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825B1 -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825B1
KR102080825B1 KR1020190122497A KR20190122497A KR102080825B1 KR 102080825 B1 KR102080825 B1 KR 102080825B1 KR 1020190122497 A KR1020190122497 A KR 1020190122497A KR 20190122497 A KR20190122497 A KR 20190122497A KR 102080825 B1 KR102080825 B1 KR 10208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eight
parts
bean sprout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두성
Original Assignee
문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두성 filed Critical 문두성
Priority to KR102019012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에서 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토 조성물을 채워 토양층을 형성한 트레이를 준비하는 단계, 물에 불린 콩을 상기 트레이에 살포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를 25 내지 30℃의 흑암 조건에 두고 2일 1회 상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토 조성물은 축분, 대두박, 톱밥, 왕겨, 부엽토 및 황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Growing Method of Bean Spouts}
본 발명은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에 콩을 살포한 후 급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나물은 수경재배를 통해 생산되는데, 콩을 물에 담가 어두운 곳에서 물을 흡수시킨 후 이를 배수구가 있는 통에 담고 위를 덮어 발아시키고, 여기에 주기적으로 주수하여 약 1주일 정도 키워 10∼15㎝ 정도로 자랄 때까지 성장시키는 방식으로 재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재배 방법에서는 물만 급수하기 때문에 콩나물의 줄기가 가늘게 자라거나 부패할 수 있어 촉진제, 농약, 방부제과 같은 사용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47876호에서는 토양에 콩을 심어 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토양 또는 토양대체물질 위로 콩을 배열하여 콩을 심은 후 물을 급수하여 재배하는 과정에서 토양 또는 토양대체물질을 뚫고 나오기 전 콩나물 위로 토양 또는 토양대체물질을 이용하여 덧덮어 주는 토양 또는 토양대체물질 덧덮음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콩나물을 수확할 때까지 햇볕의 노출을 막을 수 있는 재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배 방법은 콩나물이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덧덮음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야 하므로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콩나물이 덧덮은 흙을 뚫고 생장해야 하므로 생장이 불충분한 콩나물이 다량 발생하여 전체적인 생산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73038호에서는 트레이에 모래흙을 채우고 표면에 물에 불린 콩을 조밀하게 1층으로 펼친 후 콩이 절반정도 묻히게 흙을 덮고 흑암실에서 25∼27℃의 온도를 유지하고 1일 1회로 상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면 덧덮는 반복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는 있다. 다만, 모래흙은 영양성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종래의 급수를 통한 수경재배와 마찬가지로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4787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7303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에 콩을 심어 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서 콩나물의 생산 수율을 높이고 덧덮음 공정이 불필요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량의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상토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콩나물 재배에 사용되는 각종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콩나물의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콩나물 재배 방법은 상토 조성물을 채워 토양층을 형성한 트레이를 준비하는 단계, 콩을 상기 트레이에 살포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를 25 내지 30℃의 흑암 조건에 두고 2일 1회 상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토 조성물은 축분, 대두박, 톱밥, 왕겨, 부엽토, 질석 및 황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토 조성물은 축분, 대두박, 톱밥, 왕겨, 부엽토, 질석 및 황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 내지 80℃에서 2일 내지 8주 동안 근권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콩을 상기 트레이에 살포하는 단계는 상기 콩을 토양층 표면에 살포한 후 2 내지 3㎝의 두께로 상기 상토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 방법에 따르면, 토양에 콩을 심어 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서 콩나물의 생산 수율을 높이고 덧덮음 공정이 불필요하여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량의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상토 조성물을 통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콩나물 재배에 사용되는 각종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콩나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1주일 간 재배한 콩나물(a) 및 뿌리(b)의 상태 및 실시예 2에서 1주일 간 재배한 콩나물(c) 및 뿌리(d)의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따른 콩나물 재배 방법은 상토 조성물을 채운 트레이를 준비하는 단계, 물에 불린 콩을 상기 트레이에 살포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를 25 내지 30℃의 흑암 조건에 두고 2일 1회 상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토 조성물은 축분, 대두박, 톱밥, 왕겨, 부엽토, 질석 및 황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토양 재배시 상토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콩에 충분한 영양성분을 공급하여 비료나 생장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토 조성물은 축분, 대두박, 톱밥, 왕겨, 부엽토, 질석 및 황토로 이루어지되, 특히, 발효 공정을 거친 상토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 상토 조성물은 축분, 대두박, 톱밥, 왕겨, 부엽토, 질석 및 황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 내지 80℃에서 2일 내지 8주 동안 근권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발효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상기 성분들의 조합과 이를 발효함으로써 얻어지는 발효물은 콩나물의 재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축분으로는 우분, 