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498A -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498A
KR20190065498A KR1020170164204A KR20170164204A KR20190065498A KR 20190065498 A KR20190065498 A KR 20190065498A KR 1020170164204 A KR1020170164204 A KR 1020170164204A KR 20170164204 A KR20170164204 A KR 20170164204A KR 20190065498 A KR20190065498 A KR 20190065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lactobacillus
composition
hair growth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안드레
우영민
하종명
최재석
김옥주
조은솔
조민영
안미영
조현대
서재용
남세희
최순호
Original Assignee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498A/ko
Publication of KR2019006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로, 기존 탈모제가 갖는 부작용 등의 안전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안전선이 보장되는 GRAS 미생물인 유산균을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GRAS 미생물 유래의 것으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하므로, 관련 산업분야에서 산업적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Description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DEPILATION OR IMPROVING HAIR GROWTH COMPRISING A HYDROLYSATE OF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로 가면서 탈모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모발 관리 대상자 60%가 20 내지 30대로 탈모의 연령대는 점점 낮아지고 있고, 탈모증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의 숫자는 거의 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 이에 따른 사회 경제적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탈모가 심할수록 심리적으로 우울이나 불안 증상을 호소하며, 스트레스 지각도가 높아지고, 인간관계나 이성 관계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겪으며, 가정 내 적응이 원만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보건학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
탈모의 원인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에 대한 가능성 있는 원인으로 유전적 요인, 호르몬적 이상 그리고 면역학적 이상에 의한 원인 등에 대한 보고가 있다.
현재 탈모 치료제로는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의 승인을 받은 경피도포용 미녹시딜(Minoxidil)과 경구투여용 Finasteride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수반되는 부작용인 심혈관계 장애, 피부 자극, 성기능 감소 및 심각한 기형유발 등의 이유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한편, 선행 연구들에서 생약제제들을 이용한 탈모증 개선 효과에 대해 보고되어 왔으나, 그 결과는 미비한 수준이며, 최근에 식물추출물질과 하수오 등 한방재료를 열수 추출하여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이를 이용한 발모 촉진 연구와 특허가 일부 보고되고 있으나, 유산균 자체를 활용한 경우는 전무한 실정이다.
10-1273027B 10-1790548B 10-2006-0092676A 10-2006-0039670A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GRAS 미생물로 안전성이 확보된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원료를 이용한 탈모 방비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탁번호 KCCM 11322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 균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가수분해물은 유산균 배양액에 브로멜라인(Bromelain), 프로타맥스(Protamax), 알카라제(Alcalase), 뉴트라제(Neutrase), 펩신(Pepsin), 플라보자임(Flavourzyme), 피신(Ficin), 파파인(Papain), 및 프로테아제(Protease)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바람직하게는 브로멜라인, 프로타맥스 및 알카라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브로멜라인을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것일 수 있다.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의 측면에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액에 브로멜라인(Bromelain)을 첨가하고, 40℃ 내지 50℃의 온도 조건 및 pH 6 내지 pH 8의 pH 조건에서 가수분해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효과적이어서, 기존 탈모 관련 질환에 사용할 수 있으며, GRAS 미생물인 유산균을 활용하는 것이므로, 경피 도포뿐만 아니라 구강 투여도 가능한 장점이 있고,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관련 산업분야에서 산업적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인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유산균 가수분해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그래프로, 도 1a는 MG-63 세포를 이용한 것이고, 도 1b는 hDPC 세포를 이용한 것이며, LP는 유산균 자체를 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LP-A는 알카라제(Alcalase)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B는 브로멜라인(Bromelain)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P는 프로타맥스(Protamax)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PC 세포의 세포 생육 촉진을 확인한 것으로, con은 대조군을 나타내며, LP는 유산균 자체를 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LP-A는 알카라제(Alcalase)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B는 브로멜라인(Bromelain)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P는 프로타맥스(Protamax)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발모 촉진(hair regrowth)을 확인한 것으로, P-con은 양성 대조군(5% 미녹시딜)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N-con은 음성 대조군(증류수 처리)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는 유산균 자체를 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LP-A는 알카라제(Alcalase)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B는 브로멜라인(Bromelain)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P는 프로타맥스(Protamax)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발모 촉진(hair regrowth)을 확인한 사진(도 3)을 기준으로 발모 영역(회색(gray) 또는 검은색(black)으로 덮힌 영역)의 면적을 나타낸 그래프로, P-con은 양성 대조군(5% 미녹시딜)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N-con은 음성 대조군(증류수 처리)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는 유산균 자체를 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LP-A는 알카라제(Alcalase)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B는 