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38506A1 -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38506A1
WO2023038506A1 PCT/KR2022/095122 KR2022095122W WO2023038506A1 WO 2023038506 A1 WO2023038506 A1 WO 2023038506A1 KR 2022095122 W KR2022095122 W KR 2022095122W WO 2023038506 A1 WO2023038506 A1 WO 202303850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sition
muscle
extract
fox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951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은영
한영지
김지원
김지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2112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3835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1299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42550B1/ko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03850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385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comprising an extract of foxtail foxtail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an extract of foxtail foxtai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21-0121126, filed on September 10, 2021,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21-0121251, filed on September 10, 2021, and September 6, 2022 Claims priority based on fil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22-0112990, and all cont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s and drawings of the above applications are incorporated into this application.
  • Skeletal muscle is the largest organ in the human body, accounting for 40 to 50% of the total body weigh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metabolic functions in the body, including energy homeostasis and heat generation.
  • redistribution of body fat and body proteins occurs as a result of changes in composition, and at the age of about 50, the rate of protein synthesis in muscle cells slows down compared to the rate of decomposition, and muscles begin to degenerate rapidly. may be exposed to
  • Sarcopenia which is one of the diseases related to muscle weakness, refers to a state in which about 13 to 24% of the usual body mass is reduced, and indicates a decrease in protein content, fiber diameter, muscle strength production, and fatigue resistance.
  • Sarcopenia is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including sepsis, cancer, renal failure, excess glucocorticoids, denervation, muscle underuse, obesity, and the aging process. Mainly, it can be attributed to the gradual decrease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keletal muscle that occurs as aging progresses.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foxtail extract has an excellent effect of increasing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 obesity generally refers to a state in which adipose tissue is excessive in the body, and is a phenomenon in which energy consumed from food is not balanced with energy consumed through physical activities and the like, and thus surplus energy is accumulated as body fat.
  • Obesity is caused by a wide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genetic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irregular eating habits, lack of exercise, or excessive consumption of fast foo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depression, boredom, and excessive stress, and pathological factors caused by changes in thyroid or adrenal cortical hormones. Due to recent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lifestyle,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eating habits, and busy modern people tend to increase their weight and obesity due to high-calorie diets such as fast food and low exercise.
  • Obesity is recognized as more serious than its own risk due to various complications that can be caused by obesity.
  • Abnormally high body fat due to energy imbalan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uses diabetes, hyperlipidemia, heart disease, stroke, and arteriosclerosis.
  • various metabolic diseases such as fatty liver and adult diseases are induced.
  • obesity can cause mental illness such as social isolation or alienation, lack of confidence, and depression, obesity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worldwide, and the ne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is recognized as very important. there is.
  • Obesity can be treated through diet, regular exercise, lifestyle improvement such as behavioral therapy, and drugs such as appetite suppressants and fat absorption inhibitors. Since obesity is a chronic disease, long-term use is required when attempting drug treatment. Currently, products approved for long-term use for more than 3 months in Korea include sibutramine, an appetite suppressant, and orlistat, a fat absorption inhibitor. There is However, most of these anti-obesity drugs are psychotropic drugs that a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o control appetite, causing headaches and vomiting, or accompanying side effects such as diarrhea due to fat absorption, and have problems such as concerns over abus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develop materials with high stability and excellent anti-obesity effects that can solve the side effect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anti-obesity agents.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foxtail directly inhibits the increase in body weight and body fat,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obesity, and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aused by weight gain , or to be used for improvement purposes.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e excellent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increasing effect of foxtail extract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i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related to muscle weaknes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contain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contain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ried to develop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which has high stability and has an excellent anti-obesity effect by directly suppressing weight gain,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anti-obesity agents, By confirming the excellent anti-obesity effect of the foxtail extra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ased on thi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contain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contain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xtail extract is water,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acetone, ether, benzene, chloroform, ethyl acetate , Methylene chloride (methylene chloride), hexane (hexane), cyclohexane (cyclohexane), petroleum ether (petroleum ether), subcritical fluid, and may be an extract by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supercritical fluid, Not limited.
  • the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rcopenia, muscular dystrophy, muscle dystrophy, and cardiac atroph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arcopenia may be age-related sarcopenia or obese sarcopeni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may satisf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may further satisf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ease related to muscle weakness,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foxtail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metabolic disease; Or a liver disease prevention or treatment method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muscle weakness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foxtail extract; metabolic disease; or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metabolic disease; Or it provides the use of foxtail extract for the preparation of a drug for treating liver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scle strengthen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foxtail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scle strengthening u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foxtail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foxtail extract for preparing a drug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treatment, or improvement of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include type 2 diabetes;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mpaired glucose tolerance; visceral fat syndrome; dyslipidemia; hepatotoxic diseases including drug-induced liver injury, viral liver injury, hepatitis, cirrhosis, liver cancer or hepatic coma; High blood pressure; stroke; arteriosclerosis; heart failure;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fatty liver; And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allbladder disea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xtail extract is water,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acetone, ether, benzene, chloroform, ethyl acetate , Methylene chloride (methylene chloride), hexane (hexane), cyclohexane (cyclohexane), petroleum ether (petroleum ether), subcritical fluid, and may be an extract by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supercritical fluid, Not limited.
  • the composition may inhibit an increase in body weight and body fa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inhibit fibrosis of liver tissue or adipose tiss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inhibit an increase in plasma lipid concent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improve insulin resist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inhibit an increase in liver tissue lipid cont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inhibit an increase in plasma hepatotoxicity index,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foxtail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of a composition containing foxtail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of foxtail extract for preparing a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 the foxtai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or few side effects by using natural products, increases muscle mass and strength, inhibits fibrosis of muscle tissue, improves antioxidant metabolism, and improves the quality of muscle cells by inhibiting lipid accumulation in muscl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s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 the foxtai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increase in body weight and body fat caused by a high-fat diet, improving oxidative damage, improving dyslipidemia, improving insulin resistance, and improving fatty liver, liver toxicity and fibrosi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medicines for prevention, treatment, or improvement of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that may be caused by weight gain as well as improvement of obesity and body fat.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design using an obese sarcopenia mouse model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 Figure 2a is a normal diet group (ND), high-fat diet group (HFD), and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after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for 20 weeks, gastrocnemius, quadriceps, and tibialis (HFD vs. ND: *p ⁇ 0.05, **p ⁇ 0.01, ***p ⁇ 0.001; HFD vs. SV: #p ⁇ 0.05 , ##p ⁇ 0.01, ###p ⁇ 0.001, same as FIGS. 2B to 7).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SV foxtail extract added group
  • Figure 2b compares the weight change (left) and weight gain inhibition (right) by measuring the body weight of mice in the normal diet group (ND), the high-fat diet group (HFD), and the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at weekly intervals for 20 weeks. It is a drawing shown by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high thickness (left) and the tensile force at 19 weeks (right) at 4 weeks and 20 weeks after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of mice of a normal diet group (ND), a high-fat diet group (HFD), and a foxtail extract addition group (SV). is a drawing showing
  •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ipid content of muscle tissue of mice of the normal diet group (ND), the high-fat diet group (HFD), and the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FA: free fatty acid, TG: neutral fat, CHOL: cholesterol).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SV foxtail extract added group
  • Figure 5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protein content in muscle tissue (left) and muscle tissue after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for 20 weeks to normal diet group (ND), high fat diet group (HFD), and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mice. This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right) of (top: H&E staining/bottom: sirius red).
  •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muscle cell growth-related proteins in mice of a normal diet group (ND), a high-fat diet group (HFD), and a foxtail extract-added group (SV).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SV foxtail extract-added group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SOD and CAT) in red blood cells of mice of a normal diet group (ND), a high-fat diet group (HFD), and a foxtail extract-added group (SV).
  • SOD and CAT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perimental design using an aging mouse model for muscle weakness to evaluate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 Figure 9 shows the weight of the young mouse group (YC), aged mouse group (NC), and foxtail extract addition group (SV) after 12 weeks of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removing the tibialis anterior and measuring the weight. It is a figure expressed in weight per 100g (NC vs. YC: *p ⁇ 0.05, **p ⁇ 0.01, ***p ⁇ 0.001; NC vs. SV: #p ⁇ 0.05, ##p ⁇ 0.01, ### p ⁇ 0.001, same as FIGS. 10 to 18).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thigh thickness measurement results (left side) and tensile force measurement results (right side) at 12 weeks of mice of a young mouse group (YC), an aged mouse group (NC), and a foxtail extract addition group (SV) mice.
  • YC young mouse group
  • NC aged mouse group
  • SV foxtail extract addition group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ipid content of muscle tissues of mice of a young mouse group (YC), an aged mouse group (NC), and a foxtail extract-added group (SV) (FA: free fatty acid, CHOL: cholesterol).
  • FIG. 12 is a view showing morphological changes in muscle tissues of mice of a young mouse group (YC), an aged mouse group (NC), and a foxtail extract-added group (SV) (top: H&E staining/bottom: sirius red).
  • YC young mouse group
  • NC aged mouse group
  • SV foxtail extract-added group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ipid content of liver tissue of mice of a young mouse group (YC), an aged mouse group (NC), and a foxtail extract addition group (SV) (FA: free fatty acid, TG: neutral fat, CHOL : cholesterol).
  • YC young mouse group
  • NC aged mouse group
  • SV foxtail extract addition group
  • FIG. 14 is a view showing morphological changes in liver tissue of mice of a young mouse group (YC), an aged mouse group (NC), and a foxtail extract-added group (SV) (top: H&E staining/bottom: MT staining).
  • YC young mouse group
  • NC aged mouse group
  • SV foxtail extract-added group
  • TBARS lipid peroxide
  •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hydrogen peroxide (H 2 O 2 ) content of red blood cells and liver tissues of young mouse group (YC), aged mouse group (NC), and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mice.
  • H 2 O 2 hydrogen peroxide
  • FIG. 17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GSH, GR, SOD, and CAT) in red blood cells of young mouse group (YC), aged mouse group (NC), and foxtail extract-added group (SV) mice.
  •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GPx and CAT) in liver tissue of young mice (YC), aged mice (NC), and foxtail extract-added group (SV) mice.
  • GPx and CAT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 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perimental design using a diet-induced obesity mouse model for evaluating the anti-obesity effect of foxtail extract.
  • Figure 20a shows the weight change (left) and weight gain inhibition effect according to the breeding period by measuring the body weight of mice of the normal diet group (ND), high fat diet group (HFD), and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at weekly intervals for 20 weeks.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 fat diet group
  • SV foxtail extract added group
  • 20b shows average daily food intake (left) and average energy intake (left) after feeding experimental food for 20 weeks during the breeding period of mice in the normal diet group (ND), the high-fat diet group (HFD), and the foxtail extract addition group (SV) Middle) and food efficiency ratio (FER) (right) representing weight gain against energy intake.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SV foxtail extract addition group
  • FER food efficiency ratio
  • Figure 20c shows white adipose tissue (WAT) extraction by site after feeding experimental diets to mice in the normal diet (ND), high-fat diet (HFD), and foxtail extract group (SV) for 20 weeks.
  • WAT white adipose tissue
  • ND normal diet
  • HFD high-fat diet
  • SV foxtail extract group
  • 21a is a view showing morphological changes in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after feeding experimental diets to mice in a normal diet (ND), high-fat diet (HFD), and foxtail extract group (SV) for 20 weeks ( Top: H&E staining/bottom: Masson's trichrome staining).
  • Figure 21b is a diagram showing morphological changes in liver tissue after feeding experimental diets to mice in the normal diet group (ND), the high-fat diet group (HFD), and the foxtail extract supplemented group (SV) for 20 weeks (top: H&E staining/bottom: Masson's trichrome staining).
  • Figure 22 is a normal diet group (ND), high-fat diet group (HFD), and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4-week intervals for 20 weeks, and plasma triglyceride levels (left side) ) and total cholesterol (right) concentration are compared.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SV foxtail extract added group
  • Figure 23a shows the weight and lipid content (FA: free fatty acid, TG : Neutral lipid, CHOL: Cholesterol)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 Figure 23b shows the activity of lipid metabolism enzymes (FAS: fatty acid synthase, FAS, ME: Malic enzyme, PAP: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G6P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 FAS fatty acid synthase
  • ME Malic enzyme
  • PAP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 G6P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 Figure 24a is a comparison of the lipid peroxide (TBARS) content of red blood cells and liver tissue after feeding experimental diets to mice in the normal diet group (ND), the high-fat diet group (HFD), and the foxtail extract group (SV) for 20 weeks. is the drawing shown.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SV foxtail extract group
  • Figure 24b shows the glutathione (GSH) content of plasma and liver tissue, red blood cells and liver after feeding experimental diets to mice in the normal diet group (ND), high fat diet group (HFD), and foxtail extract supplemented group (SV) for 20 weeks.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glutathione dehydrogenase (GPx) in tissues.
  • GSH glutathione
  • Figure 24c is a comparison of red blood cell and liver tissue hydrogen peroxide (H 2 O 2 ) contents after feeding experimental diets to mice in the normal diet group (ND), the high-fat diet group (HFD), and the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for 20 weeks. It is a drawing shown by
  • 25 is a diagram showing comparison of plasma hepatotoxicity indices after feeding experimental diets to mice in a normal diet (ND), high-fat diet (HFD), and foxtail extract-added group (SV) for 20 weeks.
  • ND normal diet
  • HFD high-fat diet
  • SV foxtail extract-added group
  • HFD high-fat diet
  • SV foxtail extract group
  • Figure 27 shows the liver tissue glucose metabolism enzyme activity (G6Pase: Glucose-6-phosphatase , PEPCK: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 ND normal diet
  • HFD high-fat diet
  • SV foxtail extract-added group
  • ND normal diet
  • HFD high-fat diet
  • SV foxtail extract supplemented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related to muscle weaknes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xtail grass ( Setaria viridis )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nual plant of the monocotyledonous plant rice plant family, and its appearance is similar to the tail of a dog, so it is also called dogtail grass, and is called gumicho in Chinese characters.
  • dog grass such as dog grass and dog grass, and they are distributed nationwide, and grow a lot in meadows in fields or in ruins along roadsides.
  • outposts are collected in summer and dried for medicinal purposes, and mixed with rice or barley to cook rice or boil porridge.
  •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obtained by the extraction treatment of the foxtail, a diluted or concentrated solution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a crude or purified product of the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etc. and extracts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the extract solution.
  • the method for extracting the foxtai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extract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method include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filtration method, a reflux extraction method, and the like, which may be perform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 the type of extraction solvent used to extract the foxtai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tracting an extract from a natural product, that is, a conventional solvent under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 the foxtail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organic solvent having 1 to 6 carbon atoms, and a subcritical or supercritical fluid.
  • the organic solvent having 1 to 6 carbon atoms is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acetone, ether, benzene,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chloride), hexane, cyclohexane, and petroleum ether, bu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xta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ferably be extracted with ethanol.
  • the prepared extract may then be filtered or concentrated or dried to remove the solvent, and both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may be performed.
  • filter paper or a vacuum filter may be used for filtration
  • a vacuum concentrator may be used for concentration
  • a lyophilization method may be used for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xtail extract is 70 to 130 g, 70 to 110 g, 70 to 100 g, 70 to 80 g, 80 to 130 g, 100 to 130 g, 110 to 130 g, 90 40 to 95%, 40 to 85%, 40 to 75%, 40 to 65%, 40 to 55%, 40 to 50 per 110 g, 95 to 105 g, 70 g, 80 g, 90 g, or 100 g %, 40 to 47%, 40 to 45%, 40 to 43%, 40 to 41%, 50 to 55%, 55 to 65%, 65 to 75%, 68 to 75%, 70 to 75%, 73 to 75% %, 65 to 73%, 65 to 70%, 65 to 68%, 75 to 85%, 85 to 95%, 88 to 95%, 90 to 95%, 90 to 92%, 90 to 91%, 40%, 700 mL to 1.3 L, 700 mL to 1.1 L ethanol at concentrations of 50%, 60%, 65%, 68%, 69%, 70%, 71%,
  • the active ingredient means a component that can exhibit the desired activity alone or together with a carrier having no activity itself.
  • mic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a diet-induced obese muscle loss mouse model. Specifically, the mice were classified into a normal diet group (ND), a high-fat diet group (HFD), and a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and after breeding for 20 weeks, various muscle tissues were separated from mice in each group and the weight was measu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foxtail extract had the effect of increasing muscle mass or suppressing the decrease in muscle mass. In addition, as a result of raising and measuring the body weight of mice in each group for 20 weeks,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gain of obese mice with reduced muscle mass was suppressed by the intake of foxtail extract.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SV foxtail extract added group
  • the foxtail extract had an effect of increasing muscle strength.
  • the foxtail extract inhibited the increase in the lipid content of the muscle tissue, confirming that the increased muscle mass and thigh thickness were not due to lipid accumulation.
  • the protein content of the muscle tissue increased and the fibrosis of the muscle fiber was suppressed in the case of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 mice were classified into young mouse group (YC), aged mouse group (NC), and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and after breeding for 12 weeks, the front tibia muscle tissue was separated from mice in each group and the weight was measured. , it was confirmed that foxtail extract increased muscle mass or was effective. In addi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high thickness and tensile strength of the mice in each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foxtail extract had an effect of increasing muscle strength.
  • YC young mouse group
  • NC aged mouse group
  • SV foxtail extract added group
  • the foxtail extract inhibited the increase in the lipid content of the muscle tissue, confirming that the increased muscle mass and thigh thickness were not due to lipid accumulation.
  • the foxtail extract inhibited fibrosis of muscle fibers.
  • the foxtail extract suppressed the increase in the lipid content of the liver tissue.
  • mice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foxtail extrac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diet-induced obesity mouse model. Specifically, the mice were classified into a normal diet group (ND), a high-fat diet group (HFD), and a foxtail extract-added group (SV), raised for 20 weeks, and their body weight was measured. As a result, high-fat diet obesity was induced by feeding foxtail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gain of mice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after 20 weeks of breeding, various white adipose tissues were separated from mice in each group, weighed, and compared.
  • ND normal diet group
  • HFD high-fat diet group
  • SV foxtail extract-added group
  • foxtail extract can inhibit the increase in body fat, and thus, foxtail extract is effective in weight loss. confirmed.
  • morphological analysis of adipose tissue and liver tissue of each group of mice it was confirmed that fibrosis of liver tissue and adipose tissue was suppressed in the case of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 blood was collected in the same manner at the time of sacrifice of mice in each group and plasma lipid concentr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plasma lipid concentration was suppressed in the case of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 liver tissue of each group of mice was removed and the liver tissue weight, lipid metabolism enzyme activity, and free fatty acid, neutral lipid,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 liver tissue lipi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increase was suppressed.
