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766B1 - 스크류 잭 - Google Patents

스크류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766B1
KR102072766B1 KR1020180084415A KR20180084415A KR102072766B1 KR 102072766 B1 KR102072766 B1 KR 102072766B1 KR 1020180084415 A KR1020180084415 A KR 1020180084415A KR 20180084415 A KR20180084415 A KR 20180084415A KR 102072766 B1 KR102072766 B1 KR 10207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crew
guide
screw shaft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709A (ko
Inventor
오승훈
Original Assignee
오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훈 filed Critical 오승훈
Priority to KR102018008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7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6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bevel-wheel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2Lifting devices with a toothed post and pawl latch or with a post and locking elements
    • B66F2700/025Lifting devices with a toothed post and pawl latch or with a post and locking elements with a post and locking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스크류 축의 회전에도 가이드 부재는 회전하지 않으면서 승강 안내부에 의해 수직으로 용이하게 수직으로 승강함은 물론 볼스크류 축의 상·하단부에서 이중으로 지지하여 볼스크류 축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류 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류 잭{Screw jack}
본 발명은 스크류 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스크류 축과 가이드 부재가 같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가이드 부재가 볼스크류 축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돌기를 따라 승강하도록 하는 스크류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류 잭이란, 입력축의 회전 운동을 출력축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베벨기어의 회전으로 볼 스크류 축을 승강시키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스크류 잭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131호에 볼스크류 축용 자립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볼스크류 잭이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특허는 동력입력축의 회전으로 제1,2 베벨기어가 회전하면서 볼스크류 축을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 공개된 특허는 볼스크류 축의 승강시, 볼너트가 회전하지 않아 볼스크류 축의 나사산과 마찰이 발생하여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스크류 축 양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는 볼 스크류 축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면서 승강하므로 마찰이 이중으로 발생하여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1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볼스크류 축과 가이드 부재가 같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스크류 잭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부재가가 가이드 돌기를 따라 승강하도록 하는 스크류 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스크류 잭은,
단부에 수평 베벨기어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수평 베벨기어에 수직 베벨기어가 맞물려 회전축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 상면에 장착되어 볼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볼스크류 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스크류 너트;
상기 회전부재 및 스크류 너트에 장착되어 회전축의 회전으로 회전부재 및 스크류 너트를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하는 볼스크류 축;
상기 볼스크류 축의 상단부가 돌출되도록 회전축과 회전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저면에 장착되어 볼스크류 축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볼스크류 축 저면에 볼스크류 축과 같이 회전하지 않도록 장착되면서 케이스 내면에 밀착되어 볼스크류 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 외주면에 케이스 내면과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볼스크류 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케이스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부재 외주면에 요입된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은 케이스 내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 저면에 장착되어 볼스크류 축의 회전으로 회전하면서 볼스크류 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부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스크류 축의 회전에도 가이드 부재는 회전하지 않으면서 케이스를 따라 승강하면서 볼스크류 축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스크류 축의 회전으로 케이스를 따라 승강하는 가이드 부재가가 케이스 내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따라 수직선상으로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류 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류 잭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승강안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류 잭의 회전축에 의해 볼스크류 잭의 상승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류 잭의 회전축에 의해 볼스크류 잭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류 잭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스크류 잭(100)은, 입력축의 회전 운동을 출력축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물건을 이송시키거나 받쳐 지지하는 장치로서, 회전축(110), 회전부재(120), 스크류 너트(130), 볼스크류 축(140), 하우징(150), 케이스(160), 가이드 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10)은 외부 동력원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회전축 몸체(111), 수평 베벨이거(112)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몸체(111)와 수평 베벨기어(112)는 키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 몸체(111)는 상기 외부 동력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 베벨기어(112)는 상기 회전몸체(111)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 몸체(111)의 회전 동력을 회전부재(120)의 수직 베벨기어(121)로 전달한다.
상기 회전부재(120)는 상기 회전축(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회전몸체(121), 수직 베벨기어(12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몸체(121)는 일측에 상기 수직 베벨기어(122)가 형성되면서 내부가 관통되어 볼스크류 축(140)의 승강을 안내하는 몸체이다.
