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38146A9 - 돌콩의 열처리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돌콩의 열처리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2138146A9 WO2012138146A9 PCT/KR2012/002574 KR2012002574W WO2012138146A9 WO 2012138146 A9 WO2012138146 A9 WO 2012138146A9 KR 2012002574 W KR2012002574 W KR 2012002574W WO 2012138146 A9 WO2012138146 A9 WO 2012138146A9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serum
- group
- powder
- week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08000002249 Diabetes Complication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06010012655 Diabetic complication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4000062387 Glycine soj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31226 Hyperlipidae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26106 cerebr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6010008132 Cerebral thromb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1000001429 Intracranial Thromb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08118 cerebral infar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218 chewing g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112822 chewing gum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2218 hypoglycaem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56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3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5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group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4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99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99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8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7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8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7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5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2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52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52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9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35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9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9
- 208000001072 type 2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9
- XZWYZXLIPXDOLR-UHFFFAOYSA-N metformin Chemical compound CN(C)C(=N)NC(N)=N XZWYZXLIPXDO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8
- 229960003105 metformin Drugs 0.000 description 26
- 101100402621 Homo sapiens MSANTD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5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5
- 102100031642 Myb/SANT-like DNA-binding domain-containing protein 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5
- DSCFFEYYQKSRSV-KLJZZCKASA-N D-pinitol Chemical compound CO[C@@H]1[C@@H](O)[C@@H](O)[C@H](O)[C@H](O)[C@H]1O DSCFFEYYQKSRSV-KLJZZCKASA-N 0.000 description 24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DSCFFEYYQKSRSV-UHFFFAOYSA-N 1L-O1-methyl-muco-inositol Natural products COC1C(O)C(O)C(O)C(O)C1O DSCFFEYYQKSR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VJXUJFAZXQOXMJ-UHFFFAOYSA-N D-1-O-Methyl-muco-inositol Natural products CC12C(OC)(C)OC(C)(C)C2CC(=O)C(C23OC2C(=O)O2)(C)C1CCC3(C)C2C=1C=COC=1 VJXUJFAZXQOXM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1
- 229930002877 anthocya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4410 anthocya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5000010208 anthocya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150000004636 anthocya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3178 anti-diab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10000002216 heart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01000010063 epididym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06010022489 Insulin Resist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01 m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72 mouse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472 antidiabe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21374 legum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108010010234 HDL Lip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2000015779 HDL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08010007622 LDL Lip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102000007330 LDL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CDAISMWEOUEBRE-UHFFFAOYSA-N inositol Chemical compound OC1C(O)C(O)C(O)C(O)C1O CDAISMWEOUEBR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28 insulin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356 lipid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5228 liver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8
- 108010028554 LDL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888 aut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647 drug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887 Necr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92 Student's t-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40069765 bean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01 experimental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1000001421 hyperglyc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108010023302 HDL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742 biochem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1050 fee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914 insulin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40077274 Alpha glucosid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4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8214 LDL Cholesterol Methods 0.000 description 4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4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4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215 acute (single dose) toxicity test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47 acute toxicity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75 animal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23 aqueous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712 soy bean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IYZWUWBAFUBNCH-UHFFFAOYSA-N 2,6-dichlorobiphenyl Chemical compound ClC1=CC=CC(Cl)=C1C1=CC=CC=C1 IYZWUWBAFUBN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123208 Biguanide Drugs 0.000 description 3
- XNCOSPRUTUOJCJ-UHFFFAOYSA-N Biguanide Chemical compound NC(N)=NC(N)=N XNCOSPRUTUOJ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8711 Facilitative Glucose Transport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52347 Glucose transporter family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9851 Hepatotoxic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100389 Sulfonylurea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88 alpha glucosid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38 ethyl acetate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641 glyc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86 hepa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304 hepa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YROXIXLRRCOBKF-UHFFFAOYSA-N sulfonylurea Chemical class OC(=N)N=S(=O)=O YROXIXLRRCOB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FRWNAQDBODEVAL-VMPITWQZSA-N (5e)-5-[(4-nitrophenyl)methylidene]-2-sulfanylidene-1,3-thiazolidin-4-one Chemical compound C1=CC([N+](=O)[O-])=CC=C1\C=C\1C(=O)NC(=S)S/1 FRWNAQDBODEVAL-VMPITWQZSA-N 0.000 description 2
- QNMKGMUGYVWVFQ-UHFFFAOYSA-N 2alpha-Hydroxyursolic acid Natural products CC12CC(O)C(O)C(C)(C)C1CCC1(C)C2CC=C2C3C(C)C(C)(C)CCC3(C(O)=O)CCC21C QNMKGMUGYVWV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060 Abdominal dis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51325 Glucago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60003199 Glucago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3016 Hypoglyc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1150046735 LEPR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50063827 LEPROT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1071917 Lithosperm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9205 Tinn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7584 Type 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99 Zingib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330 bloa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34 butanolic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MASNOZXLGMXCHN-ZLPAWPGGSA-N glucagon Chemical compound C([C@@H](C(=O)N[C@H](C(=O)N[C@@H](CCC(N)=O)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SC)C(=O)N[C@@H](CC(N)=O)C(=O)N[C@@H]([C@@H](C)O)C(O)=O)C(C)C)NC(=O)[C@H](CC(O)=O)NC(=O)[C@H](CCC(N)=O)NC(=O)[C@H](C)NC(=O)[C@H](CCCNC(N)=N)NC(=O)[C@H](CCCNC(N)=N)NC(=O)[C@H](CO)NC(=O)[C@H](CC(O)=O)NC(=O)[C@H](CC(C)C)NC(=O)[C@H](CC=1C=CC(O)=CC=1)NC(=O)[C@H](CCCCN)NC(=O)[C@H](CO)NC(=O)[C@H](CC=1C=CC(O)=CC=1)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N)=O)NC(=O)[C@H](CO)NC(=O)[C@@H](N)CC=1NC=NC=1)[C@@H](C)O)[C@@H](C)O)C1=CC=CC=C1 MASNOZXLGMXCHN-ZLPAWPGG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666 glucagon Drugs 0.000 description 2
- ZNNLBTZKUZBEKO-UHFFFAOYSA-N glyburide Chemical compound COC1=CC=C(Cl)C=C1C(=O)NCCC1=CC=C(S(=O)(=O)NC(=O)NC2CCCCC2)C=C1 ZNNLBTZKUZBE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89 hemat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1476 lactos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30159 metabol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86 tinnitus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DSCFFEYYQKSRSV-FEPQRWDDSA-N (-)-Quebrachitol Natural products COC1[C@@H](O)[C@@H](O)C(O)[C@H](O)[C@H]1O DSCFFEYYQKSRSV-FEPQRWDDSA-N 0.000 description 1
- XUFXOAAUWZOOIT-SXARVLRPSA-N (2R,3R,4R,5S,6R)-5-[[(2R,3R,4R,5S,6R)-5-[[(2R,3R,4S,5S,6R)-3,4-dihydroxy-6-methyl-5-[[(1S,4R,5S,6S)-4,5,6-trihydroxy-3-(hydroxymethyl)-1-cyclohex-2-enyl]amino]-2-oxanyl]oxy]-3,4-dihydroxy-6-(hydroxymethyl)-2-oxanyl]oxy]-6-(hydroxymethyl)oxane-2,3,4-triol Chemical compound O([C@H]1O[C@H](CO)[C@H]([C@@H]([C@H]1O)O)O[C@H]1O[C@@H]([C@H]([C@H](O)[C@H]1O)N[C@@H]1[C@@H]([C@@H](O)[C@H](O)C(CO)=C1)O)C)[C@@H]1[C@@H](CO)O[C@@H](O)[C@H](O)[C@H]1O XUFXOAAUWZOOIT-SXARVLRP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SCFFEYYQKSRSV-GWJPIIGYSA-N 1D-5-O-methyl-myo-inositol Chemical compound CO[C@@H]1[C@@H](O)[C@H](O)[C@H](O)[C@H](O)[C@H]1O DSCFFEYYQKSRSV-GWJPIIG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37 B-cell of pancreatic isle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164374 Caly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THCMJGKKRQCBF-UHFFFAOYSA-N Cellulose, microcrystallin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C(CO)O1 PTHCMJGKKRQC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522 Citrus pyr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573881 Coro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928 Dyslipid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THNMHAUYICORS-KTKZVXAJSA-N Glucagon-like peptide 1 Chemical compound C([C@@H](C(=O)N[C@@H]([C@@H](C)CC)C(=O)N[C@@H](C)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O)N[C@@H](CCCCN)C(=O)NCC(=O)N[C@@H](CCCNC(N)=N)C(N)=O)NC(=O)[C@H](CCC(O)=O)NC(=O)[C@H](CCCCN)NC(=O)[C@H](C)NC(=O)[C@H](C)NC(=O)[C@H](CCC(N)=O)NC(=O)CNC(=O)[C@H](CCC(O)=O)NC(=O)[C@H](CC(C)C)NC(=O)[C@H](CC=1C=CC(O)=CC=1)NC(=O)[C@H](CO)NC(=O)[C@H](CO)NC(=O)[C@@H](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O)=O)NC(=O)[C@H](C)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C=C1 DTHNMHAUYICORS-KTKZVXAJSA-N 0.000 description 1
- 101800000224 Glucagon-like peptid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378 Hyperinsulin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953 Hypo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267 Lep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2277 Lep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170 Lipid metabolis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IBAQFPQHRJAVAV-ULAWRXDQSA-N Miglitol Chemical compound OCCN1C[C@H](O)[C@@H](O)[C@H](O)[C@H]1CO IBAQFPQHRJAVAV-ULAWRXDQ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790 Musa x paradis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813 Naus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9155 Nephropathy tox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40918 Pro-glucago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647 Renal Insuf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430 Retina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03601 Ros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914 Skin rea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80 Urtica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017 Weight G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9 abdominal f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32 acarb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XUFXOAAUWZOOIT-UHFFFAOYSA-N acarviostatin I01 Natural products OC1C(O)C(NC2C(C(O)C(O)C(CO)=C2)O)C(C)OC1OC(C(C1O)O)C(CO)OC1OC1C(CO)OC(O)C(O)C1O XUFXOAAUWZOO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0806 amary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531 ano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003 anti-diabetic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43 atheroscler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59 blood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34 blood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79 cell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87 cel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44 chromium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326 cop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428 decreased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2 deficie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9126 diabet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823 dietary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30 endogenous glucose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5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07 exercis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88 free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89 gene mutation induc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7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80 glibencla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WIGIZIANZCJQQY-RUCARUNLSA-N glimepiride Chemical group O=C1C(CC)=C(C)CN1C(=O)NCCC1=CC=C(S(=O)(=O)NC(=O)N[C@@H]2CC[C@@H](C)CC2)C=C1 WIGIZIANZCJQQY-RUCARUNLSA-N 0.000 description 1
- ZJJXGWJIGJFDTL-UHFFFAOYSA-N glipizide Chemical compound C1=NC(C)=CN=C1C(=O)NCCC1=CC=C(S(=O)(=O)NC(=O)NC2CCCCC2)C=C1 ZJJXGWJIGJFD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10 gluconeogen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884 glucophag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29 glucose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991 glucot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13 gro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51 hyperinsulina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980 hyperinsulin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575 hypertriglycerid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904 hypoglycaem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3 hypoten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67 inos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85 intracerebroventri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03 i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169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370 kidney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MPHSYLJUKZBJJ-UHFFFAOYSA-N lauric acid triglycer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OC(=O)CCCCCCCCCCC VMPHSYLJUKZB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RYBAZVQPHGZNS-ZSOCWYAHSA-N leptin Chemical compound O=C([C@H](CO)NC(=O)[C@H](CC(C)C)NC(=O)[C@H](CC(O)=O)NC(=O)[C@H](CC(C)C)NC(=O)[C@H](CCC(N)=O)NC(=O)[C@H](CC=1C2=CC=CC=C2NC=1)NC(=O)[C@H](CC(C)C)NC(=O)[C@@H](NC(=O)[C@H](CC(O)=O)NC(=O)[C@H](CCC(N)=O)NC(=O)[C@H](CC(C)C)NC(=O)[C@H](CO)NC(=O)CNC(=O)[C@H](CCC(N)=O)NC(=O)[C@@H](N)CC(C)C)CCSC)N1CCC[C@H]1C(=O)NCC(=O)N[C@@H](CS)C(O)=O NRYBAZVQPHGZNS-ZSOCWYAH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781 lep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2197 lipoprotein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1 macrog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SNNHWWHGAXBCP-UHFFFAOYSA-L magnesium sulphate Substances [Mg+2].[O-][S+2]([O-])([O-])[O-] CSNNHWWHGAXBC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ETHQSJEHLVLGH-UHFFFAOYSA-N metformin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N(C)C(=N)N=C(N)N OETHQSJEHLVL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10 mig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68 minimum lethal dos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93 nause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94 nephr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7 nephr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092 no hepa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38 oral antidiabe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209 oral hypoglycaem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pH adjust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96 pancrea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0 patholo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79 physiological effects,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7 phytochemic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9 plant analys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0223 plant secondary metabolit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700 rosac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3 skin re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30 skin reac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9 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155 toxicity by orga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75 toxicity by org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664 type 2 diabetes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diabetic complications containing the heat treatment powder or extract of dolbeans having a hypoglycemic effect as an active ingredient.
- Diabetes mellitus is a disease in which hyperglycemia occurs because cells in the body cannot use sugar due to decreased insulin secretion or reduced insulin function.
- hormone imbalance including insulin
- hyperglycemia is a characteristic of hyperglycemia due to abnormal physiological metabolic control functions such as carbohydrate-containing protein, lipid and electrolyte metabolism, and if such hyperglycemia persists, blood circulation disorders, retinal damage, nerve cell damage, It causes kidney failure, vascular complications and serious chronic complications.
-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cerebral infarction, cerebral thrombosis, and myocardial infarction is higher in diabetic patients than normal patients (Fuller, J.H., Lancet, 1, pp1373-1376, 1980).
- Diabetes patients have a high risk of death from coronary artery disease or cerebrovascular disease, which are often caused by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besity, etc. (Hu-Beom Bum.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Abstract, pp. 15-18, 1984). It has been reported that 67% of people with type 2 diabetes have more than one or more types of lipid metabolism (Harris, M.I. Diabetes Care, 23, pp754-758, 2000).
- Diabetes is defined as a metabolic disorder caused by insulin secretion and a lack of action of insulin secreted by pancreatic cells and involves excessive production of glucose, breakdown of body fat and waste of protein, and abnormal glands of glucagon, resulting in metabolic disruption. causes (Abrams, JJ, Ginsberg, H, et al., Diabetes, 31, pp 903-910, 1982).
- Diabetes mellitus is characterized by two types.Type 1 diabetes mellitus is caused by a deficiency of insulin, a glucose-regulating hormone in the blood, mainly 10-20. It is called juvenile diabetes because it occurs in younger generations. Type 2 diabetes mellitus occurs mainly after the age of 40, and accounts for most of the diabetic patients in Korea. Type 2 diabetes is called adult type diabetes, and the cause of the disease is not clear yet, but it is known to be caused by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the etiology of type 2 diabetes, both insulin secretion disorders in pancreatic beta cells and insulin action defects (insulin resistance) in target cells are observed.
- the most important goal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is to control blood glucose levels as close to normal as possible. After fasting blood sugar control along with fasting blood glucose is important for improving diabetes and preventing and treating complications. There is exercise therapy.
- Oral hypoglycemic agents currently used in type 1 and type 2 diabetics include alpha-glucosidase inhibitors, sulfonylurea preparations, and biguanide preparations.
- Alpha-glucosidase inhibitors have a therapeutic effect on diabetes by delaying the digestion and absorption of carbohydrates in the diet, reducing the rise of blood sugar and insulin in the diet, and not causing hyperinsulinemia or hypoglycemia, and promoting insulin secretion.
- Glucagon-like peptide-1 which inhibits glucagon secretion, promotes secretion in the small intestine (Mooradian, AD, Thurman, JE et al., Drugs, 57, pp 19).
- alpha-glycosidase inhibitors may cause side effects, such as bloating, vomiting and diarrhea in some patients, which may limit their use (Hanefeld, M. et al.,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12, pp 228-237, 1998).
