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058B1 -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058B1
KR102082058B1 KR1020180125839A KR20180125839A KR102082058B1 KR 102082058 B1 KR102082058 B1 KR 102082058B1 KR 1020180125839 A KR1020180125839 A KR 1020180125839A KR 20180125839 A KR20180125839 A KR 20180125839A KR 102082058 B1 KR102082058 B1 KR 10208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information
server
user terminal
electronic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홍
Original Assignee
이승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홍 filed Critical 이승홍
Priority to KR102018012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전자자물쇠와,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전자자물쇠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짐 보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에 기초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자물쇠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전자자물쇠에서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자자물쇠의 식별번호, 위치정보 및 사용 여부에 대한 자물쇠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 요청에 대응하는 자물쇠 정보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짐 보관을 원하는 사람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하면서도 사용자의 예상 동선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상업 매장 내 유휴 공간을 선택하여 짐 보관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짐 보관을 위한 불필요한 이동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BAGGAGE STORAGE SERVICE OF UTILIZING IDLE SPACE}
본 발명은 물품 보관함이 주로 구비된 공공장소까지의 거리가 먼 사용자에게 인접 위치에 있는 상업 매장 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공공장소에서는 사용자의 소지품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물품 보관 장치(락커, locker)를 흔히 볼 수 있다. 물품 보관 장치는 주로 금속재를 사용해 제작되며 자물쇠가 부착된 서랍이 여러 단에 걸쳐 나란히 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물품 보관 장치는 회사, 학교, 공동주택, 지하철, 대형 할인매장 등의 공공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회사, 학교, 공동주택의 경우, 짧게는 수 개월에서 길게는 몇 년까지 특정 라커를 특정 사용자에게 유상 또는 무상으로 대여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지하철, 대형 할인매장 등에 사용되는 물품 보관 장치의 경우에는 불특정 다수에 의해 사용되고 그 사용 기간이 길어도 며칠을 넘기지 않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처럼 불특정 다수에 의해 단기간 사용되는 물품 보관 장치의 경우는 주로 코인 등을 활용하여 해당 락커에 대한 임시 사용 권한이 주어지는데, 사용자가 보관 장치 전면에 설치된 동전투입구에 동전을 투입하면 보관함 도어에 설치된 자물쇠가 개방되어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보관 장치에 넣어 자물쇠를 잠근 후 열쇠를 빼내고, 해당 열쇠는 사용자가 보관하였다가 물품을 찾을 때 이를 이용해 보관 장치의 자물쇠를 여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물품 보관 장치가 특정한 몇몇 장소에만 한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짐을 보관해야 하는 경우에는 물품 보관 장치가 있는 특정 장소에 가장 먼저 들렀다가 볼일이 다 끝나면 짐을 찾으러 다시 해당 장소를 방문해야 하는 등 불필요한 동선에 따라 움직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651899 B1 KR 10-075495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 보관함이 주로 구비된 공공장소까지의 거리가 먼 사용자에게 인접 위치에 있는 상업 매장 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전자자물쇠와,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전자자물쇠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짐 보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에 기초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자물쇠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전자자물쇠에서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자자물쇠의 식별번호, 위치정보 및 사용 여부에 대한 자물쇠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 요청에 대응하는 자물쇠 정보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짐을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 공간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DB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물쇠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자물쇠 정보 중에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사용 가능한 상태의 상기 자물쇠 정보만을 추출하여 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물쇠 정보를 선택하면 이에 대한 잠금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자물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자물쇠의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후 이에 대한 사용 요청과 함께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갱신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전자자물쇠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잠금 해제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짐 보관을 원하는 사람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하면서도 사용자의 예상 동선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상업 매장 내 유휴 공간을 선택하여 짐 보관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짐 보관을 위한 불필요한 이동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 내 유휴 공간이 있는 점주와 짐 보관을 원하는 사람을 중개하여 위탁 보관 절차를 대행함으로써, 점주는 위탁 보관에 대한 이용료와 같은 경제적인 이익을 얻고, 짐 보관을 요청하는 사람은 가까운 거리에서 짐을 보관하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어 두 사람 간의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전자자물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전자자물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상업 매장 내 소정의 유휴 공간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전자자물쇠(300)와, 소정 크기의 짐 보관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주변에 위치한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자물쇠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서버(200)는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전자자물쇠(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 가능한 상태로,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짐 보관을 요청받으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주변에 위치한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자물쇠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정보 관리부(210), 자물쇠 정보 DB(212), 검색부(220),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230) 및 제1 통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물쇠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짐 보관을 원하는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짐 보관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자물쇠 정보 DB(212)에 기저장된 복수의 자물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선별한다.
