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994B1 -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994B1
KR102070994B1 KR1020180053057A KR20180053057A KR102070994B1 KR 102070994 B1 KR102070994 B1 KR 102070994B1 KR 1020180053057 A KR1020180053057 A KR 1020180053057A KR 20180053057 A KR20180053057 A KR 20180053057A KR 102070994 B1 KR102070994 B1 KR 10207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clad metal
glasses
met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838A (ko
Inventor
홍석무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99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3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heets of limited length, e.g. folded sheets, superimposed sheets, pack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14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transversely to the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21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in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판 및 티타늄판을 접합수단을 통해 서로 접합하여 하나의 클래드메탈을 제작하는 메탈제작단계; 상기 클래드메탈을 성형수단을 통해 성형하여 안경테외형 및 안경다리와 같은 안경부품을 제작하는 부품제작단계; 상기 안경부품에서 알루미늄면을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 가공하는 부품가공단계; 및 상기 가공된 안경부품을 결합하는 안경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알루미늄합금 및 티타늄합금의 금속을 안경테의 기능과 착용에 문제가 없도록 배합하여 열간압연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이의 외면에 컬러 또는 패턴 가공을 하여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 가능한 안경을 제조할 수 있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Method for making clad metals eyeglasses}
본 발명은 안경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합금 및 티타늄합금의 금속을 안경테의 기능과 착용에 문제가 없도록 배합하여 열간압연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이의 외면에 컬러 또는 패턴 가공을 하여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 가능한 안경을 제조할 수 있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제 안경테는 니켈합금이나 티타늄으로 성형하여 용접하거나 알루미늄판재로부터 안경테의 형상으로 따내어 가공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니켈합금이나 티타늄으로 성형하는 제작방법은 안경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이를 용접하게 되는데 작업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용접 후 용접부위를 연마하는 표면처리 공정을 거쳐 도금하여 완성되는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필요하고 120여 가지의 공정으로 인해 원가가 비싸 경제성이 없을 뿐 아니라 용접부위가 쉽게 떨어지고 도금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니켈합금소자로 제작할 경우, 제작과정에서 소재금속을 재단, 세싱, 프레스 단조, 수차에 걸친 압축성형, 잔여금속제거 등 많은 공정을 거쳐 제작하게 되므로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1차원적인 평면곡선에 의한 획일적인 디자인만이 가능하며, 금형비와 작업효율성에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니켈금속에 의한 부작용으로 인체 알러지 유발과 피부발진 및 눈 충혈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알루미늄재질의 안경테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알루미늄판재를 단조 하여 밀도를 조밀하게 한 뒤, 안경테 형상의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안경테를 프레스 성형하고, 이어서 가공처리 후 안경다리 연결구를 나사조립 하여 상기 안경다리 연결구에 안경다리를 연결조립하고 안경테의 중앙부에 코받침부재를 나사조정 함으로써 제조하였으며, 이는 알루미늄판재 내의 무수히 많은 공극들을 해결하기 위해 단조를 하여 밀도를 조밀하게 하는 것이다.
