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2650A - 교통신호등 - Google Patents

교통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2650A
KR19990052650A KR1019970072160A KR19970072160A KR19990052650A KR 19990052650 A KR19990052650 A KR 19990052650A KR 1019970072160 A KR1019970072160 A KR 1019970072160A KR 19970072160 A KR19970072160 A KR 19970072160A KR 19990052650 A KR19990052650 A KR 19990052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ffic
unit
sub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부용
Original Assignee
신부용
주식회사 교통환경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부용, 주식회사 교통환경연구원 filed Critical 신부용
Priority to KR1019970072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2650A/ko
Priority to US09/154,592 priority patent/US6072407A/en
Publication of KR1999005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6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통신호등은 보이고자 하는 색상이나 문양을 각기 별개의 등으로 보이는 전기기계식 기술에 의한 것으로서 여러개의 등을 조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형화되어 중량이 크고 풍압을 많이 받아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도 거대해지며 제품의 가격뿐 아니라 설치비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자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색상과 문양(기호, 문자 혹은 도안)을 하나의 신호표시부에 입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함으로써 경량, 단순화한 교통신호등이다. 이로써 신호기 제작 원가는 물론 설치비를 절감하고 사용 전력의 수요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이고자 하는 색상이나 문양 등 주(主) 신호부 이외에 신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한쪽부터 점차 소등시킴으로써 주기 전환을 예고해주는 부(副) 신호부를 보임으로써 운전자가 신호 전환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하여 신호가 언제 변환될지 모르는 불안을 없애주고 안전운전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통신호등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Traffic Signal Light)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위치에 다양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의 교통신호등이나 공사현장 또는 사고현장등에서는 차량의 진행이나 보행자의 보행을 통제하기 위하여 단일 색상이나 문양을 가지는 다수개의 등이 조합된 신호등이 설치된다.
종래 보편적인 도로상의 교통신호등은 케이스내에 설치되는 전등과, 이 전등의 전면에 설치되는 색필터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전방으로 연장설치되어 태양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후드로 구성되며, 상기 색필터는 표시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적색, 녹색 및 황색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신호대상에 따라 차량등(車輛燈), 보행등(步行燈)으로 구분되며, 차량등은 녹색등과 적색등으로 구성되는 2색등(二色燈), 2색등에 황색등이 첨가되는 3색등(三色燈), 3색등에 녹색화살표가 첨가되는 4색등(四色燈)으로 구분되고, 보행등은 녹색과 적색의 2색등으로 구성된다. 녹색, 적색 및 황색은 점멸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경보등(警報燈)으로서는 황색 점멸등이 사용된다. 이 밖에 가변차선 신호등이 있는데 이는 녹색 화살표등과 적색 "X"자 표시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신호등은 종형(縱形) 또는 횡형(橫形)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차량등은 종형 또는 횡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보행등은 종형으로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신호등의 배치에 있어서 각 색상의 등들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운전자나 보행자가 색상은 식별하지 못할 경우에도 점등된 등의 위치에 의해 신호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보이고자 하는 신호부를 점등하면 전등의 불빛에 의하여 밝게 비춰지면서 당해 신호부의 위치와 색상을 식별할 수 있게 되고, 혹 색맹이나 색약인 사람이 색상은 식별하지 못하더라도 점등된 신호부와 점등되지 않은 신호부의 위치를 보고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기계식 신호등에서는 필요에 따라 2개 내지 4개의 신호부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신호등 자체가 대형, 중량화되어 제작 및 설치비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풍압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서 강풍이 심하게 부는 경우에는 지주가 신호등을 지탱하지 못하고 넘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호등에서는 여러 개의 전등을 점등 및 소등하는 것으로서 이에 소비되는 전력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신 전자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신호부에 다양한 신호를 입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소형, 경량화한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선택된 신호를 보임과 동시에 신호부 주위에 별도의 신호부를 보이고 이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소등해나감으로써 그 신호 시간이 얼마나 남아있으며 다음 단계의 신호가 언제쯤 도래할 것인지, 즉 주기전환을 예측할 수 있게 하여 안전운전에 기여하도록 한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등 전체의 크기를 소형, 경량화함으로써 풍압에 노출되는 면적을 축소하여 강풍이 부는 경우에도 지주가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의 신호등을 각기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하나의 규격화된 신호등에 의하여 어떠한 종류의 신호라도 필요에 따라 내장된 신호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며 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현행 3색등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1실시예의 과정을 보인 작동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직진 및 좌회전의 동시신호를 갖는 현행 3색등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의 정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3색등으로서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작동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직진신호와 좌회전 신호가 별도로 운행되는 현행 4색등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의 정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4색등으로서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종래의 2색등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4실시예의 작동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종래 가변차선신호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의 정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가변차선표시등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작동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신호등의 부 신호부의 배치와 주 신호부 및 부 신호부의 형상 및 배치를 달리한 변형례들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신호를 내장한 교통신호등의 실제 구성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표시부 20, 20A, 20B : 주 신호부
22 :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부 21 : 좌회전신호부
23 : 진행신호부 24 : 차단신호부
30, 30A, 30B, 30C, 30D, 30E, 30F, 30G, 30G :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신호표시부에, 각종 신호를 표시하는 주 신호부와, 상기 주신호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주 신호부와 동시에 점, 소등되거나 주 신호부와 동시에 점등되었다가 신호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한쪽부터 점차 소등되어 주기전환을 예고해주는 부 신호부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이 제공된다.
