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446B1 -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446B1
KR102081446B1 KR1020190059856A KR20190059856A KR102081446B1 KR 102081446 B1 KR102081446 B1 KR 102081446B1 KR 1020190059856 A KR1020190059856 A KR 1020190059856A KR 20190059856 A KR20190059856 A KR 20190059856A KR 102081446 B1 KR102081446 B1 KR 10208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ed lamp
warning
emergency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김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환 filed Critical 김수환
Priority to KR1020190059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입구 상단에 직접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터널입구 전방 진입로에 설치되는 각종 형태의 지주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수용함체내에 장착된 정역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에 귄취되어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경고문구나 문양이 새겨진 메쉬망스크린을 승,하강시켜 운전자에게 비상사태 발생을 알려주도록 하는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스크린의 하측부분에 새겨진 경고문구와는 별개로, 간접발광체가 아닌 전원을 공급받되 컨버터와 점멸조절기를 통해 셋팅된 전기신호에 의해 점멸하는 복수의 LED램프로 구성된 경광부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한 특수한 구성의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야간이나 흐린 날씨때문에 경고문구나 문양의 선명한 식별이 불가능하더라도 경광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램프의 점멸에 의하여 표출되는 문자나 부호 또는 픽토그램이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도 터널내부의 비상사태발생 상황을 보다 멀리에서도 확연히 식별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극대화하도록 이루어진 것과;
경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을 정역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에 배선꼬임방지장치를 이용하여 구동축 내부를 관통되게 연계설치하여서 전기신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승강시 스크린 감겨 부피가 늘어나거나 하강시 스크린이 풀리면서 전원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끊어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랫동안 고장없이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과;
경광부를 구성하는 LED램프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Emergency road block device}
본 발명은 교량이나 침수도로 터널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교량이나 도로 도는 터널의 붕괴나 차량사고 또는 이들의 개보수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작동하여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주는데 사용되는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하측부분에 새겨진 경고문구와는 별개로, 간접발광체가 아닌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점멸하는 LED램프로 구성된 경광부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함으로써,
야간이나 안개나 구름 폭우 등의 흐린 날씨때문에 경고문구나 문양의 선명한 식별이 불가능하더라도 경광부에 구비되는 LED램프의 점멸에 의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터널내부의 비상사태발생 상황을 보다 멀리에서도 확연히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에 관한 것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침수도로 또는 터널과 같은 장소는 한번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쉽게 빠져나올 수가 없으므로 긴급사태 발생시 도로를 차단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특히, 터널에서 자동차 사고나 누전 등으로 인해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화염 및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손쉽게 분산되지 않아 질식사고 등의 위험성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화재 사고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터널내로 운전자가 진입하는 경우 신속한 대피가 매우 곤란하여 대형 인적사고 및 물적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터널에서 화재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그 내부공간이 너무 어두워 대피 및 소화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방서 등에 화재신고를 한다고 하더라도 터널내에 진입된 차량으로 인해 소화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인적 및 물적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터널의 진입로에서, 예컨대 사람이 깃발 등을 이용한 수신호를 통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화재사고의 위험성을 신속하게 알리기에 매우 미흡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수신호를 무시하는 경우 차단할 마땅한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선등록 고안으로서 실용신안 등록 제20-335062호가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입구 전방 진입로에 설치되는 각종 형태의 지주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프레임(1)에 설치되는 수용함체(10)내에 제어기(20)를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관제실에서 유,무선으로 제어기(20)를 조작하여 작동되는 정역모터(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31)에 귄취되어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경고문구(41)나 문양이 새겨진 메쉬망스크린(40)을 승,하강시켜 운전자에게 비상사태 발생을 알려줌으로써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여주는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선등록 고안은 터널내 사고가 없는 평상시에는 수용함체(10)내에 메쉬망스크린(40)이 롤형태로 감겨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가,
터널내에 사고가 발생하면 제어기(20)내의 스위치 조작으로 입력된 사고발생신호에 의해 정역모터(30)의 작동으로 경고문구가 새겨진 메쉬망스크린(40)이 하강하여 터널내 사고를 경고하여 줌으로써 원천적으로 차량의 터널내 진입을 금지시켜 자칫 발생할 수 있는 더 이상의 인명피해가 없도록 하여 주며,
터널내 사고 처리가 진압완료되어 제어기(20)내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고발생신호를 해제하면 정역모터(30)의 역회전으로 하강하였던 메쉬망스크린(40)이 수용함체(10)내부로 감아 올려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등록 고안은 터널내 비상사태발생시 경고문구가 새겨진 메쉬망스크린이 하강하는 높이가 현재 도상위 2.2M까지 하강하는 것이기는 하나,