  • lipid peroxide TBARS
  • GSH glutathione
  • GR glutathione reductase
  • GPx dehydrogenase
  • H 2 hydrogen peroxide
  • the SV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lasma GOT and GPT than the HFD group. It was confirmed that In addition, plasma glucose, insulin, GIP, Leptin content and hepatic tissue gynogenesis-related enzyme activity (G6Pase and PEPCK) were analyzed in the blood collected at the time of sacrifice of each group of mice. In the SV group, the glucose concentration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 the insulin concentration decreased in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 the GIP concentration decreased in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confirmed that.
  • the concentration of leptin tended to decrease in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 the concentration of leptin tended to decrease in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 the case of liver tissue G6Pase activity there was a tendency for G6Pase activity to decrease in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and in the case of liver tissue PEPCK, it was confirmed that PEPCK activity decreased in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see Example III). .
  • foxtail extract exhibits an effect of inhibiting increases in body weight and body fat in a diet-induced obese mouse model, and can improve dyslipidemia by suppressing an increase in plasma lipid concentration.
  • it not only has the effect of improving fatty liver and liver toxicity by suppressing the increase in liver tissue lipid content and plasma liver toxicity indicators, GOT and GPT, but also suppresses the increase in TBARS, an antioxidant-related biomarker, and increases GSH, thereby reducing oxidative damage by adipocytes.
  • GOT and GPT liver tissue lipid content and plasma liver toxicity indicators
  • GOT and GPT plasma liver toxicity indicators
  • the foxtail extract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and liver diseases, as well as compositions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various diseases related to muscle weakness, and compositions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 the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as satisfying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may further satisf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mprovement of antioxidant metabolism” means to increase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in the blood, liver, or muscle, and the accumulation of active oxygen closely related to oxidative stress leads to muscle tissue degradation, skeletal muscle atrophy, and reduction in muscle function. , and increase in fibrous tissue, etc.,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improve, or treat diseases related to muscle weakness through improvement of antioxidant metabolism.
  • the antioxidant enzyme may be superoxide disc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GSH), glutathion reductase (GR), and glutathion peroxidase (GSH-Px),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nsulin resistance means that glucose balance is not effectively handled in terms of cells and metabolism due to a decrease in the function of insulin to lower blood sugar due to various causes including obesity.
  • insulin resistance is high, the body continues to produce insulin even though there is already enough glucose, resulting in hyperinsulinemia, which overloads the pancreatic beta cells that produce insulin, resulting in malfunctions.
  •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s well as metabolic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and diabetes can be caused.
  • muscle weakness refers to any disease in which muscle tissue or muscle cells are reduced or lost.
  • the muscle weakness may be limited to any one muscle, one side of the body, upper limbs or lower limbs, may appear throughout the body, or may be congenital or acquired.
  • subjective muscle weakness symptoms including muscle fatigue or muscle pain can be quantified in an objective way through a physical examination.
  • the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 may include, for example, sarcopenia, muscular dystrophy, muscle dystrophy, and cardiac atroph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diseases caused by reduction or loss of muscle tissue or muscle cells include disease
  • sarcopenia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the body's muscles (muscle mass and strength) are abnormally reduced or weakened for various reasons such as aging and obesity, resulting in poor physical activity.
  • Sarcopenia has far-reaching effects throughout the body, including bones, blood vessels, nerves, liver, heart, and pancreas, beyond the muscles themselves.
  • bones maintain density by receiving stress (stimulation) by muscles, sarcopenia and osteoporosis have a very close correlation.
  • muscle is reduced, it interferes with the formation of new blood vessels and nerves, increasing the risk of cognitive decline, fatty liver, and diabetes.
  • the sarcopenia may be age-related sarcopenia or obese sarcopeni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nescence sarcopenia” means a gradual decrease in muscle mass or a gradual weakening of muscle density and function due to aging, which directly causes a decrease in muscle strength, resulting in a decrease in various body functions and disability. means the state of being able to
  • the "obesity sarcopenia”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fat is deposited in muscles due to obesity, muscle mass decreases, mast cell-derived inflammatory factors increase, and mitochondrial function in muscles is reduced, resulting in weakened muscle function. As a result, when abnormalities in insulin secretion occur due to obesity, energy cannot be properly supplied to cells, which can cause muscle development disorders.
  • amyotrophic disease is a progressive atrophy of the muscles of the limbs, which causes progressive degeneration of motor nerve fibers and cells in the spinal cord, resulting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and spinal progressive muscular atrophy , SPMA).
  •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SPMA spinal progressive muscular atrophy
  • muscle dystrophy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gradual muscle atrophy and weakness occur, and pathologically refers to a degenerative myopathy characterized by necrosis of muscle fibers.
  • the "cardiac atrophy” is a condition in which the heart is atrophied by external or internal factors, and appears as a symptom in which myocardial fibers become dry and thin due to starvation, wasting disease, and frailty, causing a decrease in adipose tissue.
  • “obesity” refers to a state in which adipose tissue is abnormally increased due to excessive accumulation of energy in the body due to an imbalance between energy intake and consumption. there is. Obesity is caused by a combination of multiple causes rather than a single cause, and causes such as wrong eating habits, decreased activity, emotional factors, and genetic factors, including westernized eating habits, can be cited as caus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esity may be sarcopenic obes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arcomenic obesity means a state in which the amount of body fat is increased along with a decrease in muscle mass or strength due to aging or obesity, that is, a complex form of obesity and sarcopenia due to conversion of muscle to fat. .
  • a person with a similar body mass index has an increased body fat mass and a reduced muscle mass, the risk of functional limitation and metabolic disease is higher than that of a person with a balanced body fat mass and muscle mass.
  • metabolic disease means a condition or disease closely related to obesity or caused by obesity, for example, dyslipidemia; hepatotoxic diseases including drug-induced liver injury, viral liver injury, hepatitis, cirrhosis, liver cancer or hepatic coma; Or it may be fatty li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Liver diseas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liver cancer.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one of the types of fatty liver that occurs when fat accumulates in the liver in a patient who has not consumed excessive alcohol, and is a simple disease without an inflammatory reaction. It refers to a wide range of diseases, including fatty liver, progressed by it, inflammatory response of hepatocytes, liver fibrosis and liver cirrhosi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an obtain good results when detected in an early stage, but if not, it can progress to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for various reasons, and can further cause cirrhosis and liver cancer.
  • 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divided into primary and secondary depending on the cause.
  • the primary is caused by hyperlipidemia, diabetes, or obesity,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metabolic syndrome
  • the secondary is caused by nutritional causes (rapid weight loss, starvation, intestinal bypass), and various medications. , toxic substances (poisonous mushrooms, bacterial toxins), metabolic causes, and other factors.
  • the incid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elated to diabetes and obesity, which is an important feature of metabolic syndrome, which is a primary factor, is about 50% of diabetic patients and about 76% of obese patients. known to occur.
  •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mple fatty liver disease, nutritional fatty liver disease, starvation fatty liver disease, obese fatty liver disease, diabetic fatty liver disease, steatohepatitis, liver fibrosis, liver cirrhosis, and cirrhosis. , but not limited thereto.
  •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an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and may be formulated and us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For example, it can be formulated into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and syrups, and can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excipient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iluent, a binder, a disintegrant, a lubricant, an adsorbent, a moisturizer, a film-coating material, and a controlled release additive.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wders, granules, sustained-release granules, enteric granules, solutions, eye drops, elsilic agents, emulsions, suspensions, spirits, troches, perfumes, and limonadese,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ablets, sustained-release tablets, enteric tablets, sublingual tablets, hard capsules, soft capsules, sustained-release capsules, enteric capsules, pills, tinctures, soft extracts, dry extracts, fluid extracts, injections, capsules, perfusate It can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an external agent such as a warning agent, lotion, pasta agent, spray, inhalant, patch, sterile injection solution, or aerosol, and the external agent is a cream, gel, patch, spray, ointment, warning agent , lotion, liniment, pasta, or cataplasma may have formulations such as the like.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oligosaccharid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 Additives for the liquid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water, dilute hydrochloric acid, dilute sulfuric acid, sodium citrate, sucrose monostearate, polyoxyethylene sorbitol fatty acid esters (tween esters), polyoxyethylene monoalkyl ethers, lanolin ethers, Lanolin esters, acetic acid, hydrochloric acid, aqueous ammonia, ammonium carbonate, potassium hydroxide, sodium hydroxide, prolamine, polyvinylpyrrolidone, ethyl 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and the like may be used.
  • a solution of white sugar, other sugars, or a sweetener may be used, and aromatics, coloring agents, preservatives, stabilizers, suspending agents, emulsifiers, thickeners, etc. may be used as necessary.
  • Purified water may be used in th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mulsifiers, preservatives, stabilizers, fragrances, etc. may be used as needed.
  • Suspension ag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cacia, tragacantha,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sodium alginat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PMC), HPMC 1828, HPMC 2906, HPMC 2910, etc. Agents may be used, and surfactants, preservatives, stabilizers, colorants, and fragrances may be used as needed.
  • Inje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distilled water for injection, 0.9% sodium chloride injection, IV injection, dextrose injection, dextrose + sodium chloride injection, PEG, lactated IV injection, ethanol, propylene glycol, non-volatile oil-sesame oil , solvents such as cottonseed oil, peanut oil, soybean oil, corn oil, ethyl oleate, isopropyl myristate, and benzene benzoate; solubilizing agents such as sodium benzoate, sodium salicylate, sodium acetate, urea, urethane, monoethylacetamide, butazolidine, propylene glycol, twins, nijuntinamide, hexamine, and dimethylacetamide; buffers such as weak acids and their salts (acetic acid and sodium acetate), weak bases and their salts (ammonia and ammonium acetate), organic compounds, proteins, albumin, peptone, and gums; tonicity agents such as sodium chlor
  • the supposi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cao butter, lanolin, witapsol, polyethylene glycol, glycerogelatin,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a mixture of stearic acid and oleic acid, subanal, cottonseed oil, peanut oil, palm oil, cacao butter + Cholesterol, Lecithin, Lannet Wax, Glycerol Monostearate, Tween or Span, Imhausen, Monolen (Propylene Glycol Monostearate), Glycerin, Adeps Solidus, Buytyrum Tego-G -G), Cebes Pharma 16, Hexalide Base 95, Cotomar, Hydroxycote SP, S-70-XXA, S-70-XX75 (S-70-XX95), Hyde Hydrokote 25, Hydrokote 711, Idropostal, Massa estrarium (A, AS, B, C, D, E, I, T), Massa-MF, Masupol, Masupol-15, Neos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etc. ) or by mixing lactose and gelatin.
  •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etc.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aromatic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there is.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as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type of patient's disease, severity, activity of the drug,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factors including sensitivity to the drug,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excretion rate, duration of treatment, drugs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times.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which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by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can be envisaged, eg oral administra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paraspinal space (intrathecal) injection, sublingual administration, buccal administration, intrarectal insertion, vaginal It can be administered by intraoral insertion, ocular administration, otic administration, nasal administration, inhalation, spraying through the mouth or nose, dermal administra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drug as an active ingredient together with various related factors such as the disease to be treat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age, sex, weight and severity of the disease of the pat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ease related to muscle weakness,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foxtail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metabolic disease; Or a liver disease prevention or treatment method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muscle weakness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foxtail extract; metabolic disease; or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metabolic disease; Or it provides the use of foxtail extract for the preparation of a drug for treating liver disease.
  • subject means a subject in need of treatment of a disease, and more specifically, a human or non-human primate, mouse, rat, dog, cat, horse, cow, etc. of mammals.
  •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give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by any suitable method.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the onset of a desired disease
  • treatment means that a desired disease and its associated metabolic abnormalities are improved or treated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eans any action that is advantageously chang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mprovement” refers to any activity that reduces a parameter associated with a target disease, for example, the severity of a symptom,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be used simultaneously with or separately from a drug for treatment before or after the onset of the disease in order to prevent or improve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 the foxta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xta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ood additive, the foxtail extract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foxta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paring food or beverage, the foxta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5% by weight or less, or 1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raw material.
  • th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greater than the above range.
  •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above substances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s, bread, chocolates, candies,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s,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There are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includes all health functional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components, like conventional beverages.
  • the afor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s and cyclodextrins,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sweetener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 or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may be used.
  •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0.20 g, or about 0.04-0.10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A carbonation agent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may be contain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ruit flesh for preparing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ratio of these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0.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health 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and refers to food with high medical and medical effects processed to efficiently display bioregulatory functions in addition to nutritional supply. Meaning, the food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pills, etc. in order to obtain useful effect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during the preparation.
  • unlike general drug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side effect that may occur when taking a drug for a long time by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and it can be excellent in por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contain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xtail extract may be prepared in the same way a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 the term "strengthening muscle” means increasing muscle mass, enhancing muscle recovery, or reducing muscle fatigu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foxtail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for improving 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of foxtail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contain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xtail extract may be prepared in the same way a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 the foxta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ffects of increasing muscle mass and strength and improving antioxidant metabolism, it can be included in a feed composition as an accelerator for improving strength of animals or livestock.
  • the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oxtai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prepared with various types of feed known in the art, and preferably includes concentrated feed, roughage, or special feed.
  • Concentrated feed includes seeds and fruits including grains such as wheat, oats, and corn, bran including rice bran, wheat bran, and barley bran as by-products obtained after refining grains, soybeans, fluids, sesame seeds, linseed, and coco palm oil.
  • Fish soluble which is a condensed fresh liquid obtained from fish meal, fish meal, fish meal, fish meal, fish meal, fish meal, fish meal, fish meal, fish meal, fish meal, fish meal soluble), meat meal, blood meal, feather meal, skim milk powder, cheese from milk, and whey, which is the balance of casein production from skim milk, dried animal feed such as dry whey, yeast, chlorella, seaweed, etc. there is.
  • silos Forage, raw grass feed such as wild grass, grass, and green cutting, turnip for feed, beet for feed, root vegetables such as Lutherbearer, a kind of turnip, raw grass, green crops, grain, etc. are put into silos.
  • silage which is a stored feed that is filled and fermented with lactic acid, grass, grass, and dried hay, straw from breeding crops, and leaves of leguminous plants.
  • Special feeds include mineral feeds such as shells and rock salt, urea feeds such as urea or its derivative, diureide isobutane, and ingredients that are likely to be lacking when only natural feed ingredients are mixed, or in trace amounts in formulated feeds to improve the storage life of feeds.
  • feed additives such as dietary supplements, etc.
  • the fee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feed additives.
  • feed additive refers to substances added to fe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upplementation of nutrients and prevention of weight loss, enhancement of digestibility of fiber in feed, improvement of oil quality, prevention of reproductive disorders and improvement of conception rate, and prevention of high temperature stress in summer.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supplementary feed under the Feed Management Act, and is a mineral preparation such as sod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bentonite, magnesium oxide, and complex minerals, and minerals such as zinc, copper, cobalt, and selenium, which are trace minerals.
  • vitamins such as kerotene, vitamin E, vitamins A, D, E, nicotinic acid, and vitamin B complex
  • protective amino acid preparations such as methionine and lysine, protected fatty acids such as calcium salts of fatty acids
  • probiotics lactic acid bacteria
  • yeast cultures live bacteria such as mold fermented products, yeast agents,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fee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lied to any object as long as it is an objec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muscle strength decline due to reduction in muscle mass, decrease in muscle quality, and the like.
  • the subject may include animals such as non-primates (eg cows, pigs, horses, cats, dogs, rats and mice) and primates (eg monkeys such as cynomolgous monkeys and chimpanzees).
  • the subject is a livestock animal (eg, horse, cow, pig, etc.) or a pet animal (eg, dog or cat).
  • the dosage of the fee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depend on a number of factors such as the species, size, weight and age of the individual. In principle, a typical dosage may range from 0.001 to 10 g per subject/d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oxtail extract has an effect of suppressing an increase in body weight and body fat, and exhibits an effect of improving dyslipidemia by suppressing an increase in plasma lipid concentration.
  • it not only has the effect of improving fatty liver and liver toxicity by suppressing the increase in liver tissue lipid content and plasma liver toxicity indicators, GOT and GPT, but also suppresses the increase in TBARS, an antioxidant-related biomarker, and increases GSH, thereby reducing oxidation by adipocytes.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redness damage and inhibiting fibrosis of liver tissue or adipose tissue.
  • foxtail extract inhibits the increase in HOMA-IR, an insulin resistance index, and reduces the activity of gluconeogenesis-related enzymes, thereby improving glucose metabolism in plasma and liver tissue, thereby improving insulin resistance. Accordingly, foxtail extract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obesity and various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the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s the foxtail extract as an effective ingredient.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including as a component is referred to.
  • the "obesity” refers to a state in which fat cells proliferate and differentiate in the body due to metabolic disorders, resulting in excessive accumulation of fat, and metabolic syndrome accompanied by hypertension, diabetes, and dyslipidemia. It can lead to related complications including When the amount of energy absorbed increases relative to the amount consumed, the number and volume of fat cells increase, and as a result, the mass of adipose tissue increases.
  • the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include type 2 diabetes;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mpaired glucose tolerance; visceral fat syndrome; dyslipidemia; hepatotoxic diseases including drug-induced liver injury, viral liver injury, hepatitis, cirrhosis, liver cancer or hepatic coma; High blood pressure; stroke; arteriosclerosis; heart failure;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fatty liver;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allbladder disease, and according to specific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dyslipidemia; hepatotoxic diseases including drug-induced liver injury, viral liver injury, hepatitis, cirrhosis, liver cancer or hepatic coma; Or it may be fatty li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ood composition contains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uscle weakness-related diseases comprising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a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eed composition contains the foxta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eed composition for reinforcement are used.
  • the fee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lied to any subjec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overweight or obesity.
  • the subject may include animals such as non-primates (eg cows, pigs, horses, cats, dogs, rats and mice) and primates (eg monkeys such as cynomolgous monkeys and chimpanzees).
  • the subject is a livestock animal (eg, horse, cow, pig, etc.) or a pet animal (eg, dog or ca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comprising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foxtail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of a composition containing foxtail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of foxtail extract for preparing a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 Example I Effect of foxtail grass on obese sarcopenia
  • the foxtail grass ( Setaria viridis ) used in the experiment was collected around August and September in Yasan, Gyeongsan, Gyeongsangbuk-do and used for extraction. 1 L of 70% ethanol was added to 100 g of the pulverized foxtail sample, extraction was repeated three times for 3 hours at 60 ° C, and the extracted solution was filter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dried. A foxtail spirit extract powder was obtained, stored frozen, and then used for dietary preparation. The extraction yield was 6.05%.
