보호층 등의 다른 층을 적층한 적층체에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할 때, 동시에 또는 광조사 전 또는 광조사 후에, 경화 촉진을 위해 사전에 적층체를 40∼120 ℃, 0.01∼20 kg/cm2 정도로 5∼10분간 가열 가압하고, 여기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 및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물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평가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54, 비교예 1∼6]
하기의 표 1∼표 10에 나타낸 배합으로 각 성분을 충분히 혼합하여,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경화성 조성물을 얻었다. 각종 기재: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COP(시클로올레핀 폴리머),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바 코터로 5∼10 ㎛의 두께로 도포하고, PET 기판을 접합하여 콜드 미러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PET 기판 너머로부터 1000 mJ/cm2의 에너지량으로 자외광을 조사하였다. 조사 후, 30℃×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하기의 화합물(A-1)∼(A-2)를 사용하였다.
화합물 A-1: MW-30M(산와 케미컬사에서 제조한 메틸화 멜라민 수지)
화합물 A-2: MW-270(산와 케미컬사에서 제조한 메틸화 우레아 수지)
(B) 알콜 화합물로서는 하기의 화합물(B-1)∼(B-4)를 사용하였다.
화합물 B-1: 액트플로우 UME-2005(쿄에이샤화학사 제조)
화합물 B-2: 액트플로우 UMB-2005(쿄에이샤화학사 제조)
화합물 B-3: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화합물 B-4: 글리세린디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B-5: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화합물 B-6: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화합물 B-7: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화합물 B-8: 블렘머 AE-200(니치유사 제조)
화합물 B-9: 플래그 셀 FA1DDM(다이셀사 제조)
화합물 B-10: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화합물 B-11: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화합물 B-12: 플래그 셀 303(다이셀사 제조)
화합물 B-13: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의 반응물(MW10000)
화합물 B-14: 부티랄 수지 KS-1(세키스이화학사 제조)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하기의 화합물(C-1)∼(C-3)를 사용하였다.
화합물 C-1: U-200PA(신나카무라화학사에서 제조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C-2: UA-4200(신나카무라화학사에서 제조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C-3: 1,6헥산디올 베이스의 폴리카보네이트디올 +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 HEA의 반응물(MW10000)
화합물 C-4: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아디프산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올 +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의 반응물(MW10000)
화합물 C-5: A-600(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화학사 제조)
(D) 광 개시제로서는하기의 화합물(D-1)∼(D-3)를 사용하였다.
화합물 D-1: Irg-184(BASF사 제조)
화합물 D-2: Irg-819(BASF사 제조)
화합물 D-3: SP-150(ADEKA사 제조)
(E)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하기의 화합물(E-1)∼(E-3)를 사용하였다.
화합물 D-1: DPHA(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E-2: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E-3: A-9300S(에톡시화 이소시아누르산 트리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화학사 제조)
(F) 단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하기의 화합물(F-1)∼(F-7)을 사용하였다.
화합물 F-1: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F-2: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F-3: 아크릴로일모르폴린
화합물 F-4: 디메틸아크릴아미드
화합물 F-5: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화합물 F-6: 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화합물 F-7: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그 외의 성분으로서, 하기의 화합물(G-1)을 사용하였다.
화합물 G-1: 9,10-디(n-부톡시)안트라센
[표 1]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2
[표 2]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3
[표 3]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4
[표 4]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5
[표 5]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6
[표 6]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7
[표 7]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8
[표 8]
Figure 112015066017257-pct00019
[표 9]
Figure 112015066017257-pct00020
[표 10]
Figure 112015066017257-pct00021
[평가예 1∼54, 비교 평가예 1∼6]
상기 실시예 1∼54 및 비교예 1∼6에서 얻어진 시험편에 대하여, 하기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상기 표 1∼표 10에 나타내었다.
(90° 필(peel) 강도)
상기 시험편을 폭 15 ㎜로 절단하고, 기재를 90° 방향으로 잡아 당겨 박리하고, 그 강도를 측정하였다.
(온수 시험)
상기 시험편을 폭 15 ㎜, 길이 4 ㎜로 잘라내고, 60℃ 온수에 5시간 침지시켰다. 시험편의 표면을 육안에 의해 확인하고,
변화 없음 ○
단면(端面)에 박리가 있음 △
박리됨 X
로서 평가했다.
상기 표 1∼표 10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A)∼(D)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밀착성이 우수하였다. 이에 비해, (A) 성분이나 (B)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주성분인 비교예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은, 밀착성이 뒤떨어졌다. 상기 실시예, 비교예의 시험편의 제조 과정에서는 가열 처리를 행하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A) 성분이, 열경화제로서가 아닌, 광경화 성분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7 및 8과, 그 이외의 실시예와의 비교로부터, (E) 성분, (F)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밀착성이 더욱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
    (B) 알콜 화합물;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D) 광 개시제
    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서,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하기 군 1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이고,
    <군 1>
    Figure 112019092673416-pct00022