상기 주 신호부는 녹색, 적색, 황색의 3색 표시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외에 좌회 전신호용 녹색화살표, 직진/좌회전동시신호용 녹색화살표, 가변차선의 진행신호용 녹색 아래화살표와 가변차선의 차단신호용 적색 "X"자, 보행신호용 2색 표시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또한 녹, 적, 청 3색신호를 점멸식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호등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직진신호와 황색신호 및 정지신호로 제어되는 3색등에 적용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에서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등의 외곽 형태를 형성하는 케이스이고, 2는 외부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후드이고, 10은 다양한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표시부이다.
상기 케이스(1) 및 후드(2)는 통상적인 신호등의 케이스 및 후드와 대략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다만 크기를 달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와 후드(2)는 도시례와 같은 사각형으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른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신호표시부(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발광소자(L)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원형의 주 신호부(20)와, 이 주 신호부(20)의 외곽을 둘러싸는 환형(環形)의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표시부(10)의 주 신호부(20)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에 배치되는 발광소자(L)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 적, 황색의 발광소자(Lg), (Lr), (Ly)들이 전면(全面)에 걸쳐서 균등하게 배치된다.
상기 발광소자(Lg), (Lr), (Ly)로서는 적, 녹, 황색의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된다.또한 이들 발광소자(Lg), (Lr), (Ly)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씩 묶음으로 된 조립체로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조립체는 녹색 발광소자(Lg)와 적색 발광소자(Lr)가 각각 2개씩과 황색 발광소자(Ly)가 1개씩 조립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그 배열 및 개수를 달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주 신호부(20)의 직경은 통상 교통신호등의 규격과 같이 300 ㎜로 하고,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외경은 400 ㎜로 하여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띠폭이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띠폭이 50 ㎜정도로 다소 좁지만 설치면적 5 ㎜×5 ㎜내에 5개 이상의 발광소자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녹, 적, 황색 신호 표시를 선명하게 수행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 신호부(20)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사이에는 주신호부(20)의 빛과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빛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 신호부(20) 및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 사이의 전면(前面)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차광링(4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광링(40)의 돌출 높이는 운전자나 보행자가 신호를 주시할 때 주 신호부(20)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를 지나치게 가리지 않는 정도로 설치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의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통상적으로 좌회전이 금지되거나 비보호보회전이 채택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3현시 신호체제에서의 제어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서 우측에 도시된 범례는 이하의 모든 실시예의 작동도에서 공통이다.
통상적인 3색등의 운영에서는 1단계에서 녹색의 직진신호가 표시되고 2단계에서는 황색신호, 3단계에서는 적색신호가 표시되고, 그 후 다시 1, 2, 3 단계가 반복된다.
1단계의 녹색 직진신호 주기에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신호부(20)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에 배치된 발광소자(L)중 녹색 발광소자(Lg)만 일시에 점등시킴으로써 녹색의 직진신호가 표시된다.
