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794B1 -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794B1
KR102068794B1 KR1020190064060A KR20190064060A KR102068794B1 KR 102068794 B1 KR102068794 B1 KR 102068794B1 KR 1020190064060 A KR1020190064060 A KR 1020190064060A KR 20190064060 A KR20190064060 A KR 20190064060A KR 102068794 B1 KR102068794 B1 KR 10206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imal
skin
present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이정노
박미희
유화선
홍주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홍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홍주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9006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61K9/0017Non-human animal skin, e.g. pour-on, spo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을 저해하고, 아쿠아포린(Aquaporin)-3 발현 조절을 통해 염증 완화, 보습 효과가 있는 강아지풀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동물 피부 염증 완화, 피부 보습 및 발바닥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imal with the extract of Setaria viridis}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을 저해하고, 아쿠아포린(Aquaporin)-3 발현 조절을 통해 염증 완화, 보습 효과가 있는 강아지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물리적, 화학적, 병원균 등의 외부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개의 층으로 나뉘는데, 그 중에서도 최외각층인 표피의 각질층은 체내로부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의 침입을 차단한다. 사람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환경 변화와 생활 습관, 노화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퇴화 등의 원인으로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피부건강에 관한 문제는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한편, 피부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유해물질의 차단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동물의 피부는 직접적으로 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사람보다 얇아서 손상되기 쉽다. 개의 피부 표피층은 3~5층 정도로 10~15층의 표피를 가진 사람에 비해 얇고 약하며, 표피의 재생주기가 22일로 사람보다 짧다. 하나의 모낭에서 1개의 털이 나는 사람과는 달리, 하나의 모낭에서 여러개의 털이 나며, 개의 피부에는 땀샘이 없고 발바닥에서만 땀이 분비되며, 빠르게 뛸 때 땀이 적당히 배출해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개나 고양이의 발바닥은 교원섬유, 탄성섬유 등의 튼튼한 피부로 구성되어 있고, 두꺼운 지방층이 있어서 스펀지와 같은 충격방지 역할을 하며, 미끄러짐을 방지해주는 등 하체건강에 도움을 주는 부위이다. 털이 없는 몇 안되는 신체부위중 하나이며, 발바닥 사이에 나는 털이 지나치게 많이 자라면 걷거나 뛸 때 미끄러져 넘어지게되거나 관절 및 슬개골 건강에도 영향을 준다. 동물도 나이가 많아지면 발바닥에 습기가 부족해서 발바닥이 갈라질 수 있으며 각질이 생기기도 한다. 너무 뜨거운 바닥이나 차가운 바닥에 오래 노출되면 화상이나 동상에 걸릴 위험이 있으며, 발 건강에 무리가 생길 수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동물 시장이 성장하고 있고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실내에서 동물을 키우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데 실내환경 특성상 딱딱하고 미끄러운 바닥타일이나 대리석 장판이 깔린 곳에서 생활하게 되면서, 동물이 걷거나 뛰며 놀 때 자주 미끄러지고 점프를 하면 관절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후천적 요인으로 강아지와 고양이는 슬개골 탈구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다. 특히, 이러한 미끄러짐은 피부가 건조할수록 잘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손상되기 쉬운 동물의 피부에 보습을 부여하여 각질을 관리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품과, 손상된 피부의 염증완화에 대한 효과적인 조성물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8327호 (등록일자:2017.07.10)는 보습 효과를 갖는 창포 추출물, 형개 및 야국화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습효과와 피부자극 억제 효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3235호 (등록일자:2018.10.24)는 애기참반디, 강아지풀, 하늘매발톱 및 홍지네고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보습 증진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개와 고양이 등의 동물 피부에서 발생하는 염증을 완화하고, 실내생활로 말미암은 발바닥 건조함을 해결하기 위한 피부 보습 효과 및 발바닥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천연물을 발굴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피부 염증 완화를 위한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발바닥 보습을 위한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발바닥 보습을 통해 발바닥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바람직하게 개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피부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동물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동물용 의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피부 외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을 저해하고, 아쿠아포린(Aquaporin)-3 발현 조절을 통해 동물 피부 염증 완화, 피부 보습 및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강아지풀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동물용 화장품, 동물용 의약품으로 제형화되어 동물 피부 염증 예방 및 치료, 동물 발바닥 보습력 부여 (발바닥 보습력 부여로 말미암아 동물 발바닥 미끄럼 방지)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한 각 시료를 각질 형성 세포에 처리했을 때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강아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한 각 시료를 대식 세포에 처리했을 때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강아지풀 추출물의 NO 생성 농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결과그래프이다.
