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246B1 -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246B1
KR102640246B1 KR1020220133176A KR20220133176A KR102640246B1 KR 102640246 B1 KR102640246 B1 KR 102640246B1 KR 1020220133176 A KR1020220133176 A KR 1020220133176A KR 20220133176 A KR20220133176 A KR 20220133176A KR 102640246 B1 KR102640246 B1 KR 102640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unit
sensor
test strip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장수부
이주현
윤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13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246B1/ko
Priority to PCT/KR2023/016045 priority patent/WO202408559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83Investigating reagent 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2Circuits of general importance; Signal processing
    • G01N2201/127Calibration; base line adjustment; drift comp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는, 소변 검사용 키트가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소변 검사용 키트에 구비된 검사 스트립의 검사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검사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복수의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부 중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는 보정부; 및 상기 유효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변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URINE}
본 발명은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변 검사는 대부분의 병원에서 전체 검사량의 약 30% 정도를 점유할 만큼 필수적인 검사로서, 소변의 성분을 검사하여 전신의 상태, 병변을 알아내는 진단법이다.
이러한 소변 검사를 위해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검사지가 부착된 검사 스틱을 피검사자의 소변에 접촉시켜 검사지의 색상 변화를 통해 소변을 검사하는 것이다. 즉, 검사자가 직접 소변을 검사 스틱에 도포하거나, 종이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수집한 후 검사 스틱을 소변에 접촉시켜 검사한다.
소변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평평한 형태의 검사 스트립을 구비하는 소변 검사용 키트에 대한 소변 검사를 하는 경우, 평평한 형태의 검사 스트립 전체 영역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색상을 판별함으로써 검사를 수행한다. 그러나, 굴곡형 검사 스트립을 구비하는 소변 검사용 키트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검사 방법을 적용하면 굴곡형 검사 스트립의 전체 영역에 대한 색상을 판별하기 어렵다.
또한, 소변 검사용 키트마다 굴곡의 정도, 예를 들면, 곡률 반경 또는 반지름 등이 상이하게 제작되는 경우, 각각의 형태마다 정확한 판별이 가능한 소변 검사 장치를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검사지의 위치와 개수가 각기 상이하고 다양한 크기를 갖는 소변 검사용 키트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소변을 분석할 수 있는 광 센서로 구성된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는, 소변 검사용 키트가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소변 검사용 키트에 구비된 검사 스트립의 검사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검사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복수의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부 중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는 보정부; 및 상기 유효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변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부는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부의 서로 이격된 간격은 상기 센서부의 상기 일 방향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소변 검사용 키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은, 소변 검사용 키트가 준비되는 단계; 복수의 센서부에서 상기 소변 검사용 키트에 구비된 검사 스트립의 검사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검사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부 중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변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변 검사용 키트에 맞추어 복수의 센서부 중에서 소변 분석용 키트의 검사지에 대응하는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여 소변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지의 위치와 개수, 용기의 크기 등이 다양한 소변 분석용 키트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에 소변 검사용 키트가 안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의 기판부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판부가 소변 분석 키트를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가 광을 조사하여 복수의 검사지 각각의 색상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용 키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이 개재되어 있거나,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변 검사용 키트(100)는 용기(1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굴곡형 검사 스트립(13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검사용 키트(100)는 소변이 채집되는 용기(110) 및 용기(1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고, 용기(110)에 채집된 소변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지(135)를 포함하는 굴곡형 검사 스트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110)는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는 굴곡형 검사 스트립(130)을 구비하는 소변 검사용 키트(100)를 이용하여 소변을 분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장치(200)는 소변 검사용 키트(100)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소변 검사용 키트(100)가 안착되면 굴곡형 검사 스트립(130)의 검사지(135)에 광을 발광하고 검사지(135)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함으로써, 시각적인 정보에 의해 소변을 분석할 수 있다. 소변 분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분석된 소변 검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는 굴곡형으로 이루어진 검사 스트립(130)을 구비하는 소변 검사용 키트(100)를 이용하더라도 소변 검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는 개별 검사 시간을 조정할 수 있으며, 각 검사 항목에 맞춘 개별적인 스캐닝을 통해 정확한 검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도당, 빌리루빈은 30초, 케톤은 40초, 비중은 45초, pH, 단백질, 우로빌리노겐, 혈액, 아질산염은 60초, 백혈구는 2분일 수 있다. 