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179B1 - 김밥말이 장치 - Google Patents

김밥말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179B1
KR102081179B1 KR1020190115258A KR20190115258A KR102081179B1 KR 102081179 B1 KR102081179 B1 KR 102081179B1 KR 1020190115258 A KR1020190115258 A KR 1020190115258A KR 20190115258 A KR20190115258 A KR 20190115258A KR 102081179 B1 KR102081179 B1 KR 10208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mbap
housing
rice
guid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건길
Original Assignee
최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건길 filed Critical 최건길
Priority to KR1020190115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김밥용 재료가 이송되는 김밥소 이송부(120); 김밥소 이송부(120)의 제1 하우징(122a) 및 제2 하우징(124a)과 동심원상으로 연설된 제3 하우징(132a)을 구비하고, 제3 하우징을 관통한 후 베어링(132c)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3 스크류(132b)를 포함하는 밥 이송부(130); 수납함(142)과, 이 수납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 부재(144)와, 수납함(142)과 덮개 부재(144) 사이에 구비된 좌우 1쌍의 회전판(146)을 포함하는 재료 투입부(140); 중공(中空)의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의 외주면에 부착된 기어(G)를 포함하고,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이 혼합된 김밥용 혼합재료를 배출하는 배출 커버부(150); 바닥면과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가이드 부재(162)와, 상기 가이드 부재(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회동 자재하게 다수 개 구비된 가이드 롤러(164)를 포함하고, 배출 커버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혼합재료 가이드부(160); 및 배출 커버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에 김(L)을 나선형으로 말도록 하는 김 투입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김밥말이 장치{APPARATUS FOR MAKING KIMBAP}
본 발명은 김밥말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신속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수량의 김밥을 제공하고, 여름철에도 신선도가 유지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김밥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며, 최소의 인원으로 기계장치의 조작을 통해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경제성도 높일 수 있는 김밥말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밥은 우리나라의 전래 음식으로 입맛이 없을 때 식욕을 돋우어 주는 대용식 또는 간편식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소풍이나 등산·낚시·여행 시에도 널리 애용되고 있다.
김밥은 기본재료인 낱장의 김 위에 밥을 일정량 골고루 펼쳐놓은 다음, 단무지·당근·시금치·계란말이·우엉·오이·맛살·김치·참치·육류 등의 김밥소를 얹은 후, 김과 함께 말아서 다양한 음식을 한 번에 취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김밥은 기호에 따라 상기 기본재료 외에 김치·참치·치즈 등을 선택적으로 첨가하면 좀 더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다.
최근에는 브랜드를 갖춘 김밥 체인점이 일반화되어 있어 김밥을 즐겨 먹는 소비자들에게 균일화된 다양한 형태의 브랜드 김밥을 선보이고 있다.
한편,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김밥을 판매하는 업소, 가령 김밥전문점·분식점·휴게소 등에서는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신속하게 원하는 수량의 김밥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중이 선호하는 특정 종류의 김밥(가령, 원조김밥)을 여러 개 미리 말아서 알루미늄 호일에 포장한 후, 스티로폼 박스 등에 넣어 두었다가 주문 시 이에 응하고 있으나, 무더운 여름철에는 즉시 제조한 김밥에 비해 신선도가 떨어지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박스에서 꺼낸 김밥의 제조일시 등을 알기 어려워 구매를 주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단체주문 시에는 주문량을 맞추기 위해 업소에 종사하는 인원이 모두 김밥말이 작업에만 투입되어 노동력의 편중에 따른 영업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여러 인원이 작업함에 따라 숙련된 조리사의 김밥제조 시와 달리 김밥이 일정한 형태로 제조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기계화된 설비를 통해 일정한 형태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김밥의 제조가 가능하고, 노동력 및 인건비 감소 등 경제성도 높일 수 있는 김밥말이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55886호(2010. 5. 6.)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00979호(2010. 12. 13)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45079호(2015. 8. 17)
본 발명은 종래의 김밥제조 시의 문제점과 새로운 김밥 제조장치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신속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수량의 김밥을 제조할 수 있는 김밥말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름철에도 신선도가 유지되어 김밥위생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김밥말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소의 인원으로 기계장치의 조작을 통해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노동력 및 인건비 감소 등, 경제성도 높일 수 있는 김밥말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면 일측에 입설된 축 고정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면 타측에서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된 하우징 지지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김밥용 재료인 제1 김밥소와 제2 김밥소가 이송되는 김밥소 이송부; 중앙부에 김밥용 재료인 밥이 투입되는 제3 투입구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상기 김밥소 이송부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과 동심원(同心圓)상으로 연설된 제3 하우징을 구비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한 후, 베어링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3 스크류를 포함하는 밥 이송부;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 부재와, 상기 수납함과 덮개 부재 사이에 구비된 좌우 1쌍의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투입구에 제1 김밥소를,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투입구에 제2 김밥소를, 상기 제3 하우징의 제3 투입구에 밥을 각각 투입하는 재료 투입부; 중공(中空)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김밥소, 제2 김밥소, 밥이 혼합된 김밥용 혼합재료를 배출하는 배출 커버부; 바닥면과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회동 자재하게 다수 개 구비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커버부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혼합재료 가이드부; 및 상기 배출 커버부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에 김을 나선형으로 말도록 하는 김 투입부를 포함하는 