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408A -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408A
KR20200063408A KR1020180148761A KR20180148761A KR20200063408A KR 20200063408 A KR20200063408 A KR 20200063408A KR 1020180148761 A KR1020180148761 A KR 1020180148761A KR 20180148761 A KR20180148761 A KR 20180148761A KR 20200063408 A KR20200063408 A KR 20200063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lactobacillus
hair growt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안드레
우영민
하종명
김옥주
조은솔
안미영
최재석
Original Assignee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408A/ko
Publication of KR2020006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모 촉진용 조성물 또는 발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유산균을 단백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단백가수분해효소는 바람직하게는 알카라제(alcalase), 브로멜라인(bromelain) 및 프로타맥스(protamax)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기존의 발모 촉진용 물질과 달리 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전 미생물인 유산균에서 비롯하여 부작용 등이 문제되지 아니하고,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 실험(in vitro) 및 생체 실험(in vivo) 모두에서 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된 발모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escription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STIMULATING HAIR SPROUTING COMPRISING A HYDROLYSATE OF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발모 촉진용 조성물,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외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로 가면서 탈모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모발 관리 대상자 60%가 20 내지 30대로 탈모의 연령대는 점점 낮아지고 있고, 탈모증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의 숫자는 거의 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 이에 따른 사회 경제적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탈모가 심할수록 심리적으로 우울이나 불안 증상을 호소하며, 스트레스 지각도가 높아지고, 인간관계나 이성 관계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겪으며, 가정 내 적응이 원만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보건학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
탈모의 원인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에 대한 가능성 있는 원인으로 유전적 요인, 호르몬적 이상, 그리고 면역학적 이상에 의한 원인 등에 대한 보고가 있다.
현재 연구되고 있는 두피에 직접 바르는 탈모 치료 방법에는 혈관확장 또는 혈액 순환 촉진을 통해 모근에 영양 공급 및 유해 인자의 배출을 통한 모발 성장을 돕는 방법과 염증을 유발시키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나 nitric oxide (NO)의 생성을 저해하여 모근에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cytokine류의 생성 저해하여 모근의 위해 요소를 줄이는 방법,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 시켜 모근을 튼튼하게 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신혈관 생성은 혈관 발육과 태아에서의 분화, 창상 치유, 기관 재생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한 성장인자들은 혈관 재생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성장인자들로는 tumor necrosis factor (TN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TGF-β,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등이 거론된다. 기존에 존재하던 모세혈관들로부터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과정은 angiogenic factor, 세포 외 기질, 그리고 protease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혈관 재생과 관련한 요소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체 중의 하나가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이다. 상기 VEGF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endothelial cell 증식을 유도하며 생체 내에서 모세혈관 형성을 자극하는 가장 중요한 혈관형성 요소로 알려져 있다.
MG-63과 같은 조골세포에서는 VEGF가 alkaline phosphatase 활동을 유도하며 parathyroid hormone에 대한 반응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조골세포는 VEGF 수용체에 대해 가장 높은 친화성을 보이며 이는 조골세포 내에 기능적인 VEGF 수용체들이 다수 존재함을 알려준다. 또한,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2(TGF-β2)는 모발이 성장기에서 퇴행기로 이행될 때 모낭에서 발현되는 것이 알려지면서 퇴행기를 유도하는 핵심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상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퇴행기로의 이행을 촉진시켜 인간의 모 주기를 짧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약물로는 치료제로는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의 승인을 받은 경피도포용 미녹시딜(Minoxidil)과 경구투여용 Finasteride나 dutasteride 계통의 5α-reductase 저해제 계통의 약물이 가장 대표적이다. 그러나, 상기 제품들은 심혈관계 장애, 피부 자극, 성기능 감소 및 심각한 기형유발 등의 부작용이 수반되어, 그 이용에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 모발성장과 관련하여 천연물질을 재료로 한 치료제 및 치료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천연물로부터 발모효과가 우수한 제제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나, 그 효과가 제한적인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10-1790548B 1020170038462A 1020160071042A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부작용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적은 천연물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발모 촉진용 물질과 달리 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전 미생물인 유산균에서 비롯하여 부작용 등이 문제되지 아니하고,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 실험(in vitro) 및 생체 실험(in vivo) 모두에서 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된 발모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이러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유산균을 단백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단백가수분해효소는 바람직하게는 알카라제(alcalase), 브로멜라인(bromelain) 및 프로타맥스(protamax)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KCCM 40266)를 브로멜라민으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산균을 단백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샴푸, 린스, 토닉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성분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사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특정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배양물이란 특정 미생물을 배양배지 또는 배양액에서 배양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양물 또는 배양물의 농축물은 그 제형이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 예로 상기 제형은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배지란 특정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대상 즉, 배양체가 되는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이 추가로 첨가되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지는 천연배지, 합성배지 또는 선택배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배양액이란 액체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배양액의 농축액이란 상기 배양액을 농축한 것을 말하고, 배양액의 건조물이란 상기 배양액의 물기를 없앤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약학적으로 혹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균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육모는 모발 주기 중 성장기에서 이루어지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유도 및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에 의하여 촉진된다.