전고가 낮은 차량의 경우에는 경고문구를 확실히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를 하였더라도 경고문구가 잘 보이지 않아 대수롭게 여기고 그대로 터널 내로 진입하게 됨으로써 제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메쉬망스크린에 새겨진 경고문구는 고휘도반사지로 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자체발광체가 아닌 간접발광체이어서 빛이 없는 야간은 물론 안개가 끼는 등 흐린 날씨에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고속으로 질주하는 운전자가 이를 식별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지로 이와같은 인지부족 및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 따른 식별력의 한계 때문에 터널내에 2차적인 대형사고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스크린의 하측부분에 새겨진 경고문구와는 별개로, 간접발광체가 아닌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점멸하는 LED램프로 구성된 경광부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한 특수한 구성의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야간이나 흐린 날씨때문에 경고문구나 문양의 선명한 식별이 불가능하더라도 경광부에 구비되는 LED램프의 점멸에 의하여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도 터널내부의 비상사태발생 상황을 보다 멀리에서도 확연히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꾀할 수 있도록 하여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는 기본적으로 터널입구 상단에 직접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터널입구 전방 진입로에 설치되는 각종 형태의 지주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수용함체내에 장착된 정역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에 귄취되어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경고문구나 문양이 새겨진 스크린을 승,하강시켜 운전자에게 비상사태 발생을 알려주는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하측부분에 새겨진 경고문구와는 별개로, 간접발광체가 아닌 전원을 공급받되 컨버터와 점멸조절기를 통해 셋팅된 전기신호에 의해 점멸하는 복수의 LED램프로 구성된 경광부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한 특수한 구성의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야간이나 흐린 날씨때문에 경고문구나 문양의 선명한 식별이 불가능하더라도 경광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램프의 점멸에 의하여 표출되는 문자나 부호 또는 픽토그램이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도 터널내부의 비상사태발생 상황을 보다 멀리에서도 확연히 식별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극대화하도록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을 정역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에 배선꼬임방지장치를 이용하여 구동축 내부를 관통되게 연계설치하여서 전기신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승강시 스크린 감겨 부피(두께)가 늘어나거나 하강시 스크린이 풀리면서 전원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끊어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랫동안 고장없이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광부를 구성하는 LED램프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상사태 발생시 승하강하는 메쉬망스크린의 하측부분에 새겨진 경고문구와는 별개로, 간접발광체가 아닌 전원을 공급받되 컨버터와 점멸조절기를 통해 셋팅된 전기신호에 의해 점멸하는 복수의 LED램프를 설치하여서된 경광부가 더 구성되어 있고 LED램프의 배열 및 색상들 그리고 점멸방식의 조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점멸되기 때문에 야간이나 하늘에 구름이 끼거나, 안개가 끼거나, 폭우가 내리거나 할 경우처럼 흐린 날씨 때문에 경고문구나 문양의 선명한 식별이 불가능하더라도 경광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램프의 점멸에 의하여 표출되는 문자나 부호 또는 픽토그램이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도 터널내부의 비상사태발생 상황을 보다 멀리에서도 확연히 식별 가능하므로 운전자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터널내 비상사태 발생을 확실히 인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완벽하게 방지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경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을 정역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에 전선으로 연결된 고정체와 회전체의 전기적 신호와 데이터,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링타입의 배선꼬임방지장치를 이용하여 구동축 내부를 통해 구동축에 형성된 배선출구를 통과하여 경광부의 LED램프에 연결 설치하였기 때문에 구동축의 정역회전과 동시에 구동축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의 연결부위가 동시에 정역회전하므로 메쉬망스크린이 롤형태로 감기면서 승강시 부피가 늘어나거나 이와는 반대로 롤형태로 감겨있던 메쉬망스크린이 풀리면서 하강시 전원케이블의 연결부위가 꼬이면서 당겨져 끊어지는 현상이 완벽하게 방지되는 것이어서 오랫동안 고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는 한편, LED램프의 설치시 먼저 메쉬망스크린의 하단부 전면에 반사지를 소정폭으로 고정설치 함과 동시에 램프설치구멍을 타공한 다음,
이 램프설치구멍에 광확산렌즈가 구비된 LED램프를 삽입한 후 고정너트로 고정한 상태에서 LED램프들을 전원케이블과 연결설치하고,
후면을 전원케이블이 보호되도록 메쉬망스크린으로된 커버체(150)로 커버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기때문에 LED램프의 교체시 전원케이블 보호용 메쉬망스크린을 떼어낸 상태에서 고정너트를 풀러주면 램프설치구멍으로부터 고장난 LED램프를 떼어내어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LED램프의 교체 또한 매우 용이한 등의 여러가지 잇점이 복합적으로 발휘되는 것이어서 매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메쉬망스크린을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메쉬망스크린을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요부 구성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종래의 메쉬망스크린을 이용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요부 구성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로서,
도 4는 일 구성상태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5는 배선꼬임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LED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램프설치구멍을 타공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램프설치구멍에 LED램프를 설치하는 도면.