김밥말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 이송부는, 중앙부에 제1 김밥소가 투입되기 위한 제1 투입구가 일체로서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을 관통한 후 상기 축 고정대에 베어링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크류를 포함하는 제1 이동장치부와; 중앙부에 제2 김밥소가 투입되기 위한 제2 투입구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동심원(同心圓)상으로 연설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을 관통한 후 베어링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스크류를 포함하는 제2 이동장치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스크류, 제2 스크류, 제3 스크류는 구동모터에 기어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 자재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재료 투입부의 회전판은, 원판 형태로서, 외주면에 긁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고정 구비되고, 양 회전판을 회전축이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는 상기 수납함과 덮개 부재에 구비된 관통공을 통해 일정길이로서 노출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김 투입부는, 상기 혼합재료 가이드부의 가이드 부재와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좌우 1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회동 자재하게 다수 개 구비되며 권취된 상태의 김이 풀려서 상기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 커버부는 본체의 중앙부에 돌출된 돌출부에 안내 부재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안내 부재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내주면에 코일 스프링이 부착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면 일측에 입설된 축 고정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면 타측에서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된 하우징 지지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김밥용 재료인 제1 김밥소와 제2 김밥소가 이송되는 김밥소 이송부; 중앙부에 김밥용 재료인 밥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상기 김밥소 이송부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과 동심원(同心圓)상으로 연설된 제3 하우징을 구비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한 후, 베어링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3 스크류를 포함하는 밥 이송부; 수납함과, 각 가장자리에 사다리꼴 형태의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함에 수납되는 덮개 부재와, 상기 수납함의 상면 중앙부에 입설된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의 상단에서 회전 자재하게 구비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봉과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구동모터와,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와 치합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 축에 부설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투입구에 제1 김밥소를,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투입구에 제2 김밥소를, 상기 제3 하우징의 제3 투입구에 밥을 각각 투입하는 재료 투입부; 중공(中空)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김밥소, 제2 김밥소, 밥이 혼합된 김밥용 혼합재료를 배출하는 배출 커버부; 바닥면과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회동 자재하게 다수 개 구비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커버부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를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혼합재료 가이드부; 및 상기 배출 커버부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에 김을 나선형으로 말도록 하는 김 투입부를 포함하는 김밥말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숙련된 조리사의 도움없이 기계화된 설비를 통해 일정한 형태로서 토출되는 김밥용 재료에 김이 감싸져서 김밥이 제조되므로 김밥전문점·분식점·휴게소 등에서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신속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수량의 김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즉시 김밥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여름철에도 신선도가 유지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김밥의 위생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단체주문 시에도 최소의 인원으로 기계장치의 조작을 통해 김밥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노동력 및 인건비 감소 등,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베이스부와 하우징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부와 하우징부에 재료 투입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료 투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료 투입부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제3 하우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배출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배출 커버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배출 커버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소재 가이드부 및 김 투입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재료 투입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재료 투입부의 분리 사시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재료 투입부의 정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재료 투입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베이스부와 하우징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부와 하우징부에 재료 투입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료 투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료 투입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제3 하우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Α-Α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배출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배출 커버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배출 커버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소재 가이드부 및 김 투입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는 크게 베이스부(110), 김밥소 이송부(120), 밥 이송부(130), 재료 투입부(140), 배출 커버부(150), 혼합재료 가이드부(160), 그리고 김 투입부(170)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는 후술하는 김밥소 이송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대(112)의 상면 일측에 축 고정대(114)가 입설되고, 받침대(112)의 상면 타측에 후술하는 제3 하우징(132a)의 외주면을 받치는 1쌍의 하우징 지지대(116)가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된다.