이 때, pH와 단백질은 즉시 또는 2분 이상에서도 판독할 수 있으며, 백혈구는 1~2분 정도의 지연된 반응 결과에서 결과가 확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는, 안착부(210), 센서부(220, 230), 분석부(240), 측정부(250) 및 보정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소변 분석 장치(2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안착부(210)에는 소변 검사용 키트(100)가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안착부(210)는 그 내부에 소변 검사용 키트(100)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에 소변 검사용 키트(100)가 안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분석 장치(200)의 안착부(210)에 소변 검사용 키트(100)가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210)는 소변 검사용 키트(100)의 검사지(135) 부분을 감쌀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부는 안착부(210)의 내측면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센서부는 발광부(220) 및 수광부(230) 한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220)는 소변 검사용 키트(100)에 구비된 검사 스트립(130)의 검사지(135)에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백색광의 LED 발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220)가 굴곡형 검사 스트립(130)에 포함된 검사지(135)에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검사지(135)에 충분한 빛의 조도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수광부(230)는 검사지(135)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광부(230)는 flexible RGB 컬러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광부(230)는 16Bit의 분해능을 갖는 수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장치(200)는 센서부(220, 230)를 지지하는 기판부(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기판부(201)는 안착부(210)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기판부(201)에 복수의 센서부(220, 230)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부(201)는 용기(110)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배치되는 검사 스트립(130)에 밀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기판(flexible PC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부(201)는 다양한 형태의 샘플을 읽어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재질의 유연함을 유지하기 위해 유연성이 좋고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정부(260)는, 복수의 센서부(220, 23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부(220, 230) 중 유효 센서부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센서부(예를 들면, 수광부(230))에서 수신되는 광 신호에 관한 데이터는 보정부(260)로 전달될 수 있다. 보정부(260)는 촘촘하게 배치된 복수의 센서부(220, 230) 중에서, 현재 소변 검사용 키트(100)의 검사지(135)를 가장 잘 판별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센서부(220, 230)인 유효 센서부를 선별할 수 있다.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석부(240)는 유효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변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20, 230)로부터 수신되는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소변을 분석할 수 있고,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검사 시간이 검사 항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의 기판부(201)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에서, 복수의 센서부(220, 230)의 개수는 소변 검사용 키트(100)의 검사 스트립(130)의 검사지(135)보다 많은 개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부(220, 230)는 기판부(201)의 일 방향, 예를 들면, 안착부(210)나 용기(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장치(200)에 사용되는 검사 스트립(130)의 검사지(135)는 11개, 7개, 또는 4개일 수 있으며, 센서부(220, 230)의 개수는 22개일 수 있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센서부(220, 230)는, 서로 이격된 간격(G)이 개별 센서부(220, 230)의 일 방향의 폭(W)보다 작도록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간 내에 센서부(220, 230)가 배치되는 밀도는 검사지(135)의 밀도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지(135)보다 많은 개수의 센서부(220, 230)가 촘촘하게 구비됨으로써, 검사지(135) 위치 또는 개수가 다양한 소변 검사용 키트(100)들을 모두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항목의 종류나 개수가 상이하고 용기(110)의 크기 등이 다양한 여러 종류의 소변 검사용 키트(100)를 분석하기 위해 각기 다른 장치가 구성될 필요 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판부(201)가 소변 검사용 키트(100)를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판부(201)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판부(201)에는, 일 방향으로 신축되는 변형을 허용하도록 센서부(220, 230) 사이사이에 노치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부(201)가 신축 변형됨에 따라 복수의 센서부(220, 230)는 서로 이격된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기판부(201)의 신축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장치(200)는 연결부(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202)의 양 단부는 각각 안착부(210) 및 기판부(201)에 고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 또는 동력 인가에 의해 길이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기판부(201)를 일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부(201)를 당기는 경우 기판부(201)가 허용 범위 내에서 신장되어 복수의 센서부(220, 2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고, 당기는 힘을 해제하거나 기판부(201)를 향하여 더 미는 힘을 가하면 복수의 센서부(220, 23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기판부(201)를 당기거나 밀어줌으로써, 센서부(220, 230)와 검사지(135) 사이의 거리가 분석에 적절하도록 기판부(201)를 용기(1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는 다수의 센서부(220, 230)가 밀도 높게 배치되고 나아가 센서부(220, 23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됨으로써, 용기(110)의 크기 또는 곡률 반경, 검사지(135)의 개수 또는 위치가 각기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소변 검사용 키트(100)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소변 검사용 키트(100)가 안착부(210)에 놓이는 위치에 편차가 있더라도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가 광을 조사하여 복수의 검사지(135) 각각의 색상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센서부는 발광부(220)와 수광부(2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가 각각 따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검사지(135)의 간격에 비해 촘촘하게 배치된 복수의 센서부(220, 230) 중 일부 센서부는 굴곡형 검사 스트립(1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검사지(135)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220)는 대응하는 검사 스트립(130)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230)는 대응하는 검사지(135)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든 발광부(220)가 검사 스트립(130)을 향해 광을 조사하더라도, 검사지(135)에 대응하는 위치의 수광부에 분석에 유효한 광이 수신되므로, 검사지(135)에 대응하는 위치의 수광부를 갖는 센서부가 유효 센서부가 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유효 센서부에서의 발광 및 수광을 도시한 것이나, 유효 센서부가 선별되기 전 단계에서는 모든 발광부(220) 및 수광부(230)가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에서, 센서부(220, 230) 및 그 주위의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에 따라 분석 대상이 되는 시료의 색상 값이 영향을 받아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는 측정부(250)에서 온도나 습도를 측정하고, 그 값을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거나 변화된 정도를 반영하여 보정함으로써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250)는 안착부(210), 센서부(220, 230), 또는 기판부(201)나 그 주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250)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보정부(260)는 센서부(220, 230)에서 조사하는 광의 듀티율을 보정할 수 있다. 