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418B1 - 철근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418B1
KR102070418B1 KR1020190075602A KR20190075602A KR102070418B1 KR 102070418 B1 KR102070418 B1 KR 102070418B1 KR 1020190075602 A KR1020190075602 A KR 1020190075602A KR 20190075602 A KR20190075602 A KR 20190075602A KR 102070418 B1 KR102070418 B1 KR 10207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ing
storage unit
guide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남
Original Assignee
이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남 filed Critical 이성남
Priority to KR102019007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8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2Conveyors with recipro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장에철근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철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철근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 상기 보관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철근을 가압하여 상기 철근이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 유도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철근을 지지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 자동 공급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SUPPLYING STEEL BAR}
본 발명은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장에 철근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철을 막대 모양으로 만들어 주로 인장력을 지탱하는 건설재료로, 토목공학과 건축공학 등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 하나이다. 이때, 상기 철근은 주로 탄소강을 주재료로 형성되며,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와 합쳐 철근 콘크리트의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철근은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돌설된 봉강으로 형성된 이형철근과 돌기 없이 매끈한 원형단면의 봉강으로 형성된 원형철근으로 나뉜다.
각종 산업현장에서 철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규격으로 생산된 철근을 필요한 길이에 따라 일정 길이로 절단하거나 벤딩(bending)하는 등의 철근 가공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철근을 절단함에 있어서 3명이 한조가 되어 철근 가공 작업을 하였다. 즉, 한 사람은 다이에 놓여진 철근을 절단기나 벤딩기로 안내하고, 한 사람은 절단기나 벤딩기로 안내된 철근을 일정길이로 맞추어서 가공하고, 또 한 사람은 가공된 철근들을 운반하는 작업을 각각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철근은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결속끈를 사용하여 일정한 개수로 묶어 운반 및 보관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결속끈에 의해 일정 개수씩 묶여 있는 철근이 교차되어 뒤엉키게 되는데, 이러한 뒤엉킴은 결속끈을 절단하여도 쉽게 펼치지지 않고 엉킨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철근을 작업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2명의 작업자가 일일이 철근을 펼친 후에 작업대로 1개씩 공급하여 가공작업에 과도한 시간이 소모되어 필요한 길이의 철근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인력이 증가됨으로 인해 작업에 소모되는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공된 철근을 사람이 일일이 들고 운반하여 가공이 끝나더라도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철근 운반중 안전사고가 빈빈하게 발생되어 작업자의 부상을 유발시키게 되었다.
더욱이, 철근의 길이를 측정할 때, 각각의 철근에 가공하고자 하는 길이를 줄자로 재어 표시를 하거나, 하나의 샘플을 자로 재어 가공 한 다음 가공된 샘플을 이용하여 다른 철근과 길이를 같게 한 다음 가공함으로 인해 작업이 복잡하고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여 생산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에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작업대로 철근을 운송하고 가공된 철근을 배출하여 보관하는 기술이 고안되었지만, 철근을 작업대로 운송하고 철근을 배출하는데 철근의 수평을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원하는 수량의 철근을 작업대에 공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대에 공급되는 철근이 수평을 유지하고, 원하는 수량만큼 안정되게 공급될 수 있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는 복수 개의 철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철근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 상기 보관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철근을 가압하여 상기 철근이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 유도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철근을 지지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유도부는 승강하며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철근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철근을 가압하는 부분에 가압 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 경사부는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압부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도부는 상기 보관부의 평면을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보관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로 이동하는 상기 철근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보관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로 이동하는 상기 철근의 개수 또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아 상기 이동 유도부의 동작을 조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보관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로 이동하는 상기 철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보관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을 상승시키면 상기 철근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스크린을 하강시키면 상기 철근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보관부 방향의 측부에 스크린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 경사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보관부로부터 이동한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승 시 상기 철근을 상기 작업부로 이동시키고 하강 시 상기 지지부 내부로 수납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상기 이동부를 수납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이동부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단이 경사진 이동 경사부와 상기 이동 경사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경사부를 승강운동 시키는 이동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 내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이동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플랜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철근의 위치를 감지하는 지지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복수 개의 상기 이동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을 가공하기 위한 작업부로 철근을 공급하는데, 철근의 수평을 유지하게 하여 철근 가공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을 가공하기 위한 작업부로 철근을 공급하는데, 철근 가공 작업에 필요한 수량만큼만 철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동 유도부가 보관부의 복수 개의 철근을 가압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동 유도부를 기준으로 일부 확대하여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차단부를 기준으로 일부 확대하여 측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가이드부만을 일부 확대하여 내부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를 A-A 절단선에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가이드부만을 일부 확대하여 작동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는 복수 개의 철근(S)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100), 상기 보관부(100)에 보관된 상기 철근(S)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200), 상기 보관부(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관부(100)에 보관된 상기 철근(S)을 가압하여 상기 철근(S)이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가이드부(200) 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 유도부(110) 및 상기 가이드부(200)에 의해 이동된 상기 철근(S)을 지지하는 작업부(300)를 포함한다.
