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711B1 -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 - Google Patents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711B1
KR102071711B1 KR1020180133704A KR20180133704A KR102071711B1 KR 102071711 B1 KR102071711 B1 KR 102071711B1 KR 1020180133704 A KR1020180133704 A KR 1020180133704A KR 20180133704 A KR20180133704 A KR 20180133704A KR 102071711 B1 KR102071711 B1 KR 10207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mbrella
enclosure
hous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규
최철진
Original Assignee
송진규
최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규, 최철진 filed Critical 송진규
Priority to KR102018013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2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the sides, e.g. on running-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61Behaviour during impact characterised by a pre-defined mode of deformation or displacement in order to absorb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우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가 아닌 사이드 실의 아웃패널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자동차의 외측에 우산을 수납 보관하여 사용 후 보관 과정에서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 중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동차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UMBRELLA STORAGE FOR MOUNTING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우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가 아닌 사이드 실의 아웃패널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자동차의 외측에 우산을 수납 보관하여 사용 후 보관 과정에서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 중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동차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에 장착된 엔진을 동력원으로 노상을 주행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장치로서, 영업용뿐만 아니라 개인용으로 가정 주부나 학생 등에게 까지 보급되어 거의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현대인들의 필수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자동차는 탑승자의 편의성 증진 차원에서 끊임없이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주행시뿐만 아니라 주정차 후 탑승자가 승·하차시에도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우산 보관장치(함)를 들 수 있다.
자동차에 설치된 우산 보관장치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18632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2094호(이하, 선행문헌2'라 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6474호(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3365호(이하, '선행문헌4'라 함) 등에서 제안되었다.
상기한 선행문헌1 내지 4에서 제안된 우산 보관장치들은 자동차 도어의 내측에 우산 보관장치(보관함)를 설치하여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제안하였으나, 우산 보관장치가 실내에 설치됨에 따라 젖은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해 자동차 실내가 젖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등 위생적인 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우산 보관장치로 배출된 물을 별도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8202호(이하, '선행문헌5'라 함)에서는 상기한 선행문헌1 내지 4에서와 같이 우산 보관장치를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실외 외측에 설치하여 상기한 선행문헌1 내지 4에서 문제가 되었던 젖은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한 실내 오염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5에서 제안된 우산 보관장치는 자동차의 실외 스템 브라켓트 상에 설치된 스템 내부에 우산을 보관하는 구조로, 우산 보관장치가 자동차 실외 외측, 즉 실외 스템 브라켓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템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주행 중 바람의 영향으로 인해 자동차 연비가 저하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 탈부착 가능하여 현재 운행중인 자동차에도 장착이 용이하면서, 사용 후 우산을 우산 보관장치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자동차의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주행 중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동차 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우산 보관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KR 20-1998-018632 U, 1998. 07. 06. KR 20-1998-002094 U, 1998. 03. 30. KR 10-0366474 B1, 2002. 12. 16. KR 10-0448202 B1, 2004. 09. 01. KR 20-0333365 Y1, 2003. 11. 06.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탈부착 가능하여 현재 운행중인 자동차에도 장착이 용이하면서, 자동차의 실내가 아닌 사이드 실의 아웃패널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우산을 자동차 외측에 수납 보관하여 사용 후 보관 과정에서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 중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동차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우산이 수납 보관되도록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외측면과 밀착되지 않는 외측면은 공기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함체; 상기 함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함체를 상기 자동차의 사이드 실의 상·하단부에 각각 고정하는 상·하부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는 상기 함체의 일측 내측에 설치된 회동부재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 중앙부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함체의 타측 상단부에 마련된 키홈에 결합되도록 잠금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클립은 일단부가 상기 함체의 측부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자동차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실내측으로 인입시킨 후 자동차의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사이드 실의 아웃패널의 내측 상단턱에 걸림되는 제1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클립은 일단부가 상기 함체의 측부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실의 아웃패널의 하부의 내측 상단턱에 걸림되는 제2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동차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 실에 대면하는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함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보관된 우산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측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는 내측 바닥 중앙에 고정된 받침대와, 망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상기 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소 운동하고 상부에 우산이 안치되는 안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에 탈부착 가능하여 현재 운행중인 자동차에도 장착이 용이하면서, 자동차의 실내가 아닌 사이드 실의 아웃패널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우산을 안정적으로 수납 보관함으로써 사용 후 보관 과정에서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 중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동차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이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함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함체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함체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안치대의 시소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일례로 자동차의 운전석 사이드 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10)은 자동차(V)의 실내가 아니라, 현재 운행중인 자동차(V)의 사이드 실(1)의 외측, 예를 들면, 사이드 실(1)의 아웃패널(1a) 외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사용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10)은 자동차(V)의 사이드 실(1)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내부에 우산(U)이 수납 보관되는 함체(11)와, 함체(11)의 상부를 개폐하는 도어(12)와, 함체(11)를 자동차(V)의 사이드 실(1)의 상·하단부에 각각 고정하는 상·하부클립(13, 14)을 포함한다.