- alpha-glucosidase inhibitors include Acarbose, Boglibose and Miglitol. Sulfonylurea preparations lower blood sugar by helping the body release more insulin, helping the body respond to insulin, and by preventing the liver from storing glucose in the blood.
- Side effects of the sulfonylurea preparations include gastrointestinal disorders such as constipation, diarrhea, nausea and vomiting, skin reactions such as itching, hives, and weight gain.
- Drugs belonging to this class include glymepiride (Amaryl TM), glypizide (glucotrol TM), glyburide (diabeta®), and the like.
- Biguanide preparations are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metformin (glucophage TM), which allows the liver to release more stored glucose more slowly and help the body respond to insulin to keep blood sugar more constant. Let it be.
- Side effects of biguanide preparations include nausea, bloating, cramping, diarrhea, anorexia, and the like.
- Glycine soja Siebold & Zucc Is a vine that belongs to Zingiberaceae and is 2m long and has brown coarse hairs throughout.
- the leaves are rosacea, the petioles are long, and 3 leaves.
- the leaf is elliptical lanceolate, dull, 3-8cm long, flat at the edge, and the chin leaf is broad lanceolate.
- Flowers blossom in purple to purple in July-August, with total inflorescences of 2-5cm in length.
- Calyxes are bell-shaped, hairy, split into five.
- Corollas are butterfly-shaped. There are 10 surgeries, each divided into two.
- Fruits are 2 ⁇ 3cm long, hairy, similar to bean pods, and seeds are oval or kidney-like, slightly flat (Lee Young-no, Illustrated Color Plant of Korea, Kyohaksa, 403p, 1998).
- Dol-beans are called gangmi-do and greenery as tinnitus, and they are called Yadu-dou and Yaryo-du (Andeok-gyun, the book of Korean Herb, Kyohaksa, 728p, 2000).
- Dol-bean is considered to be the origin of soybean ( Glycine max ), and it is currently recognized as edible, but it is rarely used for food. Most of it is native to nature and has strong genes. Some of them are grown.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107183 discloses antidiabetic effects such as hypoglycemia of powder or extract of rat eye vinegar soybeans soaked in vinegar for 10 days. The effect is started.
- Rat eye bean is a perennial perennial of legumes, also called Seomoktae, Yeodu, etc .. In particular, it is known to be used for kidney disease, blood circulation, and detoxification, and is used for small thirst.
- Rat eye beans are larger than dol beans in appearance and are distinguished from dol beans in appearance. Unlike dol beans, they are currently used for food.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4503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containing an anthocyanin extracted from a black soybean (Glycine max) shell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anthocyanin extracted from black soybean reduces glucose in the body or Or it is described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by inhibiting apoptosis of pancreatic cells.
-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27728 soybean extract or fractions extracted with low concentrations of low alcohol have excellent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improve obesity, and are effective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diabetes, hyperlipidemia, etc. It is described.
- EP 2172206 discloses a method for obtaining sequiitol containing extracts having a therapeutic effect on diabetes from legumes.
- the anti-diabetic effect of the legumes disclosed in the above documents, based on anthocyanin or sequiitol known as an active ingredient, soybean extract itself is only significant or low blood sugar lowering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ood materia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excellent in hypoglycemic action without side effects in the living body.
- the present invention unexpectedly found that the anti-diabetic effect and other very significant anti-diabetic effect known to the existing legumes in stone beans, and confirmed the eff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ne bean powder powder and excellent anti-diabetic effec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ract to enable safe and effective diabetes prevention and treatment.
-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the powder and extract of dolja beans is confirmed through an experiment using a db / db mouse model.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or diabetic complications comprising a heat treated powder or extract of Glycine soj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dol bean extract the fraction is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extract again with water or an organic solvent having 1 to 4 carbon atoms.
- the diabetic complications include arteriosclerosis, cerebral infarction, cerebral thrombosis, myocardial infarction,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besity, and the like.
- the food composi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 the food composition includes, in particular, a dietary supplement having any one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pills.
- the food may have any one form of beverages, powdered drinks, solids, chewing gum, tea, vitamin complexes, food additives.
-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test using a db / db mouse model, triglycerides in the serum, total cholesterol, etc., the powder and extracts of the stone beans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pid metabolism with an excellent hypoglycemic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n excellent treatment effect for complications caused by diabetes, such as improvement.
- Dol-bean powder an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new effect far exceeding the anti-diabetic effect known to the legumes in the pas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to prevent and prevent diabetes or diabetic complications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ood composition for treatment (improvement).
- Figure 2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glucose change in serum (glucose)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Figure 3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riglyceride (TG) change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Figure 5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glucose level in the serum (glucose)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10 weeks of age (* p ⁇ 0.01).
- Figure 6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triglyceride (TG)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10 weeks of age (* p ⁇ 0.01).
- Figure 7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cholesterol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10 weeks of age (* p ⁇ 0.01).
- Figure 9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ensity of high-cholesterol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10 weeks of age (* p ⁇ 0.01).
- Figure 10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LT and AST levels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10 weeks of age (* p ⁇ 0.01).
- Figure 1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insulin levels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10 weeks of age (* p ⁇ 0.01).
- FIG. 12 shows the abdominal, epididymal, and inguinal adipose tissues of each experimental animal in 10-week-old db / db mic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 the result of the weight measurement (* p ⁇ 0.01).
- Figure 13 is a blood glucose measurement by taking blood from the tail vein once a week while orally administering a drug (test substance) for each experimental group (** p ⁇ 0.01, *** p ⁇ 0.001).
- Figure 14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level of triglyceride (TG)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ure 15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cholesterol level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ure 16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ow density-cholesterol and high-density-cholesterol levels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ure 17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LT and AST levels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ure 18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insulin level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 19 shows the abdominal, epididymal, and inguinal adipose tissues of each experimental animal in 10-week-old db / db mice, where the total weight of adipose tissues was extracted.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 p ⁇ 0.01, *** p ⁇ 0.001).
- Figure 21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blood glucose level at 9 weeks of age.
- FIG. 22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riglyceride (TG) levels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ure 23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cholesterol level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 2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ow density-cholesterol and high density-cholesterol levels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 25 shows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serum ALT and AST levels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ure 26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insulin level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 27 shows the abdominal, epididymal, and inguinal adipose tissues of each experimental animal in 10-week-old db / db mice, where the total weight of adipose tissues was extracted.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 p ⁇ 0.01, *** p ⁇ 0.001).
- liver tissue liver was extracted from 10 weeks old db / db mice after the experiment (** p ⁇ 0.01, *** p ⁇ 0.001).
- FIG. 29 is a blood glucose measurement result of blood collection from the tail vein once a week while orally administering a drug (test substance) for each experimental group (** p ⁇ 0.01, *** p ⁇ 0.001).
- FIG. 30 is a result of measuring weight change once a week while orally administering a drug (test substance) for each experimental group for 6 weeks.
- FIG. 3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riglyceride (TG) levels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 3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ow density-cholesterol and high density-cholesterol levels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3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insulin levels in serum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9 weeks of age (** p ⁇ 0.01, *** p ⁇ 0.001).
- FIG. 36 shows the abdominal, epididymal, and inguinal adipose tissues of each experimental animal in 10-week-old db / db mice, where the total weight of adipose tissues was extracted.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 p ⁇ 0.01, *** p ⁇ 0.001).
- Figure 37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weight of liver tissue (liver) of each experimental animal was extracted from 10 weeks old db / db mice after the experiment (** p ⁇ 0.01, *** p ⁇ 0.001).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heat-treated powder or extract of Glycine soja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improvement) of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 the diabetic complication refers to a disease caused in connection with diabetes, an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rteriosclerosis, cerebral infarction, cerebral thrombosis, myocardial infarction,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obesity.
- Dolbean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ientific name " Glycine soja Siebold &Zucc.”, Vines belonging to the genus Bean (Zingiberaceae) is a year-old herb, also called tinnitus, green leaves, etc. It is a plant called ⁇ ⁇ ⁇ and Yaryo-do. Stone beans are 2 ⁇ 3cm long, hairy, similar to bean pods. Stone seeds are elliptical or resemble elongated and slightly flat, as used herein, “dol beans” or “doll bean” means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stone bean powder” refers to a powder in a dry state dried without ripening the stone seeds.
- Stone b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oth natural and cultivated.
- heat-treated powder of stone beans means a stone powder obtained by heat treatment of stone or stone powder to 100 °C or less.
- binder powder of stone beans means a powder obtained by increasing the stone or stone powder to 100 °C or less.
- the heat-treated powder of Glycine soja contain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obtained by heat-treating the stone beans powder at 40 ⁇ 100 °C, more preferably 60 ⁇ Powder powder obtained by cooking at 90 °C.
- the dolbean extrac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added to the dolbi powder with a solvent having a volume of about 2 to 15 times, preferably about 5 to 10 times the weight of the sample, preferably 100 ° 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Preferably it is obtained by extraction at 0 to 100 ° C, particularly preferably obtained by extraction at 0 to 90 ° C.
- a solvent water or an organic solvent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is preferably used, and particularly preferably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And any polar solvent selected from these mixed solvents.
- the extraction method may be a well-known extraction method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cold needle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and preferably extracted with hot water of 90 °C or less after fil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concentrating to obtain the ston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ol bean extract, the fraction is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extract again with water or an organic solvent having 1 to 4 carbon atoms.
- a dol bean fraction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on the dol bean extract (Harborne J. 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 6-7, 1998).
- the stone beans powder can be prepared by harvesting the native stone or cultivated stone beans in a natural state and dried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drying method and then grinding with a grinder.
- the dol bean powder includes lyophilized after the dol bean powder prepared.
- the treatment effect for anti-diabetic and diabetic complications can be confirm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using the db / db mouse model for the stone bean powder and extract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below.
- Banaba leaves are the leaves of Lagerstroemmia speciosa Pers., A perennial evergreen tree that grows in tropical or subtropical areas. Its main ingredients include corosolic acid, zinc, iron, calcium, and magnesium. Among the components, corosolic acid, which varies from leaf to leaf, contains 0.1 to 0.35% on average.
- glucose transporter rapidly absorbed glucose into cells, i.e., glucose transporter, like insulin. (Glucose Transporter) has been shown to act to inhibit the rise of blood sugar levels without affecting blood sugar lowering and normal blood sugar.
- the DC-administered group had 360.5 mg / kg, a 37.9% greater blood sugar reduction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 the glucose level of the non-administered group (NC) was 641 mg / dL
-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427.0 mg / dL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33.4.
- a large decrease of% was shown (FIG. 2).
- triglyceride (TG) Hyperlipidemia due to lipid metabolism abnormality commonly see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s the highest frequency of hypertriglyceridemia, and this increase in triglyceride (TG) in blood promotes insulin resistance and worsens glycemic control. This causes the atherosclerotic disease.
- the change in triglyceride (TG) in serum measured after separation at 9 weeks of age was 67.0 mg / dL of triglyceride (TG) in the non-administered group, and 37.0 mg / dL of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was more than 44.7% (FIG. 3).
- DC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1, p ⁇ 0.001) blood sugar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db / db mice compared with the non-administered group, and the degree of reduction was positiv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anaba extract used as a control.
- the glucose powder (DC)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observed to have a hypoglycemic effect of relieving fasting hyperglycemia after fasting.
- the acute toxicity test that the D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fe drug and food material.
- metformin is known to reduce glucose production in the liver by inhibiting gluconeogeneic enzymes.
- the blood glucose change was measured while each of the dol bean powder (DC)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metformi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dministered for 6 weeks.
- the DC and metformin-administered groups inhibited blood glucose change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NC), and the DC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have a higher glycemic inhibitory effect than metformin.
-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reater blood sugar reduction of at least 55.9% at 240.5 mg / dL compared to 545.8 mg / dL of the non-administered (NC) group.
- metformin One of the main effects of metformin is to improve insulin sensitivity.
- the main mechanism by which metformin increases insulin sensitivity is to reduce endogenous glucose production, and in particular, to reduce gluconeogenesis.
- Metformin is also known to lower free fatty acid levels (FFA levels).
- FFA levels free fatty acid levels
- the total cholesterol level, LDL-cholesterol level, and triglyceride leve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etformin-administered group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NC), and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otal cholesterol than the metformin-treated group.
- Levels, LDL-cholesterol levels, and triglyceride (TG) levels tended to decrease significantly more significantly (FIGS. 6-8).
- the insulin level of serum was 5.72 ng / ml in the non-administered group (NC), and the DC-administered group showed 4.07 mg / dL of insulin reduction of 28.8%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the metformin and soybean powder groups were sligh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non-administered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DC Dol-bean powder
-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observed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such as hypoglycemic effect to alleviate fasting hyperglycemia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sistance to insulin.
- the DC-p treated group decreased by 49% to 264.7 mg / d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C), and the water extract (DC-WE) decreased by 57% to 223.0 mg / dL in the extracts.
- Methanol extract (DC-ME) was 294.6 mg / dL showed a 43% reduction.
- the water fraction fraction (DC-WF) was 179.4 mg / dL, reducing blood sugar by 65%
- the ethyl acetate layer fraction (DC-EF) was 253.9 mg / dL, reducing 51%, butanol layer.
- the fraction (DC-BF) showed 275.0 mg / dL of 47% reduction
- the hexane layer fraction (DC-HF) showed 346 mg / dL of 33% reduction.
- test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adipose tissue weight, serum ALT and AST, and thus were evaluated as nontoxic.
- the powder of stone beans, water or organic solvent extracts of stone beans, and solvent fractions of these extracts all showed better glycemic control, insulin resistance, and lipid metabolism effects than the control group.
- Ingestion of powder or Dol-bean extract was evaluated to be superior to hypoglycemic effect to alleviate fasting hyperglycemia and to improve insulin resistance.
- the hypoglycemic effect of blood glucose was measured for 5 weeks by oral administration of DC60 extract, DC80 extract, DC100 extract, and DC40E extract, which were obtained by four-week-old db / db mouse model, up to 9 weeks of age.
- the DC80 extract group showed 400.5 mg / dl of blood glucose reduction of 37.6%,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1).
-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bdominal fat weight, liver weight, and insulin resistance were decreased in the DC80, DC100, and DC40E 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control group.
- the ston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DC5, DC25) and column fractions (DC60-1, DC60-2), and anthocyanins (finitol), known as an antidiabetic active substance conventionally derived from legumes or other natural products (Pinitol), and a verification test comparing the efficacy of banaba and chromium complex (BANABA) was performed [Experimental Example 5].
- BANABA banaba and chromium complex
- Stone beans are food ingredients and medicine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edible or herbal medicines, and the powder or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erefrom also have no problems such as toxicity and side effects. And, the advantage was once again confirmed through the acute toxicity test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or diabetic complications containing the stone bean powder o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0.1 to 99.9% by weight of the powder or extrac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of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thei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as well as in a suitable collection.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formul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Solid form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such solid form preparations may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 Sucrose) or lactose (Lactose), gelatin, etc. are mixed and prepared.
-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 Sucrose) or lactose (Lactose), gelatin, etc. are mixed and prepared.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Wh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Preferred dosages of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extent of the disease, the form of the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du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owder o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dministered at 0.0001 to 10000 mg / kg per day.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Th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aspect.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mice, mice, livestock, humans, etc. by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can be expected, for example, by or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nts, lubricants, copulation agents, flavoring agents, et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ose described in the literature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those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 Korean College of Pharmacy, 5th Edition, p33-48, 1989).
-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diabetes or diabetic complications containing the stone bean powder o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0.1 to 99.9% by weight of the powder or extrac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 the food especially includes a dietary supplement.
- Health functional food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ood prepa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having a useful functionality to the human body, "functional” is to control nutrients or physiology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Ingestion is intend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beneficial effect on health uses such as a pharmaceutical ac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have any on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pill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of the form added to various foods or beverag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blood sugar powder or extract of the stone beans to improve blood glucose,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prevent diabetic complications, in particular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dietary supplements.