즉,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여 안경테를 제작할 경우에는 안경테의 표면 가공 시, 알루미늄 판재의 내부에 있는 공극들 때문에 매끈한 코팅이 불가능하고 경도 및 강도가 약하여 안경테가 쉽게 휘거나 부러질 수 있는 소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알루미늄 판재를 가압하고 두드려 공극을 없애고 보다 견고한 밀도를 유지시킨 후 안경테의 모양을 형성시키는 작업이 따로 이루어 졌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은 두랄루민(Duralumin : 구리와 마그네슘 및 그 외 1~2종의 원소를 알루미늄에 첨가하여 시효경화성을 가지게 한 고력 알루미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 중에서 선택된 금속재질로 다이케스팅 주조하여서 안경테의 중간연결부와 양측 단부에 다리를 접속하는 힌지부를 단일체로 절곡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안경테를 제공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은 다이캐스팅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복잡한 설비를 갖추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표면이 고르지 못하여 후 가공이 더 필요하며, 특히, 다이캐스팅 방법의 경우에는 부식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168226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루미늄합금과 티타늄합금을 접합한 클래드메탈을 이용하여 안경을 제조함으로써, 도금이 벗겨지거나 부식이 일어나 외관을 변질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 공기를 단축하고 인체의 알러지 반응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하는 티타늄합금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나타낼 수 있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루미늄판 및 티타늄판을 접합수단을 통해 서로 접합하여 하나의 클래드메탈을 제작하는 메탈제작단계; 상기 클래드메탈을 성형수단을 통해 성형하여 안경테외형 및 안경다리와 같은 안경부품을 제작하는 부품제작단계; 상기 안경부품에서 알루미늄면을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 가공하는 부품가공단계; 및 상기 가공된 안경부품을 결합하는 안경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탈제작단계는 롤 형식으로 각각 권취된 알루미늄판 및 티타늄판을 서로 겹치도록 풀어내는 적층공정; 상기 적층된 알루미늄판 및 티타늄판을 압연롤을 통해 열간압연하여 하나의 클래드메탈로 접합하는 접합공정; 및 상기 클래드메탈이 열간압연되면서 돌출되는 테두리면을 절단수단을 통해 절단하고, 상기 클래드메탈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품제작단계는 상기 클래드메탈을 안경부품을 형성하는 금형판에 각각 투입하는 투입공정; 상기 금형판에 투입된 클래드메탈을 프레스가공을 통해 안경부품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 및 상기 안경부품 중 안경테외형에서 안경다리와의 연결부를 절곡시키는 절곡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품가공단계는 알루미늄의 컬러 또는 패턴 가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경제조단계는 상기 안경부품을 결합함에 있어 알루미늄면을 외측으로 하고, 티타늄면을 내측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클래드메탈의 가공수단 또는 성형수단은 프레스, 단조, 전조 또는 CNC가공 등의 가공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도금이 벗겨지거나 부식이 일어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 공기를 단축하여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인체의 알러지 반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티타늄합금의 사용 비율이 대폭 줄어들어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면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중 메탈제작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중 부품제작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에서 클래드메탈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일부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중 메탈제작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상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중 부품제작단계를 나타내는 일부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중 부품제작단계를 나타내는 일부 구성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중 부품가공단계를 나타내는 일부 구성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안경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클래드(Clad)란, 여러 가지 다양한 금속을 함께 결합하여 각 금속의 장점만을 취하는 고급 신소재를 말한다.
일반의 금속과는 달리 티타늄(Ti), 지르코늄(Zr), 탄탈늄(Ta), 니오브(Nb), 및 니켈합금 등의 내식성소재는 용접도 잘 안될 뿐 아니라 매우 고가여서 산업일반에서 많이 사용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러한 금속이 가지는 내식성, 경량성, 우수한 강도 등의 이유로 그 사용처는 사실 제한적이긴 하나 매우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있다. 특히, 화학플랜트류, 환경설비 등 우수한 내식성 소재를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저렴한 탄소메탈에 내식성 소재가 접합된 클래드메탈(100)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자동차용품, 건축내외장재, 주방용품, 생활용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클래드메탈(100)이 사용되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경제적 일뿐만 아니라 편리한 사용은 물론 그 이용 가치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클래드메탈(100)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열간압연에 의한 롤본드 클래드와 폭발용접에 의한 폭접 클래드 및 저항심용접방법에 의한 클래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클래드메탈(100)을 사용하여 안경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탈제작단계(S100), 부품제작단계(S200), 부품가공단계(S300) 및 안경제조단계(S400)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알루미늄(110)판 및 티타늄(120)판을 접합수단(200)을 통해 서로 접합하여 하나의 클래드메탈(100)을 제작하는 메탈제작단계(S100)를 수행한다.
