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871B1 -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871B1
KR102139871B1 KR1020180148170A KR20180148170A KR102139871B1 KR 102139871 B1 KR102139871 B1 KR 102139871B1 KR 1020180148170 A KR1020180148170 A KR 1020180148170A KR 20180148170 A KR20180148170 A KR 20180148170A KR 102139871 B1 KR102139871 B1 KR 10213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information
electronic lock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591A (ko
Inventor
이승홍
Original Assignee
이승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홍 filed Critical 이승홍
Priority to KR102018014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8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07C2009/0042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periodically after a time period
    • G07C2009/0045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periodically after a time period by the 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전자자물쇠와,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전자자물쇠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소정 시간마다 각각의 상기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짐 보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한 자물쇠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의 확인 결과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이 끊긴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1 OTP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전자자물쇠와 서버 간의 통신 연결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전자자물쇠를 이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SERVER FOR PROVIDING BAGGAGE STORAGE SERVICE OF UTILIZING IDEL SPACE, AND ELECTRONIC LOCK FOR THE SAM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물품 보관함이 주로 구비된 공공장소까지의 거리가 먼 사용자에게 인접 위치에 있는 상업 매장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공공장소에서는 사용자의 소지품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물품 보관 장치(락커, locker)를 흔히 볼 수 있다. 물품 보관 장치는 주로 금속재를 사용해 제작되며 자물쇠가 부착된 서랍이 여러 단에 걸쳐 나란히 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물품 보관 장치는 회사, 학교, 공동주택, 지하철, 대형 할인매장 등의 공공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회사, 학교, 공동주택의 경우, 짧게는 수 개월에서 길게는 몇 년까지 특정 라커를 특정 사용자에게 유상 또는 무상으로 대여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지하철, 대형 할인매장 등에 사용되는 물품 보관 장치의 경우에는 불특정 다수에 의해 사용되고 그 사용 기간이 길어도 며칠을 넘기지 않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처럼 불특정 다수에 의해 단기간 사용되는 물품 보관 장치의 경우는 주로 코인 등을 활용하여 해당 락커에 대한 임시 사용 권한이 주어지는데, 사용자가 보관 장치 전면에 설치된 동전투입구에 동전을 투입하면 보관함 도어에 설치된 자물쇠가 개방되어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보관 장치에 넣어 자물쇠를 잠근 후 열쇠를 빼내고, 해당 열쇠는 사용자가 보관하였다가 물품을 찾을 때 이를 이용해 보관 장치의 자물쇠를 여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물품 보관 장치가 특정한 몇몇 장소에만 한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짐을 보관해야 하는 경우에는 물품 보관 장치가 있는 특정 장소에 가장 먼저 들렀다가 볼일이 다 끝나면 짐을 찾으러 다시 해당 장소를 방문해야 하는 등 불필요한 동선에 따라 움직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651899 B1 KR 10-075495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 보관함이 주로 구비된 공공장소까지의 거리가 먼 사용자에게 인접 위치에 있는 상업 매장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전자자물쇠와,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전자자물쇠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소정 시간마다 각각의 상기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짐 보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한 자물쇠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의 확인 결과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이 끊긴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1 OTP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전자자물쇠 각각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전자자물쇠에 대응되는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 및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자물쇠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물쇠 정보 관리부와,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짐 보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별적으로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하는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자물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와, 소정 시간마다 각각의 상기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연결상태 감지부와,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한 자물쇠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이 끊긴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1 OTP 번호를 생성하는 제1 OTP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전자 자물쇠는,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되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서버를 경유하여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전자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전자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값을 입력받는 비밀번호 입력부와, 소정 시간마다 상기 서버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연결상태 감지부와, 상기 서버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상기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2 OTP 번호를 생성하는 제2 OTP 생성부와, 상기 제2 OTP 번호를 상기 전자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짐 보관을 원하는 사람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하면서도 사용자의 예상 동선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상업 매장 내 유휴 공간을 선택하여 짐 보관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짐 보관을 위한 불필요한 이동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가피한 재난 상황으로 인해 갑자기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전자자물쇠와 서버 간의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서버와 전자자물쇠가 각각 연결 끊김을 감지한 시각 정보와 해당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OTP 비밀번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자물쇠와 서버간의 통신 연결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짐 보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전자자물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자물쇠 선택 UI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전자자물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자물쇠 선택 UI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상업 매장 내 소정의 유휴 공간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전자자물쇠(300)와, 소정 크기의 짐 보관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주변에 위치한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자물쇠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서버(200)는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전자자물쇠(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 가능한 상태로,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짐 보관을 요청받으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주변에 위치한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자물쇠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정보 관리부(210), 자물쇠 정보 DB(212), 검색부(220),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230), 제1 통신부(240), 제1 연결상태 감지부(250) 및 제1 OTP 생성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물쇠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짐 보관을 원하는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짐 보관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자물쇠 정보 DB(212)에 기저장된 복수의 자물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선별한다.
