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529B1 -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529B1
KR102071529B1 KR1020180016902A KR20180016902A KR102071529B1 KR 102071529 B1 KR102071529 B1 KR 102071529B1 KR 1020180016902 A KR1020180016902 A KR 1020180016902A KR 20180016902 A KR20180016902 A KR 20180016902A KR 102071529 B1 KR102071529 B1 KR 10207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water
food
interfacial tension
cook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071A (ko
Inventor
히사오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에버트론 홀딩스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2313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715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버트론 홀딩스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버트론 홀딩스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수분을 내포하는 음식물을 양호화시킨다. 프라이어(100)는 한 쌍의 대향 평판 안테나(102) 사이에 전자파를 발생시켜서, 음식물 내의 성분인 수분, 구체적으로는 대상물의 수분활성을 제어한다. 그리고 그리고 프라이어(100)는 교류전장에 유상에 대해서 수상측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해서, 음식물에 주파수가 50kHz의 전자파를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수상과 유상과의 계면분극을 증대시켜서, 수상과 유상과의 계면장력을 약 60% 저하시키는 동시에, 수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켜서, 수분활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분을 내포하는 대상물을 양호화시킬 수 있는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범위의 주파수의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서 음식물의 가열조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조리된 음식물의 식미(음식 맛)가 매우 뛰어난 프라이어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본 명세서 중에 특허문헌 1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전체를 참고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소정범위의 주파수의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서 음식물의 조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식용유의 산화ㆍ열화방지, 조리된 음식물의 식미 향상 등이 뛰어난 효과를 수득된다고 여겨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29672호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프라이어 및 가열 조리방법을 발명한 시점에서는, 본 발명자조차도 상기의 우수한 효과가 수득되는 이론에 잘 알 수 없는 않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모든 음식물에 적용할 수 없었고, 음식물 이외의 것에 적용하는 것도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성분을 내포하는 대상물을 양호화시킬 수 있는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성분 제어방법은, 진동을 발생하는 한 쌍의 진동 발생부를 구비하는 성분 제어장치에 의한 성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 사이에 진동을 발생시켜서, 그 진동 발생부 사이에 배치된 대상물 내의 성분을 제어한다.
상기의 성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전자파를 발생하는 전극이고, 상기 전극 사이에 전자파를 발생시켜서, 상기 대상물의 수분활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전극 사이에 전자파를 발생시켜서, 상기 대상물의 수상과 다른 상과의 계면분극을 증대시켜서 그 수상과 그 다른 상과의 계면장력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그 대상물 내의 수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키는 것 일 수도 있다.
상기의 성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교류전장에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해서, 상기 대상물의 수상과 다른 상과의 계면분극을 증대시켜서 그 수상과 그 다른 상과의 계면장력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그 대상물 내의 수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키는 것 일 수도 있다.
상기의 성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장에, 상기 다른 상에 대해서 상기 수상측에 거의 +100V의 상기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해서, 상기 대상물의 수상과 다른 상과의 계면분극을 증대시켜서 그 수상과 그 다른 상과의 계면장력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그 대상물 내의 수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키는 것 일 수도 있다.
상기의 성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의 주파수는 거의 10kHz∼거의 500kHz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는 장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내의 수분은 결합수와, 자유수로 구분되고, 상기 대상물 내의 수분 가운데, 상기 자유수를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는, 진동을 발생하는 한 쌍의 진동 발생부를 구비하고, 그 진동 발생부 사이에 진동을 발생시켜서, 그 진동 발생부 사이에 배치된 대상물 내의 성분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에 의하면, 성분을 내포하는 대상물을 양호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라이어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라이어에 의한 수분제어방법의 처리 흐름의 1 예를 나타낸다.
도 3의 (a)는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을 첨가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직류전장만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만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만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이미 사용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이미 사용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W/O에멀션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6은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 형성의 모식도이다.
도 17의 (a)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 중에서 교류전장을 인가한 인산 생리식염수의 미소 물방울의 관찰결과를 나나태는 표이고, (b)는 생리식염수의 미소 물방울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8의 (a)는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 중에서 교류전장을 인가한 인산 생리식염수의 미소 물방울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표이고, (b)는 생리식염수의 미소 물방울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건 발명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또, 본건 발명은 명세서나 도면의 기재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라이어는 예를 들면, 소정 범위의 주파수의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서 음식물의 가열조리를 실시하는 전장 인가형 프라이어 등으로 구성되고, 음식물이 내포하는 수분을 제어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라이어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프라이어(100)는 주로, 저유조(101)와, 한 쌍의 대향 평판 안테나(102)와, 구동부(103)와, 가열부(104)를 구비한다.