도 1, 도 2, 도 8을 참조하면, 김밥소 이송부(120)는 베이스부(110)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어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제1 이동장치부(122)와 제2 이동장치부(124)를 포함한다.
제1 이동장치부(122)는 제1 하우징(122a)의 내부를 제1 스크류(122b)가 관통하되, 이러한 제1 스크류(122b)의 일단부는 제1 하우징(122a)을 관통한 후 축 고정대(114)에 베어링(122c)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하우징(122a)의 대략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재료 투입부(140)가 연결되기 위한 제1 투입구(122a-1)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제1 스크류(122b)는 동력발생수단인 구동모터(M)에 동력전달수단 즉, 기어(G)와 벨트(또는 체인)(B)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 자재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제1 투입구(122a-1)에 투입되는 제1 김밥소(122d)로는 가령, 단무지·당근·우엉·오이 등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음식물 재료를 분쇄기를 통해 미리 분쇄한 것을 투입한다.
제2 이동장치부(124)는 제2 하우징(124a)의 내부를 제2 스크류(124b)가 관통하되, 이러한 제2 스크류(124b)의 일단부는 제2 하우징(124a)을 관통하여 베어링(124c)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하우징(124a)의 대략 중앙부에는 재료 투입부(140)가 연결되기 위한 제2 투입구(124a-1)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제2 스크류(124b)는 구동모터(M)에 기어(G)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 자재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제2 투입구(124a-1)에 투입되는 제2 김밥소(124d)는 가령, 시금치·계란말이·맛살·김치·참치·육류 등 비교적 무른 재질의 식재료를 분쇄기를 통해 미리 분쇄한 것을 투입한다.
밥 이송부(130)는 제3 하우징(132a)의 내부를 제3 스크류(132b)가 관통하되, 이러한 제3 스크류(132b)의 일단부는 제3 하우징(132a)을 관통하여 베어링(132c)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하우징(132a)의 대략 중앙부에는 재료 투입부(140)가 연결되기 위한 제3 투입구(132a-1)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제3 스크류(132b)는 구동모터(M)에 기어(G)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 자재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한 제1 하우징(122a), 제2 하우징(124a), 제3 하우징(132a)은 같은 중심을 갖는 동심원(同心圓)상으로 끼워져서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재료 투입부(140)는 제1 투입구(122a-1)상에 안착되어 제1 김밥소(122d)를, 제2 투입구(124a-1)에 안착되어 제2 김밥소(124d)를, 제3 투입구(132a-1)에 안착되어 밥(134)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수납함(142)에 덮개 부재(144)가 나사(140a)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납함(142)과 덮개 부재(144) 사이에 좌우 1쌍의 회전판(146)이 설치된다.
회전판(146)은 일정 두께의 원판 형태로서 외주면에 긁개(146a)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고정 설치되고, 양 회전판(146)을 회전축(146b)이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146b)의 양단부는 수납함(142)과 덮개 부재(144)에 구비된 관통공(142a, 144a)을 통해 일정길이가 노출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축(146b)의 단부를 일정길이 연장한 후에 상기 회전축(146b)에 종동풀리를 부착하고, 상기 종동풀리에 구동풀리를 벨트연결하며, 구동풀리를 구동모터의 모터 축에 축설하는 경우 회전축(146b)의 회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6,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배출 커버부(150)는 제3 하우징(132a)의 일단부(출구)에 설치되어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이 혼합된 김밥용 혼합재료를 후술하는 혼합재료 가이드부(160)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단(多段)식 구조체 형태를 갖는 중공(中空)의 본체(152) 외주면에 기어(G)가 부착되어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도 6의 M 참조)에 벨트(또는 체인)(도 6의 B 참조)을 통해 연결되며,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52)는 서로 맞닿는 제3 하우징(132a)의 외주면에 구비된 베어링(136)을 통해 그 회동이 자재하게 이루어진다.