  • mice After adaptation by providing a diet in the form of pellets for 1 week,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normal diet (ND) and high-fat diet (HFD, high-fat diet, 20 % fat, 1% cholesterol) and a high-fat diet with foxtail extract added group (SV, HFD + 0.3% (w / w) setaria viridis ethanol extract), providing experimental diets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and breeding for 20 weeks did In the animal breeding room, constant conditions were maintained with a constant temperature (24 ⁇ 2°C), constant humidity (50 ⁇ 5%), and a photoperiod of 12-hour intervals (6:00-18:00), and breeding animals one by one in individual cages. Experimental diet and drinking water were provided ad libitum.
  • the composition of the experimental diets of the ND group, the HFD group and the SV group is shown in Table 1 below.
  • AIN-76 semisynthetic diet was prepared and fed as a normal diet group, and in the HFD group, lard and cholesterol were added to the AIN-76 diet to provide 20% fat and 1% cholesterol.
  • a high-fat diet containing was prepared and fed.
  • the foxtail extract added group was fed a diet by setting the dose of the foxtail extract to be added at 0.3% of the high-fat diet.
  • mice of each group raised for 20 weeks were fasted for 12 hours, anesthetized using isofloran (5mg/kg body weight, Baxter, USA), and then sacrificed to remove the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uscles. (gastrocnemius) and quadriceps muscle tissues were removed. After rinsing the muscle tissue of each mouse with saline (0.9% saline solution) several times, the surface moisture was removed, the weight was measured, and the weight per 100 g of body weight was compared. The weighted muscle tissue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rapidly cooled in liquid nitrogen, and stored at -70 ° C.
  • Body weight was measured once a week during the breeding period in order to confirm the change in body weight caused by foxtail extract.
  • the weight of the HF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D group from the 4th week of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and the weight of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from the 12th week of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appeared significantly lower.
  • Example 4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the increase in thigh thickness and muscle strength
  • mic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the increase in thigh thickness and muscle strength, the thigh thickness of mice was measured using a caliper at 4-week interval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order to measure the tensile force of the mice at the 19th week of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the mice were adapted to the measuring device for 3 days and then measured continuously for 5 days. When the mouse is placed on top of the grid of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grid is held with all four paws, the mouse's body and the grid are kept parallel and the tail is gently and slowly pulled backwards. value was recorded.
  • Example 5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the lipid content of muscle tissue
  • the lipids of the muscle tissue frozen in Example 3-1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lch et al. (1957), and then the extract was volatilized with nitrogen gas at 37 ° C to obtain isopropanol. diluted with For quantification, the enzyme reagent was mixed with 3 mM cholic acid as an emulsifier and 0.5% Triton X-100 to remove turbidity during color development, and lipid components were extract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Neutral lipid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an enzyme kit from Asan Pharm Co., Seoul, Korea. Free fatty acid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test solution for measuring free fatty acid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kit, Shinyang Chemical) using the principle of color development using an enzymatic method.
  • Example 3-1 0.1 g of the muscle tissue extracted in Example 3-1 was homogenized by adding 3 mm beads and 1 ml of lysis buffer (T-PER buffer,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 and then at 14,000 rpm for 15 minutes. After centrifugation, only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transferred to a new tube, and protein was extract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Protein quantification was measured at 595 nm (VERSAmax, Molecular devices Co, USA) using Quick StartTM Bradford Reagent (Bio-rad, Hercules, CA, USA), and a bovine serum albumin (BSA) solution was used as a standard solution.
  • BSA bovine serum albumin
  • Example 3-1 For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muscle tissue, a portion of the muscle tissue excised in Example 3-1 was fixed in 10% formaldehyde solution for 24 hours, exchanged twice with the same solution, and then washed with 2-fold ethanol. After dehydration and embedding in paraffin, 5 ⁇ m-thick tissue sections treated with poly-L-lysine were prepared, and then stained with hematoxylin eosin (H&E), and general cell morphology was observed at 200x magnification under an optical microscope. , The slides stained with sirius red were analyzed by the color-segmentation method, and tissues stained with collagen (red) and muscle fibers (yellow) in the same section were ob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e at 200x magnification.
  • H&E hematoxylin eosin
  • Example 7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the expression of muscle cell growth-related proteins
  • muscle tissue stored frozen in Example 3-1 0.1 g was homogenized by adding 3 mm beads and 1 ml of lysis buffer (T-PER buffer,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 centrifuged at 14,000 rpm for 15 minutes, collected only the supernatant, and transferred to a new tube. was extract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Protein quant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Quick StartTM Bradford Reagent (Bio-rad, Hercules, CA, USA). The same amount of protein was subjected to electrophoresis (SDS-PAGE) on SDS-polyacrylamide gel.
  • SDS-PAGE electrophoresis
  • Primary antibodies are anti-Akt (1:1000, cell signaling, #9272), anti-phospho Akt (1:1000, cell signaling, #4058), anti-Pi3k (1:1000, cell signaling, #4292), anti-phospho Pi3k (1:1000, cell signaling, #4228), anti-mTOR (1:1000, cell signaling, #2983), anti-MyD88 (1:1000, cell signaling, #4283), and anti-Traf6 (1:1000, abcam, ab33915) was diluted in 5% BSA, and alpha-tubulin (1:1000, cell signaling, #2125) was used as a loading control.
  • HRP horseradish peroxidase
  • conjugated anti-rabbit IgG 1:5000; Cell Signaling, #7074S
  • ECL Enhanced Chemiluminescent
  • Example 8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the expression of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y
  • SOD is an enzyme that catalyzes the decomposition of superoxide anion radical (O 2 - ⁇ ) into H 2 O 2 and O 2 .
  • the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Marklund et al. (1974) to auto-oxidize pyrogallol in alkaline conditions. It was measured using the degree of color development by .
  • CAT serves to decompose H 2 O 2 into H 2 O and O 2 , and the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Abei et al. (1974). After pre-reacting 2.89 mL of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KH 2 PO 4 :K 2 HPO 4 , pH 7.4) and 10 ⁇ L of red blood cells at 25°C for 5 minutes, 0.1 mL of 30 mM H 2 O 2 solution was added and 240 nm for 5 minutes at 25°C. (Beckman 650 spectrophotometer, USA) was measured for absorbance change. Enzyme activity was calculated as ⁇ mole of H 2 O 2 degraded by 1 g of red blood cell hemoglobin per minute.
  • the erythrocyte CAT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ND group in the case of the HFD group, bu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 Example II Effect of foxtail grass on age-related muscle loss
  • the used foxtail ( Setaria viridis ) was collected around August and September in Yasan, Gyeongsan, Gyeongsangbuk-do and used for extraction. 1 L of 70% ethanol was added to 100 g of the pulverized foxtail sample, extraction was repeated three times for 3 hours at 60 ° C, and the extracted solution was filter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dried. A foxtail spirit extract powder was obtained, stored frozen, and then used for dietary preparation. The extraction yield was 6.05%.
  • the composition of the experimental diet is shown in Table 2 below.
  • AIN-93G diet was prepared and fed to all groups, and the aged mice group provided with a diet supplemented with foxtail extract were fed the diet by setting the amount of foxtail extract added to the AIN-93G diet at 0.3%.
  • Example 3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alcohol extract on changes in muscle mass, thigh thickness, and muscle strength
  • mice of each group raised by the method of Example 2 for 12 weeks were fasted for 12 hours, anesthetized using isofloran (5mg/kg body weight, Baxter, USA), and then sacrificed to muscle tissue of the tibialis anterior. was extracted. After rinsing the muscle tissue of each mouse with saline (0.9% saline solution) several times, the surface moisture was removed, the weight was measured, and the weight per 100 g of body weight was compared. The weighted muscle tissue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rapidly cooled in liquid nitrogen, and stored at -70 ° C.
  • the weight of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YC group.
  • the weight of the anterior tibialis muscl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NC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xtail extract had an effect of increasing muscle mass.
  • mic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the increase in thigh thickness and muscle strength, the thigh thickness of mice was measured using calipers at 12 weeks of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In order to measure the tensile force of the mice at the 12th week of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the mice were adapted to the measuring device for 3 days and then measured continuously for 5 days. When the mouse is placed on top of the grid of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grid is held with all four paws, the mouse's body and the grid are kept parallel and the tail is gently and slowly pulled backwards. value was recorded.
  • Example 4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the lipid content of muscle tissue
  • lipids were extracted from the muscle tissue frozen in Example 3-1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lch et al. (1957), and then the extract was volatilized with nitrogen gas at 37 ° C to obtain isopropanol. diluted with For quantification, the enzyme reagent was mixed with 3 mM cholic acid as an emulsifier and 0.5% Triton X-100 to remove turbidity during color development, and lipid components were extract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an enzyme kit from Asan Pharm Co., Seoul, Korea. Free fatty acid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test solution for measuring free fatty acid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kit, Shinyang Chemical) using the principle of color development using an enzymatic method.
  • Example 5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fibrosis of muscle tissue
  • Example 3-1 For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muscle tissue, a portion of the muscle tissue excised in Example 3-1 was fixed in 10% formaldehyde solution for 24 hours, exchanged twice with the same solution, and then washed with 2-fold ethanol. After dehydration and embedding in paraffin, 5 ⁇ m-thick tissue sections treated with poly-L-lysine were prepared, and then stained with hematoxylin eosin (H&E), and general cell morphology was observed at 200x magnification under an optical microscope. , The slides stained with sirius red were analyzed by the color-segmentation method, and tissues stained with collagen (red) and muscle fibers (yellow) in the same section were ob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e at 200x magnification.
  • H&E hematoxylin eosin
  • Example 6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liver tissue lipid content and fibrosis
  • liver tissue was extracted as in Example 3-1, and muscle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free fatty acid were quantified and analyz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 the liver tissue free fatty acid (FA) and neutral lipid (TG) cont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YC group, whereas in the case of the SV group, liver tissue compared to the NC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cholesterol (Chol) cont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free fatty acid was reduced to a p-value of 0.087. Therefore,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oxtail extract had an effect of improving fatty liver.
  • liver tissue In order to observe morphological changes in liver tissue caused by foxtail extract, a portion of liver tissue was fixed in 10% formaldehyde solution for 24 hours, exchanged twice with the same solution, and dehydrated with 2-fold ethanol. After embedding in paraffin, 5 ⁇ m-thick tissue sections treated with poly-L-lysine were prepared, stained with hematoxylin eosin (H&E), and observ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at 200-fold magnification. In addition, to stain collagen and muscle fibers, Massons' trichrome staining (connective tissue: blue, nuclei: dark red, cytoplasm: pink) was performed and ob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e at 200-fold magnification.
  • H&E hematoxylin eosin
  • Example 7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lipid peroxide accumulation
  • TBARS Lipid peroxide in muscle tissue
  • the lipid peroxide content of muscle tissue was measured by using the method of Tarladgis et al. (1964) and Ohkawa et al. (1979). It was added to a buffer solution containing 0.002M DTT and homogenized with a glass teflon homogenizer (Glascol, 099C K44, USA) in an ice-cooled state. Mix 0.04 mL of homogenate, 0.04 mL of 8.1% sodium dodecyl sulfate (SDS) solution, and 0.12 mL of distilled water, leave it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add 0.3 mL of 20% acetate (pH 3.5) buffer and 0.3 mL of 0.8% TBA to 95 ° C.
  • SDS sodium dodecyl sulfate
  • the sample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1mL of distilled water and 5mL of n-butanol:pyridine (15:1) solution were added, and after centrifugation at 3,000rpm and 20°C for 15 minutes, the absorbance of the supernatant was measured at 532nm.
  • the MDA standard solution hydrolyzed TMP, and the amount of TBA reactant at 267 nm was calculated as the MDA extinction coefficient.
  • Hydrogen peroxide (H 2 O 2 ) content of red blood cells and liver tissue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Wolff, SP (1994). Hydrogen peroxide (H 2 0 2 ) in the body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oxidation of Fe 2+ ions to Fe 3+ ions, and when oxidized, the degree of hydrogen peroxide (H 2 0 2 ) generation was measured using xylenol orange.
  • the mitochondrial and cytoplasmic content of liver tissue and the hydrogen peroxide content of red blood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YC group in the NC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NC group in the SV group.
  • Example 8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antioxidant-related biomarkers
  • Glutathione content includes both oxidized and reduced GSH.
  • Erythrocytes in each experimental group were lysed with the same amount of distilled water, and the method of Fiala et al. (1976)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measurement.
  • a buffer solution containing 0.1 M triethanolamine, 0.02 MEDTA (pH 7.4), and 0.002 M DTT was added and homogenized with a glass teflon homogenizer (Glascol, 099C K44, USA) in an ice-cooled state.
  • 0.3 mL of distilled water and 0.5 mL of 4% sulfosalicylic acid were added to 0.2 mL of the homogenate,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25,000 rpm and 4° C. for 10 minutes to obtain a supernatant.
  • 2.7mL of 0.1M disulfide reagent 5.5'-dithiobis + 0.1M sodiumphosphate buffer, pH 8.0
  • absorbance was measured at 412nm.
  • the glutathione content of erythrocyte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he case of the NC group compared to the YC group,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NC group.
  • GR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Pinto et al. (1969)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NADPH was reduced when oxidized glutathione (GSSG) was reduced to GSH by the action of NADPH and GR.
  • GSSG oxidized glutathione
  • GR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Pinto et al. (1969)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NADPH was reduced when oxidized glutathione (GSSG) was reduced to GSH by the action of NADPH and GR.
  • 10 ⁇ L of 0.1M EDTA 100 ⁇ L of 10 mM GSSG, 10 ⁇ L of red blood cells, and 10 ⁇ L of NADPH were sequentially added, followed by 340 nm (25 °C) for 2 minutes was measured for the amount of absorbance reduction.
  • glutathione reductase (GR) activity of erythrocyt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NC group compared to the YC grou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NC group.
  • SOD is an enzyme that catalyzes the decomposition of superoxide anion radical (O 2 - ⁇ ) into H 2 O 2 and O 2 .
  • the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Marklund et al. (1974) to auto-oxidize pyrogallol in alkaline conditions. It was measured using the degree of color development by .
  • CAT serves to decompose H 2 O 2 into H 2 O and O 2 , and the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Abei et al. (1974). After pre-reacting 2.89mL of 5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KH2PO4:K2HPO4, pH 7.4), enzyme source mitochondria fraction and 10 ⁇ L of red blood cells at 25°C for 5 minutes, 0.1mL of 30mM H 2 O 2 solution was added and 240nm ( Absorbance change was measured on a Beckman 650 spectrophotometer, USA). Enzyme activity was calculated as ⁇ mole of H 2 O 2 degraded by 1 mg of mitocondrial protein and 1 g of red blood cell hemoglobin per minute.
  • liver tissue CAT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NC group compared to the YC group, but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C group in the case of the SV group.
  • Glutathion peroxidase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Paglia and Valentine (1967), and when GSSG was reduced by GR and NADPH, the decrease in absorbance of NADPH was measured.
  • 0.1 mL of 30 mM glutathione solution, 6 mM NADPH, and 30 mM H 2 O 2 were added to 2.6 mL of 0.1 M Tris-HCl buffer (pH 7.2), and the absorbance change was measured at 340 nm for 5 minutes at 25 °C.
  • Example III Effect of foxtail on obesity or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 the foxtail grass ( Setaria viridis ) used in the experiment was collected around August and September in Yasan, Gyeongsan, Gyeongsangbuk-do and used for extraction. After adding 1 L of 70% ethanol to 100 g of the pulverized sample of foxtail grass (outpost), extraction was repeated three times for 3 hours at 60 ° C, and the extracted solution was filter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A foxtail extract powder was obtained, stored frozen, and then used for dietary preparation. The extraction yield was 6.05%.
  • Example 2 Body weight change and adipose tissue weight change by foxtail extract
  • mice 4-week-old male C57BL/6J mice (JA BIO, Korea) were purchased from Joong-A Bio and used. After adaptation by providing a diet in the form of pellets for one week,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normal diet (ND) and high-fat diet (HFD, high-fat diet, 20% fat, 1% cholesterol) and high-fat diet with foxtail extract added (SV, HFD + 0.3% (w/w) setaria viridis ethanol extract), and fed with the experimental diet shown in Table 3 below, and bred for 20 weeks.
  • ND normal diet
  • HFD high-fat diet
  • SV high-fat diet + 0.3% (w/w) setaria viridis ethanol extract
  • the composition of the experimental diets of the ND group, the HFD group and the SV group is shown in Table 3 below.
  • AIN-76 semisynthetic diet was prepared and fed as a normal diet group, and in the HFD group, lard and cholesterol were added to the AIN-76 diet to provide 20% fat and 1% cholesterol.
  • a high-fat diet containing was prepared and fed.
  • the foxtail extract-added group was fed a diet with the foxtail extract set at a dose of 0.3% (w/w) of the high-fat diet.
  • Example 3 Analysis of weight change of body weight and adipose tissue by foxtail extract
  • the average daily food intake and energy intak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V group and the HFD group, but the dietary efficiency representing weight gain relative to energy intake (Food efficiency ratio (F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D group with high energy density compared to the ND group with low energy density, whereas in the case of the SV group,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 FER Food efficiency ratio
  • mice reared for 20 weeks were fasted for 12 hours and anesthetized using isofloran (5mg/kg body weight, Baxter, USA), followed by liver and epididymal white fat ( Epididymal WAT), Perirenal WAT, Retroperitoneum WAT, Mesentric WAT, Subcutaneous WAT, Visceral WAT, Interscapular White Fat ( Interscapular WAT) and interscapular brown fat (Interscapular BAT) were extracted.
  • isofloran 5mg/kg body weight, Baxter, USA
  • the adipose tissue of each mouse extracted was rinsed several times in a saline (0.9% saline solution) solution, dried, and weighed, and then expressed as a weight per 100 g of body weight for comparison. Furthermore, the excised tissue was quenched in liquid nitrogen for further analysis and stored at -70 °C until analysis.
  • Example 4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morphological changes in liver tissue and adipose tissue
  • liver tissue and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extracted in Example 3-2 were fixed in a 10% formaldehyde solution for 24 hours, and then treated with the same solution for 24 hours. After exchanging ash, dehydrating with 2-fold ethanol, embedding in paraffin, and fabricating 5 ⁇ m-thick tissue sections treated with poly-L-lysine, stained with hematoxylin eosin (H&E) and examin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Observed at 200x magnification. In addition, to stain collagen and muscle fibers, Massons' trichrome staining (connective tissue: blue, nuclei: dark red, cytoplasm: pink) was performed and ob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e at 200-fold magnification.