발광부(220)의 발광이 지속되어 발광부(22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보정부(260)는 PWM제어에 의해 발광부(220)가 동작하는 듀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가 2도 상승할 때 듀티율을 2%씩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온도에서 발광부(220)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온도 변화에 따른 광 데이터의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250)는 안착부(210), 센서부(220, 230), 또는 기판부(201)나 그 주위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정부(260)는 측정부(250)에서 측정되는 습도를 기설정된 값 또는 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습도가 바람직한 값 또는 범위 내가 아닌 경우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장치(200)는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습도가 바람직한 범위 내로 들어오도록 환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의 보정부(260)는 센서부(220, 230)와 검사지(135)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용기(110)가 안착부(210)에 부정확하게 놓이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보정부(260)는 센서부(220, 2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센서부(220, 230)와 검사지(135)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보정부(260)는 산출되는 거리를 기설정된 값 또는 범위와 비교할 수 있고, 바람직한 값 또는 범위 내가 아닌 경우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장치(200)는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조치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다시 소변 검사용 키트(100)를 안착부(210)에 놓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검사한 소변의 분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앞서 설명한 알람을 시각 또는 청각 정보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출력부는 소변 분석 결과 등을 통신 수단을 통해 단말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사용 키트(100)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소변 분석 방법은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200)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소변 검사용 키트가 준비될 수 있다. 환자의 소변이 채취된 소변 검사용 키트(100)가 소변 분석 장치(200)의 안착부(210)에 위치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복수의 센서부에 의해 소변 검사용 키트에 구비된 검사 스트립의 검사지에 광이 조사되고, 검사지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수신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부(220, 230)는 동시에 광을 조사하고 수신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광을 조사하고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복수의 센서부 중 유효 센서부가 선별된다. 복수의 센서부(220, 23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변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유효 데이터가 수신되는 센서부들을 유효 센서부로 선별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유효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변을 분석한다. 수신되는 데이터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소변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소변을 분석한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부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분석 결과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유효 센서부의 선별을 위하여 소변 검사용 키트(100)는 레퍼런스 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키트는 특정한 검사지의 개수와 위치를 갖는 소변이 채취되지 않은 소변 검사용 키트일 수 있다.
단계 S730의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는 단계에서, 레퍼런스 키트에 구비된 검사 스트립(130)의 검사지(135)에 대해 복수의 센서부(220, 2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는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퍼런스 키트를 사용하였을 때 각 센서부 간 색상 정보를 비교하거나, 기판부와 검사지의 위치에 따른 색상 정보를 서로 비교 판단하여 유효 센서부를 선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는 소변 검사용 키트의 검사지보다 많은 개수의 센서부를 가지므로, 일 방향으로 일정 번째의 센서부(예를 들면, 홀수 번째 센서부, 도 6a 및 6b 참조)가 유효 센서부로 선별될 수 있다. 또는 일정 번째까지의 센서부들(예를 들면, 11번째까지의 센서부들)이 유효 센서부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방법은, 센서부 또는 그 주위의 온도에 기초하여 센서부에서 조사하는 광 출력의 듀티율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715). 이때, 온도는 앞서 설명한 측정부(250)에서 측정되는 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방법은, 센서부 또는 그 주위의 습도를 기설정된 값 또는 범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바람직한 값 또는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715). 습도는 앞서 설명한 측정부(250)에서 측정되고,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알람을 통해 사용자의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소변 분석 방법은,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센서부와 검사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725). 산출된 거리를 기설정된 값 또는 범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재조작을 유도하여, 소변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광 또는 색상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소변 분석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통해 설명된 소변 분석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소변 검사용 키트
110: 용기
130: 검사 스트립
135: 검사지
200: 소변 분석 장치
201: 기판부
202: 연결부
210: 안착부
220: 발광부
230: 수광부
240: 분석부
250: 측정부
260: 보정부

Claims (13)

  1. 소변 검사용 키트를 이용한 소변 분석 장치에 있어서,
    소변 검사용 키트가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소변 검사용 키트에 구비된 검사 스트립의 검사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검사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복수의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부 중 상기 검사지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여 유효한 반사 광을 수신하는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는 보정부; 및
    상기 유효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소변을 분석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소변 분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부는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부의 서로 이격된 간격은 상기 센서부의 상기 일 방향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부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부를 더 포함하는, 소변 분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부는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센서부의 서로 이격된 간격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안착부 및 상기 기판부에 고정되고, 설정에 따라 길이를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소변 분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센서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조사하는 광의 듀티율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와 상기 검사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거리를 기설정된 값 또는 범위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센서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습도를 기설정된 값 또는 범위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장치.
