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189B1 - 기록 장치 및 용지의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및 용지의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189B1
KR102070189B1 KR1020160130427A KR20160130427A KR102070189B1 KR 102070189 B1 KR102070189 B1 KR 102070189B1 KR 1020160130427 A KR1020160130427 A KR 1020160130427A KR 20160130427 A KR20160130427 A KR 20160130427A KR 102070189 B1 KR102070189 B1 KR 10207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recording apparatus
roll pap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492A (ko
Inventor
나오토시 쿠도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41J11/485Means for selecting a type of copy material amongst different types of copy material in the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65H16/106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36Advancing webs having means to optionally advance the web either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longitudinal direction
    • B65H20/38Advancing webs having means to optionally advance the web either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longitudinal direction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mechanism driving the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36Advancing webs having means to optionally advance the web either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longitudinal direction
    • B65H20/40Advancing webs having means to optionally advance the web either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longitudinal direction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mechanism driving the pinch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9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pape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10Selective handling processes
    • B65H2301/12Selective handling processes of sheets or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9Supporting means for several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2Bidirectional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3Roller pairs driving roller and idler roll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4Identification of mode of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6Identification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5Ab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70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electric power or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65H2553/414Photoelectric detectors involving receptor receiving light reflected by a reflecting surface and emitted by a separate emi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20Calculating means; Controll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1Edges lead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6Several articles or webs processed together
    • B65H2701/1862Rolls a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03Control of other part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ate of copy medium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기록 장치는, 용지를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부와, 해당 기록부에 상기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기록부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와, 롤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롤지를 반송하기 위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기록부에 상기 용지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검출부가 용지가 있다고 검출했을 경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공급부에 대한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및 용지의 판별 방법{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HEET}
본 발명은, 커트지나 롤지 등 복수종의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의 프린터는 롤지와 커트지 양쪽에 데이터를 인쇄 가능하고, 이러한 프린터에서는 롤지용 동작 모드와, 커트지용 동작 모드가 있다. 종래, 그 롤지용 동작 모드와 커트지용 동작 모드는, 유저에 의한 조작 패널상의 전환 버튼의 선택에 의거하여 전환되었다. 이 때문에, 유저가 커트지용 동작 모드를 선택하였지만 롤지를 적재해버렸을 경우나, 롤지용 동작 모드를 선택하였지만 커트지를 적재해버렸을 경우에 문제가 생겼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공개 2012-139998에서는, 롤지와 커트지를 구별하고, 적절한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는, 롤지 및 커트지의 쌍방을 반송하는 반송롤러와, 롤지를 반송 회전하는 롤지 반송부와, 반송롤러 하류측에 용지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그리고, 프린터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송롤러 하류측의 센서의 검출이 종이 없음으로 변경되었는가를 아닌가를 검출한다. 검출부에 의해 용지가 검출된 후에, 프린터는 롤지 반송부에 반송 동작을 실행시키고, 그 후, 검출부에 의해 용지가 다시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커트지라고 판정하고, 검출부에 의해 용지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롤지라고 판정한다.
그렇지만, 일본 특허공개 2012-139998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반송롤러의 하류측에 센서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롤지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되감을 때 반송롤러를 자동으로 이격되게 하기 위한 모터 등의 구동부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도 필요해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가 대형 프린터와 같이, 10인치 내지 60인치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용지 사이즈를 지원하는 프린터일 경우에, 용지의 폭과 길이에 따라, 용지의 무게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반송롤러를 서로 이격시키지 않고 용지를 되감으려고 하면, 단지 롤지를 되감는 것으로 회전을 일으키는 니프(nip)압력이 되어, 통상의 경우에는 용지를 반송하는 성능이 저하해버린다.
또한, 롤지의 감기가 풀리거나 롤지가 롤지의 종단부에서 감긴 것이 풀리는 경우, 프린터는 그 적재된 용지가 커트지라고 잘못 판정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적절한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없는 문제를 수반한다.
또한, 프린터가 복수의 롤지의 공급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롤지의 선단의 위치에 따라서는, 어느 쪽의 공급부에서 롤지를 공급하는지를 판정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급지동작을 위해 적절한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록 장치는, 용지를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부;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으로 기록부의 상류측에 설치된 반송부로서, 상기 반송부를 구동하는 제1모터에 의해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반송하는 상기 반송부;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록부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 롤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롤지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공급부 중에서 상기 롤지 공급부에 대한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공급부 중에서, 어느 공급부가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공급하는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검출부가 용지 있음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 출력되는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부를 판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측면도의 각 일례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의 일례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흐름도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 용지 적재에 관한 판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a, 5b, 5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 판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a, 6b, 6c, 6d, 6e, 6f, 6g, 6h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조작 패널의 화면의 일부의 도면의 각 일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주요부의 측면을 각각 나타낸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부(기록부라고도 한다)와, 반송부와, 용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본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화상형성부는, 잉크젯 방식의 기록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10)를 구비한다. 캐리지(10)는, 도 1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주사한다. 이 주주사와 동시에, 플라텐(20) 위에 용지(종이)가 부주사 방향(도 1의 좌방향)으로 반송되어서,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해서 용지 위에 화상을 형성한다. 캐리지(10)는, 인코더가 장착된 위치를 검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설명된 용지는, 커트지와 롤지 중 어느 용지이어도 좋다. 본 예에서는, 기록 헤드 및 캐리지(10)를 구비한 유닛이, 기록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반송롤러(11)는, 공통 반송로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복수종의 용지는, 반송롤러(11)에 의해 공통 반송로에 반송된다. 공통 반송로의 반송롤러(11)의 근방에는, 용지를 검출하는 검출부로서 광학식 반사형 센서(18)가 설치된다. 그 센서(18)(이하, 플라텐 센서라고도 한다)는, 공통 반송로에 반송된 용지의 유무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용지를 공급하는 공급부는, 인쇄에 사용하기 위한 용지를 각각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 12(상단 공급부)와, 용지 공급부 14(하단 공급부)를 구비한다. 용지 공급부 12, 14의 각각에는, 긴 띠형의 용지가 롤형으로 감겨서 형성된 롤지가 적재되어 있다. 이후, 용지 공급부(12)에 적재된 용지를 "상단 롤지"라고 한다. 이후, 용지 공급부(14)에 적재된 용지를 "하단 롤지"라고 한다. 또한, 기록 장치에는, 커트지를 공급 가능하다. 커트지는, 예를 들면, 기록 장치의 본체 상면에 설치된 수동 급지구(도시되지 않음)에, 유저가 커트지를 세트함으로써, 플라텐(20) 위에 커트지를 공급할 수 있다. 수동 급지구는, 기록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도 좋거나, 기록부의 상류측에 설치되어도 좋다. 도 1a에서는, 상단 롤지와 하단 롤지가 각각 용지 공급부(12, 14)에 적재되고, 하단 롤지는 퇴피 상태에 있다. 본 실시예는, 용지 공급부측을 상류측, 화상형성부측을 하류측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용지 공급부(12) 아래에 설치된 롤러(13)는, 상단 롤지를 끼운다. 용지 공급부(12)의 축에는, 구동용 모터가 탑재되고, 이 모터가 회전함에 의해, 상단 롤지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동작에 따라, 상단 롤지를 상류방향과 하류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용지를 되감을 때, 기록장치는, 롤지를 도 1에 보여진 것처럼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지의 이완을 제거하는 동작을 행한다. 용지 공급부(14) 아래에 설치된 롤러(15)는, 하단 롤지를 끼운다. 용지 공급부(14)의 축에도, 구동용 모터가 탑재되고, 이 모터가 회전함에 의해, 하단 롤지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동작에 따라, 하단 롤지를 상류방향과 하류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용지 되감을 때, 롤지를 도 1에 보여진 것처럼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지의 이완을 제거하는 동작을 행한다. 상단 롤지는, 반송롤러(11)에 의해 상하로 끼워져 유지되어 있다. 이들 반송롤러(11)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용 모터/각각의 구동용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들 반송롤러(11)의 회전은, 상단 롤지를 반송롤러(11)의 좌우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구동용 모터/각각의 구동용 모터와 반송롤러(11)의 사이에는 인코더/각각의 인코더가 설치되고, 실제의 회전을 검출하여서 용지의 위치가 관리될 수 있다.
반송롤러(11)의 하류측에 있어서, 용지 밑에는 플라텐(20)이 설치되어 있고, 플라텐(20)의 흡인구로부터 흡인함으로써 용지를 플라텐(20) 위에 흡인되어서, 인쇄중에 부유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헤드부(38)를 구비하는 기록부에 대향하는 반송면(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텐20)상(또는 위쪽)에, 반송롤러(11)로 용지가 끼워지고 있는 상태에서 적재되어 있는 것을 플라텐 위에 적재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하단 롤지와 같이, 반송롤러(11) 및 센서(18)의 하류측에 용지가 위치하는 상태를 퇴피되는 것으로 한다.
