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685B1 - 오존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오존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685B1
KR102067685B1 KR1020197016372A KR20197016372A KR102067685B1 KR 102067685 B1 KR102067685 B1 KR 102067685B1 KR 1020197016372 A KR1020197016372 A KR 1020197016372A KR 20197016372 A KR20197016372 A KR 20197016372A KR 102067685 B1 KR102067685 B1 KR 102067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peration terminal
ozone generator
storage uni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996A (ko
Inventor
세이유 미키
신지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오조작의 리스크를 가능한 한 줄임으로써, 안전성을 높인 오존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오존 발생 장치는, 기체가 통류 가능한 공간 내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의 생성이 가능한 광원체와,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광원체에 대한 조작을 인용하는 제1 권한이 부여된 유일한 상기 조작 단말인 제1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기억부와, 광원체에 대한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수신부에서 수신된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기억부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한해서, 광원체에 대해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동작 지시 정보에 의거한 동작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오존 발생 장치
본 발명은 오존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격적으로 조작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정 농도의 오존을 포함하는 가스는, 살균, 탈취 작용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존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자외선 광원을 이용한 광화학 반응이 알려져 있다.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본체와는 별개의 단말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시키는 것에 대한 개시가 있다. 오존은, 강한 산화력을 가지며,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농도에 따라서는 인체에 대해 악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공간을 무인으로 한 상태로, 원격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시켜 살균 처리함으로써, 조작자를 포함하는 사람에 대해 오존이 폭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6-500284호 공보
오존 발생 장치는, 통상, 살균 탈취 대상이 되는 공간 내에 거치하고 이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오존 발생 장치용의 조작 단말이, 오존 발생 장치와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당해 조작 단말을 조작하는 사람이 오존에 폭로되어, 당해 사람의 신체에 영향이 미칠 우려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오존 발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과는 다른 공간으로부터, 원격으로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오존 발생 장치는 살균·탈취 기능이 높고, 또, 조작이 간편하기 때문에, 많은 사업소에 도입되기 시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영화관 등, 불특정 다수의 손님이 예상되는 공간 내에 오존 발생 장치를 설치하고, 영업 종료 후, 다음날의 영업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대에서, 당해 공간을 무인 상태로 하여 오존 발생 장치를 가동시키는 용도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설치 양태에 있어서는, 불특정 다수의 손님이 예상되는 공간 내에 오존 발생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만일 영업 시간 내에 당해 장치가 실수로 가동되어 버리면, 많은 사람의 신체에 악영향이 미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안전성의 관점에서, 오존 발생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사람을 극히 한정적으로 해 둘 필요가 있다.
오존 발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과는 다른 공간으로부터, 조작 단말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유선에 의한 통신과 무선에 의한 통신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에 의한 통신을 통하여 조작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아들이는 양태인 경우, 조작 단말을, 오존 발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과는 다른 소정의 공간(방) 내에 거치하게 된다. 이 경우, 당해 공간 내에 입실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라도 조작 단말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버린다.
영화관 등의 공간에 오존 발생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을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장소로서는, 관리실 등, 특정의 사람 밖에 들어올 수 없는 실내에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이러한 실내에 있어서도, 관계자 스탭이면 용이하게 입실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불특정 다수의 손님이 예상되는 밀폐된 공간 내에서, 오존 발생 장치가 실수로 가동되어 버리면, 불특정 다수의 인체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은, 가능한 한 특정의 인물로부터의 조작 밖에 받아들이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영업 시간 내에, 오동작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가 가동하는 리스크를 가능한 한 제로에 가깝게 하고 싶다는 사정이 있다.
