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027B1 -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027B1
KR102149027B1 KR1020180143937A KR20180143937A KR102149027B1 KR 102149027 B1 KR102149027 B1 KR 102149027B1 KR 1020180143937 A KR1020180143937 A KR 1020180143937A KR 20180143937 A KR20180143937 A KR 20180143937A KR 102149027 B1 KR102149027 B1 KR 102149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elivery
luggage
luggage stor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074A (ko
Inventor
여정현
Original Assignee
여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정현 filed Critical 여정현
Priority to KR102018014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0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으로서,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의 고객 디바이스,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자의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 및 상기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의 배송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고객에게 짐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를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공간 등록 모듈; 상기 배송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배송자 정보를 배송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배송 등록 모듈; 고객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 및 상태를 검색하여 상기 고객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검색 모듈; 상기 고객 디바이스로부터 짐 보관 및 배송 요청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수신하여 예약을 처리하고, 해당 짐 보관 공간을 등록한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에 상기 예약 정보를 제공하는 예약 모듈;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수신된 예약 정보에 따른 짐 보관 처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예약 정보에 포함된 배송 요청 정보에 따라 배송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배송 요청을 하는 배송 요청 모듈; 배송 요청을 받은 상기 배송 디바이스로부터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의 배송을 매칭하는 매칭 모듈; 및 상기 배송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보관된 짐의 배송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배송 추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 따르면,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자,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 및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을 상호 연결하여 줌으로써, 고객은 편리한 위치에 쉽게 짐을 보관하고 시간과 비용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짐 없이 편안하게 일정을 즐길 수 있고, 공간 제공자는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통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부가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 따르면, 택시 드라이버가 배송자로서 택시 요금 산정 기준에 따라 배송비를 산정함으로써, 고객은 안전하게 짐을 원하는 곳까지 배송 받을 수 있고, 택시 드라이버는 승차 손님이 적은 대기 시간에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LUGGAGE STORAGE AND DELIVERY SYSTEM USING EMPTY SPACE}
본 발명은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출장이나 여행으로 타지역이나 해외에 방문을 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원거리 여행에는 상당한 양의 짐이 수반되어 여행을 즐기거나 일정을 소화하는 데에 방해가 되곤 한다. 따라서 도착 후 일단 호텔에 방문하여 짐을 체크인을 하거나, 체크인 전이라도 숙소에 짐을 맡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체크아웃 후에도 짐을 숙소에 맡겨두고 여행을 하거나 일정을 소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우에 따라, 숙소에 짐을 맡기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경우에는, 기차역 등에 있는 코인 라커 등을 찾아 짐을 보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코인 라커 등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서 짐의 크기에 따라 보관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있고, 개수도 한정적이어서 원하는 시간에 짐을 충분히 보관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정을 마치고 짐을 찾기 위해서, 짐을 맡겨둔 호텔이나 코인 라커 등에 일부러 재방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이나 동선에 비효율이 발생하여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호텔과 공항 사이에서 짐을 이동시켜 주는 서비스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서비스는 지정된 지점 사이의 이동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이 극히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에어비엔비가 크게 인기를 얻으면서, 등록특허 제10-1651899호(발명의 명칭: 생활 밀접형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공고일자: 2016년 08월 29일)과 같이 사무실 공유 등 유휴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밖에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8-0112916호(발명의 명칭: 여행객 가방관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공개일자: 2008년 12월 26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자,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 및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을 상호 연결하여 줌으로써, 고객은 편리한 위치에 쉽게 짐을 보관하고 시간과 비용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짐 없이 편안하게 일정을 즐길 수 있고, 공간 제공자는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통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부가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택시 드라이버가 배송자로서 택시 요금 산정 기준에 따라 배송비를 산정함으로써, 고객은 안전하게 짐을 원하는 곳까지 배송 받을 수 있고, 택시 드라이버는 승차 손님이 적은 대기 시간에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은,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으로서,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의 고객 디바이스,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자의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 및 상기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의 배송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고객에게 짐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를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공간 등록 모듈;
