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260A -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260A
KR20140132260A KR1020130079150A KR20130079150A KR20140132260A KR 20140132260 A KR20140132260 A KR 20140132260A KR 1020130079150 A KR1020130079150 A KR 1020130079150A KR 20130079150 A KR20130079150 A KR 20130079150A KR 20140132260 A KR20140132260 A KR 20140132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case
color
photographing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김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현 filed Critical 김태현
Publication of KR20140132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97Test strip or test sl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간편하게 사용자의 소변을 분석하여 질병 유무를 판별하는 소변 분석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는 사방이 밀폐된 상자 형태이며, 소변스트립을 삽입할 수 있는 소변스트립홀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장치가 내부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소변스트립을 촬영한 영상에서 색상 값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부에 색상표로 구성된 기준색상부가 형성됨으로써, 간편하게 사용자의 소변을 분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URINE ANALYSIS APPARATUS, URINE ANALYSIS METHOD, AND RECORD MEDIUM CONFIGURED TO RECORD PROGRAM FOR EMBODY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소변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병 예방에 대한 분야는 과거로부터 지금과 미래에까지 인류의 지속적으로 관심이 가는 분야이다. 인간의 질병은 90% 이상이 내부의 이상으로부터 시작되고, 상기 질병에 걸린 인체는 스스로 질병의 사전징후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사전 예방의 징후를 잘 포착하여 적절히 조치를 하면 많은 질병을 막을 수 있다.
그 중 가장 적절한 징후 포착의 수단이 되는 것이 분비물이다. 땀, 대변, 소변, 타액 등은 인간의 신진대사를 통해서 만들어진 결과물로, 그 중 소변은 방광염,신장결석, 신장염, 고혈압, 전립선염, 간질환, 간암, 당뇨병 등의 질병을 알 수 있다.
현재 시중에는 소변으로 질병을 판별할 수 있는 다수의 소변분석기들이 생산/유통되고 있다. 그 타입은 대형/중형/소형 등이 있는데 이는 자동화와 사용되는 장소에 의한 분류일 뿐 판독하는 시스템은 거의 흡사하다.
일반적으로 소변분석기가 소변을 이용하여 질병을 판독하는 방법은, 먼저 소변스트립에 소변을 일정량 묻히면, 상기 소변스트립은 화학적 변화에 의해 색이 변하게 되고, 소변 분석기는 상기 소변스트립의 색을 감지하여 질병의 유무를 판독한 후 그 결과를 외부에 제공한다.
이러한 기존의 소변 분석기는 촬영장치 및 판독장치로 인하여 가격이 비싸 개인이 구매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소변 분석기는 크기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하여 소변스트립을 검사할 수 있는 소변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고장이 없으며, 소변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질병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소변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는 사방이 밀폐된 상자 형태이며, 소변스트립을 삽입할 수 있는 소변스트립홀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장치가 내부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소변스트립을 촬영한 영상에서 색상 값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부에 색상표로 구성된 기준색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변스트립을 장착하고, 상기 소변스트립홀을 통하여 케이스에 삽입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소변스트립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이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프레임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가이드는 상기 프레임과 맞물리는 요철 형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가이드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색상부는 적색, 청색, 녹색 및 소변스트립의 기본색 중 하나 이상의 색으로 구성된 색상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외측에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탈착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가 탈부착되는 탈부착모듈 및 상기 탈부착모듈을 외부에 고정하는 고정모듈로 구성된 흡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장치로 소변스트립과 기준색상부를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기준색상부를 인식하고, 상기 기준색상부의 색상 값을 기준으로 촬영장치가 촬영한 영상의 색상 값을 보정하는 색상보정단계, 상기 색상보정단계에서 색상 값이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소변스트립을 인식하고, 상기 소변스트립의 색상을 분석하여 질병 여부를 판별하는 분석단계 및 상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질병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가 소변스트립을 촬영하는데 필요한 빛을 생성하는 광원생성단계를 상기 촬영단계 이전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의 광원과 촬영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프레임 및 케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고 휴대가 간편한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써, 이하에서 가격이 저렴하고 휴대가 간편한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이 어떻게 제공되는지 여러 가지 실시예를 이용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는 케이스(200)로 구성되며, 소변스트립(110)을 장착하는 프레임(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변스트립(110)은 일반적으로 얇은 종이와 같은 형태의 일회용 사용제품이며, 사용자의 소변이 묻으면 사용자의 질병 이력에 따라 다양한 화학반응이 발생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화학반응에 따라 소변스트립의 색상이 변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소변스트립의 색상에 따른 질병 정보를 알 수 있다면, 상기 소변스트립에 소변을 묻힌 사용자의 질병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얇은 종이와 같은 소변스트립(110)을 바로 케이스(200) 내부에 삽입할 경우, 상기 소변스트립(110)을 다시 꺼내기 쉽지 않아 불편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는 상기 소변스트립을 장착할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은 사용자가 잘 놓치지 않도록 프레임에 일단을 돌출시킨 손잡이(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200)는 사방이 밀폐되어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상자 형태의 장치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에는 소변스트립홀(210), 센서홀(220) 및 기준색상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변스트립홀(210)은 상기 프레임(100)을 케이스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00)에 형성된 홀이다.
