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211B1 -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211B1
KR102083211B1 KR1020180059879A KR20180059879A KR102083211B1 KR 102083211 B1 KR102083211 B1 KR 102083211B1 KR 1020180059879 A KR1020180059879 A KR 1020180059879A KR 20180059879 A KR20180059879 A KR 20180059879A KR 102083211 B1 KR102083211 B1 KR 102083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ea salt
lava
composition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55A (ko
Inventor
심규영
유정진
김민지
김하영
김혜성
여현주
강승현
김연준
박명삼
성미경
최호민
안수미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래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211B1/ko
Priority to CN201910308100.3A priority patent/CN110522702A/zh
Publication of KR2019013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용암해수염에 밭벼의 누룩곰팡이 발효물을 첨가하는 공정을 이용하여 모발의 퇴행기 발달 지연효과,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육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improving hair growth containing fermented lava seawater salt}
본 발명은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주도는 화산활동으로 인해서 현무암층이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경사가 완만한 동서 사면으로는 용암지대가 넓게 발달 되어 있다. 특히 동부지역은 투수성이 우수한 지층이 두껍고 넓게 분포되어 있고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천연의 조건을 지니고 있다. 바다의 압력에 의해 현무암층으로 여과되면서 유입된 해수는 고지대에서 바다쪽으로 흘러 내려오는 지하담수와 만나서 담, 염수 경계면을 형성하게 된다(김창숙 2012). 이 담, 염수 혼합대 하부에 존재하는 해수가 용암해수다. 제주용암해수는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수자원으로 해수가 현무암층과 사니질층을 통해 자연 여과되어 오랜 기간 동안 저장된 물이다. 제주 용암 해수염은 용암해수로부터 얻어지는 미네랄 해수염으로서 멸균 필터링, 증발, 건조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용암해수에는 일반 해수 및 심층수보다 필수 미네랄(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이 풍부하며 일반적인 미네랄 성분들(철, 아연, 몰리브덴, 망간)은 심층부와 삼다수보다 더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제주 용암해수는 바나듐을 함유하고 있어서 인체의 생리활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바나듐은 부신의 catecholamine 대사에 관여하여 지방질 대사에 영향을 주고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막아 동맥 경화를 예방하고 뼈와 연골, 치아의 형성에 필요하며 세포의 대사에 필수적인 원소다. 특히 인슐린의 분비를 안정시키는 작용으로 당뇨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며, 고지혈증 개선 효과도 있어서 성인병 예방효과가 높다. 또한 제주용암해수에는 해양심층수에는 없는 게르마늄과 셀레늄을 함유하고 있어서 혈액순환 촉진, 면역력 증강, 항암작용, 지방의 산화작용 억제, 항산화능, 항암, 불임, 노화 및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의 취득한 용암해수를 멸균필터를 사용하여 제균한 후, 가열 증발, 진공 증발, 천일 건조 또는 통풍 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용암해수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은 생물학적인 공정을 통해 제주 용암해수염의 육모 효과를 증진시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생물학적인 공정이라 함은, 고체발효한 제주밭벼를 이용한 제주 용암해수염의 순화 공정을 뜻한다. 고체발효(Solid state fermentation)는 액상발효(Submerged fermentation)와 달리, 바이오매스(Biomass) 같은 고체 기질들을 대상으로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체발효는 예로부터 곰팡이류와 바실러스류, 유산균류를 이용하여 쌀 또는 콩을 발효시킴으로써 코지(Koji)나 된장을 생산하기도 하고, 치즈를 생산하는 등 식품산업에 있어서 미생물의 효소 및 대사산물을 생산하는데 주로 사용되어 왔다. 고체발효기술의 장점은 액상발효 대비 상대적으로 값싼 원료와 저렴한 설비에 따른 낮은 생산 비용, 높은 효소 생산량 및 안정성, 그리고 배출되는 폐기물이 최소화되어 친환경적인 요소 등이 많다. 