상기 배송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배송자 정보를 배송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배송 등록 모듈;
고객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 및 상태를 검색하여 상기 고객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검색 모듈;
상기 고객 디바이스로부터 짐 보관 및 배송 요청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수신하여 예약을 처리하고, 해당 짐 보관 공간을 등록한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에 상기 예약 정보를 제공하는 예약 모듈;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수신된 예약 정보에 따른 짐 보관 처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예약 정보에 포함된 배송 요청 정보에 따라 배송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배송 요청을 하는 배송 요청 모듈;
배송 요청을 받은 상기 배송 디바이스로부터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의 배송을 매칭하는 매칭 모듈; 및
상기 배송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보관된 짐의 배송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배송 추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 정보는,
매장 업종, 공간의 크기, 랙 유무, 보관 가능 짐의 크기 및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송자는 택시 드라이버이고 상기 배송 디바이스는 택시 드라이버의 디바이스로서, 택시 요금 산정 기준에 따라 배송비가 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짐 보관 공간은,
영업 중인 택시의 트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송 요청 모듈은,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보관된 짐의 이미지 및 상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짐 보관 처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송 추적 모듈은,
상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관된 짐의 배송 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송 추적 모듈은,
상기 짐 보관 공간에 짐 수령 시, 및 상기 보관된 짐의 배송자 인계 시에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관된 짐의 배송자 수령 시, 상차 시, 하차 시, 및 배송 요청 장소 배송 시 중 적어도 2회 이상 상기 배송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 보관 및 배송비를 책정하고,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 따르면,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자,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 및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을 상호 연결하여 줌으로써, 고객은 편리한 위치에 쉽게 짐을 보관하고 시간과 비용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짐 없이 편안하게 일정을 즐길 수 있고, 공간 제공자는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통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부가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 따르면, 택시 드라이버가 배송자로서 택시 요금 산정 기준에 따라 배송비를 산정함으로써, 고객은 안전하게 짐을 원하는 곳까지 배송 받을 수 있고, 택시 드라이버는 승차 손님이 적은 대기 시간에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 짐 보관 및 배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의 검색 모듈에서 검색된 짐 보관 공간의 정보를 표시한 고객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 예약 정보를 입력하는 고객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 짐의 배송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 고객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은,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의 고객 디바이스(200),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자의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 및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의 배송 디바이스(400)를 연결하여, 고객에게 짐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자,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 및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하여 줌으로써, 고객은 편리한 위치에 쉽게 짐을 보관하고 시간과 비용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짐 없이 편안하게 일정을 즐길 수 있고, 공간 제공자는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통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부가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택시 드라이버가 배송자로서 택시 요금 산정 기준에 따라 배송비를 산정함으로써, 고객은 안전하게 짐을 원하는 곳까지 배송 받을 수 있고, 택시 드라이버는 승차 손님이 적은 대기 시간에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에게 짐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 디바이스(200),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 및 배송 디바이스(400)를 서로 중개하고,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짐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간 제공자의 짐 보관 공간에 대한 정보인 공간 정보 및 배송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고객 디바이스(200)는,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고객은 주로 여행이나 출장, 쇼핑 중에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이므로, 고객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등 각종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고객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웹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짐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는,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자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공간 제공자는, 여행객 등이 쉽게 방문할만한 지역 등에 매장을 운영하면서,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매장은 카페, 편의점, 꽃집, 통신 판매점, 의류 판매점, 병원, 약국 등일 수 있으며, 공항이나 기차역 라운지 등 다양할 수 있다. 다만, 불법 사업, 사행성 사업장, 주류 판매 전문점 등의 공간 제공은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짐 보관 공간은, 영업 중인 택시의 트렁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택시의 트렁크도 하나의 유휴공간일 수 있으므로, 택시의 트렁크에 고객이 원하는 시간 동안 짐을 보관하고, 배송까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는, 매장이나 짐 보관 공간 등에 설치 또는 구비된 기기일 수 있으나, 공간 제공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다.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웹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결하여, 짐 보관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예약 및 배송 관리 등을 할 수 있다.