돈분, 계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축분은 동물성 단백질을 중심으로 영양성분을 풍부히 함유하고 있어 비료로 사용되는 원료로서 축사 등에서 수거된 축분을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 내지 8일 동안 건조함으로써 고액 분리를 하고 이를 통해 수거된 고체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분은 사용 전 살균 처리하여 유해 미생물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축분 중 일부를 탄화 또는 연소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탄화나 연소 과정을 통해 유해 미생물이나 세균이 제거되기 때문에 콩나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탄화 또는 연소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두박은 대두로부터 기름을 추출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로서 단백질 함량이 44%에 달하여 식물성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대두박은 상기 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100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는데, 이는 상토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혼합 후 발효 공정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범위에서 함유될 때 발효 공정이 신속하게 진행되며 콩나물 재배에 적합한 상토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톱밥과 왕겨는 축분을 발효할 때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엽토는 나뭇잎이나 작은 가지 등이 미생물에 의해 부패, 분해되어 생긴 흙으로서, 탄화된 부엽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탄화된 부엽토는 비중이 적어 배수가 좋고 수분을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콩나물이 자라면서 상토를 뚫고 생장하기에 용이하여 재배되는 콩나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된 부엽토를 사용하면 항균력이 향상되므로 콩나물의 부패를 방지하고 생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화된 부엽토는 낙엽과 목분을 1:1 내지 1:0.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30℃에서 1개월 간 썩혀 제조한 부엽토를 제조하고 이를 탄화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부엽토는 상기 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200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는데, 부엽토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적으면 콩나물의 생장 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황토는 부엽토와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콩나물 생장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기 황토는 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00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상토 조성물은 부엽토의 양이 황토의 양보다 많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토 조성물은 콩나물이 생장하면서 머리 부분이 토양을 뚫고 나오기 용이하기 때문에 콩나물의 재배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질석은 수분을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2일 1회 살수하더라도 상토 내에 충분한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하여 콩나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질석은 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400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는데, 질석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수분 유지율이 저하되어 콩나물의 부분적인 생장 불량이 나타날 수 있고, 질석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다른 영양 성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콩나물의 생장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상기 범위에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토 조성물은 축분, 대두박, 톱밥, 왕겨, 부엽토, 질석 및 황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 내지 80℃에서 2일 내지 8주 동안 근권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데,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는 과정을 통해 콩나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증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효 과정 전이나 발효 종료 후에 상토 조성물을 살균처리함으로써 콩나물 생장시 세균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토 조성물을 100℃ 이상 30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혼련하여 상기 상토 조성물 내에 분포하는 유해 세균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상토 조성물에 스팀을 가하여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유해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발효를 위해 사용되는 상기 근권미생물은 콩나물이 생장하는 동안 뿌리 및 줄기 부분에서 안정적으로 정착 및 증식할 수 있으므로 뿌리 및 줄기 부분의 유해 세균 및 곰팡이의 밀도를 저하시켜 병해를 줄여줌으로써 콩나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근권미생물로는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클로스트리듐 속(Clostridium sp.), 아조토박터 속(Azotobacter sp.) 균주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콩을 상기 트레이에 살포하는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콩을 물에 불리는 것과는 달리 물에 불리지 않은 콩을 그대로 사용한다. 이 때문에 콩나물의 재배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콩을 불리는 과정이 생략되어 생산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콩을 토양층에 살포한 후 상기 토양층 위에 다시 상기 상토 조성물을 2 내지 3㎝의 두께로 도포하게 된다. 이러한 상토 조성물의 도포에 의해 콩은 상토 조성물 내에 위치하게 되며, 콩나물로 생장함에 따라 토양층을 뚫고 나오게 된다.
이는 상품화할 수 있는 콩나물의 길이가 10 내지 15㎝인 것을 감안한 것으로서 콩나물의 머리가 토양층을 뚫고 나오는 시점에서 콩나물이 원하는 정도의 길이까지 생장하는 것을 감안하여 설정된 깊이이다. 상기 콩을 너무 깊게 위치하면 콩나물이 토양층을 뚫고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생장이 불충분한 콩나물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너무 얕게 위치해도 콩나물의 몸체의 생장이 불충분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토양층은 상기 트레이에 채워질 때 전체 깊이가 2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콩나물의 생장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길이를 고려한 것이다.