도 12,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구동모터(도 6의 M 참조) 및 벨트(또는 체인)(도 6의 B 참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본체(152)의 중앙부에 돌출된 돌출부(152a)의 내주면에 가령 암나사(152a-1)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152a)에 안내 부재(154)를 나사결합시키되, 안내 부재(154)는 중공의 원통형태로서 외주면에는 암나사(152a-1)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154a)가 형성되고, 안내 부재(154)의 내주면에 코일 스프링(156)이 부착되어 안내 부재(154) 및 코일 스프링(156)을 통해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이 혼합된 김밥용 혼합재료를 혼합재료 가이드부(160) 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김밥용 혼합재료의 보다 원활한 배출을 위해 코일 스프링(156)의 피치는 약 5~15㎜, 바람직하게는 10㎜, 코일 선경(線徑)은 3~7㎜, 바람직하게는 5㎜로 구성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혼합재료 가이드부(160)는 본체(152)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를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가이드 부재(162)가 바닥면과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이 가이드 부재(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김밥용 혼합재료와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164)가 등간격으로 회동 자재하게 다수 개 설치된다.
또한, 김 투입부(170)는 본체(152)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에 김(L)을 나선형으로 말아서 김밥(180)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ㄱ'자 단면형태를 갖는 좌우 1쌍의 수직부재(172)가 가이드 부재(162)와 엇비스듬하게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고, 이 수직부재(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된 상태의 김(L)이 풀려서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174)가 등간격으로 회동 자재하게 다수 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구동모터(M)를 작동시킴에 따라 이에 따른 동력이 기어(G)와 벨트(또는 체인)(B)를 통해 전달되면서 제1 스크류(122b), 제2 스크류(124b), 제3 스크류(132b)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재료 투입부(140)를 통해 김밥소 이송부(120)와 밥 이송부(130)에 김밥용 재료를 각각 투입한다, 즉, 제1 투입구(122a-1)를 통해서 제1 김밥소(122d)를 제1 하우징(122a)에 투입하고, 제2 투입구(124a-1)를 통해서 제2 김밥소(124d)를 제2 하우징(124a)에 투입하며, 제3 투입구(132a-1)를 통해서 밥(134)을 제3 하우징(132a)에 투입한다.
이때, 투입된 각각의 재료는 재료 투입부(140)의 회전축(146b)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146) 사이를 경유하여 각 투입구(122a-1, 124a-1, 132a-1)로 투입되며, 긁개(146a)는 회전판(146)과 함께 회전하면서 수납함(142)과 덮개 부재(144) 사이의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을 각 투입구(122a-1, 124a-1, 132a-1)로 밀어 넣는다.