배송 디바이스(400)는,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히, 배송자는 택시 드라이버이고 배송 디바이스(400)는 택시 드라이버의 디바이스로서, 택시 요금 산정 기준에 따라 배송비가 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택시 드라이버가 배송자로서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고객이 요청한 시간 내에 안전하게 배송함으로써, 택시 탑승 손님이 적은 낮 시간에 부가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고객은 이미 검증된 택시라는 수단을 이용한 안전한 배송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배송 디바이스(4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각종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며, 위치 정보 시스템의 이용이 원활한 기기일 수 있다. 배송 디바이스(400)는, 짐 배송을 매칭해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배송 디바이스(400)에 설치 및 구동함으로써, 배송 대상 짐이 보관된 짐 보관 공간과 배송자를 서로 매칭해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 짐 보관 및 배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로부터 공간 정보를 제공받아 짐 보관 공간을 등록하고,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배송자 정보를 등록받아 배송자를 등록해 놓고, 고객이 짐 보관 공간의 검색을 요청하면, 등록된 짐 보관 공간을 검색하여 각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와 상태를 고객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이 원하는 짐 보관 공간을 선택하고 예약을 하면, 예약 정보는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에 전달되고, 고객은 예약에 따라 짐 보관 공간이 있는 매장에 방문하여 짐을 보관하게 된다. 예약 정보에 맞는 짐 보관 처리 신호가 입력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보관된 짐을 배송할 배송자를 검색하여 배송 디바이스(400)에 배송을 요청할 수 있다. 배송 디바이스(400)의 수락에 의해 짐 배송이 매칭되면, 배송자는 일정한 시간 내에 짐 보관 공간이 있는 매장에 방문하여 짐을 수령하고 고객이 원하는 장소에 짐을 배송해주게 된다. 이러한 짐 배송 과정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의해 추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간 등록 모듈(110), 배송 등록 모듈(120), 검색 모듈(130), 예약 모듈(140), 배송 요청 모듈(150), 매칭 모듈(160) 및 배송 추적 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결제 처리 모듈(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공간 등록 모듈(110)은,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한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를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정보는, 매장 업종, 공간의 크기, 랙 유무, 보관 가능 시간, 보관 가능 짐의 크기 및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등록 모듈(110)은, 수신한 공간 정보는 등록 대기 상태로 두었다가, 관리자 등에 의해 검증된 공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등록할 수 있다.
배송 등록 모듈(120)은,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한 배송자 정보를 배송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배송자 정보는, 배송자 성명, 연락처, 운행 수단, 보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모듈(130)은, 고객 디바이스(200)의 요청에 따라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 및 상태를 검색하여 고객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고객의 위치 주변의 짐 보관 공간에 대한 검색을 요청받은 경우, 검색 모듈(130)은 해당 위치 정보를 이용해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있는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와, 현재 보관 가능한 짐의 수, 매장 오픈 여부 등의 짐 보관 공간의 상태 정보를 고객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의 검색 모듈(130)에서 검색된 짐 보관 공간의 정보를 표시한 고객 디바이스(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의 고객 디바이스(200)는, 검색 모듈(130)이 검색하여 제공한 짐 보관 공간을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지도상에서 짐 보관 공간을 선택하면 선택된 짐 보관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매장 명칭, 운영 시간 등) 및 상태(현재 보관 가능한 짐의 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약 모듈(140)은, 고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짐 보관 및 배송 요청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수신하여 예약을 처리하고, 해당 짐 보관 공간을 등록한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에 예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예약 정보는, 짐 보관 공간의 선택, 짐 크기, 보관 시간, 배송 요청 장소 및 배송 요청 시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 예약 정보를 입력하는 고객 디바이스(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는, 고객 디바이스(200)를 이용해 짐 크기, 보관 시간, 배송 여부 선택, 배송 요청 장소 등의 예약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예약 정보에 따라 추후 상세히 설명할 결제 처리 모듈(180)이 보관 및 배송비를 책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예약 과정에서 결제를 할 수도 있다.