여기서 주 신호부(20)의 녹색 발광소자(Lg)는 직진을 허용하는 녹색신호 주기동안 계속하여 점등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녹색 발광소자(Lg)는 녹색 직진신호 초기에는 전체를 점등시키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12시 방향)에서부터 소등하기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소등시켜 직진신호 주기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완전 소등되도록 하여 녹색 직진신호의 남은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직진신호 주기가 종료될 때 주 신호부(20)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녹색 발광소자(Lg)를 모두 소등시킴과 동시에 주 신호부(20)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황색 발광소자(Ly)를 모두 점등시킴으로써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황색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황색신호주기 동안에도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신호부(30)의 황색 발광소자(Ly)는 점차 소등되어 황색신호가 종료될 때 주 신호부(20)와 부 신호부(30)의 황색 발광소자(Ly)가 모두 소등되고 정지신호 주기로 넘어간다.
정지신호 주기에는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신호부(20)와 부 신호부(30)의 적색 발광소자(Lr)만을 일시에 점등시킴으로써 적색의 정지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주 신호부(20)의 적색 발광소자(Lr)는 정지신호 주기동안 계속하여 점등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적색 발광소자(Lr)는 정지신호 초기에는 전체를 점등시키고 시간이 경과될수록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12시 방향)에서부터 소등시키기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소등시킴으로써 정지신호의 진행 시간과 남은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며, 정지신호 주기가 종료되고 직진신호 주기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주 신호부(20)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적색 발광소자(Lr)를 모두 소등시킴과 동시에 주 신호부(20)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녹색 발광소자(Lg)를 모두 점등시키는 것에 의하여 녹색의 진행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 3b, 도 3d, 도 3f에서 각 주기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등된 부 신호부의 일부(31)가 소등된 상태로 되어 있으나, 다음에 올 신호를 예보해주는 의미로 다음 신호의 색상을 보일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두 색상의 신호가 동시에 표시됨에 따른 혼동을 야기시킬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주 신호부(20)와 부 신호부(30)의 녹, 황, 적 3색 발광소자(Lg, Ly, Lr) 등을 점멸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 색상의 점멸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황색점멸등은 경보등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을 직진/좌회전의 동시신호 현시를 적용하는 신호체제를 보이는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정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신호 제어 과정을 보인 작동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주 신호부(20)내에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부(21)가 구비된 것 이다.
상기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부(21)는 직진/좌회전 동시신호가 통상 녹색으로 표시되는 것이므로 상기 주 신호부(20)내의 녹색 발광소자(Lg)를 배치함에 있어서 여타 부위보다 녹색 발광소자(Lg)를 다량 배치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을 제어함에 있어서는 직진/좌회전 동시신호, 황색신호, 정지신호의 순서로 제어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녹색 직진신호 대신 직진/좌회전 동시신호가 사용되는 것만 다르고 나머지 모든 제어 방법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통상적인 3색등의 운영에서와 마찬가지로 1단계에서 동시신호가 표시되며 2단계에서는 황색신호, 3단계에서는 적색 정지신호가 표시되고, 그 후 다시 1, 2, 3단계가 반복된다.
1단계의 직진/좌회전 동시신호 주기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부(21)와 부 신호부(30)의 녹색 발광소자(Lg)가 일시에 점등시킴으로써 직진/좌회전 동시신호가 표시되게 한다.
여기서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부(21)의 녹색 발광소자(Lg)는 직진/좌회전 동시신호 주기동안 계속하여 점등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는 직진/좌회전 동시신호 초기에는 전체가 점등되고 시간이 경과될수록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12시 방향)에서부터 소등되기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소등시킴으로써 직진/좌회전 동시신호의 진행 시간과 남은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며, 직진/좌회전 동시신호 주기가 종료되고 황색신호 주기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부(21)와 부 신호부(30)의 녹색 발광소자(Lg)를 모두 소등시킴과 동시에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부(21)를 포함한 주 신호부(20) 전체와 부 신호부(30)의 황색 발광소자(Ly)를 모두 점등시키는 것에 의하여 황색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황색신호 주기동안에는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신호부(30)의 황색 발광소자(Ly)는 점차 소등시켜 황색신호가 종료될 때 주 신호부(20)와 부 신호부(30)의 황색 발광소자(Ly)를 모두 소등시킨다.
다음 정지신호 주기에는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신호부(20)와 부 신호부(30)에 배치된 적색 발광소자(Lr)만을 일시에 점등시킴으로써 적색의 정지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주 신호부(20)의 적색 발광소자(Lr)는 정지신호 주기동안 계속하여 점등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부 신호부(30)는 정지신호 초기에는 전체를 점등시키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12시 방향)에서부터 소등시키기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소등시킴은 앞에서 설명한 직진/좌회전 동시신호 주기 및 황색신호 주기의 운영방식과 동일하다.