  • FIG. 21B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liver tissue, as shown in FIG. 21B (upper part),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as observed in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ND group centered on the portal vein of the liver tissue, whereas, The number of fat cells in the SV group was reduced compared to the HFD group.
  • Example 5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 mice of Example 2 were fasted for 12 hours every 4 weeks during the breeding period, and then tail blood was collected without anesthesia to measure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 the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 of the N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HFD group at the 4th week of feeding the experimental diet, but thereafter,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experimental period did not appear
  • the plasm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the HF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ND group from the 4th week of the experimental diet feeding, and the plasm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the SV group was 8 weeks after the experimental diet feeding. From tea, it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than the HFD group.
  • Example 3-2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abdominal inferior vena cava before adipose tissue extraction. The collected blood was centrifuged at 3,000 rpm and 4°C for 15 minutes, and plasma was collected and stored at -70°C until sample analysis. Plasma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free fatty acid, apolipoprotein A-1 (Apo A-1), and apolipoprotein B (Apo B)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from stored plasma.
  • the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an enzyme kit from Asan Pharm Co., Seoul, Korea, and the free fatty acid content was measured in a sample for free fatty acid measurement using the principle of a color development method using an enzyme method ( It was measured using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kit, Shinyang Chemical), and plasma apolipoprotein A-1 and apolipoprotein B (Apo B)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a kit for measuring Apo A-1 and Apo B (Nikto It was measured using the ⁇ , Tokyo, Japan).
  • Example 6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liver tissue weight and lipid concentration
  • lipids of the liver tissue frozen in Example 3-2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lch et al. (1957), and then the extract was volatilized with nitrogen gas at 37 ° C to isopropanol ( diluted with isopropanol).
  • 3mM cholic acid as an emulsifier and 0.5% Triton X-100 are mixed with an enzyme reagent as an emulsifier to remove turbidity during color development. did
  • the liver tissue lipid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D group, whereas in the case of the SV group, the liver tissue lipid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re was. Therefore,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oxtail extract had an effect of improving fatty liver.
  • liver tissue For the isolation of enzyme sources in liver tissue, the isolation method conducted by Hulcher et al. (1973) was partially modified and applied.
  • 0.5 g of the liver tissue frozen in Example 3-2 was added to a buffer solution containing 0.1 M triethanolamine, 0.02 M ethylenediamine tetracetate (EDTA, pH 7.4), and 0.002 M dithiothreitol (DTT) in an ice-cooled glass teflon homogenizer. (Glascol, 099C K44, USA), and then centrifuged at 3,000 rpm, 4 °C for 15 minutes, and only the supernatant was centrifuged again at 13,000 rpm, 4 °C for 15 minutes.
  • EDTA ethylenediamine tetracetate
  • DTT dithiothreitol
  • the precipitate in the lower layer separated from the supernatant was used as the mitochondria fraction, and the supernatant was used for 1 hour at 32,500 rpm and 4 ° C. cytosol) fraction was obtained.
  • the same buffer solution was added to the pellet separated from the cytoplasmic fraction of the supernatant, followed by ultracentrifugation at 33,000 rpm and 4°C for 40 minutes, and then the pellet was dissolved in 1ml buffer solution and stored at -70°C. It was used for quantification.
  • FAS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conducted by Carl et al. (1975). Add 200 ⁇ L of 625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 50 ⁇ L of 20 mM EDTA, 50 ⁇ L of 20 mM ⁇ -mercaptoethanol, 200 ⁇ L of 165 ⁇ M acetyl-CoA, 200 ⁇ L of 500 ⁇ M malonyl-CoA, and 200 ⁇ L of 500 ⁇ M NADPH, and mix the cytoplasmic fraction (50-100 ⁇ g) After reacting for 2 minutes, the absorbance decrease was measured.
  • ME (EC 1.1.1.40) activ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Ochoa (1955). That is, after adding 500 ⁇ L of 0.4M triethanolamine (pH 7.4), 50 ⁇ L of 30mM malic acid, 10 ⁇ L of 0.12M MgCl 2 , 200 ⁇ L of 3.4mM NADP+ and 150 ⁇ L of cytosol as an enzyme source, the absorbance change of NADPH generated for 1 minute at 26°C was measured at 340nm. measured.
  • PAP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PAP) activ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Walton et al. (1985). Specifically, 0.05 M Tris-HCl (pH 7.0), 1.25 mM Na 2 -EDTA, and 1 mM MgCl 2 were added and dissolved in a 0.9% NaCl solution to 50 uL of the reaction solution, and 50 uL of a substrate containing 1 mM phosphatidate and phosphatidylcholine was added. The reaction was initiated by adding 0.1 mL of the microsome fraction.
  • G6PD activity measured the extent to which NADP+ was reduced to NADPH (Pitkanen, 1997). After adding 40 ⁇ L of 6 mM NADP+, 40 ⁇ L of 0.1 M glucose-6-phosphate, and 20 ⁇ L of cytosolic fraction to 900 ⁇ L of 55 mM Tris-HCl (pH 7.8) containing 3.3 mM MgCl 2 , absorbance of NADPH at 340 nm (25°C) for 90 seconds Changes were measured.
  • Example 7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antioxidant-related biomarkers
  • Lipid peroxide, glutathione, and hydrogen peroxide content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o confirm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oxidative damage caused by a high-fat diet.
  • TBARS Lipid peroxide in red blood cells and liver tissue
  • the lipid peroxide content of red blood cells was measured using the method of Tarladgis et al. (1964), and the red blood cells we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McCord and Fridovich (1969). Specifically, the heparinized blood in Example 5 was centrifuged at 3,000 rpm and 4° C. for 15 minutes to completely remove plasma and buffy coat, and then washed three times with 0.9% physiological saline to obtain red blood cells. 3mL of 5% triochloroacetic acid (TCA) and 1mL of 0.06M thiobarbituric acid (TBA) were added to 50uL of the obtained red blood cells and reacted at 80°C for 90 minutes.
  • TCA triochloroacetic acid
  • TSA 0.06M thiobarbituric acid
  • Lipid Peroxidation (MDA) standard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1 mmol of TMP in 100 mL of 0.01 N HCl solution, reacting at 50 ° C for 60 minutes, cooling to room temperature, hydrolyzing TMP with MDA, and then adding 1 mL of the hydrolyzed TMP solution to 0.01 M Na 3 It was diluted in 100 mL of PO 4 (pH 7.0) buffer to prepare an MDA standard solution (1 ⁇ 10 -4 M).
  • liver tissue lipid peroxide content was measured using the method of Ohkawa et al. (1979), including 0.5 g of liver tissue frozen in Example 3-2, 0.1M triethanolamine, 0.02M EDTA (pH 7.4), and 0.002M DTT. was added to the prepared buffer solution and homogenized with a glass teflon homogenizer (Glascol, 099C K44, USA) in an ice-cooled state.
  • a glass teflon homogenizer Gascol, 099C K44, USA
  • the lipid peroxide levels in red blood cells and liver tissu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ND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re was.
  • Glutathione content includes both oxidized and reduced GSH.
  • Liver tissue glutathione content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Fiala et al. (1976). 0.5 g of the liver tissue stored in Example 3-2 was added to a buffer solution containing 0.1 M triethanolamine, 0.02 M EDTA (pH 7.4), and 0.002 M DTT, and then mixed with a glass teflon homogenizer (Glascol, 099C K44, USA) in an ice-cooled state. ) and homogenized.
  • a glass teflon homogenizer Gascol, 099C K44, USA
  • 0.3 mL of distilled water and 0.5 mL of 4% sulfosalicylic acid were added to 0.2 mL of the homogenate,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25,000 rpm and 4° C. for 10 minutes to obtain a supernatant.
  • 2.7 mL of 0.1 M disulfide reagent (5.5'-dithiobis + 0.1 M sodiumphosphate buffer, pH 8.0) was added to 0.3 mL of the supernatant,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20 minutes,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412 nm.
  • the plasma glutathione content was measured by hemolysis of the red blood cells obtained in Example 7-1 with the same amount of distilled water.
  • the glutathione content of red blood cells and liver tiss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ND group, but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in the case of the SV group. .
  •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Pinto et al. (1969)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NADPH was reduced when GSSG was reduced to GSH by the action of NADPH and GR.
  • 10 ⁇ L of 0.1M EDTA 100 ⁇ L of 10mM GSSG, 10 ⁇ L of enzyme source cytosol and red blood cells, and 10 ⁇ L of NADPH
  • the amount of absorbance reduction was measured at 340 nm (25 ° C) for 2 minutes.
  • the glutathione reductase content of red blood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ND group, but in the case of the SV group, i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mpared to the HFD group, and liver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glutathione reductase in the SV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Paglia and Valentine (1967), and when oxidized glutathione (GSSG) was reduced by glutathione reductase and NADPH, the decrease in absorbance of NADPH was measured. Specifically, 0.1 mL of 30 mM glutathione solution, 6 mM NADPH, and 30 mM H 2 O 2 were added to 2.6 mL of 0.1 M Tris-HCl buffer (pH 7.2), and the absorbance change was measured at 340 nm for 5 minutes at 25 °C.
  • the glutathione dehydrogenase content of red blood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ND group, but in the case of the SV group, i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mpared to the HFD group, and liver tissue
  • the glutathione dehydrogenase content of the HF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ND group,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SV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 Hydrogen peroxide (H 2 O 2 ) content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Wolff, SP (1994). Hydrogen peroxide (H 2 0 2 ) in the body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oxidation of Fe 2+ ions to Fe 3+ ions, and when oxidized, the degree of hydrogen peroxide (H 2 0 2 ) generation was measured using xylenol orange.
  • the hydrogen peroxide content of liver tissue mitochondria and cytoplasm and red blood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D group in the case of the HFD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in the case of the SV group.
  • Example 8 Analysis of the effect of foxtail extract on liver tissue toxicity
  •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 gluconeogenesis-related enzyme activities in plasma and liver tissue were measured and compared.
  • a glucose test solution (Asan kit, Korea) was used. Glucose is converted into glucon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by the action of glucose oxidase, and hydrogen peroxide generates peroxidase, which oxidatively condenses phenol and 4-aminoantipyrine to produce quinone-type red pigment.
  • 3 mL of enzyme solution was added to 200 ⁇ L of plasma, reacted at 37 ° C for 5 minutes, and the absorbance of the quinone-type red pigment produced at 500 nm (VERSAmax, Molecular Devices Co, USA) was measured and quantified by comparing with glucose standard solution. .
  • Plasma insulin was measured using the Insulin ELISA kit (Shibayagi, Japan).
  • HOMA-IR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 an insulin sensitivity indicator was calculated as follows: [fasting insulin concentration (mU/L)] ⁇ [fasting glucose concentration (mg/dL) ⁇ 0.05551] / 22.5.
  • the blood insulin content and HOMA-I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ND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
  • PEPCK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ethod of Bentle and Lardy (1976).
  • 100 ⁇ L of 10 mM DTT (dithiothreitol), 100 ⁇ L of 500 mM NaHCO 3 , 100 ⁇ L of 10 mM MnCl 2 , and 10 ⁇ L of 25 mM NADH were added to 650 ⁇ L of 76.92 mM Hepes-NaOH (pH 6.5), followed by L-malate dehydrogenase, IDP (inosine-5′- diphosphate) and PEP (phosphoenolpyruvate) were added to a concentration of 7.2 units, 1 mM and 2 mM, respectively, and then 10 ⁇ L of the cytosolic fraction as an enzyme source was added, and the change in absorbance was measured at 25° C. and 340 nm for 2 minutes.
  • the activity of PEPCK an enzyme related to gluconeogenesis in liver tiss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ND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V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I was able to confirm.
  • Plasma GIP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Multiplex detection kit (Bio-Rad, USA) and Luminex 200 Labmap system (Bio-Rad, USA),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Bio-Plex manager software version 5.0 (Bio-rad). .
  • Plasma leptin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Multiplex detection kit (Bio-Rad, USA) and Luminex 200 Labmap system (Bio-Rad, USA),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Bio-Plex manager software version 5.0 (Bio-rad). .
  • the foxtai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or few side effects by using natural products, increases muscle mass and strength, inhibits fibrosis of muscle tissue, improves antioxidant metabolism, and improves the quality of muscle cells by inhibiting lipid accumulation in muscle. Since it can be increased, it can be useful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s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iseases related to muscle weakness, and thus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 the foxtai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increase in body weight and body fat caused by a high-fat die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oxidative damage,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dyslipidemia, insulin resistance, and fatty liver, liver toxicity, and fibrosis. And it can be usefully used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functional foods and pharmaceuticals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that may be caused by weight gain as well as improving body fat, so there i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풀 추출물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없거나 적으며, 근육량 및 근력을 증가시키고, 근육조직의 섬유화를 억제하며, 항산화 대사를 개선하고, 근육 내 지질축적 억제를 통해 근육세포의 질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 개발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풀 추출물은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억제시키며, 산화적 손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상지질개선 효능,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 및 지방간, 간독성 및 섬유증 개선 효과가 있으므로 비만 및 체지방 개선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21년 9월 10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1-0121126호, 2021년 9월 10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1-0121251호 및 2022년 9월 6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2-0112990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골격근은 인체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기관으로 총 몸무게의 40 내지 50%를 차지하며 에너지 항상성 및 열 생성 등을 비롯한 체내 여러 대사 기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신체는 노화하면서 구성성분의 변화로써 체지방과 체단백질의 재분포가 일어나며, 약 50세가 되면 근세포 내 단백질의 합성속도가 분해속도보다 느려져 근육이 급격하게 퇴화를 시작하게 되므로, 근력 약화 관련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하나인 근감소증은 평소 자기 체질량의 약 13~24%가 감소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단백질 함량, 섬유 직경, 근력 생산 및 피로 저항(fatigue resistance)의 감소를 나타낸다. 근감소증은 패혈증, 암, 신부전증,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과다, 신경제거, 근육의 미사용, 비만 그리고 노화과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주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일어나는 골격근의 양과 질의 점진적 감소를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에, 일반적인 근력 약화 관련 질환으로 인한 근육 감소를 치료하거나 근육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여전히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치료와 근육강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강아지풀이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지는 알려진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량 및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여,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가 신체활동 등으로 소비한 에너지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잉여의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비만은 유전적인 요인, 불규칙한 식습관이나 운동부족 또는 패스트푸드의 과다섭취 등에 의한 환경적 요인, 우울감, 지루감, 과다한 스트레스 등에 의한 심리적 요인, 갑상선이나 부신피질 호르몬 변화에 의한 병적인 요인 등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최근 경제성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식습관에도 많은 변화가 생겨 바쁜 현대인들은 패스트푸드 등의 고열량 식이와 적은 운동량으로 인하여 체중 및 비만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은 그 자체의 위험성보다 비만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여러 합병증 때문에 그 심각성이 더욱 크게 인식되고 있으며, 오랜 시간에 걸쳐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 당뇨,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된다. 또한, 비만에 의해 사회적 고립감이나 소외, 자신감 결여, 우울감과 같은 정신적 질환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비만은 식이요법, 규칙적인 운동과 더불어 행동요법과 같은 생활습관의 개선, 및 식욕 억제제와 지방 흡수 억제제와 같은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비만은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약물치료를 시도하는 경우 장기간의 사용이 필요하며, 현재 국내에서 3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제품으로는 식욕억제제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지방흡수 억제제인 올리스타트(orlistat)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 치료 약물들은 대부분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조절하는 향정신성 의약품들로써 두통 및 구토 등을 유발하거나 지방흡수로 인한 설사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며 남용 우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판중인 항비만제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고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강아지풀이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지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강아지풀이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체중 증가에 따라 유발되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활성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의 우수한 근육량 및 근력 증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강화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종래 항비만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고 체중 증가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의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강화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은 근감소증, 근위축증, 근육 퇴행 위축(muscle dystrophy) 및 심위축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근감소증은 노화성 근감소증 또는 비만성 근감소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근육량 증가;
(b) 근육량 감소 억제;
(c) 근력 증가;
(d) 근육조직 지질함량 증가 억제; 및
(e) 근육조직 섬유화 억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더 만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체중 및 체지방 증가 억제;
(b) 간조직 또는 지방조직의 섬유화 억제;
(c) 혈장 지질농도 증가 억제;
(d) 간조직 지질함량 증가 억제;
(e) 혈장 간독성 지표 증가 억제;
(f) 지질과산화물 증가 억제;
(g) 항산화 대사 개선; 및
(h) 혈당 증가 억제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대사질환; 또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대사질환; 또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대사질환; 또는 간질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강아지풀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력 강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근력 강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력 강화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강아지풀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비만 관련 합병증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내당능장애; 내장지방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지방간; 및 담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의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간조직 또는 지방조직의 섬유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혈장 지질농도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간조직 지질함량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혈장 간독성 지표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풀 추출물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없거나 적으며, 근육량 및 근력을 증가시키고, 근육조직의 섬유화를 억제하며, 항산화 대사를 개선하고, 근육 내 지질축적 억제를 통해 근육세포의 질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 개발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풀 추출물은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억제시키며, 산화적 손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상지질개선 효능,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 및 지방간, 간독성 및 섬유증 개선 효과가 있으므로 비만 및 체지방 개선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근력 약화 관련 질환에 대한 강아지풀 추출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만성 근감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실험 디자인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 급여한 후, 비복근(gastrocnemius), 대퇴근(quadriceps), 및 앞정강이근(tibialis anterior)을 적출하고 중량을 측정하여 체중 100g 당 중량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HFD vs. ND: *p<0.05, **p<0.01, ***p<0.001; HFD vs. SV: #p<0.05, ##p<0.01, ###p<0.001, 도 2b 내지 도 7 동일.).
도 2b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체중을 20주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여 체중 변화(좌측) 및 체중 증가 억제(우측)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실험식이 급여 4주차 및 20주차 허벅지 두께 측정 결과(좌측) 및 19주차 인장력 측정 결과(우측)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지질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FA: 유리지방산, TG: 중성지방, CHOL: 콜레스테롤).
도 5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 급여한 후, 근육조직 내 단백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좌측)와 근육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우측)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단: H&E 염색/하단: sirius red).
도 6은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근육세포 성장 관련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적혈구 내 항산화 효소 활성도(SOD 및 CAT)의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근력 약화 관련 질환에 대한 강아지풀 추출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노화성 근감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실험 디자인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12주간 실험식이 급여한 후, 앞정강이근(tibialis anterior)을 적출하고 중량을 측정하여 체중 100g 당 중량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NC vs. YC: *p<0.05, **p<0.01, ***p<0.001; NC vs. SV: #p<0.05, ##p<0.01, ###p<0.001, 도 10 내지 도 18 동일.).