배송 요청 모듈(150)은,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예약 정보에 따른 짐 보관 처리 신호를 수신하면, 예약 정보에 포함된 배송 요청 정보에 따라 배송 디바이스(400)를 검색하여 배송 요청을 할 수 있다. 즉, 짐 보관 공간을 예약하고 결제한 고객이 짐을 가지고 해당 매장에 방문하여 짐 보관 공간에 짐을 보관할 수 있다. 공간 제공자는, 예약 모듈(140)로부터 전달받은 예약 정보를 이용해 예약 내용과 실제 방문한 고객 및 짐을 확인하고 짐을 수령하여 짐 보관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공간 제공자가 짐 수령 신호를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에 입력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의해 해당 짐에 대하여 코드 정보가 할당될 수 있으며, 코드 정보를 이용해 짐이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코드 정보는 숫자, 문자, 또는 숫자 및 문자의 조합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QR 코드, 바코드, RFID, NFC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배송 요청 모듈(150)은,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로부터 보관된 짐의 이미지 및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짐 보관 처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공간 제공자는, 보관된 짐을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짐의 이미지와 함께,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인식하여(QR 코드나 바코드의 경우 카메라, RFID 또는 NFC의 경우 리더기를 사용하여 인식함.),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보관 처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배송 요청 모듈(150)은, 예약 정보를 이용해 배송 디바이스(400)를 검색하여 배송 요청을 할 수 있는데, 이때 배송 요청 모듈(150)은 콜택시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예약 정보에 배송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송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이전에 배송 디바이스(400)를 검색하여 배송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배송에 택시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택시 승객의 모객이 가장 어려운 시간대(예를 들어, 오후 2시-4시 사이 등)에 배송 디바이스(400)를 검색하여 배송 요청을 할 수도 있다.
매칭 모듈(160)은, 배송 요청을 받은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의 배송을 매칭할 수 있다. 보관된 짐의 배송이 매칭되면, 매칭 모듈(160)은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에 배송자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짐 픽업 예정 시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짐 보관 공간은 영업 중인 택시의 트렁크일 수 있는데, 이때에는 배송 요청 모듈(150)이 짐 보관 및 배송을 요청하면서, 짐 보관 시간을 함께 제공하여 택시 드라이버의 수락 여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매칭 모듈(160)은 짐의 배송 뿐 아니라 짐 보관까지 매칭을 하게 되며, 택시 드라이버가 공간 제공자와 배송자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다.
배송 추적 모듈(170)은,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보관된 짐의 배송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배송 추적 모듈(170)은,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보관된 짐의 배송 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송 추적 모듈(170)은, 짐 보관 공간에 짐 수령 시, 및 보관된 짐의 배송자 인계 시에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로부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보관된 짐의 배송자 수령 시, 상차 시, 하차 시, 및 배송 요청 장소 배송 시 중 적어도 2회 이상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짐의 위치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짐에 할당된 코드를 인식하여 배송 추적 모듈(170)에 전송함으로써, 배송 추적 모듈(170)은 효과적으로 짐의 배송 상태를 추적할 수 있고, 다른 고객의 짐과의 혼동을 피할 수 있으며, 고객은 안심하고 짐의 보관 및 배송을 의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코드 정보 뿐 아니라, 짐을 촬영한 이미지도 함께 수신하여 고객 디바이스(200)에 제공함으로써, 짐의 분실이나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 및 배송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 짐의 배송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 고객 디바이스(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에서는, 배송 추적 모듈(170)이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해, 짐 배송 상황 및 짐의 이미지를 고객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결제 처리 모듈(180)은, 예약 정보에 따라 보관 및 배송비를 책정하고,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보관비는 짐의 크기, 짐 보관 시간의 길이, 짐 보관 시간대(주간/야간 등) 등에 따라 책정될 수 있으며, 배송비는 배송 거리, 짐의 크기, 배송 시간대 등에 따라 책정될 수 있다. 특히, 배송자는 택시 드라이버이고 배송 디바이스(400)는 택시 드라이버의 디바이스일 때에는, 택시 요금 산정 기준에 따라 배송비가 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자,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 및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을 상호 연결하여 줌으로써, 고객은 편리한 위치에 쉽게 짐을 보관하고 시간과 비용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짐 없이 편안하게 일정을 즐길 수 있고, 공간 제공자는 매장 내의 유휴공간을 통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부가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택시 드라이버가 배송자로서 택시 요금 산정 기준에 따라 배송비를 산정함으로써, 고객은 안전하게 짐을 원하는 곳까지 배송 받을 수 있고, 택시 드라이버는 승차 손님이 적은 대기 시간에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공간 등록 모듈
