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440A -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440A
KR20100026440A KR1020080085445A KR20080085445A KR20100026440A KR 20100026440 A KR20100026440 A KR 20100026440A KR 1020080085445 A KR1020080085445 A KR 1020080085445A KR 20080085445 A KR20080085445 A KR 20080085445A KR 20100026440 A KR20100026440 A KR 20100026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ms
control
terminal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순희
정희택
예성빈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440A/ko
Publication of KR2010002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44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SMS를 이용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설비를 제어할 수 있고, 설비의 제어상태를 SMS로 관리자에게 전송해 줌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설비의 제어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SMS, 단문 메시지, 설비, 원격 제어, CDMA

Description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controlling the equipment by using SMS and dr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SMS를 이용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설비를 제어할 수 있고, 설비의 제어상태를 SMS로 관리자에게 전송해 줌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설비의 제어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SMS(Short message service)란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별도의 다른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전화만으로도 짧은 문장의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라고도 한다.
그러나, SMS는 대화식으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전송방법을 통칭하는 의미로도 사용되며, SMS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지칭하기도 한다.
종래의 설비 원격 제어장치는 설비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제어패널로 이루어 져 유선으로 설비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어패널을 로컬 통신이나 인터넷 통신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작함으로써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설비 제어방법은 주로 인터넷 통신으로 설비를 제어하므로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설비 제어방법은 특정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각각 구비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설비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데 제약이 있다.
또한, 현재 무선 환경에서 설비를 원격제어하기 방법은 무선 인터넷이나 전용 무선 수신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유일하다.
따라서, 강력한 보안성으로 설비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설비의 현재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무선 인터넷이나 전용 무선수신장치를 이용하지않고 보안성이 강하고, 각종 설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연구 노력한 결과, 무선 인터넷이나 전용 무선수신장치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보안성이 강력하고 각종설비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성이 강력한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설비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각종설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기와 설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SMS(Shprt message service)를 수신하는 SMS 송수신 모듈 및 상기 SMS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하고, 상기 설비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SMS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설비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설비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설비제어신호를 상기 설비로 송신하여, 상기 설비가 동작하게 하는 설비제어신호 전송부,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의 동작상태에 관한 제어결과신호를 입력받는 제어결과신호 입력부 및 상기 제어결과신호에 따른 제어결과 SMS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결과 SMS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결과 전송부를 포함하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MS 송수신 모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관리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인증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인증된 관리자 단말기일 경우, 상기 설비제어신호가 생성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설비의 제어권한이 있는 관리자 단말기들의 전송주소가 저장되는 관리자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인증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전송주소와 상기 관리자 DB의 전송주소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설비의 현재상태 에 관한 현재상태 SMS를 더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더 전송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비 원격 제어 장치가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SMS의 전송이 있는지 감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SMS가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SMS가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인증하는 제 2 단계, 상기 SMS가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일 경우, 상기 SMS의 명령에 따라 설비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의 동작상태에 관한 제어결과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결과신호에 따른 제어결과 SMS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결과 SMS를 상기 SMS를 전송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설비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인증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전송주소와 상기 설비 원격 제어 장치에 미리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들의 전송주소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설비 원격 제어 장치가 날짜와 시간을 변수로 하는 암호화된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제 2-1 단계,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2-2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번호를 수신하는 제 2-3 단계 및 상기 송신한 인증번호와 상기 수신한 인증번호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경우 상기 SMS가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증하는 제 2-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인증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SMS의 명령에만 설비를 제어하므로 보안성이 매우 향상된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설비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각종설비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 SMS를 이용하여 설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인터넷 환경이 아닌 곳에서도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 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원격 제어장치의 동작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원격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원격 제어장치(100)는 이동통신망(20)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10)와 연결되고, 제어하고자하는 설비(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는 SMS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이다. 