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823A -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823A
KR20130119823A KR1020120067759A KR20120067759A KR20130119823A KR 20130119823 A KR20130119823 A KR 20130119823A KR 1020120067759 A KR1020120067759 A KR 1020120067759A KR 20120067759 A KR20120067759 A KR 20120067759A KR 20130119823 A KR20130119823 A KR 20130119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organic
microorganism
livestock
ster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065B1 (ko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ublication of KR2013011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animals, e.g. poultry, fish,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집단폐사 및 살처분된 폐가축폐기물과, 도축후 축산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축폐기물과, 육가공 공장이나 물고기 가공공장에서 식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폐기물과, 하수정화시 발생되는 슬러지폐기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성폐기물을 100℃ 이상 가열살균하고 분쇄하여 살균대상물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살균대상물을 20~50℃ 범위로 냉각시키는 단계(S2); 상기 냉각된 살균대상물에,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 EM)을 가지는 미생물제를 혼합하는 단계(S3); 및 상기 미생물제가 혼합된 상기 살균대상물을 24시간 이상 발효 및 건조시켜 발효처리물을 완성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method for treatment organic waste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미생물제를 이용하여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축의 사육환경이 대형화 되고 집단화 되면서 공장형 축사와 같은 규격화된 사육시설이 보편화 되고 있어 사육관리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비좁은 나라에서, 공장형 축사와 같은 사육시설은 가장 적절한 사육 시스템이다.
그런데 공장형 축사와 같은 사육시설에서 사육되어지고 있는 가축은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약화되고 있다. 일예로 가금류(닭, 오리등)의 경우 조류인플레인자(AI)에 감염될 가능성이 커지고, 우제류(돼지, 소, 양등)의 경우 구제역, 돈콜레라등의 바이러스성 질병등에 감열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국내외에서 조류인플레인자 또는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 수백만마리가 집단으로 도살(살처분)되거나, 집단으로 폐사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10년 11월경부터 2011년 3월경까지 상기 언급한 우제류 질병인 구제역으로 400만두의 가축(돼지 약 300만두, 소 약100만두)이 집단으로 살처분되었고, 해당 폐가축폐기물은 사육장 근처의 농경지 및 임야등에 매립되었다. 이에 따라 심각한 토양오염 및 지하수 오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정상적으로 사육되어 전국의 도축장으로 출하된 가축의 경우, 도축되어 축산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식품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가축의 폐혈액과 털, 장기내 잔재물(사료 및 미소화 변), 폐장기, 폐가축, 털, 뿔, 발톱등, 또는 도축장의 청소수 및 가축의 세척수등을 처리한 하수슬러지등의 도축폐기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축폐기물은 사료나 비료원료로 이용하기가 어려워 최근까지 토양에 매립하거나 해양에 투기하거나 소각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또한 육가공 공장이나 물고기 가공공장에서는, 식품으로 가공한 이후 내장이나 기름등의 부산물폐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부산물폐기물은 식품, 사료 또는 비료로 이용하기가 어려워 최근까지 토양에 매립하거나 해양에 투기하거나 소각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리고 하수처리장에서는 하수정화시 많은 슬러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슬러지폐기물은 토양에 매립하거나 해양에 투기하거나 소각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살되거나 폐사한 폐가축폐기물, 도축장에서 발생하는 도축폐기물, 육가공 및 물고기 가공공장에서 식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부산물폐기물, 하수정화시 발생하는 슬러지폐기물과 같은 유기성폐기물은 현재까지 토양에 매립하거나 해양에 투기하거나 소각하는 방식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한 유기성 폐기물을 토양에 매립하거나 해양에 투기하거나 소각하는 처리방식은 2차, 3차적인 환경오염을 야기시킨다. 