상기 티타늄(120)은 강도가 높아 안경을 만들었을 때,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는 크겠으나, 가공을 함에 있어 그 방법에 제한이 있으며, 티타늄(120) 자체의 높은 강도로 인해 복잡한 형상으로 가공이 불가능하여 단순한 디자인의 구현만이 가능하다.
또한, 고가의 소재이기 때문에 상기 티타늄(120)만으로 안경을 제조하게 되면 제조원가 및 가공비가 대폭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알루미늄(110)은 가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지만, 소재가 약하여 파손 또는 굴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인체와 닿을 경우 알러지 반응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상기 티타늄(120)과 알루미늄(110)을 접합하여 티타늄(120)의 장점과 알루미늄(110)의 장점을 살려, 제조원가 및 가공비를 절감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면서 강도가 높아 쉽게 파손되거나 굴절되지 않는 클래드메탈(100)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탈제작단계(S100)는 적층공정(S110)과 접합공정(S120), 그리고 절단공정(S130)을 포함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공정(S110)은 롤(roll)형식으로 각각 권취된 알루미늄(110)판과 티타늄(120)판의 일 면이 서로 겹치도록 풀어내는 것이며, 겹쳐진 상기 알루미늄(110)판과 티타늄(120)판을 접합수단(200)을 통해 하나의 클래드메탈(100)로 접합하는 접합공정(S120)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110)판과 티타늄(120)판을 하나의 클래드메탈(100)로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열간압연을 통해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간압연이란, 금속재료를 재결정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압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재료에서는 그 기준이 되는 금속의 녹는점(절대온도)의 절반 정도를 넘으면 확산이 상당히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기 때문에, 냉간 가공재에서는 재결정이 시작된다.
그래서 재결정이 되는 온도 이상에서 소성가공(열간가공)하면, 가공경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한번의 소성가공으로 큰 변형을 시킬 수가 있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열간압연을 할 때의 접합수단(200)으로는 압연롤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압연롤은 열간가공 온도에 맞는 내열성 및 고온강도가 요구된다.
그 다음으로, 열간압연한 상기 클래드메탈(100)에서 돌출되는 테두리면(130) 및 상기 클래드메탈(100)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수단(300)을 통해 절단하는 절단공정(S130)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알루미늄(110)판 및 티타늄(120)판이 압연롤을 통해 열간압연 되면서 활발하게 이루어진 확산에 의해 울퉁불퉁하게 돌출되는 테두리면(130)을 형성한 상기 클래드메탈(100)이 이송컨베이어(C)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절단수단(300)을 이용하여 돌출된 부분을 깔끔하게 절단하여 정리하고, 상기 정리된 클래드메탈(100)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고 나누게 되어, 각각이 클래드메탈(100) 판형을 이루면서 나뉘어져 상기 이송컨베이어(C)를 따라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한 공정들을 수행하여 상기 클래드메탈(100)을 제작하게 되면, 그 다음으로 상기 클래드메탈(100)을 성형수단(400)을 통해 성형하여 안경테외형(700) 및 안경다리(800)와 같은 안경부품을 제작하는 부품제작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품제작단계(S200)는 투입공정(S210)과 성형공정(S220), 그리고 절곡공정(S230)을 포함하여 수행하게 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공정(S210)은 상기 메탈제작단계(S100)에서 제작된 클래드메탈(100)을 안경테외형(700) 및 안경다리(800)를 형성하는 금형판(500)에 각각 투입하는 것을 말하며, 그 다음으로 상기 금형판(500)에 투입된 클래드메탈(100)을 성형수단(400)을 통해 안경테외형(700) 및 안경다리(800)와 같은 안경부품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S220)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성형수단(400)은 여러 가지 금형을 설치하여 판재를 원하는 치수로 자르거나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인 