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50210A1 -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50210A1
WO2022250210A1 PCT/KR2021/014739 KR2021014739W WO2022250210A1 WO 2022250210 A1 WO2022250210 A1 WO 2022250210A1 KR 2021014739 W KR2021014739 W KR 2021014739W WO 2022250210 A1 WO2022250210 A1 WO 20222502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ves
leaf tea
weight
leaf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47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주명
김형중
곽정은
윤승범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6904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9822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177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9822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씨
Publication of WO20222502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50210A1/ko
Priority to US18/519,89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0867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4Gynostemm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periwinkle leaf tea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low glycoside saponin and reduced benzopyre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 edema leaf tea extract using the edema leaf tea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 Doloe leaves contain a large amount of saponin glycosides, so they have been widely used as a substitute for ginseng, drinking in the form of tea, or as a raw material for nourishing tonics.
  • the saponins contained in the leaves are mainly glycosides, and the high glycosides saponins have a high molecular weight and strong polarity, making it difficult to penetrate biological membranes, resulting in low bioavailability.
  • bioavailability is very low because the precursors of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s present in various ways in the raw leaves are not sufficiently activated.
  • saponins that have not been converted into hypoglycosides converted into hypoglycosidic saponins by intestinal microorganisms. It is emphasized that the process of converting glycoside saponin is necessary.
  • doloe leaves have been mainly used in the form of doloeip tea prepared by drying after roasting.
  • the roast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ginguli leaf tea is to separate active ingredients bound to plant tissues from tissues through a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process, and to prevent enzymes present in plant leaves from being activated and decomposing active ingredients after harvesting.
  • Prior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83-170447; processing method of periwinkle
  • Prior Document 1 also discloses a method for processing dandelion leaves.
  • the conventional roasting treatment method is for enzyme inactivation, sterilization of microorganisms, and rapid drying, etc., it is treated for a relatively short time, so there is insufficient time for high glycoside saponin to be sufficiently converted into low molecular weight saponin.
  • the main purpose of the roasting process itself is dry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sufficient desugarization and hydrolysis do not occur due to loss of moisture during the roasting process. Accordingly,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the conventional sedum leaf tea cannot be consumed in a form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low-molecular effective saponin.
  • benzopyrene may be generated due to high temperature treatment. Since benzopyrene is known as a carcinogen, and 10 ppb or less of benzopyrene is set as an acceptable standard in Europe, a plan to reduce benzopyrene is required in manufacturing tea.
  • dammarin-type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s such as ginsenoside Rg3, zipenoside L, zipenoside LI, damulin A, and B, which are major active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is increased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benzopyrene.
  • a new method of reducing the content is need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ginseng leaf tea in which the high glycoside saponin of ginseng leaf is converted to a low glycoside, and the benzopyrene content is reduc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ntent of effective low-molecular-weight saponins such as ginsenoside Rg3, diphenoside L and diphenoside LI, damulin A and damulin B without high pressure and/or high temperature treatment by using the above-mentioned peony leaf te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n extract of ginseng leaf tea, in which the extraction yield of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is improved and the content of benzopyrene is low.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1) the step of sealing after supplying gynae leaves to a reaction container; (2) heating the inside of the reaction vessel at 112 to 150° C. for 10 minutes to 48 hours; and (3) releasing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vessel to dry the periwinkle leaves.
  • the outer leaves of the step (1) may be fresh leaves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80% by weight or more.
  •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resh peony leaves in step (1) may be adjusted to 30 to 90% by putting the fresh peony leaves in an open container and heating them.
  •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at 60 to 300 °C.
  • the ginkgo biloba leaf in step (1) may be a dry ginkgo leaf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0.01 to 70% by weight.
  • the leaves outside the stone may be dried after roasting or steaming the raw leaves outside the stone.
  • the roasting or steaming may be performed at 90 to 300 ° C for 5 minutes to 120 hours.
  • the method comprises: (1-1) supplying 0.5 to 13 parts by weight of water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the outer leaves; and (1-2)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container to 112 to 150 °C at a rate of 0.2 to 10 °C/min to swell the leaves of Ginseng.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4) drying the perilla leaves to a moisture content of 2 to 15% by weight.
  • the ginseng leaf tea contains 0.1 to 3.0 mg/g of ginsenoside Rg3, 0.3 to 12 mg/g of zipenoside L, and 0.3 to 8 mg/g of zipenoside LI based on the weight of the solid content. mg/g, 0.2 to 10 mg/g of damulin A and 0.1 to 10 mg/g of damulin B, and 10 ppb or less of benzopyren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0.1 to 3.0 mg/g of ginsenoside Rg3, 0.3 to 19 mg/g of zipenoside L, and 0.3 to 15 mg of zipenoside LI based on the solid weight. /g, 0.2 to 13.5 of damulin A, 0.1 to 10 mg/g of damulin B, and 10 ppb or less of benzopyren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supplying gynae leaves to a reaction container and then sealing it; (2) heating the inside of the reaction vessel at 112 to 150° C. for 10 minutes to 48 hours; and (3) extracting the heated ginseng leaf tea extract with hot water at normal pressure of 40 to 100 °C or with C1 to C4 lower alcohol.
  • the method comprises: (1-1) supplying 0.5 to 13 parts by weight of water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the outer leaves; and (1-2)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container to 112 to 150 °C at a rate of 0.2 to 10 °C/min to swell the leaves of Ginseng.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etween steps (2) and (3), (2-1)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reaction vessel to dry the gingivae leaves.
  • the method includes, between steps (2-1) and (3), (2-2) drying the leaves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2 to 15% by weight; can be added and included.
  • the ginseng leaf tea extract contains 0.5 to 7.0 mg/g of ginsenoside Rg3, 1.5 to 90 mg/g of zipenoside L, 1.5 to 80 mg/g of zipenoside LI, 2.0 to 60 mg/g of damulin A and 2.0 to 60 mg/g of damulin B, and may contain benzopyrene at 10 ppb or less.
  •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0.5 to 7.0 mg/g of ginsenoside Rg3, 1.5 to 90 mg/g of zipenoside L, 1.5 to 80 mg/g of zipenoside LI, damulin
  • a peony leaf tea extract comprising 2.0 to 60 mg/g of A and 2.0 to 60 mg/g of damulin B, and 10 ppb or less of benzopyrene.
  • the leaf tea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high glycoside saponin in a state in which it has already been converted into a low glycoside, so that the leaf tea itself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nd can be used in a general way without high pressure and/or high temperature treatment. Even after extraction, a high content of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is extracted, and the content of benzopyrene is low, so it is very useful.
  • the extraction yield is also improved while the content of low-molecular effective saponins such as ginsenoside Rg3, zipenoside L, and zipenoside LI is high without high pressure and/or high temperature treatment. It is useful becaus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xtract of ginseng leaf tea with a low content of benzopyrene.
  • FIG. 1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n extract of periwinkle leaf tea using fresh dolma lea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inguli leaf tea extract using dried ginguli leaf t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ginguli leaf tea extract according to Example 4 and It is a graph showing the accelerated stability test results.
  • Gynostemma pentaphyllum is a perennial vine belonging to the Cucurbitaceae family. It grows naturally in the forests of mountains or fields, and the rhizome extends to the side, has white hairs at the nodes, and grows tangled, but climbs up with tendrils. As a habitat, it grows naturally in the mountains of the southern region, Jeju Island, and Ulleung Island in Korea,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regions such as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 Most of them grow in places with high humidity, such as coastal and riversides.
  • Saponin contained in the outer leaf is known to exhibit effects such as lipid metabolism improving action, cardiovascular disease defense action, blood sugar lowering action, central nervous system action, anticancer action,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action, and tonic action.
  • gypenoside which is a saponin
  • doloes contain primeveoside, sophoroside, bisdesmoside, gentiobioside, rutinoside, etc. It contains glycosides, steroids, sugars and pigments.
  • saponin compounds contained in the leaves are in the form of glycosides, including sugars, and are high glycoside saponins with low absorption in vivo. Even saponins that are difficult to absorb can sometimes be converted into effective saponins that can be absorbed with low molecular weight.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d ginseng, which contains saponin similar to that of ginseng leaves, there is a report that the bioavailability is increased by converting the high molecular saponin component into low molecular weight (Korean Patent No. 10-1200571).
  • the effective low molecular weight saponin is also referred to as 'low glycoside saponin' and 'low molecular weight saponin'.
  • doloe has traditionally been manufactured, stored, distributed, and consumed in the form of dried doloe leaf tea.
  • the purpose of making leaf tea by roasting the leaves is to inactivate the decomposing enzyme remaining in the leaves, to preserve the active ingredients and flavor such as saponin, to sterilize harmful microorganisms remaining in the fresh leaves, and to improve storage stability. It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water for the purpose of removing moisture and for the purpose of manufacturing it into a tea-shaped lump.
  • extracts obtained by extracting this leaf tea and concentrating the saponin content are manufactured, stored, distributed, and consumed as food and health foods.
  • doloe leaves are collected, washed in clear water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dried by hanging on a tray.
  • the moisture content of fresh leaves outside the stone may be 80 to 95%, preferably 85 to 95%,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place of production and the time of collection.
  • the dried leaves are naturally dri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for example, for about 1 to 2 days, which means that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leaves is too high, too much water vapor is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and leachate is generated. This is to prevent the cooking time from being too long.
  • the decomposition of effective saponin by the decomposing enzyme remaining in the fresh leaves outside the stone may proceed to a certain extent.
  • the roasting process is traditionally done by putting gypsy leaves in a cauldron heated with wood fire and roasting them while stirring by hand, then taking them out before the outer surface of the gypsy leaves is burned, cooling the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minding them (making shapes by rubbing them by hand), and then the remaining moisture is evened out again. When it spreads, it proceeds in such a way that it is repeated several times.
  • a recent automated method there is also a method of rotating and roasting doloe leaves in a tumbler method using a heated electric heater as a heat source, but this does not form a tea-shaped round shape, so it is It is known to be applied for use as a raw material for leaf tea extract.
  • a process of steaming doloeil fresh leaves like red ginseng may be considered.
  • the traditional steaming process is aimed at enzyme inactivation, sterilization, and drying of gingulifolia through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as in the above-mentioned roasting process, and is not aimed at converting high glycoside saponin into low molecular saponin, so low molecular effective saponin It is difficult to expect an increase in content.
  • the process of steaming fresh leaves outside the stone may select a method of boiling and steaming water or a method of providing high-temperature steam of 121 ° C. or higher using a steam generator.
  • leachate may occur becaus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exfoliated leaves is already high, but moisture is supplied again.
  • leachate it means that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leaves are eluted and the loss of the active ingredients may occur.
  • steaming using a high-temperature steam generator reduces space efficiency due to the large volume of fresh leaves outside the stone and low pile density, and this also cannot prevent the generation of leachat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leachate, steaming must be done very slowly or several times, which is undesirable.
  • periwinkle leaf tea in which the content of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is increased and the content of benzopyrene is reduced, fresh peritoneum leaves or dried peritoneum leaves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the fresh extradolphin leaves, in particular, the extrasilico leaves, are placed in a sealed reaction container and subjected to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under specific conditions, the extradollar leaves do not burn even after the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due to the sufficient moisture contained in the extrasilico fresh leaves, and rather, the high glycoside saponin is a low glycosid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content of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s such as ginsenoside Rg3, zipenoside L, zipenoside LI, damulin A and damulin B increased.
  • the present inventors in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ginseng leaves are dried ginseng leaves, sufficiently swell by supplying water to the dried ginseng leaves, and heat-treat at high temperature for a certain time in a wet state to sufficiently convert high glycoside saponin into low glycosides, and then the swelling
  • the prepared Ginsenoside leaves are placed in an airtight reaction container and subjected to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under specific conditions, the amount of conversion of proteins, carbohydrates, and lipids contained in the leaves to benzopyrene is reduced, and ginsenoside Rg3, Gifenoside L,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content of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s such as noside LI, damulin A and damulin B increased.
  • the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is sufficiently extracted from the leaf tea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extracted with ordinary room temperature water or lower alcohol, and the yield and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content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leaf tea prepared by roasting or steaming and then drying. .
  • the effective low-molecular saponin was preserved much more stably.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1) sealing after supplying rhizome leaves to a reaction container; (2) heating the inside of the reaction vessel at 112 to 150° C. for 10 minutes to 48 hours; and (3) releasing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vessel to dry the periwinkle leaves.