용지 공급부(12, 14) 각각의 급지구부에는, 용지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출부로서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용지 공급부(12)의 급지구부에 설치된 센서(16)(이하, 상단 급지구 센서라고도 한다)는, 상단 급지구부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또한, 용지 공급부(14)의 급지구부에 설치된 센서(17)(이하, 하단 급지구 센서라고도 한다)는, 하단 급지구부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대기 상태에 있어서 급지를 행할 경우에는, 센서16, 센서17 중 적어도 한쪽이 용지없음으로부터 용지있음으로의 변화할 때의 순간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기록 장치의 조작 패널에 용지를 급지할 것인가 아닌가에 대한 문의를 표시한다. 제어부는, 조작 패널에 있어서 OK키가 눌린 것을 검지하면, 자동적으로 반송롤러(11)까지 용지를 반송하고, 그 후, 용지 단부의 검출 등의 급지 동작을 행한다. 센서(16)가 용지없음으로부터 용지있음으로의 변화를 검지하는 경우, 이 검출에 의해 제어부는 용지 공급부(12)에 종이(용지)를 적재한 것을 판정할 수 있음으로써, 제어부는 상단공급부(12)에 용지를 적재한 것으로 가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미 하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즉, 반송롤러(11)에 하단 롤지가 끼워진 용지 공급부(12) 위에 상단 롤지가 적재되는 경우에,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를 도 1a에 나타낸 것처럼 퇴피 위치까지 퇴피시키고 나서 상단 롤지를 반송롤러(11)까지 반송한다. 마찬가지로, 센서(17)가 용지없음으로부터 용지있음으로의 변화를 검지하는 경우, 이 검출에 의해 제어부는 용지 공급부(14)에 용지를 적재한 것을 판정할 수 있음으로써, 하단공급부(14)에 용지를 적재한 것으로 가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급지를 위해, 상단의 급지구부와 하단의 급지구부에 각각 센서16 및 17을 설치한다. 기록 장치가 후술하는 수동 급지만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급지구부의 센서 16 및 17은 생략되어도 된다.
도 1b에서는, 커트지가 플라텐 위에 적재되고,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는 퇴피 상태에 있다.
반송롤러(11)는, (도시되지 않은) 릴리즈 레버와 접속되고, 유저가 레버를 개폐함에 의해 반송롤러(11)쌍의 상측의 롤러가 도면에서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용지를 끼우는 상태로부터 개방한 이격 상태로 반송롤러(11)를 전환시킨다. 커트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유저는, 릴리즈 레버를 개방하고 반송롤러(11)쌍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용지를 삽입하고, 릴리즈 레버를 닫아서 반송롤러(11)를 닫는다. 이에 따라, 커트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다. 또한, 유저는, 릴리즈 레버를 개방하여서 수동으로 상단 롤지 또는 하단 롤지를 적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적재 방법을 수동 급지라고 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각 용지의 공급 상태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각 센서(센서16, 센서17, 센서18)의 상태는 같은 상태, 즉, 용지있음을 가리킨다. 따라서, 릴리즈 레버를 닫은 후, 어느 쪽의 용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었는지가 판정될 수 없다. 다시 말해, 센서16, 센서17, 및 센서18 각각은, 상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와 커트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 사이에서 동일한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센서16, 센서17, 및 센서18 각각은, 하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와 커트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 사이에서 동일한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반송롤러(11)에 의해 끼워져 있는 용지가 상단 롤지, 하단 롤지 또는 커트지 중 어느 쪽의 용지인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부(14)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단 급지부(14)를 구비하지 않아도 같은 방법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제어부(30)는, 기록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0)는, 후술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제어부(30)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인터페이스(I/F)부(34)는,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다. I/F부(34)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커맨드와 인쇄를 행할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커맨드에 따라 기록 장치가 동작함으로써, 기록 데이터를 용지상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 장치는, I/F부(34)를 통해 기록 장치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에 커맨드 및 데이터로서 송신하여서, 기록 장치의 상태를 호스트 컴퓨터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통지에 따라, 기록 장치는 유저에게 용지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I/F부(34)로서는, 예를 들면, 센트로닉스 인터페이스 및 범용 시리얼 버스(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화상처리부(31)는, I/F부(34)로부터 송신된 기록 데이터(다치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 감마보정, 색처리, 확대/축소 처리, 2값화 등을 행한다. 화상처리부(31)는, 예를 들면 메모리, 주문형 반도체(ASIC),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명령어 축약형 컴퓨터(RISC)칩 등을 구비한다. 이 화상처리부(31)는, 호스트측의 드라이버나 래스터 화상 처리기(RIP)에 의해 유지되어도 좋다. 화상처리부(31)에 의해 행해진 처리에 의해 도트 패턴에 전개된 데이터(인쇄 데이터)는, 메모리부(36)에 일단 축적된다.
메모리부(36)는, 캐리지(10)가 주 주사 방향으로 1회 스캔해서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1밴드 이상에 대응한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한, 메모리부(36)는, 인쇄시에 사용된 화상의 화상정보와, 롤지의 위치나 커트 위치 보정값 등의 본체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데도 사용된다. 메모리부(36)는, 예를 들면, 판독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한다. ROM은,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기록 장치의 각종 동작에 필요한 고정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은, CPU에 의해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고, 각종의 수신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각종 설정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 콘트롤러(35)는, 화상처리부(31)의 DSP 및/또는 RISC칩의 제어하에 메모리부(36)에/로부터 인쇄 데이터의 기록/판독을 행한다. 메모리 콘트롤러(35)는, 어드레스 신호와 기록/판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메모리부(36)에 출력한다. 메모리부(36)로부터 판독된 인쇄 데이터는, 헤드 콘트롤러(37)로부터의 판독 신호에 동기해서 헤드 콘트롤러(37)에 출력된다.
헤드 콘트롤러(37)는, (도시되지 않은) 리니어 스케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헤드부(38)에서의 잉크 토출에 관한 타이밍 신호와 히트 펄스를 생성한다.
헤드부(38)는, 각 색 잉크에 대응하는 기록 헤드를 구비하고, 제어부(30) 및 헤드 콘트롤러(37)에 의해 히터부를 가열해서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지면상에 화상을 기록한다. 헤드부(38)는, 기계적 구동부(33)의 캐리지(10) 위에 탑재되어 있다.
기계적 구동부(33)는, 기록 헤드를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지부, 캐리지 구동부와 기록 용지를 이동시키는 용지제어부, 및 기록 헤드에서 잉크의 막힘을 회복하는 회복유닛, 기타 인코더, 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캐리지(10) 위에는, 용지 단부와, 특정한 노즐로 인쇄된 인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유닛이 탑재되어 있다.
캐리지부의 이동에 의해, 센서를 용지 위에 배치한 후, 용지를 되감는다. 이때, 센서는, 반송롤러(11)에 관련된 인코더/인코더들의 신호/각각의 신호에 근거해서 용지없음을 검출하기 시작하는 위치를, 용지선단 위치로서 산출함으로써, 선단의 위치정보 등의 용지단부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용지를 이동시키지 않고 캐리지(10)를 이동시킴으로써, 센서는, 캐리지에 탑재된 센서가 변화될 때 상기 인코더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캐리지 방향의 인쇄 위치와 용지 단부를 가리키는 정보 등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들 산출된 위치와 검출된 정보 등의 용지정보는, 메모리부(36)에 기억된다. 커트지가 플라텐 위에 적재될 때, 기록 장치는, 용지를 하류측에 반송해서 센서(18)에 의해 용지의 후단을 검출한 후, 용지를 상류측에 반송하고, 캐리지(10) 위의 센서 유닛에 의해 용지의 선단위치를 검출한다. 이 동작에 의해, 기록 장치는, 용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용지의 선단을, 반송롤러(11)로부터 소정거리 하류측(예를 들면, 반송롤러(11)로부터 5mm 하류측)에 위치된 대기 위치에 이동시켜서 급지동작을 완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지동작은, 그 일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기록 장치는, 유저에 대해, 용지의 단부검출을 하지 않고, 적재 위치로서 반송롤러(11)로부터 5mm 하류측에 위치된 위치에 용지를 적재시켜, 이 위치가 용지의 선단위치인 결정으로 급지동작을 행하게 해도 좋다.
조작 패널(32)은, 유저가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표시부이며, 스위치의 일종인 키와, 기록 장치의 상태를 표시한다. 조작 패널(32)은, 제어부(30)의 표시 제어하에, 표시 화면에 그림이나 문자 등을 표시하고, 그 키를 모니터 한다. 유저는, 그 표시 화면을 보면서 키를 조작함에 의해, 기록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기록 장치의 처리를 지시한다.
이제, 용지의 종류의 판정 방법에 대해서,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은, 센서(16, 17, 18) 각각에 의한 판정 결과와, 용지상태의 판정을 나타내는, 진리값 표다. 표 1에 있어서, "용지 검출"은, 센서 16, 17 또는 18이 용지있음을 검출하는 것을 나타내고, "용지 미검출"은 센서 16, 17 또는 18이 용지없음을 검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97601846-pat00001
우선, 기록 장치는, 각 센서 16, 17, 18에 의해 실시된 검출 결과로부터 판정 가능한 곳까지 판정한다.
플라텐 센서(센서18), 상단 급지구 센서(센서16), 하단 급지구 센서(센서17)의 모두가 용지있음이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기록 장치는, 어느 용지도 적재되지 않고 본 상태가 미급지 상태라고 판정한다.