- the food for example, may be in the form of any one of beverages, powdered drinks, solids, chewing gum, tea, vitamin complexes, food additive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ssential ingredient, except that it contains the powder or extract of the stone beans, there are no special restrictions, and additionally contains various ingredients such as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such as ordinary food or drink. can do.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the proportion of said natural carbohydrates is generally about 1-20 g, preferably about 5-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nd neutralizing agents (such as cheese and chocolate),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the s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natural fruit juice and fruit flesh for the production of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so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 to about 2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Dol beans were collected and used in Uji-dong, Mungyeong-si, Gyeongbuk.
- the collected stone beans were dried and then ground in a mixer to obtain a stone bean powder.
- the stone bean powder obtained in 1 was increased at about 80 ° C. for 2 hours to obtain a heat-treated powder of stone be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C”).
- the stone bean powder obtained in 2 of Example 1 was diluted in physiological saline and administered orally twice a day (10 am, 6 pm).
- the positive control group (Banaba leaf extract , purchased from Wellis Banaba Co., Ltd., appearance: brown tablet) was made into powder, dissolved in physiological saline, and orally administered twice a day (10 am, 6 pm). .
- the negative control group received the same amount of saline solution in the same way.
- mice Six-week-old male db / db mice (26g, Taconic Farms, Inc.)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seven for each anti-diabetic group, followed by temperature 22 ⁇ 2 °C, humidity 55 ⁇ 10% and 12 hours. Proper hypoglycemic efficacy is confirmed for each sample by measuring body weight and blood glucose at 0, 3, 6, 9, 12, and 15 days after sample administration while maintaining in a SPF (specific pathogen free) environment controlled by intervals of contrast. The concentration was chosen.
- SPF specific pathogen free
- the mouse model was orally administered.
-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randomly assigned 7 db / db mice to each group.
- One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2g / kg of DC powder powder (10 g / kg) daily at 10 am and 18 pm, and one group was administere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100 mg / kg of banaba leaf extract in the same manner.
- One group was negative control group and the same amount of saline was administered in the same way.
- the breeding conditions of each group were maintained in the SPF environment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22 ⁇ 2 °C, humidity 55 ⁇ 10%, and contrast of 12 hours intervals as in preliminary animal experiments.
- Body weight and blood glucose changes on day 0, 7, 14, and 21 days of administration were measured using a handheld blood glucose meter (OneTouch TM , Johnson & Johnson, USA), and the average value was shown for each experimental group.
-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animals of the above experimental group,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and then the supernatant plasma was separated for analysis of glucose and triglycerides.
- the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method (student t-test).
- liver, kidney, heart, pancreas, and lungs were excised and stored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and part of the organs were stored in RNASol B to perform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on major organs.
- triglyceride (TG) in serum Changes in triglyceride (TG) in serum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pid metabolism and diabetic complications.
- the diet was removed and anesthetized with ethyl ether in an empty stomach (about 12 hours), the blood was drawn from the heart with a 3 ml syringe,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3000 rpm for 10 minutes. Serum was separated and the serum triglyceride change was measured with a serum autometer.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 Acute toxicity test was performed using 6-week-old specific pathogen-free (SPF) SD rats. Five animals in each group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with the Dole-bean powder (DC)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dose of 5,000 mg / kg. After administration of the test substance, mortality, clinical symptoms, and changes in body weight were observed. Hematological and hematolog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Necropsy was performed to visually observe abnormalities in organs and thoracic organs. As a result, there were no clinical symptoms or deaths in all animals treated with the test substance, and no toxicity change was observed in weight change, blood test, blood biochemistry test and autopsy findings.
- Dol bean powder (DC)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show a toxicity change in rats up to 5,000 mg / kg, respectively, the minimum lethal dose (LD 50 ) was determined to be a safe substance of more than 5,000 mg / kg.
- Dol Soybean Powder (DC) was diluted in physiological saline, and 2g / kg / day was orally administered by dividing 0.2ml by using mouse sonde at 10am and 16pm daily.
- the positive control group selected metformin (1,1-dimethylbiguanide), which is widely used as a hypoglycemic agent, was dissolved in 0.25% carboxymethylcellulose (CMC) and divided 150 mg / kg / day into 0.2 ml two times. Orally administered as in the same.
- CMC carboxymethylcellulose
- the negative control group received the same amount of saline solution in the same way.
- Another comparative test group was used to increase the powder of soybean.
- the soybean powd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using soybeans instead of stony beans, and was orally administered twice a day in the same amount and method as the stony beans powder (DC).
- mice Male db / db mice were given 3 weeks of age and were acclimated in the animal breeding room for 1 week, and then 6 animal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Blood glucos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4 weeks of age for a total of 6 weeks. Drug administration was orally administered 0.2ml by using mouse sonde at 10 am and 16 pm daily. Once weekly blood glucose measurements were fasted by removing the diet at 09 am every Wednesday, then using a hand-held blood glucose meter (OneTOUCH @ Ultra, Johnson & Johnson, USA) in the tail caudal vein at 15:00, 6 hours after an empty stomach. It was. In addition, the serum for final biochemical analysis should be taken fasting blood for more than 12 hours, so blood glucose was measured at the last 8 weeks, and autopsy was performed after 2 days.
- a hand-held blood glucose meter OneTOUCH @ Ultra, Johnson & Johnson, USA
- each animal was extracted by abdominal, epididymal and inguinal adipose tissue, and the weight of total adipose tissue of adipose tissue was calculated.
- Plasma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1-3 was placed in a tube for serum separation, centrifugation at 3000 rpm for 20 minutes to obtain a serum was used as a sample for biochemical indicator analysis.
- Biochemical automated analysis Hitachi- analysis of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HDL), low-density lipoprotein (LD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s in plasma and liver 720, Hitachi Medical, Japan).
- the blood glucose of the non-administered group was increased to 155.8 mg / dL at 4 weeks, 545.8 mg / dL at 10 weeks, and increased 3.5 times in 6 weeks.
- Dol-bean powder powder (DC) administration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lood sugar reduction of more than 55.9% compared to 545.8 mg / dL of the non-administered (NC) group at 240.5 mg / dL at 10 weeks of age (p ⁇ 0.001).
- the positive control metformin and the comparative test soybean powder showed 34.6% and 17.6% reduction in blood glucose, respectively, compared to NC (p ⁇ 0.001, p ⁇ 0.01).
-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uch more than the metformin-treated group. It showed a high blood sugar inhibitory effect.
- the diet was removed the day before, anesthetized with ethyl ether in an empty stomach (approximately 16 hours), the blood was drawn from the heart with a 3 ml syringe,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Serum was separated and the glucose change in serum (glucose) was measured by a serum automet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 the soybean powder administered group (426.3 mg / d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25.8%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p ⁇ 0.05),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et was removed the day before, anesthetized with ethyl ether in an empty stomach (approximately 16 hours), the blood was drawn from the heart with a 3 ml syringe,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 the serum was separated and the serum triglyceride (TG) change was measured with a serum automet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 the triglyceride (TG) level in the non-administered group (NC) was 128.8 mg / dL.
- the positive control group metformin and the DC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78.8 mg / dL and 57.2 mg / dL, respectively, of 38.8% and 55.6%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triglyceride (TG) reduction compared to NC (p ⁇ 0.01, p ⁇ 0.001), in particular,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riglyceride reduction than the metformin-administered group, which was a positive control group.
- triglyceride (TG) was 101.8 mg / dL in the normal soybean powder group,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on-administered group.
- the diet was removed and anesthetized with ethyl ether on an empty stomach (approximately 16 hours), the blood was drawn from the heart with a 3 ml syringe,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Serum was separated and the total amount of cholesterol in the serum was measured by a serum autometer.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total cholesterol level of the non-administered group (NC) was 168.2 mg / dL, and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107.7 mg / dL,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 of 35.9%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p ⁇ 0.001). .
- the metformin-administered group was decreased statistically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total cholesterol was 123.2mg / dL, whic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26.7%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p ⁇ 0.01).
-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total cholesterol level of the non-administered group (NC) was 9.3 mg / dL, and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4.9 mg / dL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47.3%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p ⁇ 0.05).
- the metformin and soybean powder groups showed a decrease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the diet was removed and anesthetized with ethyl ether on an empty stomach (approximately 16 hours), the blood was drawn from the heart with a 3 ml syringe,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Serum was separated and the high density-cholesterol level in serum was measured with a serum autometer.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metformin administration group, the DC administration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ybean powder administ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non-administration group (NC).
- the diet was removed and anesthetized with ethyl ether on an empty stomach (approximately 16 hours), the blood was drawn from the heart with a 3 ml syringe,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Serum was separated and serum ALT and AST levels were measured by a serum autometer.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ALT level was 68.5 U / L in the non-administered group (NC), 54.9 U / L in the positive control metformin administration group, 57.4 U / L in the DC administration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4.6 U / L in the soybean powder administration group, in all experimental groups. Hepatotoxicity was not shown.
- the AST level was 119.7 U / L in the non-administered group, 120.0 U / L in the metformin-administered group, 112.7 U / L in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44.5 U / L in the soybean powder-administered group, showing no hepatotoxicity in all experimental groups.
- the diet was removed and anesthetized with ethyl ether on an empty stomach (approximately 16 hours), the blood was drawn from the heart with a 3 ml syringe,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Serum was isolated and serum levels of insulin were measured with a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KI, Japan).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serum insulin level was 5.72 ng / ml in the non-administered group (NC), and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4.07 mg / dL of insulin reduction of 28.8%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the serum insulin decreased slightly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Type 2 diabetes is known to have a variety of metabolic disorders due to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due to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to blood glucose even though insulin secretion is normal.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sistance to insulin, a problem of type 2 diabetes, as well as the inhibitory effect of blood glucose in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tal weight of the adipose tissues was determined by extracting the abdominal, epididymal, and inguinal adipose tissues from each site. It wa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change of adipose tissue was 5.9g in the non-administered group (NC), and 5.0 g in the DC-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15.3% reduction in adipose tissue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1).
- mice Male db / db mice were given 3 weeks of age and were acclimated in the animal breeding room for 1 week, and then 6 animal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nd 4 weeks were performed for a total of 6 weeks.
- Drug administration was orally administered 0.2ml by using mouse sonde at 10 am and 16 pm daily. Once weekly blood glucose measurements were fasted by removing the diet at 09 am every Wednesday, then using a hand-held blood glucose meter (OneTOUCH @ Ultra, Johnson & Johnson, USA) in the tail caudal vein at 15:00, 6 hours after an empty stomach. It was measured by.
- the overall experimental design was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 the pulverized soybean powder obtained in Example 1 and the pulverized soybean extract and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2 were used as test substances.
- the test substance was suspended in physiological saline, and the daily dose was orally administered by diluting 0.2 ml each time using mouse sonde at 10 am and 16 pm daily.
-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eight groups as follows.
- the abdominal, epididymal, and inguinal adipose tissues were extracted for each site, and the total adipose tissue fat weight was calculated. .
- ALT and AST an indicator of liver function, plasma, liver,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HDL), low-density lipoprotein (LDL), triglyceride, etc. was measured using a biochemical automated analyzer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
- Serum glucose and insulin were analyzed by serum isola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1-4. Plasma insul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plasma samples obtained by the same method and ELISA reader (Labsystems, Finland) using a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gi, Japan).
- the DC-p group showed a 49% reduction of 264.7 mg / d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C), and the water extract (DC-WE) of 223.0 mg / dL was 57. % Reduction, methanol extract (DC-ME) showed a 43% reduction to 294.6 mg / dL.
- the water fraction fraction (DC-WF) reduced 65% to 179.4 mg / dL
- the ethyl acetate layer fraction (DC-EF) decreased 25% mg / dL to 51%
- -BF showed a 27% reduction as 275.0 mg / dL and a hexane layer fraction (DC-HF) showed a 33% reduction as 346 mg / dL.
- the triglyceride (TG) level i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was 209.3 mg / dL and the DC-WE, DC-ME, DC-HF, DC-BF, DC-EF, DC-WF, and DC-p treated groups were not treated.
- the total cholesterol amount in serum was measured by a serum autometer with respect to the serum separated by the same method as 2-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total cholesterol level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C) was 181.5 mg / dL, and all DC-WE, DC-ME, DC-HF, DC-BF, DC-EF, DC-WF, and DC-p treated groups were untreated. Total cholesterol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Serum separated in the same manner as 2-2 was measured for the amount of low-density-cholesterol and high-density-cholesterol in the serum by a serum automatic measuring device, the results are as shown in FIG.
- the low density-cholesterol level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C) was 20.7 mg / dL, and the DC-WE, DC-ME, DC-HF, and DC-EF-administered group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 density-cholesterol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Decrease (p ⁇ 0.05, p ⁇ 0.01).
- the administration of stone extract and DC-HF, DC-EF has a low density-cholesterol reduction and thereby improve blood circulation.
- high density-cholesterol was not different from the untreated control group in the DC-WE, DC-ME, DC-HF, DC-BF, DC-EF, DC-WF, and DC-p administration groups.
- ALT and AST levels in serum were measured with a serum autometer for the serum separated by the same method as 2-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7.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T and AST levels betwee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and DC-WE, DC-ME, DC-HF, DC-BF, DC-EF, DC-WF, and DC-p group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hepatotoxicity did not appear in all experimental groups.
- mice Male db / db mice were given 3 weeks of age and were acclimated in the animal breeding room for 1 week, and then 6 animal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nd 4 weeks were performed for a total of 6 weeks.
- Drug administration was orally administered 0.2ml by using mouse sonde at 10 am and 16 pm daily. Once weekly blood glucose measurements were fasted by removing the diet at 09 am every Wednesday, then using a hand-held blood glucose meter (OneTOUCH @ Ultra, Johnson & Johnson, USA) in the tail caudal vein at 15:00, 6 hours after an empty stomach. It was measured by.
- the overall experimental design was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above.
- the dolgal extract for each extraction temperature obtained in Example 3 was used as a test substance.
- the test substance was suspended in physiological saline, and the daily dose was orally administered by diluting 0.2 ml each time using mouse sonde at 10 am and 16 pm daily.
-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five groups as follows.
- each experimental animal was extracted from the abdominal, epididymal, and inguinal adipose tissues, and the weight of the total adipose tissues of the adipose tissues was calculated.
- ALT and AST an indicator of liver function, plasma, liver,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HDL), low-density lipoprotein (LDL), triglyceride, etc. was measured using a biochemical automated analyzer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
- Serum glucose and insulin levels were analyzed for serum isolated by the same method as 1-4. Plasma insul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plasma samples obtained by the same method and ELISA reader (Labsystems, Finland) using a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gi, Japan).
- DC60 extract, DC80 extract, DC100 extract, and DC40E extract were administered orally twice a day for 5 weeks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in a 4 week old db / db mouse model.
- Blood glucose was collected from the tail vein of the mice once a week. Was measured. All mice 'diets were removed 6 hours before measuremen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0.
- Blood glucose levels in untreated controls (NegativeControl, NC) increased continuously from 146.8 mg / dL at 4 weeks, 160.5 mg / dL at 5 weeks, 215.0 mg / dL at 6 weeks, 353.8 mg / dL at 7 weeks, and 401.8 mg / dL at 8 weeks.
- the blood glucose levels increased by more than 3.5-fold for 5 weeks at 516.5 mg / dL.
- the DC extract test group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least p ⁇ 0.01 or more) significant blood glucose reduction effect.
- Serum blood glucose levels measured at 9 weeks of age are as shown in FIG. 21, and the blood glucose reduction of the DC60 extract group was 317.0 mg / dl, which was 38.6%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NC), and the DC80 extract group was 299.3 mg / dL of 42.0%.
- the reduction was 20.5% to 410.3 mg / dL in the DC100 extract group and 35.3% to 334.0 mg / dL in the DC40E extract group.
- the triglyceride (TG) level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was 179.0 mg / dL, 126.8 mg / dL for DC60 group, 92.3 mg / dL for DC80 group, 158.3 mg / dL for DC100 group and 85.5 mg / dL for DC40E group.
- TG triglyceride
- p ⁇ 0.01, p ⁇ 0.001 triglyceride
- DC60 extract and DC40E extrac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by inhibiting triglycerides by more than 50%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control group.