  • step (1) the reaction vessel is supplied with periwinkle leaves and then sealed.
  • the outer leaf may be a fresh leaf or a dried outer leaf.
  • the outer stone leaves may be extra stone leaves.
  • the fresh leaves outside the stone can be used for a storage period as short as possible after collection, preferably within 5 days, more preferably within 3 days, and most preferably, those that have just been collected are used as active ingredients by enzymes. loss is small.
  • the fresh leaves outside the stone are prepared by washing after collection and appropriately removing water.
  • the fresh leaves outside the stone have a water content of 80% or more, preferably 85 to 95%, more preferably 90 to 95%.
  • the fresh peony leaves are put in an open container and heated to have a water content of 30 to 90% by weight, preferably 30 to 85% by weight, more preferably 40 to 85% by weight, More preferably, it may be adjusted to 50 to 85% by weight, more preferably 60 to 85% by weight.
  • the reason for controll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leaves is to inactivate the decomposing enzyme in the leaves, and to dry the excessive moisture remaining in the leaves to the extent that leachate does not occur during the heat treatment in step (2). It is for
  • the conversion rate of the high glycoside saponin to the effective low molecular weight saponin may be lowered because sufficient deglycosylation hydrolysis reaction does not occur 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in step (2).
  • leachate may occur, and as a result, the effective saponin contained in the periwinkle leaf is eluted, and the content of the low-molecular effective saponin contained in the leaf tea may rather decrease.
  • the heating temperature may be 60 to 300 °C, preferably 100 to 300 °C, more preferably 150 to 250 °C, and more preferably 150 to 180 °C.
  • the method for the heat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heated, such as a method of heating by directly contacting the leaves on a heating plate or a method of heating using steam or the like.
  • the outer leaf may be a dried outer leaf.
  • the dried eugene leaves mean dried eufolia leaves, and include naturally dried eufolia leaves, semi-dried eufolium leaves, and dried eufolia leaves after roasting or steaming.
  • the dried periwinkle leaves may be dried after roasting or steaming fresh periwinkle leaves at 90 to 300 ° C. for 5 minutes to 120 hours.
  • the roasting or steaming is performed at 90 to 300 ° C, preferably 90 to 200 ° C, more preferably 90 to 150 ° C for 20 minutes to 120 hours, preferably 30 minutes to 30 hours, more preferably 1 It may be performed for 10 to 10 hours.
  •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generation of benzopyrene while preventing the loss of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leave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n order to maximize the content of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 in sedum leaf tea, heat treatment such as roasting should be performed in the raw leaf state.
  • heat treatment such as roasting should be performed in the raw leaf state.
  • saponin precursors and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components
  • saponin can It was assumed that the total amount of saponin could be maintained by removing the activity of the degrading enzyme, and that it would be converted into effective low-molecular-weight saponin when subjected to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perilla leaf may be 0.01 to 70% by weight, preferably 0.02 to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0.03 to 15% by weight.
  • the method for producing ginguli leaf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1) supplying 0.5 to 13 parts by weight of water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the ginguli leaf; and (1-2)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container to 112 to 150 °C at a rate of 0.2 to 10 °C/min to swell the leaves of Ginseng.
  • the present invention (1-1) 0.5 to 13 parts by weight of water,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8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3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dried rhododendron leaves. Parts by weight can be supplied.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water added may be reduced if the non-dried exoskeleton leaves are in a less dry state after being roasted.
  • the reas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dried perilla leaves is to sufficiently swell the persimmon leaves by increasing the water content of the persimmon leave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upplying water to the leaves is only for "swelling" the leav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leaves is "immersed” or sufficient supply of solvent so that the leaves are completely immersed in the solvent. I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extraction”, which allows the powder to elute into a solvent. When the outer leaf is sufficiently swollen, the conversion rate of the high glycoside saponin to the effective low molecular weight saponin i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step.
  •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outer leaf is very important.
  •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may be an amount sufficient for the leaves to absorb moisture and sufficiently “swell”. so it is not desirable.
  • the ginseng leaf may not be sufficiently swollen, and the conversion to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 may not be sufficient 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process.
  • the content of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contained in the leaf tea may rather decrease.
  •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vessel is 0.2 to 10 °C/min, preferably 0.2 to 5 °C/min, more preferably 0.2 to 2.5 °C/min, and more preferably 0.5 to 2.5 °C/min.
  •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112 to 150 ° C, preferably 115 to 140 ° C, more preferably 120 to 130 ° C at 0.5 to 1.5 ° C / min.
  • This step is a step for sufficiently swelling the dried perilla leaves.
  •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time for raising the temperature to the target temperature becomes too long, and if it exceeds the upper limit, the outer leaf may not be sufficiently swollen.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is not rais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dried perilla leaves may not be sufficiently swollen.
  • the outer leaves are sufficiently swollen, and the water content in the outer leaves reaches 60 to 95%, preferably 70 to 90%, and more preferably 75% to 85%. Accordingly, the conversion of the high glycoside saponin into the effective low molecular weight saponin is better achieved in the subsequent heating step.
  • step (2) the inside of the sealed reaction vessel is heated to 112 to 150 ° C, preferably 115 to 150 ° C, more preferably 120 to 150 ° C or 115 to 140 ° C, more preferably 120 to 140 ° C. °C, more preferably 120 to 130 °C for 10 minutes to 48 hours, preferably 10 minutes to 24 hours, still more preferably 20 minutes to 12 hours, even more preferably 30 minutes to 8 hours, still more preferably Heat for 1 to 4 hours.
  • the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precursors in the outer leaves are deglycosylated and hydrolyzed and converted into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s.
  • benzopyrene contained in the leaves generated when the open container is heated evaporates.
  • the heating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conversion rate of the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 precursors into the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 decreases and the heating time becomes longer.
  • the heating temperature exceeds the upper limit, energy efficiency and safety problems may arise. decomposition, may cause an increase in benzopyrene.
  • the heating time can be reduced, but as the heating temperature is increased, the pressure i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benzopyrene generated is also increased.
  • the heating time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is 120 ° C, the heating time may be 1 to 48 hours, preferably 2 to 24 hours, and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is 130 ° C, the heating time is It may be 30 minutes to 12 hours, preferably 1 to 8 hours, and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is 140 ° C, the heating time may be 20 minutes to 8 hours, preferably 30 minutes to 2 hours, and the heating temperature is 150 In the case of °C, the heating time may be 10 minutes to 4 hours, preferably 10 minutes to 1 hour.
  • step (3) the pressure of the reaction container is released to dry the periwinkle leaves. Since the reaction vessel is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reaction vessel are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the heating in step (2), when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vessel is released, the water vapor in the reaction vessel rapidly evaporates and the leaves are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occurs. At the same time, benzopyrene is also evaporated and discharged.
  • the outer leaf of Ginseng is in a semi-dry state with a moisture content of less than 80% by weight, preferably 20 to 75% by weight, more preferably 30 to 75% by weight.
  • the leaves in step (1) are raw leaves, the leaves have a moisture content of 40 to 75% by weight, preferably 50 to 75% by weight, more preferably 60 to 70% by weight in a semi-dry state. It can be, and in the case of dry perilla leaves, the persimmon leaves can be in a semi-dry state with a moisture content of 30 to 50% by weight.
  • the method for producing ginguli leaf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adding (4) additionally drying the dried ginguli leaf tea after the step (3).
  • the drying is not limited in any way, such as hot air drying, freeze drying, vacuum drying, reduced pressure drying, or natural drying.
  • the drying may be carried out until the water content of the perilla leaf is less than 30% by weight, preferably 0.1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15% by weight for storage stability.
  • the generation of benzopyrene is remarkably reduced because the edema leaf is not burnt by us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edema leaf or by a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moisture and heat-processing (steaming effect). Since the leachate that may occur in the drying process is absorbed back into the leaves of the plant, there is almost no loss of active ingredients, and energ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recycling the heat used in the heating process in the drying process. conversion can be maximized.
  • the ginseng leaf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contains 0.1 to 3.0 mg/g of ginsenoside Rg3, 0.3 to 19 mg/g of zipenoside L, and 0.3 to 15 mg/g of zipenoside LI based on the weight of solid content. g, 0.2 to 13.5 of damulin A, and 0.1 to 10 mg/g of damulin B, and 10 ppb or less of benzopyrene (eg, within the range of 0.01 to 10 ppb).
  • the ginseng leaf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0.1 to 3.0 mg/g, preferably 0.5 to 2.5 mg/g, more preferably 0.7 to 2.0 mg/g of ginsenoside Rg3 based on the solid content weight,
  • Zifenoside L is 0.3 to 19 mg/g, preferably 0.3 to 12 mg/g, more preferably 0.5 to 10 mg/g, still more preferably 2 to 10 mg/g, still more preferably 5 ⁇ 10 mg/g, and 0.3 ⁇ 15 mg/g, preferably 0.3 ⁇ 8 mg/g, more preferably 0.5 ⁇ 8 mg/g, more preferably 2 ⁇ 8 mg of zipenoside LI /g, more preferably 4 to 8 mg/g, and damulin A is 0.2 to 13.5, preferably 0.2 to 10 mg/g, more preferably 0.5 to 10 mg/g, still more preferably 2 to 10 mg/g, more preferably 4 to 8 mg/g, and 0.1 to 10 mg/g, preferably 0.5 to 10 mg/g, preferably
  • ginsenoside Rg3, ginsenosides Rg3, It is very useful because low-molecular effective saponins such as zipenoside L, zipenoside LI, damulin A and damulin B are steeped in high content, the extraction yield is increased, and the benzopyrene content is low.
  • the sedum leaf tea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maximally converting the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precursor in the sedum leaf to the low-molecular-weight saponin, in the case of using the same amount of sedum leaf tea, one or more conditions selected from among solvent, pressure, and temperature It was confirmed through specific experiment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the extracted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even if the extraction was performed differently.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supplying gynae leaves to a reaction container and then sealing it; (2) heating the inside of the reaction vessel at 112 to 150° C. for 10 minutes to 48 hours; and (3) extracting the heated Oesopheles leaf with hot water at normal pressure of 40 to 100 ° C. or extracting with C1 to C4 lower alcohol, preferably ethanol.
  • the outer leaves may be fresh leaves or leaves outside the outer stone.
  • the periwinkle leaf is a dried rhododendron leaf
  • steps (1) and (2) (1-1) supplying 0.5 to 13 parts by weight of water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the lateral leaf; and (1-2)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container to 112 to 150 °C at a rate of 0.2 to 10 °C/min to swell the leaves of Ginseng.
  •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2-1) a step of drying the periwinkle leaf by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reaction vessel between the steps (2) and (3).
  • step (2-2) drying the outer leaf to a moisture content of 2 to 15% by weight may additionally include .
  • the ginseng leaves are extracted with hot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at 40 to 100 ° C, preferably 50 to 100 ° C, more preferably 70 to 100 ° C, more preferably 80 to 100 ° C, or C1 to C4 Extract with a lower alcohol, preferably ethanol.
  • the extraction of step (3) is repeated twice, but the first extraction is hot water extraction at 40 to 100 ° C., and the second extraction is 40 to 80% (v / v) ethanol extraction. and can increase the content of saponin component in the extract of doloe leaf tea.
  • a C1 to C4 lower alcohol preferably an aqueous ethanol solution, may be used as an extraction solvent for both the first extraction and the second extraction, and the number of extractions may also exceed two times, but the recovery rate This is not desirable from a cost standpoint.
  • the content of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s such as ginsenoside Rg3, zipenoside L, zipenoside LI, damulin A and damulin B without high-pressure treatment or high-temperature treatment is It is very useful because it has a high extraction yield and a low content of benzopyrene.
  • the ginseng leaf tea extract contains 0.5 to 7.0 mg/g of ginsenoside Rg3, 1.5 to 90 mg/g of zipenoside L, 1.5 to 80 mg/g of zipenoside LI, and 2.0 to 60 mg of damulin A. /g and damulin B at 2.0 to 60 mg/g, and benzopyrene at 10 ppb or less (eg, within the range of 0.01 to 10 ppb).
  • the ginseng leaf tea extract contains ginsenoside Rg3 at 0.5 to 7.0 mg/g, preferably at 0.7 to 5.0 mg/g, more preferably at 0.9 to 4.0 mg/g, and even more preferably at 1.0 to 3.5 mg. You can include it with /g.