플라텐 센서(18) 및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검출하지 않고(용지없음을 검출해), 하단 급지구 센서(17)만이 용지있음을 검출하는 경우,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이때, 플라텐(20) 위에는 용지가 없으므로,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는,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 경우,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플라텐 센서(18) 및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있음을 검출하지 않고(용지없음을 검출해),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검출하는 경우,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인 것을 확정하여서,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이때, 플라텐(20) 위에 용지는 없으므로,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플라텐 센서(18)가 용지있음을 검출하지 않고(용지없음을 검출해), 상단 급지구 센서(16) 및 하단 급지구 센서(17)의 양쪽이 용지있음을 검출하는 경우, 상단 롤지와 하단 롤지 각각이 퇴피 상태에 있는 것을 확정하여서,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의 양쪽이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플라텐 센서(18)가 용지있음을 검출하고, 상단 급지구 센서(16) 및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없음을 검출하는 경우, 롤지가 없다는 것을 확정하여서, 기록 장치는 커트지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경우들은, 센서16, 17, 18로부터만 판정가능한 결과의 예들이다. 이제부터 설명할 경우들은, 센서16, 17, 18에 의한 용지의 유무에 대한 검출로부터만 판정할 수 없는 결과의 예들이다.
플라텐 센서(18)와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있음을 검출하고,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했을 경우,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가 상단 롤지가 아니라고 판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가 적재되어 있는 것인지, 또는 커트지가 적재되고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지를 구별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플라텐 센서(18)와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검출하고,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없음을 검출했을 경우,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가 하단 롤지가 아니라고 판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적재되어 있는 것인지, 또는 커트지가 적재되고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지를 구별(판정)할 수 없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경우의 양쪽에서는, 센서18과 센서16은, 용지있음을 검출한다. 또한, 플라텐 센서(18), 상단 급지구 센서(16), 및 하단 급지구 센서(17)의 모든 센서가 용지있음을 검출하는 경우, 기록 장치는, 커트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고 또한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지, 상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고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지, 또는 하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고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지를 구별할 수 없다. 이들의 경우와 같이, 상기 센서(16, 17, 18)로부터만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을 경우, 기록 장치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흐름도에 따라 판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기록 장치가 상단 급지구 센서(16) 및 하단 급지구 센서(17)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기록 장치는, 미급지의 상태와, 그 이외의 상태(상단 롤지, 하단 롤지 및 커트지 중 어느 한 용지가 플라텐(20) 위에 세트된 상태)만을 구별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도, 기록 장치는, 같은 처리를 행하여서 플라텐(20) 위에 세트된 용지의 종류(용지의 공급원)를 판정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지상태가 미급지 상태 이외의 상태일 경우, 이 경우는, 표 1의 바닥부에 열거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된다.
도 3은, 플라텐(20)상의 용지를 판별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흐름도는, 제어부(30)(CPU)가, 메모리부(36)의 ROM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에 로딩하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행해진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급지된 용지의 판별 처리는, 유저가 릴리즈 레버를 개방하고 용지를 적재하면,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처리는, 기록 장치의 전원이 온 되었을 경우, 슬립으로부터 복귀했을 경우에도 시작한다. 기록 장치의 전원 오프중에 릴리즈 레버가 개방되어 용지가 적재되는 경우에도, 기록 장치는,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상기 판별 처리를 행하여서, 전원이 온 되었을 때에 그것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가 슬립중에 릴리즈 레버가 개방되고 용지가 적재되는 경우에도, 기록 장치는, 그 슬립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상기 판별 처리를 행하여서 그것을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슬립 중에는 릴리즈 레버가 개방된 것을 검출 가능하기 때문에, 릴리즈 레버가 개방된 동안에 슬립 복귀시에 그 판별 처리를 행한다. 그렇지만, 기록 장치가 슬립중에 릴리즈 레버가 개방된 것을 검출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기록 장치가 슬립 복귀시에 항상 상기 판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급지상태의 판별 처리를 시작하면, 단계S101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 센서(18)에 의해,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없을 경우(단계S101에서 NO), 단계S102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에 의해,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2에서 NO), 단계S103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 센서(17)에 의해 하단 급지구에 종이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3에서 NO), 단계S104에서는, 기록 장치는 모든 센서(16, 17, 18)가 종이가 없다고 판정되어 있으므로, 본 급지상태가 미급지 상태라고 판정한다. 다시 말해,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검출하는 경우(단계S103에서 YES), 단계S105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만 용지가 있으므로,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을 경우(단계S102에서 YES), 단계S106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 센서(17)에 의해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6에서 NO), 단계S107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에만 용지가 있으므로,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함과 아울러,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6에서 YES), 이것은, 상단 급지구 및 하단 급지구 각각에 용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단계S108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고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02∼단계S108은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없을 때 행해진 단계들이고, 기본적으로는, 이들 단계에의 진행은 유저가 수동으로 용지를 적재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1에서 YES), 이것은, 본 급지상태가 유저에 의해 어떠한 용지를 적재한 상태라고 판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S109에 진행되어,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에 의해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을 경우(단계S109에서 NO), 단계S110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 센서(17)에 의해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10에서 NO), 단계S111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만 용지가 있고 상단 급지구 및 하단 급지구 각각에 용지가 없으므로, 적재된 용지가 커트지라고 판정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처리의 흐름은, 기록 장치는 센서(16, 17, 18)로부터만 어느 용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었는지를 판정 가능할 때의 흐름이다.
단계S110에서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10에서 YES), 단계S112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와 하단 급지구 각각에 용지가 있으므로, 본 급지상태가, (1) 하단 롤지를 적재한 상태와, (2) 커트지를 적재하고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상단"을 "하단"으로 대체하는 후술하는 도 4에 나타낸 판별 처리를 행하여서 본 급지상태가 어느 쪽의 상태인가를 판별한다.
단계S109에서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9에서 YES), 단계S113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 센서(17)에 의해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을 경우(단계S113에서 NO), 단계S114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과 상단 급지구 각각에 용지가 있으므로, 기록 장치는, 본 급지상태가 (1) 상단 롤지를 적재한 상태와, (2) 커트지를 적재하고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도 4에 나타낸 판별 처리를 행하여서 본 급지상태가 어느 쪽의 상태인가를 판별한다.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13에서 YES), 단계S115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상단 급지구 및 하단 급지구 모두의 각각에 용지가 있으므로, 본 급지상태가, (1) 커트지를 적재하고 또한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는 각각 퇴피하고 있는 상태, (2) 상단 롤지를 적재하고 또한 하단 롤지는 퇴피 상태에 있는 상태, 및 (3) 하단 롤지를 적재하고, 상단 롤지는 퇴피 상태에 있는 상태의 3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도 5a, 5b 및 5c에 나타낸 판별 처리를 행하여서 본 급지상태가 어느 쪽의 상태인가를 판정한다.
도 4는, 단계S114 후에 행해진 판별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다시 말해, 도 4는 본 상황에서 커트지 또는 상단 롤지 중 어느 용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어 있는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를 나타낸다. 이 흐름도는, 제어부(30)(CPU)가, 메모리부(36)의 ROM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에 로딩하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서 행해진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의 "상단"을 "하단"으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본 급지상태가, 하단 롤지를 적재하는 상태와 커트지를 적재하고 또한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 상태와의 2개의 상태간 어느 상태인지를 판별하는데 본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단계S114 후에,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가 상단 롤지인가, 커트지인가의 판별을 시작한다. 우선, 단계S201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센서16)가 용지없음이라고 판정할 때까지 상단 롤지를 되감는다. 상단 롤지를 되감기 위해서는, 기록 장치는, 반송롤러(11)가 정지한 상태로, 용지 공급부(12)의 축에 탑재된 구동용 모터에 의해, 용지 공급부(12)에 수용된 상단 롤지를 회전시켜서 되감기 동작을 행한다. 이때, 기록 장치는, 모터의 전류값을 검출한다. 검출된 전류값은, 단계S202의 과부하를 판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상단 롤지를 되감는 동작으로서 되감기 동작을 설명했지만,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를 사용하지 않고 행해진 동작과 마찬가지로 플라텐 센서(18)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상단 롤지를 되감아서 상기 되감기 동작을 행하여도 좋다. 또는, 기록 장치는, 센서 16 또는 18의 변화를 참조하지 않고 소정량만큼 상당 롤지를 되감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다음에, 단계S202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구동용 모터가 과부하가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모터가 과부하가 된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값에 대한 역치를 미리 설정하고, 기록 장치는 모터가 구동중에 지정 속도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전류값을 점차 상승시킨다. 전류값이 상기 설정된 역치를 넘었을 경우, 기록 장치는 모터가 과부하라고 판정한다. 전류값에 대한 역치는, 구성에 따라 적절하게 이 값을 설정하기만 하면, 어떠한 값으로 설정되어도 좋고, 통상의 모터 에러로 설정된 전류값의 에러 역치이상으로 설정되어도 좋거나, 그 에러 역치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이 역치는, 통상의 모터 에러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전류값의 역치보다도 낮은 설정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500mA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모터가 용지를 되감는 동안에 목표속도인 75mm/s의 속도에 도달하지 않을 때 점차 전류값을 상승시키고, 모터가, 그 전류값이 500mA에 도달한 순간에 과부하라고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과부하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지만, 그 과부하의 판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장치는, 전압값을 측정해서 과부하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좋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과부하를 판정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전류값이 역치에 도달한 순간에 모터가 과부하라고 판정하지만, 그 과부하의 판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장치는, 전류값이 어떤 소정의 시간에 대해 상기 설정된 역치보다 높을 때 모터가 과부하라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기록 장치가 과부하를 검출했을 경우, 즉, 모터가 과부하가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202에서 YES), 단계S203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급지된 상태라고 판정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어 있을 경우, 반송롤러(11)에 의해 용지가 끼워져 있어서, 상단 롤지를 되감으려는 시도는 반송롤러(11)를 정지시킨 채 있기만 하면 용지를 되감을 때 실패하여, 과부하가 검출된다. 다시 말해, 기록 장치는 단계S202에서 모터가 과부하가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S202에서 YES), 단계S203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14에서는, 처리를 종료한다. 보통, 과부하는 모터 에러의 일종이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를 반송롤러(11)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 의도적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모터가 과부하가 되었을 경우,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가 일어났다고 판정하지 않고,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를 특정한다.