보관부(100)는 절단 또는 벤딩(bending) 등의 가공을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철근(S)을 상측에 보관할 수 있다.
보관부(100)는 상부에 컨베이어(conveyer)를 설치하여 상측에 보관된 복수 개의 철근(S)을 작업부(300)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동 유도부가 보관부의 복수 개의 철근을 가압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100)의 상측에 설치된 이동 유도부(110)는 가압부(111)를 포함하고, 가압부(111)는 승강할 수 있는 가압 실린더로 형성되어 가압부(111)의 단부가 하강하면서 보관부(100)에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는 복수 개의 철근(S)을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111)의 단부가 보관부(100)의 상측에 보관된 복수 개의 철근(S)을 가압하면 복수 개의 철근(S)은 가압부(111)의 가압력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보관부(100)의 컨베이어에 의해 작업부(30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11)는 복수 개의 철근(S)을 가압하는 부분에 경사진 가압 경사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가압 경사부(113)는 가압부(111)에서 작업부(300)의 반대측 단부의 높이를 높게 하고 작업부(300) 측으로 갈 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도 2에서 보아 가압부(111)의 단면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압 경사부(113)는 가압부(111)에서 작업부(300)의 반대측 단부 인근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11)가 보관부(100)의 상측에 보관된 복수 개의 철근(S)을 가압하면 가압 경사부(113)의 경사면에 의해 복수 개의 철근(S)이 작업부(300) 측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동 유도부를 기준으로 일부 확대하여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도부(110)는 전(F)후(B)좌(L)우(R)로 이동하면서 보관부(100)의 상측에 보관된 복수 개의 철근(S)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유도부(110)는 보관부(100)에서 철근(S)의 수평을 유지하고 철근(S)을 작업부(300) 측으로 강제 이송이 필요한 적재적소로 이동하여 철근(S)을 가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차단부를 기준으로 일부 확대하여 측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100)와 가이드부(200)의 사이에는 센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보관부(100)로부터 가이드부(200)로 이동하는 철근(S)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20)는 보관부(100)로부터 가이드부(200)로 이동하는 순간의 철근(S)을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가이드부(200)로 이동된 철근(S)의 개수를 제어부(130)에서 산출하게 할 수 있고, 또는 가이드부(200)로 이동된 철근(S)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가이드부(200)로 이동된 철근(S)의 개수를 제어부(130)에서 산출하게 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가이드부(200)로 이동하는 철근(S)의 개수를 조절하도록 이동 유도부(110) 및 보관부(100)의 컨베이어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보관부(100)와 가이드부(200)의 사이에 차단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차단부(140)는 실린더 등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린(141)을 포함하고 스크린(141)이 상승하면 보관부(100)로부터 가이드부(200)로 철근(S)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141)을 하강하면 보관부(100)로부터 가이드부(200)로 철근(S)이 이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즉, 차단부(140)는 센서부(120)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은 제어부(130)에 의해 조작되어 가이드부(200)로 이동된 철근(S)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만족하게 되면 스크린(141)을 상승시켜 철근(S)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가이드부(200)로 이동된 철근(S)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보다 부족하면 스크린(141)을 하강시켜 철근(S)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스크린(141)은 보관부(100) 방향의 측부에 스크린 경사부(143)를 형성할 수 있다.