    상기 (B) 알콜 화합물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n-펜탄올, 이소펜탄올, tert-펜탄올, n-헥산올, tert-헥산올, n-헵탄올, 이소헵탄올, tert-헵탄올, n-옥탄올, 2-에틸헥산올, tert-옥탄올, n-노닐알코올, 이소노닐알코올, tert-노닐알코올, n-데칸올, 이소데칸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족 디올, 지환식 알코올 또는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소르바이드, 메틸디에탄올 아민 또는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2,3-부탄트리올, 1,2,4-부탄트리올, 2-메틸-1,2,3-프로판트리올, 1,2,3-펜탄트리올, 1,2,4-펜탄트리올, 1,3,5-펜탄트리올, 2,3,4-펜탄트리올, 2-메틸-2,3,4-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디트리메틸올프로판, 2,3,4-헥산트리올, 2-에틸-1,2,3-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4-프로필-3,4,5-헵탄트리올, 펜타메틸글리세린(2,4-디메틸-2,3,4-펜탄트리올),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또는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틸올프로판, 소르비톨 또는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수산기를 가지는 옥세탄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크릴아미드 화합물인,
    광경화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알콜 화합물이,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 아크릴아미드 화합물인, 광경화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알콜 화합물이, 폴리올 화합물인, 광경화성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폴리알킬올화 멜라민인, 광경화성 조성물:
    Figure 112019092673416-pct00023

    (상기 일반식(I) 중에서, R1,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로 중단될 수도 있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복수의 활성 알킬올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폴리알킬올화 우레아인, 광경화성 조성물:
    Figure 112019092673416-pct00024

    (상기 일반식(III) 중에서, R51 및 R5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로 중단될 수도 있고, R52 및 R5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n=1 또는 2이며, n=2일 때, R52 및 R53은 서로 결합하여 2량체를 형성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다관능성 아크릴계 올리고머가, 분자량 500 이상인, 광경화성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광 개시제가, 광산발생제인, 광경화성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E)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메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F) 단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를 더 함유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광경화성 접착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7018247A 2012-12-13 2013-12-09 광경화성 조성물 KR102083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72779 2012-12-13
JPJP-P-2012-272779 2012-12-13
PCT/JP2013/083009 WO2014092058A1 (ja) 2012-12-13 2013-12-09 光硬化性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452A KR20150096452A (ko) 2015-08-24
KR102083250B1 true KR102083250B1 (ko) 2020-03-02