한편, 기록 장치가 과부하를 검출할 수 없을 경우, 즉, 모터가 과부하가 되었다고 판정되지 않았을 경우(단계S202에서 NO), 단계S204에서는,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가 일어났는지를 판정한다. 상단 롤지의 구동용 롤러를 구동시킬 때에도, 모터가 과부하가 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이것은, 상단 롤지가 되감기 동작에 의해 되감겨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가 과부하로 되었을 경우, 기록 장치는, 에러가 일어났다고 판정하지 않고, 우선, 이 과부하를 사용하여 용지를 판별한다. 그 후,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좋거나, 모터 에러를 판정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단계S204에서는, 기록 장치는,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상단 롤지를 되감았을 때, 다른 구동용 모터에 모터 에러가 일어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
모터 에러가 일어난 경우(단계S204에서 에러), 단계S205에서는,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를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를 본체의 조작 패널(32)에 표시하여서, 유저에 이상을 통지한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기록 장치의 전원을 끄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표시를 제시하고,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은, 모터 에러가 하드웨어에 문제가 있는 것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모터 에러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단계S204에서 정상), 단계S208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 센서(18)에 의해,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208에 있어서 플라텐(20) 위에 용지없음은, 플라텐(20) 위에 원래 위치된 용지가 상단 롤지이며, 상단 롤지를 되감는 것에 의해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없어지게 된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단계S209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단계S210에서는, 기록 장치는, 용지가 적재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지한 상태로부터, 상단 롤지의 선단이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검지하는 위치부터 10mm 하류에 위치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단 롤지의 구동용 모터를 구동(작동)시킨다. 도 1b에 나타낸 상단 롤지의 상태는,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검지하는 위치부터 10mm 하류에 위치된 위치에 대응한다.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208에서 YES), 단계S211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에 의해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하는 경우(단계S211에서 NO), 이것은, 상단 롤지가 되감고 있으므로, 플라텐(20) 상에 커트지가 급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S212에서는, 기록 장치는, 커트지를 적재하고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S210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는, 상단 급지구 센서(16)에 의해 상단 급지구의 용지없음을 판정한 위치까지 상단 롤지가 되감겨졌으므로, 단계S209에 진행될 때와 마찬가지로 상단 롤지의 선단을 퇴피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201에 있어서 상단 롤지를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지하는 상태까지 되감았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단계S211에서는, 상단 급지구 센서(16)는, 용지있음을 검지하여도 된다(단계S211에서 YES). 이러한 불일치를 생성하는 상황의 예들은, 상단 롤지가 그 감기의 어느 정도가 풀린 상태에서 펄럭여서, 상단지 급지구 센서(16)가 종이없음을 부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록 장치는, 한번만 상단 롤지의 되감기의 리트라이(retry) 처리를 행한다. 단계S213에서는, 기록 장치는, 리트라이 처리가 1회째 행해지려고 하는가를 판정한다. 리트라이 처리가 1회째 행해지려고 하는 경우(단계S213에서 YES), 다시 단계S201에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처리를 반복하고 다시 단계S213까지 처리가 진행했을 경우, 리트라이 처리가 1회째 행해지려고 하지 않고(단계S213에서 NO), 단계S201에서 상단 롤지가 되감길 때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단계S212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커트지가 급지되고, 상단 롤지는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S210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의 선단을 퇴피 위치로 되돌린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5a, 5b, 5c는, 단계S115 후에 행해진 판별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는, 제어부(30)(CPU)가, 메모리부(36)의 ROM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에 로딩하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행해진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단계S115 후에,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상단 롤지, 하단 롤지 또는 커트지의 어느 용지가 적재되었는가를 판정하기 시작한다. 우선,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지할 때까지, 용지 공급부(12)의 축에 탑재된 구동용 모터에 의해, 용지 공급부(12)에 수용된 상단 롤지를 회전시켜서 되감는다. 그와 동시에,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없음을 검지할 때까지 용지 공급부(14)의 축에 탑재된 구동용 모터에 의해, 용지 공급부(14)에 수용된 하단 롤지를 회전시켜서 되감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동시에 모터를 구동시켜서 용지들을 되감지만, 각각 따로따로 용지들을 되감아도 좋다. 상기 기록 장치는, 반송롤러(11)를 정지한 채, 상단 롤지에 대응하는 축과 하단 롤지에 대응하는 축을 회전시켜서 상기 용지들을 되감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되감기 동작은 상단 급지구 센서(16) 및 하단 급지구 센서(17) 각각이 용지없음을 검지할 때까지 각 롤지를 되감는 동작으로서 기재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장치는 플라텐 센서(18)가 용지없음을 검지할 때까지 용지를 되감아서 되감기 동작을 행하여도 좋거나, 미리 설정된 소정량만큼 용지를 되감아서 되감기 동작을 행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각 용지 공급부(용지 급지부라고도 한다)(12, 14)가 각각의 급지구 센서(16, 17)를 구비하는 경우에, 기록 장치는, 상기 다른 센서 16, 17의 설치로 인해 한번에 판정에 도달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록 장치가 1개의 플라텐 센서(18)만을 사용하여 검출하는 경우에는, 기록 장치는 용지를 따로따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기록 장치가 플라텐 센서(18)가 용지없음을 검지할 때까지 용지를 되감는 경우에, 기록 장치는, 상단 용지 공급부(12)상의 롤지 및 하단 용지 공급부(14)상의 롤지를 동시에 되감는 것이 아니고, 상단 롤지를 되감아서 센서(18)에 변화가 없는지를 판정한 후, 하단 롤지를 되감도록 상기 되감기 동작을 제어한다. 이 방법에 의해, 기록 장치는, 어느 쪽의 되감기 동작에 의해 플라텐 센서(18)가 용지없음을 검지한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S303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02의 동작시에 상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하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양쪽이 과부하된 것이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 중 한쪽이 플라텐(20) 위에 적재되는 경우,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 중 한쪽만이 반송롤러로 끼워지므로, 그 모터 중 어느 한쪽만이 과부하가 된다. 따라서, 과부하가 되어 있는 양쪽의 모터는,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의 양쪽의 용지를 플라텐(20) 위에 이중 적재하거나,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의 어느 한쪽이 막히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상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하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양쪽이 과부하가 되었을 경우(단계S303에서 YES), 단계S304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의 잼 에러가 일어났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조작 패널(32)에 잼 에러가 일어난 것을 표시한다. 이 표시에 의해, 상기 기록 장치는, 유저에게, 상단 롤지의 용지 경로(반송로) 및 하단 롤지의 용지 경로(반송로)를 확인하도록 재촉한다. 그리고,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양쪽 모터가 과부하가 안 되었을 경우(단계S303에서 NO), 단계S305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과부하이고 또한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하단 롤지의 선단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를 판정한다. 상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과부하이고,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하단 롤지의 선단을 검출했을 경우(단계S305에서 YES), 단계S306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고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S307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으므로, 하단 롤지를 퇴피 위치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302의 동작이 단계S305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은 경우(단계S305에서 NO), 단계S308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과부하이고 또한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상단 롤지의 선단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를 판정한다. 하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과부하이고 또한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상단 롤지의 선단을 검출할 수 있었을 경우(단계S308에서 YES), 단계S309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고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S310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상단 급지구에 없으므로, 상단 롤지를 퇴피 위치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302의 동작이 하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과부하이고 상단 롤지의 선단을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검출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은 경우(단계S308에서 NO), 단계S311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02에 있어서 각 급지구 센서(16, 17)가 용지없음을 검지할 때까지 각 롤지를 되감았을 때에, 다른 모터 에러가 일어났는지를 판정한다. 다른 모터 에러가 일어났을 경우(단계S311에서 YES), 단계S312에서는,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를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장치는, 조작 패널(32)에 모터 에러가 일어난 것을 표시하여서, 유저에 이상을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03, 단계S305, 단계S308의 과부하의 체크 후에 단계S311에서 모터 에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지만, 과부하의 확인전에 모터 에러를 확인해도 좋다. 또한,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보다 우선하는 에러가 일어나면 그 에러를 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모터 에러가 일어나지 않고 있을 경우(단계S311에서 NO), 단계S313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 및 하단 급지구 센서(17) 모두가 용지 미검출을 나타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상단 급지구 센서(16)와 하단 급지구 센서(17) 중 아무도 과부하가 아니고, 이 급지구 센서들 중 아무도 용지를 검출할 수 없는 것은, 보통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단계S314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의 용지 잼 에러로서, 조작 패널(32)에 용지 잼 에러를 표시한다. 이 표시에 의해, 기록 장치는, 유저에게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의 양쪽의 상태의 확인을 재촉한다. 