도 10은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12주차 허벅지두께 측정 결과(좌측) 및 12주차 인장력 측정 결과(우측)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지질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FA: 유리지방산, CHOL: 콜레스테롤).
도 12는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도면이다 (상단: H&E 염색/하단: sirius red).
도 13은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간조직의 지질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FA: 유리지방산, TG: 중성지방, CHOL: 콜레스테롤).
도 14는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간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도면이다 (상단: H&E 염색/하단: MT 염색).
도 15는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지질과산화물(TBARS)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적혈구와 간조직의 과산화수소(H2O2)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적혈구 내 항산화 효소 활성도(GSH, GR, SOD 및 CAT)의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간조직 내 항산화 효소 활성도(GPx 및 CAT)의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강아지풀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실험 디자인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체중을 20주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여 사육기간에 따른 체중 변화(좌측) 및 체중 증가 억제 효능(우측)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HFD vs. ND: *p<0.05, **p<0.01, ***p<0.001; HFD vs. SV: #p<0.05, ##p<0.01, ###p<0.001, 도 20b 내지 도 29 동일.).
도 20b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사육기간 동안 1일 평균 식이 섭취량(좌측) 및 20주간 실험식이 급여한 후, 평균 에너지 섭취량(중간) 및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체중증가량을 나타내는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우측)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c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부위별 백색 지방조직(White Adipose Tissue; WAT)을 적출하고 중량을 측정하여 체중 100g 당 중량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Epididymal: 부고환, Perirenal: 신주위, Retroperitoneum: 후복막강, Mesenteric: 장간막, Visceral: 내장, Subcutaneous: 피하, interscapular WAT: 견갑골간 백색지방, interscapular BAT: 견갑골간 갈색지방).
도 21a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도면이다 (상단: H&E 염색/하단: Masson's trichrome 염색).
도 21b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간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도면이다 (상단: H&E 염색/하단: Masson's trichrome 염색).
도 22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의 혈장 중성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20주 동안 4주 간격으로 측정하여 주차별 혈장 중성지질(좌측) 및 총 콜레스테롤(우측) 농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a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간조직의 중량과 지질함량(FA: 유리지방산, TG: 중성지질, CHOL: 콜레스테롤)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b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간조직의 지질대사 효소 활성도(FAS: fatty acid synthase, ME: Malic enzyme, PAP: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G6P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적혈구와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TBARS) 함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b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혈장과 간조직의 글루타티온(GSH) 함량, 적혈구와 간조직의 글루타티온 환원효소(GR) 및 글루타티온 탈수소효소(GPx)의 활성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c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적혈구와 간조직 과산화수소(H2O2) 함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혈장 간독성 지표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혈당, 혈장 인슐린, 및 인슐린저항성 지표(HOMA-IR)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간조직 당대사 효소 활성도(G6Pase: Glucose-6-phosphatase, PEPCK: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혈장 GIP 농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마우스들에 20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혈장 렙틴(Leptin) 농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강아지풀(Setaria viridis)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그 생김새가 강아지의 꼬리와 흡사하여 개꼬리풀이라고도 하며, 한자로 구미초라고 한다. 강아지풀은 갯강아지풀, 수강아지풀 등의 종류가 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들판의 풀밭이나 길가 황폐지 등에서 많이 자란다. 한방에서는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사용하며 쌀이나 보리와 섞어서 밥을 짓거나 죽을 끓여 먹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강아지풀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강아지풀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강아지풀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강아지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 및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강아지풀을 분쇄한 시료 70 내지 130 g, 70 내지 110 g, 70 내지 100 g, 70 내지 80 g, 80 내지 130 g, 100 내지 130 g, 110 내지 130 g, 90 내지 110 g, 95 내지 105 g, 70 g, 80 g, 90 g, 또는 100 g에 40 내지 95%, 40 내지 85%, 40 내지 75%, 40 내지 65%, 40 내지 55%, 40 내지 50%, 40 내지 47%, 40 내지 45%, 40 내지 43%, 40 내지 41%, 50 내지 55%, 55 내지 65%, 65 내지 75%, 68 내지 75%, 70 내지 75%, 73 내지 75%, 65 내지 73%, 65 내지 70%, 65 내지 68%, 75 내지 85%, 85 내지 95%, 88 내지 95%, 90 내지 95%, 90 내지 92%, 90 내지 91%, 40%, 50%, 60%, 65%, 68%, 69%, 70%, 71%, 72%, 75%, 78%, 80%, 또는 90% 농도의 에탄올 700 mL 내지 1.3 L, 700 mL 내지 1.1 L, 700 mL 내지 1 L, 700 mL 내지 900 mL, 900 mL 내지 1 L, 1L 내지 1.1 L, 1 L 내지 1.3 L, 1.2 L 내지 1.3 L, 700 mL, 800 mL, 900 mL, 또는 1 L를 추가하여 30 내지 90 ℃, 30 내지 70 ℃, 30 내지 50 ℃, 40 내지 50 ℃, 50 내지 70 ℃, 55 내지 75 ℃, 60 내지 70 ℃, 60 내지 65 ℃, 60 내지 63 ℃, 70 내지 90 ℃, 80 내지 90 ℃, 85 내지 90 ℃, 30 ℃, 40 ℃, 50 ℃, 55 ℃, 또는 60 ℃에서 1시간 30분 내지 3시간 30분, 1시간 30분 내지 3시간,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2시간 내지 2시간 30분, 2시간 30분 내지 3시간, 3시간 내지 3시간 30분, 2시간, 2시간 30분, 2시간 50분, 또는 3시간 추출을 1 내지 5회, 1 내지 3회, 1 내지 2회, 2회 내지 4회, 4회 내지 5회, 1회, 2회, 또는 3회 반복한 후 추출된 액을 여과하여 감압ㆍ농축하고 동결건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 등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강아지풀 추출물의 근력 약화 관련 질환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식이 유도 비만성 근감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들을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으로 분류하여 20주간 사육 후 각 군의 마우스로부터 다양한 근육조직을 분리하여 중량을 측정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량을 증가시키거나 근육량의 감소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을 20주 동안 사육하며 체중을 측정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 섭취에 의해 비만성 근감소 마우스의 체중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허벅지 두께 및 인장력을 측정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조직의 지질함량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증가된 근육량과 허벅지 두께가 지질축적에 의한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형태학적 분석한 결과,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근조직의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고, 근섬유의 섬유화가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근육세포 성장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MyD88, 및 Traf6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고, Akt 및 Pi3k 단백질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적혈구 내 항산화 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SOD 및 CAT 활성도가 활성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Ⅰ참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강아지풀 추출물의 근력 약화 관련 질환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노화성 근감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들을 어린마우스군(YC), 노화마우스군(NC),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으로 분류하여 12주간 사육 후 각 군의 마우스로부터 앞정강이근육조직을 분리하여 중량을 측정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량을 증가시키거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허벅지 두께 및 인장력을 측정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조직의 지질함량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증가된 근육량과 허벅지 두께가 지질축적에 의한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섬유의 섬유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간조직의 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조직의 지질함량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조직의 섬유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근육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측정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조직 내 지질과산화물의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간조직 및 적혈구의 과산화수소 함량 측정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적혈구 및 간조직의 과산화수소의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적혈구의 글루타티온 함량 측정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적혈구의 글루타티온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적혈구의 글루타티온 환원효소 활성도 측정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적혈구 내 글루타티온 환원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적혈구의 SOD 활성도 측정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적혈구의 SOD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적혈구 및 간조직의 CAT 활성도 측정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적혈구 및 간조직의 CAT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간조직의 글루타티온 탈수소효소 활성도 측정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조직의 글루타티온 탈수소효소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Ⅱ참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강아지풀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들을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으로 분류하여 20주 동안 사육하며 체중을 측정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 급여에 의해 고지방식이 비만 유도 마우스의 체중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0주간의 사육 후 각 군의 마우스로부터 다양한 백색 지방조직을 분리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비교한 결과, 강아지풀 추출물이 체지방량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강아지풀 추출물이 체중 감량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지방조직 및 간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결과,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간조직 및 지방조직의 섬유화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희생 시점에 동일한 방법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 지질농도를 분석한 결과,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혈장 지질농도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간조직을 적출하여 간조직의 중량, 지질대사 효소 활성도, 및 유리지방산,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농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간조직 지질함량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희생시점에 수집한 적혈구와 간조직에서 항산화 관련 바이오마커인 지질과산화물(TBARS), 글루타티온(GSH), 글루타티온 환원효소(GR)/탈수소효소(GPx) 및 과산화수소(H2O2)를 분석한 결과, TBARS의 경우,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TBARS 함량이 감소, GSH의 경우,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GSH 함량이 증가, 글루타티온 환원효소(GR)/탈수소효소(GPx)의 경우,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GR/GPX 함량이 증가, 과산화수소(H2O2)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SV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희생시점에 수집한 혈액에서 혈장 간독성 지표인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를 분석한 결과, SV군에서 HFD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혈장 GOT 및 GPT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희생시점에 수집한 혈액에서 혈장 glucose, insulin, GIP, Leptin 함량 및 간조직 당신생 관련 효소 활성도(G6Pase 및 PEPCK)를 분석한 결과, 혈장 glucose의 경우,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glucose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장 insulin 및 HOMA-IR의 경우,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insulin 농도가 감소, 혈장 GIP의 경우,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GIP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장 Leptin의 경우,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leptin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간조직 G6Pase 활성도의 경우,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G6Pase 활성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간조직 PEPCK의 경우,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PEPCK 활성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Ⅲ참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아지풀 추출물은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체중 및 체지방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혈장 지질농도 증가를 억제시킴으로써 이상지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조직 지질함량 및 혈장 간독성 지표인 GOT 및 GPT의 증가를 억제시킴으로써 지방간 및 간독성 개선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항산화 관련 바이오마커인 TBARS 증가를 억제시키고 GSH를 증가시킴으로써 지방세포에 의한 산화적 손상 개선 효과 및 섬유증 개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의 증가를 억제시키고 당신생 관련 효소활성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혈장 및 간조직 내 당대사를 개선시켜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강아지풀 추출물은 다양한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근력 강화용 조성물 뿐만 아니라 대사질환 및 간질환 등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근육량 증가;
(b) 근육량 감소 억제;
(c) 근력 증가;
(d) 근육조직 지질함량 증가 억제; 및
(e) 근육조직 섬유화 억제.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더 만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체중 및 체지방 증가 억제;
(b) 간조직 또는 지방조직의 섬유화 억제;
(c) 혈장 지질농도 증가 억제;
(d) 간조직 지질함량 증가 억제;
(e) 혈장 간독성 지표 증가 억제;
(f) 지질과산화물 증가 억제
(g) 항산화 대사 개선; 및
(h) 혈당 증가 억제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상기 "항산화 대사 개선"이란 혈액, 간, 또는 근육 내에서 항산화 효소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산화적 스트레스와 밀접하게 관련된 활성산소의 축적은 근육조직 분해, 골격근 위축, 근육기능 감소, 및 섬유성 조직 증가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항산화 대사 개선을 통해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산화 효소는 Superoxide disc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GSH), Glutathion reductase (GR), 및 Glutathion peroxidase (GSH-Px)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슐린 저항성"이란 비만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 및 물질대사 측면에서 포도당 균형이 효과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을 경우, 인체는 이미 포도당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인슐린을 생성하여 고인슐린혈증이 야기되고, 그로 인해 인슐린을 만들어내는 췌장 베타세포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기능에 이상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은 물론 심장병ㆍ당뇨병 등 대사질환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이란, 근육조직 또는 근세포가 감소하거나 소실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근력 약화는 어느 한 근육이나, 몸의 한쪽, 상지나 하지 등에 국한될 수도 있고, 전신에 걸쳐 나타날 수도 있으며,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근피로나 근육통을 포함하는 주관적인 근력 약화 증상은 이학적 검진을 통해 객관적인 방법으로 정량화될 수 있다.
상기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은 예를들어, 근감소증, 근위축증, 근육 퇴행 위축(muscle dystrophy) , 및 심위축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근육조직 또는 근세포가 감소하거나 소실되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근감소증"이란 노화, 비만 등 다양한 이유로 몸의 근육(근육량, 근력)이 비정상적으로 줄거나 약해져 신체활동이 원활치 않은 상태로, 증상이 심해지면 장애에 이르고, 사망 위험을 높인다. 근감소증은 근육 자체를 넘어 뼈와 혈관, 신경, 간, 심장, 췌장 등 신체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뼈는 근육에 의해 스트레스(자극)를 받아 밀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근감소증과 골다공증은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지닌다. 또한, 근육이 감소되면 새로운 혈관과 신경이 생겨나는 것을 방해해 인지기능 저하, 지방간, 당뇨병의 발생 위험이 높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근감소증은 노화성 근감소증 또는 비만성 근감소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노화성 근감소증"은 노화에 따른 점진적인 근육량의 감소 또는 근육의 밀도와 기능이 점차적으로 약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직접적으로 근력의 저하를 유발하며 그 결과 각종 신체기능의 감소 및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비만성 근감소증"은 비만으로 인하여 근육 내에 지방이 침착되어 근육량이 감소함과 더불어 비만세포 유래 염증인자가 증가하고, 근육 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근육의 기능이 약화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만으로 인하여 인슐린 분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세포에 에너지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므로 근육 발달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근위축증"은 사지의 근육이 점점 위축되어 가는 것으로서, 척수에 있는 운동신경섬유 및 세포의 진행성 변성을 유발하여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과 척수성 진행성 근위축증(Spinal progressive muscular atrophy, SPMA)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근육 퇴행 위축(muscle dystrophy)"은 점진적인 근위축과 근쇠약이 나타나는 질환으로서, 병리학적으로 근섬유의 괴사를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근육병증을 의미한다.
상기 "심위축증"은 심장이 외부적 또는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위축되어 가는 것으로서, 기아, 소모성질환, 노쇠에 의하여 심근섬유가 마르고 가늘어져 지방조직의 감소를 유발하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 "비만"이란, 에너지의 섭취와 소모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에 에너지가 과잉으로 축적되어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하며, 겉으로는 정상체중으로 보여도 체지방 비율이 높으면 비만이라고 할 수 있다. 비만은 한가지 원인보다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서구화된 식습관을 포함하여 잘못된 식습관과 활동량 감소, 정서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만은 근감소성 비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근감소성 비만"이란 노화 또는 비만에 기인하여 근육량이나 근력의 감소와 더불어 체지방량이 증가한 상태 즉, 근육의 지방으로의 전환으로 인해 비만과 근감소증의 복합적인 형태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비슷한 체질량지수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서 체지방량이 증가되어 있고 근육량은 감소되어 있다면 체지방량과 근육량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사람에 비해 기능 장애(functional limitation)와 대사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대사질환"이란 비만과 밀접하게 연관성이 있거나, 비만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또는 지방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간질환은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과량의 알콜을 섭취하지 않은 환자에서 간에서 지방이 축적될 때 발생하는 지방간의 유형 중 하나로, 염증 반응을 동반하지 않는 단순 지방간, 및 이에 의해 진전되며, 간세포의 염증반응, 간섬유화 및 간경화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질환을 의미한다.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은 초기 단계에서 발견 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으로 진행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간경변증과 간암을 일으킬 수 있다.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은 원인에 따라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나뉘는데 원발성은 대사증후군의 특징인 고지혈, 당뇨, 또는 비만 등에 의해 발생되며, 속발성은 영양적 원인(급격한 체중 감소, 기아, 장 우회술), 다양한 약물, 독성 물질(독버섯, 세균 독소), 대사성 원인 및 기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원발성 요인인 대사증후군의 중요한 특징인 당뇨 및 비만과 관련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발생율은 당뇨 환자의 약 50%, 비만 환자의 약 76%로, 비만한 당뇨 환자에서 거의 대부분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은 단순성 지방간 질환, 영양성 지방간 질환, 기아성 지방간 질환, 비만성 지방간 질환, 당뇨병성 지방간 질환, 지방간염, 간섬유화, 간경화 및 간경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활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흡착제, 보습제, 필름-코팅 물질, 및 제어방출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서방형 과립제, 장용과립제, 액제, 점안제, 엘실릭제, 유제, 현탁액제, 주정제, 트로키제, 방향수제, 리모나아데제, 정제, 서방형정제, 장용정제, 설하정,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서방캅셀제, 장용캅셀제, 환제, 틴크제,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유동엑스제, 주사제, 캡슐제, 관류액, 경고제, 로션제, 파스타제, 분무제, 흡입제, 패취제, 멸균주사용액, 또는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용제는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환제, 트로키제의 첨가제로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유당, 백당, 포도당, 과당, 디-만니톨, 침강탄산칼슘, 합성규산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황산칼슘,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정제 라놀린,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알긴산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올린, 요소, 콜로이드성실리카겔,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1928, HPMC 2208, HPMC 2906, HPMC 2910, 프로필렌글리콜, 카제인, 젖산칼슘, 프리모젤 등 부형제;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에탄올, 한천가루,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포도당, 정제수, 카제인나트륨,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정제쉘락, 전분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한천가루, 메칠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구연산칼슘, 라우릴황산나트륨, 무수규산, 1-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덱스트란, 이온교환수지, 초산폴리비닐, 포름알데히드처리 카제인 및 젤라틴, 알긴산, 아밀로오스, 구아르고무(Guar gum), 중조, 폴리비닐피롤리돈, 인산칼슘, 겔화전분, 아라비아고무, 아밀로펙틴, 펙틴, 폴리인산나트륨, 에칠셀룰로오스, 백당,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디-소르비톨액, 경질무수규산 등 붕해제;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수소화식물유(Hydrogenated vegetable oil), 탈크, 석송자, 카올린, 바셀린, 스테아린산나트륨, 카카오지, 살리실산나트륨, 살리실산마그네슘, 폴리에칠렌글리콜(PEG) 4000, PEG 6000, 유동파라핀, 수소첨가대두유(Lubri wax),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라우릴황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마크로골(Macrogol), 합성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실리콘유, 파라핀유, 폴리에칠렌글리콜지방산에테르, 전분,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올레인산 나트륨, dl-로이신, 경질무수규산 등의 활택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제의 첨가제로는 물, 묽은 염산, 묽은 황산, 구연산나트륨, 모노스테아린산슈크로스류, 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텔류(트윈에스텔), 폴리옥시에칠렌모노알킬에텔류, 라놀린에텔류, 라놀린에스텔류, 초산, 염산, 암모니아수, 탄산암모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프롤아민,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럽제에는 백당의 용액, 다른 당류 혹은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제, 현탁화제, 유화제, 점조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제에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화제, 보존제, 안정제, 방향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제에는 아카시아, 트라가칸타,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미결정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HPMC 1828, HPMC 2906, HPMC 2910 등 현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존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제에는 주사용 증류수, 0.9%염화나트륨주사액, 링겔주사액, 덱스트로스주사액, 덱스트로스+염화나트륨주사액, 피이지(PEG), 락테이티드 링겔주사액,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비휘발성유-참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콩기름, 옥수수기름, 올레인산에칠,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안식향산벤젠과 같은 용제; 안식향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우레탄, 모노에칠아세트아마이드, 부타졸리딘, 프로필렌글리콜, 트윈류, 니정틴산아미드, 헥사민, 디메칠아세트아마이드와 같은 용해보조제; 약산 및 그 염(초산과 초산나트륨), 약염기 및 그 염(암모니아 및 초산암모니움), 유기화합물, 단백질, 알부민, 펩톤, 검류와 같은 완충제; 염화나트륨과 같은 등장화제; 중아황산나트륨(NaHSO3) 이산화탄소가스,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아황산나트륨(Na2SO3), 질소가스(N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과 같은 안정제; 소디움비설파이드 0.1%, 소디움포름알데히드설폭실레이트, 치오우레아,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아세톤소디움비설파이트와 같은 황산화제;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염산프로카인, 포도당, 글루콘산칼슘과 같은 무통화제; 시엠시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트윈 80, 모노스테아린산알루미늄과 같은 현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제에는 카카오지, 라놀린, 위텝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로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과 올레인산의 혼합물, 수바날(Subanal), 면실유, 낙화생유, 야자유, 카카오버터+콜레스테롤, 레시틴, 라네트왁스,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롤, 트윈 또는 스판, 임하우젠(Imhausen), 모놀렌(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뎁스솔리두스(Adeps solidus), 부티룸 태고-G(Buytyrum Tego-G), 세베스파마 16 (Cebes Pharma 16), 헥사라이드베이스 95, 코토마(Cotomar), 히드록코테 SP, S-70-XXA, S-70-XX75(S-70-XX95), 히드록코테(Hydrokote) 25, 히드록코테 711, 이드로포스탈 (Idropostal), 마사에스트라리움(Massa estrarium, A, AS, B, C, D, E, I, T), 마사-MF, 마수폴, 마수폴-15, 네오수포스탈-엔, 파라마운드-B, 수포시로(OSI, OSIX, A, B, C, D, H, L), 좌제기제 IV 타입 (AB, B, A, BC, BBG, E, BGF, C, D, 299), 수포스탈 (N, Es), 웨코비 (W, R, S, M ,Fs), 테제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기제 (TG-95, MA, 57)와 같은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복용, 피하 주사, 복강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척수 주위 공간(경막내) 주사, 설하 투여, 볼점막 투여, 직장 내 삽입, 질 내 삽입, 안구 투여, 귀 투여, 비강 투여, 흡입, 입 또는 코를 통한 분무, 피부 투여, 경피 투여 등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대사질환; 또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대사질환; 또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대사질환; 또는 간질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강아지풀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목적하는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그에 따른 대사 이상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해당 질환의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또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의 경우와 동일하게 준비될 수 있다.