스크린 경사부(143)는 도 4에서 보아 스크린(141)의 단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스크린 경사부(143)의 경사에 의해 스크린(141)이 상승할 때 보관부(100)와 가이드부(200)의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철근(S)이 자연스럽게 보관부(100)측으로 밀려나가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가이드부만을 일부 확대하여 내부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를 A-A 절단선에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는 보관부(100)로부터 이동한 철근(S)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0)와 지지부(2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승 시 철근(S)을 작업부(300)로 이동시키고 하강 시 지지부(210) 내부로 수납되는 이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지지부(210)는 내부에 이동부(230)를 수납하는 수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211)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된 이동부(230)의 출입구(2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부(230)는 지지부(210)의 내부 수납부(211)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이동부(230)는 상단이 경사진 이동 경사부(231)와, 이동 경사부(2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이동 경사부(231)를 승강 운동 시키는 이동 실린더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00)는 지지부(210)의 상단에 철근(S)을 지지한 상태에서 지지부(210)의 내부에 수납된 이동부 경사부(231)를 상승 시키면 이동부 경사부(231)의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철근(S)을 작업부(3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에서 가이드부만을 일부 확대하여 작동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3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지지부(210) 내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실린더부(233)는 복수 개의 이동부(230)에 대응하게 복수 개로 설치되어 복수 개의 이동 경사부(23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 개로 형성된 이동 경사부(231)가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동 경사부(231)에 각각 연결된 이동 실린더부(233)도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복수 개로 형성된 이동부(230)는 지지부(210)의 상단에 지지된 철근(S)의 위치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상승하여 철근(S)을 정확하게 작업부(3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210)의 상단에 지지된 철근(S)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지지부(210)에 지지부 센서(23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 센서(235)가 지지부(210) 상단에 지지된 철근(S)을 위치를 감지하면 지지부 센서(235)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제어부(130)는 지지부 센서(235)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이동 경사부(231) 중 지지부(210)의 상단에 위치한 철근(S)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동 경사부(231)를 상승시켜 철근(S)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이동부(230)를 보관부(100) 측에 위치한 제1 이동부(230a)와, 복수 개의 이동부(231) 중 중간 측에 위치한 제2 이동부(230b)와, 복수 개의 이동부(230) 중 작업부(300) 측에 위치한 제3 이동부(230c)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복수 개의 이동부(231)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이동부(230a, 230b, 230c)로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부(230)를 더 적거나 많게 제작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동부(230)를 제1, 제2, 제3 이동부(230a. 230b. 230c)로 구분할 경우, 도 7을 참고하여 복수 개의 이동부(230) 중 보관부(100) 측에 위치한 제1 이동부(230a) 만을 작동시킬 수 있고, 도 8을 참고하여 복수 개의 이동부(230) 중 중간에 위치한 제2이동부(230b) 만을 상승시킬 수 있고, 도 9를 참고하여 복수 개의 이동부(230) 중 작업부(300) 측에 위치한 제3 이동부(230c) 만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철근(S)의 개수가 많으면 복수의 이동부(230a, 230b, 230c)를 모두 함께 작동시킬 수도 있고, 철근(S)의 개수 또는 위치에 따라 복수의 이동부(230a, 230b, 230c) 중 두 개만 작동시킬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이동부(23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플랜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이동부(230a)와 제2 이동부(230b)가 상호 플랜지 결합되고, 제2 이동부(230b)와 제3 이동부(230c)가 상호 플랜지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이동부(230a, 230b, 230c)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플랜지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을 가공하기 위한 작업부로 철근을 공급하는데, 철근의 수평을 유지하게 하여 철근 가공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을 가공하기 위한 작업부로 철근을 공급하는데, 철근 가공 작업에 필요한 수량만큼만 철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자동 공급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보관부
110: 이동 유도부
111: 가압부
113: 가압 경사부
120: 센서부
130: 제어부
140: 차단부
141: 스크린
143: 스크린 경사부
200: 가이드부
210: 지지부
211: 수납부
213: 출입구
230: 이동부
231: 이동 경사부
233: 이동 실린더부
235: 지지부 센서
300: 작업부

Claims (17)

  1. 복수 개의 철근(S)을 상측에 보관하고, 상기 철근(S)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가 상부에 설치된 보관부(100);
    상기 보관부(100)에 보관된 상기 철근(S)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200);
    상기 보관부(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관부(100)에 보관된 상기 철근(S)이 수평을 유지하게 가압하여 상기 철근(S)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200) 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 유도부(110); 및