상기 콩을 심은 상토 조성물을 채운 트레이는 25 내지 30℃의 흑암 조건에 두고 2일 1회 상수함으로써 콩나물을 생장시키게 되는데, 상기 흑암 조건은 빛을 차단하여 콩에 싹이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레이에 커버를 씌우거나 흑색 비닐 등으로 밀봉하여 빛을 차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흑암실을 따로 제작하여 상기 트레이를 흑암실에 배치함으로써 빛을 차단할 수도 있다.
2일 1회 상수할 때 급수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토를 충분히 적실 수 있는 정도로 급수하면 충분하다. 이러한 방법을 7일 간 반복하면 콩나물이 충분하게 생장하며,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수를 2일에 1회만 해도 상토 조성물이 충분히 젖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콩나물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 방법의 유용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재배 조건을 변경하며 실험을 실시하였다.
돈분을 28±2℃의 건조로에 7일 동안 건조한 후 이를 분쇄 및 살균하여 돈분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두박 60 중량부, 톱밥 5 중량부, 왕겨 5 중량부, 부엽토 150 중량부, 황토 60 중량부, 질석 2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슈도모나스 프로테겐스(Pseudomonas protegens)를 접종하여 30 내지 40℃에서 4주간 발효하여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상토 조성물을 1×1×0.5m의 사각형 트레이에 담고 평균중량 10.8g/100 종자인 콩을 5 내지 6㎝의 깊이로 심은 후 상기 트레이 위에 커버를 씌워 빛을 차단하였다. 또한, 1일 1회 상수하여 7일 동안 콩나물을 재배하였다(실시예 1).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상기 상토 조성물로서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두박 80 중량부, 톱밥 2 중량부, 왕겨 2 중량부, 부엽토 180 중량부, 황토 50 중량부, 질석 250 중량부로 이루어진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였다(실시예 2).
실시예 1 및 2에 따라 7일 간 재배된 콩나물의 몸체 및 뿌리의 상태는 도 1과 같으며, 생장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상기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효하는 과정을 생략하였다(비교예 1).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상토 조성물을 발효할 때 효모를 사용하여 발효하였다(비교예 2).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상토 조성물로서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톱밥 5 중량부, 왕겨 5 중량부, 부엽토 150 중량부, 황토 5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발효하여 사용하였다(비교예 3).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되 시판되는 원예용 상토(태흥에프엔지)를 사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였다(비교예 4).
7일 경과 후 트레이에서 무작위로 샘플링한 30개의 콩나물에 대해, 자엽(cotyledon) 및 배축(hypocotyl)을 합한 평균중량과 뿌리를 포함한 배축의 길이 및 두께를 자와 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길이가 10㎝ 미만인 콩나물은 제외하였다. 또한, 트레이에서 재배된 콩나물 전체를 회수하여 길이가 10㎝ 미만으로 생장한 콩나물이나 부패한 콩나물을 불량으로 하고 개수를 세어 불량률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평균길이(㎝) 평균굵기(㎜) 전체중량(g) 불량률(%)
실시예1 20.52 1.82 186.23 8.2
실시예2 20.03 1.85 185.35 8.8
비교예1 18.30 1.92 184.03 14.6
비교예2 20.26 1.76 185.36 13.8
비교예3 18.58 1.82 182.35 18.2
비교예4 15.82 1.78 184.35 17.1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 방법으로 재배된 콩나물은 길이나 굵기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트레이에서 재배된 전체 콩나물 중 10㎝ 미만의 길이로 성장이 불충분한 콩나물의 비율이 8.2, 8.8%인 것으로 나타나 콩나물 재배 시 발생하는 생장 부족 현상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부패가 발생한 콩나물은 전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평균 길이나 굵기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재배된 콩나물에서 성장이 불충분한 콩나물의 비율이 13~15%에 달하여 불량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석이 포함되지 않은 상토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수분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불량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4에서 시판되는 상토를 사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면 불량률이 17.1%까지 상승하고 부패가 발생한 콩나물도 나타나 콩나물의 재배 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재배 방법은 수경재배와 달리 토양에서 직접 콩나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3)

  1. 상토 조성물을 채워 토양층을 형성한 트레이를 준비하는 단계;
    콩을 상기 트레이에 살포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를 25 내지 30℃의 흑암 조건에 두고 2일 1회 상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상토 조성물은,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두박 60 중량부, 톱밥 5 중량부, 왕겨 5 중량부, 부엽토 150 중량부, 질석 250 중량부 및 황토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30 내지 40℃에서 4주 동안 근권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프로테겐스(Pseudomonas protegens)를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로 제조되며,