한편, 오존 발생 장치가, 무선에 의한 통신을 통하여 조작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아들이는 구성인 경우, 오존 발생 장치측에 소정의 인증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특정의 사람으로부터의 조작 밖에 받아들이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존 발생 장치의 분야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컴퓨터나 네트워크의 인증 처리로서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시키고, 입력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과 일치하는지 어떤지에 의거하여, 시큐러티의 인증을 행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무선 통신을 통하여 오존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양태를 실현할 때에 있어서는, 조작용의 단말로서, 범용적인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은, Wi-Fi나 Bluetooth(등록상표)와 같은 소정의 규격을 가지는 전파의 송수신 기능이 미리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와 같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우선, 조작 단말측에서 인증용의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시키고, 상기 전파를 통하여 장치측에 입력 정보를 송신시켜 인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올바르게 인증할 수 있었던 경우에만, 예를 들면 조작용의 콘트롤러가 조작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당해 표시 내용에 따라서 조작함으로써,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한 경우, 사용자 ID와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가 제삼자에게 누설된 경우에는, 누구라도 오존 발생 장치를 동작할 수 있게 되어 버린다. 특히, 무선 통신을 통한 조작을 상정하는 경우, 조작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범용적인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가 상정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버리는 사람의 수는, 유선의 경우보다 비약적으로 상승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보다 높은 시큐러티성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특히 컴퓨터의 인증에 있어서, 지문 인증이나 정맥 인증과 같은 시큐러티성을 보다 높인 인증 방법이 이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증 방법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초기 설정 시의 처리가 번잡하다. 또, 실제로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하는 역할이 맡겨져 있는 담당의 스탭이, 사정에 의해 교대하는 경우는 많이 상정되는 일인데, 이와 같은 사정이 발생한 경우에, 번잡한 처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잠재적으로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 만을, 미리 등록해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방법이면, 관계 스탭 전원의 지문이나 정맥을 미리 등록해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증가해 버리는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영업 시간 내에 조작 단말을 오조작해 버리는 리스크가 여전히 남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오조작의 리스크를 가능한 한 줄임으로써, 안전성을 높인 오존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작 단말로부터 발신된 소정 형식의 전파 신호를 통하여 원격적으로 조작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로서,
기체가 통류 가능한 공간 내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의 생성이 가능한 광원체와,
상기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광원체에 대한 조작을 인용(認容)하는 제1 권한이 부여된 유일한 상기 조작 단말인 제1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기억부와,
상기 광원체에 대한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광원체에 대해,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동작 지시 정보에 의거한 동작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광원체에 대한 조작을 인용하는 권한(제1 권한)이 부여된 조작 단말이 유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권한이 부여된 조작 단말(제1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가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다.
만일, 오존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수신부가, 제1 특정 조작 단말 이외의 조작 단말로부터 발신된 전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어부에 있어서, 이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와,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이 이후의 조작 정보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오존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수신부가, 제1 특정 조작 단말로부터 발신된 전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어부에 있어서, 이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가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 이후의 조작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하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유일한 조작 단말 이외로부터 조작 지시에 관한 정보가 송신되었다고 해도, 당해 정보에 의거하여 오존 발생 장치가 작동하는 일이 없다. 이것은, 오존 발생 장치를 가동할 수 있는 사람을, 특정의 조작 단말을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사람으로 한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조작 단말은, 범용적인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특정의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의 소유자 한 사람이, 오존 발생 장치의 운전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로서는, 조작 단말별로 상이한 값이 부여되어 있는 정보이면, 어떠한 정보를 이용해도 된다. 일례로서, MAC 어드레스, Bluetooth(등록상표) 어드레스, 디바이스 ID, 시리얼 번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한해서, 당해 식별 정보에 대응한 조작 단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한 식별 정보와 기억부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한해서, 예를 들면 조작 단말의 화면 상에 조작용의 콘트롤러가 표시된다. 조작자는, 이 조작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콘트롤러 내의 소정의 버튼을 터치(또는 클릭)함으로써, 오존 발생 장치의 동작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 콘트롤러에는, 동작 개시 지시를 행하는 버튼 이외에, 동작 중의 오존 발생 장치를 긴급 정지시키는 지시를 행하는 버튼, 오존 발생 장치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버튼 등, 오존 발생에 관계하는 처리 내용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버튼이 내장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상기 기억부에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초기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최초로 수신된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식별 정보로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오존 발생 장치는, 공장 출하 시에 있어서는 제1 권한이 부여된 조작 단말(제1 특정 조작 단말)이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에 있어서, 오존 발생 장치를 조작할 예정이 되는 조작 단말이 오존 발생 장치측에 접속됨으로써, 당해 조작 단말에 부여된 식별 정보가, 제1 식별 정보로서 기억부에 저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권한을 부여하는 수속이 극히 간이화된다.
이 구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제1 권한을 부여하는 조작 단말이 「유일」한 것에 기인한다. 컴퓨터나 네트워크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특정의 장치(사람) 이외로부터의 액세스를 거부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특정의 장치(사람)로부터의 액세스를 받아들이는 것이며, 이 「특정의 장치(사람)」는 복수이다. 즉, 일반적인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큐러티 시스템의 기술에 있어서는, 액세스를 허가하는 대상이 되는 복수의 장치(사람)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코드가, 미리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다.