120: 배송 등록 모듈
130: 검색 모듈
140: 예약 모듈
150: 배송 요청 모듈
160: 매칭 모듈
170: 배송 추적 모듈
180: 결제 처리 모듈
200: 고객 디바이스
300: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
400: 배송 디바이스

Claims (8)

  1. 공유경제 기반으로 불특정의 공간 제공자가 제공하는 유휴공간의 공유를 통해 유휴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으로서,
    짐 보관 및 배송을 원하는 고객의 고객 디바이스(200), 상기 유휴공간을 자율적으로 짐 보관 공간으로 제공하는 불특정의 공간 제공자의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 및 상기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을 고객이 요청한 장소로 배송하는 배송자의 배송 디바이스(400)를 서로 중개 연결하여, 고객에게 짐 보관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자는 택시 드라이버이고 상기 배송 디바이스(400)는 택시 드라이버의 디바이스로서, 택시 요금 산정 기준에 따라 배송비가 산정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한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를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되, 상기 공간 제공자의 공간 정보 변경에 따라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짐 보관 공간이 추가, 삭제 및 변경되며, 수신한 공간 정보는 등록 대기 상태로 두었다가 관리자에 의해 검증된 공간 정보를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등록하는 공간 등록 모듈(110);
    상기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한 배송자 정보를 배송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배송 등록 모듈(120);
    고객 디바이스(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짐 보관 공간의 공간 정보 및 상태를 검색하여 상기 고객 디바이스(200)에 제공하는 검색 모듈(130);
    상기 고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짐 보관 및 배송 요청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수신하여 예약을 처리하고, 해당 짐 보관 공간을 등록한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에 상기 예약 정보를 제공하는 예약 모듈(140);
    예약에 따라 해당 짐 보관 공간이 있는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 의해 짐이 보관되고,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상기 수신된 예약 정보에 따른 짐 보관 처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예약 정보에 포함된 배송 요청 정보에 따라 배송 디바이스(400)를 검색하여 배송 요청을 하되, 택시 승객의 모객이 가장 어려운 시간대에 배송 요청을 하는 배송 요청 모듈(150);
    배송 요청을 받은 상기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짐 보관 공간에 보관된 짐의 배송을 매칭하고,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에 배송자 정보 및 짐 픽업 예정 시각을 제공하는 매칭 모듈(160); 및
    일정한 시간 내에 상기 짐 보관 공간이 있는 매장에 방문하여 짐을 수령하고 고객이 원하는 장소에 고객의 짐을 배송해주는 배송자의 상기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상기 보관된 짐의 배송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 디바이스(200)에 제공하는 배송 추적 모듈(170)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 정보는, 상기 짐 보관 공간이 있는 매장의 매장 업종, 매장 명칭 및 운영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짐 보관 공간은, 영업 중인 택시의 트렁크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디바이스(200)에 의해 짐 보관 공간으로 영업 중인 택시의 트렁크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배송 요청 모듈(150)이 짐 보관 및 배송을 요청하면서, 짐 보관 시간을 함께 제공하여 택시 드라이버의 수락 여부에 도움을 주며, 상기 매칭 모듈(160)은 짐의 배송 뿐 아니라 짐 보관까지 매칭을 하고, 택시 드라이버는 공간 제공자와 배송자의 역할을 모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는,
    공간의 크기, 랙 유무, 보관 가능 짐의 크기 및 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요청 모듈(150)은,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상기 보관된 짐의 이미지 및 상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짐 보관 처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추적 모듈(170)은,
    상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관된 짐의 배송 상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추적 모듈(170)은,
    상기 짐 보관 공간에 짐 수령 시, 및 상기 보관된 짐의 배송자 인계 시에 상기 공간 제공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상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관된 짐의 배송자 수령 시, 상차 시, 하차 시, 및 배송 요청 장소 배송 시 중 적어도 2회 이상 상기 배송 디바이스(400)로부터 상기 보관된 짐에 할당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 보관 및 배송비를 책정하고,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 모듈(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KR1020180143937A 2018-11-20 2018-11-20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KR10214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37A KR102149027B1 (ko) 2018-11-20 2018-11-20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37A KR102149027B1 (ko) 2018-11-20 2018-11-20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74A KR20200059074A (ko) 2020-05-28