저유조(101)는 식용유를 담아서 음식물을 가열조리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즉, 저유조(101) 내가 가열된 식용유 중에 음식물을 투입하는 것에 의해, 음식물이 프라이 조리된다. 저유조(101)에는 음식물이 투입되고, 또, 저유조(101)의 내면은 고온의 오일과 접촉하기 위해서, 저유조(101)는 인체에 해가 없고, 고온ㆍ장기의 사용에서도 열화가 적은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을 사용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저유조(101)의 용적이나 형상에 대해서는 프라이어(100)의 설치 장소나 프라이어(100)로 한 번에 가열 조리를 실시하는 음식물의 분량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된다.
대향 평판 안테나(102)는 저유조(101)에 대향해서 직립 설치된다. 대향 평판 안테나(102) 사에 소정 범위의 주파수의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서 음식물이 조리된다. 대향 평판 안테나(102)는 그 표면이 절연성의 물질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으로 하면, 예를 들면 대향 평판 안테나(102)에 공급된 교류전압이 저유조(101)에 전달되고, 프라이어(100)의 사용자 감전이나 프라이어(100) 부근의 장치 고장 등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대향 평판 안테나(102)는 휭단면이 거의 L자 형상이고, 저유조(101)의 저면에 거의 평행한 저면부(111)와 저유조(101)의 저면에 거의 수직인 수직부(112)로 이루어지고, 저면부(111)가 서로 맞대지도록 세워서 설치될 수 도 있다. 또, 「거의 L자 형상」으로 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저면부(111)와 수직부(112)를 수직하게 접속해서 L자 형상으로 대향 평판 안테나(102)를 구성하는 이외에, 예를 들면 저면부(111)와 수직부(112)와의 접속부의 휭단면을 둥그스름한 모양을 갖는 R형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대향 평판 안테나(102)의 저면부(111) 또는/및 수직부(112)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구멍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구멍의 크기나 배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구동부(103)는 대향 평판 안테나(102) 사이에 거의 10kHz∼거의 500kHz의 주파수의 전자파(전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대향 평판 안테나(102)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설치된다. 또, 대향 평판 안테나(102)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파는 주파수가 30kHz∼300kHz의 장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0kHz∼100kHz이다. 대향 평판 안테나(102) 사이에 소정 범위의 주파수의 전자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대향 평판 안테나(102)에 소정의 주파수의 전자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진기를 접속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그때에 구동부(103)와 대향 평판 안테나(102)는 단자(113)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가열부(104)는 저유조(101)에 들어 있는 식용유를 120℃∼200℃로 가열해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가열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금속 파이프 내에 발열 코일을 수용하고, 발열 코일에 전류를 흘려 보내는 것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서 가열하는 방법이나, 가스를 연소시켜서 가열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열부(104)는 저유조(101)의 바깥에 설치되어 있지만, 저유조(101) 안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 저유조(10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라이어에 의한 수분제어방법(성분 제어방법)의 처리 흐름의 1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가열조리 방법에 있어서, 우선, 프라이어(100)의 가열부(104)는 저유조(101) 내의 식용유를 120℃∼200℃의 범위로 가열한다(스텝 S1). 다음에, 프라이어(100)의 구동부(103)는 대향 평판 안테나(102)를 구동하고, 가열부(104)에 의해 가열되고 있는 식용유 중에 50kHz∼100kHz의 주파수의 전자파를 발생시킨다(스텝 S2). 그리고 식용유 중에 가열조리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 투입되면, 프라이어(100)는 소정 범위의 주파수의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서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을 제어하면서 가열조리를 실시한다(스텝 S3). 가열조리가 끝나면, 식용유 안에서 음식물은 출력된다.