이에 반해, 오존 발생 장치는, 조작 권한이 부여되는 조작 단말은 「유일」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최초로 접속된 조작 단말에 조작 권한을 부여한다는 처리가 가능해진다.
오존 발생 장치는,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식별 정보를 가지는 조작 단말로부터의 접속을 받아들이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어디까지나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조작 단말과 오존 발생 장치의 접속이 행해질 뿐이며, 당해 조작 단말에 의해 원격적으로 오존 발생 장치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있어서, 수신부에서 수신된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기억부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한해서, 당해 식별 정보가 부여된 조작 단말이 「제1 특정 조작 단말」로 인정되며, 그 후의 조작이 받아들여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있어서, 특별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관리용 단말로부터 발신된 관리용 전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용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초기화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제1 특정 조작 단말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범용적인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가 상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작 단말은, 범용성이 있기 때문에, 기종을 변경하거나, 또 기기 자체가 고장날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특정 조작 단말은 유일하게 정해지기 때문에, 이 조작 단말이 고장나는 등 되어 버리면, 오존 발생 장치를 동작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특정의 관리용 단말에 대해서만 특별한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해 두고, 이 관리용 단말은, 예를 들면 관리업자가 보관하도록 해 둔다. 그리고, 관리업자가, 이 관리용 단말로부터 오존 발생 장치에 대해 접속함으로써, 기억부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그 후, 새롭게 등록하고 싶은 조작 단말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에 접속함으로써, 당해 조작 단말에 부여된 식별 정보가, 「제1 식별 정보」로서 기억부에 저장된다. 그 다음은, 이 새로운 조작 단말이, 제1 권한이 부여된 제1 특정 조작 단말이 된다.
상기 기억부는, 당해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소거하는 조작을 인용하는 제2 권한이 부여된 특정의 상기 조작 단말인 제2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제2 식별 정보가 또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초기화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기억부에는, 당해 기억부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를 초기화하는 권한(제2 권한)이 부여된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제2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등록되어 있는 제1 특정 조작 단말을 이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이 제2 권한이 부여된 조작 단말(제2 특정 조작 단말)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기억부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그 후, 새롭게 등록하고 싶은 조작 단말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에 접속함으로써, 당해 조작 단말에 부여된 식별 정보가, 「제1 식별 정보」로서 기억부에 저장된다. 그 다음은, 이 새로운 조작 단말이, 제1 권한이 부여된 제1 특정 조작 단말이 된다.
제2 권한이 부여된 조작 단말(제2 특정 조작 단말)은, 예를 들면 관리업자가 보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적어도 제1실과 제2실로 나누는 벽체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상기 제1실 내로 이끄는 제1 개구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실 내의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내보내는 제2 개구부와,
상기 수신부, 상기 기억부, 및 상기 제어부가 실장된 제어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체는, 상기 제1실 내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의 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제2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신부, 기억부, 및 제어부가 실장된 제어 기판은, 오존을 포함하는 가스가 통류하는 경로와는 독립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오존이 폭로됨으로써 제어 기판이 고장날 리스크는 회피된다.
본 발명의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하면, 오조작의 리스크를 줄이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오존 발생 장치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오존 발생 장치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오존 발생 장치 내에 있어서의 기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오존 발생 장치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존 발생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 도면의 치수비와 실제의 치수비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전체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오존 발생 장치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설명의 형편 상, 도 1에 나타내는 좌표축을 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존 발생 장치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며, 도 1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1)를, Z축 방향(보다 상세하게는 -Z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도면에 대응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형편 상, 하우징의 내측에 숨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일부 도시를 하고 있다. 또, 도 2에서는, 설명의 형편 상, 개구 영역을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오존 발생 장치(1)는, 하우징(3)과, 하우징(3)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나누는 벽체(5)를 가진다. 벽체(5)에 의해, 하우징(3)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X축 방향으로, 제1실(10)과 제2실(20)로 나누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1실(10)과 제2실(20)을 연락하는 위치에 송풍기(7)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풍기(7)의 설치 위치는 임의이다.
하우징(3)의 일부분에는, 제1 개구부(31) 및 제2 개구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개구부(31)는, 하우징(3)의 외부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송풍기(7)를 통하여 제1실(10) 내로 이끈다. 제2 개구부(32)는, 제1실(10) 내의 기체를 하우징(3)의 외부로 이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오존 발생 장치(1)는 하우징(3)의 외주를 덮는 커버부(40)를 가지며, 커버부(40)에도 소정의 개구부(43, 4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개구부(43, 45)를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오존 발생 장치(1)가 부착 부재(47)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을 구비하는지 아닌지는 임의이다.