위와 같이 투입된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은 제1 스크류(122b), 제2 스크류(124b), 제3 스크류(132b)를 통해 각각 배출 커버부(150) 측으로 이송되며, 제1 김밥소(122d)의 외측을 제2 김밥소(124d)가 감싸고, 제2 김밥소(124d)의 외측을 밥(134)이 감싸서 김을 제외한 김밥용 재료 즉, 제1 김밥소(122d)+제2 김밥소(124d)+밥(134)의 김밥용 혼합재료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위와 같이 형성된 김밥용 혼합재료는 배출 커버부(150)의 본체(152)를 경유하여 혼합재료 가이드부(160)의 가이드 롤러(164)를 타고 가이드 부재(162)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이송되며, 이때, 김 투입부(170)의 가이드 롤러(174)를 통해 권취된 상태에 있던 김(L)이 서서히 인출되면서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을 타고 김밥용 혼합재료를 나선형으로 말면 도시된 바와 같은 김밥(180)이 완성되며, 인출되어 나오는 김밥(180)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원하는 크기의 김밥(180)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재료 투입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재료 투입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재료 투입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재료 투입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재료 투입부(240)는 전술한 제1 투입구(122a-1)상에 안착되어 제1 김밥소(122d)를, 제2 투입구(124a-1)에 안착되어 제2 김밥소(124d)를, 제3 투입구(132a-1)에 안착되어 밥(134)을 각각 가압하여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갖는 수납함(241)이 각 투입구(122a-1)(124a-1)(132a-1) 상에 연통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수납함(241)에 덮개 부재(242)가 수납되어지되, 덮개 부재(242)는 전체적으로 보아 하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서, 가장자리에는 수납함(241) 내측 벽면과 밀착되어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을 수납함(241)의 하방으로 가압하여 투입구(122a-1, 124a-1, 132a-1)로 밀어넣기 위한 대략 사다리꼴 형태의 날개(24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납함(241)의 상면 중앙부에는 원통형 가이드 봉(243)이 입설되고, 이 가이드 봉(243)의 상단에 후술하는 샤프트(246)의 가이드 홈(246a)에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244)가 회전 자재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구동모터(245)가 가이드 봉(243)과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이 구동모터(245)의 모터 축(245a)에 샤프트(246)가 부설되어 모터 축(245a)과 함께 회전하며, 샤프트(246)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전술한 가이드 돌기(244)와 치합되는 가이드 홈(246a)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가이드 홈(246a)은 'X'자 형태가 서로 연설된 형태로서 구동모터(245)의 구동에 따라 모터 축(245a)이 회전하면 샤프트(246)가 함께 회전하고, 이와 연동하여 가이드 돌기(244)가 가이드 홈(246a)을 타고 이동하다가 샤프트(246)의 상단에 이르면 이번에는 가이드 홈(246a)을 타고 샤프트(246)의 하단으로 이동하며, 이때, 가이드 봉(243)과 연결된 덮개 부재(242)가 수납함(241)의 내측 벽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을 수납함(241)의 하방으로 가압하여 수납함(241)의 내측 벽면에 붙어있는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을 각 투입구(122a-1, 124a-1, 132a-1)로 모두 밀어넣을 수 있다.
상기한 재료 투입부(240)는 제1 투입구(122a-1), 제2 투입구(124a-1), 제3 투입구(132a-1)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구동되거나, 또는 단일 구조물로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 베이스부 120 : 김밥소 이송부
122 : 제1 이송장치부 122a : 제1 하우징
122b : 제1 스크류 122d : 제1 김밥소
124 : 제2 이송장치부 124a : 제2 하우징
124b : 제2 스크류 124d : 제2 김밥소
130 : 밥 이송부 132a : 제3 하우징
132b: 제3 스크류 134 : 밥
140 : 재료 투입부 142 : 수납함
144 : 덮개 부재 146 : 회전판
146a : 긁개 146b : 회전축
150 : 배출 커버부 152 : 본체
152a : 돌출부 152a-1 : 암나사
154 : 안내 부재 154a : 수나사
156 : 코일 스프링 160 : 혼합재료 가이드부
162 : 가이드 부재 164 : 가이드 홀더
170 : 김 투입부 174 : 가이드 홀더
240 : 재료 투입부 241 : 수납함
242 : 덮개 부재 242a : 날개
243 : 가이드 봉 244 : 가이드 돌기
245 : 구동모터 245a : 모터 축
246 : 샤프트 246a : 가이드 홈

Claims (7)

  1. 받침대(112)와, 상기 받침대(112)의 상면 일측에 입설된 축 고정대(114)와, 상기 받침대(112)의 상면 타측에서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된 하우징 지지대(116)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김밥용 재료인 제1 김밥소(122d)와 제2 김밥소(124d)가 이송되는 김밥소 이송부(120);
    중앙부에 김밥용 재료인 밥(134)이 투입되는 제3 투입구(132a-1)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상기 김밥소 이송부(120)의 제1 하우징(122a) 및 제2 하우징(124a)과 동심원(同心圓)상으로 연설된 제3 하우징(132a)을 구비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한 후 베어링(132c)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3 스크류(132b)를 포함하는 밥 이송부(130);
    수납함(142)과 상기 수납함(14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 부재(144)와, 상기 수납함(142)과 덮개 부재(144) 사이에 구비된 좌우 1쌍의 회전판(14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122a)의 제1 투입구(122a-1)에 제1 김밥소(122d)를, 상기 제2 하우징(124a)의 제2 투입구(124a-1)에 제2 김밥소(124d)를, 상기 제3 하우징(132a)의 제3 투입구(132a-1)에 밥(134)을 각각 투입하는 재료 투입부(140);