프레스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프레스가공, 재료를 노(爐)안에 넣어 가공할 부분을 일정하게 가열시킨 다음 꺼내어 여러 가지 공구나 기계로 주어진 모양으로 압력을 주어 가공하는 방법인 단조가공, 담금질하여 단단하게 만든 다이스나 롤러를 재료에 강하게 누르면서 굴려, 재료의 표면을 변형시키는 가공방법인 전조가공 또는 가공형상/가공조건/가공동작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의해 자동 프로그래밍 하여 NC데이터로 변환시키고 펄스 신호화 된 상태로 필요에 따라서 공작기계를 가동하여 정밀가공이 가능한 CNC가공 등의 가공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금형판(500)을 사용하여 금속 재료를 절단하거나 여러 가지 모양으로 성형하는 프레스가공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는 다른 성형수단(400)에 비해 가공시간이 빠르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치수 정밀도가 높고 균일한 품질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안경테외형(700)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경테외형(700)에서 안경다리(800)를 결합하게 되는 연결부(710)를 절곡시키는 절곡공정(S230)을 포함하여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안경부품을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경테외형(700)을 형성하고 있는 금형판(500)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710)가 성형되는 위치에 각각 절곡홀(H)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절곡홀(H)을 통해 상기 성형수단(400)이 금형판(500)을 관통하며, 상기 안경테외형(700)과 동일 선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710)를 수직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안경테외형(700)에서 상기 연결부(710)가 적정 각도 절곡되어 일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금형판(500)을 관통하는 성형수단(400)은 상기 절곡홀(H)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있으며, 일 측 단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있어, 상기 연결부(710)를 효과적으로 눌러주며 상기 금형판(500)을 관통하기 용이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안경테외형(700) 및 안경다리(800)와 같은 안경부품을 제작하고 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경부품에서 알루미늄(110)면을 가공수단(600)을 통해 표면 가공하는 부품가공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티타늄(120)면에 비해 알루미늄(110)면이 가공이 더 용이하고 상기 알루미늄(110)이 인체에 닿았을 때 생겨날 수 있는 알러지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알루미늄(110)면이 외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디자인적인 요소를 적용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가공수단(600)은 여러 가지 금형을 설치하여 판재를 원하는 치수로 자르거나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인 프레스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프레스가공, 재료를 노(爐)안에 넣어 가공할 부분을 일정하게 가열시킨 다음 꺼내어 여러 가지 공구나 기계로 주어진 모양으로 압력을 주어 가공하는 방법인 단조가공, 담금질하여 단단하게 만든 다이스나 롤러를 재료에 강하게 누르면서 굴려, 재료의 표면을 변형시키는 가공방법인 전조가공 또는 가공형상/가공조건/가공동작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의해 자동 프로그래밍 하여 NC데이터로 변환시키고 펄스 신호화 된 상태로 필요에 따라서 공작기계를 가동하여 정밀가공이 가능한 CNC가공 등의 가공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110)면을 가공함에 있어서, 알루미늄(110)의 플라스마 전해산화 피막 처리(Plasma Electrolyzer Coating)에 의한 컬러 가공 또는 가공수단(600)을 통한 패턴 가공 등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플라스마 전해산화 피막 처리(Plasma Electrolyzer Coating)란,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타늄 등 가벼운 경금속의 표면에 주로 사용되는 플라스마 코팅 기술을 말한다.
이 기술은 우선 제품 표면의 강도를 강화시켜 줌으로써 외부 요인에 의한 긁힘, 부식 등으로 인한 제품 손상을 막아 주고, 균일한 코팅 층을 형성해 색상 도료 처리 시에 코팅 층 사이와의 흡착력을 상승시켜 제품 고유의 색감 유지 등 뛰어난 도장력을 자랑한다.