    상기 가이드부(200)에 의해 이동된 상기 철근(S)을 지지하는 작업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도부(110)는 승강하며 상기 보관부(100)에 보관된 철근(S)을 가압하는 가압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111)는 상기 철근(S)을 가압하는 부분에 가압 경사부(1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경사부(113)는 상기 가압부(111)에서 상기 작업부(300)의 반대측 단부의 높이에 비해 상기 작업부(300) 측으로 갈수록 높이를 낮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도부(110)는 상기 보관부(100)의 평면을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100)와 상기 가이드부(20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보관부(100)로부터 상기 가이드부(200)로 이동하는 상기 철근(S)을 감지하는 센서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보관부(100)로부터 상기 가이드부(200)로 이동하는 상기 철근(S)의 개수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아 상기 이동 유도부(110)의 동작을 조작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보관부(100)로부터 상기 가이드부(200)로 이동하는 상기 철근(S)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140)는 상기 보관부(100)와 상기 가이드부(200)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린(141)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141)을 상승시키면 상기 철근(S)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스크린(141)을 하강시키면 상기 철근(S)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41)은 상기 보관부(100) 방향의 측부에 스크린 경사부(143)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 경사부(14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보관부(100)로부터 이동한 철근(S)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승 시 상기 철근(S)을 상기 작업부(300)로 이동시키고 하강 시 상기 지지부(210) 내부로 수납되는 이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0)는 내부에 상기 이동부(230)를 수납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이동부(230)의 출입구(213)를 형성하는 수납부(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230)는
    상기 지지부(2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단이 경사진 이동 경사부(231)와
    상기 이동 경사부(231)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경사부(231)를 승강운동 시키는 이동 실린더부(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23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10) 내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이동부(23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플랜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0)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210)에 지지되는 철근(S)의 위치를 감지하는 지지부 센서(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센서(235)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복수 개의 상기 이동부(230)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공급장치.
KR1020190075602A 2019-06-25 2019-06-25 철근 자동 공급장치 KR10207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02A KR102070418B1 (ko) 2019-06-25 2019-06-25 철근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02A KR102070418B1 (ko) 2019-06-25 2019-06-25 철근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418B1 true KR102070418B1 (ko) 2020-01-28

Family

ID=6937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602A KR102070418B1 (ko) 2019-06-25 2019-06-25 철근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040B1 (ko) * 2021-12-27 2022-09-05 정병국 철근적재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53U (ja) * 1993-03-15 1994-10-11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固形物の搬送装置
KR101321405B1 (ko) * 2013-05-22 2013-10-23 정춘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KR101448033B1 (ko) * 2014-07-01 2014-10-10 정춘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53U (ja) * 1993-03-15 1994-10-11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固形物の搬送装置
KR101321405B1 (ko) * 2013-05-22 2013-10-23 정춘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KR101448033B1 (ko) * 2014-07-01 2014-10-10 정춘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040B1 (ko) * 2021-12-27 2022-09-05 정병국 철근적재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405B1 (ko)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KR101765521B1 (ko) 철근 절단장치
KR101448033B1 (ko)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DE2605970C3 (de) Einrichtung zur Erleichterung des Materialtransports und des Aufbaus von längs ihres Umfangs geschlossenen Wänden aus Formstein, insbesondere der Auskleidung von Konvertern, metallurgischen öfen, wie Hochöfen, Warmhaltevorrichtungen o.dgl
KR102070418B1 (ko) 철근 자동 공급장치
KR20170098018A (ko) 철근 절단라인용 분리배출장치
EP2368818A1 (en) Magazine for a bar loader
KR101473441B1 (ko) 트러스거더 자동 용접기
KR101012822B1 (ko) 공작물 자동분할 커팅 장치
KR101298010B1 (ko) 프레스라인의 소재 적재용 디스태커
CN105690100A (zh) 一种钢筋螺纹自动化加工生产线
KR101493724B1 (ko) 소재 정렬 및 적재 장치
CN107470517A (zh) 一种多功能弯箍机上料机构及多功能弯箍机
KR100773229B1 (ko) 자동 형강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절단방법
KR100693279B1 (ko) 트러스거더의 자동용접장치
KR20170138376A (ko) 합성수지재 대형 용기의 성형장치
JP4754110B2 (ja) 鉄筋処理装置
KR101346113B1 (ko) 철근 와이어 밴딩용 자동화 시스템
KR101346108B1 (ko) 철근 와이어 이송용 그리퍼 장치
CN210312031U (zh) 一种薄膜成品卷分切上下料装置
KR101746981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KR200210562Y1 (ko) 자동절단기에 의재 절단된 목재의 자동적재장치 구조
CN217675157U (zh) 一种用于石板的入料运输装置
KR102613910B1 (ko) 철근 절단장치
KR102293413B1 (ko) 수평 수직식 유압 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