    중공(中空)의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의 외주면에 부착된 기어(G)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132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이 혼합된 김밥용 혼합재료를 배출하는 배출 커버부(150);
    바닥면과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가이드 부재(162)와, 상기 가이드 부재(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회동 자재하게 다수 개 구비된 가이드 롤러(164)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커버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혼합재료 가이드부(160); 및
    상기 배출 커버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에 김(L)을 나선형으로 말도록 하는 김 투입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김밥말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소 이송부(120)는,
    중앙부에 제1 김밥소(122d)가 투입되기 위한 제1 투입구(122a-1)가 일체로서 구비된 제1 하우징(122a)과, 일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122a)을 관통한 후 상기 축 고정대(114)에 베어링(122c)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크류(122b)를 포함하는 제1 이동장치부(122)와;
    중앙부에 제2 김밥소(124d)가 투입되기 위한 제2 투입구(124a-1)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122a)과 동심원(同心圓)상으로 연설된 제2 하우징(124a)을 구비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124a)을 관통한 후, 베어링(124c)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스크류(124b)를 포함하는 제2 이동장치부(124)로 이루어지는 김밥말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122b), 제2 스크류(124b), 제3 스크류(132b)는 구동모터(M)에 기어(G)와 벨트(B)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 자재한 구조를 갖는 김밥말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투입부(140)의 회전판(146)은 원판 형태로서 외주면에 긁개(146a)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고정 구비되고, 양 회전판(146)을 회전축(146b)이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146b)의 양단부는 상기 수납함(142)과 덮개 부재(144)에 구비된 관통공(142a, 44a)을 통해 일정길이가 노출되는 김밥말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김 투입부(170)는,
    상기 혼합재료 가이드부(160)의 가이드 부재(162)와 엇비스듬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좌우 1쌍의 수직부재(172)와, 상기 수직부재(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회동 자재하게 다수 개 구비되며, 권취된 상태의 김(L)이 풀려서 상기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174)를 포함하는 김밥말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커버부(150)는 본체(152)의 중앙부에 돌출된 돌출부(152a)에 안내 부재(154)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안내 부재(154)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내주면에 코일 스프링(156)이 부착되는 김밥말이 장치.
  7. 받침대(112)와, 상기 받침대(112)의 상면 일측에 입설된 축 고정대(114)와, 상기 받침대(112)의 상면 타측에서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된 하우징 지지대(116)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김밥용 재료인 제1 김밥소(122d)와, 제2 김밥소(124d)가 이송되는 김밥소 이송부(120);
    중앙부에 김밥용 재료인 밥(134)이 투입되는 제3 투입구(132a-1)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상기 김밥소 이송부(120)의 제1 하우징(122a) 및 제2 하우징(124a)과 동심원(同心圓)상으로 연설된 제3 하우징(132a)을 구비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한 후 베어링(132c)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3 스크류(132b)를 포함하는 밥이송부(130);
    수납함(241)과, 각 가장자리에 사다리꼴 형태의 날개(242a)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함(241)에 수납되는 덮개 부재(242)와, 상기 수납함(241)의 상면 중앙부에 입설된 가이드 봉(243)과, 상기 가이드 봉(243)의 상단에서 회전 자재하게 구비된 가이드 돌기(244)와, 상기 가이드 봉(243)과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구동모터(245)와,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244)와 치합되는 가이드 홈(246a)과, 상기 구동모터(245)의 모터 축(245a)에 부설된 샤프트(24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122a)의 제1 투입구(122a-1)에 제1 김밥소(122d)를, 상기 제2 하우징(124a)의 제2 투입구(124a-1)에 제2 김밥소(124d)를, 상기 제3 하우징(132a)의 제3 투입구(132a-1)에 밥(134)을 각각 투입하는 재료 투입부(240);
    중공(中空)의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의 외주면에 부착된 기어(G)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132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제1 김밥소(122d), 제2 김밥소(124d), 밥(134)이 혼합된 김밥용 혼합재료를 배출하는 배출 커버부(150);
    바닥면과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가이드부재(162)와, 상기 가이드부재(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회동 자재하게 다수 개 구비된 가이드 롤러(164)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커버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혼합재료 가이드부(160); 및
    상기 배출 커버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김밥용 혼합재료의 외주면에 김(L)을 나선형으로 말도록 하는 김 투입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김밥말이 장치.