오존 발생 장치(1)는, 제1실(10) 내에 있어서 광원체(11)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체(11)는, 제1실(10) 내에 있어서, 송풍기(7)와 제2 개구부(32)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체(11)는, 광화학 반응에 의해 공기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자외 영역의 광을 방사하는 구성이며, 예를 들면 엑시머 램프로 구성된다. 또한, 광원체(11)로서는, 엑시머 램프 외에, 저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존 발생 장치(1)가 하우징(3)으로 덮여 있으며, 광원체(11)에서 발해진 광은 하우징(3)의 외측에는 방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1)는, 제2실(20) 내에 있어서 제어 기판(21)을 가진다. 제어 기판(21)은, 광원체(11)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광원체(11)에 공급하기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존 발생 장치(1)는, 제어 기판(21)과 광원체(11)를 연락하는 전원선(23)을 가지며, 이 전원선(23)을 통해서 제어 기판(21)으로부터 광원체(11)에 대해 전력이 공급된다. 도 2에서는, 도시의 형편 상, 전원선(23)을 굵은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어 기판(21)에는, 후술되는 수신부, 기억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IC칩이 실장되어 있다. 제어 기판(21)에 포함되는 전자 부품이, 송풍기(7)에 대해서도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송풍기(7)가 구동하면, 제1 개구부(31)로부터, 하우징(3)의 외측으로부터 공기가 오존 발생 장치(1) 내에 도입된다. 이 때의 기류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화살표 달린 2점 쇄선으로 기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의 형편 상, 도 3에서는 도 2에서 나타낸 부호의 일부, 및 커버부(4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송풍기(7)가 구동하면, 제1 개구부(31)를 통하여 하우징(3)의 외측으로부터 공기(A1)가 도입되어, 제1실(10) 내로 내보내어진다. 송풍기(7)로부터 내보내어진 공기(A2)는, 제1실(10) 내를 제2 개구부(32)를 향해서 흐른다. 그리고, 제1실(10) 내에 있어서, 광원체(11)로부터 방사된 자외광이 공기(A2)에 조사됨으로써, 공기의 일부가 오존으로 변화하여, 오존을 포함하는 가스(A3)가 생성된다. 이 가스(A3)는, 제2 개구부(32)로부터 오존 발생 장치(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기판(21)은, 제2실(20)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광원체(11)가 설치되어 있는 제1실(10)과는, 벽체(5)에 의해 공간이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존을 포함하는 가스(A3)가 제어 기판(21)측에 유출되는 일이 없다.
[제어 내용]
〈제1 양태〉
광원체(11)에 대한 제어 내용의 제1 양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체(11)는, 제어 기판(21)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제어된다. 이하, 이 제어 내용에 대해서,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오존 발생 장치(1)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제어 기판(21) 상에는, 수신부(26), 기억부(27), 및 제어부(28)가 실장되어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 IC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26)는, 소정 형식의 전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전파 신호는,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나 Wi-Fi 등, 범용적인 형식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조작 단말(60)은, 이 전파 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단말이며,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으로 구성된다.
기억부(27)는,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단말(60)에 관한 고유의 정보(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조작 단말(60)에 대해, 특정의 권한(제1 권한)이 설정된다. 또한, 이 식별 정보란, 수신부(26)와의 사이에 있어서 접속을 구성하는 단말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의 정보이며, 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 Bluetooth(등록상표) 어드레스, 디바이스 ID, 시리얼 번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제1 권한이란, 광원체(11)에 대한 조작(가동/정지/가동 시간 설정 등)이 인용되는 권한이다. 이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 조작 단말(60)을, 「제1 특정 조작 단말」이라고 부른다. 이 제1 특정 조작 단말은, 하나의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해 유일하게 설정된다. 이 제1 특정 조작 단말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는,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다.