- the total cholesterol level in serum was measured with a serum automatic measuring device for the serum separated by the same method as 2-2,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 the total cholesterol level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C) was 160.3 mg / dL, and the DC80, DC100, and DC40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total cholesterol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 the DC60 group was sligh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Serum separated in the same manner as 2-2 was measured the amount of low-density-cholesterol and high-density-cholesterol in the serum by a serum automatic measuring device, the results are as shown in FIG.
- the low density-cholesterol level of the untreated control (NC) was 7.4 mg / dL, and only the DC40E-administered group (p ⁇ 0.0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at least 54%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DC60, DC80, and DC100 groups de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DC extract, DC-HF, DC-EF administration has a low density-cholesterol reduction and thus a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High density-cholesterol was not different from the untreated control group in the DC60, DC80, DC100, and DC40E groups.
- ALT and AST levels in serum were measured with a serum autometer for the serum separated by the same method as 2-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5. ALT and AST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the DC60 group, the DC80 group, the DC100 group, and the DC40E grou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hepatotoxicity did not appear in all experimental groups.
- Insulin levels in the serum were measured with the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KI, Japan) for the serum separated by the same method as 2-2, the results are as shown in FIG.
- the serum insulin level was 8.06 ng / ml i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C), 7.73 ng / ml in the DC60 group, 4.59 ng / ml in the DC80 group, 4.52 ng / ml in the DC100 group, and 5.82 ng / ml in the DC40E group.
- the DC80 (p ⁇ 0.01) and DC100 (p ⁇ 0.001) administration group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sulin reduction of 33.1% or more.
- the total weight of the liver tissue (liver) was extracted from each experimental animal in 10 weeks-old db / db mice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 is shown in FIG. 28.
- the DC60 administration group (p ⁇ 0.001) and DC80 administration group (p ⁇ 0.05) showed a decrease in the total weight of liver tissues as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NC).
- BKS.Cg-m + / gives the efficacy of the ston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of different temperature ranges, and anthocyanins, finitols, and banaba and chromium complexes, which are conventionally known as antidiabetic substances derived from legumes or other natural products.
- + Lepr db / J homozygousdiabetic ( db / db) mice were tested for comparison and validation.
- Pinitol Pinitol containing more than 95% (Sigma-Aldrich)
- Banaba Gold Chrome TM (contains 400 mg / g Banaba extract, 200 mg / g of indigestible maltodextrin and 0.1 mg / g chromium)
- mice Male db / db mice were given 3 weeks of age and were acclimated in the animal breeding room for 1 week, and then 4 animal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nd blood glucose, dietary intake, and weight change were measured at weekly intervals while the drug was administered for 4 weeks at 4 weeks of age. It was.
- Drug administration was orally administered 0.2ml by using mouse sonde at 10 am and 16 pm daily. Once weekly blood glucose measurements were fasted by removing the diet at 09 am every Wednesday, then using a hand-held blood glucose meter (OneTOUCH @ Ultra, Johnson & Johnson, USA) in the tail caudal vein at 15:00, 6 hours after an empty stomach. It was measured by.
- the overall experimental design was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above.
- test substance was suspended in physiological saline, and the daily dose was orally administered by diluting 0.2 ml each time using mouse sonde at 10 am and 16 pm daily.
-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eight groups as follows.
- Blood glucose was measured at the final 8th week after breeding for 6 weeks, and autopsy was performed after 2 days. At the time of necropsy, all animals were anesthetized with ether after 12 hours of fasting, and blood was taken from the heart and placed in a serum separation tube, and the blood from the serum separation tube was centrifuged at 3000 rpm for 20 minutes to obtain serum for biochemical index analysis. Used as a sample for. Biochemical automated analyzer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 for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HDL), low-density lipoprotein (LDL), triglyceride, BUN, and phospholipids in isolated plasma ) was measured.
- Biochemical automated analyzer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
- Serum glucose and insulin were analyzed for serum isolated by the same method as 1-5. Plasma insul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plasma samples obtained by the same method and ELISA reader (Labsystems, Finland) using a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gi, Japan).
- Blood glucose i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increased continuously from 113.5 mg / dL at 4 weeks, 216.5 mg / dL at 5 weeks, 303.8 mg / dL at 6 weeks, 44.8 mg / dL at 7 weeks, and 467.5 mg / dL at 8 weeks, At 9 weeks of age, 484.8 mg / dL increased blood glucose by 4.2-fold over 5 weeks.
- both the test group and the comparative test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least p ⁇ 0.01 or more) significant blood glucose reduction effect.
- the blood glucose level of the control group was about 485 mg / dL
- Pinitol was 231.8 mg / dL, which was 52.1% lower
- BANABA was 316.8 mg / dL, which was 34.6% lower.
- Anthocyanins showed a decrease of 26.5% at 356.3 mg / dL.
- DC25 decreased to 253.8 mg / dL
- DC5 decreased by 316.8 mg / dL to 34.6%
- DC60-1 decreased to 359.5 mg / dL by 25.8%.
- TG serum triglyceride
- the total cholesterol amount in the serum was measured by a serum automatic measuring device,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32.
- the total cholesterol level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C) was 168.3 mg / dL, and the DC60-1 and BANABA-administered groups showed a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 as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C),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DC60-2, DC25, DC5, Anthocyanins and Pinitol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NC).
- the low density-cholesterol level of the untreated control (NC) was 10.1 mg / dL, and DC60-1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1) and decreased to 65% of the control value.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DC60-2 and BANABA groups showed lower density-cholesterol reduction tha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However, DC25, DC5, Anthocyanins, Pinitol and BANABA treated groups did not differ between the untreated control (NC) and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High density-cholesterol did not differ from the untreated control in all dose groups.
- Serum BUN level was measured by a serum automatic measuring device for the serum separated in the same manner as 2-2, the result is as shown in FIG.
- BUN levels in the serum may vary due to diabetes and may be secreted by muscles, and thus may be changed due to a decrease in muscle mass due to obesity.
- the 4 mice of the Pinitol-administered group showed 92.8 mg / dL or more,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indicating that the possibility of nephrotoxicity could not be excluded.
- DC60-1, DC60-2, DC25, DC5, Anthocyanins and BANABA group did not differ between untreated control group (NC) and serum BUN.
- Serum insulin levels in serum were 10.2 ng / ml for the untreated control (NC), 3.3 ng / ml for DC60-1, 4.1 ng / ml for DC60-2, 4.0 ng / ml for DC5, and 1.8 ng / ml for BANABA. , All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 p ⁇ 0.001) and showed a reduction of more than 60% compared to the control. Pinitol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 p ⁇ 0.01) lowering effect at the level of 6.6 ng / mL at 35.3% compared to the control.
- Liver tissue (liver) of each experimental animal was extracted from the 10-week-old db / db mice, and the total weight thereof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7.
- DC25, Pinitol, and DC60-2 treated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of liver tissue weight by more than about 7.0%, respectively,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NC) (p ⁇ 0.05).
- NC untreated control
- DC60-1, Anthocyanins, Pinitol, DC5, and BANABA groups did not differ from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C).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 an airtight cloth to prepare a powder.
- tablets a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tablets.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to gelatin capsules to prepare capsules.
- the amount of the above ingredient is prepared per ampoule (2 ml).
- each component is added to the purified water to dissolve it, and lemon flavor is added, 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and then purified water is added and adjusted to 100 ml. d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돌콩의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 및 추출물은 혈당강하 및 당뇨합병증에 대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 및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개선)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돌콩의 열처 리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 분비가 감소되거나 인슐린의 기능이 저하되어 체내의 세포가 당을 이용하지 못하여 고혈당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을 비롯한 호르몬 불균형으로 탄수화물을 비롯한 단백질, 지질 및 전해질 대사 등 생리적 대사 조절 기능 이상으로 고혈당의 특징적인 증세를 나타내며, 이러한 고혈당 증세가 지속되면 혈액순환 장애, 망막손상, 신경세포 손상, 신장 기능 저하, 혈관 합병증 등을 유발하고 심각한 만성적 합병증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정상인에 비해서 당뇨환자에 있어서는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혈전,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높다(Fuller, J.H., Lancet, 1, pp1373-1376, 1980). 당뇨병환자는 관상동맥질환이나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률이 높고, 이는 고혈압과 고지혈증, 비만 등에 의해 흔히 발병된다(허갑범. 한국영양학회. 초록발표논문집. pp15-18, 1984). 제2형 당뇨환자 중 67%가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지질대사 이상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Harris, M.I. Diabetes Care, 23, pp754-758, 2000). 제2형 당뇨환자는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고 HDL-콜레스테롤이 감소하는 지질대사의 이상이 일어나며(Goldberg, R.B. Diabetes Care, 4, pp561-572, 1981), 이것은 당뇨 합병증인 관상동맥 질환의 원인이 된다(Reaven, J.W. Am. J. Med., 83, pp31-40, 1987).
당뇨병은 췌장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작용 부족에 의해 유발된 대사장애로 정의되며 포도당의 과잉생산, 체지방의 분해 및 단백질의 낭비를 수반하고 글루카곤의 분비를 비정상적으로 항진시켜 대사상의 혼란을 야기시킨다(Abrams, J.J., Ginsberg, H, et al., Diabetes, 31, pp903-910, 1982).
진성 당뇨병 (Diabetes mellitus)은 두 가지 유형으로 특징 지워지는데, 제 1형 당뇨병 (Type 1 diabetes mellitus)은 혈액 내의 글루코스 (Glucose)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 (Insulin)의 분비 결핍으로 야기되며, 주로 10~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소아당뇨병 (Juvenile diabetes)이라 불리기도 한다. 제2 형 당뇨병 (Type 2 diabetes mellitus)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되며,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2형 당뇨병은 성인형 당뇨병이라 불리며 발병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관여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2형 당뇨병의 병인으로는, 췌장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장애와 표적세포에서의 인슐린 작용 결함 (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관찰된다.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혈당치를 가능한 정상치에 가깝게 조절하는 것인데, 공복혈당과 함께 식후 혈당 조절이 당뇨병 증세의 개선과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며, 치료 방법으로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이 있다.
현재 제 1형 및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 사용되는 경구혈당강하제로 알파-글리코시다제 (Alpha-glucosidase) 억제제, 설포닐우레아 (Sulfonylurea) 제제 및 비구아니드 (Biguanide) 제제가 있다.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섭취한 식이 중의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및 혈중 인슐린의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나타내는데, 고인슐린혈증이나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고, 인슐린분비를 촉진시키며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는 글루카곤-유사-펩티드-1 (Glucagon-like peptide-1)의 소장에서의 분비를 촉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Mooradian, A.D., Thurman, J.E. et al., Drugs, 57, pp19-29, 1999; Baron, A.D. et al.,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40, ppS54-S55, 1998). 그러나 알파-글리코시다제 저해제를 장기 복용한 경우, 일부 환자에 있어서 복부 팽만감, 구토, 설사 등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Hanefeld, M. et al.,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12, pp228-237, 1998).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로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는, 아카보스 (Acarbose), 보글리보스 (Voglibose) 및 미글리톨 (Miglitol) 등이 있다. 설포닐우레아 제제는 인체가 인슐린을 더 많이 배출하도록 하고, 인체가 인슐린에 반응하는 것을 도와주며, 또 간에 저장된 글루코오스를 혈액 속에 내보내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혈당을 낮춰준다. 설포닐우레아 제제의 부작용으로는, 변비, 설사, 구역, 구토 등의 위장관 장해, 가려움, 두드러기 등의 피부반응, 체중 증가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 계열에 속하는 약으로는, 글리메피리드(아마릴™), 글리피자이드(글루코트롤™), 글리부라이드(다이아베타™) 등이 있다. 비구아니드 (Biguanide) 제제로는 메트포르민(글루코파지™)이 현재 시판되고 있는데, 비구아니드 제제는 간이 저장 포도당을 보다 서서히 내놓게 하고 또한 인체가 인슐린에 반응하는 것을 도와줌으로써 혈당을 보다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비구아니드 제제의 부작용으로는, 구역, 팽만감, 갑갑함, 설사, 식욕부진 등이 보고되어 있다.
돌콩 (Glycine soja Siebold & Zucc.)은 콩과 (Zingiberaceae)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로 길이는 2m이며 전체에 갈색의 거친 털이 난다. 잎은 호생이고 잎자루는 길며 3출엽이다. 작은잎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둔하고 길이는 3-8c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턱잎은 넓은 피침형이다. 꽃은 7~8월에 홍자색으로 피는데 총상꽃차례는 길이 2~5cm이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나비모양이다. 수술은 10개로서 각각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2~3cm로 털이 많고 콩꼬투리와 비슷하며, 종자는 타원형이거나 신장형 비슷하며 약간 편평하다 (이영노. 원색한국식물도감, (주)교학사, 403p, 1998). 돌콩은 이명으로 갱미두, 녹곽으로 불리며, 생약명으로는 야대두등(野大豆藤), 야료두(野料豆)로 불리운다 (안덕균,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728p, 2000). 돌콩은 콩(Glycine max)의 기원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현재 식용 가능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실제 식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자연계에서 자생하고 있고 강한 유전자를 지니고 있어 콩의 유전적 개량 연구 등을 위해 일부 재배되기도 한다.
콩과식물의 항당뇨효과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107183호에서는, 쥐눈이콩 또는 쥐눈이콩을 식초에 10일 정도 담가 절인 쥐눈이식초콩의 분말이나 추출물의 혈당강하 등의 항당뇨효과를 개시하고 있다. 쥐눈이콩은 콩과의 다년생 만초로 서목태, 여두 등으로도 불리는데, 예로부터 약성이 좋아 약콩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신장병, 혈액순환 등에 좋고 해독작용이 있으며 소갈증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초강목 등에도 약으로 기재되어 있다. 쥐눈이콩은 앞에서 설명한 돌콩에 비해 콩이 커 외관상으로도 돌콩과 잘 구분이 되는데, 돌콩과 달리 현재 식용으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4503호에서는, 검정콩(Glycine max)껍질로부터 추출한 안토시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검정콩으로부터 추출한 안토시아닌이 체내 글루코스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췌장세포의 자멸사를 억제함으로써 당뇨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127728호에서는, 저농도 저급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이 혈액순환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비만상태를 개선시키며, 당뇨, 고지혈증 등의 예방, 증상 완화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107183호에서는,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이, 당뇨가 유발된 실험쥐에서 높은 인슐린감수성을 가짐으로써 식이이용효율증가, 혈당강하효과 및 장기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기재하고 있다. EP 2172206에서는, 콩과식물로부터 당뇨병 치료효과가 있는 세퀴이톨(sequoyitol) 함유 추출물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콩과식물의 항당뇨효과는, 유효성분으로 알려진 안토시아닌이나 세퀴이톨에 기반한 것으로, 콩 추출물 자체는 유의성이 없거나 낮는 혈당강하효과를 보이는 정도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혈당강하작용이 우수한,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소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 콩과 식물에 대해 알려져 있는 항당뇨 효과와 다른 매우 현저한 항당뇨 효과가 돌콩에 있음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고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항당뇨 효과가 매우 뛰어난 돌콩 증자분말 및 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효과 높은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돌콩의 증자분말 및 추출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db/db 생쥐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탁월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돌콩의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탁월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돌콩의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돌콩(Glycine soja)의 열처리된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돌콩 추출물은, 추출물을 다시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한다.
상기 당뇨합병증은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혈전, 심근경색증,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증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히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품은 음료, 분말음료, 고형물, 츄잉검, 차, 비타민 복합제, 식품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db/db생쥐모델을 이용한 혈중 포도당 측정실험, 혈청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등의 다양한 시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돌콩의 증자분말 및 추출물이, 탁월한 혈당강하 효과와 더불어 지질대사 개선 등 당뇨병에 의한 합병증에 탁월한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 및 추출물은 기존에 콩과식물에 대해 알려져 있는 항당뇨 효과를 훨씬 뛰어넘는 월등한 새로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개선)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각 실험군별로 약물(시험물질)을 3주간 경구투여하면서(DC 2 g/kg, 바나바 추출물 100 mg/kg, 생리식염수) 주 1회 꼬리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의 혈당을 측정한 결과이다 (수치는 mean ± SEM으로 표시하고 서로 상이한 표시를 갖는 수치는 개개 특정시간 시점에서 서로 상이함; 통계학적으로 T 시험법에 의하여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함 (*p<0.05, ***p<0.001)).