브로멜라인(Bromelain)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P는 프로타맥스(Protamax)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발모 촉진을 확인하기 위해, 발모 영역의 피부의 안쪽면(reverse side)을 촬영한 사진으로, P-con은 양성 대조군(5% 미녹시딜)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N-con은 음성 대조군(증류수 처리)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는 유산균 자체를 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LP-A는 알카라제(Alcalase)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B는 브로멜라인(Bromelain)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내며, LP-P는 프로타맥스(Protamax)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가수분해한 것을 처리한 것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젖산균이라고도 하며,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락트산을 생성하는 세균을 의미한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미생물, 락토코커스 속(Lactococcus sp.) 미생물, 페디코커스 속(Pediococcus sp.) 미생물,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미생물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미생물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탁번호 KCCM 11322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 균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가수분해물은 유산균 배양액에 브로멜라인(Bromelain), 프로타맥스(Protamax), 알카라제(Alcalase), 뉴트라제(Neutrase), 펩신(Pepsin), 플라보자임(Flavourzyme), 피신(Ficin), 파파인(Papain), 및 프로테아제(Protease)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바람직하게는 브로멜라인, 프로타맥스 및 알카라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브로멜라인을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것일 수 있다.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의 측면에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액에 브로멜라인(Bromelain)을 첨가하고, 40℃ 내지 50℃의 온도 조건 및 pH 6 내지 pH 8의 pH 조건에서 가수분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5 x 104 내지 5 x 1010 CFU/ml의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1 x 106 내지 1 x 109 CFU/ml의 유산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다른 화학적으로 합성된 성분 등을 대체하여 발모촉진 또는 탈모 예방을 위해 사용되던 식품 또는 의료품에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혹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식품 혹은 의약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혹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균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가지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액상 경구 용액 또는 액상 경피 도포액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다른 화학적으로 합성된 성분 등을 대체하여 발모촉진 또는 탈모 예방을 위해 사용되던 화장품에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발모촉진 또는 탈모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양한 담체의 사용에 의해 여러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녹각 발효물, 구체적으로 녹각 단백가수분해효소 가수분해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는 최소한 3회 이상 반복하여 평균치로 표시하였고, 각 군과의 비교는 ANOVA test를 이용하여 각각 p<0.05인 경우를 유의성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 유산균 가수분해물의 발모 촉진 효과 확인
신생혈관 생성은 혈관 발육과 태아에서의 분화, 창상 치유, 기관 재생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한 성장인자들은 혈관 재생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성장인자들로 tumor necrosis factor(TN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TGF-β),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bFGF) 등이 있으나, 혈관 재생과 관련한 요소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체 중의 하나는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이다.
상기 VEGF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endothelial cell 증식을 유도하며, 생체 내에서 모세혈관 형성을 자극하는 가장 중요한 혈관형성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존 여러 부작용이나 안전성의 문제가 되었던 화합 합성 소재들을 대체하기 위하여 GRAS 소재 또는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었던 소재로부터 두피에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 시켜 모근에 영양분과 노폐물 교환을 원활하게 만들어 모발이 성장을 돕는 두피 도포용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유산균인 L. plantarum를 단백 가수분해효소(proteas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킨 유산균가수분해물이 MG-63 조골세포에 처리 후 VEGF 생성효과가 다른 소재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C57BL/6 male mouse를 이용한 발모 실험을 통하여 모발 성장률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대한 모든 결과는 평균치와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연구 결과 얻어진 자료를 SPSS 20(SPSS Inc,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one-way ANOVA 분석 후 P < 0.05 수준에서 Duncan? multiple test에 의해 검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사용 균주인 Lactobacillus plantarum은 KCCM(KCCM 11322, Korean Federation of Culture Collection, 대한민국)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또한, 유산균 배양 배지로는 MRS broth(Difco, USA)를 사용하였고 37?에서 48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였다.
유산균 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제조는 L. plantarum 배양액에 각각 단백가수분해효소인 alcalase(Novozyme Co, 덴마크, 50℃), bromelain(Novozyme, 45℃) 및 protamax(Novozyme, 60℃)를 단백질 농도에 대하여 1%가 되도록 첨가하여 활성 최적 온도와 pH 7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켰다.를 조절하여 반응시켰으며, 2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켰다(LP-A; L.plantarum hydrolysates by alcalase, LP-B; L.plantarum hydrolysates by bromelain, LP-P; L. plantarum hydrolysates by protamex).