또한, 기존 아노다이징 및 크롬 도금과 달리 무연, 무취, 무독으로 공정 중 유독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아 자연 친화적인 기술이며, 인체에도 해가 없어 실생활에 쓰이는 휴대 전화,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등 인체에 닿는 대부분의 기기 및 소재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110)면을 밋밋하게 마무리 하는 것이 아니라 패턴을 넣어줌으로써,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한 안경이 되도록 하여, 안경이 단순히 사용자의 시력을 보조하는 역할로만 끝나는 것이 아닌 액세서리 또는 패션 아이템으로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안경테외형(700) 및 안경다리(800)와 같은 안경부품의 디자인화에 따른 부품가공단계(S300)를 수행하고 나면 마지막으로 가공된 상기 안경부품을 결합하는 안경제조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경부품을 결합함에 있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경부품을 이루고 있는 상기 클래드메탈(100)에서 디자인 요소가 가미된 알루미늄(110)면을 외측으로 하고, 티타늄(120)면을 내측으로 하여 사용자의 인체에 닿는 부위는 상기 티타늄(120)면이 되도록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알루미늄(110)면이 인체에 닿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알러지 반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한 안경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품제작단계(S200)에서 상기 안경테외형(700)에 안경다리(800)를 결합하는 연결부(710)를 상기 안경테외형(700)에 일체 형성시켜 놓음으로써, 상기 안경테외형(700)과 안경다리(800)를 결합하는 공정이 단순해지며, 공기의 단축은 곧 비용의 절감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외형(700)에 안경다리(800)를 결합할 때는 나사결합, 힌지결합, 용접결합 또는 리벳결합 등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그 결합방법에 있어서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안경테외형(700)과 안경다리(80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도금이 벗겨지거나 부식이 일어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 공기를 단축하여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인체의 알러지 반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티타늄합금의 사용 비율이 대폭 줄어들어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면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클래드메탈
110 : 알루미늄
120 : 티타늄
130 : 돌출되는 테두리면
200 : 접합수단
300 : 절단수단
400 : 성형수단
500 : 금형판
600 : 가공수단
700 : 안경테외형
710 : 연결부
800 : 안경다리
C : 이송컨베이어
H : 절곡홀
S100 : 메탈제작단계
S110 : 적층공정
S120 : 접합공정
S130 : 절단공정
S200 : 부품제작단계
S210 : 투입공정
S220 : 성형공정
S230 : 절곡공정
S300 : 부품가공단계
S400 : 안경제조단계

Claims (6)

  1. 알루미늄판 및 티타늄판을 접합수단을 통해 서로 접합하여 하나의 클래드메탈을 제작하는 메탈제작단계;
    상기 클래드메탈을 성형수단을 통해 성형하여 안경테외형 및 안경다리와 같은 안경부품을 제작하는 부품제작단계;
    상기 안경부품에서 알루미늄면을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 가공하는 부품가공단계; 및
    상기 가공된 안경부품을 결합하는 안경제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제작단계는,
    상기 클래드메탈을 안경부품을 형성하는 금형판에 각각 투입하는 투입공정;
    상기 금형판에 투입된 클래드메탈을 프레스가공을 통해 안경부품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 및
    상기 안경부품 중 안경테외형에서 안경다리와의 연결부를 절곡시키는 절곡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공정은,
    일측 단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성형수단이 안경테외형을 형성하는 금형판에서 상기 연결부가 성형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절곡홀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안경테외형에서 상기 연결부를 절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제작단계는,
    롤 형식으로 각각 권취된 알루미늄판 및 티타늄판을 서로 겹치도록 풀어내는 적층공정;
    상기 적층된 알루미늄판 및 티타늄판을 압연롤을 통해 열간압연하여 하나의 클래드메탈로 접합하는 접합공정; 및
    상기 클래드메탈이 열간압연되면서 돌출되는 테두리면을 절단수단을 통해 절단하고, 상기 클래드메탈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가공단계는,