이때, 자물쇠 정보 DB(212)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자자물쇠 각각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전자자물쇠에 대응하는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 및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기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자물쇠 정보 DB(212)에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식별번호 자물쇠 명칭 크기 정보 위치 정보 사용 상태 수신 여부
0001 A 소형 ㄱ대로11번길 수신
0013 B 소형 ㄱ대로12번길 × 수신
0021 C 소형 ㄴ대로6번길 - 미수신
0035 D 중형 ㄱ대로11번길 × 수신
예컨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식별번호가 '0001'인 전자자물쇠 'A'의 경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는 '소형'이고 현재 위치 정보는 'ㄱ대로11번길'이며, 식별번호가 '0013'인 전자자물쇠 'B'의 경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는 '소형'이고 현재 위치 정보는 'ㄱ대로12번길'이며, 식별번호가 '0021'인 전자자물쇠 'C'의 경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는 '소형'이고 현재 위치 정보가 'ㄴ대로6번길'이며, 식별번호가 '0035'인 전자자물쇠 'D'의 경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는 '중형'이고 현재 위치 정보는 'ㄱ대로11번길'이다.
즉, 상기 표 1에 의하면,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가 '소형'인 전자자물쇠는 3개('A','B','C')이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가 '중형'인 전자자물쇠는 1개('D')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검색부(220)는 자물쇠 정보 DB(21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짐 보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크기 정보에 대응하는 자물쇠 정보를 조회한다.
제1 통신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짐 보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전자자물쇠(300)로 상기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전자자물쇠(300)에서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상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제1 통신부(240)에서 이를 수신하게 된다.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230)는 검색부(220)의 조회 결과로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 중에서 사용 가능한 자물쇠 정보만을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하고, 제1 통신부(240)는 생성된 자물쇠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자물쇠 정보 DB(212)가 상기 표 1과 같이 기저장된 상태라고 할 때, 만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짐 보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크기 정보가 '소형'이라고 한다면, 검색부(220)의 조회 결과로서 전자자물쇠 'A','B','C'가 검색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브로드캐스팅한 결과, 전자자물쇠 'A','B','D'로부터 각각 사용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데, 수신된 사용 상태 정보에 의하면, 전자자물쇠 'A'는 현재 누군가가 사용 중인 상태(○)이고, 전자자물쇠 'B','D'는 현재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230)는 전술한 검색부(220)의 검색결과와 상기 수신된 사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크기 정보가 '소형'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인접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전자자물쇠 'B'에 대한 위치 정보인 'ㄱ대로12번길'을 포함하는 제1 자물쇠 정보만을 포함하는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200)와 연결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기설치된 상태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위치 주변에 분포된 유휴 공간에 대응하는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짐 보관을 요청함과 더불어 이 중 희망하는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사용 예약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공간 정보 입력부(110),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부(120), 표시부(130), 선택부(140) 및 결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 공간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소지한 짐을 보관하고자 하는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부(120)는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수신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표시부(13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수신하면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30)는 상기 자물쇠 리스트에 기초한 자물쇠 선택 UI를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자물쇠 리스트에 포함된 전자자물쇠(300) 각각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콘 형태로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되, 적어도 하나의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UI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선택부(140)는 표시부(130)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화면의 소정 영역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가 감지된 영역상에 표시된 전자자물쇠(300)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터치 입력 수단의 일종일 수 있다.
결제부(150)는 선택부(140)에 의해 선택된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이때, 결제부(150)는 상기 선택된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결제의 승인 여부를 입력받아 결제 승인 시 이에 기초한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을 기등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제 수단은 금융회사(은행, 증권사 등)의 출금계좌나 신용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부(150)는 기등록된 금융회사의 출금계좌로부터 계좌 이체 방식이나, 기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식을 이용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자물쇠(300)는 상업 매장 내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짐 보관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잠금 해제 정보에 따라 전자자물쇠(300)의 해제 여부가 결정된다.