하지만 대규모화 되는데 있어, 표준 생산 공정을 설정하기 어렵고 다양한 미생물과 원료들에 따라 배양조건(산소량, 온도 및 습도 조절 등)을 확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 친환경적인 생산 산업을 추구하는 유럽에서는 고체발효 공정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인체에 있어서 모발은 피부에 있는 모낭에서 자라나며, 모발이 자라나는 모낭은 안쪽뿌리상피집, 바깥뿌리상피집, 털줄기, 털바탕질 등으로 구성된 복잡한 기관으로 일생 동안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 등의 주기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특징이 있다(Paus et al., J Invest Dermatol. 113, pp523-532, 1999). 특히 모낭을 형성하는 세포 중 진피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는 모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모낭의 성장기에 진피유두를 둘러싸고 있는 기질의 각질세포를 포함한 모낭의 구성세포들의 증식을 유도한다(Oliver RF., J Embryol Exp Morphol. 15, pp331-347, 1996; Jahoda et al., Nature. 311, pp560-562, 1984; Paus et al., J Invest Dermatol. 113, pp523-532,1999). 모낭의 퇴행기에는 모낭의 성장이 중단되며, 세포사멸과 진피유두의 응축 및 세포외기질의 재구성이 일어나고, 모낭이 다시 성장기로 들어가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인 휴지기에는 융기부위를 포함한 영구적으로 지속되는 부분만이 남아있게 된다(Soma et al., J Invest Dermatol. 6, pp948-954, 1998; Jahoda et al., Nature. 311, pp560-562, 1984; Paus et al., J Invest Dermatol. 113, pp523-532, 1999). 탈모란 모낭의 성장주기중 성장기의 모낭에서 자라나는 모발보다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낭에서 자라나는 모발의 비율이 많아져서 비정상적으로 빠지는 모발이 증가함을 말하는데, 최근 외모를 중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탈모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탈모의 원인으로는 혈액순환 불량설,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분비 과잉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등이 논의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탈모에 대한 명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GDNF 단백질은 신경교세포주 유래 뉴로트로픽 인자(Glial cell line derived neurotrophic factor)로 TGFβ 패밀리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GDNF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뉴런의 생존과 관련되어, 뉴런의 뉴라이트(neurite)와 액손(axon)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 주 역할이다. 그러므로 GDNF는 주로 신경학쪽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GDNF 단백질은 모발의 퇴행기 지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퇴행기는 초기(Ⅰ,Ⅱ,Ⅲ), 중기(Ⅳ,Ⅴ,Ⅵ), 후기(Ⅶ,Ⅷ)로 세분화 할 수 있다. GDNF는 퇴행기인 모발 세포 중에서 Ⅰ-Ⅱ단계의 비중을 높여주고, Ⅲ-Ⅳ단계의 비율을 낮춰줌으로써, 모발의 퇴행기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Natalia V. Botchkareva et al., Am J Pathol. 156, pp1041-53, 2000). 또한, 모낭각질형성세포(hair follicle keratinocyte)의 증식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TGFβ-2 에 의해 조절되는 초기 퇴행기로의 이행을 일부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 Adly et al., J Am Acad Dermatol. 58, pp238-50, 2008).
태반성장인자(Placental growth factor, PlGF)는 주로 임신기간 동안 태반의 트로포블라스트에서 많이 발현되나, 다른 조직 예를 들면 미엘로사이트, 민무늬근육세포, 내피전구세포 등에서도 발현되며, 세포 내에서 세포막, 세포질 또는 분비된 형태로 존재한다. PlGF는 발현과정에서 대체 스플라이싱 기전 (alternativesplicing)에 의해 PlGF-1 (131개 아미노산 aa), 2 (152개 aa), 3 (203개 aa) 및 4의 세 종류의 아이소 형태의 단백질이 생성된다.
PlGF는 세포 외 신호조절인산화효소(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와 cyclin D1의 인산화 수준을 증가시켜 모유두세포의 사멸을 감소시킨다. 또한, 인산화된 Akt와 Bcl2를 양을 증가시켜 모유두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킨다(Yoon SY et al., J Dermatol Sci. 74, pp 125-134, 2014).