이때, 자물쇠 정보 DB(212)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자자물쇠 각각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전자자물쇠에 대응하는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 및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기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자물쇠 정보 DB(212)에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식별번호 자물쇠 명칭 크기 정보 위치 정보 연결 상태 연결 끊김 감지 시점 사용 상태
0001 A 소형 ㄱ대로11번길 -
0013 B 소형 ㄱ대로12번길 × 2018-10-11 오후1:30 -
0021 C 소형 ㄴ대로6번길 - ×
0035 D 중형 ㄱ대로11번길 - ×
예컨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식별번호가 '0001'인 전자자물쇠 'A'의 경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는 '소형'이고 현재 위치 정보는 'ㄱ대로11번길'이며, 식별번호가 '0013'인 전자자물쇠 'B'의 경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는 '소형'이고 현재 위치 정보는 'ㄱ대로12번길'이며, 식별번호가 '0021'인 전자자물쇠 'C'의 경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는 '소형'이고 현재 위치 정보가 'ㄴ대로6번길'이며, 식별번호가 '0035'인 전자자물쇠 'D'의 경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는 '중형'이고 현재 위치 정보는 'ㄱ대로11번길'이다.
즉, 상기 표 1에 의하면,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가 '소형'인 전자자물쇠는 3개('A','B','C')이며,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가 '중형'인 전자자물쇠는 1개('D')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검색부(220)는 자물쇠 정보 DB(21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짐 보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자물쇠 정보를 검색하여 선별한다.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230)는 검색부(220)에 의해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컨대, 자물쇠 정보 DB(212)가 상기 표 1과 같이 기저장된 상태라고 할 때, 만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짐 보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크기 정보가 '소형'이라고 한다면, 검색부(220)의 1차 검색 결과로서 전자자물쇠 'A','B','C'가 검색되게 된다.
이때, 만일 상기 표 1에 기초한 전자자물쇠 'A','B','C' 각각의 위치 정보에 의하면, 전자자물쇠 'A'와 'B'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고 전자자물쇠 'C'는 상기 반경을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 검색부(220)의 2차 검색 결과로서 상기 1차 검색 결과 중 전자자물쇠 'C'를 제외한 전자자물쇠 'A','B'만이 선별되게 된다.
이 경우,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230)는 상기 2차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자물쇠 'A'에 대한 위치 정보인 'ㄱ대로11번길'을 포함하는 제1 자물쇠 정보와 전자자물쇠 'B'에 대한 위치 정보인 'ㄱ대로12번길'을 포함하는 제2 자물쇠 정보를 포함하는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제1 통신부(240)는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자물쇠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연결상태 감지부(250)는 소정 시간마다 각각의 전자자물쇠(300)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한다.
