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629B1 - 소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소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629B1
KR102068629B1 KR1020180143669A KR20180143669A KR102068629B1 KR 102068629 B1 KR102068629 B1 KR 102068629B1 KR 1020180143669 A KR1020180143669 A KR 1020180143669A KR 20180143669 A KR20180143669 A KR 20180143669A KR 102068629 B1 KR102068629 B1 KR 102068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test
urine
test cup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정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제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제네시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오제네시스
Priority to KR102018014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검사 대상 소변과 반응하여 색깔이 변하는 소변 검사 스트립을 컵의 바닥면에 구비하는 소변 검사 컵, 그리고, 상기 소변 검사 컵을 거치시키도록 경사부분과 바닥부분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홈으로서, 상기 소변 검사 컵 하부에서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분 중 일부를 뚫린 구조인 통공부로 포함하는 소변 검사 컵 거치홈;과, 상기 통공부를 통해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을 촬영하는 단말을 거치하는 부분인 단말 거치부를 포함하는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단말을 통해 소변 검사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변 검사장치{URINALYSIS APPARATUS}
본 발명은 소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광학 신호를 이용하는 소변 검사지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변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변을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건강검진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소변 검사지를 통한 소변검사가 있다. 이러한 소변 검사지는 요단백, 요당, pH, 잠혈 등 11가지 항목을 검사하는데, 소변 검사지에 묻은 소변에 의해 소변 검사지의 각 항목의 색깔 변화에 따라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소변 검사지의 항목별 각 색깔 변화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환자가 직접 색깔 변화를 판단하기에 한계가 있어, 일반인들이 소변 검사지의 색깔 변화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보조수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4583호(소변 검사 방법 및 관련 장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변 검사지를 이용하여 소변을 검사함에 있어서, 소변 검사지의 변화를 광학신호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 소변의 속성에 대해 판단하되, 판단결과를 스마트폰에서 출력하여 일반인들도 용이하게 소변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는, 검사 대상 소변과 반응하여 색깔이 변하는 소변 검사 스트립을 컵의 바닥면에 구비하는 소변 검사 컵, 그리고, 상기 소변 검사 컵을 거치시키는 거치 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소변 검사 컵의 하부에서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은 상기 소변 검사 컵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대는, 상기 소변 검사 컵을 거치시키도록 경사 부분과 바닥 부분을 포함하는 소변 검사 컵 거치 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소변 검사 컵을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예에서,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소변 검사 컵의 하부에서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대는, 상기 소변 검사 컵의 하부에서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뚫린 구조인 통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을 촬영하는 단말을 거치하는 부분인 단말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거치부에 거치되고,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에 구비된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을 촬영하여, 소변 검사 스트립의 소변 검사 반응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컵을 거치시키는 거치 구조와 상기 단말 거치부를 연결하는 하우징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컵을 거치시키도록 경사 부분과 바닥 부분을 포함하는 소변 검사 컵 거치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홈의 길이는 상기 단말 거치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단말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이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홈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을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소변 검사 스트립의 색깔 변화를 분석하여 검사 대상 소변의 검사결과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검사 대상 소변의 검사결과를 저장하거나 외부의 서버로 업로드하거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외부의 계정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의 모서리가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에 접착되는 구조를 통해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이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상기 소변 검사 컵에 담기는 검사 대상 소변 중 일정 부피의 소변만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에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의 모서리 중, 소변검사패드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한 모서리만 개방되고, 나머지 모서리는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면에 접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부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을 향해 빛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홈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을 향해 빛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 그리고,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홈의 내경 중 상기 조명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소변 검사 컵을 거치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소변 검사 컵 거치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홈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 검사 컵의 바닥을 향해 빛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 그리고,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홈의 내경 중 상기 조명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 검사 컵을 거치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소변 검사 컵 거치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을 촬영하는 상기 단말의 초점 조절을 위해,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홈 또는 상기 단말 거치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는 소변 검사 컵에 장착된 소변 검사지의 반응결과를 스마트폰에 장착된 플래쉬 조명과 카메라를 이용하여 판독하고 그 판독결과를 스마트폰에 출력하므로, 스마트폰을 통해 소변 검사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d는 도 2c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에 소변 검사 컵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에 소변 검사 컵과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에 영상처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에 소변 검사 컵과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를 통한 소변 검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를 통한 소변검사패드의 색깔변화를 종래의 소변검사패드를 이용한 실시예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d는 도 2c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에 소변 검사 컵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의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에 소변 검사 컵과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에 영상처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에 소변 검사 컵과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를 통한 소변 검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를 통한 소변검사패드의 색깔변화를 종래의 소변검사패드를 이용한 실시예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소변 검사장치를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서, 소변 검사장치는 소변 검사 컵(100)과 스마트폰(300), 그리고 이들을 거치하는 구조를 갖는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소변 검사 컵(100)은 소변 검사 스트립(111)이 컵의 바닥(110)에 결합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도 1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소변 검사 스트립(111)에 형성되는 소변검사패드(112)는 소변 검사 컵(100)의 상부가 아닌 컵의 바닥(110)을 향하도록 컵의 바닥(110)에 형성된다.