상기 모발 주기는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알려져 있는 3개의 주요 단계들로 나눌 수 있다. 성장기에는 세포의 빠른 증식과 함께 피부 안으로 깊이 모낭이 성장하면서 모발 형성이 이루어진다. 다음 현상인 퇴행기는 세포 분열의 중단이 두드러지는 과도기이며, 이 과정에서 모낭은 점차 퇴행하고 육모가 중단된다. 다음 현상인 휴지기에서 퇴행 모낭은 조밀하게 찬 모유두(dermal papilla) 세포를 갖는 배(germ)를 포함한다. 상기 휴지기에서 새로운 성장기 현상의 개시는 상기 배에서 빠른 세포의 증식, 모유두의 팽창 및 기저막 요소의 합성에 의해 유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탈모는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탈모 방지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탈모 현상을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육모 촉진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을 생성하는 발모 기능,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을 촉진하고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문제되지 아니한 안전한 소재를 대상으로 발모 촉진 및 탈모 예방을 위한 조성물 개발을 위해 다양한 소재를 연구하던 중, 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전한 미생물(GRAS 미생물)이자 프로바이오틱 소재(probiotics)로 널리 이용되며, 화장품 소재와 건강기능성식품 개별인정형 원료로 사용되는 유산균을 선택하여, 상기 유산균의 발모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발모 효과를 확인한 결과, 특정 유산균의 경우, 특정 단백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하는 경우, 발모 촉진 효과가 개선되며, 이러한 효과가 시험관 내 실험(in vitro) 및 생체 실험(in vivo) 모두에서 현저함을 확인하여, 이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산균을 단백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가수분해효소는 알카라제(alcalase), 브로멜라인(bromelain) 및 프로타맥스(protamax)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기탁번호 KCCM 32820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는 기탁번호 KCCM 11509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KCCM 11509)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는 기탁번호 KCCM 402662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KCCM 402662)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는 기탁번호 KCCM 40264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CCM 40264)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기탁번호 KCCM 11322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KCCM 40266)를 브로멜라민으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사균 단백가수분해물은 상기 유산균에 알카라제(Alcalase), 브로멜라인(Bromelain), 뉴트라제(Neutrase), 프로타맥스(Protamax), 펩신(Pepsin), 플라보자임(Flavourzyme), 피신(Ficin), 파파인(Papain), 및 프로테아제(Protease)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 배양액에 알카라제(alcalase), 브로멜라인(bromelain) 및 프로타맥스(protamax)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고, 45℃ 내지 60℃ 및 pH 6.5 내지 7.5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가수분해한 후, 반응액을 90℃ 내지 110℃에서 1분 내지 20분 동안 열처리하여 가수분해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불활성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회당 30 ml 내지 100 ml,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혹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식품 혹은 의약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가지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경우, 허용되는 약제학적 혹은 식품학적 허용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액상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고, 또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향미제, 비단백질태 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추출제, 올리고당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어 정제, 트로키제, 로렌지,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를 들 수 있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 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마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캡슐 제형의 경우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고자 하는 주요 증상, 투여시간, 투여 방법, 중증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약 0.0001 mg/kg 내지 약 10 g/kg, 구체적으로는 약 0.01 mg/kg 내지 약 500 mg/kg일 수 있으며, 하루 1회 내지 6회, 예컨데, 하루 1회 내지 4회 투여 혹은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산균을 단백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가수분해효소는 알카라제(alcalase), 브로멜라인(bromelain) 및 프로타맥스(protamax)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기탁번호 KCCM 32820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는 기탁번호 KCCM 11509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KCCM 11509)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는 기탁번호 KCCM 402662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KCCM 402662)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는 기탁번호 KCCM 40264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CCM 40264)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기탁번호 KCCM 11322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KCCM 40266)를 브로멜라민으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샴푸, 린스, 토닉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과 함께 배합할 수 있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제형, 예로서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린서,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 에어졸, 포마드, 분발, 젤과 같이용액, 솔겔, 에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이다.