  • 1.5 to 90 mg/g of zipenoside L preferably 5.0 to 30 mg/g, more preferably 15 to 30 mg/g, and more preferably 20 to 30 mg/g may be included.
  • 1.5 to 80 mg/g of zipenoside LI preferably 1.5 to 30 mg/g, more preferably 5.0 to 20 mg/g, and more preferably 10 to 20 mg/g may be included. .
  • damulin A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to 60 mg/g, preferably 2.0 to 20 mg/g, more preferably 5.0 to 18 mg/g, and even more preferably 10 to 16 mg/g.
  • damulin B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to 60 mg/g, preferably 2.0 to 18 mg/g, more preferably 5.0 to 18 mg/g, and even more preferably 8.0 to 16 mg/g.
  • the extract of the wild leaf tea may be prepared in a concentrated liquid or dry powder state.
  • the filtered ginseng leaf tea extract may be used after being concentrated to 60 to 70 brix.
  • the above extract of ginseng leaf tea may be prepared in a powder state that has undergone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vacuum drying,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 the periwinkle leaf tea or the periwinkle leaf te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ow benzopyrene content and is less harmful, and has an increased content of low-molecular saponins such as Rg3, zipenoside L, and zipenoside LI, thereby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is excellent, and the effect of reducing muscle cell loss and improving exercise performance is excell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Oedophila leaf tea or the extract of the Oedophila leaf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besity, diabetes, or muscle loss, and can be used to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od composition, health food composition, quasi-drug compositio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esophore leaf tea or an Oedea leaf te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s one commonly used in formulation an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aline solution,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solution, cyclodextri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liposome, etc. It is not, and if necessary, other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and buffers may be further included.
  •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lubricants, etc.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suitably form 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fluids, and formulations according to each compon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formulation, but may be formulated as an injection, oral administration, external skin preparation,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for example,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applied) depending on the desired method, and the dosage is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drug It varies depending on the form, administration route and time, bu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dosage level selected from the composition will also depend on the activity of the compoun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severity of the condition being treated and the condition and previous medical history of the patient being treated. However, it is within the knowledge of the art to start with a dose of the compound at a level lower than that required to achieve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and gradually increase the dosage until the desired effect is achieved, and the preferred dosage is age, sex and age. , body type, and weight can be determined.
  • the composition may be further processed, preferably milled or ground into smaller particles, prior to formulation into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harmaceutical preparations.
  • the composition will also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the patient being treated, but this can be determined non-exclusively.
  • the effective dose of the Oxygen leaf tea or the extract of the Oxygen leaf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 to 400 mg/kg, preferably 0.01 to 100 mg/kg, and may be administered 1 to 3 times a day.
  • the dosag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on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or excipient according to a method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it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ng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can be used in any form suitable f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including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ch as ointments and cream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etc. , a dispersing agent or a stabilizing agent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or diabetes, or muscle loss, comprising the Oesopheles leaf tea or an extract of Oesophageal leaf te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forms such as functional food, health functional food, nutritional supplement, health food and food additives. Food compositions of this type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 the content of the outer leaf tea or the outer leaf tea extract may be contained in 0.001 to 100% by weight, preferably 0.05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ntire food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Oedelaxa leaf tea or the Oedelaxa leaf tea extrac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the Oedelaxa leaf tea or the Oedelaxa leaf tea extract.
  • the outer leaf tea or the outer leaf te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tea, juice or drink for drinking, or granulated, encapsulated, or powdered to be consumed in the form of a health functional food. .
  • it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by mixing the sedum leaf tea or sedum leaf te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known substance or active ingredient known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anti-diabetic effect, or muscle loss inhibitory effect.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trace amounts of minerals, vitamins, saccharides, and components having known anti-obesity or anti-diabetic activity, muscle loss inhibitory effects, etc.
  • examples of the food composition include drinks, meat, sausages, bread, biscuits, rice cakes, chocolates, candies, snacks,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s, various soups, etc. It includes all functional foods in the meaning.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ulated with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powders, capsules and liquid formulations, including at least one of carriers, diluents, excipients, and additives .
  • the Oedlifolia tea or Oedea leaf te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foo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suitab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ts use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amount of the food composition in the food may be 0.001 to 100% by weight, preferably 0.01 to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30%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 th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 Example 1 Raw leaves - Preparation of high-temperature heat-treated tea leaves
  • the ginseng leaves were supplied to a hot water bath container inside an electric extractor (Kyungseo Machinery Co., Ltd., COSMOS-660) and sealed. After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electric extractor to 130 °C, it was heated for 3 hours.
  • an electric extractor Kelgseo Machinery Co., Ltd., COSMOS-660
  • Example 2 Raw leaves - Manufacture of tea leaves after heating and drying
  • the fresh leaves moisture content of the leaves: 91.8% by weight
  • the fresh leaves were placed in an open container and heated at 150 ° C using an electric heater to obtain 4,985 g of leaves with a moisture content of 83.6% by weight without leachate. .
  • Steps (2) and (3)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2,543 g of Ginseng leaf with a moisture content of 69.5% by weight was recovered.
  • Step (4) was also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obtain 829 g of sedum leaf tea having a water content of 2.9%, and an analysis sampl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5) of Example 1.
  • 1,200 ml of water was added to 100 g of Ginseng leaf tea obtained in step (4) of Examples 1 and 2, extracted at 90 ° C for 4 hours, and the extract was collected by filtering with a 20um filter, and then 50% v / v alcohol was added to the remaining residue. After adding 1,200 ml, extracting at 80 ° C for 2 hours and recovering through filtration, the two extracts were combin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and then powdered to recover 31.8 g and 30.9 g,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extract Samples were used as samples (Example 3-1 (Example of Oesophore leaf tea according to Example 1) and Example 3-2 (Extract of Oedeol leaf tea according to Example 2), respectively).
  • Example 4 Dried Ginkgo biloba leaf - Moisture supply (swelling), manufacturing of Ginkgo biloba leaf tea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 test solution 500 mg of the sample was weighed and placed in a 50 mL constant-use flask, half filled with 60% methanol, and ultrasonically extracted for 30 minutes. After cooling at room temperature, it was adjusted to the marked line with 60% methanol. The test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0.45 ⁇ m Nylon syringe filter.
  • Example 2 showed that the benzopyrene content was relatively high due to the heat treatment of the drying process before the heat treatment of the fresh leaves.
  • Test Example 1 Change in active ingredient content according to water supply
  • step (1) of Example 5 it was attempte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 of the extract of Oesophore leaf tea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 step (1) of Example 5 by vary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step (1) of Example 5 to 0g, 50g, 100g, 200g, 300g, 400g (Example 4), 700g, 1300g, and 2000g, respectively, extract samples were prepared.
  • the content of effective low-molecular-weight saponin contained in each sampl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al method, and is shown in Table 4 below.
  • step (2) of Example 5 the water content in the leaves was collected in an airtight container, and the water content in the leaves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4 below.
  • Test Example 2 Change in active ingredient content according to heating temperature
  • Example 5 100 °C, 110 °C, 115 °C, 121 °C, 130 °C in order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in step (2) of Example 3-2 and step (3) of Example 5 .
  •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extract of the leaf tea prepared by heating at 150 ° C. for 6 hours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and Table 6, respectively.
  • the content of effective low-molecular-weight saponin in the leaf tea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leaf tea prepared by heating at 110 ° C or less.
  • the sedum leaf tea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heating at preferably 120 to 150 ° C, more preferably 120 to 130 ° C, and even more preferably 121 to 130 ° C, the content of low-molecular effective saponin is high. Able to know.
  • Test Example 3 Change in active ingredient content according to heating time
  • the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content began to increase after 1 hour of heat treatment in step (2),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2 hours, and peaked at 3 to 4 hours. It can be seen that it gradually decreases after 6 hours after taking .
  • the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content began to increase after 1 hour of heat treatment in step (3),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3 hour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4 to 6 hours. After peaking at , it can be seen that it gradually decreases after 6 hours.
  • the decrease in the content of effective low-molecular-weight saponin as the heat treatment time increases is presumed to be because the effective low-molecular-weight saponin is converted into a more low-molecular-weighted form or the saponin is decomposed by long-term high-temperature treatment.
  • the Ginseng leaf tea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is prepared by heating for 2 to 12 hours, preferably 2 to 8 hours, and more preferably 3 to 8 hours in the heating step of step (2) or step (3). , More preferably 3 to 6 hours, more preferably 4 to 6 hours, still more preferably 3 to 4 hour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was prepared by heating most preferably 4 hours.
  • Dried leaves were obtained by spreading the raw leaves in the shade and naturally drying them to a moisture content of 8%.
  • the dried Ginseng leaf tea extract was extracted twice with 80 ° C. alcohol (50% v/v) corresponding to 15 times the volume,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powder, and then used as a sample for analysis in the experiment. used
  • the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laced in twice the volume of purified water, sufficiently stirred to suspend, heated at 120 ° C. for 2 hours using a sterilizer, dried and powdered, and then used as an analysis sample in the experiment. .
  • Dried leaves were obtained by spreading the raw leaves in the shade and naturally drying them to a moisture content of 7%.
  • the dried doloe leaf was extracted twice with 80 ° C. alcohol (50% v / v) corresponding to 15 times the weight to prepare a doloe leaf tea extract.
  • the heated ginseng leaf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and then powdered and used as a sample for analysis of the ginseng leaf tea extract in subsequent experiments.
  • the dried Ginseng leaf tea extract was extracted twice with 80 ° C. alcohol (50% v/v) corresponding to 15 times the volume,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powder, and then used as a sample for analysis in the experiment. used The average yield of alcohol extraction over the second round was 20.4%.
  • Comparative Example 5 Drying after grinding treatment, high temperature dry heat treatment-general extraction
  • the dried rhododendron leaves were put in a sterilizer and heated (dry heat treatment) at 120 ° C. for 4 hours.
  • the heat-treated doloe leaves were extracted twice with 80 ° C. alcohol (50% v / v) corresponding to 15 times the volume to prepare a doloe leaf tea extract,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powder, and then analyzed in the experiment was used as
  • a 15-fold volume of water was added to the dried leaves, and then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at 120 ° C. for 2 hours to prepare a hot water extract. Thereafter, the residue remaining after the hot water extraction was extracted with 80 ° C. alcohol (50% v/v) corresponding to a volume of 15 times to prepare an ethanol extract of periwinkle leaf. The extraction yield was 36.8%. After mixing the hot water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of the rhododendron periwinkle leaf, the mixtur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powder, and then used as an analysis sample in the experiment.
  • the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4-1 was placed in twice the volume of purified water, sufficiently stirred to suspend, heated at 120 ° C for 2 hours using a sterilizer, dried and powdered, and then used as a sample for analysis in the experiment. used
  • the Oedeol leaf tea was extracted twice with 80 ° C. alcohol (50% v / v) corresponding to 15 times the weight to prepare an Oede leaf tea extract.
  • the heated ginseng leaf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and then powdered and used as a sample for analysis of the ginseng leaf tea extract in subsequent experiments.
  • Test Example 4 Analysis of Active Ingredient Content of Ginseng Leaf Tea According to Manufacturing Method
  • Example 3-2 Using the analysis samples according to Example 3-2,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the content of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 contained in each sampl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est Example 1, and shown in Tables 9 and 10 below. showed up
  • the extract of ginseng leaf tea according to Exampl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gnificantly lower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 content than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4-2, Comparative Example 2-2, and Comparative Example 7-2. It was confirmed that the benzopyrene content was low as well as high.
  • Comparative Example 1 which was naturally dried without heat treatment, the content of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 was below the detection limit or the content was very low.
  • Comparative Example 2-2 in which the extract of naturally dried ginseng leaf tea was heat-treated, it is assumed that the effective saponin component was lost due to the action of enzymes during natural drying, as the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 content was low.
  • the extract of ginseng leaf tea according to Exampl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gnificantly higher content of low-molecular saponin and a much lower benzopyrene content than Comparative Example 7-2.
  • the periwinkle leaf tea (or the extract using the same) according to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ried as a raw material after roasting, but was not subjected to a temperature increase (swelling) step after supplying water.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4 to 7,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benzopyrene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 each of the leaf tea obtained in step (4) of Example 2 and step (5) of Example 4 was pulverized to 200 mesh or less, and then 2 g each was put in an aluminum foil bag and sealed. Each bag containing the sample was stored for 0, 1, 2, 3, 4, 6, 8, and 12 months, respectively, at a temperature of 40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70%. Thereafter, each doloeip tea was opened and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was analyzed whenever a certain period of time elapsed.