이때, 전자자물쇠(300)는 해당 매장의 입구 측에 비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해당 매장을 짐 보관 목적으로 방문하여 짐을 보관하거나 맡긴 짐을 찾아가려는 이용자의 출입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휴 공간은 해당 매장을 방문한 손님용으로 비치된 물품보관함이거나 또는 매장 내 상품을 보관하는 창고 공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자물쇠(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정보 획득부(310), 자물쇠 위치 정보 획득부(320), 잠금 제어부(330), 비밀번호 입력부(340) 및 제2 통신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자물쇠(300)가 현재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아니면 현재 누군가가 사용 중이어서 사용 불가능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태 정보 획득부(310)에 의하면, 전자자물쇠 'A'는 현재 누군가가 사용 중이어서 사용 불가능한 상태이고, 전자자물쇠 'B','D'는 현재 사용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자물쇠 위치 정보 획득부(320)는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수신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잠금 제어부(33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잠금 해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해제 여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잠금 제어부(330)는 서버(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 시간대 정보와 잠금 해제 정보(비밀번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 시간대 정보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비밀번호로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밀번호 입력부(340)는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전자단말기(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밀번호는 전자자물쇠(300)와의 통신을 수행 가능한 별도의 외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전자자물쇠(300)가 구비된 상업 매장의 일측에 마련된 카운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서버(200)와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설치된 상태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매장에 짐 보관을 목적으로 방문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가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잠금 해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2 통신부(350)는 서버(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정보 획득부(310) 및 위치 정보 획득부(320)에 의해 각각 획득되는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대한 자물쇠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짐을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 공간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는다(S120).
예컨대, 상기 S120 단계에 입력되는 상기 크기 정보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형, 중형, 대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S140),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한다(①).
이때, 상기 S140 단계는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에서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DB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물쇠 정보를 검색한다(S220).
다음으로, 서버(200)에서 상기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자물쇠(300)로 브로드캐스팅한다(②).
다음으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전자자물쇠(300)에서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S240,S260), 상기 브로드캐스팅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자물쇠(300)의 식별번호, 위치정보 및 사용 여부에 대한 자물쇠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③).
다음으로, 서버(200)에서 전술한 ③단계에 수신된 자물쇠 정보 중에서 상기 S220단계에 의한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사용 가능한 상태의 상기 자물쇠 정보만을 추출하여 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 후(S280),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④).
전술한 상기 S220 단계 내지 상기 S280 단계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예컨대, 자물쇠 정보 DB(212)가 상기 표 1과 같이 기저장된 상태라고 할 때, 만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짐 보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크기 정보가 '소형'이라고 한다면, 상기 S220 단계에 따른 검색 결과로서 전자자물쇠 'A','B','C'에 대응하는 자물쇠 정보가 검색되게 된다.
이때, 전술한 ②단계에 의해 브로드캐스팅한 결과, 전자자물쇠 'A','B','D'로부터 각각 사용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데, 수신된 사용 상태 정보에 의하면, 전자자물쇠 'A'는 현재 누군가가 사용 중인 상태(○)이고, 전자자물쇠 'B','D'는 현재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280 단계에서는 크기 정보가 '소형'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인접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전자자물쇠 'B'에 대한 위치 정보인 'ㄱ대로12번길'을 포함하는 제1 자물쇠 정보만을 포함하는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자물쇠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된다(④).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물쇠 정보를 선택하면(S320), 이에 대한 잠금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다(S340).
여기서, 상기 S340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술된 ④단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상기 자물쇠 리스트가 표시되고,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되면, 선택된 자물쇠 정보에 대한 잠금 해제 정보(비밀번호 설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게 된다.
예컨대, 상기 자물쇠 리스트에 기초한 자물쇠 선택 UI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자물쇠 리스트에 포함된 전자자물쇠(300) 각각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콘 형태로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되, 적어도 하나의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UI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S320단계에 선택된 자물쇠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후(S360), 이에 대한 사용 예약 요청과 함께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서버(200) 및 해당 전자자물쇠(300)로 전송한다(⑤).
여기서, 상기 S360단계에서는, 상기 S320단계에 선택된 자물쇠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결제의 승인 여부를 입력받아 결제 승인 시 이에 기초한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을 기등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제 수단은 금융회사(은행, 증권사 등)의 출금계좌나 신용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부(150)는 기등록된 금융회사의 출금계좌로부터 계좌 이체 방식이나, 기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식을 이용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⑤단계에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버(200) 및 전자자물쇠(300)로 전송한 상기 사용 예약 요청에 대한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해당 전자자물쇠(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예약 시간대 정보와 잠금 해제 정보(비밀번호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사용 예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자물쇠 정보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갱신한다(S420).
예컨대, 소정의 전자자물쇠(3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만일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 시간대 정보가 '14:00~15:00'라면,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상태 정보는 예약 시간대(14:00~15:00)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는 현재 누군가가 사용 중인 상태(○)인 것으로 갱신되게 된다.
다음으로, 전자자물쇠(300)에서 서버(200)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잠금 해제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로 설정한다(S440).