단계S313에서 YES가 되는 상태로서는,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 양쪽에 관하여, 느슨해진 감김 상태로 인해 백 텐션이 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있는 상태나, 용지가 용지의 종단부근에서 롤지의 코어로부터 용지가 풀려 있는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단계S302에서의 동작이 상단 급지구 센서(16) 및 하단 급지구 센서(17)의 양쪽이 용지 미검출을 나타낸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단계S313에서 NO), 단계S315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 미검출을 나타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과부하의 미발생에도 불구하고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 미검출을 나타냈을 경우(단계S315에서 YES), 단계S316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의 잼 에러로서 조작 패널(32)에 용지 잼 에러를 표시한다. 이 표시에 의해, 기록 장치는, 유저에게 상단 롤지의 상태의 확인을 재촉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검출했을 경우, 다시 말해,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 미검출을 나타내지 않았을 경우(단계S315에서 NO), 단계S317에 진행된다. 이것은, 상단 롤지가 퇴피 위치로부터 용지없음에 해당한 상태로 되감겨질 수 있는 상태다. 단계S317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 미검출을 나타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 미검출을 나타냈을 경우(단계S317에서 YES), 단계S318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의 잼 에러가 일어났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조작 패널(32)에 하단 롤지의 잼 에러가 일어난 것을 표시한다. 그리고,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를 검출했을 경우, 다시 말해,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 미검출을 나타내지 않았을 경우(단계S317에서 NO), 단계S319에 진행된다. 이것은, 하단 롤지가 퇴피 위치로부터 용지없음의 상태에 해당한 상태로 되감겨질 수 있는 상태다. 단계S319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 센서(18)에 의해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319까지 플로우가 진행할 경우,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와 하단 롤지 양쪽의 선단을 미검출이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단계S319로의 진행은, 정상으로 그 선단을 검출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 것을 알아서,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는지에 근거하여, 용지가 적재되지 않는지 또는 커트지가 적재되는지를 판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단계S319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롤지를 센서 16 또는 17이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반송할 때에 롤지의 이완으로 인한 오검출을 출력할 수도 있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상단 롤지와 하단 롤지 각각에 대해 용지 되감기의 리트라이 동작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S320 및 S321에서는, 기록 장치는, 롤지의 선단을 검출할 수 있었던 것으로 가정하여 현재로는 그 상태를 임시로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없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319에서 NO), 단계S320에서는, 기록 장치는, 급지상태가 상단 롤지와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고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고 임시로 결정한다.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319에서 YES), 단계S321에서는, 기록 장치는, 급지상태가 플라텐(20) 위에 놓인 용지, 즉 적재된 용지가 커트지이고,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 상태라고 임시로 결정한다. 다음에, 단계S322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에 의해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을 경우(단계S322에서 NO), 이것은 상단 롤지가 정상으로 되감겨질 수 있다는 것의 확인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322에서 NO),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를 퇴피 위치로 구동시키고, 기록 장치가 계속되는 하단 롤지에 대한 리트라이 동작을 행할지를 체크하는 단계S336에 진행된다.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322에서 YES), 기록 장치는, 단계S302에 있어서 상단 롤지를 되감았을 때의 용지없음의 검출은 오검출이었다고 판정하여, 단계S324에 진행된다. 단계S324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 센서(18)에 의해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상단 롤지를 되감으려는 시도 후, 단계S324에 있어서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검출되지 않으면(단계S324에서 NO), 상단 롤지가 되감겨 있다고 가정하여 하단 롤지를 처리하기 위해서, 단계S336에 진행된다.
그렇지만,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검출하고 또한 플라텐 센서(18)가 용지없음을 검출하므로, 상단 롤지는, 상단 급지구 센서(16)와 플라텐 센서(18)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그렇지만, 상단 롤지의 상세위치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기록 장치는, 단계S324의 판정은 행하지 않고, 단계S325에 진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거나, 기록 장치는, 다시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상단 롤지를 되감아서, 선단위치를 재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또는 이와는 달리, 상단 롤지가 용지있음과 용지없음 사이의 미결정된 애매한 위치로 되감겨질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록 장치는,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확실하게 검출하도록 기록 장치가 상기 용지를 되감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약간 보낸 후, 단계S336에 진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324에서 YES), 단계S302에 있어서의 용지없음 검출의 동작이 오검출이라고 가정하고 플라텐(20) 위의 용지가 상단 롤지일 수도 있을 또 다른 가능성을 고려하여, 단계S325에서는, 기록 장치는, 한번만 상단 롤지의 되감기의 리트라이 동작을 행한다. 여기에서 기재된 리트라이 동작은,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상단 롤지를 되감는 동작을 말한다. 그리고, 단계S326에 진행된다.
단계S326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25의 동작시에 상단 롤지를 회전시키는 모터에서 과부하가 검출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과부하가 검출되었을 경우(단계S326에서 YES), 단계S327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상단 롤지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하단 롤지는, 퇴피 상태에 있다고 계속 임시로 결정된다. 그리고, 단계S336에 진행된다.
단계S326에 있어서 과부하를 검출할 수 없을 경우(단계S326에서 NO), 단계S328에서는,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가 일어났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모터 에러가 일어났을 경우(단계S328에서 YES),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가 일어난 것을 조작 패널(32)에 표시하여서, 유저에게 이상을 통지한다. 그리고, 그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모터 에러가 일어나지 않았을 경우(단계S328에서 NO), 단계S330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25의 동작 결과로서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 가능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325에 있어서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상단 롤지를 반송시키고 있으므로, 소정량 상단 롤지를 반송한 후에도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 가능해지지 않았을 경우(단계S330에서 NO), 단계S331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용지 잼 에러에 꼼짝 못하게 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장치는, 본체의 조작 패널(32)에, 상단 롤지가 용지 잼 에러에 꼼짝 못하게 되어 있는 것을 표시한다. 이 표시에 의해, 기록 장치는, 유저에게 롤지의 상태를 확인할 것을 재촉한다. 그리고,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그 처리가 단계S331에 진행하게 되는 상태의 예들로서는, 상단 롤지의 느슨해진 감김 상태로 인한 백 텐션이 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는 상단 롤지나, 용지의 종단 부근에서 상단 롤지의 코어로부터 풀린 상단 롤지 등의 어떠한 문제가 있는 상태가 있다. 따라서, 기록 장치는, 유저에 용지 잼 에러를 통지하여서 유저에 대하여 상단 롤지의 상태를 확인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모터 에러와는 달리, 유저가 용지를 제거하는 등의 잼 해제의 조작을 행하면, 이에 따라 유저는 기록 장치를 계속 동작시킬 수 있다. 단계S325의 동작 결과로서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하는 경우, 다시 말해,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 검출을 나타내지 않은 경우(단계S330에서 YES), 단계S332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 센서(18)에 의해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없을 경우(단계S332에서 NO), 이것은, 플라텐(20) 위에 원래 있었던 용지는 상단 롤지이며, 그 상단 롤지를 되감는 것에 의해 용지가 없어졌다는 판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계S333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플라텐(20) 위에는 용지가 없으므로,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도 퇴피 상태에 있고,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상단 퇴피 위치에 상단 롤지를 이동시키고, 단계S336에 진행된다. 이 판별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단 롤지도 퇴피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하단 롤지의 처리로 진행되지 않고 종료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332에서 YES), 단계S334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에 의해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는 것을 검출할 경우(단계S334에서 NO), 단계S335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퇴피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 플라텐(20) 위의 용지가, 커트지일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고, 또한, 플라텐(20) 위의 용지는 오검출이 플라텐(20) 위에서 일어났을 경우에 하단 롤지일 수도 있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기록 장치는, 상단 퇴피 위치로 상단 롤지를 이동시키고, 단계S336에 진행된다.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334에서 YES),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의 용지가 커트지와 하단 롤지 중 어느 한쪽이지만, 상단 롤지는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351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여, 그대로 단계S336에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34에서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334에서 YES), 단계S336에 진행하였지만, 그 판별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상단 롤지를 반송하고 있다고 가정하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용지있음이 검출되는 이상상태에 있기 때문에, 기록 장치는, 2회와 3회 등의 수회 리트라이 동작을 반복해도 좋고, 및/또는 이 상태를 잼으로서 조작 패널(32)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또는 이와는 달리, 되감기 동작은 용지있음과 용지없음 사이의 미결정된 애매한 위치에 상단 롤지를 되감을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를 확실하게 상단 급지구에 용지있음을 검출할 수 있게 하도록, 약간 되감는 방향과는 반대로 보내고 나서, 단계S336에 진행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를 상단 롤지의 퇴피 위치에 반송시키는 동작을 행해도 좋다.
상단 롤지의 되감기의 리트라이 동작에 근거하는 판정 처리가 종료하면,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와 마찬가지로, 하단 롤지의 되감기의 리트라이 동작에 근거하는 판정 처리를 행한다.