도 4는 강아지풀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발현 양상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결과그래프이다.
도 5는 강아지풀 추출물의 아쿠아포린(Aquaporin)-3 발현 양상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결과그래프이다.
도 6은 강아지풀 추출물의 수분 보유능(water holding capacity)을 나타내는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피부 염증 완화를 위한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발바닥 보습을 위한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발바닥 보습을 통해 발바닥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피부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동물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강아지풀(Setaria viridis)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그 생김새가 강아지의 꼬리와 흡사하여 개꼬리풀이라고도 하며, 한자로 구미초라고 한다. 강아지풀은 금강아지풀, 자주강아지풀, 갯강아지풀, 수강아지풀 등의 종류가 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하면서 들판의 풀밭이나 길가 황폐지 등에서 많이 자란다. 한방에서는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사용하며 쌀이나 보리와 섞어서 밥을 짓거나 죽을 끓여 먹기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헥산 용매를 각각 단독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한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건한 강아지풀 전초 분쇄물에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80℃ 온도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2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 후, 55℃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강아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강아지풀 추출물을 0.001 내지 40.0 중량%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동물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동물용 의약품 또는 동물용 의약부외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물용 피부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용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및 예방제가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용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 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 동물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유효성분인 강아지풀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000001 내지 100 mg/kg (체중)으로 1회 이상 경구 투여 가능하다. 다만,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 동물의 상태와 수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의 의미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염증 완화, 피부 보습 및 동물 발바닥 미끄러짐 방지 효능이 본 발명의 성분인 강아지풀 추출물로부터 발생함을 의미하고, 그 외에 다른 성분으로 보조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품은 하기 실험에 의할 경우,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을 저해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고, 아쿠아포린(Aquaporin)-3 발현을 증가시키고, 높은 수분 보유능을 통해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염증 완화, 피부 보습 및 동물 발바닥 미끄러짐 방지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동물은 바람직하게 개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실시예 1 :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의 제조]
음건한 강아지풀 전초 500g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쇄물에 70% 에탄올 5,000g을 첨가한 후,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80℃ 온도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400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다시 한 번 여과하였다. 그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로 55℃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강아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강아지풀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실시하였다.
인간각질형성세포 (human keratinocyte, HaCaT)와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RAW 264.7)를 각각 2 x 104 cells/well, 1 x 105 cells/wel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한 후, 하루 동안 37oC, 5% 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안정화시켰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상기 실시예 1의 강아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한 각 시료를 세포에 처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MTT 용액을 각 well에 20 ul씩 첨가하고 세포 배양기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층액을 모두 제거한 뒤, 100 ul의 DMSO를 넣어 세포내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완전히 용해시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2와 같이 각질 형성 세포 및 대식세포에 강아지풀 추출물을 처리할 때, 100 ㎍/㎖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의 염증 완화 효능]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강아지풀 추출물이 염증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NO 생성 억제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와 관련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1) 강아지풀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능
염증완화 효과는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로 평가하였다. 96 well plate에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1 x 105 cell/well로 분주한 후, 37oC,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1 ug/ml 농도의 LPS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한 후 상기 실시예 1의 강아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양성대조군으로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을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배양 상층액 100 ul를 분리하여 동량의 Griess 시약 100 u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산화질소의 농도는 질화나트륨(sodium nitrite, NaNO2)을 사용하여 얻은 표준 직선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표 1).