제1 OTP 생성부(260)는 제1 통신부(240)에 의해 수신한 선택 정보에 기초한 자물쇠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전자자물쇠(300)와의 연결이 끊긴 상태인 경우, 제1 전자자물쇠(301)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제1 전자자물쇠(3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1 OTP 번호(P1)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OTP 번호(P1)는, 하루 24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단위로 구분한 후 제1 전자자물쇠(300)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가 속하는 시간대에 대응하는 소정값을 가지는 OTP 시각 정보(P1_1)와, 자물쇠 정보 DB(212)에 기저장된 제1 전자자물쇠(300)의 GPS 위치 정보에 기초한 OTP 위치 정보(P1_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만일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선택된 자물쇠 정보가 식별번호가 'B'인 전자자물쇠 'B'인 경우, 제1 OTP 생성부(260)는 서버(200)에서 전자자물쇠 'B'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한 시각 정보인 '2018-10-11 오후 1:30'에 기초한 OTP 시각 정보(P1_1)에 해당하는 제1값과 전자자물쇠 'B'의 위치정보인 'ㄱ대로11번길'에 기초한 OTP 위치 정보(P1_2)에 해당하는 제2값을 포함하는 제1 OTP 번호(P1)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200)와 연결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기설치된 상태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위치 주변에 분포된 유휴 공간에 대응하는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짐 보관을 요청함과 더불어 이 중 희망하는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사용 예약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공간 정보 입력부(110),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부(120), 표시부(130), 선택부(140) 및 결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 공간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소지한 짐을 보관하고자 하는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부(120)는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수신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표시부(13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수신하면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30)는 상기 자물쇠 리스트에 기초한 자물쇠 선택 UI를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자물쇠 리스트에 포함된 전자자물쇠(300) 각각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콘 형태로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되, 적어도 하나의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UI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선택부(140)는 표시부(130)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화면의 소정 영역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가 감지된 영역상에 표시된 전자자물쇠(300)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터치 입력 수단의 일종일 수 있다.
결제부(150)는 선택부(140)에 의해 선택된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이때, 결제부(150)는 상기 선택된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결제의 승인 여부를 입력받아 결제 승인 시 이에 기초한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을 기등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제 수단은 금융회사(은행, 증권사 등)의 출금계좌나 신용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부(150)는 기등록된 금융회사의 출금계좌로부터 계좌 이체 방식이나, 기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식을 이용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자물쇠(300)는 상업 매장 내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서버(200)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의 짐 보관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잠금 해제 정보에 따라 전자자물쇠(300)의 해제 여부가 결정된다.
이때, 전자자물쇠(300)는 해당 매장의 입구 측에 비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해당 매장을 짐 보관 목적으로 방문하여 짐을 보관하거나 맡긴 짐을 찾아가려는 이용자의 출입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휴 공간은 해당 매장을 방문한 손님용으로 비치된 물품보관함이거나 또는 매장 내 상품을 보관하는 창고 공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자물쇠(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정보 획득부(310), 자물쇠 위치 정보 획득부(320), 잠금 제어부(330), 비밀번호 입력부(340), 제2 통신부(350), 제2 연결상태 감지부(360) 및 제2 OTP 생성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자물쇠(300)가 현재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아니면 현재 누군가가 사용 중이어서 사용 불가능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태 정보 획득부(310)에 의하면, 전자자물쇠 'A'는 현재 누군가가 사용 중이어서 사용 불가능한 상태이고, 전자자물쇠 'C','D'는 현재 사용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자물쇠 위치 정보 획득부(320)는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수신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잠금 제어부(330)는 서버(200)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때,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잠금 해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해제 여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잠금 제어부(330)는 서버(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 시간대 정보와 잠금 해제 정보(비밀번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 시간대 정보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비밀번호로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제어부(330)는 서버(200)와의 연결이 끊긴 상태일 땐, 제2 OTP 생성부(370)에 의해 생성된 제2 OTP 번호(P2)를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로 설정한다.
비밀번호 입력부(340)는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전자단말기(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밀번호는 전자자물쇠(300)와의 통신을 수행 가능한 별도의 외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전자자물쇠(300)가 구비된 상업 매장의 일측에 마련된 카운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서버(200)와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설치된 상태로, 서버(200)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매장에 짐 보관을 목적으로 방문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가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잠금 해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2 통신부(350)는 서버(200)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때, 서버(200)로부터 사용 여부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정보 획득부(310)에 의해 획득되는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상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2 연결상태 감지부(360)는 소정 시간마다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제2 연결상태 감지부(360)에 의해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점의 시각 정보는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다.