즉 유기성폐기물인 폐가축폐기물을 땅에 매립한 후 시간이 지나면 부패과정이 심각하게 진행되어 토양이 심하게 오염되고, 또한 많은 악취와 함께 발생하는 침출수로 인하여 지하수가 오염되는등 심각한 2차, 3차 환경오염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2013년부터는 상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토양에 매립하거나 해양투기방식으로 처리할수 없게끔 관련법규가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유기성폐기물을 소각 처리할 경우 과도한 에너지 비용이 발생하고, 소각시 오염물질이나 악취등에 의한 대기오염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맥주박 및/또는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지는 미생물제를 이용하여, 폐가축폐기물, 도축폐기물, 부산물폐기물, 슬러지폐기물등의 유기성폐기물을 자원화할 수 있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은, 집단폐사 및 살처분된 폐가축폐기물과, 도축후 축산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축폐기물과, 육가공 공장이나 물고기 가공공장에서 식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폐기물과, 하수정화시 발생되는 슬러지폐기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성폐기물을 100℃ 이상 가열살균하여 살균대상물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살균대상물을 20~50℃ 범위로 냉각시키는 단계(S2); 상기 냉각된 살균대상물에,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 EM)을 가지는 미생물제를 혼합하는 단계(S3); 및 상기 미생물제가 혼합된 상기 살균대상물을 24 시간 이상 발효 및 건조시켜 발효처리물을 완성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처리물을 입상화시키는 단계(S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는 맥주박이거나, 폐버섯배지이거나, 상기 미생물제는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는, 처리하고자 하는 상기 유기성폐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50 ~ 300 중량부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처리물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하여 상기 발효처리물에 부형제를 첨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대상물은, 상기 유기성폐기물에 생석회를 살포하여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은, 매립지에서 발굴된 집단폐사 및 살처분된 폐가축폐기물로 이루어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고자 할 경우, 상기 유기성폐기물 100 중량부당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제 100~30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탱크나 지상에 적재하여 호기성 및 혐기성 발효를 유도하여 유기질비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거에 매립 또는 해양투기 또는 소각에 의하여 처리될 수 밖에 없었던 유기성폐기물을 가열살균하고 분쇄한 후, 유익한 유용미생물(EM)이 충분히 배양되어 있는 맥주박 및/또는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지는 미생물제를 혼합 및 발효를 유도함으로서 유기성폐기물의 부패를 방지하고, 우수한 친환경 사료원료나 유기질비료원료를 제조할 수 있어 자원화를 이룰 수 있다. 특히 맥주박이나 폐버섯배지는 식품을 만들거나 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값싼 부산물이면서 이미 상당량의 유익한 발효균인 유용미생물(EM)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추가적인 미생물이나 부형제를 첨가하는것을 최소화 할수 있으며, 이러한 값싼 부산물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유기물(비료원료)을 생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기성폐기물의 매립이나 해양투기, 소각등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토양오염, 해양오염, 지하수오염과 같은 2,3차에 걸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처리하기 위하여, 먼저 유기성폐기물을 100℃ 이상 가열살균하고 분쇄하여 살균대상물을 제조하는 단계(S1)를 수행한다.
단계(S1)는, 유기성폐기물을 100℃ 이상 고온으로 가열하여 살균하고 분쇄하는 단계이다. 단계(S1)는 고온 스팀장치나 히터가 설치되고, 내부에 분쇄기가 장착된 처리탱크(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여기서 유기성폐기물은, 집단폐사 및 살처분된 폐가축폐기물을 의미하거나, 도축후 축산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식품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가축의 폐혈액과 털, 장기내 잔재물(사료 및 미소화 변), 폐장기, 폐가축, 털, 뿔, 발톱등 또는 도축장의 청소수 및 가축의 세척수등을 처리한 하수슬러지등의 도축폐기물을 의미한다. 또한 유기성폐기물은, 육가공 공장이나 물고기 가공공장에서 식품가공 후 발생되는 내장이나 기름등의 부산물폐기물이나 하수정화시 발생되는 슬러지폐기물을 의미한다.
다음, 살균대상물을 20~50℃ 범위로 냉각시키는 단계(S2)를 수행한다.