단계S336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 센서(17)에 의해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기록 장치가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다고 검출한 경우(단계S336에서 NO), 단계S337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02의 동작에 의해 하단 롤지는 정상으로 되감긴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하단 롤지를 퇴피 위치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장치가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검출한 경우(단계S336에서 YES), 단계S302의 동작에 의해 하단 롤지를 되감았을 때의 용지없음의 검출은 오검출이었다고 가정하여, 단계S350에 진행된다. 단계S350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 센서(18)에 의해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단계S350에서 NO), 하단 롤지가 되감아졌다고 가정하여,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하단 롤지의 위치가 불분명함으로써, 기록 장치는 단계S350을 생략하거나 단계S338에 진행시키거나, 또는 기록 장치는 다시 센서(17)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하단 롤지를 되감아서 선단위치를 재검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또는 이와는 달리, 하단 롤지가 용지있음과 용지없음의 사이에서 미결정된 애매한 위치로 되감길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록 장치는,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있음을 확실하게 검출하도록 그 용지를 되감는 방향과는 반대로 약간 보낸 후, 처리를 종료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기록 장치가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350에서 YES), 단계S338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02의 실행 결과로서 용지없음의 검출이 오검출이었다고 가정하여, 한번만 하단 롤지의 되감기의 리트라이 동작을 행한다.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하단 롤지를 되감는다.
다음에, 단계S339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38의 동작시에 과부하를 검출했는지 판정한다. 기록 장치는 과부하를 검출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339에서 YES), 단계S340에서는, 기록 장치는, 반송롤러(11)에 하단 롤지가 끼워진 것으로 인해 모터에 과부하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하단 롤지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 상단 롤지는 퇴피 상태에 있다고 계속 임시로 결정된다.
기록 장치는 과부하를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339에서 NO), 단계S341에서는,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가 일어났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가 일어났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341에서 YES), 기록 장치는, 본체의 조작 패널(32)에 모터 에러가 일어난 것을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이상을 통지한다. 그리고,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장치는 모터 에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341에서 NO), 단계S343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38의 동작 결과로서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없음을 검출해질 수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338에 있어서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하단 롤지를 반송시키고 있으므로, 소정량 하단 롤지를 반송한 후에도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없음을 검출 가능해질 수 없을 경우(단계S343에서 NO),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의 용지 잼 에러가 일어난 것을 본체의 조작 패널(32)에 표시한다. 이 표시에 의해, 기록 장치는, 유저에게 하단 롤지의 상태의 확인을 재촉한다. 그리고,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343에서 NO가 되는 상태의 예들로서는, 하단 롤지의 느슨해진 감김 상태로 인한 백 텐션이 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는 하단 롤지나, 용지의 종단 부근에서 하단 롤지의 코어로부터 풀린 하단 롤지 등의 어떠한 문제가 있는 상태가 있다. 모터 에러와는 달리, 이 경우에, 유저가 용지를 제거하는 등의 잼 해제의 조작을 행하면, 이에 따라 유저는 기록 장치를 계속 동작시킬 수 있다. 기록 장치는, 도 4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잼이 일어났다고 판정하지 않고 다른 판정을 행하고, 및/또는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단 롤지의 처리의 에러와 조합해서 판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단계S338의 동작 결과로서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없음을 검출했을 경우, 다시 말해,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용지있음을 미검출한 경우(단계S343에서 YES), 단계S345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 센서(18)에 의해,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없을 경우(단계S345에서 NO), 이것은 플라텐(20) 위에 원래 있었던 용지는 하단 롤지이며, 하단 롤지를 되감는 것에 의해 용지가 없어졌다는 판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계S346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고,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기록 장치는, 하단퇴피 위치에 하단 롤지를 반송해서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있을 경우(단계S345에서 YES), 단계S347에서는, 기록 장치는, 단계S347에 의해 하단 급지구 센서(17)에 의해 하단 급지구 위에 용지가 있는지를 검출한다.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없을 경우(단계S347에서 NO), 단계S348에서는,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가 퇴피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으므로, 플라텐(20)상의 용지도 커트지라고 판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록 장치는, 커트지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하단 롤지는, 용지없음에 해당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기록 장치는, 하단퇴피 위치에 하단 롤지를 반송해서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장치는 하단 급지구에 용지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347에서 YES), 판별 처리를 종료한다. 용지가 되감겼을 때 용지없음이 검출되었으므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의 용지가 커트지이고,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도 5a, 5b, 5c에 나타낸 판별 처리에 의해,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 하단 롤지, 커트지의 3개의 용지 중 어느 하나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될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을 때 어느 용지가 적재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도 5에 나타낸 플로우가 행해진 후, 기록 장치는 급지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 모드, 하단 롤지 모드, 또는 커트지 모드로 급지동작을 행한다.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 모드, 하단 롤지 모드, 커트지 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 기록 장치가 동작하는지를, 도 3∼도 5에 나타낸 판별 결과에 근거해서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가 상단 롤지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상단 롤지 모드로 동작하고,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가 하단 롤지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하단 롤지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가 커트지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커트지 모드로 동작한다. 상단 롤지 모드, 하단 롤지 모드, 커트지 모드 중 어느 모드가 이용되는지에 따라, 급지 플로우나 파라미터 등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이용된 모드가 커트지 모드일 경우, 기록 장치는, 커트지의 길이를 특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는, 기록 장치는, 이용된 모드가 상단 롤지 모드인가 또는 하단 롤지 모드인가에 따라, 급지동작을 행하기 위한 구동부를 전환한다(구동부를 결정한다). 또한, 기록 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급지동작의 파라미터 등을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부로부터 공급된 롤지와, 하단 급지부로부터 공급된 롤지간에, 백 텐션의 인가량으로서 다른 값을 설정하여서, 어느쪽의 경우도 소정의 토크가 되도록 급지동작을 구성한다.
어느 쪽의 경우도, 급지동작이 개시되면, 기록 장치는, 캐리지(10)상의 센서에 의해 용지의 선단위치나 좌우 단부 등을 자동으로 검출한다. 기록 장치는, 지폭을 자동으로 검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조작 패널(32)을 통해 유저가 지폭 등을 입력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그 후, 기록 장치는, 용지를 필요한 경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경우에는, 상단 롤지가 인쇄가능한 상태가 되고, 하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경우에는, 하단 롤지가 인쇄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커트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경우에는, 커트지가 인쇄가능한 상태가 된다.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커트지가 공급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급지동작을 행할 때 커트지를 제거한 후 롤지를 플라텐(20) 상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기록 장치는, 롤지 모드로 급지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기록 장치의 시작 버튼의 누름을 수신하거나 또는 퍼스널 컴퓨터(PC)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스타트 지시를 수신하면, 기록 장치는 인쇄 데이터에 근거해서 인쇄를 실행한다.
이제, 도 6a 내지 6h를 참조하여, 제어부(30)의 표시 제어 하에, 조작 패널(32)에 표시된 표시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 내지 6h 각각은 조작 패널(32)의 표시 화면의 일부를 나타낸다. 그들 각각은, 유저에 프린터의 상태나,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의 종류를 통지하기 위한 표시 예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기록 장치가 인쇄 시작전 대기하고 있을 때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표시 화면은, 표시 화면에 제시된, 메시지 표시 영역과, 잉크 잔량의 표시 영역과, 용지 종류의 표시 영역과, 메인티넌스의 지시를 하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플라텐 센서(18)가 용지를 검출하지 않을 경우, 다시 말해,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없을 경우, 기록 장치는, 본 급지상태가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조작 패널(32)에, 도 6a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한다. 기록 장치는, 메시지의 표시 영역에는, "용지를 적재해 주십시오" 등의 유저에 용지의 적재를 재촉시키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표시는,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잉크 잔량의 표시 영역에는, 잉크의 잔량을 색마다 표시한다. 기록 장치는, 용지 종류의 표시 영역에는, 상단 롤지, 하단 롤지 및 커트지 각각의 용지 종류(재질)를 나타내는 용지정보를 표시한다. 도 6a는, 아직 용지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된 표시화면을 나타내므로, 그 용지정보는 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기록 장치는, 메인티넌스의 지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영역에는, 메인티넌스 버튼을 표시한다. 메인티넌스 버튼은, 메인티넌스의 메뉴 화면이며, 선택되면, 메인티넌스 일람이 표시된다.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적재된 경우, 기록 장치는, 도 6b와 같이, "인쇄 가능합니다" 등과 같이, 기록 장치가 인쇄를 시작할 수 있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경우, 기록 장치는, 상단 롤지의 오른쪽의 필드에, 적재된 용지종류(적재된 용지의 재질)를 굵고 짙은 문자로 표시한다. 이 표시에 의해, 기록 장치는, 유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가 상단 롤지이며, 용지종류가 보통지인 것을 식별가능하게 하고 있다.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를, 다른 방법으로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화면에는, 기록 장치는, 용지종류(용지의 재질)로서는, 도 3∼도 5에 나타낸 판별 처리를 행한 후에 조작 패널(32)에 표시된 입력 화면을 거쳐 유저가 입력한 정보를 표시한다. 유저는, 적재된 용지의 재질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입력해도 좋거나, 풀다운 메뉴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적재된 용지의 재질을 입력해도 좋다. 유저가 용지종류를 입력하는 타이밍은 판별 처리가 행해진 후의 타이밍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장치는, 판별 처리를 행하기 전의 타이밍에서, 이를테면, 플라텐(20) 위의 센서(18)가 용지있음을 검출할 때, 유저에 용지종류를 입력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센서에 의해 용지의 재질을 판별할 수 있을 경우는, 조작 패널(32)에 입력 화면을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도 6c∼도 6h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도 3∼도 5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를 행함으로써 적재된 용지가 커트지인가, 상단 롤지인가, 하단 롤지인가를 판별한 후, 적재된 용지에 따른 급지동작을 행하고, 대기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에 각각 표시된다. 도 6c∼6h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메시지 표시 영역과, 잉크 잔량의 표시 영역과, 메인티넌스의 지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영역은, 도 6b의 화면과 같으므로, 용지종류의 표시 영역만을 나타낸다.