소변검사패드(112)는 소변과 반응시 색깔이 변하는 부분으로서, 소변 검사 스트립(111)은 적어도 하나의 소변검사패드(112)를 포함하고, 소변 검사 스트립(111)에 소변검사패드(112)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각 소변검사패드(112) 간에 간격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소변 검사 스트립(111)은 일자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소변검사패드(112)가 일자 막대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소변 검사 스트립(111)이 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경우 소변검사패드(112)는 사각형의 판 위에 배열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자 막대 모양 또는 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 소변 검사 스트립(111)은 그 테두리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컵의 바닥(110)에 부착된다. 이처럼, 소변 검사 스트립(111)의 소변검사패드(112)가 컵의 바닥(110)을 향하도록 부착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소변검사패드(112)가 소변 검사 컵(100)에 담기는 소변에 무작위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소변 검사 스트립(111)의 테두리 중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일부 틈새로 유입되는 소변과 소변검사패드(112)가 반응하게 되므로, 많은 부피의 소변과 소변검사패드(112)가 반응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검사결과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 예에서, 도 1의 (b)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네 개의 소변검사패드(112)를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소변 검사 스트립(111)은 네 개의 모서리를 구비하는데, 이때, 네 개의 모서리(111a, 111b, 111c, 111d) 중 하나의 길이방향 모서리(111a)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나머지 세 개의 모서리(111b, 111c, 111d)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에 접착된다.
소변 검사 스트립(111)이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에 부착된 소변 검사 스트립(111)에 소변 검사 컵(100)에 담긴 검사 대상 소변과 반응함에 있어서, 소변 검사 스트립(111)과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 사이로 검사 대상 소변이 유입시 소변 검사 스트립(111)의 하나의 모서리(111a)를 통해서만 소량의 소변이 유입되므로, 소변검사패드(112)가 과량의 검사 대상 소변과 반응할 때 소변검사패드(112)의 반응물질이 검사 대상 소변과 추가적으로 반응함으로 인해 검사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소변 검사 컵(100)의 상부는 일반 컵 형상과 같이,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부 직경(100a)이 하부 직경(100b)보다 큰 값으로 형성되나, 상부 직경(100a)과 하부 직경(100b)이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부 직경(100a)이 하부 직경(100b)보다 큰 값으로 형성되어 소변 검사 컵(100)의 내부면이 경사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소변 검사 컵(100)에 담기는 액체, 즉, 검사 대상 소변이 소변 검사 컵(100)에 용이하게 담기도록 하는 것이 좋다.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는 소변 검사 컵(100)과 스마트폰(300)이 각각 거치되는 구조를 갖는 하우징으로, 도 2a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 기둥(230)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스마트폰 거치부(250)를 구비하여,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과 스마트폰 거치부(250) 사이에 스마트폰 거치홈(220)이 형성된다.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에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소변 검사 컵(100)이 거치된다.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바닥부분, 즉, 소변 검사 컵(100)이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에 거치되었을 때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과 닿는 부분은 그 일부가 뚫린 상태를 갖는 통공부(240)를 포함한다. 통공부(240)는 원 형상 또는 사각 형상으로 뚫려있을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통공부(240)는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카메라가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바닥부분, 즉,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에 거치되는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바닥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통공부(240)은 내경 부분에 조명부(260)를 적어도 하나 형성할 수 있다. 조명부(260)는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바닥부분으로 조명을 출력하여,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카메라가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에 거치된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을 촬영할 때, 조명을 이용하여 선명한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조명부(260)는 한 쌍의 조명부로 형성될 수 있고,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의 일측에 조명부(260)의 빛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조명부(260)가 제어될 수 있다.