(초기 단계)
예를 들면, 공장 출하 시 등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기억부(27) 내에는, 제1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오존 발생 장치(1)는, 예를 들면, 소정의 살균 대상 공간에 설치된 후, 당해 오존 발생 장치(1)를 조작할 예정이 되는 단말(조작 단말(60))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1)와 접속을 행한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1)의 설치 전에, 조작 단말(60)의 설정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조작 단말(60)은, 예를 들면, Android(등록상표)용, 또는 iOS(등록상표)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함으로써, 가까이에 존재하는, 즉 접속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1)를, 당해 단말(60)의 화면 상에 리스트 업할 수 있다. 이 때의 접속 형식은, Wi-Fi여도 상관없고, Bluetooth(등록상표)여도 상관없고, 다른 통신 규격에 의거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존 발생 장치(1)는, 영화관 등의 불특정 다수의 손님이 예상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 동일 시설에 있어서, 복수의 실내에 오존 발생 장치(1)가 설치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조작 단말(60)의 화면 상에는, 접속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1)로서, 복수의 장치가 표시되게 된다.
조작자는, 조작 단말(60)의 화면을 확인하여, 조작 대상으로 하고 싶은 오존 발생 장치(1)를 선택한다. 이 때, 조작 단말(60)로부터, 선택된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해 전파 신호가 송신된다.
오존 발생 장치(1)는, 수신부(26)에 있어서, 조작 단말(60)로부터 송신된 전파 신호를 수신하면, 양자 간에서 페어링을 완성시킨다. 이 때, 제어부(28)는, 수신한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조작 단말(60)의 식별 정보를,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한다. 현 시점에서는,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기억부(27)에는 제1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제어부(28)는, 기억부(27)에 제1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 즉 오존 발생 장치(1)가 초기 단계에 있는 것을 확인하면, 수신한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조작 단말(60)의 식별 정보를, 제1 식별 정보로서 기억부(27)에 기억시킨다. 이 이후, 조작 단말(60)에 대해 제1 권한이 부여된다.
(조작 단계)
조작자는, 조작 단말(60)을 이용하여 오존 발생 장치(1)를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 조작 단말(60)의 화면으로부터 조작 대상이 되는 하나의 오존 발생 장치(1)를 선택한다. 이 때, 조작 단말(60)로부터, 선택된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해 전파 신호가 송신된다.
수신부(26)는, 조작 단말(60)로부터 송신된 전파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8)는, 수신한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조작 단말(60)의 식별 정보를,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한다. 조작 단말(60)은, 제1 권한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조작 단말(60)의 식별 정보는, 제1 식별 정보로서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다. 이 때, 제어부(28)는, 조작 단말(60)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관한 정보를 받아들인다.
제어 기판(21)은, 수신부(26)에 더하여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때, 제어부(28)는, 조작 단말(60)이, 제1 권한이 부여된 단말(제1 특정 조작 단말)인 것을 판단하면, 송신부를 통하여, 조작 단말(60)에 대해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한 동작 지시를 받아들이는 취지의 전파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때, 조작 단말(60)은, 화면 상에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한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콘트롤러가 표시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조작자는, 이어서 조작 단말(60)을 조작하여, 오존 발생 장치(1)의 운전을 개시하거나, 운전 중의 오존 발생 장치(1)를 정지시키거나, 운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동작 지시 정보)는, 조작 단말(60)로부터 발신된 전파 신호에 의해 수신부(26)에 보내진다. 제어부(28)는, 수신부(26)가 수신한 전파 신호에 기재된 동작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광원체(11)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이 때, 제어부(28)는, 송풍기(7)의 동작 제어를 함께 행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다음에, 제삼자가, 조작 단말(60)과는 다른 조작 단말(여기에서는 「조작 단말(70)」이라고 칭한다)을 조작함으로써, 오존 발생 장치(1)를 동작시키려고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 단말(70)은, 제1 특정 조작 단말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1)를 화면 상에 리스트 업하는 것은 가능하다.
제삼자는, 조작 단말(70)의 화면을 확인하여, 조작 대상으로 하고 싶은 오존 발생 장치(1)를 선택한다. 이 때, 조작 단말(70)로부터, 선택된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해 전파 신호가 송신된다.
수신부(26)는, 조작 단말(70)로부터 송신된 전파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8)는, 수신한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조작 단말(70)의 식별 정보와,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한다. 조작 단말(70)은, 제1 권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조작 단말(70)의 식별 정보는, 제1 식별 정보로서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 또, 기억부(27)에는, 제1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도 대응하지 않는다. 이 때, 제어부(28)는, 조작 단말(70)로부터의 동작 지시에 관한 정보를 거부한다.