제2 OTP 생성부(370)는 제2 통신부(350)를 통한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경우,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현재 GPS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2 OTP 번호(P2)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 OTP 번호(P2)는, 하루 24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Tc) 단위로 구분한 후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가 속하는 시간대에 대응하는 소정값을 가지는 OTP 시각 정보(P2_1)와, 자물쇠 위치 정보 획득부(320)에 의해 획득된 현재 GPS 위치정보에 기초한 OTP 위치 정보(P2_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 1과 같이 식별번호가 '0013'인 전자자물쇠 'B'에서 '2018-10-11 오후 1:28'에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경우, 제2 OTP 생성부(370)는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한 시각 정보인 '2018-10-11 오후 1:28'에 기초한 OTP 시각 정보(P2_1)에 해당하는 제3값과 전자자물쇠 'B'의 위치정보인 'ㄱ대로11번길'에 기초한 OTP 위치 정보(P2_2)에 해당하는 제4값을 포함하는 제2 OTP 번호(P2)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만일 제1 OTP 번호(P1)와 제2 OTP 번호(P2)가 각각 생성된 시각이 임계 시간(Tc)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시간대 중 동일 시간대에 속한다면, 제1 OTP 번호(P1)에 대응되는 OTP 시각 정보(P1_1)와 제2 OTP 번호(P2)에 대응되는 OTP 시각 정보(P2_1)가 일치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로 수신된 제1 OTP 번호(P1)를 제1 전자자물쇠(300)의 비밀번호 입력부(340)를 통해 제1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로 입력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제1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불가피한 재난 상황으로 인해 갑자기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전자자물쇠(300)와 서버(200) 간의 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에도, 서버(200)와 자물쇠(300)에서 각각 자체적으로 구비한 연결 끊김 감지 기능과 이에 기초한 OTP 번호 생성 기능을 통해 전자자물쇠를 잠금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문제없이 해당 전자자물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버(200)에서 소정 시간마다 각각의 전자자물쇠(300)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한다(S10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짐을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 공간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는다(S110).
예컨대, 상기 S110 단계에 입력되는 상기 크기 정보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형, 중형, 대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S120),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짐 보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한다(①).
이때, 상기 S120 단계는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짐 보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별한다(S140).
다음으로, 서버(200)에서 상기 S140 단계에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하여(S160)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②).
전술한 상기 S140 단계 내지 S160 단계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예컨대, 자물쇠 정보 DB(212)가 상기 표 1과 같이 기저장된 상태라고 할 때, 만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짐 보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크기 정보가 '소형'이라고 한다면, 상기 S140 단계에 따른 1차 검색 결과로서 전자자물쇠 'A','B','C'가 검색되게 된다.
이때, 만일 상기 표 1에 기초한 전자자물쇠 'A','B','C' 각각의 위치 정보에 의하면, 전자자물쇠 'A'와 'B'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고 전자자물쇠 'C'는 상기 반경을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S140 단계에 따른 2차 검색 결과로서 상기 1차 검색 결과 중 전자자물쇠 'C'를 제외한 전자자물쇠 'A','B'만이 선별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S160 단계에서는 상기 2차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자물쇠 'A'에 대한 위치 정보인 'ㄱ대로11번길'을 포함하는 제1 자물쇠 정보와 전자자물쇠 'B'에 대한 위치 정보인 'ㄱ대로12번길'을 포함하는 제2 자물쇠 정보를 포함하는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선택하면(S180) 이에 기초한 선택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③)
여기서, 상기 S180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술된 ②단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자물쇠 리스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상기 자물쇠 리스트가 표시되고,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받게 된다.
예컨대, 상기 자물쇠 리스트에 기초한 자물쇠 선택 UI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자물쇠 리스트에 포함된 전자자물쇠(300) 각각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콘 형태로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되, 적어도 하나의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UI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한 자물쇠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전자자물쇠(3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300).