이때, 상기 소변스트립홀(210)의 크기는 상기 프레임(100)의 손잡이(120)보다는 작게 형성함으로써, 프레임(100)이 케이스(20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손쉽게 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홀(220)은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촬영장치(11)가 내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케이스(200)에 형성된 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 2를 바탕으로 상기 센서홀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센서홀(220)은 케이스(200) 외부에 안착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촬영장치(11)가 케이스(200) 내부에 삽입된 소변스트립(110)을 촬영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홀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는 케이스(2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소변스트립(110)을 촬영하므로 상기 센서홀(220)도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색상부(230)는 색상표로 구성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촬영장치(11)의 색상 값 보정을 돕는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준색상부는 케이스(200) 내부에 적색, 청색, 녹색 및 소변스트립의 기본색 중 하나 이상의 색으로 구성된 색상표로 형성되며 각각의 색상표는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만큼 떨어져 형성된다. 이때, 소변스트립의 기본색은 소변을 묻히기 전 소변스트립의 색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준색상부(230)의 명도 및 채도의 값은 미리 정해진 고정된 값으로 함으로써, 촬영장치가(11)가 상기 기준색상부를 촬영하였을 때 영상에 있는 기준색상부의 색상이 미리 정해진 명도 및 채도 값과 차이가 있을 경우, 상기 차이만큼 영상의 명도 및 채도 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명도 및 채도 값 설정이 제각각인 다양한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소변스트립(110)을 촬영하더라도, 기준색상부(230)를 이용해 촬영된 영상의 명도 및 채도 값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소변스트립(110)의 색상을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프레임가이드(2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촬영장치(11)가 케이스(200) 내부에 삽입된 소변스트립(110)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100)이 촬영장치(11) 아래의 일정 영역 안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기준색상부(230)를 가리도록 하여 프레임이 삽입될 경우, 촬영된 영상의 명도 및 채도 값 보정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 내부에 프레임가이드(24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가이드(24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과 맞물리는 요철 형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프레임가이드(240)를 통해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케이스(200) 내부로 슬라이드 되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의 사방이 밀폐된 케이스(200)는 외부의 빛으로부터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장치(11)가 소변스트립(110)을 정확한 색상으로 촬영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그런데 일부 스마트 디바이스는 광원(12)이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보조 광원을 더 포함하여 상기 광원의 역할을 대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의 구성도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는 고정부(310) 및 흡착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10)는 상기 소변스트립(110)을 촬영하기 위하여 케이스(200) 상부에 안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가 촬영 도중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고정부(310)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케이스 외측에 밴드 형태로 구성되어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쉽게 고정하거나 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클립 형태의 고정부를 형성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탈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310)의 구조는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케이스(200)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상기 흡착부(320)는 탈부착모듈(321) 및 고정모듈(322)로 구성된다.