( 실시예 1)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가열조리를 실시하면,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은 식용유 중에서 수증기가 되어 범핑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분 제어방법에 의하면, 소정범위의 주파수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오일/수 계면의 계면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은 탈리되고, 식용유 중에서 작은 물방울이 되어 분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가열되고 있는 식용유 중에서 수증기가 되어 기화해도, 발생하는 범핑은 작아진다. 이렇게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을 제어해서 범핑을 억제함으로써, 음식물 내로의 유분의 침투억제 등이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그것에 따라, 조리된 음식물은 식미가 매우 뛰어난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분제어방법에 의한 범핑 억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50kHz∼100kHz의 주파수 대역의 교류전장, 및/또는 직류전장을 인가하고, 실온(20℃∼25℃)에서의 오일/수 계면의 계면장력 측정을 실시했다(실시예 1). 여기에서, 계면장력은 오일/수 계면을 1㎡ 넓히는데 필요한 작업량(에너지)으로 정의되고, 액적법에 의해 측정된다. 액적법에 있어서, 계면장력의 대소는 모세관으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의 부피(중량)의 대소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용유로서 하비스트유를 사용했다. 또, 조리대상이 되는 식품 재료(물고기, 육, 및 채소 등)의 pH는 5∼7의 범위에 있으므로, 식품재료에 함유되는 수분의 모델 수용액으로서 pH 7.2∼7.4의 인산 생리식염수와, pH 5.4∼5.6의 생리식염수를 사용했다.
[신선한 식용유에 있어서의 계면장력의 측정]
우선, pH 7.2∼7.4의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신선한 식용유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50kHz, 200Vpp의 교류전장을 인가했을 때, 추가로 그 교류전장에, 유상에 대해서 수상측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을 실시했다.
도 3의 (a)는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횡축은,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된 직류전장[V]을 나타내고, 종축은 전장인가에 따른 계면장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의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신선한 식용유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장인가에 따른 계면장력의 변화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다음에, 식용유의 가열ㆍ가수분해물이 생성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모델 물질로서, 올레산 10-3M(=mol/l) 및 올레산 나트륨 10-3M 등의 올레산 화합물을 신선한 식용유에 첨가하고, 50kHz, 200Vpp의 교류전장을 인가했을 때, 추가로 그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을 실시했다.
도 4의 (a)는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을 첨가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도 4의 (a) 및 (b)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의 횡축은,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된 직류전장[V]을 나타내고, 종축은 전장인가에 따르는 계면장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10-3M을 첨가해도, 전장인가에 따른 계면장력의 변화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했을 경우에 있어서, 교류전장만을 인가했을 때에는 계면장력의 변화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지만,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에는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계속해서,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했을 경우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을 실시했다.
도 5는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직류전장만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 및, 도 4의 (a) 및 (b) 에 나타내는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횡축은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된 직류전장[V]을 나타내고, 종축은 전장인가에 따르는 계면장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6은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만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횡축은 교류전장의 주파수[Hz]를 나타내고, 종축은 전장인가에 따른 계면장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류전장을 인가하지 않고,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만 인가했을 때도,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와 동일하게,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류전장만을 인가해서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교류전장의 주파수를 변화시켜도, 계면장력의 변화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0Hz∼100kHz, 200Vpp의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에는, 교류전장의 주파수에 관계 없이, 20% 정도의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0Hz∼100kHz, 200Vpp의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에는, 교류전장의 주파수에 관계 없이, 10% 초과의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다음에, pH 5.4∼5.6의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신선한 식용유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에 있어서, 50kHz, 200Vpp의 교류전장을 인가했을 때, 추가로 그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을 실시했다.
도 3의 (b)는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 도 4의 (a) 및 (b), 및 도 5에 나타내는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도 3의 (b)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횡축은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된 직류전장[V]을 나타내고, 종축은, 전장인가에 따르는 계면장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했을 경우도,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선한 식용유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전장인가에 따른 계면장력의 변화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다음에,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하고, 50kHz, 200Vpp의 교류전장을 인가했을 때, 추가로 그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을 실시했다.
도 9는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 도 4의 (a) 및 (b), 도 5,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횡축은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된 직류전장[V]을 나타내고, 종축은 전장인가에 따른 계면장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했을 경우,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해도, 교류전장만을 인가했을 때에는 계면장력의 변화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했을 경우,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하면, 교류전장만을 인가했을 때에도, 10% 초과의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횡축 0 [V]에는 변화율로서 2개의 플롯이 있는 바, 한쪽은 도 4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횡축의 0[V]에 있어서의 변화율을 참고로 기재한 것이다.
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에는, 60% 이상의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에도 15%정도의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다음에,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했을 경우에 있어서, 여러 가지 주파수의 교류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을 실시했다.