도 5b, 도 5d, 도 5에서 각 주기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소등된 부 신호부의 일부(31)는 소등된 상태로 되어 있으나, 다음에 올 신호를 예보해주는 의미로 다음 신호의 색상을 보일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두 색상의 신호가 동시에 표시됨에 따른 혼동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운영하여야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을 통상적인 4색 신호등에 적용시켜 제어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은 정면도, 도 7은 현 도로교통법의 규정에 따라 적색 정지신호, 좌회전 전용신호, 황색신호, 녹색의 직진신호, 황색신호의 순으로 운영되는 제어 과정을 보인 작동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 신호부(20)내에 좌회전신호부(22)가 구비된 것이다. 본 좌회전신호부(22)는 좌측을 향하는 화살표로 표시되며, 이 좌회전신호부(22)내에는 그 신호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 신호부(20)내의 여타 부위보다 녹색 발광소자(Lg)를 다량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운영방식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이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는 적색신호를 보이기 위해 주 신호부(20) 전체와 부 신호부(30)의 적색 발광소자(Lr)를 점등시킨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7b는 적색신호가 경과함에 따라 부 신호부(30)의 일부에 일부(31)가 소등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c는 좌회전 신호를 보이기 위하여 주 신호부(20)내의 좌회전신호부(22)와 부 신호부(30)의 녹색 발광소자(Lg)가 모두 점등된 상태를, 도 7d는 좌회전 신호가 경과함에 따라 부 신호부(30)의 일부에 일부(31)가 소등된 상태를 각각 보인 것이다. 도 7e는 황색신호를 보이기 위하여 주 신호부(20) 전체와 부 신호부(30)의 황색 발광소자(Ly)가 모두 점등된 상태를, 도 7f는 황색신호가 경과함에 따라 부 신호부(30)의 일부에 일부(31)가 소등 상태를 각각 보인 것이다. 도 7g는 녹색의 직진신호롤 보이기 위하여 주 신호부(20)와 부 신호부(30)의 녹색 발광소자(Lg)가 모두 점등된 상태를, 도 7h는 녹색신호가 경과함에 따라 부 신호부(30)의 일부(31)가 소등된 상태를 각각 보인 것이다.
도 7b, 도 7d, 도 7f, 도 7h에서 각 주기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소등된 부 신호부(30)의 일부(31)가 소등된 상태로 되어 있으나, 다음에 올 신호를 예보해 주는 의미로 다음 신호의 색상을 보일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두 색상의 신호가 동시에 표시됨에 따른 혼동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운영하여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주 신호부(20)와 부 신호부(30)의 녹, 황, 적색의 발광소자를 점멸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 색상의 점멸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황색 점멸등은 경보등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통상적인 차량용 또는 횡단보행 신호용 2색등에 적용하는 제4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30)의 운영방식은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도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만으로써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a는 적색신호를 보이기 위하여 주 신호부(20) 전체와 부 신호부(30)의 적색 발광소자(Lr)를 점등시킨 상태를, 도 8b는 적색신호가 경과함에 따라 부 신호부(30)의 일부(31)가 소등된 상태를 각각 보인 것이고, 도 8c는 녹색의 직진신호를 보이기 위하여 주 신호부(20)와 부 신호부(30)의 녹색 발광소자(Lg)가 모두 점등된 상태를, 도 8d는 녹색의 직진신호가 경과함에 따라 부 신호부(30)의 일부(31)가 소등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의 2색 신호등에서 특기할 것은 종래의 신호등에서는 황색신호등으로 보여야 했던 예고신호주기를 생략하고 대신에 부 신호부(30)로 점차적인 소등방식을 채택하였다는 점이다. 이렇게 부 신호부(30)를 활용함으로써 사실상 황색신호등의 필요성을 배제시킨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을 가변차선신호등에 적용한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신호등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신호 제어 과정을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가변차선신호등은 주기전환예고가 필요치 않으므로 부 신호부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실질적으로는 모든 신호를 한 규격의 신호등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사상이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도면상에는 부 신호부(30)가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 신호부(20)내에 아래 화살표로 표시되는 진행신호부(23)와 "X"자로 표시되는 차단신호부(24)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진행신호부(23)는 녹색 발광소자(Lg)에 의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차단신호부(24)는 적색 발광소자(Lr)에 의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함에 있어서는 주행차선중 진행차선에 대하여는 진행신호부(23)의 녹색 발광소자(Lg)들만을 점등하는 것에 의하여 주 신호부(20)의 여타 부분을 어두운 배경으로 하여 녹색의 아래 화살표로 되는 진행신호가 표시되도록 하며, 차단차선에 대하여는 차단신호부(24)의 적색 발광소자(Lr)들만을 점등하는 것에 의하여 주 신호부(20)의 여타 부분을 어두운 배경으로 하여 적색의 "X"자로 되는 차단신호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신호등의 부 신호부의 배치와 주 신호부 및 부 신호부의 형상과 배치를 달리한 변형례들을 보인 것이다.