Family

ID=5093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247A KR102083250B1 (ko) 2012-12-13 2013-12-09 광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26388B2 (ko)
KR (1) KR102083250B1 (ko)
CN (1) CN104854155B (ko)
TW (1) TWI591081B (ko)
WO (1) WO2014092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6468B2 (ja) * 2016-06-08 2021-01-0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光硬化性樹脂組成物
KR102478397B1 (ko) * 2016-12-22 2022-12-15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수용성 조성물, 패턴 형성제, 이들을 사용한 경화물의 제조 방법 및 경화물
US11332559B2 (en) * 2019-07-17 2022-05-17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Polymers for display devices
JP7170703B2 (ja) 2020-12-04 2022-11-1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光硬化性樹脂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928A (ja) * 2000-03-10 2001-09-18 Nippon Kayaku Co Ltd 樹脂、樹脂組成物、そのフィルム及びその硬化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10783D0 (en) 1991-05-18 1991-07-10 Ciba Geigy Adhesives
JP2768120B2 (ja) 1991-11-11 1998-06-25 凸版印刷株式会社 光硬化性アクリル系着色組成物
DE4315178A1 (de) 1993-05-07 1994-11-10 Abb Management Ag IGBT mit selbstjustierender Kathodenstruktur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10147745A (ja) 1996-11-13 1998-06-0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光及び熱硬化性組成物
JP2003098658A (ja) * 2001-09-25 2003-04-04 Tamura Kaken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5089651A (ja) 2003-09-18 2005-04-07 Jsr Corp 硬化性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積層体
JP4815835B2 (ja) * 2005-03-30 2011-1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感光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928A (ja) * 2000-03-10 2001-09-18 Nippon Kayaku Co Ltd 樹脂、樹脂組成物、そのフィルム及びその硬化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0000A (zh) 2014-08-01
KR20150096452A (ko) 2015-08-24
JP6226388B2 (ja) 2017-11-08
TWI591081B (zh) 2017-07-11
CN104854155A (zh) 2015-08-19
WO2014092058A1 (ja) 2014-06-19
JPWO2014092058A1 (ja) 2017-01-12
CN104854155B (zh)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3090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永久レジスト及び永久レジストの製造方法
KR102083250B1 (ko) 광경화성 조성물
KR100525984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것을 이용한 감광성 엘리먼트,레지스트 패턴의 제조법, 레지스트 패턴 및 레지스트 패턴적층 기판
JP6871539B1 (ja) 樹脂組成物、樹脂シート、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半導体装置
CN104114359A (zh) 光学构件及用于制造该光学构件的紫外线固化型胶粘剂
WO2008059670A1 (fr) Composition de résine photodurcissable/thermodurcissable, object durci et plaque de câblage imprimée
TW200902579A (e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TW201032003A (en) Photosetting resin composition, dry film and cured product of the same, and printed wiring board using them
JP5086965B2 (ja) 光塩基発生剤及び光硬化性樹脂組成物
KR20190129830A (ko) 경화성 조성물, 경화물의 제조 방법, 그 경화물, 및 그것을 사용한 접착제
WO2008059935A1 (fr) Composition de résine photodurcissable/thermodurcissable, produit durci et planche de câblage imprimé
JP6883020B2 (ja) 硬化性組成物、硬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
JP2019026774A (ja) 硬化性組成物、硬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
JP2015148698A (ja) 光硬化性組成物
JP2014196469A (ja) 光硬化性組成物
JP4286570B2 (ja) 光ラジカル重合開始剤及び感光性樹脂組成物
JP2019026775A (ja) 硬化性組成物、硬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
TW202212470A (zh) 組合物、硬化物及硬化物之製造方法
JP7015220B2 (ja) 電子部品用接着剤
TWI738754B (zh) 硬化性組成物,硬化物之製造方法及其硬化物
KR20220063163A (ko) 경화성 조성물, 드라이 필름, 경화물, 및 전자 부품
KR20200090587A (ko)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블랙 매트릭스 및/또는 컬이서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I814894B (zh) 組成物、含有其之接著劑、其硬化物及其製造方法
TW201827517A (zh) 硬化性組成物、其硬化方法、藉其所得之硬化物
JP2009167263A (ja) 透明材料用光硬化性組成物、及び、透明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