도 10은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만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올레산 나트륨을 첨가한 식용유에,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횡축은 교류전장의 주파수[Hz]를 나타내고, 종축은 전장인가에 따른 계면장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0kHz∼100kHz, 200Vpp의 교류전장만을 인가해서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계면장력의 값에 불균일을 볼 수 있지만, 교류전장의 주파수 저하에 따라서 계면장력의 저하율이 증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에는, 60% 이상의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고, 1kHz 주변에 있어서 계면장력이 최소가 되었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에도, 계면장력의 저하율에 불균일을 볼 수 있지만, 15% 정도의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고, 1kHz 부근에서는 계면장력의 저하가 억제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상기의 오일/수 계면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이하에 정리한다.
ㆍ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10-3M을 첨가해도, 전장인가에 따른 계면장력의 변화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ㆍ한편, 도 4의 (b) 및 도 5∼도 8, 및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했을 경우에는, 전장을 인가하면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고, 계면장력의 저하율은 수상의 pH에 현저하게 의존한다.
ㆍ도 4의 (b) 및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H 7.2∼7.4의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했을 경우, 교류전장을 인가한 만으로는 계면장력의 저하는 인정되지 않고, 직류전장을 인가하면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된다.
ㆍ한편,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H 5.4∼5.6의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했을 경우, 교류전장을 인가한 것만으로도 계면장력의 저하가 인정되고, 교류전장의 주파수 저하에 따라서, 계면장력의 저하율이 증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ㆍ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H 5.4∼5.6의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하면, 60% 이상의 계면장력의 저하가 확인되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류전장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해도, 15% 정도의 계면장력의 저하에 그쳤다.
상기의 측정결과로부터,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의 pH가 낮은 것이, 오일/수 계면의 계면장력 저하율이 크고, 범핑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미 사용된 식용유에 있어서의 계면장력의 측정]
다음에, 프라이어(100)에서 이미 사용된 식용유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에 있어서, 50kHz, 200Vpp의 교류전장을 인가했을 때, 추가로 그 교류전장에, 유상에 대해서 수상측에 직류전장±100V를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을 실시했다.
도 13은 인산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이미 사용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생리식염수를 수상으로 해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이미 사용된 식용유에, 전장을 인가했을 때의 계면장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 및 (b), 도 4의 (a) 및 (b),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횡축은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된 직류전장[V]을 나타내고, 종축은 전장인가에 따는 계면장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선한 식용유에서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 전장인가에 따는 계면장력의 변화가 거의 인정되지 않았지만,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 사용된 식용유에서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 전장인가에 의해, 계면장력은 5% 정도의 약간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수상의 pH의 영향에 대해서는 계면장력의 저하율은 다르지만, 신선한 식용유에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했을 경우와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 실시예 2)
상기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식용유의 가열ㆍ가수분해에 의해 생성할 가능성이 있는 올레산 나트륨(고급 지방산염)이 존재함으로써, 전장인가에 의해 계면장력이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계면장력의 저하는 전장인가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면분극의 증대에 따른다.
오일/수 계면에 흡착한 오일측의 올레산 이온과 수측의 나트륨 이온은 인접하는 동종의 이온 상호간에 정전적으로 반발 에너지가 작용해서 계면을 넓히려고 작용한다. 전장인가에 의해, 오일/수 계면의 올레산 이온과 나트륨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면, 인접하는 이온 간의 거리가 줄어들고, 정전적으로 반발 에너지, 즉 계면을 넓히려고 하는 작용이 커진다. 이 결과, 오일/수 계면을 1㎡ 넓히는데 필요한 작업량으로 정의되는 계면장력은 작아진다.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이 식용유 중에서 수증기가 될 때에, 음식물로부터 탈리해서 식용유 중에서 작은 물방울이 되는 수분(이하, 「미소 물방울」이라고 한다.)의 크기는, 액적법에 있어서 모세관으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의 크기(직경∼5mm) 보다도 작아진다. 이러한 식용유 중의 미소 물방울에, 계면장력을 저하시키는데 충분한 계면분극이 발생하면, 쌍극자간 인력에 의한 미소 물방울의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이 형성된다. 한편, 계면분극이 약한 경우에는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식용유 중의 미소 물방울(W/O 에멀션)의 계면분극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1)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로 조정한 pH 7.2∼7.4의 인산 생리식염수, (2)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로 조정한 pH 5.4∼5.6의 생리식염수, (3)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한 식용유로 조정한 pH 7.2∼7.4의 인산 생리식염수, 및 (4)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한 식용유로 조정한 pH 5.4∼5.6의 생리식염수 각각의 미소 물방울에, 50kHz, 200∼2000Vpp/cm의 전장을 인가하고, 현미경에 의한 관찰을 실시했다 (실시예 2).