예를 들면, 제어 기판(21)이, 수신부(26)에 더하여 송신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28)는, 조작 단말(70)이, 제1 권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단말인 것을 판단하면, 송신부를 통하여, 조작 단말(70)에 대해, 당해 단말로부터의 동작 지시를 받아들이지 않는 취지의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때, 조작 단말(70)은, 화면 상에는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한 동작 제어를 행하기 위한 콘트롤러가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고, 또한, 당해 조작 단말로부터는,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해 동작 지시를 행할 수 없는 취지의 경고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관리 모드)
상술한 바와 같이, 오존 발생 장치(1)(광원체(11) 및/또는 송풍기(7))는, 제1 권한이 부여된 유일한 조작 단말(60)에 의해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조작 단말(60)을 분실하거나, 조작 단말(60)이 고장날 가능성은 제로는 아니다. 이 때, 제1 권한을 다른 조작 단말에 대해 부여하지 않으면, 오존 발생 장치(1)를 동작시킬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특별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특정의 조작 단말(이하, 「관리용 단말」이라고 한다.)을, 예를 들면 관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특별한 어플리케이션은, 접속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한 지시가 가능한, 관리용의 콘트롤러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 회사의 담당자(이하, 「관리자」라고 부른다.)는, 관리용 단말을 조작하여, 오존 발생 장치(1)에 접속시킨다. 이 때도, 관리용 단말의 화면 상에는, 접속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1)가 화면 상에 리스트 업되어 있으며, 이 리스트로부터 접속하고 싶은 오존 발생 장치(1)를 선택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관리용 단말은, 선택된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해 이 특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전파 신호(관리용 전파 신호)를 송신한다. 이 관리용 전파 신호에는, 당해 오존 발생 장치(1)의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를 소거하는 취지의 지시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28)는, 이 지시 신호를 인식하면, 기억부(27)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를 소거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결과, 기억부(27) 내에는 제1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 되기 때문에, 오존 발생 장치(1)는 초기 단계로 복귀한다. 이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롭게 제1 특정 조작 단말로서 설정하고 싶은 조작 단말(60)에 의해, 오존 발생 장치(1)의 수신부(26)에 접속시킴으로써, 당해 조작 단말(60)의 식별 정보가 제1 식별 정보로서 기억부(27)에 저장되고, 당해 조작 단말(60)이 제1 특정 조작 단말로서 설정된다.
제1 양태에서는, 사용자측에 배포되는 조작 단말(60)에는 관리용의 특별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지 않고, 관리자 만이 보유할 수 있는 관리용 단말에 대해서만 특별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는 구조가 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특별한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원을 관리자 이외의 사람에는 알리지 않도록 하거나, 다운로드 시에 소정의 액세스 권한을 부과해 두는 등이 처리를 실시해 둔다. 이것에 의해, 관리자 이외의 사람은, 제1 식별 정보를 삭제할 수 없게 된다.
〈제2 양태〉
광원체(11)에 대한 제어 내용의 제2 양태에 대해서, 제1 양태와 상이한 개소 만을 설명한다.
제2 양태에서는, 소정의 조작 단말(60)에 대해, 2종류의 권한이 설정된다. 제1 권한에 대해서는, 제1 양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권한은,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를 소거(초기화)하는 권한이다. 여기에서는, 이 제2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 조작 단말(60)을, 「제2 특정 조작 단말」이라고 부른다. 이 제2 특정 조작 단말은, 유일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제2 특정 조작 단말은, 오존 발생 장치(1)를 관리하는 관리자(관리 회사 등)가 보유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제2 특정 조작 단말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 정보(제2 식별 정보)는,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다.
초기 단계 및 조작 단계의 제어 내용에 대해서는, 제1 양태와 공통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제2 양태에 있어서는, 초기 단계여도, 제2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제2 식별 정보)가 기억부(27)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관리 모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양태에 있어서는, 기억부(27) 내에, 제2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제2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관리자는, 제2 특정 조작 단말을 조작하여, 오존 발생 장치(1)에 접속시킨다. 이 때에도, 제2 특정 조작 단말에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1)가 화면 상에 리스트 업되어 있고, 이 리스트로부터 접속하고 싶은 오존 발생 장치(1)를 선택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제2 특정 조작 단말은, 선택된 오존 발생 장치(1)에 대해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26)는, 제2 특정 조작 단말로부터 송신된 전파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8)는, 수신된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제2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한다. 제어부(28)는, 제2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가,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면, 제어부(28)는, 제2 특정 조작 단말로부터의 초기화 지시에 관한 정보를 인용한다.