도 11의 변형례에서는 주 신호부(20)의 상, 하부에 부 신호부(30A, 30B)를 구비한 것이고, 도 12의 변형례에서는 주 신호부(20)의 좌, 우측에 주 신호부(30C, 30D)를 구비한 것이다.
도 11의 변형례에서는 부 신호부(30A, 30B)가 단순한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2의 변형례에서는 부 신호부(30C, 30D)가 내측연부는 주 신호부(20)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호부로 형성되고 외측연부는 외곽형태를 형성하는 케이스에 접하는 직선부로 형성하여 전시면적을 극대화한 것이다.
통상 종래의 신호등에서는 적색등이 종형등의 경우 최 상부, 횡형등의 경우 최 좌측에 위치함으로써 색상을 구별하지 못하는 색맹 또는 색약자가 점등된 등의 위치를 보고 신호를 식별하도록 한 점을 감안하여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적색신호 주기에는 상측의 부 신호부(30A)에만 적색 발광소자를 점등시키고 녹색신호 주기에는 하측의 부 신호부(30B)에만 녹색 발광소자를 점등시키는 것에 의하여, 그리고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적색신호 주기에는 좌측의 부 신호부(30C)에만 적색 발광소자를 점등시키고 녹색신호 주기에는 우측의 부 신호부(30D)에만 녹색 발광소자를 점등시키는 것에 의하여 그 신호의 위치에 따른 식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주 신호부와 부 신호부의 모양과 위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원형의 주 신호부(20A)의 상부에 그믐달 모양의 적색 부 신호부(30E)를 구비하고 하부에 초생달 모양의 녹색 부 신호부(30F)를 구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를 제어함에 있어서는 적색신호의 경우에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신호부(20A) 전체와 적색 부 신호부(30E)의 적색 발광소자(Lr)을 점등시키고 녹색 부 신호부(30F)는 소등시키는 것에 의하여 색맹이나 색약자로 하여금 적색 부 신호부(30E)에 의하여 주 신호부(20A)의 신호가 적색신호임을 알 수 있도록 하며, 녹색의 직진신호의 경우에는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신호부(20A) 전체와 녹색 부 신호부(30F)의 녹색 발광소자(Lg)를 점등시키고 적색 부 신호부(30E)를 소등시키는 것에 의하여 색맹이나 색약자로 하여금 녹색 부 신호부(30F)에 의하여 주 신호부(20A)의 신호가 녹색 직진신호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4는 주 신호부와 부 신호부의 모양과 위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원형의 주 신호부(20B)의 좌측에 그믐달 모양의 적색 부 신호부(30G)를 구비하고 우측에 초생달 모양의 녹색 부 신호부(30H)를 구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를 제어함에 있어서는 적색신호의 경우에는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신호부(20B) 전체와 적색 부 신호부(30G)의 적색 발광소자(Lr)를 점등시키고 녹색 부 신호부(30H)는 소등시키는 것에 의하여 색맹이나 색약자로 하여금 적색 부 신호부(30G)에 의하여 주 신호부(20B)의 신호가 적색신호임을 알 수 있도록 하며, 녹색의 직진신호의 경우에는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신호부(20B) 전체와 녹색 부 신호부(30H)의 녹색 발광소자(Lg)를 점등시키고 적색 부 신호부(30G)를 소등시키는 것에 의하여 색맹이나 색약자로 하여금 녹색 부 신호부(30H)에 의하여 주 신호부(20B)의 신호가 녹색 직진신호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밖에도 이와 같은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모양을 채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각기 독립적으로 교통신호등을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부(21), 좌회전신호부(22)와, 진행신호부(23) 및 차단신호부(24) 등을 하나의 신호표시부(10)에 모두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주 신호부(20)와 부 신호부(30)의 형상 및 배치를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13 및 도 14의 변형례와 같은 형상 및 배치를 채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신호표시부를 종으로 또는 횡으로 배열하지 않고 하나의 신호표시부에 주 신호부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를 설치하여 주기의 전환을 예측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주 신호부내에 좌회전신호부와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부와 진행신호부 및 차단신호부 등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어떠한 종래의 교통신호라도 표시할 수 있게 되므로 신호등을 소형, 경량화할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하고 전력 수요를 감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신호등 전체의 크기가 소형, 경량화됨에 따라 풍압에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강풍이 부는 경우에도 지주가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규격화된 신호등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입력시켜놓고 이들을 필요에 따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어떠한 종류의 신호라도 표시할 수 있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의 신호등을 개별적으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원가를 더욱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로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소형, 경량화 및 단순화된 장점을 활용하여 이동식 신호등을 만들 수 있어 영구적인 공사장 