단계(S2)는 살균대상물을 일정시간동안 냉각과정을 거쳐 20~50℃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0℃ 범위에 이르도록 냉각시킴으로써, 후술할 미생물이 적절히 생육할수 있는 온도환경으로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만약 살균대상물의 냉각온도가 20~50℃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생물이 적절히 생육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 냉각된 살균대상물에,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 EM)을 가지는 미생물제를 혼합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이러한 미생물제는, 맥주박, 또는 폐버섯배지, 또는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맥주박은, 맥주나 엿기름 추출물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맥아부산물이나, 맥아보리 또는 다른 곡물류와 혼합된 추출잔류물을 의미한다. 맥주박은 수분함량이 70 ~ 75% 수준에 이르고 유용미생물인 다량의 효모를 간직하고 있으며, 풍부한 섬유소 및 탄수화물을 다량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맥주박은, 유기성폐기물과의 혼합시 악취발생을 절감시키는 악취흡착효과와, 유기성폐기물을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의 생육을 돕는 에너지 공급원의 역할을 하며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다.
맥주박 주요성분
수분 60~65%, 조단백 5~8%, 조섬유 4~7%, 가소화영양소 함량 12~15%, 건물함량 18~24 %, 기타 ...
상기한 맥주박은 맥주나 엿기름 추출물등의 식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값싼 부산물이면서도 그 자체에 이미 상당량의 유익한 발효균인 유용미생물(EM)이 생존하고 있다. 따라서 맥주박을 이용할 때 별도로 추가적인 미생물이나 부형제를 첨가하는것을 최소화 할수 있으며, 이러한 값싼 부산물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유기물(비료원료)을 생산할 수 있다.
폐버섯배지는 버섯을 재배하고 수확한 다음 폐기되는 것을 의미한다. 폐버섯배지는, 나무톱밥이나 쌀겨, 대두박, 면실피, 밀기울등의 곡물 부산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멸균과정을 거친후 버섯재배용기에 담아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버섯을 재배하고, 이후 버섯을 수확한 후 폐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폐버섯배지는 수분함량이 버섯의 종류에 따라 60%-70% 전후이고 다량의 섬유소는 물론 유용미생물인 다량의 균사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버섯균에 의해 원료중 톱밥이나 섬유질성분이 적당히 부숙되어있거나 균질화 되어 있다. 이러한 폐버섯배지는 토양미생물의 활성화나 퇴비화를 촉진하는 다양한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한 원료(미생물의 먹이등)로 이용되며,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다.
폐버섯배지 주요성분
수분 50~60 %, 조단백질 1~5%, 조지방 1~3%, 조섬유 4~10%, 칼슘 0.5~2%, 인 0.3~0.8 %, 가소화영양소 함량 13~23%, 건물 18~30%, 기타...
상기한 미생물제는, 처리하고자 하는 유기성폐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50 ~ 300 중량부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50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한 미생물제가 유기성폐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중량부 이하가 될 때 유기성폐기물의 발효가 적절히 진행되지 않고, 미생물제가 300 중량부 이상일 경우 발효조건이 더 이상 개선되지 않는다.
다음, 미생물제가 혼합된 살균대상물을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4~96시간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48~72시간 범위에서 발효 및 건조시켜 발효처리물을 완성하는 단계(S4)를 수행한다. 만약 발효 및 건조시간을 24시간 이하로 할 때 살균대상물은 충분히 발효하지 못하게 되고, 96시간 이상으로 할 때 경제성이 저하된다.
단계(S4)에서, 살균대상물에 혼합된 미생물제는 그 살균대상물이 발효 및 건조되는 과정에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한다. 특히 미생물제(맥주박 및/또는 폐버섯배지)에 있는 유익한 유용미생물(EM)은 살균대상물이 부패되지 않고 발효할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친환경 유기질비료(퇴비)원료나 사료원료와 같은 발효처리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발효처리물은 가축의 사료나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비료로 사용된다.
상기한 발효처리물의 발효 및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 함수율은 살균대상물의 양이나 미생물제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발효처리물의 함수율을 낮추고자 할 경우 부형제(곡물부산물 또는 광물질류등)를 첨가한다.