상기 수직 베벨기어(122)는 상기 수평 베벨기어(112)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이다.
상기 스크류 너트(130)는 상기 회전부재(120)에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볼스크류 축(140)의 승강을 안내한다.
상기 볼스크류 축(140)은 상기 스크류 너트(130)에 체결되어 회전축(110)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며, 단부에 플랜지(141)가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볼스크류 축(140)의 상단부가 돌출되도록 회전축(110)과 회전부재(120)를 수용한다.
상기 케이스(160)는 상기 하우징(150)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볼스크류 축(14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부재(170)는 상기 볼스크류 축(140) 저면에 볼스크류 축(140)과 같이 회전하지 않도록 장착되면서 케이스(160) 내면에 밀착되어 승강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70) 외주면에 케이스(160) 내면과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패킹부재(17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볼스크류 축(14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안내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 안내부(180)는 가이드 돌기(181), 가이드 홈(18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181)는 상기 케이스(160)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82)은 상기 가이드 돌기(18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170) 외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81)와 가이드 홈(182)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20) 저면에 장착되어 볼스크류 축(140)의 회전으로 회전하면서 볼스크류 축(140)의 승강을 안내하는 부시(190)를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크류 잭(100)의 제작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회전부재(120)의 회전몸체(121) 상·저면에 스크류 너트(130)와 부시(190)를 각각 고정시키고, 회전부재(120)의 수직 베벨기어(122)에 회전축(110)의 수평 베벨기어(112)를 밀착시킨 후, 상기 회전부재(120)와 회전축(110)의 일측 단부를 하우징(150)으로 감싸는데, 상기 회전부재(120)와 회전축(110) 단부 외면 및 하우징(150) 내면은 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되어 회전부재(120)와 회전축(1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10)의 타측 단부는 하우징(15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시(190)를 통해 스크류 너트(130)에 가이드 부재(170)가 저면에 장착된 볼스크류 축(140)을 체결하여 볼스크류 축(140)의 상단부가 하우징(150)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볼스크류 축(140)에 플랜지(141)를 장착한 후, 상기 볼스크류 축(140)의 하단부를 케이스(160)로 수용하는데, 상기 케이스(160) 내면에 볼스크류 축(140) 저면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170)가 밀착되도록 결합한 후, 상기 케이스(160)의 상단부는 하우징(150)에 별도의 과정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170)는 볼스크류 축(14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볼스크류 축(140)의 회전에도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170) 외면에는 패킹부재(171)가 장착되어 케이스(160)에 밀착되어 가이드 부재(170)와 케이스(160)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170)가 케이스(160) 내면에 밀착될 때, 상기 가이드 부재(17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승강 안내부(180)의 가이드 홈(182)이 케이스(160)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81)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160)의 하단부를 별도의 마감부재(미도시)로 마감하면서 본 발명 스크류 잭(100)의 결합을 완료한다.
다음은 상기의 과정으로 결합된 본 발명 스크류 잭(100)을 이용하여 부품 및 장비를 받쳐 지지하려면, 도 5와 같이, 회전축(110)의 회전축 몸체(11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 몸체(111)의 정방향 회전으로 수평 베벨기어(112)가 회전함과 동시에 수평 베벨기어(112)에 맞물린 회전부재(120)의 수직 베벨기어(122)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직 베벨기어(122)가 형성된 회전몸체(12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몸체(121)의 정방향 회전으로 회전몸체(121)와 함께 스크류 너트(130) 및 부시(190)가 일체로 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 너트(130) 및 부시(190)에 나사 결합된 볼스크류 축(140)은 스크류 너트(130) 및 부시(190)를 따라 회전하면서 볼스크류 축(140)과 플랜지(141)가 상승하고, 상기 플랜지(141)가 밀착되는 부품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스크류 축(140)은 스크류 너트(130)를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볼스크류 축(140)의 저면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170)는 패킹(171)이 케이스(160)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볼스크류 축(140)의 회전으로 케이스(160) 내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승강 안내부(180)의 가이드 홈(182)이 케이스(160)의 내주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181)에 결합되어 상승하므로 볼스크류 축(14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품 및 장비를 받쳐 지지하는 플랜지(141)의 지지력을 해제시키려면, 도 6과 같이, 회전축(110)의 회전축 몸체(11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 몸체(111)의 역방향 회전으로 수평 베벨기어(112)가 회전함과 동시에 수평 베벨기어(112)에 맞물린 회전부재(120)의 수직 베벨기어(122)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직 베벨기어(122)가 형성된 회전몸체(12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몸체(121)의 역방향 회전으로 회전몸체(121)와 함께 스크류 너트(130) 및 부시(190)가 일체로 역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 너트(130) 및 부시(190)에 나사 결합된 볼스크류 축(140)은 스크류 너트(130) 및 부시(19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볼스크류 축(140)과 플랜지(141)가 하강하고, 상기 플랜지(141)는 부품으로부터 이탈되어 부품의 지지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스크류 축(140)은 스크류 너트(130)를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볼스크류 축(140)의 저면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170)는 패킹(171)이 케이스(160)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볼스크류 축(140)의 회전으로 케이스(160) 내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승강 안내부(180)의 가이드 홈(182)이 케이스(160)의 내주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181)에 결합되어 하강하므로 볼스크류 축(14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스크류 잭 110: 회전축
120: 회전부재 130: 스크류 너트
140: 볼스크류 축 150: 하우징
160: 케이스 170: 가이드 부재
180: 승강 안내부