종래 한국특허공보(KR 1009823510000 B)에서는 "용암해수 미네랄수를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일반 용암해수염에 비하여 고체발효한 제주밭벼를 이용하여 순화공정을 거친 용암해수염이 인간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현저히 촉진시키고, 글리아세포-유래 신경영양인자(GDNF)와 태반성장인자(PlGF)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PlGF의 증가 또는 활성화를 유도하여 모낭의 생장기 증가를 통한 발모를 촉진하는 것으로, 모낭의 생장기 증가가 필요한 다양한 질환, 상태 등 또는 발모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남성형탈모증, 여성형탈모증, 원형탈모증, 휴지기탈모증, 성장기탈모증, 항암치료 유발성탈모증, 약물 유발성 탈모증, 발모벽에 사용 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KR 1009823510000 B KR 1018165320000 B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용암해수염을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높은 농도를 사용하며, 이를 이용하여 모발의 퇴행기 발달 지연효과,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육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밭벼의 누룩곰팡이 발효물이 첨가된 용암해수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밭벼의 누룩곰팡이 발효물을 첨가된 용암해수염을 일반 용암해수염과 구별하여 ‘용암해수염 koji’라고 칭하였다. 상기 '용암해수염 koji’은 일반 용암해수염에 비해 세포독성이 저감 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용암해수염 koji’는 세포독성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모발의 형성 및 성장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인간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모발의 퇴행기 지연 효과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글리아세포-유래 신경영양인자(GDNF)와 태반성장인자(PlGF)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암해수염은 용암해수로부터 얻어지는 미네랄 해수염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제주도 동부지역 북제주군 구좌읍 한동리에서 지하 100 내지 200m를 굴착하여 지하(평균 해수면 기준) 30 내지 150m에서 취수한 용암해수염수를 멸균 필터를 이용하여 제균한 뒤, 가열 증발, 진공 증발, 천일건조 또는 통풍건조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용암해수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룩곰팡이는 일반적으로 발효에 이용되는 어떠한 누룩곰팡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황국균(Aspergillus oryza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룩곰팡이 발효물은 고체발효를 통해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체발효’란 수분이 적은 고체상태의 원료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것으로, 본원발명에서는 고체원료인 밭벼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30 내지 35℃에서 60 내지 65시간동안 85% 습도조건에서 고체발효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밭벼의 누룩곰팡이 발효물이 첨가된 용암해수염은 추가적으로 물을 첨가하여 40 내지 44℃에서 40 내지 50시간 동안 고온 반응한 후 4 내지 6℃에서 20 내지 30시간 저온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체발효에서 발현된 효소들의 반응을 유도하여 다양한 쌀 유래 oligo peptide들이 형성되게 하기 위해 고온발효를 먼저 실시하였으며, 상기 제시된 온도보다 더 높거나 낮을 경우, 효소반응속도가 떨어져 효율적으로 반응을 유도하기가 어렵다. 또한, 고온발효 후 진행하는 저온 반응은 숙성(aging) 단계로서, 해수염의 세포 독성을 순화시키기 위해 진행되며, 상기 저온 단계의 온도 및 시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성 반응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고온 및 저온 반응 후, 2500 내지 3500rpm에서 5 내지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0.45 ㎛ 막에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여액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밭벼의 누룩곰팡이 발효물을 첨가된 용암해수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 미만 첨가 시에는 기대하는 피부 효과를 보기 어려우며 1% 이상 첨가 시에는 일반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밭벼의 누룩곰팡이 발효물이 첨가된 용암해수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두피 상태, 탈모 정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효성분을 1일 0.001 내지 10㎎/㎏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으로 피부 도포를 통해 투여하는 것이 좋다.
모발의 성장은 여러 유전자와 성장인자 및 그 수용체, 전신적 호르몬의 작용 등으로 인한 복잡한 기전에 의해 일어나는데, 특히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모낭의 모기질세포(dermal matrix cell)와 간엽세포로 구성된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가 모발의 형성 및 성장에 중추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도 2 참조). 모유두세포는 모낭의 기저부에 존재하는 세포로,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들에게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의 성장과 모낭 주기 조절을 담당한다. 따라서 모유두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면 모발이 건강해지고 모발 성장이 촉진되며 탈모를 막을 수 있다. 모발의 성장은 모유두(dermal papilla)를 둘러싸고 있는 상피세포(epithelial cell)가 분열하여 모간(hair shaft)을 만들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모유두세포는 상피세포의 분열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남성형 탈모증에서 남성호르몬이 모낭에 작용하는 부위 역시 모유두이므로, 모유두세포는 발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용암해수염 koji는 인간모유두세포의 세포증식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글리아세포-유래 신경영양인자(Glial cell line 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와 태반성장인자(Placental growth factor,PlGF)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용암해수염 koji를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용할 경우 모발의 퇴행기 발달을 지연시키는 효과,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용암해수염 koji는 육모촉진 또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용암해수염은 모발의 퇴행기 발달을 지연시키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암해수염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기능성 화장품에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용암해수염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는 모발의 구조 및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세포독성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인간모유두세포 (HFDPC)).