발효처리물의 함수율이 30% 전후일 경우 유기질비료로 사용하고, 함수율이 10% 전후일 경우 가축용사료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폐버섯배지만으로 이루어진 미생물제를 이용하여 초식동물사료(반추가축사료)를 제조할 경우, 버섯농가에서 버섯수확후 발생한 폐버섯배지를 최대한 신속하게 공기의 접촉을 차단할수 있는 밀폐용기나 진공장치등을 이용하여 포장을 한다. 이 경우 부패과정없이 유산균발효(젖산발효)가 진행되어 유기성폐기물과 혼합되어 소사료와 같은 초식동물용 사료를 만들 수 있으며, 사료의 영양가치를 높이기위하여 당밀이나 곡물 부산물 및 이와 유사한 부형제를 첨가할수 있다.
다음, 발효처리물을 입상화시키는 단계(S5)를 수행한다. 단계(S5)는 함수율이 30%이하로 발효된 발효처리물이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해 부형제와 혼합건조된 발효처리물을 성형장치(펠렛기계, 익스트루더등)에 투입하여 직경 3MM -7MM 크기의 입상화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S5)를 통하여 발효처리물은 입상화된 제품으로 최종 완성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효처리물은, 상기한 폐가축폐기물, 도축폐기물, 슬러지폐기물과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값싼부산물인 맥주박 및/또는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진 미생물제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유기성폐기물을 토양에 매립하거나 해양에 투기하거나 소각하지 않게 되어 2차, 3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버려졌던 유기성폐기물, 맥주박 및 폐버섯배지로부터 가축사료 또는 비료를 제조할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과거에 매립 또는 해양투기 또는 소각에 의하여 처리될 수 밖에 없었던 유기성폐기물을 가열살균하고 분쇄한 후, 유익한 유용미생물(EM)이 충분히 배양되어 있는 맥주박 및/또는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지는 미생물제를 혼합 및 발효를 유도함으로서 유기성폐기물의 부패를 방지하고, 우수한 친환경 사료원료나 유기질비료원료를 제조할 수 있어 자원화를 이룰 수 있다.
특히 맥주박이나 폐버섯배지는 식품을 만들거나 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값싼 부산물이면서 이미 상당량의 유익한 발효균인 유용미생물(EM)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추가적인 미생물이나 부형제를 첨가하는것을 최소화 할수 있으며, 이러한 값싼 부산물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유기물(비료원료)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유기성폐기물의 매립이나 해양투기, 소각등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토양오염, 해양오염, 지하수오염과 같은 2,3차에 걸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처리하고자 하는 유기성폐기물의 양이 많을 경우, 유기성폐기물을 분쇄하여 멸균 또는 살균하여 살균대상물을 만들고 이후 유해미생물을 차단시킨다. 이후 살균대상물을 유용미생물이 생육할수 있는 적정온도인 20~50℃ 범위로 냉각시키고,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를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혐기성 발효나 호기성 발효조건이 충족된 포장기나 적재용기, 또는 적재장소(퇴비장, 임시 매립장, 저장탱크 및 관련장치)에 적재보관하고, 이후 24시간 이상 발효시켜 유기질비료 및 가축사료화할 수 있는 자원으로 완성한다.