여기서, 상기 S440 단계에서는 서버(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 시간대 정보와 잠금 해제 정보(비밀번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 시간대 정보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비밀번호로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전자자물쇠(3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 시간대 정보가 '14:00~15:00'이고 잠금 해제 정보(비밀번호 설정 정보)가 '112233'라면, '14:00~15:00'의 시간동안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비밀번호는 '112233'으로 설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짐 보관을 원하는 사람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하면서도 사용자의 예상 동선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상업 매장 내 유휴 공간을 선택하여 짐 보관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짐 보관을 위한 불필요한 이동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 내 유휴 공간이 있는 점주와 짐 보관을 원하는 사람을 중개하여 위탁 보관 절차를 대행함으로써, 점주는 위탁 보관에 대한 이용료와 같은 경제적인 이익을 얻고, 짐 보관을 요청하는 사람은 가까운 거리에서 짐을 보관하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어 두 사람 간의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보관 공간 정보 입력부
120: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부
130: 표시부
140: 선택부
150: 결제부
200: 서버
210: 자물쇠 정보 관리부
212: 자물쇠 정보 DB
220: 검색부
230: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
240: 제1 통신부
300: 전자자물쇠
310: 상태 정보 획득부
320: 자물쇠 위치 정보 획득부
330: 잠금 제어부
340: 비밀번호 입력부
350: 제2 통신부

Claims (5)

  1.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전자자물쇠와,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전자자물쇠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짐 보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에 기초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자물쇠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전자자물쇠에서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자자물쇠의 식별번호, 위치정보 및 사용 여부에 대한 자물쇠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 요청에 대응하는 자물쇠 정보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짐을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 공간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DB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물쇠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물쇠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기 자물쇠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자물쇠에 대한 잠금 해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상기 전자자물쇠의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후 상기 전자자물쇠에 대한 사용 요청과 함께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자물쇠는,
    상업 매장 내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짐 보관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잠금 해제 정보에 따라 해제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자물쇠 정보 DB는,
    상기 전자자물쇠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전자자물쇠에 대응하는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 및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기저장된 상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자물쇠 정보 중에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사용 가능한 상태의 상기 자물쇠 정보만을 추출하여 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전자자물쇠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잠금 해제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25839A 2018-10-22 2018-10-22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839A KR102082058B1 (ko) 2018-10-22 2018-10-22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839A KR102082058B1 (ko) 2018-10-22 2018-10-22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058B1 true KR102082058B1 (ko) 2020-02-26

Family

ID=6963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839A KR102082058B1 (ko) 2018-10-22 2018-10-22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0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50B1 (ko) 2006-06-30 2007-09-04 에스엠공업시스템주식회사 무선 인식 기술을 이용한 물품 보관함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06090A (ko) * 2008-07-08 2010-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물품 보관함 서비스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51899B1 (ko) 2015-10-12 2016-08-29 주식회사 짐좀 생활 밀접형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KR20180035720A (ko) * 2016-09-29 2018-04-06 (주)위키박스 무인사물함을 이용한 생활편의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50B1 (ko) 2006-06-30 2007-09-04 에스엠공업시스템주식회사 무선 인식 기술을 이용한 물품 보관함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06090A (ko) * 2008-07-08 2010-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물품 보관함 서비스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51899B1 (ko) 2015-10-12 2016-08-29 주식회사 짐좀 생활 밀접형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KR20180035720A (ko) * 2016-09-29 2018-04-06 (주)위키박스 무인사물함을 이용한 생활편의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9825B2 (en) Locker system, locker controlling method, control center, and recording medium
JP6319781B1 (ja) コインロッカーシステム
US20040199284A1 (en) Locker system
EP1069539B1 (en) Electronic ticket, electronic wallet, and information terminal
US10474797B2 (en) Electronic storage system
PH1201550174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key exchanges
KR102149027B1 (ko)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CN106845742A (zh) 旅馆一体化管理系统
CN113631790A (zh) 钥匙保险箱和钥匙访问系统
JP2002183563A (ja) 予約方法および予約システム
JP2016066257A (ja) 宿泊支援サーバ、及び宿泊支援プログラム
KR102139871B1 (ko)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0064510A (ja) ロッカー管理装置、ロッカー管理方法及びロッカー装置
JP2004026496A (ja) 配送先ロッカーの予約指定システム
KR102082058B1 (ko)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063047B (zh) 一种信息管理系统、终端及其方法
KR20030087541A (ko) 로커 수납물의 배송 시스템
JP6994593B2 (ja) 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JP2004026439A (ja) 無人宅配受付システム、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099682A (ja) 傘レンタルシステム、傘レンタル管理方法及び傘レンタルシステム用管理サーバー
JP3581293B2 (ja) Icカード利用サービス提供方法、システム及びプラットフォームサーバ
CN110956423A (zh) 行李寄存系统
JP2020064509A (ja) ロッカー管理装置、ロッカー管理システム及びロッカー管理方法
JP7356418B2 (ja) 手荷物預かり受付装置、及び、手荷物預かり受付プログラム
JP6983499B2 (ja) 収納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