  • the results of the accelerated stability test of the outer leaf tea powder and the outer leaf tea extract powder are shown in Table 11 and FIG. 3 below.
  • Table 11 and FIG. 3 five kinds of low-molecular-weight effective saponins (ginsenoside Rg3, zipenoside L, zipenoside LI, damulin A and damulin B) contained in each leaf tea powder or leaf tea extract powder The total content of was expressed as a relative ratio (%) to the initial value.
  • both the Oesophila leaf tea powder according to Example 4 and the extract powder according to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ed the low molecular weight effective saponin content of 80% or more up to 12 months under the accelerated test conditions.
  •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occurs very slowly compared to the extract of the Oedelae leaf tea when stored as the Oedlifolia tea.
  • Example 1 Example 2 or Example 4, or Example 3 or Example 5, extract powder 200 mg, vitamin E 9 mg, vitamin C 9 mg, galacto-oligosaccharide 200 mg, lactose 60mg and 140 mg of maltose were mixed and granulated using a fluid bed dryer, and then 6 mg of sugar ester was added. Tablets are prepared by compressing 500 mg of these compositions in a conventional manner.
  • Example 2 After finely pulverizing the leaf tea of Example 1, Example 2 or Example 4 using a pin mill, powder passed through a 300 mesh sieve was obtained.
  • the powders passing through 200 mesh were obtained by pulverizing the sedum leaf tea of Example 1, Example 2 or Example 4. Pills were prepared after suitably kneading honey, dextrin, starch, microcrystalline cellulose, CMC calcium, etc. with the above-mentioned stone leaf tea 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배당체 사포닌이 고함량으로 포함되고 벤조피렌이 저감된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돌외잎차는 고배당체 사포닌을 이미 저배당체로 전환시킨 상태로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돌외잎차 자체를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 및/또는 고온처리를 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도 저분자 유효 사포닌이 높은 함량으로 우러나고, 벤조피렌의 함량은 낮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외잎차 추출물 제조방법은 고압 및/또는 고온처리를 하지 않고도 진세노사이드 Rg3,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등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은 높으면서도 추출 수율 또한 향상되며, 벤조피렌의 함량이 낮은 돌외잎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어 유용하다.

Description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저배당체 사포닌이 고함량으로 포함되고 벤조피렌이 저감된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돌외잎은 다량의 사포닌 배당체를 함유하고 있어 인삼 대용품으로서 차의 형태로 음용되거나, 자양강장제의 원료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돌외잎에 함유된 사포닌류인 지페노사이드 및 진세노사이드들이 AMPK의 활성화를 통한 체지방 감소 효과, 혈당 강하 효과, 고지혈증 개선 또는 치료 효과,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은 종래 연구들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돌외잎에 함유된 사포닌류는 주로 고배당체이고, 고배당체 사포닌은 분자량이 크며, 극성이 강해 생체막의 투과가 어려워, 생체이용률이 낮다. 구체적으로, 돌외잎을 이용할 때 생잎을 그대로 이용할 경우, 생잎 내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전구체들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아 생체이용율이 매우 낮다. 저배당체로 전환되지 않은 사포닌류가 장내 미생물에 의해 저배당체 사포닌으로 전환되는 예가 보고 되고 있으나, 다른 많은 연구에서 장내 미생물로는 저배당체 사포닌으로의 전환이 미미하다는 것 또한 보고되고 있어, 인위적으로 저배당체 사포닌으로 전환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다.
한편, 돌외잎은 덖은 후 건조하여 제조한 돌외잎차의 형태로 주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돌외잎차 제조 과정에서의 덖음 처리는 고온 열처리 공정을 통해 식물조직에 결합된 유효성분을 조직으로부터 분리하고, 식물의 잎 내에 존재하는 효소가 채취 이후 활성화되어 유효성분을 분해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 1 (일본 공개특허 제1983-170447호; 돌외의 가공법)에서도 돌외잎을 덖음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덖음 처리 방법은 효소 불활성화, 미생물 살균 및 신속한 건조 등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처리되므로, 고배당체 사포닌이 충분하게 저분자 사포닌으로 전환될 시간이 부족하다. 또한 덖음 처리 자체가 건조를 주된 목적으로 하므로, 덖음 과정에서 수분이 유실되어 충분한 탈당 가수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돌외잎차로는 저분자 유효 사포닌이 고함량으로 함유된 형태로 음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 덖음 처리 공정의 경우 고온처리로 인해 벤조피렌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벤조피렌은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어, 유럽에서는 벤조피렌 10 ppb 이하를 허용기준치로 정하고 있으므로, 차를 제조함에 있어 벤조피렌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현재, 돌외잎 추출물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나, 보다 많은 수요가 있는 돌외잎차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대하여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돌외잎차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주요 유효 생리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다물린A, B 등의 담마린계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은 높이면서도 벤조피렌의 함량을 저감시키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돌외잎의 고배당체 사포닌을 저배당체로 전환시킨 상태로 포함되도록 하고, 벤조피렌 함량은 저감시킨 돌외잎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돌외잎차를 이용하여, 고압 및/또는 고온처리 없이도 진세노사이드 Rg3, 지페노사이드 L 및 지페노사이드 LI, 다물린 A 및 다물린 B 등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증대되면서 저분자 유효사포닌의 추출수율이 향상되고 벤조피렌의 함량은 낮은 돌외잎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반응용기에 돌외잎을 공급한 후 밀폐하는 단계; (2)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를 112 내지 150 ℃에서 10분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반응용기의 압력을 해제하여 돌외잎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 단계의 돌외잎은 수분함량 80 중량% 이상의 생잎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 단계의 돌외잎은 돌외 생잎을 개방된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수분함량이 30 내지 90%로 조절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은 60 내지 30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 단계의 돌외잎은 수분함량이 0.01 내지 70 중량%인 건조 돌외잎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외잎은 돌외 생잎을 덖음 또는 증숙한 후 건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덖음 또는 증숙은 90 내지 300 ℃에서 5분 내지 1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1) 단계와 (2) 단계의 사이에, (1-1) 상기 돌외잎 1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3 중량부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1-2) 상기 반응용기를 0.2 내지 10 ℃/min로 112 내지 150 ℃까지 승온시키면서 돌외잎을 팽윤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4) 상기 돌외잎을 수분함량 2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외잎차는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g3를 0.1 ~ 3.0 mg/g, 지페노사이드 L을 0.3 ~ 12 mg/g, 지페노사이드 LI을 0.3 ~ 8 mg/g, 다물린 A를 0.2 ~ 10 mg/g 및 다물린 B를 0.1 ~ 10 mg/g으로 포함하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g3를 0.1 ~ 3.0 mg/g, 지페노사이드 L을 0.3 ~ 19 mg/g, 지페노사이드 LI를 0.3 ~ 15 mg/g, 다물린 A를 0.2 ~ 13.5, 및 다물린 B를 0.1 ~ 10 mg/g으로 포함하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로 포함하는 돌외잎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반응용기에 돌외잎을 공급한 후 밀폐하는 단계; (2)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를 112 내지 150 ℃에서 10분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가열한 돌외잎을 40 내지 100 ℃의 상압에서 열수 추출하거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1) 단계와 (2) 단계의 사이에, (1-1) 상기 돌외잎 1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3 중량부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1-2) 상기 반응용기를 0.2 내지 10 ℃/min로 112 내지 150 ℃까지 승온시키면서 돌외잎을 팽윤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2) 단계와 (3) 단계의 사이에, (2-1) 상기 반응용기의 압력을 해제하여 돌외잎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2-1) 단계와 (3) 단계의 사이에, (2-2) 상기 돌외잎을 수분함량 2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외잎차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g3를 0.5 ~ 7.0 mg/g, 지페노사이드 L을 1.5 ~ 90 mg/g, 지페노사이드 LI을 1.5 ~ 80 mg/g, 다물린 A를 2.0 ~ 60 mg/g 및 다물린 B를 2.0 ~ 60 mg/g으로 포함하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진세노사이드 Rg3를 0.5 ~ 7.0 mg/g, 지페노사이드 L을 1.5 ~ 90 mg/g, 지페노사이드 LI을 1.5 ~ 80 mg/g, 다물린 A를 2.0 ~ 60 mg/g 및 다물린 B를 2.0 ~ 60 mg/g으로 포함하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돌외잎차는 고배당체 사포닌을 이미 저배당체로 전환시킨 상태로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돌외잎차 자체를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 및/또는 고온처리를 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도 저분자 유효 사포닌이 높은 함량으로 우러나고, 벤조피렌의 함량은 낮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외잎차 추출물 제조방법은 고압 및/또는 고온처리를 하지 않고도 진세노사이드 Rg3,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등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은 높으면서도 추출 수율 또한 향상되며, 벤조피렌의 함량이 낮은 돌외잎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어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외 생잎을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돌외잎을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돌외잎차 및 실시예 5에 따른 돌외잎차 추출물의 가속 안정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는 박과(Cucurbit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산이나 들의 숲 속에서 자생하며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마디에 흰털이 있고 엉키면서 자라지만 덩굴손으로 기어 올라가기도 한다. 서식지로는 국내에서는 남부지역, 제주도, 울릉도 지역의 산지에 자생하며, 국외에서는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의 지역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다. 대부분 주로 해안가, 강가 등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자란다.
돌외에는 자생하는 국가와 지역에 따라 여러 종이 있으며, 이 중에서 지노스테마(Gynostemma) 종은 30 여종이 알려져 있고, 산지에 따라서 그 함유성분과 함량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펜타필룸(pentapyllum) 종이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종, 성분 및 효능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어 왔다. 돌외에는 다양한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은 지노사포닌(gynosaponin) 또는 지페노사이드(gypenoside)라고 명명된다. 상기 지페노사이드는 화학구조로 볼 때 OH기가 어느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가의 차이를 나타낼 뿐 그 구조는 인삼의 진세노사이드계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돌외의 높은 사포닌 함량으로 인해 예로부터 돌외잎은 인삼 대용으로 자양강장제로 널리 음용되어 왔다.
상기 돌외잎에 함유된 사포닌은 지질대사 개선작용, 심혈관계 질환 방어작용, 혈당강하 작용, 중추신경계 작용, 항암작용, 혈소판 응집 저해작용, 강장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돌외는 사포닌인 지페노사이드(gypenoside) 이외에 프리메베로사이드(primeveroside), 소포로사이드 (sophoroside), 비스데스모사이드(bisdesmoside), 젠티오바이오사이드 (gentiobioside), 루티노사이드(rutinoside) 등의 배당체와 스테로이드, 당류 및 색소 등을 함유하고 있다.
돌외잎에 포함되어 있는 사포닌 화합물은 대부분 당을 포함한 배당체 형태로서 생체 내에서 흡수율이 낮은 고배당체 사포닌들이다. 이러한 흡수하기 어려운 사포닌이라도 저분자의 흡수 가능한 유효 사포닌으로 전환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돌외잎과 유사한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홍삼의 경우 고분자의 사포닌 성분을 저분자로 전환시켜 생체이용율을 높인 보고가 있다(대한민국특허 제10-1200571호). 따라서 돌외잎의 지페노사이드 배당체를 흡수 가능한 유효 지페노사이드(비 배당체 또는 당의 수식이 작은 저분자 사포닌)로 전환시키는 것은 생체이용률의 증대와 이를 통한 유효성 증대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분자 유효 사포닌은 ‘저배당체 사포닌’ 및 ‘저분자 사포닌’이라고도 지칭한다.