상기, 탈부착모듈(321)은 흡착부(320)에 상기 케이스(200)를 탈부착하기 위한 장치이고, 고정모듈(322)은 흡착부(320)를 외부에 고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탈부착모듈(321)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쪽이 열린 후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케이스(200)는 상기 탈부착모듈과 마주보는 면은 상기 후크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아래쪽이 열린 후크 모양이나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모듈(322)은 상기 흡착부(320)를 외부에 고정하는 장치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못, 볼트 및 접착제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흡착부(320)를 외부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외부에 고정되고 탈부착모듈(321)이 형성된 흡착부(320)의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를 화장실의 벽과 같은 곳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 분석 장치에 청소가 필요할 경우 오염이 주로 발생하는 케이스(200)만 상기 흡착부(320)에서 분리하여 청소 및 교체를 함으로써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단계(S110), 색상보정단계(S120), 분석단계(S130) 및 정보제공단계(S140)로 구성된다.
촬영단계(S110)는 상기 촬영장치로 케이스 내부의 소변스트립과 기준색상부를 함께 촬영하는 단계이다.
색상보정단계(S120)는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기준색상부를 인식하고, 상기 기준색상부의 색상 값을 기준으로 상기 촬영한 영상의 색상 값을 보정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서도 다른 촬영장치가 영상을 촬영하더라도 균일한 색상 값을 가진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분석단계(S130)는 상기 색상보정단계에서 색상 값이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소변스트립을 인식하고, 상기 소변스트립의 색상을 분석하여 질병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정보제공단계(S140)는 상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질병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질병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그래프, 차트 등으로 2차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병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장치가 케이스 내부의 소변스트립과 기준색상부를 촬영하는데 있어서, 촬영장치에 별도의 광원이 없을 경우 촬영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촬영단계(S110) 이전에 광원생성단계(S205)를 더 포함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장치가 영상을 촬영하는데 필요한 빛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방법은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장치, 프로세서 및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소변스트립을 검사하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을 이용하여 검사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에 따라, 가격이 저렴해지고 전자장치가 없으므로 세척이 용이하며, 소변스트립의 색상을 분석하여 잠혈,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케톤체, 단백질, 아질산염, 포도당, PH, 비중, 백혈구 등과 같은 20가지 이상의 질병을 판별할 수 있는 소변 분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실행시킴으로써 본원발명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200 : 케이스
210 : 소변스트립홀 220 : 센서홀
230 : 기준색상부 240 : 프레임가이드
310 : 고정부 320 : 흡착부
S110 : 촬영단계 S120 : 색상보정단계
S130 : 분석단계 S140 : 정보제공단계
S205 : 광원생성단계

Claims (10)

  1. 사방이 밀폐된 상자 형태이며, 소변스트립을 삽입할 수 있는 소변스트립홀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장치가 내부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소변스트립을 촬영한 영상에서 색상 값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부에 색상표로 구성된 기준색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스트립을 장착하고, 상기 소변스트립홀을 통하여 케이스에 삽입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소변스트립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이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프레임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가이드는 상기 프레임과 맞물리는 요철 형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가이드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색상부는 적색, 청색, 녹색 및 소변스트립의 기본색 중 하나 이상의 색으로 구성된 색상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측에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탈착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탈부착되는 탈부착모듈 및 상기 탈부착모듈을 외부에 고정하는 고정모듈로 구성된 흡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8. 스마트 디바이스의 촬영장치로 소변스트립과 기준색상부를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기준색상부를 인식하고, 상기 기준색상부의 색상 값을 기준으로 촬영장치가 촬영한 영상의 색상 값을 보정하는 색상보정단계;
    상기 색상보정단계에서 색상 값이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소변스트립을 인식하고, 상기 소변스트립의 색상을 분석하여 질병 여부를 판별하는 분석단계; 및
    상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질병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가 소변스트립을 촬영하는데 필요한 빛을 생성하는 광원생성단계를 상기 촬영단계 이전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79150A 2013-05-07 2013-07-05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1322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376 2013-05-07
KR20130051376 2013-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260A true KR20140132260A (ko) 2014-11-17