도 15는 W/O 에멀션의 관찰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한 식용유 중에서는, 미소 물방울에 포함되는 인산 생리식염수 및 생리식염수의 pH에 의존하지 않고, 50kHz, 200∼2000Vpp/cm의 교류전장을 인가하고 나서 2분 정도에서, 도 1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또, 형성된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의 크기는 약 200㎛이고,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의 하나 하나의 구슬 직경은 10∼100㎛ 정도였다. 일단,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이 형성되면, 1주일간은 그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 중에서는, 교류전장을 인가해서 2분 정도에서는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의 형성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40분 이상 경과하면,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즉,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보다도,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한 식용유쪽이 보다 큰, 수/오일 계면의 계면분극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시사되고 있고, 이 결과는 상기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계면장력의 측정결과와 일치한다.
다음에, 상기의 (1)∼(4)의 각각의 미소 물방울에, 50Hz∼100kHz, 200∼2000Vpp/cm의 다양한 교류전장을 인가하고, 2분 후에 현미경에 의한 관찰을 실시했다.
도 17의 (a)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신선한 식용유 중에서 교류전장을 인가한 인산 생리식염수의 미소 물방울의 관찰결과를 나타낸 표이고, 도 17의 (b)는 생리식염수의 미소 물방울의 관찰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8의 (a)는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한 식용유 중에서 교류전장을 인가한 인산 생리식염수의 관찰결과를 나타낸 표이고, 도 18(b)는 생리식염수의 미소 물방울의 관찰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7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선한 식용유 중에서는 어느 쪽의 주파수에 있어서도, 미소 물방울의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의 형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도 18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올레산 나트륨 10-3M을 첨가한 식용유 중에서는 어느 쪽의 주파수에 있어서도 500∼2000Vpp/cm의 범위에서, 미소 물방울의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는 전기침투류에 의한 것으로 보여지는 유체운동의 교란에 의해서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의 형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상기의 관찰결과로부터, 식용유 중에 분산한 100㎛ 이하의 미소 물방울에 있어서도, 전장인가에 의해 수/오일 계면의 계면분극이 발생하고, 올레산 나트륨 10-3M의 첨가에 의해 수/오일 계면의 계면분극이 증대하고, 계면장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식물 중에는, 올레산 나트륨 등의 지방산염 이외에도 극성을 가지는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또 극성을 가지는 유기 고분자도 음식물에는 많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음식물에 많이 포함되는 물도 극성을 가지는 분자의 하나이다.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음식물이라면 물은 70% 정도 포함되고, 세포막은 지질 이중막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야채나 과일에 80% 이상, 육류나 물고기에 70∼80%는 수분이다. 야채에서는 5%, 육류나 물고기에서는 3%의 수분이 상실되면, 선도나 품질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극성을 가지는 분자에 하나인 물은 음식물 중에 많이 포함되지만, 그 존재상태에 따라서, 크게 「결합수」와 「자유수」로 나눌 수 있다. 「결합수」는 음식물 중의 단백질이나 탄수화물과 수소결합으로 결부되어 수화되고 있는 물로, 분자의 운동이 속박되어 안정되어 있는 물다. 「자유수」는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물로, 0℃에서 동결하거나, 100℃ 부근에서 기화하거나, 혹은 물질을 용해할 수 있는 물이다. 이 자유수가 많을수록 신선한데, 그야말로 싱싱한 상태라고 말할 수 있지만, 분자는 극성을 가지므로, 다른 분자와 결부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부패균 등의 미생물은 이미 음식물의 성분과 결부되어 있는 결합수와 결부될 수 없기 때문에, 그 증식에 사용할 수는 없지만, 자유수와는 결부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증식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유수가 미생물과 결부되면, 부패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분 제어방법은 자유수 상호 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이라는 결합수와 같은 안정된 형태로 함으로써, 여분의 수분의 식용유 중에의 용출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싱싱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물이 수소결합을 풀고, 액체로부터 기체가 될 때에는, 방대한 에너지(기화열)이 필요하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분 제어방법에 의하면,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이 유지되어 식용유 중에서 기화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음식물 내의 수분에 의한 오일 튐의 억제, 조리 시의 오일 온도의 감소, 음식물의 조리시간의 감소와 그것에 따른 식용유의 산화 억제 등,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인 프라이어(100)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이고, 