한편, 돌외는 전통적으로 덖어서 건조한 돌외잎차 형태로 제조, 보관, 유통 및 음용되어 왔다. 돌외를 덖음 처리하여 제조잎차로 만드는 것은 돌외잎에 잔존하는 분해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사포닌 등의 유효 활성 성분 및 풍미를 보존하기 위한 목적, 돌외 생잎에 잔존하는 유해 미생물을 살균하는 목적, 보관 안정성을 위해 수분을 제거하는 목적, 그리고 차 형태의 뭉쳐진 모양으로 제조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최근 들어서는 이 돌외잎차를 추출하여 사포닌 함량을 농축시킨 추출물을 식품 및 건강식품으로 제조, 보관, 유통 및 음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돌외잎차 제조방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돌외잎을 채취하여 각종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맑은 물에 세척하고, 채반 등에 널어서 물기를 제거한다. 돌외 생잎의 수분 함량은 80~95%, 바람직하게는 85~95%일 수 있으나 산지, 채취시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기를 제거한 돌외 생잎을 짧은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약 1~2일간 자연 건조를 시키는데, 이는 돌외잎의 수분 함량이 너무 높을 경우 덖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너무 많이 발생하는 것, 침출수가 발생하는 것, 또는 덖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자연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돌외 생잎에 남아있는 분해효소에 의한 유효사포닌의 분해가 일정 정도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덖는 공정은 전통적으로 장작불로 가열한 가마솥에 돌외잎을 넣고 손으로 교반하면서 덖다가 돌외 잎의 겉이 타기 전에 꺼내어 일정시간 냉각시키면서 유념(손으로 비벼서 모양을 만듦)하다가 잔류 수분이 다시 고루 확산되면 다시 덖기를 수회 반복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최근의 자동화된 방법으로는 가열된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하여 텀블러 방식으로 돌외잎을 회전시키면서 덖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차 모양의 둥글둥글한 모양이 형성되지 않아, 돌외잎차 자체를 유통시키는 목적보다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원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방법이든, 덖는 공정은 고열에서 짧은 시간, 그리고 수분이 유실되어감으로써 탈당 가수분해에 필요한 수분이 부족하여 저분자 사포닌으로의 전환이 미미하다. 뿐만 아니라 수분이 적은 상태에서 고열을 가하게 됨으로써 벤조피렌이 과하게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돌외잎차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돌외 생잎을 홍삼처럼 증숙하는 공정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전통적인 증숙 공정은 상기 덖음 공정과 마찬가지로 고온 가열처리를 통한 돌외잎의 효소 불활성화, 살균 및 건조 등에 목적을 둔 것이고, 고배당체 사포닌의 저분자 사포닌으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어서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의 증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구체적으로, 돌외 생잎을 증숙하는 공정은 물을 끓여서 찌는 방식, 또는 스팀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121 ℃ 이상의 고온 스팀을 제공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찌는 방식의 증숙은 돌외생잎의 수분 함량이 이미 높은데 다시 수분이 공급되기 때문에 침출수가 발생할 수 있다. 침출수가 발생하게 되면, 돌외잎의 유효성분이 용출되어 유효성분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온의 스팀 발생장치를 이용한 증숙은 돌외 생잎의 부피가 커서 적체 밀도가 낮아 공간 효율이 떨어지고, 이 역시 침출수의 발생을 막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침출수의 발생을 막기 위해 매우 서서히 또는 여러 번에 걸쳐서 증숙을 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증가하고, 벤조피렌 함량이 저감된 돌외잎차의 제조방법으로, 돌외 생잎 또는 건조 돌외잎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돌외잎, 특히 돌외 생잎을 밀폐된 반응용기에 넣고 특정 조건으로 고온 열처리 하는 경우, 돌외 생잎에 함유된 충분한 수분으로 인해 고온 열처리를 함에도 돌외잎이 타지 않고, 오히려 고배당체 사포닌이 저배당체로 충분히 전환되어 진세노사이드 Rg3,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Ⅰ, 다물린 A 및 다물린 B 등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돌외잎이 건조 돌외잎인 경우에는 건조 돌외잎에 물을 공급하여 충분히 팽윤시키고, 습윤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고온 열처리함으로써 고배당체 사포닌을 저배당체로 충분히 전환시킨 후, 상기 팽윤시킨 돌외잎을 밀폐된 반응용기에 넣고 특정 조건으로 고온 열처리하는 경우 돌외잎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성분들이 벤조피렌으로 전환되는 양이 적어지고, 진세노사이드 Rg3,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Ⅰ, 다물린 A 및 다물린 B 등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돌외잎을 고온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벤조피렌이 반응용기의 압력(밀폐) 해제에 의해 수증기와 함께 증발되므로, 벤조피렌 함량이 저감된 돌외잎차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는 일반적인 상온의 물 또는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더라도 저분자 유효사포닌이 충분히 추출되며, 덖거나 증숙한 후 건조하여 제조된 일반적인 돌외잎차에 비해 수율 및 저분자 유효사포닌 함량이 현저히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돌외잎차의 가속 안정성 시험 결과, 저분자 유효사포닌이 훨씬 안정하게 보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반응용기에 돌외잎을 공급한 후 밀폐하는 단계; (2)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를 112 내지 150 ℃에서 10분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반응용기의 압력을 해제하여 돌외잎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1) 단계에서는 반응용기에 돌외잎을 공급한 후 밀폐한다.
상기 돌외잎은 돌외 생잎 또는 건조 돌외잎일 수 있다.
돌외 생잎
일 구체예에서, 상기 돌외잎은 돌외 생잎일 수 있다.
상기 돌외 생잎은 가능한 한 채취한 후의 보관 기간이 짧은 것, 바람직하게는 5일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3일 이내인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막 채취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효소에 의한 유효성분의 손실이 적다.
상기 돌외 생잎은 채취 후 세척하고 물기를 적당히 제거하여 준비한다.
본 발명의 돌외잎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돌외 생잎을 이용하면, 돌외 생잎에 함유된 충분한 수분으로 인해, 이후의 (2) 단계의 가열처리 과정에서 고배당체 사포닌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의 전환율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외 생잎은 수분 함량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돌외잎은 돌외 생잎을 개방된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수분함량이 3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중량%로 조절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외잎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이유는 돌외 생잎에 있는 분해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돌외 생잎에 과다하게 잔존하는 수분을 이후 (2) 단계의 가열처리 과정에서 침출수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기 위함이다.
돌외잎의 수분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이후의 (2) 단계의 가열처리 과정에서 충분한 탈당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고배당체 사포닌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의 전환율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출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돌외잎에 함유된 유효 사포닌이 용출되어 돌외잎차에 함유된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고, 고온의 열이 돌외잎에 직접 가해져 벤조피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온도는 6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80 ℃일 수 있다.
상기 가열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효소 불활성화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벤조피렌 발생량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가열을 위한 방법은 가열판 위에 돌외잎을 직접 접촉시켜 가열하는 방식, 스팀 등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식 등, 가열할 수 있으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건조 돌외잎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돌외잎은 건조 돌외잎일 수 있다.
상기 건조 돌외잎은 돌외잎을 건조한 것을 의미하고, 자연건조 돌외잎, 반건조 돌외잎, 및 덖음 또는 증숙한 후 건조한 돌외잎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 돌외잎은 돌외 생잎을 90 내지 300 ℃에서 5분 내지 120 시간 동안 덖음 또는 증숙한 후 건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덖음 또는 증숙은 9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 ℃에서 20분 내지 120 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30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에서 덖음 또는 증숙 처리를 할 때 돌외잎에 함유된 유효성분 소실은 막으면서도 벤조피렌 생성은 저감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
반면 돌외잎을 덖음 또는 증숙 처리하지 않고 자연건조만 할 경우 고배당체 사포닌들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의 전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돌외잎차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생잎 상태에서 덖음 등의 열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사포닌 전구체와 저분자 유효 사포닌 성분들 간의 관계(Chen 등,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969 : pp. 42-52)에 근거하여, 돌외의 생잎에 덖음처리를 하게 되면 사포닌을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을 제거함으로써 총사포닌 총량을 유지할 수 있고, 여기에 고온 열처리를 하게 되면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 전환되는 것이라 추정하였다.
상기 건조 돌외잎은 수분함량이 0.0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돌외잎차의 제조방법은, 상기 (1) 단계와 (2) 단계의 사이에, (1-1) 상기 돌외잎 1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3 중량부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1-2) 상기 반응용기를 0.2 내지 10 ℃/min로 112 내지 150 ℃까지 승온시키면서 돌외잎을 팽윤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1-1) 상기 건조 돌외잎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0.5 내지 1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부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 돌외잎이 아닌 돌외생잎을 덖은 후 덜 건조한 상태라면 추가하는 물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 돌외잎에 물을 공급하는 이유는 돌외잎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돌외잎을 충분히 팽윤시키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서 돌외잎에 물을 공급하는 것은 오직 돌외잎이 “팽윤(swelling)”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돌외잎이 용매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침지” 또는 용매를 충분히 공급하여 돌외잎의 유효성분이 용매로 용출되도록 하는“추출”과는 완전히 다르다. 돌외잎이 충분히 팽윤되면, 이후의 가열처리 단계에서 고배당체 사포닌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의 전환율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돌외잎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공급되는 물의 양은 돌외잎이 수분을 흡수하여 충분히 “팽윤”될 정도의 양이면 되고, 그를 초과하여 공급하는 경우에는 돌외잎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추출 또는 침출될 수 있어 이를 다시 돌외잎으로 흡수시켜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물의 양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돌외잎이 충분히 팽윤되지 않아 이후 열처리 과정에서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의 전환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돌외잎에 함유된 유효 사포닌이 용출되어 돌외잎차에 함유된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상기 (1-2) 단계에서는 상기 반응용기를 0.2 내지 10 ℃/min,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5 ℃/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min로 112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0 ℃까지 승온시킨다. 이 단계는 상기 건조 돌외잎을 충분히 팽윤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승온 속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목표 온도까지 승온시키기 위한 시간이 너무 길어지게 되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돌외잎이 충분히 팽윤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으로 승온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건조 돌외잎이 충분히 팽윤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승온으로 인해, 돌외잎이 충분이 팽윤되어 돌외잎 내 수분함량이 6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에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이후의 가열 단계에서 고배당체 사포닌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의 전환이 더욱 잘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2) 단계에서는 상기 밀폐된 반응용기의 내부를 112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 ℃ 또는 115 내지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0 ℃에서 10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24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1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8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시간 동안 가열한다. 상기 가열 처리에 의해 돌외잎 내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 전구체들이 탈당 가수분해되어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 전환된다. 또한 개방용기 가열시 발생한 돌외잎에 포함된 벤조피렌이 증발하게 된다.
가열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저분자 유효 사포닌 전구체들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의 전환율이 낮아지고 가열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효율과 안전성의 문제가 대두될 수 있고, 사포닌의 분해, 벤조피렌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가열 온도가 높아지면 가열 시간을 줄일 수 있으나, 가열 온도가 높아질수록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벤조피렌 발생량도 증가하게 된다.
상기 가열처리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상기 가열 온도가 120 ℃인 경우에는, 가열 시간이 1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4 시간 일 수 있고, 상기 가열 온도가 130 ℃인 경우에는 가열 시간이 30분 내지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시간일 수 있으며, 가열 온도가 140 ℃인 경우에는 가열 시간이 20분 내지 8 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2 시간일 수 있고, 가열온도가 150 ℃인 경우에는 가열 시간이 10분 내지 4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1시간일 수 있다.
다음으로, (3) 단계에서는 상기 반응용기의 압력을 해제하여 돌외잎을 건조시킨다. 상기 반응용기는 상기 (2) 단계에서의 가열로 인해 반응용기 내의 온도와 압력이 상당히 증가한 상태이므로, 상기 반응용기의 압력을 해제하면 반응용기 내의 수증기가 빠르게 증발하면서 상기 돌외잎이 감압건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동시에 벤조피렌도 같이 증발되어 배출된다.
상기 돌외잎은 수분함량 8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5 중량%의 반건조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단계의 돌외잎이 돌외 생잎인 경우 상기 돌외잎은 수분함량 40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중량%의 반건조 상태가 될 수 있고, 건조 돌외잎인 경우 상기 돌외잎은 수분함량 30 내지 50 중량%의 반건조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돌외잎차 제조방법은 상기 (3) 단계 이후에, (4) 상기 건조한 돌외잎을 추가로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열풍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감압건조, 자연건조 등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받지 않는다.