단백질 농도는 Bradford법을 사용하여 표준시료로서 bovine serum albumin (BSA)을 R2=0.9951이 되도록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정량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L. plantarum 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에 사용된 세포 배양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MG-63 osteoblast-like cell 은 Korea Cell Line Bank (KCLB, Korea)에서 분양 받았고, human dermal papilla cell(hDPC)은 Cell Engineering for Origin (CEFO Co., Korea)에서 분양받았으며, 이를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배양배지는 DMEM (Gibco, Grand Island, NY, USA) 배지에 10%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와 1% antibacterial-antifungal solution (Gibco, Grand Island, NY, USA)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시 온도는 37?를 유지하면서 5% CO2를 계속 공급하였다.
우선, Lactobacillus plantarum 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처리 후 세포 독성 및 세포 성장률을 확인하였다.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CCK assay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선, 96-well plate에 MG-63 cell 및 hDPC를 6 x 103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후에 상기 제조된 Lactobacillus plantarum 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농도별(0, 31.25, 62.5, 125, 250, 500 ㎍/mL)로 투여하여 다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CCK reagent(Dongin LS, Seoul, Korea) 시약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 안에서 추가 배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각 각의 처리 군을 3회 반복 실험 하였으며, 각 가수분해물에 대한 세포 증식 효과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G-63 cell(도 1a)에서 LP-P 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250 ㎍/mL의 농도 까지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hDPC(도 1b)에서도 모든 군에서 250 ㎍/mL의 농도 까지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최고 농도인 200 ㎍/mL의 농도로 결정하여 향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세포 성장률을 확인하기 위해 MG-63 cell 세포수 1x106 cells/mL로 조정하여 100 mm dish에 platting하고, hDPC는 세포수 1x105 cells/mL로 조정하여 100 mm dish에 platting하였다. 상기 제조된 Lactobacillus plantarum 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처리하여 tryphan blue 용액과 1:1로 반응하여 염색되지 않는 살아 있는 세포를 이틀에 한 번씩 10일간 계수하였으며, 도립현미경을 이용하여 2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상기 Lactobacillus plantarum 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처리 후 성장률 측정을 위해, 세포의 성장을 10일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Lactobacillus plantarum 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각각 200 ㎍/mL의 농도로 처리한 겨로가, MG-63 cell의 경우 성장 8일 까지는 꾸준한 성장을 보이다가 8일 이후부터 세포의 성장이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특히 LP-P군에서 성장 8일차에 급성장을 나타내어, LP-P의 투여는 세포의 급성장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발모 촉진 효과를 세포 단위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5주령의 C57BL/6 male mouse를 ㈜샘타코바이오코리아(Samtako Bio Korea,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으며, 온도 23.5℃ 내지 24.5℃ 및 습도 55% 내지 65%의 조건과 12시간 조명 주기 조건하에서 식이와 식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7일 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료의 도포는 모발의 순환기중 휴지기를 적용하기 위해서 전기면도기를 사용하여 등의 털을 일차적으로 제거한 후 제모제(니크린, 일동제약,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남은 털을 제거하였다. 제거 중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관찰결과 염증소견을 나타내지도 않았다. 시료 처리는 털이 제거된 등에 분류된 군별로 각각의 추출물을 100 ㎕씩 1일 2회(오전 10시와 오후 6시), 14일간 도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서 증류수, 양성대조군으로서 5% 미녹시딜을 사용하였다.
실험 시작 후 0, 4, 7, 10, 14일에 털이 자라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졸레틸(Virbac, Paris, France)과 럼푼(Bayelkorea Co. Seoul, Korea)을 9:1로 섞은 후 몸무게에 따라 복강주사로 마취(10/10g)한 후 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각 군의 모발성장 효과는 각각의 동물을 육안적으로 관찰하여 발모 정도에 따라 0 내지 9%(0점), 10 내지 19%(1점), 20 내지 29%(2점), 30 내지 39%(3점), 40 내지 49%(4점), 50 내지 59%(5점), 60 내지 69%(6점), 70 내지 79%(7점), 80 내지 89%(8점), 90 내지 100%(9점)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동물실험 14일째 mouse를 경추 도살 한 후 등 조직을 적출 하였으며, 적출된 피부의 안쪽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제모한 후 만들어진 시료를 매일 도포하면서 털이 자라는 양상을 육안적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도포 1일에는 모든 군의 등 쪽 피부색이 선홍빛을 띄고 있었으며, 시료 도포 7일부터 조금씩 털이 나기 시작하였다. 9일 후에는 제모되었던 전체 피부가 발모가 시작되면서 피부색이 흑색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료 도포 12일째에는 군 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군에서 발모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털이 자란 상태를 육안적으로 판단하여 점수화하여 비교한 결과 LP-P군, LP-B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발모상태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LP-P군이 가장 높은 발모상태를 보였다.