도 8은 LED램프를 모두 설치하여 경광부를 형성한 도면
도 9는 LED램프의 점멸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LED램프의 점멸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경고문구에도 LED램프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는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0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입구 상단에 직접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터널입구 전방 진입로에 설치되는 각종 형태의 지주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프레임(1)에 설치되어 지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수용함체(10)내에 장착된 정역모터(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31)에 귄취되어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경고문구(41)나 문양이 새겨진 메쉬망스크린(40)을 승,하강시켜 운전자에게 비상사태 발생을 알려 주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상기 메쉬망스크린(40)의 하측부분에 새겨진 경고문구(41)와는 별개로, 간접발광체가 아닌 전원을 공급받되 컨버터(110)와 점멸조절기(120)를 통해 셋팅된 전기신호에 의해 점멸하는 복수의 LED램프(140)를 다양한 배열 및 색상, 점멸형태를 가지도록 설치하여서 된 경광부(100)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야간이나 흐린 날씨때문에 경고문구(41)나 문양의 선명한 식별이 불가능하더라도 경광부(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램프(140)의 점멸에 의하여 표출되는 문자나 부호 또는 픽토그램이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도 터널내부의 비상사태발생 상황을 보다 멀리에서도 확연히 식별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극대화된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경광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130)을 전원을 공급받는 전도체로된 다수의 브러쉬가 구비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며 브러쉬와 접촉되는 전도체로된 다수의 링이 구비되는 회전체로 구성되어져 회전체(220)가 회전하면서 전기적 신호와 데이터,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슬립링타입의 배선꼬임방지장치(200)를 이용하여 구동축(31) 내부를 통해 구동축(31)에 형성된 배선출구(31a)를 통과시켜 경광부(100)의 LED램프(140)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전기신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구동축(31)의 정역회전과 동시에 구동축(31)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전원케이블(130)의 연결부위(131)가 동시에 정역회전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메쉬망스크린(40)이 롤형태로 감기면서 승강시 부피가 늘어나거나 이와는 반대로 롤형태로 감겨있던 메쉬망스크린(40)이 풀리면서 하강시 전원케이블(130)의 연결부위(131)가 꼬이면서 당겨져 끊어지는 현상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스크린(40)에 설치되어 경광부(100)를 구성하는 LED램프(140)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메쉬망스크린(40)의 하단부 전면에 반사지(101)를 소정폭으로 고정설치 함과 동시에 반사지(101)에 램프설치구멍(101a)을 다양한 형태로 타공한 다음,
이 램프설치구멍(101a)에 광확산렌즈(141)가 구비된 LED램프(140)를 삽입한 후 고정너트(142)로 고정한 상태에서 LED램프(140)들을 전원케이블(130)과 연결설치하고,
후면을 전원케이블이 보호되도록 메쉬망스크린으로된 커버체(150)로 커버하는 구성을 채택하였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스크린(40)의 하단부 전면에 반사지(101)를 소정폭으로 고정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메쉬망스크린(40)의 하단부 전면에 소정폭으로 반사지(101)를 부착한 다음 반사지(101)가 떨어지지 않도록 재봉을 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 둔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고문구(41)에도 LED램프(140)를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에서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종래의 차량 차단장치와 마찬가지로 메쉬망스크린(40)의 수용함체(10)의 전방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거나 상부에 경광등이나 경고음을 발생용 스피커를 설치하는 것은 물론, 경고문구(41)에 빛을 비춰줄 수 있는 스포트라이트 등의 여러가지 편의사양이 더 설치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수용함체(10)를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메쉬망스크린(40)을 좌,우로 위치이동시켜 줌으로써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경우에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터널입구 상단에 직접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터널입구 전방 진입로에 설치되는 각종 형태의 지주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프레임(1)에 설치되어 지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수용함체(10)내에 장착된 정역모터(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31)에 귄취되어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경고문구(41)나 문양이 새겨진 메쉬망스크린(40)을 승,하강시켜 운전자에게 비상사태 발생을 알려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메쉬망스크린(40)이 구동축에 롤형태로 감겨있는 상태로 수용함체(10)내에 구비되어 있다가, 터널내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설치프레임(1)에 설치되는 수용함체(10)내에 제어기(20)를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관제실에서 유,무선으로 제어기(20)를 조작하여 정역모터(30)를 정회전(메쉬망스크린을 푸는 방향)시키면, 구동축(31)에 귄취되어진 메쉬망스크린(40)이 풀려지면서 하강하여 경고문구(41)나 문양이 새겨진 부분이 들어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쉬망스크린(40)의 하측부분에 새겨진 경고문구(41)와는 별개로, 간접발광체가 아닌 전원을 공급받되 컨버터(110)와 점멸조절기(120)를 통해 셋팅된 전기신호에 의해 점멸하는 복수의 LED램프(140)를 설치하여서 구성된 경광부(100)가 더 구성되어 있으므로,
특히, 도 9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같이 LED램프(140)의 배열 및 색상들 그리고 점멸방식의 조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점멸된다.