상기 건조는 보관 안정성을 위해 돌외잎의 수분함량이 3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중량%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돌외잎차 제조방법은 돌외잎에 함유된 수분을 이용하거나, 적당량의 수분을 가하여 가열처리함(증숙 효과)으로써, 돌외잎이 타지 않아 벤조피렌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며, 돌외잎차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출수가 건조 과정에서 다시 돌외잎으로 흡수 되므로 유효성분의 손실이 거의 없고, 가열처리에 이용된 열을 건조과정에서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저분자 유효사포닌으로의 전환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돌외잎차는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g3를 0.1 ~ 3.0 mg/g, 지페노사이드 L을 0.3 ~ 19 mg/g, 지페노사이드 LI를 0.3 ~ 15 mg/g, 다물린 A를 0.2 ~ 13.5, 및 다물린 B를 0.1 ~ 10 mg/g으로 포함하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예를 들어, 0.01 ~ 10 ppb 범위 내)로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돌외잎차는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g3를 0.1 ~ 3.0 mg/g, 바람직하게는 0.5 ~ 2.5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 2.0 mg/g로 포함하고, 지페노사이드 L를 0.3 ~ 19 mg/g, 바람직하게는 0.3 ~ 12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0 mg/g로 포함하며, 지페노사이드 LI를 0.3 ~ 15 mg/g, 바람직하게는 0.3 ~ 8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8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8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8 mg/g로 포함하고, 다물린 A를 0.2 ~ 13.5, 바람직하게는 0.2 ~ 1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8 mg/g로 포함하며, 다물린 B를 0.1 ~ 10 mg/g, 바람직하게는 0.5 ~ 1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7 mg/g로 포함할 수 있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 바람직하게는 6 ppb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ppb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도, 즉 40 내지 100 ℃의 상압에서 열수 추출하거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을 하여도 진세노사이드 Rg3,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다물린 A 및 다물린 B 등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이 높은 함량으로 우러나고, 추출수율이 증가하며, 벤조피렌 함량은 낮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는 돌외잎 내 저분자 유효 사포닌 전구체를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 최대한 전환시킨 것이므로, 같은 양의 돌외잎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매, 압력, 및 온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조건을 달리하여 추출한다고 하여도 추출되는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1) 반응용기에 돌외잎을 공급한 후 밀폐하는 단계; (2)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를 112 내지 150 ℃에서 10분 내지 48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가열한 돌외잎을 40 내지 100 ℃의 상압에서 열수 추출하거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1) 반응용기에 돌외잎을 공급한 후 밀폐하는 단계” 및 “(2)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를 112 내지 150 ℃에서 10분 내지 48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돌외잎은 돌외 생잎, 또는 건조 돌외잎일 수 있다.
상기 돌외잎이 건조 돌외잎인 경우에는, 상기 (1) 단계와 (2) 단계의 사이에, (1-1) 상기 돌외잎 1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3 중량부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1-2) 상기 반응용기를 0.2 내지 10 ℃/min로 112 내지 150 ℃까지 승온시키면서 돌외잎을 팽윤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2) 단계와 (3) 단계의 사이에, (2-1) 상기 반응용기의 압력을 해제하여 돌외잎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기 반응용기의 압력을 해제하여 돌외잎을 건조시키는 단계”에 대해서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1) 단계와 (3) 단계의 사이에, (2-2) 상기 돌외잎을 수분함량 2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기 돌외잎을 수분함량 2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에 대해서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3) 단계에서는 상기 돌외잎을 4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의 상압에서 열수 추출하거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 단계의 추출은 2회 반복 수행하되, 1차 추출은 40 내지 100 ℃에서의 열수 추출한 후 2차 추출은 40 내지 80%(v/v) 에탄올 추출을 함으로써 추출 수율을 높이고, 돌외잎차 추출물 내 사포닌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돌외잎차 추출물의 사포닌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 1차 추출, 및 2차 추출 모두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추출횟수 또한 2회를 초과할 수도 있으나 회수율 대비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는 않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돌외잎차 추출물은 고압처리나 고온처리를 하지 않고도 진세노사이드 Rg3,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다물린 A 및 다물린 B 등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은 높고, 추출수율이 높으며, 벤조피렌은 함량은 낮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또한 상기 돌외잎차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g3를 0.5 ~ 7.0 mg/g, 지페노사이드 L을 1.5 ~ 90 mg/g, 지페노사이드 LI을 1.5 ~ 80 mg/g, 다물린 A를 2.0 ~ 60 mg/g 및 다물린 B를 2.0 ~ 60 mg/g으로 포함하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예를 들어, 0.01 ~ 10 ppb 범위 내)로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돌외잎차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g3을 0.5 ~ 7.0 mg/g, 바람직하게는 0.7 ~ 5.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 4.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5 mg/g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페노사이드 L을 1.5 ~ 90 mg/g, 바람직하게는 5.0 ~ 3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30 mg/g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페노사이드 LI를 1.5 ~ 80 mg/g, 바람직하게는 1.5 ~ 3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2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mg/g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물린 A를 2.0 ~ 60 mg/g, 바람직하게는 2.0 ~ 2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8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6 mg/g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물린 B를 2.0 ~ 60 mg/g, 바람직하게는 2.0 ~ 18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8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6 mg/g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외잎차 추출물은 농축액 또는 건조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과된 돌외잎차 추출물은 60 내지 70 brix로 농축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돌외잎차 추출물은 진공건조,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을 거친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은 벤조피렌 함량이 낮아 유해성이 적어지며, Rg3,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Ⅰ 등의 저분자 사포닌의 함량이 증가되어 당뇨병 또는 비만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근육세포 손실을 감소시키는 효과, 운동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또는 당뇨병, 근손실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운동능력수행능력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사용 방법 및 목적에 따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텍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사제, 경구투여, 피부외용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 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선택되는 투여 수준은 화합물의 활성, 투여 경로, 치료되는 병태의 중증도 및 치료되는 환자의 병태 및 이전 병력에 따를 것이다. 그러나 원하는 치료 효과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의 화합물의 용량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은 당업계의 지식 내에 있으며, 바람직한 투여량은 나이, 성별, 체형, 체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상 허용 가능한 제약 제제로 제제화 되기 전에 추가로 가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입자들로 분쇄 또는 연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병태 및 치료되는 환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이는 비-독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유효 용량은 0.001 ~ 400 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 100 mg/kg이며, 하루 1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 근손실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건강기능성 식품(health 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을 차, 쥬스 또는 드링크 등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또는 분말화하여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을 항비만 효과 또는 항당뇨 효과, 근손실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 이외에 미량의 미네랄, 비타민, 당류 및 공지의 항비만 활성 또는 항당뇨 활성, 근손실 억제 효과를 가진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체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중의 상기 식품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비만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돌외 생잎 - 고온 열처리한 돌외잎차의 제조
(1) 돌외 생잎 10 kg을 수확하여 맑은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였다(도 1).
(2) 이후, 상기 돌외잎을 전기 추출기 (경서기계산업, COSMOS-660) 내부의 중탕 용기에 공급하고 밀폐하였다. 상기 전기 추출기 내부 온도를 130 ℃로 조절한 후, 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3) 가열이 끝난 후 상기 전기 추출기 (응축기 및 감압펌프 구비됨)의 밸브를 서서히 개방하여 응축기로 수증기를 배출하다가 내부 온도가 100 ℃ 이하로 저하되면 서서히 감압펌프를 작동시켜 장치 내부의 돌외잎이 감압 건조되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돌외잎으로부터 약간의 침출수가 발생하였으나, 장치 내부의 잠열로 인하여 증발되면서 모두 돌외잎차로 재흡수되었다. 또한, 상기 전기 중탕기의 내부 온도가 70 ℃에 이른 후부터는 추가 가열을 통해 70 ℃를 유지하면서 감압 건조되도록 하였다. 응축기로부터 더 이상의 물이 회수되지 않을 때, 수분함량 67.5 중량%인 2,523g의 돌외잎을 회수하였다.
(4) 상기 회수한 돌외잎을 65 ℃로 열풍건조하여, 수분함량 7 중량%의 돌외잎차 825 g을 수득하였다.
(5) 상기 돌외잎차 10 g을 취하여 믹서기로 곱게 분쇄하고, 70%(v/v) 에탄올 100 ml를 가한 후 80 ℃에서 2 시간 동안 3회 추출, 여과 및 건조하여, 이후 돌외잎차 분석 시료로 이용하였다.
실시예 2: 돌외 생잎 - 가열건조 후 돌외잎차의 제조
(1) 돌외 생잎 10 kg을 수확하여 맑은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돌외 생잎 (돌외잎의 수분함량: 91.8 중량%)을 개방된 용기에 넣은 후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150 ℃로 가열함으로써, 침출수 발생 없이 수분함량 83.6 중량%의 돌외잎 4,985g을 수득하였다.
(2) 및 (3)단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수분함량 69.5 중량%인 2,543g의 돌외잎을 회수하였다.
(4) 단계 역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분함량 2.9%인 돌외잎차 829g을 수득하였으며, 실시예 1의 (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분석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돌외 생잎 -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및 2의 (4) 단계에서 수득한 돌외잎차 100 g에 물 1,200 ml을 가하여 90℃에서 4시간 추출하고 추출액을 20um 필터로 여과하여 회수한 후 남은 잔사에 다시 50% v/v 주정 1,200 ml을 가하고, 80 ℃에서 2시간 추출하여 여과를 통해 회수한 후 두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각각 31.8g, 30.9g을 회수하였고, 이후 실험에서의 돌외잎차 추출물의 분석시료(각각 실시예 3-1 (실시예 1에 따른 돌외잎차의 추출물) 및 실시예 3-2 (실시예 2에 따른 돌외잎차의 추출물))로 이용하였다.
실시예 4: 건조 돌외잎 - 수분 공급(팽윤), 고온 열처리한 돌외잎차의 제조
(1) 돌외 생잎 10 kg을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300 ℃에서 1 시간 동안 덖음처리한 후 수분함량 8%가 되도록 건조시켜, 건조 돌외잎 728 g을 수득하였다(도 2).
이후, 가압 밀폐용기에 상기 건조 돌외잎 100 g 및 물 400 g을 공급하고 밀폐하였다.
(2) 상기 가압 밀폐용기에 열을 가하여 1분에 1.0 ℃씩, 120 ℃까지 승온시켜, 상기 밀폐용기 내의 돌외잎을 팽윤되도록 하였다(돌외잎의 수분함량: 80 중량%).
(3) 이후, 상기 가압 밀폐용기를 120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4) 상기 가압 밀폐용기에 열을 가하는 것을 중단하고, 밀폐용기 내의 압력을 해제하여 개방하였다. 이후, 상기 압력 해제로 인해 반건조된 돌외잎을 회수하였다(돌외잎의 수분함량: 65 중량%).
(5) 상기 회수한 돌외잎을 65 ℃로 열풍건조하여, 수분함량 8%의 돌외잎차 98.5 g을 수득하였다.
(6) 상기 돌외잎차 10 g을 취하여 믹서기로 곱게 분쇄하고, 70% 에탄올 100 ml를 가한 후 80 ℃에서 2 시간 동안 3회 추출, 여과 및 건조하여, 이후 돌외잎차 함량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건조 돌외잎 -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4의 (5) 단계에서 수득한 돌외잎차 100 g에 50% v/v 주정 1,500 ml을 가하고, 80 ℃에서 2시간 동안 2회 추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31.5g(추출수율 31.5%)을 회수하였고, 이후 실험에서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저분자 유효사포닌 분석 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른 돌외잎차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HPLC 분석을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1) 표준원액 제조: 표준물질 약 20 mg을 정밀하게 달아 20 mL 정용플라스크에 60% 메탄올과 넣어 용해하였다. (Stock solution : 1,000 ppm)
(2) 표준용액 제조: 표준원액을 각 0.3, 0.6, 1.2, 2.0, 3.0 mL을 취하여 10 mL 정용플라스크에 넣고 표선을 맞춰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30, 60, 120, 200, 300 ppm)
(3) 시험용액의 제조: 검체를 500 mg 칭량하여 50 mL 정용플라스크에 넣고 60% 메탄올을 절반 채운 후 30 분간 초음파 추출하였다. 상온에서 방냉한 후, 60% 메탄올로 표선까지 맞추었다. 0.45 μm Nylon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4) 기기 분석 조건은 아래 표 1과 같고, 분석 결과는 아래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표준품은, 다물린 A(순도 99.1%) 및 다물린 B(순도 95.96%)는 Chengdu Biopurify Phytochemicals (중국)로부터, Gypenoside L(순도 99.42%)은 Shanghai yuanye Bio-Technology(중국)로부터, Gypenoside LI(순도 99.33%)는 한국 생명공학 연구원으로부터, Gynsenoside Rg3(순도 98.24%)는 Ambo(한국)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기기 HPLC-DAD
검출파장 204 nm
컬럼 Agilent ZORBAX Eclipse C18 (4.6*250mm, 5μm particle size)
컬럼 온도 35 ℃
주입량 10 μL
유속 1.0 mL/min
이동상 Solvent A : DW, Solvent B : Acetonitrile
Time (min) Solvent A (%) Solvent B (%)
0 60 40
20 60 40
35 50 50
40 50 50
40.1 0 100
50 0 100
50.1 60 40
60 60 40
돌외 생잎을 이용한 경우
구분(mg/g)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Rg3 다물린 A 다물린 B 벤조피렌
(ppb)
실시예 1 8.11 5.12 1.01 5.01 4.28 0.5
실시예 2 8.29 5.23 1.18 5.61 4.32 5.5
실시예 3-1 23.05 13.87 2.59 12.77 11.19 1.8
실시예 3-2 22.75 13.81 2.63 12.98 11.23 6.8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잎을 곧 바로 열처리하여 돌외잎차를 제조한 것과 돌외생잎을 덖음 처리한 후 열처리한 것의 함량차이는 크지 않으며, 동시에 각 추출물의 함량 차이도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실시예 2는 돌외 생잎의 열처리 전 건조과정의 가열 처리로 인해 벤조피렌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시예 3-1 및 3-2의 돌외잎차 추출물의 경우 여과 필터의 크기 20㎛를 사용하였고, 원심분리, 용매분리, 컬럼분리 등의 별도의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으로, 상기 필터망의 크기조절, 적당한 원심분리 및 용매분리, 컬럼분리 등을 수행할 경우 상기 사포닌들이 함량은 수배 ~ 수십배 증가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함량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 돌외잎을 이용한 경우
구분(mg/g)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Rg3 다물린 A 다물린 B 벤조피렌
(ppb)
실시예 4 7.09 4.35 0.81 4.09 3.38 4.5
실시예 5 23.05 13.92 2.65 13.28 11.27 6.8
상기 표 2와 표 3을 비교해 볼 때 생잎 또는 덖은 돌외잎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에 의한 돌외잎차의 저분자유효사포닌의 함량은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시험예 1. 물 공급량에 따른 유효 성분 함량 변화
상기 실시예 5의 (1) 단계에서의 물 공급량에 따른 돌외잎차 추출물의 유효 성분 함량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시예 5의 (1) 단계에서의 물 공급량을 각각 0g, 50g, 100g, 200g, 300g, 400g(실시예 4), 700g, 1300g 및 2000g으로 달리하여 돌외잎차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료에 함유된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을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5의 (2) 단계가 완료된 후, 밀폐용기 내의 돌외잎을 회수한 후 돌외잎 내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함께 나타내었다.