하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경우, 기록 장치는, 도 6c와 같이, 하단 롤지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오른쪽에, 적재된 용지종류를 굵고 짙은 문자로 표시한다. 커트지가 적재된 경우, 기록 장치는, 도 6d와 같이, 커트지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오른쪽에, 적재된 용지종류를 굵고 짙은 문자로 표시한다. 적재되지 않은 용지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오른쪽은, 공란으로 남아 있다.
커트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고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을 경우, 기록 장치는, 도 6e와 같이, 커트지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오른쪽에 용지종류를 굵고 짙은 문자로 표시하고, 퇴피 상태에 있는 상단 롤지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오른쪽에는, 가늘고 옅은 문자로 용지종류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용지정보를,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종류를 굵고 짙은 문자로 표시하고, 퇴피 상태에 있는 용지종류를 가늘고 옅은 문자로 표시한다. 도 6f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급지상태가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고, 플라텐(20) 위에 커트지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일 때의 표시 예다. 도 6g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상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고,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을 때의 표시 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상태에서는, 커트지는 급지할 수 없기 때문에 커트지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오른쪽은 공란으로 남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란은, 대응한 용지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6h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하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되고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을 때의 표시 예다. 이 경우에, 커트지는 급지할 수 없기 때문에 커트지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오른쪽은 공란으로 남아 있다.
도 6a 내지 6h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종류를 굵고 짙은 문자로 표시하고, 퇴피 상태의 용지종류를 가는 문자로 표시하도록 용지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기재되었지만, 그 표시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용지정보는,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종류와, 퇴피 상태의 용지종류를 서로 구별 가능하게 표시하기만 하면 어떤 방식으로도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상단 롤지 등의 용지종류는, 문자열로 나타낸 것으로서 기재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롤지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의 기호로 나타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용지가 적재될 때 어느 용지가 적재된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록 장치는, 어느쪽의 공급원(용지 공급부12, 용지 공급부14, 또는 수동 공급구)으로부터 용지가 공급되었는지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더 이상 롤지 모드나 커트지 모드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불필요는, 유저가 비록 커트지 모드를 선택하지만 롤지를 적재할 때 불일치 등과 같은, 동작 모드와 실제의 용지종류간의 불일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기록 장치는 커트지를 이동시키지 않고 커트지가 적재된 것을 판별할 수 있어, 커트지가 적재될 수 있는 위치(커트지의 후단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을 둘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롤지가 커트지 모드에서 잘못 적재되었을 경우, 커트지의 용지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커트지의 최대 사이즈인 1600mm 용지를 반송한 후에도, 기록 장치가 후단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에, 에러가 되어버린다. 따라서, 에러의 오검출로 인한 쓸데없는 반송을 막기 위해서, 플라텐 센서(18) 부근에 커트지의 후단이 위치될 필요가 있도록 커트지의 위치가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플라텐 센서(18)로부터 50mm 상류내의 영역에 용지의 후단이 위치되도록, 적재 위치를 설정한다. 이 경우에, 기록 장치는, 용지를 최대 50mm 정도 이동시킨 후에도 후단을 발견할 수 없을 경우에 에러가 일어났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용지가 적재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어버려, 용지를 한층 더 깊게(상류측으로) 삽입해서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커트지의 적재에 관한 성능이 저하해버린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없다.
또한, 유저가 할 수 있는 것은, 순서의 간략화에 기여하는 용지를 적재하는 것뿐이다. 또한, 종래는, 기록 장치는,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잊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 조작 패널(32) 위에 롤지와 커트지의 전환 버튼 및 급지 모드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장착되어 있지만, 기록 장치는 더 이상 이 구성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조작 패널(32)의 소형화와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급지동작 시작전에, 적재된 용지가 롤지인가 커트지인가를 판별함으로써, 롤지 및 커트지의 각각 전용의 급지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32) 위의 표시에 의해, 어느 용지가 적재되어 플라텐(20) 위에 놓이는지를 유저가 확인할 수 있고, 한층 더, 롤지가 퇴피 위치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유저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상기 롤의 종단부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반송롤러(11)의 상류측에 탑재된 센서(16, 17, 18)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판정을 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반송롤러(11)를 서로 이격하는 구성을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롤지의 감기가 풀릴 때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가 커트지라고 판별해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롤지의 종단부에서 롤지가 풀릴 때, 플라텐(20) 위에 적재된 용지가 커트지라고 판별해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용지종류의 판별시에, 반송롤러(11)로 용지를 반송하지 않는다. 반송롤러(11)가 특정한 고압으로 용지를 끼우는 경우, 수회 반송롤러(11)에 의해 용지를 반송하는 것에 의해서 자국이 남아 있는 용지도 있지만, 본 실시예는 반송롤러(11)에 의해 용지를 반송하는 것에 의해 자국이 남아 있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롤지의 감기가 풀릴 때 센서가 오검출을 출력할 때에도 잼이 일어났다고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기록 장치는 오검출에 의거한 동작을 계속하고 나서 피해가 확장되기 전에 용지의 상태를 유저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 장치는, 어느 공급원이 용지를 공급하는지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과부하가 검출되었는지를 판정한 후에, 모터 에러가 일어났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장치는, 과부하가 검출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전에 모터 에러가 일어났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과부하 에러이외의 에러는, 모터 에러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기록 장치는, 다른 에러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1) 플라텐(20) 위에 공급된 용지가 상단 롤지인지, 또는 (2) 플라텐(20) 위에 공급된 용지가 커트지이며 또한 상단 롤지가 퇴피 위치에 있는지의 판별은, 도 4에 나타낸 플로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기록 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단계S211의 판정을 행하여서 롤지의 이완으로 인한 오판정을 구별할 수 있게 구성되지만, 이 구별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플로우에서는, 리트라이 처리가 2회째 행하려고 하면 단계S212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기록 장치는, 2회, 3회 등의 수회 리트라이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것은, 상단 롤지를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없음을 검지할 때까지 반송하였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상단 롤지를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검출하는 이상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단계S213에서는, 기록 장치는, 잼이 일어났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여서, 유저에게 기록 장치의 상태의 확인을 재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다시 말해, 기록 장치는, 유저에게 용지를 제거시키고, 용지를 다시 적재시킨다.
또한, 단계S212에서는, 기록 장치는, 커트지가 플라텐(20) 위에 급지된다고 판정했지만, 이 판별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장치는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검지하므로 상단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급지되어 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플로우는, 단계S211에서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용지있음을 판정했을 경우, 단계S201에 되돌아가,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상단 롤지를 용지없음을 검출할 때까지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 판별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장치는, 기록 장치가 상단 롤지를 되감는 방향과는 반대로 소량 보낸 후 단계S212에 진행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것은, 상단 롤지를 용지있음과 용지없음 사이의 미결정된 애매한 위치에 되감는 동작의 실행으로 인해 단계S201에 있어서 상단 급지구에 용지가 위치되지 않은 것이 검출되었다는 판정으로, 상단 급지구 센서(16)가 확실하게 용지있음으로 검출하기 위한 동작이다. 이 경우에, 상단 롤지를 단계S210의 상단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1) 커트지가 적재되고 상단 롤지 및 하단 롤지가 퇴피된 상태, (2) 상단 롤지가 적재되고 하단 롤지가 퇴피 상태 상태에 있는 상태, 및 (3) 하단 롤지가 적재되고 상단 롤지가 퇴피 상태에 있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판별은, 도 5a, 5b, 5c에 나타낸 플로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5a, 5b, 5c에 나타낸 플로우에서는, 롤지의 되감기의 리트라이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급지상태를 임시로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기록 장치는, 급지상태를 즉시 판별(구별)하고, 급지상태를 임시로 결정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해도 좋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기록 장치는, 미리 느슨해진 감기를 해결하도록 용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롤지의 용지 공급부로서 2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단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기록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방법에 의해, 커트지와 복수의 롤지 중 어느쪽의 용지가 적재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하단 롤지가 없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도,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흐름도를 사용하여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급지구 센서(들) 16 및/또는 17은 생략되어도 좋다. 이 경우는, 본 발명은, "급지구 센서"의 용어를 "플라텐 센서"의 용어로 대체하여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반송롤러(11)에 롤지가 끼워지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모터의 과부하가 검출되었는지에 근거하여 판정했지만, 이 판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출력값으로서, 모터의 토크를 사용해도 좋다. 다시 말해, 기록 장치는, 모터의 토크에 근거해서 롤지가 끼워져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장치는,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는 동안 용지를 되감을 때, 모터의 토크가 소정의 토크를 초과하면 롤지가 끼워져 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기록 장치는, 롤지의 축에 탑재된 인코더를 구비하고, 롤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서 롤지가 얼마나 반송되어야 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기록 장치는, 롤지가 이동하고 있는 것을 판별가능한 센서에 의해, 직접 롤지가 이동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롤지가 이동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반송롤러(11)에 롤지가 끼워져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릴리즈 레버가 개방된 것이 검출되면, 용지의 판별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용지의 판별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단 급지구 센서(16) 또는 하단 급지구 센서(17)가, 릴리즈 레버 개방전에 용지없음을 검출하고, 이 검출이 릴리즈 레버를 닫았을 때에 용지있음으로 변화되었을 경우, 이것은 이 급지구에 새로운 용지가 적재된다는 판정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기록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플로우를 행하지 않고, 이 급지구로부터 공급된 롤지가 플라텐(20) 위에 적재된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록 장치는, 그 후에 급지동작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된 상태의 롤지를 되감아서 퇴피 상태로 했을 경우, 이 퇴피는 메모리부(36)등에 기억된다. 따라서, 기록 장치는, 용지를 되감아서 퇴피 상태로 한 것이 기억되어 있지 않고, 릴리즈 레버를 닫았을 때에 용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그 용지가 새롭게 적재된다고 판정하고, 도 3에 나타낸 플로우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기록 장치는, 그 후에 급지동작을 행한다. 용지를 되감아서 퇴피 상태로 한 것이 기억되어 있고, 릴리즈 레버를 닫은 후도 용지가 퇴피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기록 장치는, 급지동작을 행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플라텐(20) 위에 공급되어 있는 용지가, 커트지인지 롤지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커트지를 공급할 수 없는 기록 장치는 어느쪽의 공급원으로부터 플라텐(20) 위에 용지가 공급되는지를 판정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어느쪽의 공급원으로부터 용지가 공급되는지에 따라, 예를 들면, 급지동작을 위한 구동부가 전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급지동작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 이를테면 백 텐션이 변경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캐리지(10)를 용지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직렬 방식의 프린터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기록 장치는, 프린터가 사용가능한 최대 사이즈의 용지의 인쇄 영역의 폭을 커버하는 범위에 노즐들이 나열된 소위 풀 멀티헤드 프린터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9)