함체(11)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내부에는 우산(U)이 수납 보관되도록 수납공간(11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함체(11)의 외측면(자동차의 반대측면)은 자동차(V) 주행시 공기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2)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함체(11)의 개방부에 결합되어 함체(11)의 수납공간(11a)을 개폐하는 뚜껑으로서, 일례로 함체(11)의 일측 내측에 설치된 회동부재(11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함체(11)의 수납공간(11a)을 개폐한다.
회동부재(111)는 일례로 경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어(12)의 타측 중앙부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함체(11)의 타측 상단부에 마련된 키홈(112)에 결합되도록 손잡이가 가능한 잠금키(121)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이 상부클립과 하부클립에 의해 자동차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클립(13)은 함체(11)를 아웃패널(1a)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함체(11)의 측부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제1 탄성부재(131)와, 제1 탄성부재(131)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자동차 도어(2)를 개방한 상태에서 자동차(V)의 실내측으로 인입시킨 후 자동차(V)의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아웃패널(1a)의 내측 상단턱에 걸림되는 제1 고리(132)를 포함한다.
하부클립(14)은 상부클립(13)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함체(11)를 아웃패널(1a)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클립(13)과 마찬가지로, 일단부가 함체(11)에 고정되는 제2 탄성부재(141)와, 제2 탄성부재(141)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자동차(V)의 하부, 즉 아웃패널(1a)의 하부의 내측 상단턱에 걸림되는 제2 고리(1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10)은 함체(11)의 일측면부에 설치되어 자동차(V)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패드(15)를 더 포함한다.
완충패드(15)는 부드러운 쿠션재로 이루어져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함체(11)가 진동에 의해 자동차(V)의 외측부에 스크래치 등의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완충패드(15)의 내부에는 자력을 통해 자동차의 측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자석)가 내장될 수 있다. 즉, 쿠션재의 내부에 자석을 내장하여 자동차의 상처를 방지하면서 상부클립(13)과 하부클립(14)을 통해 상단부와 하단부가 자동차에 고정되는 함체(11)의 측면부를 자력에 통해 부착시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함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함체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함체(21)는 내부에 수납 보관된 우산(U)으로부터 배출되는 물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바닥부에 복수 개의 배수공(2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측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공(21c)이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21d)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자동차 주행시 외부 공기 중 일부는 공기 유입공(21c)을 통해 함체(21)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 배출공(21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함체(21)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에 의해 수용공간(21a)에 안치된 우산(U)은 자연 건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함체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함체(31)는 함체(31)의 내측 바닥 중앙에 고정된 받침대(311)와, 중앙부가 받침대(311)에 회동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소 운동하고 상부에 우산(U)이 안치되는 안치대(312)를 더 포함한다.
안치대(312)는 상부에 안치된 우산(U)으로부터 배출되는 하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망 구조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안치된 우산(U)이 시소 운동하는 과정에서 낙하하지 않도록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안치대의 시소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와 같이, 자동차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안치대(312)는 받침대(311)를 축으로 좌우측으로 반복적으로 시소 운동하고, 이 과정에서 우산(U)에 묻어 있는 물은 시소 운동시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우산(U)으로부터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치대(312)에 안치된 우산(U)이 안치대(312)에 의해 좌우로 시소 운동하는 중, 수납공간(31a)으로는 함체(31)의 전방측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31c)을 통해 비교적 건조한 외부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우산(U)은 빠르게 건조된다.
한편, 함체(311)에는 공기 유입공(31c)과 공기 배출공(31d)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덮개(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일측부에는 햇빛이 내부로 투과되어 우산(U)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투명창(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함체(311)는 내부에 우산(U)이 수납되는 수납공간(31a)과 격리되는 격리실(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격리실에 대응되는 부위를 투명판(투명 아크릴)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격리실에는 방수 처리된 조명모듈(LED 조명모듈)을 내장시켜 상기 조명의 열기를 통해 우산(U)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은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과 비상등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0은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우산 보관함이 자동차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40)는 앞좌석 도어에서 뒷좌석 도어까지 연장되도록 아웃패널(1a)의 외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함체(41)는 자동차 주행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연비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전후방측이 서로 대칭 구조로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V : 자동차 U : 우산
1 : 사이드 실 1a : 아웃패널
10, 40 : 우산 보관함 11, 21, 31, 41 : 함체
12 : 도어 13 : 상부클립
14 : 하부클립 15 : 완충패드
11a, 21a, 31a : 수납공간 21b, 31b : 배수공
21c, 31c : 공기 유입공 21d, 31d : 공기 배출공
111 : 회동부재 112 : 키홈