다음으로, 상기 S300 단계에 따른 확인 결과, 제1 전자자물쇠(300)와의 연결이 끊긴 상태인 경우, 서버(200)에서 제1 전자자물쇠(300)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제1 전자자물쇠(3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1 OTP 번호(P1)를 생성한 후(S320)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④).
여기서, 제1 OTP 번호(P1)는, 하루 24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단위로 구분한 후 제1 전자자물쇠(300)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가 속하는 시간대에 대응하는 소정값을 가지는 OTP 시각 정보(P1_1)와, 자물쇠 정보 DB(212)에 기저장된 제1 전자자물쇠(300)의 GPS 위치 정보에 기초한 OTP 위치 정보(P1_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만일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선택된 자물쇠 정보가 식별번호가 'B'인 전자자물쇠 'B'인 경우, 상기 S320 단계에서는 서버(200)에서 전자자물쇠 'B'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한 시각 정보인 '2018-10-11 오후 1:30'에 기초한 OTP 시각 정보(P1_1)에 해당하는 제1값과 전자자물쇠 'B'의 위치정보인 'ㄱ대로11번길'에 기초한 OTP 위치 정보(P1_2)에 해당하는 제2값을 포함하는 제1 OTP 번호(P1)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S300 단계에 따른 확인 결과, 제1 전자자물쇠(300)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전자자물쇠(300)로 제1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여부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⑤).
다음으로, 제1 전자자물쇠(301)에서 제1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한 후(S340) 이를 서버(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⑥).
다음으로, 전술한 ⑥단계에 수신한 사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자자물쇠(300)가 미사용 상태인 경우(S420),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1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잠금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다(S440).
이때, 상기 잠금 해제 정보는 제1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 설정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1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후(S460) 이에 대한 사용 요청과 함께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서버(200) 및 제1 전자자물쇠(300)로 전송한다(⑦).
여기서, 상기 S460단계에서는, 상기 S180 단계에 선택된 자물쇠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결제의 승인 여부를 입력받아 결제 승인 시 이에 기초한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을 기등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제 수단은 금융회사(은행, 증권사 등)의 출금계좌나 신용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부(150)는 기등록된 금융회사의 출금계좌로부터 계좌 이체 방식이나, 기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식을 이용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⑦단계에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버(200) 및 제1 전자자물쇠(300)로 전송한 상기 사용 예약 요청에 대한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제1 전자자물쇠(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예약 시간대 정보와 잠금 해제 정보(비밀번호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제1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사용 예약 요청을 수신하면, 제1 전자자물쇠(300)에 대응되는 자물쇠 정보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갱신한다(S520).
예컨대, 소정의 전자자물쇠(3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만일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 시간대 정보가 '14:00~15:00'라면,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사용 상태 정보는 예약 시간대(14:00~15:00)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는 현재 누군가가 사용 중인 상태(○)인 것으로 갱신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전자자물쇠(300)에서 서버(200)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잠금 해제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로 설정한다(S540).
여기서, 상기 S540 단계에서는 서버(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전자자물쇠(300)에 대한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 시간대 정보와 잠금 해제 정보(비밀번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 시간대 정보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비밀번호로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전자자물쇠(3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사용 예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 시간대 정보가 '14:00~15:00'이고 잠금 해제 정보(비밀번호 설정 정보)가 '112233'라면, '14:00~15:00'의 시간동안 해당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비밀번호는 '112233'으로 설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전자자물쇠(300)의 경우, 서버(200)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땐 전술한 '④단계 -> S340 단계 -> ⑥단계 -> ⑦단계 -> S540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나, 서버(200)와의 연결이 끊기는 상태일 땐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전자자물쇠(300)에서 소정 시간마다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한다(S200).
다음으로, 전자자물쇠(300)에서 소정 시점에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점의 시각 정보와 전자자물쇠(3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2 OTP 번호(P2)를 생성한다(S220).