상기 근력 강화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근력 강화"란, 근육량을 증가시키거나, 근육 회복을 강화하거나, 근육 피로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력 개선 또는 강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의 근력 개선 또는 강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강화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의 경우와 동일하게 준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아지풀 추출물은 근육량 및 근력 증가, 항산화 대사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동물이나 가축의 근력 개선 촉진제로서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농후사료, 조사료 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다.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 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 등이 있다.
조사료에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 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 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 등이 있다.
특수사료에는 패각,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 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식이 보조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다양한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료 첨가제" 란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 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하며, 탄산수소나트륨(중조), 벤토나이트 (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E,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라이신 등의 보호 아미노산 제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 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근육 양의 감소, 근질의 저하 등에 의한 근력 저하 현상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개체는 동물, 예를 들어 비-영장류 (예를 들면, 소, 돼지, 말, 고양이, 개, 래트 및 마우스) 및 영장류 (예를 들면, 원숭이, 예를 들어 사이노몰구스 (cynomolgous) 원숭이 및 침팬지)를 비롯한 포유동물을 나타낸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개체는 축산용 동물 (예를 들면, 말, 소, 돼지 등) 또는 애완용 동물 (예를 들면, 개 또는 고양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의 복용량은 개체의 종(species), 크기(size), 무게(weight), 나이(age)와 같은 다수의 요인들에 좌우될 것이다. 원칙적으로, 전형적인 복용량은 개체/일 당 0.001 내지 10 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아지풀 추출물은 체중 및 체지방의 증가 억제 효과를 가지며, 혈장 지질농도 증가를 억제시킴으로써 이상지질개선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간조직 지질함량 및 혈장 간독성 지표인 GOT 및 GPT의 증가를 억제시킴으로써 지방간 및 간독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항산화 관련 바이오마커인 TBARS 증가를 억제시키고 GSH를 증가시킴으로써 지방세포에 의한 산화적 손상 개선 효과 및 간조직 또는 지방조직의 섬유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강아지풀 추출물은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의 증가를 억제시키고 당신생 관련 효소활성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혈장 및 간조직 내 당대사를 개선시켜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강아지풀 추출물은 비만 및 다양한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전술한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내용을 원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만(obesity)”은 대사 장애로 인하여 체내에 지방세포가 증식 분화하고 이로 인하여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고혈압, 당뇨, 및 이상지질혈증 등을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을 포함하는 관련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에너지 흡수량이 소비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가 증가되는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지방조직의 질량이 증가된다.
상기 비만 관련 합병증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내당능장애; 내장지방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지방간; 담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험예에 따르면,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또는 지방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내용을 원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료 조성물은 전술한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강화용 사료 조성물의 내용을 원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과체중 또는 비만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개체는 동물, 예를 들어 비-영장류 (예를 들면, 소, 돼지, 말, 고양이, 개, 래트 및 마우스) 및 영장류 (예를 들면, 원숭이, 예를 들어 사이노몰구스 (cynomolgous) 원숭이 및 침팬지)를 비롯한 포유동물을 나타낸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개체는 축산용 동물 (예를 들면, 말, 소, 돼지 등) 또는 애완용 동물 (예를 들면, 개 또는 고양이)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아지풀 추출물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Ⅰ. 비만성 근감소에 대한 강아지풀의 효과
실시예 1. 강아지풀 추출물 제조
실험에 사용된 강아지풀(setaria viridis)은 경상북도 경산 야산에서 8~9월경에 채취하여 추출에 사용하였다. 강아지풀을 분쇄한 시료 100g에 70% 에탄올(Ethanol) 1L를 추가하여 60℃에서 3시간 추출을 3회 반복한 후 추출된 액을 여과하여 감압ㆍ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강아지풀 주정 추출물 파우더를 수득하여 냉동 보관한 후 식이 제조에 사용하였다. 추출 수율은 6.05%였다.
실시예 2. 실험동물 모델
2-1. 실험동물
강아지풀 추출물의 섭취가 비만성 근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이성 비만 유도 근감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이 실험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 수컷 C57BL/6J 마우스(JA BIO, Korea)를 중아바이오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주간 펠렛(pellet) 형태의 식이를 제공하여 적응시킨 후,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해 실험동물을 정상식이군(ND, normal diet), 고지방식이군(HFD, high-fat diet, 20% fat, 1% cholesterol) 및 고지방식이에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HFD+0.3% (w/w) setaria viridis ethanol extract)으로 나누어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실험식이를 제공하며 20주간 사육하였다. 동물 사육실은 항온(24±2℃), 항습(50±5%) 및 12시간 간격(6:00~18: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였으며, 한 마리씩 개개의 케이지(cage) 안에서 사육하였고, 실험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제공하였다(ad libitum).
2-2. 실험식이 조성
ND군, HFD군 및 SV군의 실험식이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ND군은 정상식이군으로 AIN-76 semisynthetic diet를 제조하여 급여하였으며, HFD군은 AIN-76 diet에 라드(lard)와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첨가시켜 20% 지방(fat) 및 1%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포함하는 고지방식이를 제조하여 급여하였다.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은 첨가하는 강아지풀 추출물을 고지방식이의 0.3% 용량으로 설정하여 식이를 급여하였다.
Figure PCTKR2022095122-appb-img-000001
실시예 3.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량 및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3-1. 근육량 변화
상기 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주간 사육한 각 군의 마우스들을 12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isofloran(5mg/kg body weight, Baxter, USA)을 이용하여 마취한 후 희생시켜 앞정강이근(tibialis anterior), 비복근(gastrocnemius), 및 대퇴근(quadriceps)의 근육조직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각 마우스의 근육조직을 식염수(0.9% saline solution)로 여러 번 헹군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g 당 중량으로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중량을 측정한 근육조직은 용도에 맞게 나누어 액체질소에 급냉시켜 -70℃에 보관하였다.
그 결과,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비복근(gastrocnemius), 대퇴근(quadriceps), 앞정강이근(tibialis anterior)의 중량이 감소하였다. SV군의 경우, 비복근 및 앞정강이근의 중량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대퇴근의 중량은 HFD군과 SV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체중 변화
강아지풀 추출물에 의한 체중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육기간 동안 주 1회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식이 급여 4주 차부터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체중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식이 급여 12주 차부터 HFD군에 비해 SV군의 체중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총 체중 증가량(body weight gain)을 하루 동안의 체중 증가량으로 환산했을 때 HFD군에서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SV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체중 증가를 직접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강아지풀 추출물이 허벅지 두께와 근력 증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아지풀 추출물이 허벅지 두께와 근력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기간 동안 4주 간격으로 마우스의 허벅지 두께를 캘리퍼(calip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식이 급여 19주차에 마우스의 인장력 측정을 위해 3일간 측정기기에서 적응시킨 후, 5일 동안 연속으로 측정하였다. 마우스를 측정기기 그리드(grid) 상단에 올려두어 네 발로 모두 그리드를 잡도록 하여 마우스의 몸통과 그리드가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꼬리를 뒤쪽으로 부드럽고 천천히 당길 때, 마우스가 힘을 주어 그리드를 잡는 힘의 최대 근력값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도 3(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식이 급여 4주차에 측정한 뒷다리 허벅지 두께는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과 HFD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실험식이 급여 20주차에 측정한 허벅지 두께는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19주차에 실시한 인장력 측정 결과, 도 3(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ND군과 HFD군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V군의 경우, HFD군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조직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근육조직의 지질함량 측정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 3-1에서 냉동 보관한 근육조직의 지질을 Folch 등 (1957)의 방법을 따라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37℃에서 질소가스로 휘발시켜 아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희석하였다. 정량을 위해 효소 시약에 유화제로 3mM 콜산(cholic acid)과 발색 시 일어나는 탁도를 제거하기 위해 0.5% Triton X-100을 혼합하여 지질 성분을 추출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농도는 아산제약(Asan Pharm Co., Seoul, Korea)의 효소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리지방산 함량은 효소법을 이용한 발색법 원리를 이용한 유리지방산 측정용 시액(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kit, 신양화학)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고지방식이에 의해 근육조직의 지질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근육조직의 유리지방산(FA) 및 중성지질(TG)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에 의해 근육조직의 지질함량이 감소하므로, 증가된 근육량과 허벅지 두께가 지질 축적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조직에 미치는 영향 분석
6-1. 근육조직 내 단백질 함량
상기 실시예 3-1에서 적출한 근육조직 0.1g을 3mm beads와 lysis buffer(T-PER buffer,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 1ml를 추가하여 균질화(homogenize)시킨 후 14,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모아 새로운 튜브에 옮겨 단백질을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Quick Start™ Bradford Reagent(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595nm(VERSAmax, Molecular devices Co, USA)에서 측정하고, 표준용액은 BSA (bovine serum albumin) 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5(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육 조직 내 단백질 함량은 ND군에 비해 HFD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SV군은 HF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2. 근육조직의 형태학적 관찰
근육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을 위해 상기 실시예 3-1에서 적출한 근육조직 일부를 10%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용액에 24시간 고정한 다음, 같은 용액으로 2회 교환하고, 2배수 에탄올(ethanol)로 탈수하여 파라핀(paraffin)에 포매과정을 거쳐, poly-L-lysine으로 처리된 5μm 두께의 조직 절편을 제작한 다음 hematoxylin eosin(H&E)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배율로 일반적인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였으며, sirius red로 염색된 슬라이드를 color-segmentation 방법으로 분석하여 같은 절편에서 콜라겐(빨간색)과 근섬유(노란색)로 염색된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우측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육세포의 형태와 구조가 ND군에 비해 HFD군에서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SV군의 경우, 고지방식이에도 불구하고 근육세포의 형태와 구조가 ND군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불규칙해진 근육세포를 정상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근육조직 내 콜라겐 섬유의 조직학적 시각화를 위하여 실시한 sirius red 염색 결과, 도 5(우측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은 근육조직에서 ND군에 비해 콜라겐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SV군은 ND군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섬유의 섬유화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세포 성장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근육조직 세포의 성장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근육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근섬유 단백질 축적에 관여하는 Pi3k/Akt/mTOR 경로의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1에서 냉동 보관한 근육조직 0.1g을 3mm beads와 lysis buffer(T-PER buffer,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 1ml를 추가하여 균질화(homogenize)시킨 후 14,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모아 새로운 튜브에 옮겨 단백질을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Quick Start™Bradford Reagent(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였다.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SDS-polyacrylamide gel에 전기영동(SDS-PAGE) 하였다. 전기영동을 통해 겔에 나눠진 단백질을 PVDF(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Merck Millipore, New Jersey, USA)에 transfer한 후 5% skim milk/Tris-buffered saline with tween 20(TBST; 20mM Tris-HCl, pH 7.4, 150mM NaCl, 0.1% Tween 20)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하고 4℃에서 overnight으로 1차 항체와 반응시켰다. 1차 항체는 anti-Akt(1:1000, cell signaling, #9272), anti-phospho Akt(1:1000, cell signaling, #4058), anti-Pi3k(1:1000, cell signaling, #4292), anti-phospho Pi3k(1:1000, cell signaling, #4228), anti-mTOR(1:1000, cell signaling, #2983), anti-MyD88(1:1000, cell signaling, #4283), 및 anti-Traf6(1:1000, abcam, ab33915)를 5% BSA에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loading control로 alpha- tubulin(1:1000, cell signaling, #2125)를 사용하였다. 2차 항체는 horseradish peroxidase(HRP)-conjugated anti-rabbit IgG(1:5000; Cell Signaling, #7074S)를 5% skim milk에 희석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각각의 반응 후 TBST buffer로 10분간 3회씩 세척한 후 진행하였다. 세척한 membrane은 밴드를 현상시키는 Enhanced Chemiluminescent(ECL) kit(super-signal west pico plus, 34580,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였으며, G-box(50S; BI System Co.)를 이용해 정량화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세포 분화 및 사멸 억제에 관여하는 Akt와 Pi3k 단백질의 경우, 활성화된 Akt와 Pi3k인 pAkt 및 pPi3k 단백질의 발현이 HFD군에 비해 SV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Pi3k/Akt/mTOR 경로의 상위인자인 MyD88과 Traf6 단백질의 경우, MyD88 단백질의 발현은 HFD군 대비 SV군에서 25.6%, Traf6 단백질의 발현은 HFD군 대비 SV군에서 58.7%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추출물이 근육 대사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강아지풀 추출물이 적혈구 항산화 효소 활성도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8-1. 적혈구의 SOD(Superoxide discmutase) 활성도 측정
SOD는 superoxide anion radical(O2 -ㆍ)을 H2O2 및 O2로 분해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활성도 측정은 Marklund 등(1974)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알칼리 상태에서 pyrogallol의 자동산화에 의한 발색정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mM EDTA를 포함한 50mM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buffer(pH 8.5) 1.5mL에 적혈구 0.1mL와 7.2mM pyrogallol 용액 0.1mL를 넣고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 용액 50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420nm(Beckman 650 spectrophotometer, USA)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pyrogallol의 자동산화를 방해하는데 필요한 cytosolic protein 및 적혈구 hemoglobin에 대한 SOD unit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7(좌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혈구 SOD 활성도는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2. 적혈구의 CAT(Catalase) 활성도 측정
CAT는 H2O2를 H2O 및 O2로 분해시키는 역할을 하며 활성도 측정은 Abei 등 (1974)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5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KH2PO4:K2HPO4, pH 7.4) 2.89mL와 적혈구 10μL를 25℃에서 5분간 전반응 시킨 후 30mM H2O2 용액 0.1mL를 첨가하고 25℃에서 5분간 240nm(Beckman 650 spectrophotometer, USA)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도는 1분당 적혈구 hemoglobin 1g이 분해시킨 H2O2의 μmole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7(우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혈구 CAT 활성도는 HFD군의 경우 ND군과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통계분석
본 연구의 모든 실험 결과는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SPSS package program versuib 25.0(Statistical Pas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각 ND군과 HFD군간의 유의성 검정 및 HFD군과 물질군간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Student's 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결과는 평균±S.E(standard error)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Ⅱ. 노화성 근감소에 대한 강아지풀의 효과
실시예 1. 강아지풀 추출물 제조
사용한 강아지풀(setaria viridis)은 경상북도 경산 야산에서 8~9월경에 채취하여 추출에 사용하였다. 강아지풀을 분쇄한 시료 100g에 70% 에탄올(Ethanol) 1L를 추가하여 60℃에서 3시간 추출을 3회 반복한 후 추출된 액을 여과하여 감압ㆍ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강아지풀 주정 추출물 파우더를 수득하여 냉동 보관한 후 식이 제조에 사용하였다. 추출 수율은 6.05%였다.
실시예 2. 실험동물 모델
2-1. 실험동물
강아지풀 추출물의 섭취가 노화성 근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노화성 근감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도 8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이 실험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은 8주령 수컷 C57BL/6J 마우스와 50주령 수컷 C57BL/6J 마우스(JA BIO, Korea)를 중아바이오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주간 펠렛 형태의 식이를 제공하여 적응시킨 후,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해 실험동물을 어린마우스군(YC, Young control, n=8), 노화마우스군(NC, Negative control, n=7) 및 강아지풀 추출물이 첨가된 식이가 제공되는 노화마우스군(SV, 0.3% (w/w) setaria viridis ethanol extract, n=7)으로 나누어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의 실험식이를 제공하며 12주간 사육하였다. 동물 사육실은 항온(24±2℃항습(50±5%) 및 12시간 간격(6:00~18: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였으며, 한 마리씩 개개의 케이지(cage) 안에서 사육하였고, 실험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제공하였다(ad libitum).
2-2. 실험식이 조성
실험식이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모든 군에 식이는 AIN-93G diet를 제조하여 급여하였으며, 강아지풀 추출물이 첨가된 식이가 제공되는 노화마우스군은 강아지풀 추출물의 첨가 용량을 AIN-93G diet에 0.3% 용량으로 설정하여 식이를 급여하였다.