전극인 한 쌍의 대향 평판 안테나(102)을 구비하고, 한 쌍의 대향 평판 안테나(102) 사이에 거의 10kHz∼거의 500kHz의 주파수의 전자파(전파)를 발생시켜서, 한 쌍의 대향 평판 안테나(102) 사이에 배치된 대상물인 음식물 내의 성분인 수분,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의 수분 활성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라이어(100)에 의한 수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프라이어(100)는 교류전장에, 다른 상인 유상에 대해서 수상측에 +100V의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해서, 음식물에 주파수가 50kHz의 전자파를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수상과 유상의 계면분극을 증대시켜서, 수상과 유상과의 계면장력을 약 60% 저하시키는 동시에, 수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 음식물이 내포하는 수분은 결합수와, 자유수로 구분되고, 음식물이 내포하는 수분 가운데, 자유수를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켜서, 음식물 중의 자유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분 활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상과 유상의 계면장력을 약 60%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이 탈리되고, 식용유 중에서 작은 물방울이 되어 분산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가열되고 있는 식용유 중에서 수증기가 되어 기화하더라도, 발생하는 범핑은 작아진다. 이렇게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을 제어해서 범핑을 억제함으로써, 음식물 내로의 유분의 침투 억제 등이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그것에 따라서, 조리된 음식물은 음식 맛이 매우 우수한 것이 된다.
또, 자유수를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켜서 안정된 형태로 함으로써, 여분의 수분의 식용유 중으로의 용출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싱싱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분 제어방법에 의하면,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배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음식물에 내포되는 수분이 유지되어 식용유 중에서 기화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음식물 내의 수분에 의한 오일 튐의 억제, 조리 시의 오일온도의 감소, 음식물의 조리시간의 감소와 그것에 따른 식용유의 산화 억제 등,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라이어(100) 및 수분 제어방법에 의하면, 수분을 내포하는 음식물을 양호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변형, 응용이 가능한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상기의 실시형태의 변형태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분은 수분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액체 등, 진동으로 제어가능하는 것이라면 임의이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분 제어장치는 프라이어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식물 등의 대상물 성분을 제어하는 것이라면 임의이고, 예를 들면 음식물의 수분 활성을 제어하는 냉장고나, 컨테이너, 창고 등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하고, 음식물의 수분 활성을 제어함으로써, 식품의 맛, 향, 영양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해서, 식품의 육류나 물고기, 야채, 과일에 내포되는 수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통상의 냉장고에서도 육류나 물고기를 통상의 수 배, 부패시키지 않고, 장기간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제로, 성분 제어장치에서 1시간 작은 도미에 전계를 인가한 후에 냉장고에 2일간 넣어 두었을 경우에는, 15분간만 작은 도미에 전계를 인가한 후에 냉장고에 2일간 넣어 두었을 경우나, 작은 도미에 전계를 인가하지 않고 냉장고에 2일간 넣어 두었을 경우보다도, 2일 정도 길게 선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상물은 음식물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파 등의 진동에 의해 성분이 제어되는 것이라면 임의이고, 음료, 의약품에 사용되는 식물 등과 같은 음식물 이외의 식물이나, 인체, 동물, 화약, 백신 등의 의약품, 게다가 물 자체 등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해서 음료나, 식물, 인체, 동물, 화약, 백신 등의 의약품 수분 활성을 제어함으로써, 식품뿐만 아니라, 음료나, 식물, 인체, 동물, 화약, 의약품 등을 열화 또는 부패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에 의해 계면장력을 저하시킨 물을 사용해서 재배된 작물은 매우 빨리 균일하게 발아, 성장해서 조류나 잡초의 발생을 억제해 음식맛이 매우 뛰어난 것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해서, 생명체 중의 자유수가 이미 활성산소나 바이러스, 잡균을 포함하는 미생물 등에 결합한 상태를, 물 상호간의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서, 활성산소나 바이러스, 잡균을 포함하는 미생물 등의 수소결합이 분리되고, 치료효과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종래의 의약품은 전제로서 자유수가 이미 활성산소나 바이러스, 잡균을 포함하는 미생물 등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연구 개발하고 있는 것이, 본 발명은 그 전제 자체를 없앰으로써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pc, 의자, 베드, 베개 속에 격납함으로써 잡균을 포함하는 미생물이나, 활성산소, 바이러스 등과 결합하고 있는 자유수가 분리되어, 자유수 상호간에서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함으로써, 잡균을 포함하는 미생물이나, 활성산소, 바이러스 등의 활동을 정지, 휴지, 및 불활성 등으로 할 수 있다.