다른 한 예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는 도 2b 내지 도 2e에 도시한 것처럼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경사진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27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270)의 상부에 적어도 두 개의 소변 검사 컵 거치돌출부(280)가 형성된다.
적어도 두 개의 소변 검사 컵 거치돌출부(280)는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에 거치되는 소변 검사 컵(100)을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270)의 상부에 거치시키기 위해, 소변 검사 컵(100)을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중간 높이에 거치시키는 돌출구조로 형성된다.
다른 한 예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는 소변 검사 컵(100)을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에 거치하되, 소변 검사 컵(100)을 조명부(280)에 닿지 않는 높이, 즉,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중간 높이에 거치시키기 위해, 도 2c에 도시한 것처럼, 소변 검사 컵 거치판(290)을 구비할 수 있다. 소변 검사 컵 거치판(290)은 그 상부에 소변 검사 컵(100)이 거치되는 소정 두께의 판으로서, 통공부(240)의 하부에서 소변 검사 컵(100)의 하부를 촬영하여 얻는 이미지의 왜곡이 없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270)는 도 2d에 도시한 것처럼 소변 검사 컵 거치판(290)에 걸쳐진 상태로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 부분에 빛을 출력할 수 있다.그리고,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의 상부, 즉,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이 형성된 부분은 스마트폰 거치부(25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스마트폰(300)이 스마트폰 거치부(250)에 거치되었을 때, 스마트폰(300)의 디스플레이(320)가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의 상부에 의해 모두 가려지는 것이 아닌,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디스플레이(320)의 일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는 도 2e에 도시한 것처럼 통공부(240)의 내부에 렌즈(201)를 더 포함하여, 스마트폰 거치부(250)에 거치되어 통공부(240)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가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에 거치된 소변 검사 컵(100)의 하부를 좀더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 거치 홈(220)은 스마트폰 컵 거치부(250)에 거치되는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가 통공부(240)를 통해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바닥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의 위치가 통공부(240)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스마트폰 거치 홈(220)은 통공부(240)의 형성위치보다 하우징 기둥(230) 쪽으로 파여진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통공부(2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 홈(220)이 통공부(240)의 형성위치보다 파인 구조를 가짐에 따라,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가 통공부(240)를 관통하여 보여지는 부분인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에 거치된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에 부착된 소변 검사 스트립(111)에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고로 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의 스마트폰 거치부(250)는 영상처리부(400)를 내부에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영상처리부(400)는 통공부(2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촬영부(41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통공부(240)를 관통하여 보여지는 부분을 촬영하고 이의 촬영결과 및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영상처리부(400)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300) 또는 영상처리부(400)는 조명부(260, 270)에서 빛을 출력하는 동안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바닥부분을 촬영하여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에 형성된 소변 검사 스트립(111) 부분의 촬영 이미지를 생성한다.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300) 또는 영상처리부(400)는 전면플래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어, 전면플래시에서 출력되는 빛을 관통부(240)를 통해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바닥부분으로 조사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스마트폰(300) 또는 영상처리부(400)는 빛이 조사된 소변 검사 스트립(111)의 촬영사진을 분석하여 소변검사패드(112)의 색깔변화를 판단하는데, 소변검사패드(112)의 색깔변화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이를 자세히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의 수준에서 해석 가능하다 할 것이다.