여기서, 제2 OTP 번호(P2)는, 하루 24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Tc) 단위로 구분한 후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가 속하는 시간대에 대응하는 소정값을 가지는 OTP 시각 정보(P2_1)와, 자물쇠 위치 정보 획득부(320)에 의해 획득된 현재 GPS 위치정보에 기초한 OTP 위치 정보(P2_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 1과 같이 식별번호가 '0013'인 전자자물쇠 'B'에서 '2018-10-11 오후 1:28'에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S220 단계에서는 서버(200)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한 시각 정보인 '2018-10-11 오후 1:28'에 기초한 OTP 시각 정보(P2_1)에 해당하는 제3값과 전자자물쇠 'B'의 위치정보인 'ㄱ대로11번길'에 기초한 OTP 위치 정보(P2_2)에 해당하는 제4값을 포함하는 제2 OTP 번호(P2)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자자물쇠(300)에서 상기 S220 단계에 생성된 제2 OTP 번호를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로 설정한다(S24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로 수신된 상기 제1 OTP 번호를 전자자물쇠(300)의 비밀번호로 입력하면(S620), 상기 제1 OTP 번호와 상기 제2 OTP 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OTP 시각 정보가 일치함에 따라 전자자물쇠(3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S640).
이때, 상기 S320 단계에 생성된 제1 OTP 번호(P1)와 상기 S220 단계에 생성된 제2 OTP 번호(P2)가 각각 생성된 시각이 임계 시간(Tc)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시간대 중 동일 시간대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OTP 번호(P1)에 대응되는 OTP 시각 정보(P1_1)와 제2 OTP 번호(P2)에 대응되는 OTP 시각 정보(P2_1)가 일치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로 수신된 제1 OTP 번호(P1)를 제1 전자자물쇠(301)의 비밀번호 입력부(340)를 통해 제1 전자자물쇠(30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로 입력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제1 전자자물쇠(30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불가피한 재난 상황으로 인해 갑자기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전자자물쇠(300)와 서버(200) 간의 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엔, 서버(200)와 자물쇠(300)에서 각각 자체적으로 구비한 연결 끊김 감지 기능과 이에 기초한 OTP 번호 생성 기능을 통해 연결 끊김을 감지한 시각 정보와 해당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OTP 비밀번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자물쇠(300)와 서버(200) 간의 통신 연결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짐 보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짐 보관을 원하는 사람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하면서도 사용자의 예상 동선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상업 매장 내 유휴 공간을 선택하여 짐 보관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짐 보관을 위한 불필요한 이동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 내 유휴 공간이 있는 점주와 짐 보관을 원하는 사람을 중개하여 위탁 보관 절차를 대행함으로써, 점주는 위탁 보관에 대한 이용료와 같은 경제적인 이익을 얻고, 짐 보관을 요청하는 사람은 가까운 거리에서 짐을 보관하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어 두 사람 간의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보관 공간 정보 입력부
120: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부 130: 표시부
140: 선택부 150: 결제부
200: 서버 210: 자물쇠 정보 관리부
212: 자물쇠 정보 DB 220: 검색부
230: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 240: 제1 통신부
250: 제1 연결상태 감지부 260: 제1 OTP 생성부
300: 전자자물쇠 310: 상태 정보 획득부
320: 자물쇠 위치 정보 획득부 330: 잠금 제어부
340: 비밀번호 입력부 350: 제2 통신부
360: 제2 연결상태 감지부 370: 제2 OTP 생성부

Claims (7)

  1.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전자자물쇠와,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전자자물쇠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소정 시간마다 각각의 상기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짐 보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한 자물쇠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의 확인 결과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이 끊긴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1 OTP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자물쇠에서 소정 시간마다 상기 서버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자자물쇠에서 소정 시점에 상기 서버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점의 시각 정보와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2 OTP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자자물쇠에서 상기 제2 OTP 번호를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TP 번호와 상기 제2 OTP 번호는,
    하루 24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단위로 구분한 후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가 속하는 시간대에 대응하는 소정값을 가지는 OTP 시각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GPS 위치 정보에 기초한 OTP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TP 번호와 상기 제2 OTP 번호가 각각 생성된 시각이 상기 임계 시간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시간대 중 동일 시간대에 속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된 상기 제1 OTP 번호를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비밀번호로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1 OTP 번호와 상기 제2 OTP 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OTP 시각 정보가 일치함에 따라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확인 결과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전자자물쇠로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사용 여부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1 전자자물쇠로부터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사용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자물쇠가 미사용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자물쇠에 대한 잠금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후 이에 대한 사용 요청과 함께 상기 잠금 해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6. 