또, 시멘트를 물로 섞을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해서 시멘트에 섞는 물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구조로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를 올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해서 철이나 수지의 정련공정에서 사용하는 물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구조로 함으로써, 철이나 수지의 강도를 올리고, 불량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LSI(Large-Scale Integration)의 웨이퍼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반도체 소자 관련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해서 기반의 세정수를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구조로 함으로써, 세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제어방법을 사용하면, 에칭액의 희석 조제용의 제조기술을 향상시키거나, 노광 공정에서 미세한 패턴을 베이킹할 때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해서 잉크나 도료에 포함되는 수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구조로 함으로써, 노즐의 막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하면, 정밀 정량 분석에 있어서의 시험기구의 세정효과를 향상시키거나, 시약류나, 스탠더드의 조제, 블랭크, 2층 추출의 용매 등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는 유전자 공학 등, 바이오테크놀러지 분야에서의 세포배양, 특히 DNA(Deoxyribonucleic Acid)의 증폭에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는 의약품의 주사용수로서 주사제의 제조(접종 시의 희석ㆍ용매용은 제외한다), 및 밀봉된 정제수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는 초임계 상태의 물을 전량 증발시키는 화력 발전소의 초고압 보일러나, 종래형 보일러의 복수탈염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 원자력 발전소의 경수로 로심에 냉각제로서 접하는 1차 냉각수는 불순물, 특히 붕소나 카드뮴 등의 반응단면적이 큰 핵종의 방사화에 의한 2차 방사능을 가질 수 있지만,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태양광발전 및 수소발전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해서 용매의 불순물을 제외해서 순도가 높은 물로 함으로써, 전기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는 소립자 물리학에 있어서의 특수한 입자 검출기의 매체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 가솔린나 중유의 분자 구조도 동일하게,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사용해서 자유수를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구조로 바꿈으로?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제어장치를 초순수에 사용하면, 초순수의 전기 전도율이 향상한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2017년 08월 03일에 출원된 일본국특허출원 2017-151155에 의거한다. 본 명세서 중에 일본국특허출원 2017-151155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전체를 참조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00: 프라이어 101: 저유조
102: 대향 평판 안테나 103: 구동부
104: 가열부 111: 저면부
112: 수직부 113: 단자

Claims (9)

  1. 진동을 발생하는 한 쌍의 진동 발생부를 구비하는 성분 제어장치에 의한 성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 사이에 진동을 발생시켜서, 그 진동 발생부 사이에 배치된 대상물 내의 성분을 제어하고,
    교류전장에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해서, 상기 대상물의 수상(aqueous phase)과 다른 상과의 계면분극을 증대시켜서 그 수상과 그 다른 상과의 계면장력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그 대상물 내의 수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키는 성분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진동을 발생하는 한 쌍의 진동 발생부를 구비하고, 그 진동 발생부 사이에 진동을 발생시켜서, 그 진동 발생부 사이에 배치된 대상물 내의 성분을 제어하고,
    교류전장에 직류전장을 오프셋 전장으로서 인가해서, 상기 대상물의 수상(aqueous phase)과 다른 상과의 계면분극을 증대시켜서 그 수상과 그 다른 상과의 계면장력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그 대상물 내의 수분을 연주(連珠: 연결된 구슬)형상으로 결합시키는 성분 제어방법.