KR1020190115258A 2019-09-19 2019-09-19 김밥말이 장치 KR10208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258A KR102081179B1 (ko) 2019-09-19 2019-09-19 김밥말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258A KR102081179B1 (ko) 2019-09-19 2019-09-19 김밥말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179B1 true KR102081179B1 (ko) 2020-03-02

Family

ID=6980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258A KR102081179B1 (ko) 2019-09-19 2019-09-19 김밥말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235B1 (ko) 2022-06-21 2023-01-26 김동만 계란말이 김밥 제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168A (ja) * 2000-02-24 2001-08-28 Kubota Corp 食材混合装置
JP2005333900A (ja) * 2004-05-27 2005-12-08 Toyo:Kk 串焼きおにぎり製造装置
KR100955886B1 (ko) 2008-05-19 2010-05-06 최경숙 게를 이용한 김밥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게 김밥
KR101000979B1 (ko) 2008-07-22 2010-12-13 조성영 미역줄기 장아찌를 이용한 김밥제조방법
JP2011062107A (ja) * 2009-09-16 2011-03-31 Suzumo Machinery Co Ltd おにぎりの具材供給装置
JP2015047097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クボタ 食材混合機
KR101545079B1 (ko) 2014-02-18 2015-08-17 이양우 자동 김밥말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168A (ja) * 2000-02-24 2001-08-28 Kubota Corp 食材混合装置
JP2005333900A (ja) * 2004-05-27 2005-12-08 Toyo:Kk 串焼きおにぎり製造装置
KR100955886B1 (ko) 2008-05-19 2010-05-06 최경숙 게를 이용한 김밥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게 김밥
KR101000979B1 (ko) 2008-07-22 2010-12-13 조성영 미역줄기 장아찌를 이용한 김밥제조방법
JP2011062107A (ja) * 2009-09-16 2011-03-31 Suzumo Machinery Co Ltd おにぎりの具材供給装置
JP2015047097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クボタ 食材混合機
KR101545079B1 (ko) 2014-02-18 2015-08-17 이양우 자동 김밥말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235B1 (ko) 2022-06-21 2023-01-26 김동만 계란말이 김밥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179B1 (ko) 김밥말이 장치
US4112835A (en) Cheese processing system
KR101190155B1 (ko) 회전식 배추 부위별 절단장치
US2657423A (en) Machine for making hamburg steak patties
US20150132460A1 (en) Produc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layered food
CN104904770A (zh) 全自动仿手工面筋卷机
JP2000287636A (ja) 御櫃型寿司玉成形装置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US20190322463A1 (en) Food grade feeder device and system for rolls, sandwiches, odd shaped edibles and foodstuff
US8286549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pice-containing films in the production of sausage and cheese, and sausage and cheese products produced therewith
US3900919A (en) Cuber-perforator for food patties
KR101060777B1 (ko) 삼각형 단면의 면류제품 및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858416B2 (ja) 餃子の皮の成形機
JPS61202665A (ja) 食品成形機
US2162079A (en) Molding machine
JP5481644B2 (ja) 食肉スライサーおよび食肉スライス方法
CN204742406U (zh) 全自动仿手工面筋卷机
KR200361858Y1 (ko) 치즈커터기
RU20739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работки теста нагревом и хлебное изделие "бутерброд по-московски"
KR20190002298U (ko) 양면 칼집성형기
US2640905A (en) Cylindrical sandwich toaster
US1934621A (en) Bread slicing machine
CN211353721U (zh) 一种用于食品机械中的切割装置
CA2597207C (en) Home production of cigarettes from a tobacco cuboid
JP3112185U (ja) 家庭用の食物薄物体こま切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