스마트폰(300) 또는 영상처리부(400)는 소변 검사 스트립(111)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거나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색깔변화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의 프로그램은 소변 검사 스트립(111)의 촬영 사진 및 이의 분석결과를 저장하거나 외부의 서버에 업로드,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의 디스플레이(320)는 프로그램에서 소변 검사 스트립(111)의 색깔변화를 판단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의 구조에 의해,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320)를 통해 소변 검사 스트립(111)의 색깔변화 판단결과, 즉, 검사 대상 소변의 검사결과를 출력되어 이를 상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폰(300)의 디스플레이(320)의 출력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의 상부 부분과 스마트폰 거치부(2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 또는 영상처리부(400)의 촬영부(410)가 통공부(240)를 통해 보이는 부분을 촬영할 때, 촬영초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거치부(250)의 높이 또는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높이 조절을 위해, 스마트폰 거치부(250)의 높이 또는 소변 검사 컵 거치홈(210)가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에 블록 구조로 결합될 수 있고, 다이얼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그 높이를 높이거나 낮게 조절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되는 정도이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장치(1)가 소변 검사 스트립(111)을 포함하는 소변 검사 컵(100)과,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 그리고 스마트폰(300)을 포함함에 따라, 검사 대상 소변의 검사결과를 소변 검사 컵(100)과 스마트폰(300)을 통해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소변 검사 스트립(111)이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을 향해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소변 검사 스트립(111)과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110) 사이의 공간에 검사 대상 소변이 유입되어 소변검사패드(112)에서 반응을 수행함에 있어서, 소변 검사 스트립(111)의 모서리 중 일부 모서리를 통해서만 검사 대상 소변이 반응하게 되므로, 도 7에 도시한 그래프와 같이, 소변검사패드(112)는 소량의 소변과 반응할 때의 색깔변화(삼각형 포인트)가 과량의 소변과 반응할 때의 색깔변화(마름모 포인트)보다 선명하게 유지되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300) 또는 영상처리부(400)에서 소변검사패드(112)를 촬영한 분석결과가 정확하게 도출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소변 검사장치는 소변 검사스트립을 그 바닥면에 구비하고 있는 소변 검사 컵(100)을 거치하는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a)와, 이를 촬영하는 스마트폰(300)을 포함하는데, 이때,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a)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a)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마트폰(300)이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a)의 상부에 거치된 소변 검사 컵(100)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a)는 뚫린 통공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어,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a)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마트폰(300)이 소변 검사 컵 거치대(200a)의 상부에 거치된 소변 검사 컵(100)의 바닥면을 촬영함에 있어서, 뚫린 통공부를 통해 선명한 사진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소변 검사장치 100 : 소변 검사 컵
110 : 바닥 111 : 소변 검사 스트립
112 : 소변검사패드 200 : 소변 검사 컵 거치대
201: 렌즈 210 : 소변 검사 컵 거치홈
220 : 스마트폰 거치홈 230 : 하우징 기둥
240 : 통공부 250 : 스마트폰 거치부
260, 270 : 조명부 280 : 소변 검사 컵 거치돌출부
290 : 소변 검사 컵 거치판 300 : 스마트폰
310 : 카메라 320 : 디스플레이
400 : 영상처리부

Claims (16)

  1. 검사 대상 소변과 반응하여 색깔이 변하는 소변검사패드;
    상기 소변검사패드가 일면에 부착된 소변 검사 스트립;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이 마련되고, 검사 대상 소변이 담지되는 소변 검사 컵; 및
    상기 소변 검사 컵의 외부에서 상기 소변검사패드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소변 검사 컵을 거치하는 소변 검사 컵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은,
    상기 소변검사패드가 부착된 일면의 일부에만 접착체가 도포되어 적어도 일부 틈새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소변 검사 컵에 부착 마련되며, 상기 소변검사패드와 상기 소변검사패드가 부착된 상기 소변 검사 컵의 일면 간 유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일정한 부피의 소변만 상기 소변 검사패드에 반응하며,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대는,