  1. 용지를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부;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으로 기록부의 상류측에 설치된 반송부로서, 상기 반송부를 구동하는 제1모터에 의해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반송하는 상기 반송부;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록부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
    롤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롤지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공급부 중에서 상기 롤지 공급부에 대한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공급부 중에서, 어느 공급부가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공급하는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검출부가 용지 있음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 출력되는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부를 판별하는,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급부는, 상기 롤지 공급부와, 커트지를 공급하는 급지구를 구비하는, 기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급부는, 복수의 롤지 공급부를 구비하는, 기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값에 근거해서 상기 제2모터의 과부하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에 상기 특정부가 과부하를 특정했는지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부를 판별하는, 기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부가 용지있음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송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가 지정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전류값을 상승시키고, 상기 특정부는, 상기 전류값이 설정된 역치를 초과했을 경우, 과부하를 특정하는, 기록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에 상기 특정부가 과부하를 특정한 경우, 상기 용지가 해당 과부하를 특정한 모터에 대응하는 롤지라고 판별하는, 기록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에 상기 특정부가 과부하를 특정하지 않은 경우, 롤지가 퇴피 위치에 있다고 더 판별하는, 기록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에 상기 특정부가 과부하를 특정하지 않은 경우, 커트지가 공급된다고 판별하는, 기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지 공급부의 공급구 근방에 설치되고, 용지 있음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출력값 및 상기 제2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용지의 공급원을 판별하는, 기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의 급지동작을 제어하는 급지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급지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급지동작의 모드를 결정하는, 기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기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플라텐 위에 적재된 용지의 종류와, 퇴피 상태에 있는 용지의 종류를 서로 구별가능하게 표시하는, 기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급지 동작 시작전에 판별을 하는, 기록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릴리즈 레버가 개방되고 용지가 적재될 때의 타이밍과, 상기 기록 장치의 전원이 온 되었을 때의 타이밍과, 상기 기록 장치가 슬립으로부터 복귀할 때의 타이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이밍에서 판별을 하는, 기록 장치.
  15. 용지를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부를 구비한 기록 장치상의 용지의 판별 방법으로서,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으로 기록부의 상류측에 설치된 반송부를 사용하여 반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반송부를 구동하는 제1모터에 의해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반송하는 단계;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록부의 상류측에 설치된 검출부를 사용하여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
    롤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롤지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공급부 중에서 상기 롤지 공급부에 대한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공급부중에서, 어느 공급부가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공급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단계에서 용지있음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상기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 출력되는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부를 판별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급부는, 상기 롤지 공급부와, 커트지를 공급하는 급지구를 구비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급부는, 복수의 롤지 공급부를 구비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출력값과 상기 롤지 공급부의 공급구의 근방에 설치되고 용지있음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용지의 공급원을 더 판별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의 급지동작을 제어하는 급지 제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지 제어부는, 상기 판별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 급지동작의 모드를 결정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를 통지부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단계는, 플라텐 위에 적재된 용지의 종류와, 퇴피 상태에 있는 용지의 종류를 서로 구별가능하게 표시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급지 동작 시작전에 판별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릴리즈 레버가 개방되고 용지가 적재될 때의 타이밍과, 상기 기록 장치의 전원이 온 되었을 때의 타이밍과, 상기 기록 장치가 슬립으로부터 복귀할 때의 타이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이밍에서 판별을 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값에 근거해서 상기 제2모터의 과부하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에 상기 특정 단계에서 과부하를 특정했는지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부에 용지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부를 판별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에서 용지있음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반송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가 지정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전류값을 상승시키고, 상기 특정 단계는, 상기 전류값이 설정된 역치를 초과했을 경우, 과부하를 특정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에 상기 특정 단계에서 과부하를 특정한 경우, 상기 용지가 해당 과부하를 특정한 모터에 대응하는 롤지라고 판별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에 상기 특정 단계에서 과부하를 특정하지 않은 경우, 롤지가 퇴피 위치에 있다고 더 판별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반송부에 의해 용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모터를 롤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에 상기 특정 단계에서 과부하를 특정하지 않은 경우, 커트지가 공급된다고 판별하는, 용지의 판별 방법.
KR1020160130427A 2015-10-09 2016-10-10 기록 장치 및 용지의 판별 방법 KR102070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1313A JP6650720B2 (ja) 2015-10-09 2015-10-09 記録装置、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5-201313 2015-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492A KR20170042492A (ko) 2017-04-19
KR102070189B1 true KR102070189B1 (ko) 2020-01-28

Family

ID=5704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27A KR102070189B1 (ko) 2015-10-09 2016-10-10 기록 장치 및 용지의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44096B2 (ko)
EP (1) EP3153321B1 (ko)
JP (1) JP6650720B2 (ko)
KR (1) KR102070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2228B2 (ja) * 2017-03-10 2021-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6772092B2 (ja) * 2017-03-10 2020-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6797886B2 (ja) * 2018-01-31 2020-1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521044B1 (en) * 2018-01-31 2021-09-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7358874B2 (ja) * 2019-09-20 2023-10-1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記録材搬送システム、記録材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041756A (ja) * 2020-09-01 2022-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011A (ja) 2001-03-16 2002-12-04 Canon Inc 記録装置
US20120056365A1 (en) 2010-09-06 2012-03-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39998A (ja) 2010-12-16 2012-07-26 Canon Inc プリンタ及び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767A (ja) * 1994-03-22 1995-10-09 Hitachi Ltd 記録装置
JP3396102B2 (ja) * 1995-01-11 2003-04-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圧ローラ支持構造
JPH09327949A (ja) * 1996-06-11 1997-12-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0529968B1 (ko) * 1998-10-27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없음을 감지하는 감지장치 및 방법
JP2000327181A (ja) * 1999-05-14 2000-11-28 Canon Inc ロール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US6600286B2 (en) * 2000-03-03 2003-07-29 Seiko Epson Corporation Motor control device and motor control method
CN1663811A (zh) * 2004-03-05 2005-09-0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机及打印机控制方法
JP2009107752A (ja) * 2007-10-29 2009-05-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US8146917B2 (en) * 2008-10-09 2012-04-03 Canon Kabushiki Kaisha Conveying device with roller separating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011A (ja) 2001-03-16 2002-12-04 Canon Inc 記録装置
US20120056365A1 (en) 2010-09-06 2012-03-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39998A (ja) 2010-12-16 2012-07-26 Canon Inc プリンタ及び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3321B1 (en) 2018-06-20
EP3153321A3 (en) 2017-04-26
JP6650720B2 (ja) 2020-02-19
EP3153321A2 (en) 2017-04-12
US20170100946A1 (en) 2017-04-13
US9944096B2 (en) 2018-04-17
KR20170042492A (ko) 2017-04-19
JP2017071194A (ja)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189B1 (ko) 기록 장치 및 용지의 판별 방법
US8714541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371283B2 (ja) 記録装置
US9440463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RU2598289C2 (ru) Печат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запоминающий носитель
US20150145201A1 (en) Sheet stack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13949779A (zh) 文档读取装置、文档读取装置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5882762B2 (ja) 読取装置及び記録装置
US11667138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090110B2 (en) Setting apparatus, setting method, and program
JP3880510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の種類判別方法
JP2007137524A (ja) 画像記録装置
US8845214B2 (en) Conveying device and printer
JP5062044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US11459199B2 (en) Printing apparatus
US20110215130A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sheet collecting method
JP2005324455A (ja) シート材搬送装置、およびシート材搬送方法
US11993073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JP5279391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36802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41204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種類の判別方法
JP200622439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4891148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23155734A (ja) 記録装置
JP5501007B2 (ja) 記録装置と記録装置の初期化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