시료 농도 NO 억제율(%)
양성대조군(NDGA) 5uM 65.90
강아지풀 추출물 12.5uM 13.96
25uM 39.80
50uM 54.43
100uM 75.37
그 결과, 상기 표 1 및 도 3과 같이 양성대조군인 NDGA의 경우 NO 생성을 65.90% 억제하였고, 강아지풀 추출물은 25 ㎍/㎖ 농도부터 유의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특히, 강아지풀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여 최고 농도인 100 ㎍/㎖ 농도에서 NO 생성을 최대 75.37% 억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이 NO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완화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강아지풀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능
염증완화 효과는 염증 반응에서 방어기전으로 유발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정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염증 반응에서 주로 발현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염증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다.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 × 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37oC,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안정화시켰다. 1 ㎍/㎖ 농도의 LPS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한 후 실시예 1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양성대조군으로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을 처리하였다. 24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배양 상층액을 150 ㎕ 취하여 따로 보관하였다. TNF-α의 양은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발현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55868062-pat00001
Su : LPS를 처리하지 않은 웰의 TNF-α 생성량
Sc : LPS를 처리한 웰의 TNF-α 생성량
Ss : LPS를 처리하고 강아지풀 추출물을 처리한 웰의 TNF-α 생성량
시료 농도 TNF-α 억제율 (%)
양성대조군 (NDGA) 5 ㎍/㎖ 50.40
강아지풀 추출물 12.5 ㎍/㎖ 11.05
25 ㎍/㎖ 29.97
50 ㎍/㎖ 50.81
100 ㎍/㎖ 71.50
그 결과, 상기 표 2 및 도 4와 같이 양성대조군인 NDGA는 TNF-α의 발현을 50.40% 억제하였고, 강아지풀 추출물은 25 ㎍/㎖ 농도부터 유의적으로 농도 의존적 억제를 나타냈고, 특히, 100 ㎍/㎖에서 TNF-α의 발현을 최대 71.50% 억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완화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의 세포 보습 효능]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강아지풀 추출물이 세포 수준에서의 보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 내 수분 흡수에 관여하는 아쿠아포린(Aquaporin, AQP)-3 발현 양상 및 수분 보유능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1) 강아지풀 추출물이 아쿠아포린 발현에 미치는 영향
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3 x 105 cell/well로 분주하고 37oC,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실시예 1의 강아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집하였다. 1 x 세포 용해 버퍼(cell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고 BCA assay로 단백질을 정량한 후 일정량의 단백질을 10% SDS-PAGE 겔에서 전기영동 시켰다. 겔 상의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에 전이(transfer)시키고 5% 스킴밀크(skim milk)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하였다. 1 x TTBS 용액으로 3 회 세척하고 1차 항체(AQP-3, Santa cruz, USA)를 4oC에서 오버나잇(over night) 반응시킨 후, HRP가 결합된 2차 항체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1 x TTBS로 3 회 세척하고 ECL용액을 반응시켜 Chemi Doc 기기로 밴드를 검출하였다. 베타-액틴(β-actin)의 발현을 기준으로 정량하여 AQP-3 발현량을 계산하였으며 Image J 1.47 software를 이용하여 수치화하였다(표 3). 양성대조군으로는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을 사용하였다.
시료 농도 AQP-3 증가율 (%)
양성대조군 (Dexamethasone) 1 μM 60.37
강아지풀 추출물 25 ㎍/㎖ 13.53
50 ㎍/㎖ 39.58
100 ㎍/㎖ 80.80
그 결과, 상기 표 3 및 도 5와 같이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존은 60.37%의 AQP-3 발현을 증가시켰고, 강아지풀 추출물은 50 ug/ml 농도부터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최고 농도인 100 ug/ml 농도에서 양성대조군보다 높은 80.80%의 AQP-3 발현 증가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이 아쿠아포린(Aquaporin, AQP)-3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보습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강아지풀 추출물의 수분 보유능(water holding capacity) 확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1 중량% 첨가한 용액을 비교 샘플로 하여 수분 보유능(water holding capacity)을 측정하였다. 일정한 온도에서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상기 실시예 1의 강아지풀 추출물을 페트리디쉬에 각 20㎖씩 넣어 준 뒤, 0, 2, 4, 6, 12 및 24시간 후 정밀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표 4).