대량으로 매립된 집단폐사 및 살처분된 폐가축폐기물(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할 경우, 매립지내에서 표토층을 걷어내고 폐가축폐기물이 노출되면 발굴된 폐가축폐기물을 고온살균한다. 이때 사정상 고온스팀장치나 히터가 설치된 처리탱크가 준비되지 않을 경우, 생석회를 이용하여 고온살균한다. 즉, 생석회를 폐가축폐기물의 함수량 상태에 따라 살포하며, 살포량은 폐가축폐기물의 수분함량에 상태에 따라 약 10~30%수준을 살포한다. 생석회는 수분이 함유된 폐가축폐기물과 반응하면서 약 200℃ 이상의 고열을 발생하고, 고열은 폐가축폐기물을 살균함과 동시에 수분을 증발시켜 급속건조를 가능하게 하며, 동물의 머리카락등을 녹여서 없앤다. 이후 고온살균된 폐가축폐기물(살균대상물)이 50℃ 이하로 냉각되면, 맥주박이나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진 미생물제를 살포하며, 미생물제는 폐가축폐기물 100중량부당 미생물제 200중량부 비율로 살포한다. 이때 매립지의 지형적 특성이나 불가피한 사정으로 맥주박이나 폐버섯배지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기를 사용할수 없을 경우 매립지에서 발굴된 사체를 지면위에 쌓아놓고 포크레인, 집게차와 같은 발굴장치를 이용하여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를 최대한 골고루 사체와 섞일수 있도록 혼합하다. 또한 악취가 심할경우 탈취효과가 큰 토양미생물제나 탈취제를 추가살포할 수 있다. 이후, 발굴장비에 의하여 맥주박과 폐버섯배지가 혼합된 폐가축폐기물을 지상에 일정한 규격에 맞추어 적재한 후 발효가 진행되도록 한다.
매립지에서 발굴된 대량의 폐가축폐기물로 이루어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고자 할 경우, 그러나 고온살균하기 위한 장치나 생석회가 준비되지 않을 경우, 유기성폐기물 100 중량부당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제 100~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적당한 용기나 탱크에 담아 호기성 및 혐기성 발효를 유도하거나 빗물유입이나 토양으로의침출수차단을 위한 비닐 및 방수천막을 바닥에 설치한후 지상에 적재하는등의 방법으로 유기질 비료화 할 수 있다. 이때 미생물제는 맥주박과 폐버섯배지가 동일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유기성폐기물을 살균고온하는 과정이나, 냉각과정을 거치지 않고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로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사료원료의 제조
도축후 축산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축의 폐혈액, 장기내 잔재물(사료 및 미소화 변), 폐장기, 폐가축, 털, 뿔, 발톱과 같은 유기성폐기물 100kg을 140℃로 가열살균하면서 분쇄함으로써 살균대상물을 제조한다. 이후 살균대상물을 35~40℃ 범위에 이르도록 냉각시킨다. 이후 냉각된 살균대상물과, 동일 중량비인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진 미생물제 150kg 을 혼합하고, 이후 48 동안 발효 및 건조시켜 수분함량 30%인 발효처리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발효처리물을 펠렛기계에 투입하여 직경 5mm 크기의 입상형태의 펠렛으로 성형하였다. 이러한 펠렛 형태인 발효처리물은 가축의 사료로 사용된다.
[실시예 2] 비료의 제조
도축후 축산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축의 폐혈액, 장기내 잔재물(사료 및 미소화 변), 폐장기, 폐가축, 털, 뿔, 발톱과 같은 유기성폐기물 100kg을 110℃로 가열살균하면서 분쇄함으로써 살균대상물을 제조한다. 이후 살균대상물을 35~40℃ 범위에 이르도록 냉각시킨다. 이후 냉각된 살균대상물과, 동일 중량비인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진 미생물제 200kg 을 혼합하고, 이후 48 동안 발효 및 건조시켜 수분함량 50% 인 발효처리물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발효처리물은 유기질 비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9)

  1. 집단폐사 및 살처분된 폐가축폐기물과, 도축후 축산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축폐기물과, 육가공 공장이나 물고기 가공공장에서 식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폐기물과, 하수정화시 발생되는 슬러지폐기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성폐기물을 100℃ 이상 가열살균하여 살균대상물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살균대상물을 20~50℃ 범위로 냉각시키는 단계(S2);
    상기 냉각된 살균대상물에,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 EM)을 가지는 미생물제를 혼합하는 단계(S3); 및
    상기 미생물제가 혼합된 상기 살균대상물을 24시간 이상 발효 및 건조시켜 발효처리물을 완성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처리물을 입상화시키는 단계(S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는 맥주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는 폐버섯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는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는,