도 2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포도당(glucose)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도 3은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중성지방 (triglyceride, TG)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도 4는 각 실험군별로 약물(시험물질)을 6주간 경구투여하면서 주 1회 꼬리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의 혈당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5는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포도당(glucose)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도 6은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중성지방(TG)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도 7은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총 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또 11은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저밀도-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도 9는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고밀도-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도 10은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ALT와 AST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도 11은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인슐린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도 12는 실험이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을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중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도 13은 각 실험군별로 약물(시험물질)을 5주간 경구투여하면서 주 1회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14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중성지방(TG)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15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16은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저밀도-콜레스테롤 및 고밀도-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17은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ALT와 AST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18은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인슐린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19는 실험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의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중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20은 각 실험군별로 약물(시험물질)을 5주간 경구투여하면서 주 1회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21은 9주령에서 혈청중 혈당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2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중성지방(TG)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23은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24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저밀도-콜레스테롤 및 고밀도-콜레스테롤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25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ALT와 AST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26은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인슐린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27은 실험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의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중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28은 실험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간조직 (liver)을 적출하여 총 중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29는 각 실험군별로 약물(시험물질)을 6주간 경구투여하면서 주 1회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30은 각 실험군별로 약물(시험물질)을 6주간 경구투여하면서 주 1회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1은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중성지방(TG)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32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33은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저밀도-콜레스테롤 및 고밀도-콜레스테롤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34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BUN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35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중 인슐린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36은 실험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의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중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37은 실험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의 간조직 (liver)을 적출하여, 총 중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1, ***p<0.001).
도 38 내지 40은 DC60-1, DC60-2, DC5 및 DC25 중의 유효성분을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당뇨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개선)를 위한 유효성분으로 돌콩(Glycine soja)의 열처리된 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당뇨합병증은 당뇨와 관련하여 생긴 질환을 의미하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특히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혈전, 심근경색증,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돌콩"은 학명이 "Glycine soja Siebold & Zucc."로, 콩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이며, 이명으로 갱미두, 녹곽 등으로 불리고, 생약명으로 야대두등(野大豆藤), 야료두(野料豆)로 불리는 식물이다. 돌콩 열매는 2~3cm로 털이 많고 콩꼬투리와 비슷하다. 돌콩 종자는 타원형이거나 신장형 비슷하며 약간 편평한데, 본 명세서에서 "돌콩" 또는 "돌콩 종자"는 이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돌콩분말"은 돌콩 종자를 익히지 않고 건조시킨 건조상태의 분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돌콩은 자연계에서 자생하는 것이나 재배된 것 모두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돌콩의 "열처리된 분말"은 돌콩 또는 돌콩분말을 100℃ 이하로 열처리하여 얻은 돌콩분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돌콩의 "증자분말"은 돌콩 또는 돌콩분말을 100℃ 이하로 증자시켜 얻은 분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돌콩(Glycine soja)의 열처리된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돌콩분말을 40~100℃로 열처리하여 얻은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돌콩분말을 60~90℃로 증자시켜 얻은 증자분말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돌콩 추출물은, 돌콩분말에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를 가하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로 추출하여 얻은 것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90℃로 추출하여 얻은 것이다. 상기 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극성 용매를 사용한다.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공지의 추출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의 온수 추출한 후 감압여과 및 농축하여 본 발명의 돌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돌콩 추출물은, 추출물을 다시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한다. 돌콩 분획물은 상기 돌콩 추출물에 대해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하여 수득할 수 있다 (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상기 돌콩분말은 자연상태에서 자생하는 돌콩 또는 재배된 돌콩을 수확하여 통상적인 건조방법에 따라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갈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돌콩분말은 돌콩분말을 제조한 후 동결건조시킨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돌콩 증자분말 및 추출물에 대해 db/db생쥐모델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항당뇨 및 당뇨합병증에 대한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2형 당뇨 동물모델인 BKS.Cg-m+/+Leprdb/J 생쥐에서의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8: E510-E518(2005); Diabetologia 49: 1647-1655(2006); J. Ethnopharmacol. 103: 491-495 (2006); J. Med. Chem. 43: 3487-3494(2003); Metabolism 50: 1049-1053(2001); Nutrition & Metabolism 53: 488-499(2004)].
먼저,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에 대하여, 최근 연구에서 제2형 당뇨에 효능이 보고된 바나바엽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항당뇨 및 당뇨합병증에 대한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바나바엽은 열대나 아열대지방에서 자생하고 있는 다년생 상록수인 바나바 (Lagerstroemmia speciosa Pers.)의 잎으로, 주요성분으로 콜로소린산 (Corosolic Acid), 아연, 철분, 칼슘, 마그네슘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활성성분 중 콜로소린산 (Corosolic Acid)은 잎 마다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0.1 ~ 0.35% 정도가 들어 있는데, 최근 연구에서는 상기 콜로소린산이 인슐린과 동일하게 글루코스를 세포내에 신속하게 흡수시키는 것 즉, 포도당 운반체(Glucose Transporter)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하여 혈당 강하작용 및 정상혈당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혈당치의 재상승을 억제하는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주령의 db/db생쥐모델에 양성대조군으로 바나바추출물100mg/kg, 시험군으로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DC) 2g/kg, 그리고 음성대조군(NC)으로 같은 양의 생리식염수를 오전과 오후에 일일 2회 3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듯이 음성대조군(NC)의 혈당은 6주령 342.1 mg/dL에서 9주령에는 582.1 mg/dL로 70% 이상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6주령에서 9주령까지 비투여군에 비하여 혈당변화가 크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주령에서 DC 투여군은 360.5 mg/kg으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37.9%의 큰 혈당 감소를 나타내었다.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측정한 혈청중 포도당(glucose) 변화에서는 비투여군(NC)의 포도당(glucose) 수준이 641 mg/dL이었고, 본 발명의 DC 투여군이 427.0mg/dL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33.4%의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도 2).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질대사 이상으로 인한 고지혈증은 고중성지방혈증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이와 같이 혈중 중성지방 (TG)의 증가는 인슐린 저항성을 촉진시켜 혈당조절을 더욱 악화시키게 되는 요인으로 동맥경화 질환으로 발병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같은 실험에서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혈청을 분리하여 측정한 혈청중 중성지방(TG) 변화에서는 비투여군의 중성지방 (TG) 수준이 67.0 mg/dL이었고, 본 발명의 DC 투여군이 37.0 mg/dL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44.7% 이상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 (도 3).
이상의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DC)이 db/db 생쥐에서 비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p<0.01, p<0.001) 혈당 및 중성지방 수준을 감소시켰고, 감소의 정도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바나바추출물 보다도 월등하게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DC)은 금식 후 고혈당증 (fasting hyperglycemia)을 완화시키는 혈당강하 효능이 관찰되었다. 또한, 급성독성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DC가 안전한 약물 및 식품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과 최근 당뇨병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트포르민의 항당뇨 효능을 비교시험함으로써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메트포르민은 당을 새로 생성하는 효소(gluconeogeneic enzymes)를 억제하여 간에서 당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DC)과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을 각각 6주간 투여하면서 혈당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DC와 메트포르민 투여군 모두 비투여군(NC)에 비하여 혈당변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DC는 메트포르민 보다 높은 혈당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주령에서 비투여군(NC) 545.8mg/dL에 비하여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240.5 mg/dL로 55.9% 이상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큰 혈당 감소를 나타내었다.
메트포르민의 주요 효과 중 하나는 인슐린민감성 (insulin sensitivity)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메트포르민이 인슐린민감성을 증가시키는 주된 기전은 내인성 당생성(endogenous glucose production)을 감소시키는 것이고, 그 중에서도 주로 당신생 (gluconeogenesis)을 감소시킨다. 또 메트포르민은 유리지방산 수치 (FFA level)를 낮추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들을 보면, 이상 지질혈증을 가진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메트포르민은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을 유의하게 떨어뜨리고, 또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지만 중성지방 (TG)을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을 높여주는 추세(trend)가 관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도 메트포르민 투여군에서 총콜레스테롤 수치와 LDL-콜레스테롤 수치, 그리고 중성지방 수치가 비처리군 (NC)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이러한 메트포르민 보다도 총콜레스테롤 수치와 LDL-콜레스테롤 수치, 그리고 중성지방 (TG) 수치가 더욱 현저하게 통계학적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6 내지 도 8).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DC가 혈행개선 효과가 탁월함을 시사한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 혈청중 인슐린 수준은 비투여군(NC)이 5.72ng/㎖이었고, DC 투여군은 4.07mg/dL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28.8%의 인슐린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메트포르민 투여군과 대두 분말 투여군도 비투여군에 비하여 약간 감소는 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메트포르민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DC가 혈당의 억제 효능과 더불어 제2형 당뇨병의 문제점인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 효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DC)이 db/db 생쥐에서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및 비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혈당,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공복 후 고혈당증 (fasting hyperglycemia)을 완화시키는 혈당강하 효능과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효능 등 혈행개선 효과가 관찰 되었다.
또한, 4주령의 db/db생쥐모델에서 돌콩분말(1.5 g/kg/day), 물추출물(300 mg/kg/day), 메탄올추출물(300 mg/kg/day), 헥산층분획물 (100 mg/kg/day), 부탄올층분획물 (100 mg/kg/day), 에틸아세트층분획물 (100 mg/kg/day), 물층분획물 (100 mg/kg/day)을 경구투여 하여 5주간 혈당 강하 효과를 측정 하였다 [실험예 3]. 그 결과 대조군 대비, 돌콩의 시험군들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최소 p<0.01 이상) 있게 현저한 혈당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9주령에서 돌콩분말 (DC-p) 투여군은 대조군 (NC)에 비하여 264.7 mg/dl로 49% 감소하였고, 추출물들에 있어서는 물추출물(DC-WE)이 223.0 mg/dL로 57% 감소효과를, 메탄올 추출물(DC-ME)이 294.6 mg/dL 로 43%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용매분획물들에 있어서는 물층분획물(DC-WF)이 179.4 mg/dL로서 65%의 혈당 감소효과를, 에틸아세테이트층분획물(DC-EF)이 253.9 mg/dL로서 51%의 감소효과를, 부탄올층분획물(DC-BF)이 275.0 mg/dL로서 47%의 감소효과를, 헥산층분획물(DC-HF)이 346 mg/dL로서 33%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군들 모두에서 체중, 지방조직 (adipose tissue) 무게, 혈청 중ALT 및 AST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제2형 당뇨 동물모델에 있어서 돌콩의 증자분말, 돌콩의 물 또는 유기용매추출물, 이들 추출물의 용매분획물들은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혈당조절, 인슐린 저항성 및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돌콩 증자분말 또는 돌콩 추출물의 섭취는 공복 후 고혈당증 (fasting hyperglycemia)을 완화시키는 혈당강하 효능과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효능 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4주령의 db/db생쥐모델에 9주령까지 온도별 돌콩 추출물인 DC60 추출물, DC80추출물, DC100추출물, DC40E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여 5주간 혈당 강하 효과를 측정 하였다 [실험예 4]. 그 결과 대조군 642.0 mg/dl에 비하여 DC80 추출물 투여군이 400.5 mg/dl로 37.6%의 혈당 감소가 있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p<0.01)을 나타내었다. 또한, DC80, DC100, 그리고 DC40E 투여군에서 중성지방(TG),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복부 지방무게, 간무게,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이 비투여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돌콩 추출물(DC5, DC25) 및 칼럼 분획물들(DC60-1, DC60-2), 그리고 종래에 콩과 식물 또는 다른 천연물에서 유래된 항당뇨 유효물질로 알려진 안토시아닌(Anthocyanins), 피니톨(Pinitol), 그리고 바나바와 크롬복합물 (BANABA)의 효능을 비교하는 검증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5]. 9주령에서 혈당저하 효과는 시험시료들 모두에서 나타났고, 그 효력은 Pinitol (52.1%) > DC25 (47.6%) > DC60-2 (38.6%) > DC5 (34.6%) = BANABA (34.6%) > Anthocyanins (26.5%) = DC60-1 (25.8%)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9주령에서 DC25와 Anthocyanins을 제외한 모든 시료들에서 인슐린저항성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그 효력은 BANABA (82.4%) > DC60-1 (67.6%) > DC5 (60.9%) = DC60-2 (59.8%) > Pinitol (35.3%)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한 Pinitol과 BANABA는 유효성분만을 분리 정제하여 고용량으로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투여량 보다 높여 사용한 것인데, 본 발명의 시험군은 이러한 비교시험군과도 대등한 효능을 보여 혈당강하 및 인슐린저항성 억제에 대한 분명한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돌콩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가 종래 일반적인 콩에서 알려져 있는 유효물질(세퀴이톨, 키로-이노시톨, 피니톨)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함유 여부 및 함유량을 분석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6]. 분석결과, DC60-1, DC60-2, DC5, DC25 모두에서 세퀴이톨과 키로-이노시톨은 검출되지 않았다. 피니톨은 일부 함유되어 있었는데, 실험예 5의 결과를 참고할 때 피니톨 함유량과 시험물질의 혈당저하 효과는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의 2-1 및 도 29 참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돌콩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콩과식물의 유효성분과 다름을 보여주는 것이다.
돌콩은 오랫동안 식용되거나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식품재 및 약재로서 이로부터 얻은 본 발명의 증자분말이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그리고, 이점은 본 발명에서 급성독성실험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상기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증자분말이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료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
상기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식품은 특히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돌콩의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혈당 개선, 지질대사 개선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목적으로 다양한 식품 또는 음료 등에 첨가한 형태의 식품 조성물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건강보조식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예를 들어, 음료, 분말음료, 고형물, 츄잉검, 차, 비타민 복합제, 식품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 상기 돌콩의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이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다양한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시료는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돌콩 증자분말의 제조
1. 돌콩분말
돌콩은 경북 문경시 우지동에서 자생하는 돌콩을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채집된 돌콩을 건조시킨 후 믹서로 분쇄하여 돌콩분말을 얻었다.
2. 돌콩 증자분말
1에서 얻은 돌콩분말을 약 80℃에서 2시간 정도 증자시켜 돌콩의 열처리된 분말을 얻었다 (이하, "DC"라 함).
<실시예 2> 돌콩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1. 돌콩 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된 돌콩분말 1kg에 물 10ℓ를 가하여 60℃에서 4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여과한 후 여액을 모아 진공회전농축기로 45℃에서 감압농축하여 돌콩분말의 물추출물(이하, "DC-WE"라 함) 130g을 수득하였다.
2. 돌콩 메탄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된 돌콩분말 1kg에 메탄올 10ℓ를 가하여 60℃에서 4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여과한 후 여액을 모아 진공회전농축기로 37℃에서 감압 농축하여 돌콩분말의 메탄올추출물(이하, "DC-ME"라 함) 180g을 수득하였다.
3. 돌콩 용매분획물
상기 2에서 제조된 돌콩 메탄올 추출물 100g을 증류수 2L에 현탁시키고, 동량의 헥산을 넣고 진탕한 후 2회 분획하여 헥산층과 물층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물층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진탕한 후 2회 분획하여 에틸아세이트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다시 분리된 물층에 동량의 수포화부탄올을 가하여 진탕한 후 2회 분획하여 부탄올층과 물층으로 분리하였다. 유기용매분획물들은 각각 감압건조하고, 수층분획물은 동결건조하여, 헥산층 분획물(이하, "DC-HF"라 함) 19.6g, 에틸아세테이트층분획물(이하, "DC-EF"라 함)12.7g, 부탄올층분획물(이하, "DC-BF"라 함)29.0g, 물층 분획물(이하 "DC-WF"라 함) 27.7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돌콩의 온도별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된 돌콩분말 1kg에 물 10ℓ를 가하고 각각 60℃, 80℃, 100℃에서 4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여과한 후 여액을 모아 진공회전농축기로 45℃에서 감압농축하여 각각의 온도별 물 추출물들인 DC60 추출물, DC80 추출물, DC100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물 대신 에탄올을 사용하고 40℃에서 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에탄올 추출물인 DC40E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돌콩 증자분말의 당뇨 및 당뇨합병증에 대한 효과
1. 재료 및 방법
1-1. 시험물질 및 투여방법
상기 실시예 1의 2에서 얻은 돌콩 증자분말을 생리식염수에 희석시켜 1일 2회 경구투여하였다 (오전 10시, 오후 6시). 양성대조군은 바나바추출물 (Banaba leaf extract, 구입처: 웰리스바나바(주), 성상: 갈색 tablet)을 분말로 만든 후에 생리식염수에 녹여 동일하게 1일 2회 경구투여하였다 (오전10시, 오후 6시). 음성대조군은 동일한 양의 생리식염수를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1-2. 항 당뇨병제 투여 효능평가 예비 동물실험
6주령의 수컷 db/db 마우스(26g, Taconic Farms, Inc.)를 이용하여 각각의 항 당뇨병제 투여군마다 7마리씩 3개 군으로 분류한 다음 온도 22ㅁ2℃, 습도 55ㅁ10% 및 12시간 간격의 명암으로 조절되는 SPF (specific pathogen free) 사육환경 하에서 유지하면서 시료 투여 후 0, 3, 6, 9, 12 및 15일에 체중과 혈당을 측정하여 각각의 시료별로 혈당강하 효능이 확인되는 적정한 농도를 선택하였다.