건조 돌외잎을 이용한 경우 (실시예 5)
구분
(물 공급량)
지페노사이드 L (mg/g) 지페노사이드 LI (mg/g) Rg3
(mg/g)
다물린 A
(mg/g)
다물린 B
(mg/g)
벤조피렌
(ppb)
수분함량
(%)
2000g
(1:20)
16.81 10.01 1.52 8.33 6.75 16.8 94.5
1300g
(1:13)
19.31 12.72 1.84 10.46 8.12 9.7 93
700g
(1:7)
20.35 13.12 2.14 12.86 10.42 7.7 87.5
400g
(1:4)
23.05 13.92 2.65 13.28 11.27 6.8 80
300g
(1:3)
22.95 13.94 2.57 13.52 11.32 7.0 75
200g
(1:2)
16.58 9.92 1.51 9.35 6.32 7.5 67
100g
(1:1)
8.27 5.05 0.85 3.53 3.12 11.2 50
50g
(1:0.5)
2.32 1.40 0.25 1.21 1.32 17.5 33
0g 0.00 0.00 0.00 0.00 0.00 28.7 8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실시예 5의 건조 돌외잎에 물을 공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열처리 과정을 거침에도 불구하고 전혀 성분전환이 일어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돌외잎 및 물의 중량비가 1 : 0.5인 경우에는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의 전환이 있긴 했으나 그 전환율이 적었고, 물 공급량이 높아질수록 저분자 유효 사포닌으로의 전환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돌외잎 및 물의 중량비가 1 : 2인 경우에는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5와 같이 돌외잎 및 물의 중량비가 1 : 4인 경우에는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이 현저히 높고, 벤조피렌 함량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물을 과량 공급한 경우(돌외잎 및 물의 중량비가 1 : 20),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하여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이 낮아졌고, 벤조피렌이 물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다가 다시 돌외잎차로 흡수되어 벤조피렌 함량이 높아졌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는 물을 공급하지 않거나 과량 공급하여 제조한 돌외잎차에 비해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벤조피렌 함량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가열온도에 따른 유효 성분 함량 변화
실시예 3-2의 (2) 단계, 및 실시예 5의 (3) 단계에서의 가열온도에 따른 유효 성분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 100 ℃, 110 ℃, 115 ℃, 121 ℃, 130 ℃, 150 ℃에서 6시간 가열하여 제조한 돌외잎차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돌외 생잎을 이용한 경우 (실시예 3-2)
구분(mg/g)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Rg3 다물린 A 다물린 B
100 ℃ 0.00 0.00 0.00 0.01 0.00
110 ℃ 0.01 0.09 0.00 0.01 0.00
115 ℃ 6.71 4.78 0.98 4.89 4.21
121 ℃ 24.98 13.82 2.48 14.91 11.28
130 ℃ 19.45 12.49 2.13 12.82 10.47
150 ℃ 17.83 11.21 2.06 8.82 6.43
건조 돌외잎을 이용한 경우 (실시예 5)
구분(mg/g)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Rg3 다물린 A 다물린 B
100 ℃ 0.11 0.00 0.00 0.01 0.00
110 ℃ 0.12 0.09 0.00 0.01 0.00
115 ℃ 6.69 4.73 0.94 4.85 4.52
121 ℃ 22.98 13.52 2.28 12.95 10.28
130 ℃ 20.45 13.49 2.83 12.82 10.47
150 ℃ 17.25 11.31 2.12 11.52 9.34
상기 표 5 및 표 6을 살펴보면, 가열온도가 100 ℃ 및 110 ℃인 경우에는 돌외잎에 포함된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고, 115 ℃ 이상부터 큰 변화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110 내지 115 ℃ 사이가 임계온도인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은 121 ℃로 가열하는 경우에 정점을 찍은 후, 121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온도와 가열시간은 반비례 관계이므로 가열온도를 높이면 더욱 짧은 시간의 열처리가 필요한데, 너무 오래 가열하면 오히려 유효성분이 분해된 결과로 해석된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는 110 ℃ 이하로 가열하여 제조한 돌외잎차에 비해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 내지 130 ℃로 가열하여 제조한 경우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가열시간에 따른 유효 성분 함량 변화
실시예 3-2의 (2) 단계, 및 실시예 5의 (3) 단계에서의 가열시간에 따른 유효 성분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130 ℃에서 각각 0, 1, 2, 3, 4, 6, 8, 12 및 24 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한 각각의 돌외잎차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돌외 생잎을 이용한 경우 (실시예 3-2)
구분(mg/g)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Rg3 다물린 A 다물린 B 벤조피렌
(ppb)
0 시간 0.00 0.00 0.00 0.00 0.00 0.45
1 시간 8.55 5.47 1.21 5.27 4.83 0.49
2 시간 18.65 14.15 2.15 10.53 8.48 0.82
3 시간 25.05 13.92 2.65 15.05 11.42 1.71
4 시간 22.05 12.32 2.35 12.01 9.42 2.74
6 시간 19.45 12.49 2.13 12.82 10.47 2.82
8 시간 18.20 11.16 1.23 10.15 8.14 3.65
12 시간 16.03 9.23 1.09 8.41 6.33 4.83
24 시간 14.35 8.72 1.08 6.31 4.34 9.31
덖어서 건조한 돌외잎을 이용한 경우 (실시예 5)
구분(mg/g)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Rg3 다물린 A 다물린 B 벤조피렌
(ppb)
0 시간 0.00 0.00 0.00 0.00 0.00 25.7
1 시간 4.25 3.28 0.52 3.12 2.75 19.3
2 시간 8.45 6.95 1.20 6.23 5.28 12.8
3 시간 20.45 13.49 2.83 12.82 13.47 9.5
4 시간 23.05 13.92 2.65 13.28 11.27 6.8
6 시간 22.98 13.52 2.28 12.95 10.28 7.2
8 시간 20.21 13.28 1.92 12.33 9.82 8.6
12 시간 18.23 11.32 1.01 9.58 7.52 9.8
24 시간 15.35 8.89 0.92 7.52 5.99 11.3
상기 표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외잎차는 (2) 단계의 가열처리 1 시간 이후부터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 시간 이후부터는 현저히 증가하였고, 3 내지 4 시간에서 정점을 찍은 후 6 시간 이후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외잎차는 (3) 단계의 가열처리 1 시간 이후부터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3시간 이후부터는 현저히 증가하였고, 4 내지 6 시간에서 정점을 찍은 후 6시간 이후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이 감소하는 것은 장시간 고온 처리에 의해 저분자 유효 사포닌이 더욱더 저분자화한 형태로 전환되었거나 사포닌이 분해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저분자 유효 사포닌이 고함량으로 함유된 돌외잎차는, 상기 (2) 단계 또는 (3) 단계의 가열 단계에서 2 내지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4 시간 가열하여 제조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벤조피렌의 경우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자연건조 - 일반추출
돌외 생잎을 그늘에 잘 펴서 수분함량 8%가 되도록 자연건조하여 건조돌외잎을 수득하였다.
상기 건조 돌외잎을 15배 부피에 해당하는 80 ℃ 주정(50% v/v)으로 2회 추출하여 돌외잎차 추출물을 제조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후 실험에서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2-1: 자연건조 - 일반추출 - 열처리 (1)
비교예 1의 추출물에 2배 부피의 정제수에 넣고 충분히 교반하여 현탁시킨 후 멸균기를 이용하여 120 ℃에서 2 시간 동안 고온 가열처리한 후, 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후 실험에서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2-2: 자연건조 - 일반추출 - 열처리 (2)
돌외 생잎을 그늘에 잘 펴서 수분함량 7%가 되도록 자연건조하여 건조돌외잎을 수득하였다.
상기 건조돌외잎을 15배 중량에 해당하는 80 ℃ 주정(50% v/v)으로 2회 추출하여 돌외잎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돌외잎 추출물을 고형분 22 중량%로 농축시킨 후 121 ℃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한 돌외잎 추출물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이후 실험에서의 돌외잎차 추출물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3: 자연건조, 수분공급(팽윤), 고온열처리 - 일반추출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1) 단계의 건조 돌외잎은 덖음처리한 후 건조한 돌외잎 대신 그늘에서 자연건조한 돌외잎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1: 덖음처리 후 건조 - 일반추출 (1)
돌외 생잎을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150 ℃에서 덖음처리한 후 수분함량 8%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 돌외잎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 돌외잎을 15배 부피에 해당하는 80 ℃ 주정(50% v/v)으로 2회 추출하여 돌외잎차 추출물을 제조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후 실험에서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덖은 돌외잎의 2차에 걸친 주정추출 수율은 평균 20.4%였다.
비교예 4-2: 덖음처리 후 건조 - 일반추출 (2)
돌외 생잎을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130 ℃에서 30분 동안 덖음처리한 후 수분함량 7%가 되도록 건조하여 돌외잎차를 제조하였다.
상기 돌외잎차를 15배 중량에 해당하는 80 ℃ 주정(50% v/v)으로 2회 추출하여 돌외잎차 추출물을 제조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후 실험에서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5: 덖음처리 후 건조, 고온 건열처리 - 일반추출
돌외 생잎을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150 ℃에서 덖음처리한 후 수분함량 8%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 돌외잎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 돌외잎을 멸균기에 넣고 120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건열처리)하였다.
상기 열처리한 돌외잎을 15배 부피에 해당하는 80 ℃ 주정(50% v/v)으로 2회 추출하여 돌외잎차 추출물을 제조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후 실험에서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6: 덖음처리 후 건조 - 고온추출
돌외 생잎을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150 ℃에서 덖음처리한 후 수분함량 8%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 돌외잎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 돌외잎에 15배 부피에 해당하는 물을 가한 후 120 ℃에서 2 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돌외잎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열수추출하고 남은 잔사를 15배 부피에 해당하는 80 ℃ 주정(50% v/v)으로 추출하여 돌외잎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 수율은 36.8%였다. 상기 돌외잎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후 실험에서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7-1: 덖음처리 후 건조 - 일반추출 - 열처리 (1)
비교예 4-1의 추출물에 2배 부피의 정제수에 넣고 충분히 교반하여 현탁시킨 후 멸균기를 이용하여 120 ℃에서 2 시간 동안 고온 가열처리한 후, 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후 실험에서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7-2: 덖음처리 후 건조 - 일반추출 - 열처리 (2)
돌외 생잎을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130 ℃에서 30분 동안 덖음처리한 후 수분함량 7%가 되도록 건조하여 돌외잎차를 제조하였다.