Family

ID=5245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150A KR20140132260A (ko) 2013-05-07 2013-07-05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26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434A (ko) * 2015-02-06 2016-08-1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WO2017104993A1 (ko) * 2015-12-15 2017-06-22 (주)종로의료기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WO2017104992A1 (ko) * 2015-12-15 2017-06-22 (주)종로의료기 조명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WO2017104991A1 (ko) * 2015-12-15 2017-06-22 (주)종로의료기 자연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KR20170076613A (ko) * 2015-12-24 2017-07-04 (주)바이오닉스 소변 내 활성 산소 자가 계측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활성 산소 계측기
KR20180031985A (ko) * 2016-09-21 2018-03-29 (주)파이버피아 요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58691A (ko) 2018-05-21 2018-06-01 (주)파이버피아 혈중 암모니아 측정 시스템
KR102068629B1 (ko) * 2018-11-20 2020-01-21 (주)바이오제네시스 소변 검사장치
KR102139210B1 (ko) * 2019-01-31 2020-07-29 유리벳코리아 주식회사 멀티비색보드와 스트립을 이용한 모바일 소변진단방법
KR20200132027A (ko) * 2019-05-15 2020-11-25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면역분석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434A (ko) * 2015-02-06 2016-08-1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WO2017104993A1 (ko) * 2015-12-15 2017-06-22 (주)종로의료기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WO2017104992A1 (ko) * 2015-12-15 2017-06-22 (주)종로의료기 조명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WO2017104991A1 (ko) * 2015-12-15 2017-06-22 (주)종로의료기 자연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CN108366786A (zh) * 2015-12-15 2018-08-03 株式会社钟路医疗器 利用终端出射光及透射光的体液分析用检查设备
US10606053B2 (en) 2015-12-15 2020-03-31 Jongromedical Co., Ltd. Testing device, for body fluid analysis, using natural light
KR20170076613A (ko) * 2015-12-24 2017-07-04 (주)바이오닉스 소변 내 활성 산소 자가 계측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활성 산소 계측기
KR20180031985A (ko) * 2016-09-21 2018-03-29 (주)파이버피아 요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58691A (ko) 2018-05-21 2018-06-01 (주)파이버피아 혈중 암모니아 측정 시스템
KR102068629B1 (ko) * 2018-11-20 2020-01-21 (주)바이오제네시스 소변 검사장치
KR102139210B1 (ko) * 2019-01-31 2020-07-29 유리벳코리아 주식회사 멀티비색보드와 스트립을 이용한 모바일 소변진단방법
KR20200132027A (ko) * 2019-05-15 2020-11-25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면역분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2260A (ko)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1131633B2 (en) Quantifying color changes of chemical test pads induced by specific concentrations of biological analytes under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US96073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ntifying color changes induced by specific concentrations of biological analytes
US11307147B2 (en) Accurate colorimetric based test strip reader system
JP6326574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使用した可搬式の医療用診断システム及び方法
EP2916117A1 (en) Quantifying color changes of chemical test pads induced by specific concentrations of biological analytes under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US20150359458A1 (en) Smartphone-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repeatable, quantitative colorimetric measurement
US20120106811A1 (en) All-In-One Specimen Cup With Optically Readable Results
RU2012112814A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личественного изменения анали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амеры
KR101572226B1 (ko) 어플리케이션 기반 소변검사용 스트립 및 소변 검사 방법
WO2014180308A1 (zh) 生物芯片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606608A (zh) 基于图像灰度处理的数据计算方法及其在检测领域的应用
JP5482721B2 (ja) 分析装置
Dell et al. Mobile tools for point-of-care diagnostics in the developing world
KR101352876B1 (ko) 진단 장치
KR20080009396A (ko) 요 분석 기기
JP2009229212A (ja) 尿検査器具、呈色反応検査器具、及び尿検査容器
US20170276690A1 (en) Visually-Based Diagnostic Device for Automatic Determination of a Physiologic Level Associated with a Sample
TWM544629U (zh) 可攜式快篩之體外檢測系統
TWM486769U (zh) 可協助疾病判斷的定量測試裝置
TW201823717A (zh) 可攜式快篩之體外檢測系統
RU1410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диагностики заболевания человека по составу воздуха ротовой полости
WO2018120068A1 (zh) 可携式快筛体外检测系统
JP2009229213A (ja) 尿検査装置、及び呈色反応検査装置
JP2008261850A (ja) 検査プレートの画像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