1-3. 항 당뇨병제 투여 효능평가 동물실험 및 시료 채취
비만이면서 당뇨병 증상이 나타나는 6주령의 수컷 db/db 마우스는 인위적으로 유전적변이를 일으켜 렙틴(leptin)의 피드백 신호전달을 차단하여 성장함에 따라 체중과다와 함께 제2형 당뇨병이 유발되도록 한 실험용 생쥐로서 이 생쥐모델을 대상으로 시료를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군은 3개군으로 나누어 db/db 마우스를 각 군당 7마리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1개군은 시험군으로 돌콩 증자분말(DC) 2g/kg를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8시에 경구투여하였으며, 1개군은 양성대조군으로 바나바 추출물(banaba leaf extract) 100mg/kg을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고, 1개군은 음성대조군으로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각 군의 사육조건은 예비 동물실험과 동일하게 온도 22±2℃, 습도 55±10% 및 12시간 간격의 명암으로 조절되는 SPF 환경을 유지하였다. 투여 0, 7, 14, 21일에 체중과 혈당 변화를 휴대용 혈당계 (OneTouchTM, Johnson & Johnso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군별로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1-4. 혈액분석부검 및 병리조직분석
위와 같은 실험군의 동물들로부터 혈액을 채혈하여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 혈장을 분리하여 글루코오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혈액 내 당 지질 및 기타 장기독성 등과 관련된 혈액생화학적 지표들에 대하여 대조군과의 차이를 통계학적 방법 (stu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주요 장기들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수행하기 위해 간, 신장, 심장, 췌장, 및 폐장 등을 절취하여 10% neutral buffered formalin에 보관 및 장기 일부를 RNASolB에 보관하였다.
1-5.
통계처리
다양한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mean±standard error로 기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2. 결과
2-1. 혈당 변화
6주령의 db/db생쥐모델에 시험군(DC 2 g/kg)과 대조군(양성대조군: 바나바 추출물 100 mg/kg, 음성대조군: 생리식염수)을 오전과 오후에 일일 2회 3주간 경구투여하면서 주 1회 휴대용 혈당 측정기로 생쥐의 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고, 측정 전날에 모든 생쥐의 diet를 제거하였다 (약 12시간). 실험 결과, 혈당 변화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보듯이 음성대조군(NC)의 혈당은 6주령에서 342.1 mg/dL에서 9주령에는 582.1 mg/dL로 70% 이상 증가를 나타내었다. DC 투여군은 6주령에서 9주령까지 NC와 비교하여 혈당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9주령에서 360.5 mg/kg로 NC에 비해 혈당이 37.9%(약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DC 투여군은 양성대조군인 바나바 잎 추출물 투여군과 비교하여서도 월등하게 혈당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 혈청중 포도당(glucose) 변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2시간)에서 에틸에테르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다음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포도당(glucose)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와 같다. NC의 포도당(glucose) 수준은 641 mg/dL이었고, 돌콩 증자분말(DC)을 투여한 시험군은 427 mg/dL로 NC에 비하여 33.4%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1). 양성대조군인 바나바 추출물은 463mg/dL로 NC에 비하여 27.7%의 통계학적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p<0.01), 시험군(DC)과 비교하면 시험군(DC)이 월등한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지질대사 및 당뇨합병증에 대한 효과
지질대사 및 당뇨합병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혈청중 중성지방 (triglyceride, TG) 변화 측정하였다.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2시간)에서 에틸에테르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다음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중성지방(Triglyceride)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에서 보듯이 NC의 중성지방 (TG) 수준은 67.0 mg/dL이었고, 돌콩 증자분말(DC)을 투여한 시험군이 37.01 mg/dL로 NC군에 비하여 44.7%이상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01). 이러한 결과는 상기 2-2의 혈청중 포도당 억제 효능 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DC의 혈행개선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양성대조군인 바나바 추출물은 50.0㎎/dL로 NC에 비해 25.3%의 통계학적 유의성 있는 감소 (p<0.01)를 나타내었으나, DC 투여군과 비교하면 DC 투여군 쪽이 현저히 높은 중성지방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 (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당 5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DC)을 5,000 ㎎/㎏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시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DC)은 랫트에서 각각 5,000 ㎎/㎏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5,0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돌콩 증자분말과 메트포르민의 항 당뇨에 대한 비교 효능 시험
1. 재료 및 방법
1-1. 시험물질 및 투여방법
돌콩 증자분말(DC)을 생리식염수에 희석시켜 2g/kg/day을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씩 나누어 경구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은 혈당강하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메트포르민(metformin : 1,1-dimethylbiguanide)을 양성대조물질로 선택하여 0.25% carboxymethylcellulose (CMC)에 녹여 150 mg/kg/day을 0.2㎖씩 2회로 나누어 시험군과 동일하게 경구투여하였다. 음성대조군은 동일한 양의 생리식염수를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또 다른 비교시험군으로 일반콩(대두)의 증자분말을 사용하였다. 대두의 증자분말은 돌콩대신 대두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었으며, 돌콩 증자분말(DC)과 동일한 양과 방법으로 1일 2회 경구투여하였다.
1-2. 실험군 분류 및 실험 설계
숫컷 db/db 마우스 3주령을 분양 받아 1주간 동물사육실에서 적응을 시킨 후 각 실험군을 6마리씩 배정하고, 4주령에서 혈당측정을 1주일 간격으로 총 6주간 수행하였다. 그리고 약물 투여는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씩 경구투여하였다. 주 1회 혈당측정은 매주 수요일 오전 09시에 식이(diet)를 제거하여 절식시킨 다음, 공복 6시간 후인 15시에 마우스 꼬리 미정맥에서 휴대용 혈당계 (OneTOUCH@Ultra, Johnson & Johnson, USA)로 측정하였다. 또한 최종 생화학분석을 위한 혈청은 12시간 이상 공복시 혈액을 채취하여야 하므로 최종 8주차에 혈당을 측정하고, 부검은 2일이 경과된 후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부검시 모든 동물은 12시간 절식 후 에테르로 마취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취해 혈청분리용 tube에 담고, 혈청분리용 tube의 혈액은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얻어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위한 시료로 이용하였다.
- 실험군 분류
① 대조군 (db/db 마우스) (n=6)
② 양성대조군 (Metformin, 150mg/kg/day, o.p)(n=6)
③ 돌콩 증자분말(DC) 분말 (2.0g/kg/day, o.p)(n=6)
④ 대두 분말 (2.0g/kg/day, o.p)(n=6)
1-3. 혈중 포도당, 인슐린 분석
각 실험군별로 시험물질을 6주간 투여한 후 최종 8주차에 혈당을 측정하고, 부검은 2일이 경과된 후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부검시 모든 동물은 12시간 절식 후 에테르로 마취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취해 혈청분리용 튜브에 담고, 혈청분리용 튜브의 혈액은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얻어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위한 시료로 이용하였다. 분리한 혈청중 포도당 인슐린 분석하였다. 8 주간의 약물 투여 기간 동안 각 실험군의 인슐린 및 인슐린 저항성 지수 (HOMAIR)의 변화를 아래의 계산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혈중 인슐린 농도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혈장을 시료로 하고 마우스 인슐린 ELISA 키트 (Shibayagi, Japan)를 이용하여 ELISA 리더 (Labsystems, Finland)로 측정하였다.
1-4. 지방조직 중량 측정
각 실험군별로 시험물질을 6주간 투여한 후 각 실험동물을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지방조직의 중량을 산출하였다.
1-5. 혈장중 지질생화학적 분석
1-3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혈액을 혈청분리용 튜브에 담고,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얻어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리한 혈장(plasma)에서 혈장 및 간의 지질함량의 지표인 총콜레스테롤, HDL(High-density lipoprotein), LDL(Low-density lipoprotein), 중성지방(triglyceride), 인지질의 함량을 생화학자동 분석기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6. 통계처리
다양한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mean±standard error로 기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2. 결과
2-1. 혈당 변화
4주령의 db/db생쥐모델에 양성대조군으로 메트포르민150mg/kg/day, 시험군 돌콩의 증자분말(DC) 2g/kg/day, 그리고 비교 시험군으로 대두 분말 2g/kg/day을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1일 2회 6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주 1회 휴대용 혈당 측정기를 사용하여 생쥐의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6시간 전에 모든 생쥐의 diet를 제거하였다. 실험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에서 보듯이 비투여군(NegativeControl, NC)의 혈당은 4주령에서 155.8mg/dL, 10주령에서 545.8 mg/dL로, 6주 동안 3.5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DC) 투여군은 10주령에서 240.5 mg/dL으로 비투여군(NC) 545.8mg/dL에 비하여 55.9% 이상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혈당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01). 그리고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과 비교시험군인 대두 분말은 NC에 비해 각각 각각 34.6% 및 17.6%의 혈당감소를 나타내었다 (p<0.001, p<0.01). 돌콩 증자분말(DC)을 투여한 시험군과 양성 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은 각각 6주 동안 비투여군(NC)에 비하여 혈당이 크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메트포르민 투여군보다도 훨씬 높은 혈당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2-2. 혈청 중 포도당 변화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포도당(glucose)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5와 같다. 음성대조군인 비투여군 (NC)의 포도당(glucose) 수준은 575.0 mg/dL이었고,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과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DC)을 투여한 시험군은 각각 376.0mg/dL과 231.0mg/dL으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34.6%와 59.8%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큰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0.001), 특히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 보다도 월등하게 높은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 4에서 꼬리정맥에서의 혈당 변화 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결과로, DC 투여에 따른 실시간 항당뇨 효과와 일치하였다. 비교시험군인 대두분말(bean powder) 투여군은 426.3mg/dL으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25.8%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p<0.05), 본 발명의 DC 투여군에 비해서는 크게 낮은 감소를 나타내었다.
2-3. 혈청 중 중성지방 (triglyceride , TG) 변화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중성지방(TG)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6과 같다. 비투여군(NC)의 중성지방(TG) 수준은 128.8mg/dL이었다.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과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각각 78.8mg/dL과 57.2mg/dL으로 NC에 비하여 38.8%와 55.6%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중성지방 (TG)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0.01, p<0.001), 특히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 에 비해서도 월등하게 높은 중성지방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DC가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보다 중성지질저하를 통한 혈행개선 효과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반콩 분말 투여군은 중성지방 (TG)은 101.8mg/dL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2-3.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변화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에틸 에테르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총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7과 같다. 비투여군 (NC)의 총콜레스테롤 수준은 168.2mg/dL이었고,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107.7mg/dL으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35.9%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총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01). 그러나 메트포르민 투여군은 비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대두 분말 투여군은 총콜레스테롤이 123.2mg/dL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26.7%의 유의성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1).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DC 투여가 총콜레스테롤 감소 및 이를 통한 혈행개선 면에서도 가장 효과가 좋다는 것을 나타낸다.
2-4. 혈청 중 저밀도-콜레스테롤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변화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에틸 에테르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저밀도-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8과 같다. 비투여군 (NC)의 총콜레스테롤 수준은 9.3mg/dL이었고,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4.9mg/dL으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47.3%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5). 메트포르민 투여군과 대두 분말 투여군은 비투여군에 비해 감소는 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DC 투여가 저밀도-콜레스테롤 감소 및 이를 통한 혈행개선 면에서도 가장 효과가 좋다는 것을 나타낸다.
2-5. 혈청 중 고밀도-콜레스테롤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변화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에틸 에테르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고밀도-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9와 같다. 메트포르민 투여군, 본 발명의 DC 투여군, 그리고 대두 분말 투여 모두 비투여군(NC)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2-6. 혈청 중 ALT와 AST 변화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에틸 에테르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ALT와 AST 수준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0과 같다. ALT 수준은 비투여군(NC)이 68.5 U/L이었고, 양성대조군 메트포르민 투여군이 54.9U/L, 본 발명의 DC 투여군이 57.4U/L, 그리고 대두 분말 투여군이 64.6U/L으로, 모든 실험군에서 간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AST 수준은 비투여군이 119.7U/L이었고, 메트포르민 투여군이 120.0U/L, 본 발명의 DC 투여군이 112.7U/L, 그리고 대두 분말 투여군이 144.5U/L으로, 모든 실험군에서 간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7. 혈청 중 인슐린 변화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에틸 에테르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KI, Japan)로 혈청중 인슐린 수준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1과 같다. 혈청중 인슐린 수준은 비투여군(NC)이 5.72ng/㎖이었고, 본 발명의 DC 투여군은 4.07mg/dL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28.8%의 인슐린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메트포르민 투여군과 일반콩 투여군도 비투여군에 비하여 혈청 중 인슐린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혈당의 인슐린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지니게 되고 이로 인해 혈중 인슐린의 양이 증가하여 각종 대사장애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DC 투여군에서 혈당의 억제 효능과 더불어 제2형 당뇨병의 문제점인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2-8. 지방조직 변화
실험이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을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2와 같다. 지방조직의 변화는 비투여군 (NC)이 5.9g이었고, 본 발명의 DC 투여군이 5.0g으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15.3%의 지방조직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났다 (p<0.01).
<실험예 3> 돌콩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당뇨 및 당뇨합병증에 대한 효과
1. 재료 및 방법
1-1. 당뇨병 모델동물 및 실험설계
숫컷 db/db 마우스 3주령을 분양받아 1주간 동물사육실에서 적응을 시킨 후 각 실험군마다 6마리씩 배정하고, 4주령에서 총 6주간 수행하였다. 약물 투여는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씩 경구투여하였다. 주 1회 혈당측정은 매주 수요일 오전 09시에 식이(diet)를 제거하여 절식시킨 다음, 공복 6시간 후인 15시에 마우스 꼬리 미정맥에서 휴대용 혈당계 (OneTOUCH@Ultra, Johnson & Johnso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체적인 실험설계는 실험방법은 실험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1-2. 시험물질 및 투여방법
실시예 1에서 얻은 돌콩 증자분말과 실시예 2에서 얻은 돌콩 추출물 및 분획물을 시험물질로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생리식염수에 현탁시켜 1일 용량을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씩 나누어 경구투여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총 8개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 군 :
① 대조군(db/db 마우스)(n=6)
② 돌콩물추출물(DC-WE)(300 mg/kg, o.p)(n=6)
③ 돌콩메탄올추출물(DC-ME)(300 mg/kg, o.p)(n=6)
④ 돌콩메탄올추출물의 헥산용매분획물(DC-HF)(100 mg/kg, o.p)(n=6)
⑤ 돌콩메탄올추출물의 부탄올용매분획물(DC-BF)100 mg/kg, o.p)(n=6)
⑥ 돌콩메탄올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용매분획물(DC-EF)(100 mg/kg, o.p)(n=6)
⑦ 돌콩메탄올추출물의 물용매분획물분획물(DC-WF)(100 mg/kg, o.p)(n=6)
⑧ 돌콩 증자분말(DC-p)(1.5 g/kg, o.p)(n=6)
1-3. 지방조직 중량 측정
시험물질을 6주간 투여한 후 각 실험동물의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지방조직의 중량을 산출하였다.