Figure PCTKR2022095122-appb-img-000002
실시예 3. 강아지풀 주정 추출물이 근육량, 허벅지 두께, 및 근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3-1. 근육량 변화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12주간 사육한 각 군의 마우스들을 12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isofloran(5mg/kg body weight, Baxter, USA)을 이용하여 마취한 후 희생시켜 앞정강이근(tibialis anterior)의 근육조직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각 마우스의 근육조직을 식염수(0.9% saline solution)로 여러 번 헹군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g 당 중량으로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중량을 측정한 근육조직은 용도에 맞게 나누어 액체질소에 급냉시켜 -70℃에 보관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NC군의 경우 YC군에 비해 앞정강이근의 중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SV군의 경우, 앞정강이근의 중량이 N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허벅지 두께 및 근력의 변화
강아지풀 추출물이 허벅지 두께와 근력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식이 급여 12주차에 마우스의 허벅지 두께를 캘리퍼(calip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식이 급여 12주차에 마우스의 인장력 측정을 위해 3일간 측정기기에서 적응시킨 후, 5일 동안 연속으로 측정하였다. 마우스를 측정기기 그리드(grid) 상단에 올려두어 네 발로 모두 그리드를 잡도록 하여 마우스의 몸통과 그리드가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꼬리를 뒤쪽으로 부드럽고 천천히 당길 때, 마우스가 힘을 주어 그리드를 잡는 힘의 최대 근력값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도 10(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허벅지 두께는 NC군의 경우 YC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오른쪽 및 왼쪽 허벅지 두께가 NC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장력 측정 결과, 도 10(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NC군의 경우 Y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NC군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조직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근육조직의 지질함량 측정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 3-1에서 냉동 보관한 근육조직에서 지질을 Folch 등(1957)의 방법에 따라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37℃에서 질소가스로 휘발시켜 아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희석하였다. 정량을 위해 효소 시약에 유화제로 3mM 콜산(cholic acid)과 발색 시 일어나는 탁도를 제거하기 위해 0.5% Triton X-100을 혼합하여 지질 성분을 추출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콜레스테롤 농도는 아산제약(Asan Pharm Co., Seoul, Korea)의 효소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리지방산 함량은 효소법을 이용한 발색법 원리를 이용한 유리지방산 측정용 시액(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kit, 신양화학)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육 내 콜레스테롤(Chol) 함량은 YC군과 NC군간의 유의적 차의가 없었으나, SV군의 경우, NC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근육 내 유리지방산(FA) 함량은 YC군에 비해 NC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SV군은 N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에 의해 근육조직의 지질함량이 감소하므로, 증가된 근육량과 허벅지 두께가 지질 축적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육조직의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근육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을 위해 상기 실시예 3-1에서 적출한 근육조직 일부를 10%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용액에 24시간 고정한 다음, 같은 용액으로 2회 교환하고, 2배수 에탄올(ethanol)로 탈수하여 파라핀(paraffin)에 포매과정을 거쳐, poly-L-lysine으로 처리된 5μm 두께의 조직 절편을 제작한 다음 hematoxylin eosin(H&E)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배율로 일반적인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였으며, sirius red로 염색된 슬라이드를 color-segmentation 방법으로 분석하여 같은 절편에서 콜라겐(빨간색)과 근섬유(노란색)로 염색된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2(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육세포의 형태와 구조가 YC군에 비해 NC군에서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SV군의 경우,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에 의해 근육세포의 형태와 구조가 YC군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노화에 의해 불규칙해진 근육세포를 정상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근육조직 내 콜라겐 섬유의 조직학적 시각화를 위하여 실시한 sirius red 염색 결과, 도 12(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YC군에 비해 NC군의 근육조직에서 콜라겐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SV군은 YC군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근섬유의 섬유화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조직 지질 함량 및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6-1. 간조직 지질함량
간조직의 지질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1과 같이 간조직을 적출하여 상기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근육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및 유리지방산을 정량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C군의 경우 YC군에 비해 간조직 유리지방산(FA) 햛 중성지질(TG)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SV군의 경우에는 NC군에 비해 간조직 콜레스테롤(Chol)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유리지방산이 p-value 0.087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지방간 개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6-2. 간조직의 형태
강아지풀 추출물에 의한 간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간조직 일부를 10%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용액에 24시간 고정한 다음, 같은 용액으로 2회 교환하고, 2배수 에탄올(ethanol)로 탈수하여 파라핀(paraffin)에 포매 과정을 거쳐, poly-L-lysine으로 처리된 5μm 두께의 조직 절편을 제작한 다음 hematoxylin eosin(H&E)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또한, 콜라겐과 근섬유를 염색하기 위하여 Massons' trichrome 염색(결합조직: 파란색, 핵: 검붉은색, 세포질: 분홍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4(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간문맥(portal vein)을 중심으로 YC군에 비해 NC군에서 다실의 지방구(lipid droplet)의 축적이 관찰된 반면, SV군은 NC군에 비해 지방구 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조직의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실시한 결과, 도 14(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NC군의 경우 간문맥 주변으로 결합조직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SV군은 섬유화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강아지풀 추출물이 지질과산화물 축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아지풀 추출물이 노화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근육, 간, 및 적혈구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7-1. 근육조직의 지질과산화물(TBARS; Thiobarbituricacid reactive substance)
근육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Tarladgis 등(1964) 및 Ohkawa 등(1979)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3-1에서 냉동 보관한 근육조직 0.1g을 0.1M triethanolamine, 0.02M EDTA(pH 7.4), 0.002M DTT가 포함된 완충용액에 첨가하여 빙냉 상태에서 glass teflon homogenizer(Glascol, 099C K44, USA)로 균질화하였다. 균질액 0.04mL, 8.1% sodium dodecyl sulfate(SDS) 용액 0.04mL 및 증류수 0.12mL를 섞어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 후 20% acetate(pH 3.5) buffer 0.3mL과 0.8% TBA 0.3mL를 첨가하여 9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시료를 실온으로 냉각시켜 증류수 1mL와 n-butanol:pyridine(15:1) 용액 5mL를 첨가하였고 3,000rpm, 20℃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의 흡광도를 532nm에서 측정하였다. MDA 표준용액은 TMP을 가수분해하여 267nm에서 나온 TBA 반응물질의 양을 MDA 흡광계수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육조직 내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YC군에 비해 NC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SV군에서는 N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2. 적혈구 및 간조직의 Hydrogen peroxide(H202) 함량 측정
적혈구 및 간조직의 Hydrogen peroxide(H202) 함량은 Wolff, S. P. (1994)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체내 과산화수소(H202)는 Fe2+이온이 Fe3+이온으로 산화되는 과정에 관여하며, 산화될 때 xylenol orange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H202)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ddH2O 600μL에 0.25M H2SO4 100μL, 1 M Sorbitol 100μL, 2.5 mM Ammonium Iron(Ⅱsulfatehexahydrate 100μL, 1 mM Xylenol orange 100μL를 첨가하여 만든 시약 950μL에 효소원인 세포질(cytosol),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및 적혈구 50μL 첨가한 후 560nm(25℃)에서 30분 동안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 및 세포질과 적혈구의 과산화수소 함량은 NC군의 경우 YC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NC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강아지풀 추출물이 항산화 관련 바이오마커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아지풀 추출물이 노화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글루타티온, 과산화수소, 및 카탈라아제(Catalase)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8-1. 적혈구의 글루타티온(GSH; glutathione)
글루타티온 함량은 산화형 GSH과 환원형 GSH 모두를 포함한다. 각 실험군의 적혈구를 동량의 증류수로 용혈시켜 Fiala 등(1976)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0.1M triethanolamine, 0.02 MEDTA(pH 7.4), 0.002M DTT가 포함된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빙냉 상태에서 glass teflon homogenizer(Glascol, 099C K44, USA)로 균질화하였다. 균질액 0.2mL에 증류수 0.3mL와 4% sulfosalicylic acid를 0.5mL를 첨가하여 25,000rpm, 4℃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0.3mL의 상층액에 0.1M disulfide reagent(5.5'-dithiobis + 0.1 M sodiumphosphate buffer, pH 8.0) 2.7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41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혈구의 글루타티온 함량은 NC군의 경우 YC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SV군의 경우 NC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2. 적혈구의 Glutathion reductase(GR) 활성도 측정
GR 활성도는 산화형 글루타티온(GSSG)이 NADPH와 GR의 작용으로 GSH로 환원될 때 NADPH가 감소되는 정도를 Pinto 등(1969)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1M potassium phosphate buffer(KH2PO4:K2HPO4, pH 7.4) 0.1 mL에 증류수 780 μL를 첨가한 후 0.1M EDTA 10μL, 10mM GSSG 100μL, 적혈구 10μL, 및 NADPH 10μL를 순서대로 첨가한 후 340nm(25℃)에서 2분 동안 흡광도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혈구의 글루타티온 환원효소(GR) 활성도는 NC군의 경우 YC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SV군의 경우 NC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3. 적혈구의 Superoxide discmutase(SOD) 활성도 측정
SOD는 superoxide anion radical(O2 -ㆍ)을 H2O2 및 O2로 분해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활성도 측정은 Marklund 등(1974)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알칼리 상태에서 pyrogallol의 자동산화에 의한 발색 정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mM EDTA를 포함한 50mM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buffer(pH 8.5) 1.5mL에 적혈구 0.1mL와 7.2mM pyrogallol 용액 0.1mL를 넣고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 용액 50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420nm(Beckman 650 spectrophotometer, USA)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pyrogallol의 자동산화를 방해하는데 필요한 적혈구 hemoglobin에 대한 SOD unit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혈구 SOD 활성도는 NC군의 경우 Y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N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4. 적혈구 및 간조직의 Catalase(CAT) 활성도 측정
CAT는 H2O2를 H2O 및 O2로 분해시키는 역할을 하며 활성도 측정은 Abei 등(1974)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5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KH2PO4:K2HPO4, pH 7.4) 2.89mL와 효소원 mitochondria 분획 및 적혈구 10μL를 25℃에서 5분간 전반응 시킨 후 30mM H2O2 용액 0.1mL를 첨가하고 25℃에서 5분간 240nm(Beckman 650 spectrophotometer, USA)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도는 1분당 mitocondrial protein 1mg 및 적혈구 hemoglobin 1g이 분해시킨 H2O2의 μmole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혈구 CAT 활성도는 NC군의 경우 YC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N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8(우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조직 CAT 활성도는 NC군의 경우 YC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N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5. 간조직의 Glutathion peroxidase(GSH-Px) 활성도 측정
Glutathion peroxidase 활성도는 Paglia 와 Valentine (1967)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고, GSSG가 GR와 NADPH에 의하여 환원될 때 NADPH의 흡광도 감소를 측정하였다. 0.1M Tris-HCl buffer(pH 7.2) 2.6mL에 30mM glutathione 용액 0.1mL, 6mM NADPH, 및 30mM H2O2를 첨가하여 25℃에서 5분간 흡광도 변화를 34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8(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글루타티온 탈수소효소 활성도는 NC군의 경우 YC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NC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통계분석
모든 실험 결과는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SPSS package program versuib 25.0(Statistical Pas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YC군과 NC군간의 유의성 검정 및 NC군과 SV군간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Student's 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결과는 평균±S.E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Ⅲ.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에 대한 강아지풀의 효과
실시예 1. 강아지풀 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된 강아지풀(setaria viridis)은 경상북도 경산 야산에서 8~9월경에 채취하여 추출에 사용하였다. 강아지풀(전초)을 분쇄한 시료 100g에 70% 에탄올(Ethanol) 1L를 추가하여 60℃에서 3시간 추출을 3회 반복한 후 추출된 액을 여과하여 감압ㆍ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강아지풀 추출물 파우더를 수득하여 냉동 보관한 후 식이제조에 사용하였다. 추출 수율은 6.05%였다.
실시예 2. 강아지풀 추출물에 의한 체중변화 및 지방조직 중량 변화
강아지풀 추출물의 섭취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도 19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이 실험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2-1.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4주령 수컷 C57BL/6J 마우스(JA BIO, Korea)를 중아바이오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주간 펠렛 형태의 식이를 제공하여 적응시킨 후,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해 실험동물을 정상식이군(ND, normal diet), 고지방식이군(HFD, high-fat diet, 20% fat, 1% cholesterol) 및 고지방식이에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SV, HFD + 0.3%(w/w) setaria viridis ethanol extract)으로 나누어 하기 표 3의 실험식이를 제공하며 20주간 사육하였다. 동물 사육실은 항온(24±2℃), 항습(50±5%) 및 12시간 간격(AM 6:00 ~ PM 18: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였으며, 한 마리씩 개개의 케이지(cage) 안에서 실험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제공하였다(ad libitum).
2-2. 실험식이
ND군, HFD군 및 SV군의 실험식이 조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ND군은 정상식이군으로 AIN-76 semisynthetic diet를 제조하여 급여하였으며, HFD군은 AIN-76 diet에 라드(lard)와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첨가하여 20% 지방(fat) 및 1%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포함하는 고지방식이를 제조하여 급여하였다. 강아지풀 추출물 첨가군은 강아지풀 추출물을 고지방식이의 0.3%(w/w) 용량으로 설정하여 식이를 급여하였다.
Figure PCTKR2022095122-appb-img-000003
실시예 3. 강아지풀 추출물에 의한 체중 및 지방조직의 중량 변화 분석
3-1. 체중 변화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강아지풀 추출물의 섭취가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ND군, HFD군 및 SV군으로 분류하여 20주 동안 사육하면서 일주일 간격으로 체중과 식이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에 반해 SV군의 경우 실험식이 급여 12주차 부터 HFD군보다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0주 동안 체중 증가량(body weight gain)을 하루 동안의 체중 증가량(g/day)으로 환산했을 때도 HFD군에 비해 SV군의 체중 증가가 유의적으로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일 평균 식이 섭취량(Food intake) 및 에너지 섭취량(Energy intake)은 SV군과 HFD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체중 증가량을 나타내는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은 에너지 밀도가 높은 HFD군의 경우 에너지 밀도가 낮은 N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에 반해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동일한 에너지를 섭취하는 환경에서 체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2. 지방조직의 중량
강아지풀 추출물 섭취에 의한 지방조직의 중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20주간 사육한 마우스들을 12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isofloran(5mg/kg body weight, Baxter, USA)을 이용하여 마취한 후 간, 부고환 백색지방(Epididymal WAT), 신주위 백색지방(Perirenal WAT), 후복강 백색지방(Retroperitoneum WAT), 장간막 백색지방(Mesentric WAT), 피하 백색지방(Subcutaneous WAT), 내장지방(Visceral WAT), 견갑골간 백색지방(Interscapular WAT), 및 견갑골간 갈색지방(Interscapular BAT)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각 마우스의 지방조직을 식염수(0.9% saline solution) 용액에 여러 번 헹구고 물기를 제거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g 당 중량으로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나아가, 적출한 조직은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액체 질소에 급냉시켜 분석 시까지 -70℃에 보관하였다.
그 결과, 도 2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모든 부위별 지방조직의 중량이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SV군의 경우 HFD군보다 부고환 백색지방(Epididymal WAT), 신주위 백색지방(Perirenal WAT), 장간막 백색지방(Mesentric WAT), 내장지방(Visceral WAT), 및 총 백색지방(Total WAT)의 중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강아지풀 추출물이 지방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조직 및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아지풀 추출물에 의한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2에서 적출한 간조직 및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일부를 10%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용액에 24시간 고정한 다음, 같은 용액으로 2회 교환하고, 2배수 에탄올(ethanol)로 탈수하여 파라핀(paraffin)에 포매 과정을 거쳐, poly-L-lysine으로 처리된 5μm 두께의 조직 절편을 제작한 다음 hematoxylin eosin(H&E)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또한, 콜라겐과 근섬유를 염색하기 위하여 Massons' trichrome 염색(결합조직: 파란색, 핵: 검붉은색, 세포질: 분홍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4-1. 지방조직의 형태
부고환 백색지방조직을 관찰한 결과, 도 21a(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ND군에 비해 HFD군의 지방세포 크기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SV군은 HFD군에 비해 지방세포의 크기가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강아지풀 추출물이 지방조직의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실시한 결과, 도 21a(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의 지방세포에서 ND군에 비해 섬유화된 결합조직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SV군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지방조직의 섬유화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4-2. 간조직의 형태
간조직을 관찰한 결과, 도 21b(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간문맥(portal vein)을 중심으로 ND군에 비해 HFD군에서 다실의 지방구(lipid droplet)의 축적이 관찰된 반면, SV군은 HFD군에 비해 지방구 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조직의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실시한 결과, 도 21b(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간문맥 주변으로 결합조직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SV군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간조직의 섬유화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강아지풀 추출물이 혈장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5-1. 주차별 혈장 중성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
강아지풀 추출물 섭취가 혈장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마우스 사육기간 동안 4주마다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마취 없이 꼬리 채혈하여 혈장 중성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장 중성지질 농도의 경우, 실험식이 급여 4주차에 ND군의 혈장 중성지질 농도가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이후 실험기간에서는 그룹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경우, HFD군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식이 급여 4주 차부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SV군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식이 급여 8주 차부터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5-2. 혈장 지질농도
상기 실시예 3-2에서 지방조직 적출 전 복부 하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3,000rpm, 4℃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혈장을 수집하였고 시료 분석 시까지 -70℃에 보관하였다. 보관한 혈장으로부터 혈장 중성지질(Triglyceride),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apolipoprotein A-1(Apo A-1) 및 apolipoprotein B(Apo B) 농도를 비교하였다. 이 때, 혈장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아산제약(Asan Pharm Co., Seoul, Korea)의 효소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유리지방산 함량은 효소법을 이용한 발색법 원리를 이용한 유리지방산 측정용 시액(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kit, 신양화학)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혈장 apolipoprotein A-1(Apo A-1) 및 apolipoprotein B(Apo B) 농도는 Apo A-1 및 Apo B 측정용 kit(日東紡績株式會社,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CTKR2022095122-appb-img-000004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혈장 유리지방산, 중성지질 및 Apo B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혈장 지질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이상지질 개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조직 중량 및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6-1. 간조직의 중량
상기 실시예 3-2의 방법으로 간조직의 중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g 당 중량으로 나타내어 비교한 결과,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간조직의 중량이 급격하게 증가된 비대 현상이 관찰된 반면,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2. 간조직 지질함량
간조직의 지질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2에서 냉동 보관한 간조직의 지질을 Folch 등(1957)의 방법을 따라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37℃에서 질소가스로 휘발시켜 아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희석하였다. 정량을 위해 효소 시약에 유화제로 3mM 콜산(cholic acid)와 발색 시 일어나는 탁도를 제거하기 위해 0.5% Triton X-100을 혼합하여 지질 성분을 추출한 후 혈장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및 유리지방산 정량법과 동일하게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간조직 지질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SV군의 경우에는 HFD군에 비해 간조직 지질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지방간 개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6-3. 간조직의 지질대사 효소 활성도
간조직 내 효소원 분리를 위해 Hulcher 등(1973)이 실시한 분리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3-2에서 냉동 보관한 간조직 0.5g을 0.1M triethanolamine, 0.02M ethylenediamine tetracetate(EDTA, pH 7.4), 0.002M dithiothreitol(DTT)가 포함된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빙냉 상태에서 glass teflon homogenizer(Glascol, 099C K44, USA)로 균질화한 후, 3,000rpm, 4℃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만 다시 13,000rpm, 4℃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이 중 상층액과 분리된 하층의 침전물은 mitochondria 분획으로 사용하였으며, 상층액은 32,500rpm, 4℃에서 1시간 동안 초원심분리기(Beckman, Optima TLX-120, USA)를 이용하여 상층액의 세포질(cytosol) 분획을 수득 하였다. microsome 분획은 상층액의 세포질 분획과 분리된 펠렛에 동일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33,000rpm, 4℃에서 40분간 다시 초 원심 분리한 후 펠렛을 1ml 완충용액에 녹여 -70℃에 보관하였다가 분석 및 단백질 정량에 사용하였다.