KR1020180016902A 2017-08-03 2018-02-12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 KR102071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1155 2017-08-03
JPJP-P-2017-151155 2017-08-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466A Division KR102246618B1 (ko) 2017-08-03 2020-01-22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071A KR20190015071A (ko) 2019-02-13
KR102071529B1 true KR102071529B1 (ko) 2020-01-30

Family

ID=652313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902A KR102071529B1 (ko) 2017-08-03 2018-02-12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
KR1020200008466A KR102246618B1 (ko) 2017-08-03 2020-01-22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466A KR102246618B1 (ko) 2017-08-03 2020-01-22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38077A1 (ko)
JP (3) JP7269614B2 (ko)
KR (2) KR102071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8035B2 (en) 2017-12-31 2024-06-04 Evertron Holdings Pte Ltd Moisture control apparatus and moisture contro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807B1 (ko) * 2019-03-04 2020-06-17 노유빈 수분자 제어 기술을 이용한 튀김기
EP4129075A4 (en) * 2020-03-23 2023-12-13 Aqua Design Inc. METHOD FOR PRODUCING NON-SPLATTERING COOKING OIL, PRODUCTION DEVICE THEREFOR AND MAGNETIC FIELD GENERATION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WO2023080244A1 (ja) * 2021-11-05 2023-05-11 エバートロ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楽器等の音質ないし品質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7104B1 (ja) 2014-02-17 2015-06-03 新エネルギー産業株式会社 食用油の酸化防止方法
JP2016129672A (ja) * 2015-01-13 2016-07-21 エバートロ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フライヤー、加熱調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251B2 (ja) * 1995-12-16 2004-08-11 昭和産業株式会社 揚げ物用油脂組成物
WO2010073435A1 (ja) 2008-12-26 2010-07-01 エスケーエイ株式会社 食用油又は工業用油の劣化防止方法と装置
JP3179641U (ja) 2012-08-30 2012-11-08 株式会社 滝田 フライヤー
JP5683032B1 (ja) * 2014-02-17 2015-03-11 錦隆 後藤 空間電位発生装置を利用した鮮度保持装置
KR101683978B1 (ko) * 2014-09-17 2016-12-09 문미영 튀김기와 그의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
EP3199217B1 (en) * 2016-01-29 2020-08-05 Borealis AG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t least one emulsion by applying an electrical fiel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7104B1 (ja) 2014-02-17 2015-06-03 新エネルギー産業株式会社 食用油の酸化防止方法
JP2016129672A (ja) * 2015-01-13 2016-07-21 エバートロ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フライヤー、加熱調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8035B2 (en) 2017-12-31 2024-06-04 Evertron Holdings Pte Ltd Moisture control apparatus and moistur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26836A (ja) 2024-02-28
JP2019024487A (ja) 2019-02-21
JP7269614B2 (ja) 2023-05-09
JP7427300B2 (ja) 2024-02-05
US20190038077A1 (en) 2019-02-07
KR20200013001A (ko) 2020-02-05
KR102246618B1 (ko) 2021-04-29
KR20190015071A (ko) 2019-02-13
JP2023080316A (ja)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3001A (ko) 성분 제어방법 및 성분 제어장치
Ma et al. Effects of ultrasonic and microwave pretreatments on lipid extraction of microalgae
Misra et al. Landmarks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wenty first century food processing technologies
JP7175071B2 (ja) 成分制御装置、成分制御方法、輸送方法、調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733278A1 (en) Moisture control device, moisture control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generated substance, product, device and equipment
Takahata et al. Improvement of growth rate of plants by bubble discharge in water
CN101910748A (zh) 过热压缩暖风的发生方法及其发生装置、以及采用过热压缩暖风的加工处理物、加工处理方法、加工处理装置
Liu et al. Synergistic effect of thermal and pulsed electric field (PEF) treatment on the permeability of soya PC and DPPC vesicles
JP2019163925A (ja) 生体磁性粒子の安定化及び振動化による電磁冷凍の向上
Iftikhar et al. Enhanced inactivation of pectin methyl esterase in orange juice using modifie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reatment
JP2022553709A (ja) 低分子飲料水、調製方法および応用
CN107233572A (zh) 一种基于淀粉样多肽为模板的光热剂的制备方法及用途
JP6084975B2 (ja) 物質の改質方法
Bizzi et al. 21 Ultrasound-Assisted Industrial Synthesis and Processes
JP3666986B2 (ja) 発芽用種子の保存方法
JP6089718B2 (ja) 液状物の処理方法
CN105749308A (zh) 一种食用菌菌种液体培养基的灭菌方法
Sycheva et al. Studying effect of electromagnetic treatment on milk technological properties
WO2015121896A1 (ja) 無電源式物質変性方法
JP5957674B2 (ja) 電気的処理によるアンジオテンシンi変換酵素阻害活性を高めたアブラナ科野菜の処理方法及びその生産方法
EP1482032A1 (en) Molecule vibrator
CN106614516A (zh) 一种用于培养基中蚂蚁的防治方法及装置
Thai et al. Manganese Ferrite Nanoparticles: a Probe for Hyperthermia-Triggered Drug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016;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227

Effective date: 2020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