  9. 소변 검사용 키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에 있어서,
    소변 검사용 키트가 준비되는 단계;
    복수의 센서부에서 상기 소변 검사용 키트에 구비된 검사 스트립의 검사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검사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부 중 상기 검사지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여 유효한 반사 광을 수신하는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소변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변 분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검사용 키트는 레퍼런스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 센서부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키트에 구비된 검사 스트립의 검사지에 대해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센서부 주위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조사하는 광의 듀티율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변 분석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와 상기 검사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거리를 기설정된 값 또는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변 분석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센서부 주위의 습도를 기설정된 값 또는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값 또는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변 분석 방법.
KR1020220133176A 2022-10-17 2022-10-17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640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176A KR102640246B1 (ko) 2022-10-17 2022-10-17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PCT/KR2023/016045 WO2024085599A1 (ko) 2022-10-17 2023-10-17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176A KR102640246B1 (ko) 2022-10-17 2022-10-17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246B1 true KR102640246B1 (ko) 2024-02-27

Family

ID=9005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176A KR102640246B1 (ko) 2022-10-17 2022-10-17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0246B1 (ko)
WO (1) WO202408559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3063A (ja) * 1999-07-01 2001-01-19 Shimadzu Corp 光計測装置
JP2007325675A (ja) * 2006-06-06 2007-12-20 Sharp Corp 環状検出器および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904037B1 (ko) * 2017-09-29 2018-10-04 박성수 소변 검사용 키트 및 검사기
KR102068629B1 (ko) * 2018-11-20 2020-01-21 (주)바이오제네시스 소변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462B1 (ko) * 2014-11-04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3063A (ja) * 1999-07-01 2001-01-19 Shimadzu Corp 光計測装置
JP2007325675A (ja) * 2006-06-06 2007-12-20 Sharp Corp 環状検出器および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904037B1 (ko) * 2017-09-29 2018-10-04 박성수 소변 검사용 키트 및 검사기
KR102068629B1 (ko) * 2018-11-20 2020-01-21 (주)바이오제네시스 소변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599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8903B (zh) 光声成像设备和光声成像方法
US6370480B1 (en) Quantitative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certifying ultrasound medical imaging equipment
TWI468688B (zh) 決定分析物濃度的光學感應器
US68189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spectral artifacts
US92052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agnosis and prognosis of active implants in or attached to biological hosts or systems
US6527391B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visual field test, and computer programs for processing the results thereof
KR20190081051A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414183A (zh) 一种用于识别异常的皮肤检查设备
JPS6340530A (ja) 光応答式診断装置用検査装置
JP7008815B2 (ja) 視力検査
US82531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spatial reconstructing of absorbers mapping
JP2008535606A (ja) 目の測定装置および方法
CN110072470A (zh) 用于估计排卵日期的方法和设备
KR102640246B1 (ko) 소변 분석 장치 및 방법
EP3806734B1 (en) Evaluation of an amount of a substance contained within circulating blood
JPH06319723A (ja) 運動モニタ装置
JP4341153B2 (ja) 試験紙分析装置
US7183558B2 (en) Distributed UV sensor system and method
EP36050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component of object
US20190212353A1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KR20180097191A (ko) 박막형 온도 측정 어레이
CN109323851A (zh) 一种太赫兹焦平面响应率及响应率不均匀性测试系统及方法
CN111448617A (zh) 振荡暗场成像
EP2950083B1 (en) Calibration method, device, and program, and bodily-fluid component measurement device calibrated using said method
US669766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magnetic resonance receiver c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