KR102149027B1 true KR102149027B1 (ko) 2020-08-27

Family

ID=7092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937A KR102149027B1 (ko) 2018-11-20 2018-11-20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648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제로투원씨비 물류 에이전트를 이용한 중개 배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817B1 (ko) * 2020-09-03 2022-12-1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299539B1 (ko) * 2020-11-12 2021-09-07 주식회사 상상일상 매장 연계형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20346B1 (ko) * 2021-01-25 2021-11-02 주식회사 위드캠프 캠핑 용품의 배송 및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646483B1 (ko) * 2021-03-05 2024-03-12 주식회사 플라츠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부동산 임대 추천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31B1 (ko) * 2007-06-12 2009-03-20 최무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553674B1 (ko) * 2013-09-06 2015-09-17 김승인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1046A (ko) * 2013-05-03 2014-11-12 이흥수 무인택배함 설치장소를 공동주소로 한 무인택배 배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4583A (ko) * 2015-02-26 2016-09-05 씨제이대한통운 (주) 택시 기반 택배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23316A (ko)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 아이트립 식별자 기반의 수하물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31B1 (ko) * 2007-06-12 2009-03-20 최무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553674B1 (ko) * 2013-09-06 2015-09-17 김승인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648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제로투원씨비 물류 에이전트를 이용한 중개 배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74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027B1 (ko) 유휴공간을 이용한 짐 보관 및 배송 시스템
US20220101211A1 (en) Travel packages including separately purchased travel items
RU2644073C1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программа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ункта проверк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ункта проверки
US6226589B1 (en) System for providing guiding information for use in detecting and accessing a mobile object
US20190057348A1 (en) Location detection devices for use in a courier services network
KR102053901B1 (ko)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US8751398B2 (en) Preventing an unauthorized card transaction
US201601890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contextually relevant vehicles for delivery purposes
US20160300184A1 (en)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s providing courier service information
JP2002543500A (ja) 遠隔注文システム
US20150046213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 shopping group in a store
US20180293522A1 (en) Unified travel interface
US20130063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providing an access authorization
WO2013082151A1 (en) Layov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35073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KR20140117773A (ko)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GB2511887A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190325480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20220114635A1 (en) Traveling shopper ordering and fulfillment system
JP6706310B2 (ja) 徒歩旅行者の荷物保管のための店の遊休スペースの共有サーバ及び方法
JP2007219811A (ja) 携帯通信装置、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149593U (ja) 土産物購入システム
KR20010067123A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1422026A (zh) 移动信息提供和交易系统
KR20200022740A (ko) 수하물 보관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