    알루미늄의 컬러 또는 패턴 가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제조단계는,
    상기 안경부품을 결합함에 있어 알루미늄면을 외측으로 하고, 티타늄면을 내측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메탈의 가공수단 또는 성형수단은 프레스, 단조, 전조 또는 CNC가공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KR1020180053057A 2018-05-09 2018-05-09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KR10207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57A KR102070994B1 (ko) 2018-05-09 2018-05-09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57A KR102070994B1 (ko) 2018-05-09 2018-05-09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38A KR20190128838A (ko) 2019-11-19
KR102070994B1 true KR102070994B1 (ko) 2020-01-29

Family

ID=6877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057A KR102070994B1 (ko) 2018-05-09 2018-05-09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9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1313A (ja) * 2003-05-16 2004-12-02 Takefu Tokushu Kozai Kk 積層クラッド構造のハイブリット眼鏡材
JP2005196094A (ja) 2004-01-09 2005-07-21 Art:Kk 難燃性マグネシウム及びCa含有Mg合金押出し加工法の眼鏡部品及び眼鏡並びに眼鏡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2010155447A (ja) 2008-12-03 2010-07-15 Hamamoto Technical Kk プラスチック製眼鏡フロント枠の製造方法
KR101820429B1 (ko) 2017-11-01 2018-01-19 주식회사 두눈 금속 안경테의 코받침 절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226Y1 (ko) 1998-01-30 2000-03-02 김종열 금속제 안경테
KR100576777B1 (ko) * 2003-11-07 2006-05-03 권용식 안경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1313A (ja) * 2003-05-16 2004-12-02 Takefu Tokushu Kozai Kk 積層クラッド構造のハイブリット眼鏡材
JP2005196094A (ja) 2004-01-09 2005-07-21 Art:Kk 難燃性マグネシウム及びCa含有Mg合金押出し加工法の眼鏡部品及び眼鏡並びに眼鏡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2010155447A (ja) 2008-12-03 2010-07-15 Hamamoto Technical Kk プラスチック製眼鏡フロント枠の製造方法
KR101820429B1 (ko) 2017-11-01 2018-01-19 주식회사 두눈 금속 안경테의 코받침 절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38A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7012B (zh) 平板显示器用金属框架的制造方法
CN102672435A (zh) 一种异型曲面钛合金薄壁零件整体成形方法及模具
CN106101593B (zh) 一种曲面屏显示器边框及其制造工艺
CN107440264A (zh) 一种空心花丝手镯及其制作工艺
CN106862399A (zh) 移动终端金属中框的制造方法及其组件
CN108160710A (zh) 一种六角形无缝管制造方法
KR102070994B1 (ko) 클래드메탈 안경 제조 방법
CN102335704A (zh) 轮椅架结构件锻造成型方法
KR101712975B1 (ko) 금속 안경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 안경테, 그리고 금속 안경테를 제조하기 위한 절삭가공용 지그
CN107951130A (zh) 一种套链首饰生产工艺
CN103831312B (zh) 一种高效加工20CrNiMo直齿齿条的温挤压成形方法
CN105603487B (zh) 阳极氧化金属壳体的制备方法、金属壳体及电子设备
CN105430980B (zh) 一种金属壳体制备方法和金属壳体
CN112654456A (zh) 便携式终端用机架结构物的制备方法
TW200824832A (en) Metal-metal composite formation process and application
ITUD20070060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cerniera per occhiali, e cerniera cosi' realizzata
CN112792273B (zh) 钛合金的锻压方法、钛合金手表后壳及其制造方法
CN106937501A (zh) 一种电子产品用复合壳体及其制作方法
CN106624629A (zh) 一种金属产品加工方法
CN105195982A (zh) 千足银成型工艺方法
CN106964733B (zh) 环状异形锻件制造方法
CN205660054U (zh) 制件支撑模和制件压制模以及拉延模具
KR200168226Y1 (ko) 금속제 안경테
CN211398244U (zh) 一种通用化手工锻件
CN215316758U (zh) 煨弯成型铝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