또한, 등 안쪽 조직에서 확인한 발모 효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이 성장기로 접어들 때 피부는 회색 또는 검정색으로 바뀐다는 것이 검증되어 있는데, 이를 근거로 본 실험에서 실험군인 LP-P군과 P-con군의 등 안쪽 피부색이 완전한 검정색인 것과, 혈관이 확장된 것을 관찰하였다.
육안적인 관찰(외형)에서 모가 거의 다 자랐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퇴행기로 접어듬을 확인할 수 있었다. N-con, LP, LP-A군은 부분적으로 연한 회색을 띄고 있지만, 육안적인 관찰에서 털이 자라지 않은 부분은 등 안쪽 조직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성장기로 접어들지 않았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기탁번호 KCCM 11322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가수분해물은 유산균 배양액에 브로멜라인(Bromelain), 프로타맥스(Protamax), 알카라제(Alcalase), 뉴트라제(Neutrase), 펩신(Pepsin), 플라보자임(Flavourzyme), 피신(Ficin), 파파인(Papain), 및 프로테아제(Protease)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는 브로멜라인(Bromelain), 프로타맥스(Protamax) 및 알카라제(Alcalase) 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는 브로멜라인(Bromel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액에 브로멜라인(Bromelain)을 첨가하고, 40℃ 내지 50℃의 온도 조건 및 pH 6 내지 pH 8의 pH 조건에서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170164204A 2017-12-01 2017-12-01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065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204A KR20190065498A (ko) 2017-12-01 2017-12-01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204A KR20190065498A (ko) 2017-12-01 2017-12-01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498A true KR20190065498A (ko) 2019-06-12

Family

ID=6684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204A KR20190065498A (ko) 2017-12-01 2017-12-01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4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144A (ko) 2020-08-13 2022-02-22 한국베름 주식회사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또는 탈모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501165A (zh) * 2022-09-22 2022-12-23 深圳市兰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头皮护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670A (ko) 2004-11-03 2006-05-09 (주)넥스젠 Fas-1 도메인을 함유하는 융합 단백질을 이용한상피세포재생인자의 생산 방법
KR20060092676A (ko) 2005-02-18 2006-08-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드순차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1273027B1 (ko) 2005-08-2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KR101790548B1 (ko) 2017-01-19 2017-10-27 (주)코엔바이오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670A (ko) 2004-11-03 2006-05-09 (주)넥스젠 Fas-1 도메인을 함유하는 융합 단백질을 이용한상피세포재생인자의 생산 방법
KR20060092676A (ko) 2005-02-18 2006-08-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드순차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1273027B1 (ko) 2005-08-2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KR101790548B1 (ko) 2017-01-19 2017-10-27 (주)코엔바이오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144A (ko) 2020-08-13 2022-02-22 한국베름 주식회사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또는 탈모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501165A (zh) * 2022-09-22 2022-12-23 深圳市兰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头皮护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37807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それを含む化粧品、食品および医薬品ならびに皮膚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用外用剤
Woo et al. The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hydrolysates promoting VEGF production on vascular growth and hair growth of C57BL/6 mice
TW201105362A (en) Collagen production enhancer, and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and cosmetic each comprising same
KR20190068911A (ko) 양모 및 발모 촉진과 탈모방지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N115427014A (zh) 牛奶外泌体的新用途
CN109069588A (zh) 包含gdf11的组合物和其用途
EP1097700A1 (en) Hair growth stimulants
KR20190065498A (ko)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3802721B2 (ja) 生体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
JP6871553B2 (ja) 化粧料組成物
JP6153469B2 (ja) ダイズタンパク質の加水分解物を含有する組成物
JPH07274914A (ja) 鳩麦エキス抽出方法及び該抽出方法により得られた鳩麦エキス並びに該鳩麦エキスを含有有効成分とする皮膚改善用品
CN103269707A (zh) 皮肤胶原产生促进剂
JP2004331566A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20200063408A (ko) 유산균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272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20190064306A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1843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315638B1 (ko) 벼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0386A (ko)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상처 치유, 미용 성형, 탈모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105234A (ko) 고사리 생물전환물질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 개선 코스메슈티컬 제품 개발
KR102532713B1 (ko) 신규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에 균주 및 이의 용도
JP2004331564A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2308726B1 (ko)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상처 치유, 탈모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590413B1 (ko)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