1-4. 제2형 당뇨
db/db
마우스의 혈장중 지질생화학적 분석
시험물질을 투여한 6주간의 사육 종료 후 최종8주차 혈당을 측정하고, 2일이 경과된 후에 부검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부검시 모든 동물은 12시간 절식 후 에테르로 마취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취해 혈청분리용 튜브에 담고, 혈청분리용 튜브의 혈액은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다음 이 혈청을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리한 혈장(plasma)에서 간 기능의 지표인 ALT 및 AST를, 혈장 및 간의 지질함량의 지표인 총콜레스테롤, HDL(High-density lipoprotein), LDL(Low-density lipoprotein), 중성지방(triglyceride) 등의 함량을 생화학자동 분석기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5. 혈청중 포도당, 인슐린 분석
상기 1-4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으로 혈청중 포도당과 인슐린을 분석하였다. 혈중 인슐린 농도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혈장을 시료로 하고 마우스 인슐린 ELISA 키트 (Shibayagi, Japan)를 이용하여 ELISA 리더 (Labsystems, Finland)로 측정하였다.
1-6. 통계처리
다양한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meanㅁstandard error로 기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2. 결과
2-1. 혈당 변화
4주령의 db/db생쥐모델에 돌콩물추출물 (water extract, 300mg/kg/day, DC-WE),메탄올추출물 (methanol extract, 300mg/kg, DC-ME),헥산층분획물 (Haxane fraction, 100mg/kg/day, DC-HF),부탄올층분획물 (BuOH fraction/day, 100mg/kg/day, DC-BF),에틸아세트층분획물 (EtOAC fraction, 100mg/kg/day, DC-EF),물층분획물 (water fraction, 100mg/kg/day, DC-WF),그리고 돌콩 증자분말 (DC-p, 1.5g/kg/day, DC-p)을 오전과 오후에 일일 2회 5주간 경구투여 하면서, 주 1회 휴대용 혈당 측정기로 생쥐의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측정 6시간 전에 모든 생쥐의 diet를 제거하였으며, 결과는 도 13과 같다. 비처리 대조군(NegativeControl, NC)의 혈당은 4주령 142.8 mg/dL에서, 5주령 175.8 mg/dL, 6주령 270.5 mg/dL, 7주령 461.5 mg/dL, 8주령 479.8 mg/dL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시험종료일인 9주령에는 516.3 mg/dL로 5주 동안 혈당이 3.6배 증가하였다. 반면 돌콩의 시험군들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최소 p<0.01 이상) 있게 현저한 혈당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9주령에서 돌콩 증자분말 투여군(DC-p)은 대조군 (NC)에 비하여 264.7 mg/dl로 49%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추출물들에 있어서는 물추출물(DC-WE)이 223.0 mg/dL로 57%의 감소를, 메탄올 추출물(DC-ME)이 294.6 mg/dL로 43%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용매분획물들에 있어서는 물층분획물(DC-WF)이 179.4 mg/dL로 65%의 감소를, 에틸아세테이트층분획물(DC-EF)이 253.9 mg/dL로서 51%의 감소를, 부탄올층분획물(DC-BF)이 275.0 mg/dL로서 47%의 감소를, 헥산층분획물(DC-HF)이 346 mg/dL로서 33%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2-2. 혈청중 중성지방 (triglyceride , TG) 변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중성지방(TG)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4와 같다. 비처리 대조군의 중성지방 (TG) 수준은 209.3 mg/dL이었고, DC-WE, DC-ME, DC-HF, DC-BF, DC-EF, DC-WF, 그리고 DC-p 투여군은 비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54.0% 이상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현저한 중성지방 (TG)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5, p<0.01).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돌콩 증자분말, 돌콩추출물, 돌콩분획물이 모두 현저한 혈행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변화
상기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해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총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15와 같다. 비처리 대조군(NC)의 총콜레스테롤 수준은 181.5 mg/dL이었고, DC-WE, DC-ME, DC-HF, DC-BF, DC-EF, DC-WF, 그리고 DC-p 투여군은 모두 비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총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2-4. 혈청중 저밀도-콜레스테롤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및 고밀도-콜레스테롤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변화
상기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해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저밀도-콜레스테롤과 고밀도-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16과 같다. 비처리 대조군 (NC)의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준은 20.7 mg/dL이었고, DC-WE, DC-ME, DC-HF, 그리고 DC-EF 투여군은 모두 비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저밀도-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5, p<0.01). 이러한 결과로 돌콩추출물 및 DC-HF, DC-EF 투여가 저밀도-콜레스테롤 감소 및 그에 따른 혈행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밀도-콜레스테롤은 DC-WE, DC-ME, DC-HF, DC-BF, DC-EF, DC-WF, 그리고 DC-p 투여군 모두 비처리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2-5. 혈청중 ALT와 AST 변화 측정
상기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해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ALT와 AST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17과 같다. 비처리 대조군과 DC-WE, DC-ME, DC-HF, DC-BF, DC-EF, DC-WF, 그리고 DC-p 투여군 모두 ALT과 AST 수준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모든 실험군에서 간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 혈청중 인슐린 변화
상기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해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KI, Japan)로 혈청중 인슐린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18과 같다. 혈청중 인슐린 수준은 비처리 대조군(NC)이 6.55ng/㎖이었고, DC-WE 4.15ng/㎖, DC-ME 4.43ng/㎖, DC-HF 4.31ng/㎖, DC-BF 4.83ng/㎖, DC-EF 4.63ng/㎖, DC-WF 3.89ng/㎖, 그리고 DC-p 4.15ng/㎖으로 시험군은 모두 비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25% 이상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인슐린 감소를 나타나내었고, 특히 DC-WF 투여군의 인슐린 수치는 비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40% 이상의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DC-WE, DC-WF, 그리고 DC-p 등이 혈당의 억제 효능과 더불어 제2형 당뇨병의 문제점인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2-6. 지방조직 변화
실험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의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19와 같다. DC-WE 투여군은 복부 (Abdominal), 부고환 (Epididymal) 및 사타구니 (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 무게가 비처리 대조군(NC)에 비하여 약 19%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실험예 4> 돌콩 추출물의 추출 온도에 따른 항당뇨 효과 비교
1. 재료 및 방법
1-1. 당뇨병 모델동물 및 실험설계
숫컷 db/db 마우스 3주령을 분양받아 1주간 동물사육실에서 적응을 시킨 후 각 실험군마다 6마리씩 배정하고, 4주령에서 총 6주간 수행하였다. 약물 투여는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씩 경구투여하였다. 주 1회 혈당측정은 매주 수요일 오전 09시에 식이(diet)를 제거하여 절식시킨 다음, 공복 6시간 후인 15시에 마우스 꼬리 미정맥에서 휴대용 혈당계 (OneTOUCH@Ultra, Johnson & Johnso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체적인 실험설계는 실험방법을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1-2. 시험물질 및 투여방법
실시예 3에서 얻은 추출 온도별 돌콩 추출물을 시험물질로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생리식염수에 현탁시켜 1일 용량을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씩 나누어 경구투여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총 5개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시험군의 분류
① 대조군 (db/db 마우스)(n=4)
② DC60 추출물 (0.4㎖/day, o.p)(n=4)
③ DC80 추출물 (0.4㎖/day, o.p)(n=4)
④ DC100 추출물 (0.4㎖/day, o.p)(n=4)
⑤ DC40E 추출물 (0.4㎖/day, o.p)(n=4)
1-3. 제2형 당뇨
db/db
마우스의 지방조직 중량 측정
DC 추출물을 6주간 투여 후 각 실험동물을 복부(Abdominal), 부고환 (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지방조직의 중량을 산출하였다.
1-4. 제2형 당뇨
db/db
마우스의 혈장 중 지질생화학적 분석
약물을 투여하는 6주간 사육 종료 후 최종 8주차에 혈당을 측정하고, 2일이 경과된 후에 부검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부검시 모든 동물은 12시간 절식 후 에테르로 마취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취해 혈청분리용 튜브에 담고, 혈청분리용 튜브의 혈액은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청을 얻어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리한 혈장(plasma)에서 간 기능의 지표인 ALT 및 AST를, 혈장 및 간의 지질함량의 지표인 총콜레스테롤, HDL(High-density lipoprotein), LDL(Low-density lipoprotein), 중성지방(triglyceride) 등의 함량을 생화학자동 분석기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5. 제2형 당뇨
db/db
마우스의 혈중 포도당, 인슐린 분석
상기 1-4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해 혈청중 포도당 및 인슐린 수준을 분석하였다. 혈중 인슐린 농도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혈장을 시료로 하고 마우스 인슐린 ELISA 키트 (Shibayagi, Japan)를 이용하여 ELISA 리더 (Labsystems, Finland)로 측정하였다.
1-6. 통계처리
다양한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meanㅁstandard error로 기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2. 결과
2-1. 혈당 변화
4주령의 db/db생쥐모델에 DC60 추출물, DC80 추출물, DC100 추출물, DC40E 추출물을 오전과 오후에 1일 2회 5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주 1회 생쥐의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휴대용 혈당 측정기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측정 6시간 전에 모든 생쥐의 diet를 제거하였으며, 결과는 도 20과 같다. 미처리 대조군(NegativeControl, NC)의 혈당은 4주령 146.8 mg/dL에서, 5주령 160.5 mg/dL, 6주령 215.0 mg/dL, 7주령 353.8 mg/dL, 8주령 401.8 mg/dL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시험종료일인 9주령에는 516.5 mg/dL로 5주 동안 혈당이 3.5배 이상 증가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DC 추출물 시험군들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최소 p<0.01 이상) 있게 현저한 혈당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9주령에서 측정한 혈청중 혈당 수준은 도 21과 같으며, DC60 추출물 투여군이 317.0 mg/dl로 대조군 (NC)에 비하여 38.6%의 혈당감소를, DC80 추출물 투여군이 299.3 mg/dL로 42.0%의 감소를, DC100 추출물 투여군이 410.3 mg/dL로 20.5%의 감소를, DC40E 추출물 투여군이 334.0 mg/dL로 35.3%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2-2. 혈청 중 중성지방 (triglyceride , TG) 변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에틸 에테르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 중 중성지방(TG)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2와 같다. 미처리 대조군의 중성지방 (TG) 수준은 179.0 mg/dL이었고, DC60 투여군은 126.8 mg/dL, DC80 투여군은 92.3 mg/dL, DC100 투여군은 158.3 mg/dL, DC40E 투여군은 85.5 mg/dL로, 미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DC100 투여군을 제외하고 29.0% 이상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중성지방 (TG)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1, p<0.001). 그리고 DC60 추출물과 DC40E 추출물은 비투여 대조군에 비하여 50% 이상으로 중성지방을 억제하여 현저한 혈행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3.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변화
상기 2-2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해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23과 같다. 미처리 대조군 (NC)의 총콜레스테롤 수준은 160.3 mg/dL이었고, DC80 투여군, DC100 투여군, 그리고 DC40E 투여군은 미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총 콜레스테롤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C60 투여군은 미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2-4. 혈청 중 저밀도-콜레스테롤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및 고밀도-콜레스테롤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변화
상기 2-2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해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 중 저밀도-콜레스테롤과 고밀도-콜레스테롤 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24와 같다. 미처리 대조군 (NC)의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준은 7.4 mg/dL이었고, DC40E 투여군 (p<0.001) 만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54% 이상의 감소를 나타냈다. DC60투여군, DC80투여군, DC100투여군은 미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C 추출물 및 DC-HF, DC-EF 투여가 저밀도-콜레스테롤의 감소 및 이에 따른 혈행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밀도-콜레스테롤은 DC60투여군, DC80투여군, DC100투여군, 그리고 DC40E 투여군 모두 미처리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2-5. 혈청 중 ALT와 AST 변화
상기 2-2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해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 중 ALT와 AST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5와 같다. ALT과 AST 수준은 미처리 대조군과 DC60투여군, DC80투여군, DC100투여군, 그리고 DC40E 투여군 사이에 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모든 실험군에서 간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6. 혈청 중 인슐린 변화
상기 2-2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해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KI, Japan)로 혈청 중 인슐린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6과 같다. 혈청 중 인슐린 수준은 미처리 대조군(NC)이 8.06 ng/㎖이었고, DC60 투여군이 7.73 ng/㎖, DC80 투여군이 4.59 ng/㎖, DC100 투여군이 4.52 ng/㎖, 그리고 DC40E 투여군이 5.82 ng/㎖ 투여군이 5.35 ng/㎖로, 본 발명의 DC80 (p<0.01), DC100 (p<0.001) 투여군이 33.1% 이상의 통계학적 유의성 있게 인슐린 감소를 나타내었다. 특히, DC80 투여군과 DC100 투여군의 인슐린 수치는 미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43% 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DC80, DC100 투여가 혈당의 억제 효능과 더불어 제2형 당뇨병의 문제점인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에도 효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2-7. 지방조직 변화
실험 종료된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을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7과 같다. DC60 투여군 (p<0.01), DC80 투여군 (p<0.01), DC40E 투여군 (p<0.01)은 복부 (Abdominal), 부고환 (Epididymal) 및 사타구니 (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 무게에서 미처리 대조군(NC)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2-8. 간조직 변화
실험 종료된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에서 간조직 (liver)을 적출하여 총 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8과 같다. DC60 투여군 (p<0.001), DC80 투여군 (p<0.05)은 미처리 대조군(NC)에 비하여 간조직의 총 무게에서 감소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5> 비교 효력 검증시험
본 발명의 돌콩 추출물과, 다른 온도 범위의 추출물, 그리고 종래에 콩과 식물 또는 다른 천연물에서 유래된 항당뇨 유효물질로 알려진 안토시아닌, 피니톨, 그리고 바나바와 크롬복합물의 효능을 BKS.Cg-m+/+Leprdb/Jhomozygousdiabetic(db/db) 생쥐를 대상으로 비교 검증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1. 재료 및 방법
1-1. 시험물질 및 비교시험물질
1) 시험군
각각 5℃ 및 25℃에서 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DC5 추출물" 및 "DC25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돌콩의 60℃ 물추출물 (DC60 추출물) 100g을 물 2ℓ용해한 후, D101 컬럼에 통과시켜 분획물 1, 그 다음 30% 에탄올 2ℓ를 통과시켜 분획물 2를 얻었다. 각각의 분획물들을 진공회전농축기로 45℃에서 감압농축하여 돌콩 물추출물의 컬럼분획물 분획물 1에 해당하는 DC60-1과 분획물 2에 해당하는 DC60-2를 얻었다.
2) 비교시험군
"Anthocyanins": 검은콩(서리태)로부터 분리, 정제된 안토시아닌(Anthocyanins) 30% 함유 추출물
"Pinitol": Pinitol 95% 이상 함유물 (Sigma-Aldrich)
"바나바와 크롬복합물": 웰니스바나바골드크롬™ (바나바 추출물 400 mg/g,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200 mg/g 및 크롬 0.1mg/g 함유)
1-2. 당뇨병 모델동물 및 실험설계
숫컷 db/db 마우스 3주령을 분양받아 1주간 동물사육실에서 적응을 시킨 후 각 실험군마다 4마리씩 배정하고, 4주령에서 총 6주간 약물을 투여하면서 혈당, 식이섭취량, 체중 변화를 1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약물 투여는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씩 경구투여하였다. 주 1회 혈당측정은 매주 수요일 오전 09시에 식이(diet)를 제거하여 절식시킨 다음, 공복 6시간 후인 15시에 마우스 꼬리 미정맥에서 휴대용 혈당계 (OneTOUCH@Ultra, Johnson & Johnso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체적인 실험설계는 실험방법을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1-3. 투여방법 및 실험군 분류
시험물질은 생리식염수에 현탁시켜 1일 용량을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씩 나누어 경구투여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총 8개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군의 분류
① NC: 대조군 (4주령 db/db 마우스) (n=4)
② DC60-1 (100 mg/kg, o.p)(n=4)
③ Anthocyanins (100 mg/kg, o.p)(n=4)
④ DC25 (100 mg/kg, o.p)(n=4)
⑤ Pinitol (100 mg/kg, o.p)(n=4)
⑥ DC60-2 (100 mg/kg, o.p)(n=4)
⑦ DC5 (100 mg/kg, o.p)(n=4)
⑧ BANABA: (300mg/kg, o.p)(n=4)
1-4. 지방조직 중량 측정
약물(시험물질)을 6주간 투여한 후 각 실험동물의 복부(Abdominal), 부고환 (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지방조직의 중량을 산출하였다.