이하,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GRAS 미생물인 유산균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여, 기존 발모 촉진제 등과 달리 안전성 또는 부작용과 관련된 문제점이 없으며, 특히 특정 유산균 종과 특정 가수분해 효소를 조합하는 경우, 기존 유산균이 갖는 발모 촉진 효과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발모 촉진 효과는 시험관 내 실험(in vitro) 및 생체 실험(in vivo) 모두에서 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발모 촉진 및 탈모 예방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잇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 관련 여러 산업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의 MG-63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로, 도 1a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고, 도 1b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며, 도 1c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고, 도 1d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며, 도 1e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의 MG-63 세포주의 세포 성장율을 확인한 결과로, 도 2a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고, 도 2b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며, 도 2c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고, 도 2d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며, 도 2e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의 MG-63 세포주의 VEGF 양(도 3), TGF-β1(도 4), HGF1(도 5) 및 KGF/FGF-7(도 6)의 분비 정도를 확인한 결과로, 도 3 내지 6 a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고, 도 3 내지 6 b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며, 도 3 내지 6 c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고, 도 3 내지 6 d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며, 도 3 내지 6 e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의 실험 동물에서 육묘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도 7a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고, 도 7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며, 도 7c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고, 도 7d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며, 도 7e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단백분해효소가수분해물을 처리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 유산균 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실험동물의 사육
본 연구에 사용된 Lactobacillus acidophilus(KCCM 32820), Lactobacillus brevis(KCCM 11509), Lactobacillus bulgaricus(KCCM 40266), Lactobacillus sakei(KCCM 40264), Lactobacillus plantarum(KCCM 11322)은 KCCM(KCCM 11322, Korean Federation of Culture Collection, Seoul, Korea)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유산균 배양 배지로는 MRS broth(Difco, Detroit, MI, USA)를 사용하였고 37?에서 48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였다.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 제조는 상기 MRS 배지에서 배양한 5종의 유산균에 대해 각각 protease의 일종인 alcalase(Novozyme Co, Bagsvaerd, Denmark, 50℃), bromelain(Novozyme, 45℃), protamax(Novozyme, 60℃)를 활성 최적 온도와 최적 pH인 pH 7에서 반응시켰으며, 단백질 농도에 대하여 1%가 되도록 첨가하여 2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켰다(La; L.acidophilus, Lb; L.brevis, Lbul; L.bulgaricus, Ls; L.sakei, Lp; L.plantarum, -A; hydrolysates by alcalase, -B; hydrolysates by bromelain, -P; hydrolysates by protamex).
단백질 농도는 Bradford법을 사용하여 표준시료로서 bovine serum albumin (BSA)을 R2=0.9986이 되도록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정량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을 동결건조 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험관 내 실험을 위한 세포 배양 MG-63 세포주를 시용하였다.
상기 본 실험에 사용한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은 Korea Cell Line Bank (KCLB, 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본 연구실에서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DMEM (Gibco, Grand Island, NY, USA) 배지에 10%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와 1% antibacterial-antifungal solution (Gibco, Grand Island, NY, USA)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시 온도는 37℃를 유지하면서 5% CO2를 계속 공급하였다.