따라서, 야간이나 하늘에 구름이 끼거나, 안개가 끼거나, 폭우가 내리거나 할 경우처럼 흐린 날씨 때문에 경고문구(41)나 문양의 선명한 식별이 불가능하더라도 경광부(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램프(140)의 점멸에 의하여 표출되는 문자나 부호 또는 픽토그램이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도 터널내부의 비상사태발생 상황을 보다 멀리에서도 확연히 식별 가능하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이와같은 터널내 비상사태 발생을 확실히 인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한편, 도 11과 같이 상기 메쉬망스크린(40)에 형성한 경고문구(41)에도 LED램프를 더 설치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시인성이 더욱 좋아 진다.
이와같이 하여 운전자의 안전사고의 발생없이 터널내 비상사태가 모두 해결되면,
이번에는 정역모터(30)를 역회전(메쉬망스크린을 감는 방향)시키면, 구동축(31)에 귄취되어진 메쉬망스크린(40)이 구동축(31)에 롤형태로 감겨지면서 승강하여 수용함체(10)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경광부(100)에 구비된 LED램프(140)의 점멸도 멈추어 진다.
한편, 본 발명은 앞에서도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상기 경광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130)을 정역모터(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31)에 전선으로 연결된 고정체(210)와 회전체(220)의 전기적 신호와 데이터,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링타입의 배선꼬임방지장치(200)를 이용하여 구동축(31) 내부를 통해 구동축(31)에 형성된 배선출구(31a)를 통과하여 경광부(100)의 LED램프(140)에 연결 설치하였기 때문에 구동축(31)의 정역회전과 동시에 구동축(31)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전원케이블(130)의 연결부위(131)가 동시에 정역회전한다.
따라서, 메쉬망스크린(40)이 롤형태로 감기면서 승강시 부피(두께)가 늘어나거나 이와는 반대로 롤형태로 감겨있던 메쉬망스크린(40)이 풀리면서 하강시 전원케이블(130)의 연결부위(131)가 꼬이면서 당겨져 끊어지는 현상이 완벽하게 방지되는 것이어서, 오랫동안 고장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LED램프(140)의 설치시 먼저 메쉬망스크린(40)의 하단부 전면에 반사지(101)를 소정폭으로 고정설치 함과 동시에 램프설치구멍(101a)을 타공한 다음,
이 램프설치구멍(101a)에 광확산렌즈(141)가 구비된 LED램프(140)를 삽입한 후 고정너트(142)로 고정한 상태에서 LED램프(140)들을 전원케이블(130)과 연결설치하고,
후면을 전원케이블이 보호되도록 메쉬망스크린으로된 커버체(150)로 커버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기때문에 LED램프(140)의 교체시 메쉬망스크린으로된 커버체(150)를 떼어낸 상태에서 고정너트(142)를 풀러주면 램프설치구멍(101a)으로부터 고장난 LED램프(140)를 떼어내어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LED램프(140)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수평프레임 10:수용함체
20:제어기 30:정역모터
31:구동축 31a:배선출구
40:메쉬망스크린 41:경고문구
100:경광부 101:반사지
101a:램프설치구멍 110:컨버터
120:LED점멸조절기 130:케이블
131:연결부위 140:LED램프
141:광확산렌즈 142:고정너트
150:커버체 200:배선꼬임방지장치
210:고정체 211:브러쉬
220:회전체 221:링

Claims (4)

  1. 터널입구 상단에 직접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터널입구 전방 진입로에 설치되는 각종 형태의 지주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프레임(1)에 설치되는 수용함체(10)내에 장착된 정역모터(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31)에 귄취되어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경고문구(41)나 문양이 새겨진 메쉬망스크린(40)을 승,하강시켜 운전자에게 비상사태 발생을 알려주는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스크린(40)의 하측부분에 새겨진 경고문구(41)와는 별개로, 간접발광체가 아닌 전원을 공급받되 컨버터(110)와 점멸조절기(120)를 통해 셋팅된 전기신호에 의해 점멸하는 복수의 LED램프(140)를 설치하여서된 경광부(100)를 더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광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130)을 정역모터(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축(31)에, 전원을 공급받는 전도체로된 다수의 브러쉬(211)가 구비되는 고정체(210) 및 상기 고정체(210)의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며 브러쉬(211)와 접촉되는 전도체로된 다수의 링(221)이 구비되는 회전체(220)로 구성되어져 회전체(220)가 회전하면서 전기적 신호와 데이터,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슬립링타입의 배선꼬임방지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220)의 링(221)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케이블(130)을 구동축(31)에 형성된 배선출구(31a)를 통과시켜 경광부(100)의 LED램프(140)에 연결설치하여서,