    상기 돈분은 28±2℃의 건조로에서 7일 동안 건조한 후 이를 분쇄 및 살균하여 얻어진 돈분 입자이며,
    상기 부엽토는 낙엽 및 목분을 1:1 내지 1:0.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30℃에서 1개월 간 썩혀 제조된 부엽토이며,
    상기 발효 전 또는 발효 후에 상기 상토 조성물을 100 내지 300℃로 가열하면서 혼련하여 상기 상토 조성물 내에 분포하는 유해 세균을 제거하며,
    상기 콩을 상기 트레이에 살포하는 단계는 상기 콩을 토양층 표면에 살포한 후 2 내지 3㎝의 두께로 상기 상토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122497A 2019-10-02 2019-10-02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 KR10208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97A KR102080825B1 (ko) 2019-10-02 2019-10-02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97A KR102080825B1 (ko) 2019-10-02 2019-10-02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825B1 true KR102080825B1 (ko) 2020-02-24

Family

ID=6963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497A KR102080825B1 (ko) 2019-10-02 2019-10-02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8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6270A (zh) * 2020-04-10 2020-07-31 郑州博翔科技有限公司 一种大豆精准调控方法
CN115843591A (zh) * 2022-11-29 2023-03-28 河北省农林科学院农业信息与经济研究所 一种提高土壤肥力、减蒸、节水、防虫的覆盖物料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38A (ko) 2001-03-14 2002-09-19 한병희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060018564A (ko) * 2004-08-25 2006-03-02 이종관 흙과 한약 찌꺼기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200417955Y1 (ko) * 2006-01-19 2006-06-07 (주)새우리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9823A (ko) * 2012-04-24 2013-11-01 이창호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KR101347876B1 (ko) 2012-03-29 2014-01-09 류욱현 덮음 과정을 통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 콩나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38A (ko) 2001-03-14 2002-09-19 한병희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060018564A (ko) * 2004-08-25 2006-03-02 이종관 흙과 한약 찌꺼기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200417955Y1 (ko) * 2006-01-19 2006-06-07 (주)새우리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7876B1 (ko) 2012-03-29 2014-01-09 류욱현 덮음 과정을 통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 콩나물
KR20130119823A (ko) * 2012-04-24 2013-11-01 이창호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6270A (zh) * 2020-04-10 2020-07-31 郑州博翔科技有限公司 一种大豆精准调控方法
CN115843591A (zh) * 2022-11-29 2023-03-28 河北省农林科学院农业信息与经济研究所 一种提高土壤肥力、减蒸、节水、防虫的覆盖物料及方法
CN115843591B (zh) * 2022-11-29 2024-05-24 河北省农林科学院农业信息与经济研究所 一种提高土壤肥力、减蒸、节水、防虫的覆盖物料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80546A (zh) 一种蓝莓栽培基质改良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80825B1 (ko)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
CN105432313A (zh) 一种白萝卜的种植方法
KR101432471B1 (ko) 천마 재배용 상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CN1212292C (zh) 一种微生物多抗菌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TAYEB et al. The effect of nitrogen fixation and phosphorus solvent bacteria on growth physiology and vitamin C content of Capsicum annum L.
CN108157059A (zh) 一种鸡腿菇生产方法
CN108812116A (zh) 一种辣椒、丝瓜及蕹菜的复合立体生态套种栽培方法
JP4922020B2 (ja) マッシュルームの栽培方法、およびマッシュルーム栽培用培地
CN106258576A (zh) 一种菇渣发酵基质、发酵方法及其应用
CN1098845A (zh) 双孢蘑菇高产栽培新技术
CN114145212A (zh) 一种应用于郁金香栽培的基质及制备方法
JPH0777991B2 (ja) 有機質醗酵肥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207531A (zh) 一种利用食用菌渣栽培魔芋的方法
CN104396501A (zh) 一种四季豆种植方法
KR101151392B1 (ko) 코코피트와 피트를 포함하는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64513B (zh) 蒙古口蘑新菌株草原白蘑1号及其选育方法
CN107821101A (zh) 一种杂交籼稻中大苗机插的专用育秧基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116951A (ko) 옥수수대와 사탕수수 줄기박을 이용한 수경재배용 고체배지의 제조방법, 이 고체배지를 포함하는 그로우백
TWI715491B (zh) 丹參栽培介質與栽培方法
CN103641554B (zh) 墨汁鬼伞的栽培种的培养基及栽培墨汁鬼伞处理猪粪中重金属的方法
KR102479161B1 (ko) 버섯 폐배지를 이용한 친환경 비료의 제조 방법
KR102066474B1 (ko) 복합미생물 배양체 제조방법 및 복합미생물 배양체를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CN108739023A (zh) 有机苦丁茶的种植方法
CN113079977B (zh) 一种山区林下套种俄罗斯饲料菜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