    외부에서 상기 소변검사패드가 촬영될 수 있도록, 거치된 상기 소변 검사 컵에서 상기 소변검사패드가 위치된 영역에 개구된 통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패드를 촬영하는 단말을 거치하는 단말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거치부에 거치되고, 상기 소변 검사 컵에 부착 마련된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의 상기 소변검사패드를 촬영하여 소변 검사 반응을 분석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소변 검사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검사 스트립을 향해 빛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통공부의 내경 또는 상기 소변 검사 컵 거치대에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검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0143669A 2018-11-20 2018-11-20 소변 검사장치 KR102068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69A KR102068629B1 (ko) 2018-11-20 2018-11-20 소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69A KR102068629B1 (ko) 2018-11-20 2018-11-20 소변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629B1 true KR102068629B1 (ko) 2020-01-21

Family

ID=6936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669A KR102068629B1 (ko) 2018-11-20 2018-11-20 소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403B1 (ko) * 2022-12-13 2023-11-14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굴곡형 검사 스트립을 이용한 소변 검사 장치 및 방법
WO2024034747A1 (ko) * 2022-08-08 2024-02-15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소변 검사용 키트를 이용하여 소변을 분석하는 장치
KR102640246B1 (ko) * 2022-10-17 2024-02-27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614A (ja) * 1997-07-10 1999-02-02 Astec Corp:Kk 尿カップ及び尿試験紙
KR200258335Y1 (ko) * 2001-09-19 2001-12-31 윤은수 소변 검사용 일회용 컵
JP2009229212A (ja) * 2008-03-21 2009-10-08 Olympus Corp 尿検査器具、呈色反応検査器具、及び尿検査容器
KR20140132260A (ko) * 2013-05-07 2014-11-17 김태현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24583B1 (ko) 2013-05-02 2016-05-26 최광성 소변 검사 방법 및 관련 장치
KR101904037B1 (ko) * 2017-09-29 2018-10-04 박성수 소변 검사용 키트 및 검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614A (ja) * 1997-07-10 1999-02-02 Astec Corp:Kk 尿カップ及び尿試験紙
KR200258335Y1 (ko) * 2001-09-19 2001-12-31 윤은수 소변 검사용 일회용 컵
JP2009229212A (ja) * 2008-03-21 2009-10-08 Olympus Corp 尿検査器具、呈色反応検査器具、及び尿検査容器
KR101624583B1 (ko) 2013-05-02 2016-05-26 최광성 소변 검사 방법 및 관련 장치
KR20140132260A (ko) * 2013-05-07 2014-11-17 김태현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904037B1 (ko) * 2017-09-29 2018-10-04 박성수 소변 검사용 키트 및 검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747A1 (ko) * 2022-08-08 2024-02-15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소변 검사용 키트를 이용하여 소변을 분석하는 장치
KR102640246B1 (ko) * 2022-10-17 2024-02-27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WO2024085599A1 (ko) * 2022-10-17 2024-04-25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601403B1 (ko) * 2022-12-13 2023-11-14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굴곡형 검사 스트립을 이용한 소변 검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629B1 (ko) 소변 검사장치
JP6614672B2 (ja) 家庭用検査装置
US10281386B2 (en) Automated testing apparatus
TWI647452B (zh) 具有放大功能的測試設備
US8144376B2 (en) Lensless imaging with controllable apertures
CN107241467A (zh) 电子装置
TW201126624A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a wafer (2)
US10841507B2 (en) Imaging a well of a microplate
CN113920113B (zh) 一种对高光谱图像进行点对点白参比校正的方法与系统
CN105981363A (zh) 成像模块以及成像装置
TWI307436B (en) Apparatus for inspecting backlight unit
JP6700402B2 (ja) 指紋認証用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指紋認証装置
CN207600954U (zh) 一种便携式比色检测装置
CN112437211B (zh) 使用反射元件将透镜模块与图像传感器对准的设备
WO2018028165A1 (zh) 一种终端及其制造工艺
JP2021532640A (ja) ただ二つのカメラを備える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て二つの画像を生成する方法
JP3770294B2 (ja) フィルム評価方法およびフィルム評価装置
CN116366831A (zh) 一种测试摄像模组四角解析力均匀度的方法
JPH0522882B2 (ko)
CN105917264B (zh) 供检载片、透明片、供检载片的制作方法、载玻片、图像拍摄装置、图像拍摄方法、供检载片制作装置以及供检载片部件组
TWI808435B (zh) 複數視角分析的自動測試裝置
KR20230086754A (ko) 카메라를 가진 모바일 장치의 자동 노출 설정 제어 방법
KR20210047071A (ko) 카메라 모듈 검사 차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ES2942571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de tira reactiva para mediciones ópticas de un analito
CN214122006U (zh) 一种试纸条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