시료 시간 0H 2H 4H 6H 12H 24H
Vehicle
(1% HA)
시료량(mg) 22187.4 21487.5 20475.6 19242.3 17458.5 15145.3
감소율(%) 0 3.2 7.7 13.3 21.3 31.7
강아지풀
추출물
시료량(mg) 21983.6 21440.7 20682.1 19684.5 18649.6 17022.1
감소율(%) 0 2.5 5.9 10.5 15.2 22.6
그 결과, 상기 표 4 및 도 6과 같이 보습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히알루론산과 비교하여 강아지풀 추출물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증발된 수분의 양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이 우수한 수분 보유능을 가져 뛰어난 보습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하기 표 5~7에 기재한 바대로, 크림, 에센스, 연고로 제조하였다. 다만, 본 발명은 하기 표 5~7 외에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표 5~7은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크림의 제조
성분 제형예 1
(중량%)
비교 제형예 1
실시예 1 2.0 -
부틸렌글라이콜 10.0 10.0
글리세린 5.0 5.0
프로필렌글리콜 4.0 4.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유동파라핀 4.6 4.6
알지닌 1.0 1.0
스쿠알란 3.0 3.0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폴리솔베이트 1.6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0.2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0 100.0
에센스 제조
성분 제형예 2
(중량%)
실시예 1 2.0
부틸렌글라이콜 6.0
글리세린 4.0
소듐히알루론산 0.05
베타인 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알지닌 0.2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0
연고 제조
성분 제형예 3
(중량%)
실시예 1 2.0
부틸렌글라이콜 4.0
글리세린 6.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알지닌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세테아릴 알코올 1.5
비즈왁스 4.0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0
[실험예 4: 애완동물 미끄러짐 완화 효과]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이 실제 애완동물의 미끄러짐을 완화하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애완견 중 시추 10마리의 발바닥에 상기 실시예 1이 2중량% 포함된 조성물을 적용한 제형예 1과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1을 각 1g을 도포 한 후 10분~60분 동안 실내에서 미끄럼지는 횟수를 관찰하여 표기하였다(표 8).
구분 10분 20분 40분 60분
제형예 1 5 11 17 29
비교제형예 1 7 18 34 58
관찰 결과, 제형예 1은 비교제형예 1에 비해 미끄러짐을 50% 감소되어, 강아지풀추출물이 애완견의 발바닥 미끄러짐을 완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종합하면,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이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을 저해하고, 아쿠아포린(Aquaporin)-3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염증 완화, 피부 보습 및 동물 미끄러짐 방지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품의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피부 염증 완화, 동물 발바닥 보습 및 동물 발바닥 미끄러짐 방지용 동물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개 또는 고양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4060A 2019-05-30 2019-05-30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KR102068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060A KR102068794B1 (ko) 2019-05-30 2019-05-30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060A KR102068794B1 (ko) 2019-05-30 2019-05-30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794B1 true KR102068794B1 (ko) 2020-01-22

Family

ID=6936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060A KR102068794B1 (ko) 2019-05-30 2019-05-30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7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506A1 (ko) * 2021-09-10 2023-03-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38110A (ko) * 2021-09-10 2023-03-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252A (ko) * 2000-03-31 2003-01-17 니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외용제 및 미백제
KR20100054386A (ko) *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트리신 포접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KR101758327B1 (ko) 2015-03-31 2017-07-26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보습 효과를 갖는 창포 추출물, 형개 및 야국화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 세정용 조성물
KR101913235B1 (ko) 2018-02-05 2018-10-30 최성철 애기참반디, 강아지풀, 하늘매발톱 및 홍지네고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252A (ko) * 2000-03-31 2003-01-17 니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외용제 및 미백제
KR20100054386A (ko) *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트리신 포접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KR101758327B1 (ko) 2015-03-31 2017-07-26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보습 효과를 갖는 창포 추출물, 형개 및 야국화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 세정용 조성물
KR101913235B1 (ko) 2018-02-05 2018-10-30 최성철 애기참반디, 강아지풀, 하늘매발톱 및 홍지네고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경남일보, URL =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513 (2014.08.06.)*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506A1 (ko) * 2021-09-10 2023-03-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38110A (ko) * 2021-09-10 2023-03-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2550B1 (ko) 2021-09-10 2024-03-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596B1 (ko) 천연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20180069756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8794B1 (ko)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03479A (ko)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16930A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2324A (ko) 피부 염증성 질환 치료용 다시마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654120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1162A (ko)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2350141B1 (ko)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130033228A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014102B1 (ko) 메스키트 꿀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80069755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