등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하나의 신호표시부에, 각종 신호를 표시하는 주 신호부와, 상기 주 신호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주 신호부와 동시에 점, 소등되거나 주 신호부와 동시에 점등되었다가 신호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한쪽부터 점차 소등되는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신호부와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에는 녹색, 적색 및 황색 발광소자가 균등 배분된 상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신호부내에 좌측을 향하는 화살표로 되는 좌회전신호와, 직진/좌회전 동시신호와, 가변차선용 진행신호와 차단신호, 횡단보행용 신호표시 및 문자, 기호 및 문양을 입력시키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가 상기 주 신호부의 외주부에 환형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가 상기 주 신호부의 상,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전환예고용 부 신호부가 상기 주 신호부의 양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KR1019970072160A 1997-12-23 1997-12-23 교통신호등 KR19990052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160A KR19990052650A (ko) 1997-12-23 1997-12-23 교통신호등
US09/154,592 US6072407A (en) 1997-12-23 1998-09-17 Variable message traffic signal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160A KR19990052650A (ko) 1997-12-23 1997-12-23 교통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650A true KR19990052650A (ko) 1999-07-15

Family

ID=1952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160A KR19990052650A (ko) 1997-12-23 1997-12-23 교통신호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72407A (ko)
KR (1) KR199900526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5313B1 (en) * 1999-04-28 2001-01-16 Yefim Berezovsky Attachment to traffic light apparatus for visual indication of traffic light duration
US6398399B1 (en) * 2000-05-12 2002-06-04 Stelios Neophytou Fiber optic roadway guidance apparatus and system
US6833796B2 (en) * 2001-01-19 2004-12-21 Gelcore Llc Count down led traffic signal
US6809655B1 (en) 2001-07-26 2004-10-26 Steven M. Colby Multi-mode signal
EP1286321A1 (en) * 2001-08-20 2003-02-26 Lin; Fong-Jei Traffic signal head with multiple led illumination sources
US6762689B2 (en) 2001-11-16 2004-07-13 Michel L. Dechape Universal traffic signal display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U2003207474A1 (en) * 2002-01-08 2003-07-24 Power Signal Technologies, Inc. Pedestrian traffic signal comprising countdown display
US20030137432A1 (en) * 2002-01-22 2003-07-24 Wiseman Jay Donald Traffic control system
US6850169B2 (en) * 2002-05-17 2005-02-01 Payam Manavi Emergency traffic signal device
US20040225434A1 (en) * 2003-05-07 2004-11-11 Gotfried Bradley L. Vehicle navigation and safety systems
EP1642251A1 (en) * 2003-06-10 2006-04-05 Ortana Elektronik Yazilim Taahhut Sanayi Ve Ticaret Ltd. Sti. Traffic signal lamp which counts down or displays messages using different alphabets
DE602004022204D1 (de) * 2003-08-19 2009-09-03 Door Man Mfg Co Verkehrsdetektions- und signalsystem und verfahren dafür
US7425075B1 (en) 2004-01-28 2008-09-16 Hubbell David A Optical reflecting material
US7167106B2 (en) * 2004-04-15 2007-0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a programmable sign display located in proximity to a traffic light
US7808402B1 (en) * 2004-10-25 2010-10-05 Colby Steven M Multi-mode traffic signal bulb assembly
US7307546B1 (en) 2005-04-26 2007-12-11 Trevor Partap Bimodal replacement traffic light
US7890126B2 (en) * 2005-05-31 2011-02-15 Alcatel-Lucent Usa Inc. Network support for remote sign content update
US20080218380A1 (en) * 2005-07-08 2008-09-11 Richard Wayne Wall Distributed Intelligence For Traffic Signal Control
US20070069920A1 (en) * 2005-09-23 2007-03-29 A-Hamid Hakki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related information display, traffic surveillance and control