복수의 전자자물쇠 각각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전자자물쇠에 대응되는 유휴 공간의 크기 정보 및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자물쇠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물쇠 정보 관리부;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짐 보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짐 보관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자물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별적으로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를 리스트화한 자물쇠 리스트를 생성하는 자물쇠 리스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자물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물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자물쇠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소정 시간마다 각각의 상기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연결상태 감지부; 및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한 자물쇠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이 끊긴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전자자물쇠와의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상기 제1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1 OTP 번호를 생성하는 제1 OTP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7. 소정의 유휴 공간에 구비되되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서버를 경유하여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전자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전자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값을 입력받는 비밀번호 입력부;
    소정 시간마다 상기 서버와의 연결 끊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연결상태 감지부;
    상기 서버와의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연결 끊김이 감지된 시각 정보와 상기 전자자물쇠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제2 OTP 번호를 생성하는 제2 OTP 생성부; 및
    상기 제2 OTP 번호를 상기 전자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공간에 구비되는 전자 자물쇠.
KR1020180148170A 2018-11-27 2018-11-27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39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170A KR102139871B1 (ko) 2018-11-27 2018-11-27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170A KR102139871B1 (ko) 2018-11-27 2018-11-27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591A KR20200062591A (ko) 2020-06-04
KR102139871B1 true KR102139871B1 (ko) 2020-07-30

Family

ID=7108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170A KR102139871B1 (ko) 2018-11-27 2018-11-27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4252B (zh) * 2020-12-01 2022-03-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门锁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102646483B1 (ko) * 2021-03-05 2024-03-12 주식회사 플라츠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부동산 임대 추천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99B1 (ko) 2015-10-12 2016-08-29 주식회사 짐좀 생활 밀접형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KR101788121B1 (ko) 2015-04-14 2017-10-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함 통합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50B1 (ko) 2006-06-30 2007-09-04 에스엠공업시스템주식회사 무선 인식 기술을 이용한 물품 보관함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94470A (ko) * 2016-02-06 2017-08-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121B1 (ko) 2015-04-14 2017-10-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함 통합관리 시스템
KR101651899B1 (ko) 2015-10-12 2016-08-29 주식회사 짐좀 생활 밀접형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591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99284A1 (en) Locker system
PH1201550174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key exchanges
CN108564692A (zh) 一种基于区块链的解锁验证方法以及解锁系统
JP6644519B2 (ja) 予約チェックイン方法および予約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JP2010071009A (ja) 開錠システム及び開錠方法
US10015637B2 (en) Presence monitoring
JP6938319B2 (ja) 認証管理システム
JP6482220B2 (ja) 収納装置及び備品貸出システム
KR102139871B1 (ko)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전자자물쇠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EP1410346B1 (en) Secure home delivery system
CN107886602A (zh) 一种开锁方法及系统
CN101089350A (zh) 一种使用寄存箱实现的货物传递方法
KR20210033154A (ko) 실시간 숙박시설 관리 시스템
EP2889812A1 (en) Room access control system
JP2004030159A (ja) ロッカー利用予約システム
US20190340853A1 (en) Seamless hands-free reader route to a destination
JP2003016519A (ja) 保管庫管理サーバー及び保管庫
JP2004026496A (ja) 配送先ロッカーの予約指定システム
KR20030087541A (ko) 로커 수납물의 배송 시스템
EP1261941B1 (en) Management of permit codes
JP2003288432A (ja) 受付案内装置及び受付案内システム
JP2010168785A (ja) ロッカーの開錠・施錠制御方法
KR102082058B1 (ko)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짐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110437A (ko) 무인차량키출납기를 포함한 차량관리시스템
JP2003337979A (ja) ロッカ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