동물 시험을 위한 실험 동물은 5주령의 C57BL/6 male mouse를 ㈜샘타코바이오코리아(Samtako Bio Korea, O-San,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온도 23.5℃ 내지 24.5℃, 습도 55% 내지 65% 및 12시간 조명 주기 조건하에서 식이와 식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7일 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1 .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 처리 후 세포 독성 및 세포 성장률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CCK assay 방법을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MG-63 cell을 6×103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후에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을 농도별(0, 62.5, 125, 250, 500, 1,000 ㎍ / mL)로 투여하여 다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CCK reagent (Dongin LS, Seoul, Korea) 시약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안에서 추가 배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각 각의 처리 군을 3회 반복 실험 하였으며, 각 가수분해물에 대한 세포 증식 효과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세포 성장률을 확인하기 위해 MG-63 cell을 1×104 cells/mL로 조정하여 100 mm dish에 platting하였다.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을 처리하여 tryphan blue 용액과 1:1로 반응하여 염색되지 않는 살아 있는 세포를 이틀에 한 번씩 10일간 계수하였다.
상기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을 각각 0, 62.5, 125, 250, 500, 1,000 ㎍/mL의 농도로 MG-63 cell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CCK assay로 분석한 결과는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가수분해를 하지 않은 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125 ㎍/mL의 농도 까지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최고 농도인 100 ㎍/mL의 농도로 결정하여 cell growth 실험을 수행하였다.
추가로,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 처리 후 성장률을 측정하였다.
상기 MG-63 cell의 성장률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의 성장을 10일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유산균 효소 가수분해물을 배지에 각각 100 ㎍/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control)에 비해 La-A(도 2a), Lb-P(도 2b), Lbul-A, B, P (도 2c), Ls의 모든 군(도 2d), Lp의 모든 군(도 2e)에서 배양 10일차에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실험예2 . ELISA assay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GF-β1(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HGF(Hepatocyte growth factor), KGF/FGF-7(keratinocyte growth factor)의 측정은 ELISA kit(R&D system,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제공된 실험방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흡광도는 450 nm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tandard와 배양액 sample 200 ㎕에 assay diluent 50 ㎕를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3번 세척하였다. 그 후, conjugate 200 ㎕를 첨가하여 다시 37℃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3번 세척과정을 거친 후 기질 용액 200 ㎕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stop solution 5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시료 당 3번 반복실험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에 의하여, MG-63 세포주 성장 배지에서 분비된 VEGF의 양을 ELISA로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 및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처리한 모든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VEGF 농도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La-A 처리 군(도 3a)에서 1644 pg/mL로 control군에 비해 156%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Lb-A와 Lb-P 군(도 3b)도 각각 1606 pg/mL, 1610 pg/mL로 나타냈으며, control 군에 비해 140% 높게 나타났다. 또한, Lbul, Lbul-P 군(도 3c)에서도 1683 pg/mL, 1602 pg/mL로 나타났으며 이는 control 군에 비해 145%, 138%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TGF-β1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b-B 군(도 4b)에서 1486 pg/mL 로 control 군에 비해 137%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La-A 군(도 4a)과 Lbul-B 군(도 4c)에서 1485 pg/mL, 1481 pg/mL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control 군에 비해 133%, 139%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HGF1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bul-B 군(도 5c), Lp-P 군(도 5e), Lb-B 군(도 5b) 순으로 727 pg/mL, 724 pg/mL, 723 pg/mL의 농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각 control 군에 비해 194%, 195%, 203% 높은 농도이다.
KGF/FGF-7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P 군과 Lp-B 군(도 6e)에서 250 pg/mL, 240 pg/mL의 농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각 control 군에 비해 278%, 267% 높은 농도이다.
실험예3 . 동물실험
상기 사육된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모발의 순환기 중 휴지기를 적용하기 위해서 전기면도기를 사용하여 등의 털을 일차적으로 제거한 후 제모제(니크린, 일동제약)를 사용하여 남은 털을 제거하였다. 제거 중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관찰결과 염증 소견을 나타내지도 않았다. 시료 처리는 털이 제거된 등에 분류된 군별로 각각의 추출물을 100 ㎕씩 1일 2회(오전 10시와 오후 6시), 14일간 도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서 증류수, 양성대조군으로서 5% 미녹시딜을 사용하였다.