상기 돌외잎차를 15배 중량에 해당하는 80 ℃ 주정(50% v/v)으로 2회 추출하여 돌외잎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돌외잎 추출물을 고형분 22 중량%로 농축시킨 후 121 ℃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한 돌외잎 추출물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이후 실험에서의 돌외잎차 추출물의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시험예 4. 제조 방법에 따른 돌외잎차의 유효 성분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3-2,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분석시료를 이용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시료에 함유된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9 및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mg/g)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Rg3 다물린 A 다물린 B 벤조피렌
(ppb)
실시예 3-2 22.75 13.81 2.63 12.98 11.23 1.8
비교예 1 0.00 0.00 0.00 0.00 0.00 1.2
비교예 4-2 1.3 0.9 0.1 0.7 0.5 21.5
비교예 2-2 6.3 4.2 0.3 2.3 1.8 10.5
비교예 7-2 18.2 14.3 1.6 8.2 6.1 23.5
상기 표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3-2에 따른 돌외잎차 추출물은, 비교예 1, 비교예 4-2, 비교예 2-2 및 비교예 7-2에 비해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이 현저히 높을 뿐만 아니라 벤조피렌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열처리를 하지 않고 자연건조한 비교예 1의 경우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검출한계 이하이거나, 그 함량이 매우 낮았다. 또한, 자연건조한 돌외잎차의 추출물을 열처리한 비교예 2-2의 경우 저분자 유효사포닌 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자연건조 시 효소의 작용에 의해 유효 사포닌 성분이 소실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3-2에 따른 돌외잎차 추출물은 비교예 7-2에 비해 저분자 사포닌의 함량이 현저히 높으며, 동시에 벤조피렌 함량이 훨씬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mg/g)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Rg3 다물린 A 다물린 B 벤조피렌
(ppb)
실시예 5 23.05 13.92 2.65 13.28 11.27 6.80
비교예 1 0.00 0.00 0.00 0.00 0.00 1.21
비교예 2-1 0.00 0.00 0.00 0.00 0.00 1.03
비교예 3 4.48 4.03 1.21 3.00 4.48 2.53
비교예 4-1 0.17 0.05 0.03 0.00 0.00 25.66
비교예 5 0.39 0.00 0.09 0.00 0.00 15.65
비교예 6 14.02 11.28 1.21 9.82 7.62 12.56
비교예 7-1 14.44 11.52 1.19 10.53 8.01 16.53
상기 표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돌외잎차(또는 이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는, 원료로서 덖음처리 후 건조한 건조 돌외잎을 이용하긴 하였으나 물 공급 후 승온(팽윤) 단계를 거치지 않은 비교예 4 내지 7에 비해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이 현저히 높고, 벤조피렌 함량은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원료로서 덖음처리하지 않고 자연건조한 건조 돌외잎을 이용한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검출한계 이하이거나, 그 함량이 매우 낮았다.
시험예 5. 가속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외잎차 분말 및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에 대하여 각각 가속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실시예 2의 (4) 단계 및 실시예 4의 (5) 단계에서 수득한 각각의 돌외잎차를 200 mesh 이하로 분쇄한 후 각각 2 g씩 알루미늄 호일 봉지에 담아 밀폐하였다. 상기 시료가 담긴 각각의 봉지들을 온도 40 ℃, 상대습도 70% 조건에서 각각 0, 1, 2, 3, 4, 6, 8, 12개월간 보관하였다. 이후,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각각의 돌외잎차를 개봉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시예 3-2 및 실시예 5에 따른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관한 후 개봉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돌외잎차 분말 및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의 가속 안정성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1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11 및 도 3에는, 각각의 돌외잎차 분말 또는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에 함유된 5종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진세노사이드 Rg3, 지페노사이드 L, 지페노사이드 LI, 다물린 A 및 다물린 B)의 총함량을 초기값에 대한 상대비율(%)로 나타내었다.
보관기간 실시예 2 (%)
돌외잎차
(돌외생잎)
실시예 3-2 (%)
돌외잎차추출물
(돌외생잎)
0개월 100 100
1개월 100.02 99.89
2개월 99.92 99.15
3개월 99.13 98.19
4개월 98.97 97.38
6개월 98.34 96.61
8개월 98.11 94.26
12개월 98.07 91.37
상기 표 11을 살펴보면, 가속시험 조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돌외잎차 분말 및 실시예 3-2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 모두 12개월까지 90% 이상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돌외잎차로 보관할 경우 돌외잎차 추출물에 비해 유효성분의 함량 변화가 매우 더디게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을 살펴보면, 가속시험 조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돌외잎차 분말 및 실시예 5에 따른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 모두 12개월까지 80% 이상의 저분자 유효 사포닌 함량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돌외잎차로 보관할 경우 돌외잎차 추출물에 비해 유효성분의 함량 변화가 매우 더디게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제조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4의 돌외잎차 분말, 또는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5의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 200 mg, 비타민 E 9 mg, 비타민 C 9 mg, 갈락토올리고당 200 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 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 mg을 첨가한다. 이들 조성물 500 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캡슐의 제조
통상의 연질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4의 돌외잎차 분말, 또는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5의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 200 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연질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돌외잎차 분말의 제조
실시예 1,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4의 돌외잎차를 핀밀을 이용하여 곱게 분쇄한 후 300 mesh의 체를 통과한 분말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환제의 제조
실시예 1,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4의 돌외잎차를 분쇄하여 200 mesh를 통과한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돌외잎차 분말에 꿀, 덱스트린, 전분, 미결정 셀룰로스, CMC 칼슘 등과 적절하게 반죽을 한 후 환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농축액상차의 제조
실시예 3-2 또는 실시예 5의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에 물을 가하여 고형분 15%의 혼합액으로 희석하였다. 이를 90 ℃에서 가열한 후 상기 돌외잎차 추출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의 γ-Cyclodextrin을 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로 농축하여 농축액상차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 돌외잎차 분말차 제조 및 음용
본 발명에서 수득한 돌외잎차를 20mesh로 분쇄한 후 이를 티백에 담았다. 티백을 끓는 물에 담궈 약 5분간 끓인 후 침출차를 음용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1) 반응용기에 돌외잎을 공급한 후 밀폐하는 단계;
    (2)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를 112 내지 150 ℃에서 10분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반응용기의 압력을 해제하여 돌외잎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 단계의 돌외잎은 수분함량 80 중량% 이상의 생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1) 단계의 돌외잎은 돌외 생잎을 개방된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수분함량이 30 내지 90%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60 내지 30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1) 단계의 돌외잎은 수분함량이 0.01 내지 70 중량%인 건조 돌외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외잎은 돌외 생잎을 덖음 또는 증숙한 후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덖음 또는 증숙은 90 내지 300 ℃에서 5분 내지 1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와 (2) 단계의 사이에,
    (1-1) 상기 돌외잎 1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3 중량부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1-2) 상기 반응용기를 0.2 내지 10 ℃/min로 112 내지 150 ℃까지 승온시키면서 돌외잎을 팽윤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4) 상기 돌외잎을 수분함량 2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외잎차는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g3를 0.1 ~ 3.0 mg/g, 지페노사이드 L을 0.3 ~ 19 mg/g, 지페노사이드 LI를 0.3 ~ 15 mg/g, 다물린 A를 0.2 ~ 13.5, 및 다물린 B를 0.1 ~ 10 mg/g으로 포함하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g3를 0.1 ~ 3.0 mg/g, 지페노사이드 L을 0.3 ~ 19 mg/g, 지페노사이드 LI를 0.3 ~ 15 mg/g, 다물린 A를 0.2 ~ 13.5, 및 다물린 B를 0.1 ~ 10 mg/g으로 포함하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
  12. (1) 반응용기에 돌외잎을 공급한 후 밀폐하는 단계;
    (2)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를 112 내지 150 ℃에서 10분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가열한 돌외잎을 40 내지 100 ℃의 상압에서 열수 추출하거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1) 단계의 돌외잎은 수분함량 80 중량% 이상의 생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1) 단계의 돌외잎은 수분함량이 0.01 내지 70 중량%인 건조 돌외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외잎은 돌외 생잎을 덖음 또는 증숙한 후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와 (2) 단계의 사이에,
    (1-1) 상기 돌외잎 1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3 중량부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1-2) 상기 반응용기를 0.2 내지 10 ℃/min로 112 내지 150 ℃까지 승온시키면서 돌외잎을 팽윤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2) 단계와 (3) 단계의 사이에,
    (2-1) 상기 반응용기의 압력을 해제하여 돌외잎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2-1) 단계와 (3) 단계의 사이에,
    (2-2) 상기 돌외잎을 수분함량 2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외잎차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g3를 0.5 ~ 7.0 mg/g, 지페노사이드 L을 1.5 ~ 90 mg/g, 지페노사이드 LI을 1.5 ~ 80 mg/g, 다물린 A를 2.0 ~ 60 mg/g 및 다물린 B를 2.0 ~ 60 mg/g으로 포함하고, 벤조피렌을 10 ppb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PCT/KR2021/014739 2021-05-28 2021-10-20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2225021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19,895 US20240108675A1 (en) 2021-05-28 2023-11-27 Gynostemma pentaphyllum tea or gynostemma pentaphyllum tea extract containing gypenoside l and gypenoside li and antiobesity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46 2021-05-28
KR1020210069046A KR102698223B1 (ko) 2021-05-28 2021-05-28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210117721A KR102698224B1 (ko) 2021-09-03 2021-09-03 생잎을 이용한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21-0117721 2021-09-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519,895 Continuation-In-Part US20240108675A1 (en) 2021-05-28 2023-11-27 Gynostemma pentaphyllum tea or gynostemma pentaphyllum tea extract containing gypenoside l and gypenoside li and antiobesity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210A1 true WO2022250210A1 (ko) 2022-12-01

Family

ID=8422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4739 WO2022250210A1 (ko) 2021-05-28 2021-10-20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08675A1 (ko)
WO (1) WO202225021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963A (ko) * 2006-08-23 2008-02-27 코스맥스 주식회사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0020A (ko) * 2009-06-02 2010-12-10 박천정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000657A (ko) * 2014-06-25 2016-01-0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분말 살균 방법
KR20190010506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비티씨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증대되고 벤조피렌은 저감된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963A (ko) * 2006-08-23 2008-02-27 코스맥스 주식회사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0020A (ko) * 2009-06-02 2010-12-10 박천정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000657A (ko) * 2014-06-25 2016-01-0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분말 살균 방법
KR20190010506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비티씨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증대되고 벤조피렌은 저감된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IAO XIANG-LAN; WU QIAN; YANG JING; PARK SEO YOUNG; CHEN DAO-JIN; LIU HUI-MIN: "Dammarane-type saponins from heat-processedGynostemma pentaphyllumshow fortified activity against A549 cells",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NATL. FISHERIES UNIVERSITY , PUSAN, KR, vol. 36, no. 7, 19 March 2013 (2013-03-19), KR , pages 874 - 879, XP035312488, ISSN: 0253-6269, DOI: 10.1007/s12272-013-0086-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8675A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15970A1 (ko)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팩
WO2013176512A1 (en) Panax spp. plant extract with increased content ratio of ginsenoside rg3, rg5, and rk1 produced by microwave irradiation, a method of preparing the panax spp. plant extract, and a composition including the panax spp. plant extract
WO2021137677A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19135637A1 (ko) 저분자 유효 사포닌의 함량이 증대되고 벤조피렌은 저감된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WO2015160219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4027832A1 (ko)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75543A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71667A1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장내 염증,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67316A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50210A1 (ko) 돌외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돌외잎차를 이용한 돌외잎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10090498A2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WO202015360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out comprising morinda citrifolia extract or scopoletin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WO2020085826A1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메이스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오염인자로부터 유도되는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호용 조성물
WO2012138146A9 (ko) 돌콩의 열처리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16129902A1 (ko)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13107A1 (ko) 전분함유 작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WO2021256858A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002430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9027239A2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0090423A2 (en)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crude drug extrac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and diabetic hyperlipidemia
WO2012105816A2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13022178A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2092461A1 (ko)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046743A1 (ko)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431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431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