    전기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구동축(31)의 정역회전과 동시에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구동축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전원케이블(130)의 연결부위(131)가 동시에 정역회전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메쉬망스크린(40)에 설치되어 경광부(100)를 구성하는 LED램프(140)는,
    LED램프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메쉬망스크린(40)의 하단부 전면에 반사지(101)를 소정폭으로 고정설치 함과 동시에 램프설치구멍(101a)을 타공한 다음,
    이 램프설치구멍(101a)에 광확산렌즈가 구비된 LED램프(140)를 삽입한 후 고정너트(142)로 고정한 상태에서 LED램프(140)들을 전원케이블(130)과 연결설치하고,
    후면을 전원케이블(130)이 보호되도록 함과 동시에 메쉬망스크린(40)의 감기거나 펼쳐지는 것에 지장이 없도록 메쉬망스크린으로 된 커버체(150)로 커버하여 설치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59856A 2019-05-22 2019-05-22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KR10208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56A KR102081446B1 (ko) 2019-05-22 2019-05-22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56A KR102081446B1 (ko) 2019-05-22 2019-05-22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446B1 true KR102081446B1 (ko) 2020-02-25

Family

ID=6964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856A KR102081446B1 (ko) 2019-05-22 2019-05-22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044A (zh) * 2021-03-12 2021-05-28 陕西西公院工程试验检测有限公司 一种便携式桥梁隧道用施工警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185Y1 (ko) * 2003-12-11 2004-03-16 이정섭 시선유도용 회전날개를 갖는 간판
KR20060088153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2783U (ko) * 2009-06-16 2010-12-24 박재실 도로 표시판
KR20170125285A (ko) * 2016-05-04 2017-11-14 김선민 도로 표지 장치
KR20190048322A (ko) * 2017-10-31 2019-05-09 신영래 차량진입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185Y1 (ko) * 2003-12-11 2004-03-16 이정섭 시선유도용 회전날개를 갖는 간판
KR20060088153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2783U (ko) * 2009-06-16 2010-12-24 박재실 도로 표시판
KR20170125285A (ko) * 2016-05-04 2017-11-14 김선민 도로 표지 장치
KR20190048322A (ko) * 2017-10-31 2019-05-09 신영래 차량진입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044A (zh) * 2021-03-12 2021-05-28 陕西西公院工程试验检测有限公司 一种便携式桥梁隧道用施工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742B1 (ko)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2650A (ko) 교통신호등
KR102081446B1 (ko)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KR101197319B1 (ko) 도로의 조명장치
KR20070001862A (ko) 도로위험 사전 경보표시 장치
KR102018954B1 (ko) 차량진입 차단장치
KR20090064926A (ko) 안개 유도램프 장치
KR200385884Y1 (ko) 주차방지용 설치구
KR101265004B1 (ko)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KR101447991B1 (ko)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KR101672733B1 (ko) 누전 알림 기능을 갖는 가로등용 분전함
KR100715590B1 (ko)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KR101168132B1 (ko) 우측통행 유인수단을 갖는 횡단보도 캐노피
KR101607318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KR102006627B1 (ko) 후방 안전 표시장치
JP6074268B2 (ja) 道路情報表示装置
KR102484562B1 (ko)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ITMI990807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stradale
CN212408476U (zh) 一种隧道防汛应急智能灯杆
KR200342746Y1 (ko) 전선권취구
KR102355156B1 (ko) 터널 진입 차단장치
KR101848599B1 (ko) 자동차용 비상상황 알림장치
CN219450501U (zh) 隧道入口拦阻装置
KR200449557Y1 (ko) 충돌방지 경고기능을 가지는 교통신호 제어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