Claims (5)

  1. 단부에 수평 베벨기어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수평 베벨기어에 수직 베벨기어가 맞물려 회전축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 상면에 장착되어 볼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볼스크류 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스크류 너트;
    상기 회전부재 및 스크류 너트에 장착되어 회전축의 회전으로 회전부재 및 스크류 너트를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하는 볼스크류 축;
    상기 볼스크류 축의 상단부가 돌출되도록 회전축과 회전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저면에 장착되어 볼스크류 축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볼스크류 축 저면에 볼스크류 축과 같이 회전하지 않도록 장착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면에 밀착되어 볼스크류 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은 상기 볼스크류 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인 스크류 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외주면에 케이스 내면과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크류 잭.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은 케이스 내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저면에 장착되어 볼스크류 축의 회전으로 회전하면서 볼스크류 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부시를 포함하는 스크류 잭.
KR1020180084415A 2018-07-20 2018-07-20 스크류 잭 KR10207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15A KR102072766B1 (ko) 2018-07-20 2018-07-20 스크류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15A KR102072766B1 (ko) 2018-07-20 2018-07-20 스크류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709A KR20200009709A (ko) 2020-01-30
KR102072766B1 true KR102072766B1 (ko) 2020-02-03

Family

ID=6932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415A KR102072766B1 (ko) 2018-07-20 2018-07-20 스크류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956B1 (ko) * 2020-08-13 2021-05-18 황성열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420B2 (ja) * 1994-02-03 2001-01-29 三洋電機株式会社 高湿度低温貯蔵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8553U1 (de) * 1993-12-06 1994-02-03 Dewert Antriebs Systemtech Flachhubelement
JPH09202594A (ja) * 1996-01-30 1997-08-05 Takahiro Ishibashi スクリュージャッキ
KR100586452B1 (ko) * 2004-10-06 2006-06-08 주식회사 해성산전 2단 스크류 잭
JP3128420U (ja) * 2006-10-26 2007-01-11 晃益齒輪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ジャッキ
KR101047987B1 (ko) 2009-07-09 2011-07-13 국방과학연구소 볼스크류용 자립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볼스크류 잭
KR101886261B1 (ko) * 2016-04-12 2018-08-08 이찬석 전망대식 서비스 제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420B2 (ja) * 1994-02-03 2001-01-29 三洋電機株式会社 高湿度低温貯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709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377B2 (en) Telescopic stand with chain-type lifting and lowering function
KR102072766B1 (ko) 스크류 잭
JP2015040629A (ja) 昇降装置に用いられる回転ユニット
WO2019087756A1 (ja) 電動式クランプ装置
US20100140573A1 (en) Lifting device
KR970002118A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JP2019113146A (ja) 伝動装置
KR101567500B1 (ko) 감속 장치
WO2018166396A1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216530930U (zh) 直线电机及使用直线电机的装置
KR100864051B1 (ko) 범용 밀링머신
CN204251262U (zh) 扭力限制与棘轮剎车总成构造
KR20170112124A (ko) 레이디얼 베어링 및 스러스트 베어링이 구비된 로터리 테이블 회전장치
CN207234597U (zh) 一种新型电动推杆
NL8005218A (nl) Axiaal afsluitventiel.
JP5123121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N106219423B (zh) 一种绞缆筒装置
KR200470476Y1 (ko) 전동 테이블
US1047674A (en) Gearing.
US4920814A (en) Apparatus for operating a shaft
JP2005291480A (ja) 電動式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1128797A (en) Crane-brake.
CN206283381U (zh) 一种丝杆新式阻尼机构
KR101925109B1 (ko) 직선 구동장치
KR100971256B1 (ko) 호이스트용 감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