예를 들면, 제어 기판(21)이, 수신부(26)에 더하여 송신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28)는, 발신원의 단말(여기에서는 제2 특정 조작 단말)이 제2 권한이 부여된 단말인 것을 판단하면, 송신부를 통하여, 제2 특정 조작 단말에 대해, 관리용의 지시를 받아들이는 취지의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때, 제2 특정 조작 단말은, 화면 상에,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를 소거하기(초기화하기) 위한 콘트롤러가 표시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관리자는, 이어서 제2 특정 조작 단말을 조작하여, 기억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를 소거하는 취지의 정보가 기재된 전파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26)가 이 전파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8)는 기억부(27)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를 소거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제2 양태는, 신호의 발신원인 조작 단말이, 초기화 지시에 관한 신호를 출력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제어부(28)측에서 판단하는 점이 제1 양태와는 상이하다. 제2 양태이면, 시큐러티성이 더 향상된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제1 권한이 부여된 조작 단말(제1 특정 조작 단말)이, 제2 권한도 가지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 반드시 제2 권한을 부여한 조작 단말을 설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2〉 제1 권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조작 단말이어도, 오존 발생 장치(1)의 동작 이력을 확인하는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당해 조작 단말은, 오존 발생 장치(1)와의 접속을 완성시킨 후, 동작 이력의 열람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용 화면이 표시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3〉 오존 발생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LED 전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오존 발생 장치(1)가 가동 중에는, LED 전구가 소정의 색으로 발광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LED 전구의 동작 제어를, 제어부(28)가 행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 제어부(28)는, 광원체(11)의 발광이 정지한 후에도, 소정의 시간에 걸쳐 LED 전구를 계속 점등시키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소정의 시간은, 오존이 분해되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공간 내에 LED광이 점등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당해 오존 발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 내에 사람을 출입시킴으로써, 안전성이 담보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처음으로 접속된 조작 단말(60)의 식별 정보가, 제1 식별 정보로서 기억부(27)에 기억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제1 식별 정보의 등록 방법에 대해서는, 이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공장 출하 시에 있어서, 미리 조작 단말(60)의 식별 정보를 기억부(27)에 저장시키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오존 발생 장치(1)의 이용자는, 입수한 시점에서 이미 조작 단말(60)이 제1 특정 조작 단말로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재차 조작 단말(60)을 오존 발생 장치(1)측에 설정할 필요가 없다.
〈5〉 상술한 오존 발생 장치(1)의 구조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본 발명은, 도 1~도 3에 개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1: 오존 발생 장치 3: 하우징
5: 벽체 7: 송풍기
10: 제1실 11: 광원체
20: 제2실 21: 제어 기판
23: 전원선 26: 수신부
27: 기억부 28: 제어부
31: 제1 개구부 32: 제2 개구부
40: 커버부 43, 45: 개구부
47: 부착 부재 60: 조작 단말

Claims (5)

  1. 조작 단말로부터 발신된 소정 형식의 전파 신호를 통하여 원격적으로 조작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로서,
    기체가 통류 가능한 공간 내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의 생성이 가능한 광원체와,
    상기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광원체에 대한 조작을 인용(認容)하는 제1 권한이 부여된 유일한 상기 조작 단말인 제1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기억부와,
    상기 광원체에 대한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광원체에 대해,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동작 지시 정보에 의거한 동작 제어를 행하고,
    상기 기억부에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초기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최초로 수신된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특정 조작 단말로부터 송신된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식별 정보로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고,
    상기 기억부는, 당해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소거하는 조작을 인용하는 제2 권한이 부여된 특정의 상기 조작 단말인 제2 특정 조작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제2 식별 정보가 또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전파 신호에 포함되는 초기화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적어도 제1실과 제2실로 나누는 벽체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상기 제1실 내로 이끄는 제1 개구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실 내의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내보내는 제2 개구부와,
    상기 수신부, 상기 기억부, 및 상기 제어부가 실장된 제어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체는, 상기 제1실 내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의 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제2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7016372A 2016-12-05 2017-11-22 오존 발생 장치 KR102067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5728 2016-12-05