121 : 잠금키 131 : 제1 탄성부재
132 : 제1 고리 141 : 제2 탄성부재
142 : 제2 고리 311 : 받침대
312 : 안치대

Claims (5)

  1. 자동차(V)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우산(U)이 수납 보관되도록 수납공간(11a)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차(V)의 외측면과 밀착되지 않는 외측면은 공기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함체(11);
    상기 함체(11)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함체(11)의 일측 내측에 설치된 회동부재(11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 중앙부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함체(11)의 타측 상단부에 마련된 키홈(112)에 결합되도록 잠금키(121)가 구비되는 도어(12);
    상기 자동차(V)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드 실(1)에 대면하는 상기 함체(11)에 설치되는 완충패드(15);
    상기 함체(11)를 상기 사이드 실(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고정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함체(11)의 측부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제1 탄성부재(131)와, 상기 제1 탄성부재(131)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자동차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V)의 실내측으로 인입시킨 후 상기 자동차(V)의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사이드 실(1)의 아웃패널(1a)의 내측 상단턱에 걸림되는 제1 고리(132)를 포함하는 상부클립(13); 및
    일단부가 상기 함체(11)의 측부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제2 탄성부재(14)와, 상기 제2 탄성부재(14)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실(1)의 아웃패널(1a)의 하부의 내측 상단턱에 걸림되는 제2 고리(142)를 포함하는 하부클립(14);을 포함하되,
    상기 함체(11)는 상기 수납공간(11a)에 수납 보관된 우산(U)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공(21b)(31b)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공(21c)(31c)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측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21d)(31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11)는 내측 바닥 중앙에 고정된 받침대(311)와, 망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상기 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소 운동하고 상부에 우산이 안치되는 안치대(3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3704A 2018-11-02 2018-11-02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 KR102071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704A KR102071711B1 (ko) 2018-11-02 2018-11-02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704A KR102071711B1 (ko) 2018-11-02 2018-11-02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711B1 true KR102071711B1 (ko) 2020-01-30

Family

ID=6932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704A KR102071711B1 (ko) 2018-11-02 2018-11-02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2952B2 (en) * 2021-11-24 2024-01-16 Subaru Corporation Collision damage reduction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682U (ja) * 1992-04-14 1993-11-09 健二 白井 座席用傘立て
KR980002094U (ko) 1996-06-25 1998-03-30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우산 보관장치의 결합구조
KR19980018632U (ko) 1996-09-30 1998-07-06 양재신 자동차 도어트림에서의 우산 보관 장치
JP2001063636A (ja) * 1999-08-30 2001-03-13 Toshio Masuda 傘収納ケース付サイドスポイラー
KR100366474B1 (ko) 1994-04-06 2003-04-10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자동차에설치되는우산용수납장치
KR200333365Y1 (ko) 2003-06-30 2003-11-15 양근호 자동차용 우산보관함
KR100448202B1 (ko) 2002-07-16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우산 보관장치
KR20180051919A (ko) * 2016-11-09 2018-05-17 장지우 차량용 우산 보관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682U (ja) * 1992-04-14 1993-11-09 健二 白井 座席用傘立て
KR100366474B1 (ko) 1994-04-06 2003-04-10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자동차에설치되는우산용수납장치
KR980002094U (ko) 1996-06-25 1998-03-30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우산 보관장치의 결합구조
KR19980018632U (ko) 1996-09-30 1998-07-06 양재신 자동차 도어트림에서의 우산 보관 장치
JP2001063636A (ja) * 1999-08-30 2001-03-13 Toshio Masuda 傘収納ケース付サイドスポイラー
KR100448202B1 (ko) 2002-07-16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우산 보관장치
KR200333365Y1 (ko) 2003-06-30 2003-11-15 양근호 자동차용 우산보관함
KR20180051919A (ko) * 2016-11-09 2018-05-17 장지우 차량용 우산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2952B2 (en) * 2021-11-24 2024-01-16 Subaru Corporation Collision damage redu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49974A1 (en) Vehicle tailgate storage apparatus
KR102071711B1 (ko) 자동차 장착용 우산 보관함
ATE383263T1 (de) Schwenktüre für kraftfahrzeuge
KR200485645Y1 (ko) 자동차 전면유리 보호덮개
KR102031971B1 (ko)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
DE60329350D1 (de) Panzerfahrzeug
CN206012481U (zh) 一种带导轨的车顶箱
KR200182239Y1 (ko) 전동차문 상부카바 지지장치
JPH10129360A (ja) 自動車用の運動具等の容器
KR970001528Y1 (ko) 자동차의 캐리어잠금용 스트라이커
JP3055637U (ja) 軽トラック荷台用覆
JPH1178517A (ja) ワンタッチ・カー網戸
KR200169788Y1 (ko) 차량도어용 우산
KR20000007511U (ko) 전동차문 상부카바 지지장치
KR0126059Y1 (ko) 승합차의 후방도어용 스테이 댐퍼 내장구조
JPH10309992A (ja) 自動車用傘入れ
KR19980033889U (ko) 트렁크 리드에 구비된 텐트
JP2003000315A (ja) 自動車のドア屋根
KR19990019586A (ko) 자동차 뒷좌석의 암레스트
KR100706551B1 (ko) 차량용 썬바이저
KR19990017458A (ko) 차량의 먼지 유입 방지용 에어 그릴
KR19980066564U (ko) 차량용 방충망
KR200397762Y1 (ko) 자동차 앞유리 외부 가리개
JP2591044Y2 (ja) 車両のポップアップルーフ
JP3017354U (ja) 自動車用テント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