1-5. 혈장 중 지질생화학적 분석
6주간 사육 종료 후 최종 8주차에 혈당을 측정하고, 부검은 2일이 경과된 후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부검 시 모든 동물은 12시간 절식 후 에테르로 마취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취해 혈청분리용 튜브에 담고, 혈청분리용 튜브의 혈액은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얻어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리한 혈장(plasma)에서 총콜레스테롤, HDL(High-density lipoprotein), LDL(Low-density lipoprotein), 중성지방(triglyceride), BUN, 인지질의 함량을 생화학자동 분석기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6. 혈중 포도당, 인슐린 분석
상기 1-5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혈청에 대하여 혈청 중 포도당 및 인슐린을 분석하였다. 혈중 인슐린 농도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혈장을 시료로 하고 마우스 인슐린 ELISA 키트 (Shibayagi, Japan)를 이용하여 ELISA 리더 (Labsystems, Finland)로 측정하였다.
1-7. 통계처리
다양한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meanㅁstandard error로 기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2. 결과
2-1. 혈당 변화
4주령의 db/db 생쥐에 BANABA는 300 mg/kg/day용량으로, 다른 모든 시료들은 100 mg/kg/day 용량으로 하여,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1일 2회 6주간 경구투여 하면서 주 1회 휴대용 혈당 측정기로 생쥐의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측정 6시간 전에 모든 생쥐의 diet를 제거하였다. 결과는 도 29와 같다. 비처리 대조군 (NC)의 혈당은 4주령 113.5 mg/dL에서, 5주령 216.5 mg/dL, 6주령 303.8 mg/dL, 7주령 44.8 mg/dL, 8주령 467.5 mg/dL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시험종료일인 9주령에는 484.8 mg/dL로 5주 동안 혈당이 4.2배 증가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시험군과 비교시험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최소 p<0.01 이상) 있게 현저한 혈당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9주령에서 대조군 (NC)의 혈당순준은 약 485mg/dL로 나타났고, 비교시험군 중 Pinitol은 231.8 mg/dL로서 52.1%의 감소효과를, BANABA는 316.8 mg/dL로 34.6%의 감소를, Anthocyanins은 356.3 mg/dL로 26.5%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시험군에서는 DC25는 253.8 mg/dL로 대조군 (NC)과 비교하여 47.6%의 혈당 감소를, DC5는 316.8 mg/dL로 34.6%의 감소를, DC60-1이 359.5 mg/dL로 25.8%의 감소를, DC60-2은 302.5 mg/dL로 38.6%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9주령에서 모든 시험군 및 비교시험군이 혈당 저하 효과를 나타냈고, 그 효력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나타났다. Pinitol(52.1%)>DC25(47.6%)>DC60-2(38.6%)>DC5(34.6%)= BANABA (34.6%) > Anthocyanins (26.5%) = DC60-1 (25.8%).
2-2. 체중, 사료섭취량 및 식이효율
6주간 약물 투여를 진행하는 동안 대조군에 대한 시험물질 투여군의 체중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0과 같다. DC60-1, DC25, Pinitol, 그리고 DC60-2투여군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즉, 실험군내에서 1-2마리가 평균 체중에서 아주 높던지, 낮은 체중을 나타내었다. 사료섭취량의 측정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시험 종료 후 투여군당 하루 사료섭취량은 DC60-1, DC25, Pinitol 투여군에서 비처리 대조군(NC)에 비하여 적은 사료섭취량이 관찰 되었다. 사료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을 이용하여 각 군의 5주간 식이효율을 구해보았을 때, 비처리 대조군 (NC)에 비하여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DC25 (p<0.05), DC60-2 (p<0.05), BANABA (p<0.05) 투여군에서 나타났고, 식이효율변화에서는 DC25와 Pinitol 투여군이 비처리 대조군 (NC)과 식이효율 (FER, %)이 비슷하였고, 또한 DC25와 Anthocyanins, BANABA 투여군이 비처리 대조군 (NC)에 비하여 20% 이상 식이효율 (FER, %)이 감소하였고, DC60-1와 DC60-2 투여군이 비처리 대조군 (NC)에 비하여 28% 이상 식이효율 (FER, %)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표 1
실험군 | 사료섭취량(g/day) | 체중증가(g/day) | 식이효율(FER,%) |
비처리대조군(NC) | 5.45 | 0.661±0.05 | 12.1±0.88 |
DC60-1 | 4.93 | 0.429±0.09 | 8.69±1.77 |
Anthocyanins | 5.47 | 0.518±0.09 | 9.47±1.71 |
DC25 | 4.70 | 0.468±0.03 | 9.95±0.64 |
Pinitol | 4.20 | 0.500±0.05 | 11.9±1.28 |
DC60-2 | 5.14 | 0.429±0.07 | 8.34±1.45 |
DC5 | 5.37 | 0.443±0.15 | 11.0±0.55 |
BANABA | 5.95 | 0.561±0.02 | 9.70±0.34 |
2-3. 혈청 중 중성지방 (triglyceride , TG) 변화
9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에틸 에테르로 마취하고, 3㎖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고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 중 중성지방 (TG)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31과 같다. 비처리 대조군의 중성지방 (TG) 수준은 22 mg/dL이었고, 이와 비교하여 DC60-1, DC6-2, DC25, DC5 및 Pinitol 투여군은 2배 정도로 중성지방 (TG)이 증가하였다. Anthocyanins과 BANABA 투여군은 비처리 대조군 (NC)에 비하여 4배 정도로 중성지방 (TG)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3.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변화
상기 2-2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된 혈청에 대하여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2와 같다. 비처리 대조군 (NC)의 총콜레스테롤 수준은 168.3 mg/dL이었고, DC60-1와 BANABA 투여군이 비처리 대조군 (NC)에 비하여 총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그리고 DC60-2, DC25, DC5, Anthocyanins 및 Pinitol은 비처리 대조군 (NC)과 혈청내 총콜레스테롤 수준의 차이가 없었다.
2-4. 혈청 중 저밀도-콜레스테롤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및 고밀도-콜레스테롤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변화
상기 2-2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된 혈청에 대하여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 중 저밀도-콜레스테롤 (LDL-Chol.)과 고밀도-콜레스테롤 (HDL-Chol.) 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3과 같다. 비처리 대조군 (NC)의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준은 10.1 mg/dL이었고, DC60-1은 통계적 유의성 (p<0.01)을 가지고 대조군 수치의 65%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DC60-2와BANABA 투여군이 비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저밀도-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DC25, DC5, Anthocyanins, Pinitol 및 BANABA 투여군은 비처리 대조군 (NC)과 혈청 내 총콜레스테롤 수준이 차이가 없었다. 고밀도-콜레스테롤은 모든 투여군이 비처리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2-5. 혈청 중 BUN 변화
상기 2-2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된 혈청에 대하여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 중 BUN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4와 같다. 혈청 중 BUN 수준은 당뇨로 인해 변동이 있을 수 있고, 근육 등에서 분비가 되기도 하므로 비만으로 인한 근육량 감소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비처리 대조군의 BUN 수치인 30.2 mg/dL에 비하여 Pinitol 투여군의 4번 생쥐가 92.8 mg/dL로 3배 이상 높게 나타나, 신독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외 DC60-1, DC60-2, DC25, DC5, Anthocyanins 및 BANABA 투여군은 비처리 대조군 (NC)과 혈청 내 BUN의 차이가 없었다.
2-6. 혈청 중 인슐린 변화
상기 2-2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된 혈청에 대하여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KI, Japan)로 혈청 중 인슐린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5와 같다. 혈청 중 인슐린 수준은 비처리 대조군(NC)이 10.2 ng/㎖이었고, DC60-1이 3.3 ng/㎖, DC60-2이 4.1 ng/㎖, DC5가 4.0 ng/㎖, BANABA가 1.8 ng/㎖로,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 (p<0.001)을 가지고 대조군 대비 60% 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Pinitol 또한 6.6 ng/㎖ 수준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35.3%의 수준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p<0.01)있는 저하효과를 나타내었다. DC25와 Anthocyanins은 저하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인슐린저항성 억제에 관한 효능을 비교하면, BANABA (82.4%) > DC60-1 (67.6%) > DC5 (60.9%) ?? DC60-2 (59.8%) > Pinitol (35.3%) 순서로 강하게 나타났다.
2-7. 지방조직 변화
실험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의 복부(Abdominal), 부고환(Epididymal) 및 사타구니(Inguinal)의 지방조직 (adipose tissue)을 부위별로 적출하여, 지방조직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6과 같다. DC60-1, Anthocyanins, DC25, Pinitol, 그리고 DC60-2투여군은 복부 (Abdominal), 부고환 (Epididymal) 및 사타구니 (Inguinal)의 지방조직(adipose tissue)의 무게에서 비처리 대조군 (NC)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p<0.05, p<0.01) 있게 약 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C5와 BANABA 투여군은 비처리 대조군 (NC)과 차이가 없었다.
2-8. 간 조직 변화
실험 종료된 10주령의 db/db 생쥐에서 각 실험동물의 간조직 (liver)을 적출하여, 총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7과 같다. DC25, Pinitol, 그리고 DC60-2 투여군이 간조직의 무게에서 비처리 대조군 (NC)에 비하여 각각 약 7.0% 이상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그러나 DC60-1, Anthocyanins, Pinitol, DC5, 그리고 BANABA 투여군은 비처리 대조군 (NC)과 차이가 없었다.
<실험예 6>
본 발명의 돌콩 추출물 중의 주요 유효성분이 종래에 콩과 식물로부터 유래된 항당뇨 유효물질로 알려진 세퀴이톨(sequoyitol)이나 피니톨인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또 돌콩 추출물 중에 세퀴이톨, 피니톨, 키로-이노시톨(chiro-inositol)이 어느 정도 함유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5에서 사용한 시험물질 DC60-1, DC60-2, DC5, DC25에 대하여 분석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조건은 아래와 같으며, 분석결과 도 38~40 및 표 2와 같다. DC60-1, DC60-2, DC5, DC25 모두 세퀴이톨과 키로-이노시톨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피니톨은 일부 함유되어 있었으나 피니톨 함유량과 시험물질의 혈당저하 효과는 비례하지 않았다 (실험예 5의 2-1 및 도 29 참조).
분석조건
기기 : HITACHI Elite Lachrom HPLC
검출기 : ELSD Detector
컬럼 : NH2 column (5 um, 4.6 x 250 mm)
컬럼온도 : 40 ℃
유속 : 1.0 ㎖/min
주입량 : 10 μl
용매조건 : Acetonitrile 85% : H2O 15% (Isocratic)
표 2
시험물질 | Pinitol | Sequoyitol | Chiro-inositol |
DC60-1 | 6.3% | 불검출 | 불검출 |
DC60-2 | 10.7% | 불검출 | 불검출 |
DC5 | 1.2% | 불검출 | 불검출 |
DC25 | 1.5% | 불검출 | 불검출 |
<실시예 4>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DC-WE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DC-WE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DC-WE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DC-WE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DC-WE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Claims (16)
- 돌콩(Glycine soja)의 열처리된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된 분말은 돌콩 또는 돌콩분말을 40~100℃로 열처리하여 얻은 것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된 분말은 돌콩 또는 돌콩분말을 60~90℃로 증자시켜 얻은 것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돌콩분말을 100℃ 이하에서 추출하여 얻은 것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돌콩분말을 0~90℃에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것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돌콩분말을 추출한 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인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합병증은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혈전, 심근경색증,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증 중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돌콩(Glycine soja)의 열처리된 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된 분말은 돌콩 또는 돌콩분말을 40~100℃로 증자시켜 얻은 것인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된 분말은 돌콩 또는 돌콩분말을 60~90℃로 증자시켜 얻은 것인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돌콩분말을 100℃ 이하에서 추출하여 얻은 것인 식품 조성물.
-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돌콩분말을 0~90℃에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것인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돌콩분말을 추출한 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인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합병증은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혈전, 심근경색증,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증 중 어느 하나인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건강기능식품인 식품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 분말음료, 고형물, 츄잉검, 차, 비타민 복합제, 식품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110,619 US20140106015A1 (en) | 2011-04-08 | 2012-04-05 | Composition containing heat-treated powder or extract of glycine soja as active gradi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diabetic complicatio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2805 | 2011-04-08 | ||
KR20110032805 | 2011-04-08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138146A2 WO2012138146A2 (ko) | 2012-10-11 |
WO2012138146A9 true WO2012138146A9 (ko) | 2013-01-03 |
WO2012138146A3 WO2012138146A3 (ko) | 2013-02-28 |
Family
ID=4696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2/002574 WO2012138146A2 (ko) | 2011-04-08 | 2012-04-05 | 돌콩의 열처리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106015A1 (ko) |
KR (1) | KR101400368B1 (ko) |
WO (1) | WO2012138146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0344B1 (ko) * | 2015-09-08 | 2022-10-31 |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 돌콩과 바나바잎 복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
KR102624358B1 (ko) * | 2016-03-11 | 2024-01-12 |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 | 돌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KR20210146822A (ko) | 2020-05-27 | 2021-12-06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성체줄기세포로부터 췌장 베타세포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화 유도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13571A (ja) * | 1997-08-29 | 2001-09-04 | ザ リセックス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糖尿病、高血糖症及び低血糖症の治療法 |
EP2051596A2 (en) * | 2006-08-02 | 2009-04-29 | Solae, Llc |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a coagulated protein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
KR20100037312A (ko) * | 2008-10-01 | 2010-04-09 | 주식회사 비티엠 | 유산균을 이용한 분말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
CN101731694A (zh) * | 2008-11-24 | 2010-06-16 | 浙江山下湖珍珠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南瓜豆奶饮料 |
WO2010137875A2 (ko) * | 2009-05-26 | 2010-12-02 | (주)아모레퍼시픽 | 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 및 혈관 건강 증진용 조성물 |
-
2012
- 2012-04-05 US US14/110,619 patent/US2014010601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4-05 KR KR1020120035427A patent/KR1014003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4-05 WO PCT/KR2012/002574 patent/WO2012138146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0368B1 (ko) | 2014-06-19 |
KR20120115471A (ko) | 2012-10-18 |
WO2012138146A2 (ko) | 2012-10-11 |
WO2012138146A3 (ko) | 2013-02-28 |
US20140106015A1 (en) | 2014-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9104902A2 (en) |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fatigue recovery and antioxidation activity comprising panax species plant leaves extract or processed panax species plant leaves extract, or mixture of the both | |
WO2018124508A1 (ko) |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또는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 |
WO2021221405A1 (ko)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14104672A1 (en) | A purified extract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allergy and asthma | |
WO2017030410A1 (ko) | 검정콩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놀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 |
WO2015160219A1 (ko) |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WO2022035115A1 (ko) |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WO2017111211A1 (ko) |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 |
EP2685997A2 (en) |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al combin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 |
WO2014027832A1 (ko) |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WO2014175543A1 (ko) |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WO2012138146A9 (ko) | 돌콩의 열처리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
WO2020071667A1 (ko) |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장내 염증,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WO2012067316A1 (ko) |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 |
WO2020050462A1 (ko) | 결명 새싹 유래 나프토파이론 유도체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 |
WO2015160226A1 (ko) | 레드클로버 및 석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여성 갱년기 개선 용도 | |
WO2010090498A2 (ko) |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 |
WO2009104913A2 (en) |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mixed herbs with lonicera japonica thunb and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c diseases | |
WO2010041908A2 (ko) |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 |
WO2015046743A1 (ko) |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WO2010090423A2 (en) |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crude drug extrac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and diabetic hyperlipidemia | |
WO2017078486A1 (ko) |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WO2019027239A2 (ko) |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WO2016048085A1 (ko) | 유효성분의 함량이 향상된 콩 유래 추출물 | |
WO2022250210A1 (ko) |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27678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WWE |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14110619 Country of ref document: US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27678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