    처리하고자 하는 상기 유기성폐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50 ~ 300 중량부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처리물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하여 상기 발효처리물에 부형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대상물은, 상기 유기성폐기물에 생석회를 살포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9. 매립지에서 발굴된 집단폐사 및 살처분된 폐가축폐기물로 이루어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고자 할 경우, 상기 유기성폐기물 100 중량부당 맥주박과 폐버섯배지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제 100~30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탱크나 지상에 적재하여 호기성 및 혐기성 발효를 유도하여 유기질비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KR1020120067759A 2012-04-24 2012-06-25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KR101391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480 2012-04-24
KR20120042480 2012-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823A true KR20130119823A (ko) 2013-11-01
KR101391065B1 KR101391065B1 (ko) 2014-04-30

Family

ID=4985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759A KR101391065B1 (ko) 2012-04-24 2012-06-25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0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817B1 (ko) * 2015-11-02 2016-01-26 송주희 식품가공 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CN106734070A (zh) * 2016-12-08 2017-05-31 南充禾香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禽畜尸体处理方法
KR20190054728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지지바이오텍 동물 사체 처리 방법
KR102080825B1 (ko) * 2019-10-02 2020-02-24 문두성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15B1 (ko) * 2019-03-29 2021-09-10 강장석 동물성폐기물의 사료화 및 비료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29A (ko) * 2000-04-01 2000-07-05 이규업 폐사축을 이용한 퇴비, 사료 제조방법
JP2004035277A (ja) * 2002-06-28 2004-02-05 Junichi Ishida 肥料の製造方法
KR20100004908A (ko) * 2009-12-11 2010-01-13 양금용 친환경 유기농 액비 및 유기질비료(퇴비)생산 방법에 대한 기술
KR101238902B1 (ko) * 2010-07-01 2013-03-06 윤무원 셀레늄을 포함하는 첨가제 함유 버섯배지 부산물을 이용한 유기비료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817B1 (ko) * 2015-11-02 2016-01-26 송주희 식품가공 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CN106734070A (zh) * 2016-12-08 2017-05-31 南充禾香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禽畜尸体处理方法
KR20190054728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지지바이오텍 동물 사체 처리 방법
KR102080825B1 (ko) * 2019-10-02 2020-02-24 문두성 토양에서의 콩나물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065B1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6636B (zh) 病死动物尸体及有机废弃物无害化处理方法
Kiyasudeen et al. Prospects of organic waste management and the significance of earthworms
CN103964935B (zh) 有机活化肥料
CN103396180B (zh) 一种利用金针菇菌渣处理病死动物的方法
KR101796168B1 (ko) 동물 사체 비료화 방법
KR101391065B1 (ko)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CN108658664A (zh) 一种病死猪无害化处理方法
CN107540416A (zh) 一种家禽粪便的无害化处理方法
CN108276211A (zh) 低碳氮比物料条件下快速无害化处理病死畜禽的生物方法
CN109206165A (zh) 一种芝麻鸭养殖场废弃物的无害化处理方法
CN108739676A (zh) 一种秸秆处理及资源化应用的方法
CN104496586A (zh) 一种基于牲畜尸体的堆垛式堆肥方法
CN107466877A (zh) 一种牛床生物垫料及其使用方法
CN104402547A (zh) 养殖废弃物即时生物处理方法
CN104446680A (zh) 死亡动物无害化处理的湿法化制生物转化法
CN108976045A (zh) 一种利用病死畜禽制备生物有机肥的方法
CN106424089B (zh) 一种渣土的处理方法及城市生活垃圾环保综合处理方法
Sekar et al. Trends in patenting and commercial utilisation of poultry farm excreta
KR100958035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자원화하여 비료 또는 사료의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44733B1 (ko) 팥물을 활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CN111683913A (zh) 利用鱼类和野生动物的肥料及其制造方法
JPH07275830A (ja) 植物性廃棄物の微生物処理及びその生成物の有効利用法
CN108164367A (zh) 快速无害化处理病死畜禽的生物方法
KR102301615B1 (ko) 동물성폐기물의 사료화 및 비료화 방법
KR20220102276A (ko) 유기성 오니를 이용한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