도 4는 세포 증식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인간모유두세포 (HFDPC)).
도 5는 성장호르몬(growth factor) 생성량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a): Glial cell line derived neurotrophic factor(GDNF) (b): Placental growth factor(PlGF)).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용암해수염 koji의 제조
본원발명의 바이오 제주 용암해수염은 고체발효한 제주 밭벼와 용암해수염과 반응하여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체발효한 제주 밭벼는 제주도 밭에서 재배된 상남 밭벼 품종을 구입하고 세척하였다. 세척된 쌀을 2시간 동안 침지하고 최종 수분함량이 40~55%가 되게 가수한 뒤, 121℃, 60분간 멸균하였다. 이 후, Potato dextrose 한천배지에서 키운 황국균(Aspergillus oryzae)을 포자 현탁액으로 제조하여 멸균된 밭벼 원료에 넣어 33℃, 60~65시간, 85%의 습도에서 고체발효를 하였다. 고체발효한 제주 밭벼 100~110g에 제주 용암해수염을 30~33g을 넣고 물을 170~187g 첨가하여 40~44℃, 48시간동안 고온 반응하고, 4~6℃, 24시간 저온 반응 하였다. 3000rpm, 10분간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0.4㎛ 막 여과를 하여 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여액으로 인간모유두세포의 독성 평가(WST-1 assay), 증식 평가, Human Growth Factor 측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공정도는 도면 1과 같다.
비교예 1: 제주 용암해수염의 제조
용암해수염을 10중량%로 물에 녹인 뒤, 0.45㎛ 막 여과를 하여 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여액으로 인간모유두세포의 독성 평가(WST-1 assay), 증식 평가, Human Growth Factor 측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세포 독성 평가
본 발명에서 제조한 상기 용암해수염(비교예 1)과 바이오 제주 용암해수염(용암해수염 koji, 실시예 1)이 세포 독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간모유두세포 (HFDPC)를 96well plate에 0.8 x 104cells/mL로 접종한 후, 5% CO2, 37℃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비교예 1과 실시예 1을 각각 0.01, 0.02, 0.04%의 농도로 serum이 없는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Growth Media에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농도는 용암해수염과 용암해수염 koji의 염 농도를 동일하게 처리한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배지에 10배 희석시킨 WST-1 시약을 각 well에 100㎕를 넣고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ELISA reader로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암해수염(비교예 1)과 용암해수염 koji(실시예 1)는 모두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세포 증식 평가
본 발명에서 제조한 상기 용암해수염(비교예 1)과 바이오 제주 용암해수염(용암해수염 koji, 실시예 1)이 세포 증식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간모유두세포 (HFDPC)를 96well plate에 0.4 x 104 cells/mL 로 접종한 후, 5% CO2, 37℃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비교예 1과 실시예 1을 각각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인 0.01, 0.02, 0.04%로 supplement가 없는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Growth Medium에 섞은 뒤에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농도는 용암해수염과 용암해수염 koji의 염 농도를 동일하게 처리한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배지에 10배 희석시킨 WST-1 시약을 각 well에 100㎕를 넣고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ELISA reader로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암해수염(비교예 1)은 증식 효능이 없는 반면에, 용암해수염 koji(실시예 1)는 증식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용암해수염 koji의 농도가 0.04%일 때 음성대조군 대비 최고 27%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Human Growth Factor(GDNF, PlGF) 측정
96well plate에 인간모유두세포를 0.8 x 104 cells/well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supplement를 포함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기아상태로 만들어 준 후, 다음날 용암해수염과 용암해수염 koji를 0.04%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를 24시간 배양하였다. Human GDNF ELISA kit(R&D System)와 Human PlGF ELISA kit(R&D System)를 이용하여 실험 후, ELISA reader로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최종 GDNF와 PlGF의 양은 일정 단백질당 GDNF(Glial cell line derived neurotrophic factor)와 PlGF(Placental growth factor)의 양으로 환산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암해수염의 GDNF와 PlGF 생성량은 음성대조군 대비 3.1%, 5.2% 증가하였는데 반하여, 용암해수염 koji의 GDNF와 PlGF 생성량은 음성대조군 대비 각각 34.5%, 49.1% 증가하였다. 이것은 용암해수염 koji가 용암해수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모발의 퇴행기 발달을 지연하고,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Claims (5)