실험 시작 후 0, 7, 10, 14일에 털이 자라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졸레틸(Virbac, Paris, France)과 럼푼(Bayelkorea Co. Seoul, Korea)을 9:1로 섞은 후 몸무게에 따라 복강주사로 마취(65 mg/kg)한 후 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각 군의 모발성장 효과는 각각의 동물을 육안적으로 관찰하여 발모 정도에 따라 0~9%(0점), 10~19%(1점), 20~29%(2점), 30~39%(3점), 40~49%(4점), 50~59%(5점), 60~69%(6점), 70~79%(7점), 80~89%(8점), 90~100%(9점)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제모한 후 만들어진 시료를 매일 도포하면서 털이 자라는 양상을 육안적으로 관찰하고,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도포 1일에는 모든 군의 등 쪽 피부색이 선홍빛을 띄고 있었으며, 시료 도포 9 내지 10일부터 조금씩 털이 나기 시작하였다. 11일 후에는 제모되었던 전체 피부가 발모가 시작되면서 피부색이 흑색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료 도포 12일째에는 군 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군에서 발모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털이 자란 상태를 육안적으로 판단하여 비교한 결과 La-B군(도 7a), Lb-B군(도 7b), Ls-B군(도 7d), Lp-P군(도 7e)이 대조군보다 높은 발모상태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LP-P군이 가장 높은 발모상태를 보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유산균을 단백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가수분해효소는 알카라제(alcalase), 브로멜라인(bromelain) 및 프로타맥스(protamax)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KCCM 40266)를 브로멜라민으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7. 유산균을 단백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를 프로타맥스로 가수분해한 유산균 가수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샴푸, 린스, 토닉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761A 2018-11-27 2018-11-27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063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61A KR20200063408A (ko) 2018-11-27 2018-11-27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61A KR20200063408A (ko) 2018-11-27 2018-11-27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08A true KR20200063408A (ko) 2020-06-05

Family

ID=7108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761A KR20200063408A (ko) 2018-11-27 2018-11-27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4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4351A (zh) * 2022-02-21 2022-04-29 美慕(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微生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042A (ko) 2014-12-11 2016-06-21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방지용 유산균을 배양액 형태로 함유한 헤어 케어 미스트
KR20170038462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유산균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90548B1 (ko) 2017-01-19 2017-10-27 (주)코엔바이오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042A (ko) 2014-12-11 2016-06-21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방지용 유산균을 배양액 형태로 함유한 헤어 케어 미스트
KR20170038462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유산균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90548B1 (ko) 2017-01-19 2017-10-27 (주)코엔바이오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4351A (zh) * 2022-02-21 2022-04-29 美慕(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微生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用途
CN114404351B (zh) * 2022-02-21 2022-06-28 美慕(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微生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5083C (en) Lactobacillus curvatus wikim55 having activity of promoting hair growth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CN110840812A (zh) 胎体来源的外泌体在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CN113694115A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Woo et al. The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hydrolysates promoting VEGF production on vascular growth and hair growth of C57BL/6 mice
JP2020090544A (ja) 化粧料および飲食品組成物
KR20130088997A (ko) 생캐비어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육모, 발모, 탈모방지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1097700A1 (en) Hair growth stimulants
KR20160074116A (ko) 산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5655B1 (ko) 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3408A (ko)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292944B1 (ko)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65498A (ko)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78778B1 (ko) 피부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7461034B2 (ja) 間葉系幹細胞増殖剤
KR102021557B1 (ko) 신규한 유산균,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147604B1 (ko) 소듐 서팩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315638B1 (ko) 벼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9019A (ko) 발효된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0386A (ko)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상처 치유, 미용 성형, 탈모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070070303A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KR102532713B1 (ko) 신규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에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42956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큐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53283B2 (ja) 化粧料および飲食品組成物
KR102173731B1 (ko)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상처 치유, 미용 성형, 탈모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