6-3-1. Fatty acid synthase(FAS) 활성도 측정
FAS 활성도는 Carl 등(1975)이 실시한 방법을 수정 ㆍ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625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0) 200μL, 20mM EDTA 50μL, 20mM β-mercaptoethanol 50μL, 165μM acetyl-CoA 200μL, 500μM malonyl-CoA 200μL 및 500μM NADPH 200μL를 첨가하고 세포질 분획(50~100μg) 100μL를 섞어 30℃에서 2분간 반응시킨 후 흡광도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중성지질 합성 관련 효소인 FAS의 활성도는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3-2. Malic enzyme(ME) 활성도 측정
ME(EC 1.1.1.40) 활성도 측정은 Ochoa(1955)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0.4M triethanolamine(pH 7.4) 500μL, 30mM malic acid 50μL, 0.12M MgCl2 10μL, 3.4mM NADP+ 200μL 및 효소원인 cytosol 150μL를 첨가한 후 26℃에서 1분 간 생성된 NADPH의 흡광도 변화를 34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중성지질 합성 관련 효소인 ME의 활성도는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3-3.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PAP) 활성도 측정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PAP) 활성 측정은 Walton 등(1985)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0.05 M Tris-HCl(pH 7.0), 1.25mM Na2-EDTA, 1mM MgCl2의 첨가와 무첨가 반응액 50uL에 0.9% NaCl 용액에 용해시켜 1 mM phosphatidate 및 phosphatidylcholine을 함유한 기질 50uL를 가한 다음 microsome 분획 0.1mL을 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37℃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1.8M H2SO4 0.1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0.13% sodium dodecyl sulfate 용액 0.1mL와 1.25% ascrobic acid, 0.32% ammonium molybdate를 각각 0.25mL 가하고, 45℃에서 20분간 반응ㆍ발색시킨 후 8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중성지질 합성 관련 효소인 PAP의 활성도는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3-4.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G6PD) 활성도 측정
G6PD 활성도는 NADP+가 NADPH로 환원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Pitkanen, 1997). 3.3mM MgCl2를 함유하는 55mM Tris-HCl(pH 7.8) 900μL에 6mM NADP+ 40μL, 0.1M glucose-6-phosphate 40μL, 그리고 세포질 분획 20μL를 첨가한 후 340nm(25℃)에서 90초 동안 NADPH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중성지질 합성 관련 효소인 G6PD의 활성도는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강아지풀 추출물이 항산화 관련 바이오마커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아지풀 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질과산화물, 글루타티온, 및 과산화수소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7-1. 적혈구 및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TBARS; Thiobarbituricacid reactive substance)
적혈구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측정은 Tarladgis 등(1964)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적혈구는 McCord와 Fridovich(1969)의 방법에 준하여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5에서 헤파린 처리된 혈액을 3,000rpm, 4℃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과 buffy coat를 완전히 제거한 후 0.9% 생리식염수로 세 번 세척하여 적혈구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적혈구 50uL에 5% triochloroacetic acid(TCA) 3mL와 0.06M thiobarbituric acid(TBA) 1mL를 첨가하여 80℃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것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2,000rpm, 25℃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5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ipid Peroxidation(MDA) 표준용액은 TMP 1mmol을 0.01N HCl 용액 100mL에 녹여 50℃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MDA로 TMP를 가수분해 시킨 후, 가수분해된 TMP 용액 1mL을 0.01M Na3PO4(pH 7.0) buffer 100mL에 희석시켜 MDA 표준용액(1×10-4M)을 제조하였다. 267nm에서 MDA 표준용액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어 extinction coefficient로부터 정확한 농도를 계산하여 보정한 후 TBA-MDA chromopore 표준곡선을 얻고, 이 곡선으로부터 TBA 반응물질의 양을 MDA 흡광계수로 산출하였다.
나아가, 간조직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Ohkawa 등(1979)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3-2에서 냉동 보관한 간조직 0.5g을 0.1M triethanolamine, 0.02M EDTA(pH 7.4), 0.002M DTT가 포함된 완충용액에 첨가하여 빙냉 상태에서 glass teflon homogenizer(Glascol, 099C K44, USA)로 균질화하였다. 균질액 0.2mL, 8.1% sodium dodecyl sulfate(SDS) 용액 0.2mL 및 증류수 0.6mL를 섞어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 후 20% acetate(pH 3.5) buffer 1.5mL과 0.8% TBA 1.5mL를 첨가하여 9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시료를 실온으로 냉각시켜 증류수 1mL와 n-butanol:pyridine(15:1) 용액 5mL를 첨가하였고 3,000rpm, 20℃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의 흡광도를 532nm에서 측정하였다. MDA 표준용액은 TMP을 가수분해하여 267nm에서 나온 TBA 반응물질의 양을 MDA 흡광계수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혈구와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 수준은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2. 혈장 및 간조직의 글루타티온(GSH; glutathione)
글루타티온 함량은 산화형 GSH과 환원형 GSH 모두를 포함한다. 간조직 글루타티온 함량은 Fiala 등(1976)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3-2에서 보관한 간조직 0.5g을 0.1M triethanolamine, 0.02M EDTA(pH 7.4), 0.002M DTT가 포함된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빙냉 상태에서 glass teflon homogenizer(Glascol, 099C K44, USA)로 균질화하였다. 균질액 0.2mL에 증류수 0.3mL와 4% sulfosalicylic acid 0.5mL를 첨가하여 25,000rpm, 4℃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0.3mL의 상층액에 0.1M disulfide reagent(5.5'-dithiobis + 0.1 M sodiumphosphate buffer, pH 8.0) 2.7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41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나아가, 혈장 글루타티온 함량은 상기 실시예 7-1에서 수득한 적혈구를 동량의 증류수로 용혈시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혈구 및 간조직의 글루타티온 함량은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3. 적혈구 및 간조직의 Glutathion reductase (GR) 활성도 측정
글루타티온 환원효소(Glutathion reductase) 활성도는 GSSG가 NADPH와 GR의 작용으로 GSH로 환원될 때 NADPH가 감소되는 정도를 Pinto 등(1969)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1M potassium phosphate buffer(KH2PO4:K2HPO4, pH 7.4) 0.1mL에 증류수 780μL를 첨가한 후 0.1M EDTA 10μL, 10mM GSSG 100μL, 효소원인 세포질(cytosol) 및 적혈구 10μL, 및 NADPH 10μL를 순서대로 첨가한 후 340nm(25℃)에서 2분 동안 흡광도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혈구의 글루타티온 환원효소 함량은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간조직의 글루타티온 환원효소 함량은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4. 적혈구 및 간조직의 Glutathion peroxidase(GPx) 활성도 측정
글루타티온 탈수소효소(Glutathion peroxidase) 활성도는 Paglia와 Valentine(1967)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고, 산화형 글루타티온(GSSG)이 glutathione reductase와 NADPH에 의하여 환원될 때 NADPH의 흡광도 감소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0.1M Tris-HCl buffer(pH 7.2) 2.6mL에 30mM glutathione 용액 0.1mL, 6mM NADPH, 및 30mM H2O2를 첨가하여 25℃에서 5분 동안 흡광도 변화를 34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혈구의 글루타티온 탈수소효소 함량은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간조직의 글루타티온 탈수소효소 함량은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5. 적혈구 및 간조직의 Hydrogen peroxide(H202) 함량 측정
Hydrogen peroxide(H202) 함량은 Wolff, S. P.(1994)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체내 과산화수소(H202)는 Fe2+이온이 Fe3+이온으로 산화되는 과정에 관여하며, 산화될 때 xylenol orange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H202)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ddH2O 600μL에 0.25M H2SO4 100μL, 1M Sorbitol 100μL, 2.5mM Ammonium Iron(Ⅱ)sulfatehexahydrate 100μL, 1mM Xylenol orange 100μL를 첨가하여 만든 시약 950μL에 효소원인 세포질(cytosol),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및 적혈구 50μL를 첨가한 후 560nm(25℃)에서 30분 동안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와 세포질 및 적혈구의 과산화수소 함량은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조직 독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세포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간세포 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와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GOT와 GPT의 활성도는 상기 실시예 5-2에서 수집한 혈액에서 혈장 GOT 및 GPT를 아산제약(Asan Pharm Co., Seoul, Korea)의 효소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된 혈장 GOT 및 GPT 함량을 나타냈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혈장 GOT 및 GPT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아지풀 추출물이 간독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 강아지풀 추출물이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아지풀 추출물이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혈장 및 간조직 내 당신생 관련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9-1. 혈장 glucose 함량 측정
혈장 glucose 함량 측정을 위해 glucose 측정용 시액(Asan kit, Korea)을 사용하였다. Glucose는 Glucose oxidase의 작용에 의해 gluconic acid와 hydrogen peroxide가 되고 hydrogen peroxide는 peroxidase를 생성하고 phenol과 4-aminoantipyrine을 산화적으로 축합시켜 키논형 적색 색소를 생성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혈장 200μL에 효소시액 3mL를 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500nm(VERSAmax, Moleculardevices Co, USA)에서 생성된 키논형 적색 색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glucose 표준용액과 비교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장 glucose 함량은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2. 혈장 insulin 농도 측정
혈장 insulin은 Insulin ELISA kit(Shibayagi,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HOMA-IR(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산출하였다: [fasting insulin concentration(mU/L)] × [fasting glucose concentration(mg/dL) × 0.05551] / 22.5.
그 결과,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insulin 함량 및 HOMA-IR은 HFD군의 경우 N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3. 간조직 Glucose-6-phosphatase(G6Pase) 활성도 측정
G6Pase 활성도 측정은 Alegre 등(1988)의 방법을 수정ㆍ적용하였다. 131.6mM Hepes(pH 6.5) 765μL에 18mM EDTA(pH 6.5) 100μL 및 265mM glucose-6-phosphate glucose dehydrogenase를 각각 0.6IU/mL와 6IU/mL가 되도록 첨가하여 37℃에서 4분간 전반응 시켰다. 여기에 microsome 분획(15μg) 5μL를 가하여 37℃에서 4분간 반응시킨 후 340 nm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당신생 합성 관련 효소인 G6Pase의 활성도는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9-4. 간조직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PEPCK) 활성도 측정
PEPCK 활성도는 Bentle과 Lardy(1976)의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측정하였다. 반응액으로는 76.92mM Hepes-NaOH(pH 6.5) 650μL에 10mM DTT(dithiothreitol) 100μL, 500mM NaHCO3 100μL, 10mM MnCl2 100μL, 25mM NADH 10μL를 첨가하고 L-malate dehydrogenase, IDP(inosine-5'-diphosphate) 및 PEP(phosphoenolpyruvate)를 각각 7.2 unit, 1mM 및 2mM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후 효소원인 세포질 분획 10μL를 가하여 25℃, 340nm에서 2분 동안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조직의 당신생 합성 관련 효소인 PEPCK의 활성도는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5. 혈장 GIP 함량 측정
혈장 GIP 함량 측정은 Multiplex detection kit(Bio-Rad, USA) 및 Luminex 200 Labmap system(Bio-Rad, USA)을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은 Bio-Plex manager software version 5.0(Bio-rad)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장 GIP 함량은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6. 혈장 Leptin 함량 측정
혈장 Leptin 함량 측정은 Multiplex detection kit(Bio-Rad, USA) 및 Luminex 200 Labmap system(Bio-Rad, USA)을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은 Bio-Plex manager software version 5.0(Bio-rad)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장 Leptin 함량은 HFD군의 경우 N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V군의 경우 HFD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통계분석
모든 실험 결과는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SPSS package program versuib 25.0(Statistical Pas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ND군과 HFD군간의 유의성 검정 및 HFD군과 SV군간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Student's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결과는 평균±S.E로 표시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풀 추출물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없거나 적으며, 근육량 및 근력을 증가시키고, 근육조직의 섬유화를 억제하며, 항산화 대사를 개선하고, 근육 내 지질축적 억제를 통해 근육세포의 질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 개발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풀 추출물은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억제시키며, 산화적 손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상지질개선 효능, 인슐린저항성 개선 효능 및 지방간, 간독성 및 섬유증 개선 효과가 있으므로 비만 및 체지방 개선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42)

  1.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은 근감소증, 근위축증, 근육 퇴행 위축(muscle dystrophy) 및 심위축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감소증은 노화성 근감소증 또는 비만성 근감소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a) 근육량 증가;
    (b) 근육량 감소 억제;
    (c) 근력 증가;
    (d) 근육조직 지질함량 증가 억제; 및
    (e) 근육조직 섬유화 억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a) 체중 및 체지방 증가 억제;
    (b) 간조직 또는 지방조직의 섬유화 억제;
    (c) 혈장 지질농도 증가 억제;
    (d) 간조직 지질함량 증가 억제;
    (e) 혈장 간독성 지표 증가 억제;
    (f) 지질과산화물 증가 억제;
    (g) 항산화 대사 개선; 및
    (h) 혈당 증가 억제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7.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은 근감소증, 근위축증, 근육 퇴행 위축(muscle dystrophy) 및 심위축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감소증은 노화성 근감소증 또는 비만성 근감소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a) 근육량 증가;
    (b) 근육량 감소 억제;
    (c) 근력 증가;
    (d) 근육조직 지질함량 증가 억제; 및
    (e) 근육조직 섬유화 억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a) 체중 및 체지방 증가 억제;
    (b) 간조직 또는 지방조직의 섬유화 억제;
    (c) 혈장 지질농도 증가 억제;
    (d) 간조직 지질함량 증가 억제;
    (e) 혈장 간독성 지표 증가 억제;
    (f) 지질과산화물 증가 억제;
    (g) 항산화 대사 개선; 및
    (h) 혈당 증가 억제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13.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강화용 조성물.
  14.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강화용 사료 조성물.
  15.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6.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17.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강아지풀 추출물의 용도.
  18.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력 강화 방법.
  19.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근력 강화 용도.
  20. 근력 강화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강아지풀 추출물의 용도.
  21.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관련 합병증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내당능장애; 내장지방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지방간; 및 담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조직 또는 지방조직의 섬유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지질농도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조직 지질함량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간독성 지표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0.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관련 합병증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내당능장애; 내장지방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지방간; 및 담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강아지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조직 또는 지방조직의 섬유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지질농도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조직 지질함량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간독성 지표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40.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41. 강아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42. 강아지풀 추출물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용도.
PCT/KR2022/095122 2021-09-10 2022-09-08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303850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1251 2021-09-10
KR10-2021-0121126 2021-09-10
KR10-2021-0121251 2021-09-10
KR1020210121126A KR20230038355A (ko) 2021-09-10 2021-09-10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22-0112990 2022-09-06
KR1020220112990A KR102642550B1 (ko) 2021-09-10 2022-09-06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506A1 true WO2023038506A1 (ko) 2023-03-16

Family

ID=8550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95122 WO2023038506A1 (ko) 2021-09-10 2022-09-08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3850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13B1 (ko) * 2004-01-15 2005-01-14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조성물
CN107072980A (zh) * 2014-08-22 2017-08-18 麦迪帕斯有限公司 在药物递送中使用的用于大麻素包衣的组合物和方法
KR101913235B1 (ko) * 2018-02-05 2018-10-30 최성철 애기참반디, 강아지풀, 하늘매발톱 및 홍지네고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68794B1 (ko) * 2019-05-30 2020-01-22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KR102092254B1 (ko) * 2019-11-26 2020-03-23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13B1 (ko) * 2004-01-15 2005-01-14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조성물
CN107072980A (zh) * 2014-08-22 2017-08-18 麦迪帕斯有限公司 在药物递送中使用的用于大麻素包衣的组合物和方法
KR101913235B1 (ko) * 2018-02-05 2018-10-30 최성철 애기참반디, 강아지풀, 하늘매발톱 및 홍지네고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68794B1 (ko) * 2019-05-30 2020-01-22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 화장료 조성물 및 동물용 의약 조성물
KR102092254B1 (ko) * 2019-11-26 2020-03-23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04902A2 (en)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fatigue recovery and antioxidation activity comprising panax species plant leaves extract or processed panax species plant leaves extract, or mixture of the both
WO2017030410A1 (ko) 검정콩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놀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8124508A1 (ko)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또는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2124888A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al combin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WO2011136573A2 (ko) 비만 치료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효모 가수분해물
WO2014027832A1 (ko)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67316A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23038506A1 (ko)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5160226A1 (ko) 레드클로버 및 석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여성 갱년기 개선 용도
WO2010090498A2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WO2010041908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WO2009104913A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mixed herbs with lonicera japonica thunb and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c diseases
WO2014189176A1 (ko) 체중 감소용 감태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38287A1 (ko) 샐러리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63318A1 (ko) 단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발효 생성물 및 그의 과체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WO2012081831A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oranthus yadoriki sieb having monoamine oxidase-inhibiting activity
WO2012138146A9 (ko) 돌콩의 열처리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30038110A (ko)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17677A2 (ko)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21206455A1 (ko) 멜리사엽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규한 약학적 조성물
WO2017192013A1 (ko) 팥을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WO2015046743A1 (ko)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1122805A2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joene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caused by overexpression of lxr-alpha
WO2023075489A1 (ko) 황칠나무 수액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016901A1 (ko)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77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