KR100758936B1 (ko) 2005-12-26 2007-09-19 최형락 보행자용 신호등
ITUD20060003A1 (it) * 2006-01-02 2007-07-03 Giovanni Borin Apparecchio semaforico
WO2007097599A2 (en) * 2006-02-27 2007-08-30 Woo Jeon Green Co., Ltd. Integrated traffic signal, sign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070257817A1 (en) * 2006-05-08 2007-11-08 Ivoice, Inc. Traffic signal system with countdown signaling and with advertising and/or news message
US20070268149A1 (en) * 2006-05-16 2007-11-22 I-Ching Chen Structure of reformed traffic light
US7654695B1 (en) * 2006-08-22 2010-02-02 Avaya Inc. Pigmented collar for bi-color light emitting diodes
TWM318781U (en) * 2006-11-01 2007-09-11 Tung-Da Jiang Colored light emitting diode pictures and literary compositions signal light display device
US20080129542A1 (en) * 2006-12-05 2008-06-05 I-Ching Chen Structure of traffic light
US7573401B2 (en) * 2007-04-27 2009-08-11 Wabeke Roger L Highway intersection hazard warnings and 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7973676B2 (en) * 2007-06-06 2011-07-05 Mohammad Meshkin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ad signal indicators
WO2010022179A1 (en) * 2008-08-19 2010-02-25 University Of Idaho Advanced accessible pedestrian system for signalized traffic intersections
US20100225502A1 (en) * 2009-03-09 2010-09-09 Mohamed Roshdy Elsheemy Colored LED traffic light display
US20110006915A1 (en) * 2009-07-13 2011-01-13 Sower Charles D Turn/no turn on red traffic light signal
CN101894477B (zh) * 2010-07-08 2012-07-18 苏州大学 一种城市信号灯控制道路网络交通自锁控制方法
TWI420430B (zh) * 2011-07-28 2013-12-2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雙光源交通號誌燈
AU2020266877B2 (en) * 2019-05-02 2021-11-18 ESKP3 Pty Ltd Improved traffic ligh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4506A (en) * 1962-05-16 1966-02-08 Harry R Bridge Safety light informer
US4271408A (en) * 1978-10-17 1981-06-02 Stanley Electric Co., Ltd. Colored-light emitting display
US5150116A (en) * 1990-04-12 1992-09-22 West Harold B Traffic-light timed advertising center
US5519390A (en) * 1995-02-02 1996-05-21 Casini; Peter Traffic light timer
US5917431A (en) * 1995-09-12 1999-06-29 Tokyo Seimitsu Co., Ltd. Display system for a traffic signal and a traffic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72407A (en) 200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52650A (ko) 교통신호등
US6054932A (en) LED traffic light and method manufacture and use thereof
CA2557780C (en) Led traffic light
US20170103650A1 (en) Signalling system for regulating road traffic
SK7624Y1 (sk) Okružná križovatka s výstražným svetelným zariadením
KR200432446Y1 (ko) 교통 신호등
KR200369797Y1 (ko) 잔여시간 표시 기능 일체형 횡단보도 신호등
JP3483777B2 (ja) 可変標識
CN211181072U (zh) 无色盲障碍单色白色图形切换显示的交通信号系统装置
KR200393989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시선안내 유도램프용 통신 제어장치
KR100520883B1 (ko) 보행자 신호등의 점멸 방법
JP2007133749A (ja) 信号灯器及び交通信号制御機
JP2000298799A (ja) 補助信号機
WO2006019229A1 (en) Digital number display signal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54581Y1 (ko)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가지는 신호등
KR100530956B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KR200358436Y1 (ko) 신호등
CN213183098U (zh) 一种可变车道地面指示系统
CN111081043A (zh) 无色盲障碍单色白色图形切换显示的交通信号系统装置
KR200205272Y1 (ko) Led를 이용한 교통신호용 전자신호등
KR102017388B1 (ko)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KR19990084157A (ko) 도로교통 신호등의 교체시간 확인용 표식장치
KR200393997Y1 (ko) 복수 발광 교통 신호장치
KR200303884Y1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진입 차단장치
KR200397884Y1 (ko)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622

Effective date: 2002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