JP2016235728A JP6380516B2 (ja) 2016-12-05 2016-12-05 オゾン発生装置
PCT/JP2017/042033 WO2018105402A1 (ja) 2016-12-05 2017-11-22 オゾン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996A KR20190070996A (ko) 2019-06-21
KR102067685B1 true KR102067685B1 (ko) 2020-01-17

Family

ID=6249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372A KR102067685B1 (ko) 2016-12-05 2017-11-22 오존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80516B2 (ko)
KR (1) KR102067685B1 (ko)
CN (1) CN110072806B (ko)
WO (1) WO2018105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775B1 (ko) 2019-11-29 2021-08-0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농도 저가형 오존 발생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459Y1 (ko) * 2006-03-31 2006-06-12 최용림 모니터와 음성 알람기능을 구비한 구급차용 오존살균기
JP2014103028A (ja) * 2012-11-21 2014-06-05 Ushio Inc 小型紫外線照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6539A (en) * 1993-06-11 1994-07-05 Environics Inc. Ozone generator with internal heating means
JPH09256702A (ja) * 1996-03-18 1997-09-30 Calsonic Corp 自動車用idシステム
JP4504493B2 (ja) * 1999-07-05 2010-07-14 孝次 阿武 電球型の照明灯付き空気清浄装置
JP2007195842A (ja) * 2006-01-30 2007-08-09 Fujitsu General Ltd 脱臭器
DE102006012471B4 (de) * 2006-03-18 2010-08-26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drahtlosen Übertragung von Steuerungsbefehlen für eine Steuerung eines Hebezeugs
KR20080041849A (ko) * 2006-11-08 2008-05-14 황용순 공기살균기의 자동운전 장치
JP2009049625A (ja) * 2007-08-17 2009-03-05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プロジェクタ、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2009089827A (ja) * 2007-10-05 2009-04-30 Yunipakku:Kk ホームデトックスシステム
CN102122166B (zh) * 2011-03-29 2013-07-03 江洪 智能家居系统及其工作方法
EP2696902B1 (en) * 2011-04-15 2021-07-21 Samuel Richard Trapani Room sterilization system
JP2016500284A (ja) 2012-12-06 2016-01-12 ゼネックス・ディスインフェクション・サービシィズ・エルエルシイ 殺菌デバイスの動作パラメータ及び消毒スケジュールを決定するシステム、並びにレンズシステムを含む殺菌ランプ装置
KR101453652B1 (ko) * 2013-02-06 2014-10-22 이형섭 분리 가능한 네트워크형 오존 살균기 및 오존 살균기의 결제 방법
JP2015032951A (ja) * 2013-08-01 2015-02-16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2015106760A (ja) * 2013-11-28 2015-06-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16196987A (ja) * 2015-04-06 2016-11-24 神田 智一 液体噴霧装置
CN205933225U (zh) * 2016-08-09 2017-02-08 文亮 智能臭氧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459Y1 (ko) * 2006-03-31 2006-06-12 최용림 모니터와 음성 알람기능을 구비한 구급차용 오존살균기
JP2014103028A (ja) * 2012-11-21 2014-06-05 Ushio Inc 小型紫外線照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72806B (zh) 2020-07-28
JP6380516B2 (ja) 2018-08-29
WO2018105402A1 (ja) 2018-06-14
KR20190070996A (ko) 2019-06-21
JP2018090452A (ja) 2018-06-14
CN110072806A (zh)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6271B2 (en) System for programming a lock comprising contactless NFC communication means
US6380866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ppliance situated within a premises
US20090085765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at least one operating function of a remote control for operating a device
US20150206367A1 (en) Control of operation of a lock
US10625006B2 (en) Dedicated remote control of a plurality of medical apparatuses
JPH09504420A (ja) 保全データを転送する方法ならびにシステム
US20150263861A1 (en)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a lighting device
EP3266284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 electronic element in a lighting system, electronic element and configuring system
KR102067685B1 (ko) 오존 발생 장치
US10304322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edical apparatus
JP2008199503A (ja) 端末および情報中継装置
JP6544548B2 (ja) オゾン発生装置
KR20100056921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CN110766529A (zh) 运行验证方法、装置、空调器以及存储介质
CN108513390B (zh) 照明器具及照明系统
CN113467857B (zh) 基于用户定制的fpga系统、固件生成方法及显示设备
AU2018341499B2 (en) Control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n automatic milking machine
KR20100026440A (ko)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10285666A (ja) 制御用無線受信機の設定情報変更方法および制御用無線送信機および制御用無線受信機
US20230346453A1 (en) Surgical generator having remote-controlled functionality
KR101111200B1 (ko) 일괄 소등 해제용 현관잠금장치를 이용한 댁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9389813A (zh) 具有遥控器的医疗设备
CN113556723B (zh) 智能设备的激活方法、智能设备、智能设备的激活系统
KR200486126Y1 (ko) 화재경보장치
JP2006203617A (ja) リモート装置を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する方法、リモート装置を遠隔制御する方法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