  1. 밭벼의 누룩곰팡이 발효물이 첨가된 용암해수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용암해수염은 제주도 동부지역 북제주군 구좌읍 지하(평균 해수면 기준) 30 내지 150m에서 취수한 제주 용암해수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밭벼의 누룩곰팡이 발효물은 밭벼를 황국균(Aspergillus oryzae)으로 고체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밭벼의 누룩곰팡이 발효물이 첨가된 용암해수염에 추가적으로 물을 첨가하여 40 내지 44℃에서 40 내지 50 시간 동안 고온 반응한 후 4 내지 6℃에서 20 내지 30시간 저온 반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0180059879A 2018-05-25 2018-05-25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083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79A KR102083211B1 (ko) 2018-05-25 2018-05-25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CN201910308100.3A CN110522702A (zh) 2018-05-25 2019-04-17 含有发酵熔岩海盐的脱发防止或生发改善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79A KR102083211B1 (ko) 2018-05-25 2018-05-25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55A KR20190134355A (ko) 2019-12-04
KR102083211B1 true KR102083211B1 (ko) 2020-03-02

Family

ID=6865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879A KR102083211B1 (ko) 2018-05-25 2018-05-25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3211B1 (ko)
CN (1) CN1105227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32B1 (ko) * 2016-06-24 2018-01-10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독성이 저감화된 용암해수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3642B2 (ja) * 1993-06-16 2002-05-20 株式会社創研 米からの育毛剤
US6103272A (en) * 1999-07-15 2000-08-15 Keeney; Joseph A. Composition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preventing hair loss, or minimizing hair loss,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ing same
KR100947638B1 (ko) * 2006-12-11 2010-03-1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82351B1 (ko) * 2008-02-29 2010-09-1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 미네랄수를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KR101762110B1 (ko) * 2015-08-06 2017-07-28 코스맥스 주식회사 바이오 탄산 제주 용암해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32B1 (ko) * 2016-06-24 2018-01-10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독성이 저감화된 용암해수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55A (ko) 2019-12-04
CN110522702A (zh)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4176T3 (es) Metodos para hacer composiciones con medio de cultivo celular acondicionado.
JP2011529486A (ja) 緑豆発酵−酵素抽出液を含む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組成物
EP0107885B1 (en) Cosmetic preparations promoting the trophism of the skin and of the related hair follicles
TWI388343B (zh) 含有經發酵及酵素作用綠豆萃取液之抗皮膚衰老化妝品成分及其使用方法
KR20100096447A (ko) 돼지 태반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배양물 및 그 추출 단백질을 함유한 화장료용 조성물
KR20130114808A (ko) 콜라겐 천연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3211B1 (ko) 발효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CN103269707A (zh) 皮肤胶原产生促进剂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6062B1 (ko) 미백개선과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배 캘러스와 유자 캘러스 소재
KR102119622B1 (ko) 수수새싹 추출액의 발효액 또는 이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44703B1 (ko) 마름 발효물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마름 발효물이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항노화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과 발효물로 이루어진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2053707B1 (ko) 섬유아세포의 조건배지와 기능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1191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21457B1 (ko)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41269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маски
KR102528995B1 (ko)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3408A (ko)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7113263A1 (zh) 木质醋酸菌发酵液作为化妆品组合物之新颖用途
KR101949937B1 (ko) 배 또는 유자 캘러스 배양 추출물 및 잔탄검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87153B1 (ko)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6867726B1 (ja) 皮膚の健康状態を増進及び/又は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
KR102131774B1 (ko) 옷솔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7831A (ko) 색시프라가 캐스피토샤 바. 유니플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색시프라가 캐스피토샤 바. 유니플로라 추출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