그러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는 SMS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어떠한 단말기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2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망(20)은 3G 통신망 등 SMS를 송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통신망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비 원격 제어장치(100)는 SMS 송수신 모듈(110), 마이크로 컨트롤러(120) 및 관리자 DB(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SMS 송수신 모듈(110)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SMS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SMS 송수신 모듈(11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결과 SMS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 송신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MS 송수신 모듈(110)은 CDMA 모듈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SMS 송수신모듈(110)은 SMS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듈이라면 어떠한 송수신모듈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원격 제어장치(100)는 상기 설비(3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써 SMS를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제어장치와 비교하여 보안성이 강력한 장점이 있고, 휴대전화가 가능한 장소라면 인터넷 환경이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시간에 구애받지않고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관리자 DB(130)는 상기 설비(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한이 있는 관리자 단말기(10)들의 전송주소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전송주소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0)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상기 SMS 송수신모듈(110)과 연결되고, 상기 SMS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30)를 제어하고, 상기 설비(30)의 동작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관리자 인증부(121), 설비제어신호 생성부(122), 설비제어신호 전송부(123), 제어결과신호 입력부(124) 및 제어결과 전송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의 각 구성요소들은 프로그래밍되어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으로 기능한다.
상기 관리자 인증부(121)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0)가 상기 설비(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은 상기 SMS를 송신한 관리자 단말기(10)의 전송주소와 상기 관리자 DB(130)에 저장된 전송주소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SMS를 송신한 관리자 단말기(10)의 전송주소가 상기 관리자 DB(130)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10)가 상기 설비(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한이 있는 관리자로 인증한다.
또한, 상기 인증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10)의 전송주소와 상기 관리자 DB(130)에 저장된 전송주소들을 비교하지 않고, 일정한 변수에 따라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다시 상기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송신된 인증번호와 수신된 인증번호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인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정한 변수는 예를 들면, 날짜와 시간에 기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설비제어신호 생성부(122)는 상기 SMS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30)를 제어하는 설비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설비제어신호 전송부(123)는 상기 설비제어신호를 상기 설비(3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설비제어신호 전송부(123)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기 설비제어신호를 상기 설비(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결과신호 입력부(124)는 상기 설비(30)의 동작상태에 관한 제어결과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제어결과신호 입력부(124)로 입력되는 제어결과신호는 상기 설비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한 설비(30)의 제어결과에 관한 신호이다.
그러나, 상기 제어결과신호는 상기 설비(30)의 현재 상태에 관한 신호일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상기 설비(30)를 제어한 후 제어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설비(30)의 현재 상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설비(3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설비(30)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설비(30)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결과 전송부(125)는 상기 제어결과신호에 따른 제어결과 SMS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결과 SMS를 상기 SMS 송수신모듈(110)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 전송해준다.
즉, 관리자는 상기 설비(30)가 SMS를 통해 명령한데로 제어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결과신호가 상기 설비(30)의 현재 상태에 관한 신호일 경우 상기 제어결과 SMS는 상기 설비(30)의 현재 상태에 관한 현재상태 SMS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설비(30)의 현재 상태를 SMS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원격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원격 제어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설비 원격 제어방법은 먼저, 설비 원격 제어장치(100)가 임의의 단말기(10)로부터 SMS의 전송이 있는지 감시한다(S1000).
다음, 상기 임의의 단말기(10)로부터 SMS가 수신되고(S2000), 상기 설비 원격 제어장치(100)는 상기 임의의 단말기(10)가 관리자 DB(130)에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인지 확인한다(S3000).
여기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S3000)은 상기 임의의 단말기(10)의 전송주소와 상기 관리자 DB(130)에 저장된 전송주소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확인하는 단계(S3000)는 날짜와 시간을 변수로 하여 암호화된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임의의 단말기(10)로 송신하고, 상기 임의의 단말기(10)로부터 다시 인증번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송신한 인증번호와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임의의 단말기(10)를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증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임의의 단말기(10)가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인증될 경우, 상기 SMS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제어신호를 생성한다(S4000).
다음, 상기 설비제어신호를 상기 설비(30)로 전송하여 상기 설비(30)를 제어하고(S5000), 상기 설비(30)는 상기 설비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다음, 상기 설비(30)의 동작상태에 관한 신호인 제어결과신호를 수신하고(S6000), 상기 제어결과신호에 따른 제어결과 SMS를 생성한다(S7000).
다음, 상기 제어결과 SMS를 상기 인증된 관리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종료한다(S80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원격 제어장치의 동작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원격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원격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설비 원격 제어장치 110:SMS 송수신 모듈
120:마이크로 컨트롤러 121:관리자 인증부
122:설비제어신호 생성부 123:설비제어신호 전송부
124:제어결과신호 입력부 125:제어결과 전송부

Claims (8)

  1. 관리자 단말기와 설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SMS(Shprt message service)를 수신하는 SMS 송수신 모듈; 및
    상기 SMS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SMS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설비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설비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설비제어신호를 상기 설비로 송신하여, 상기 설비가 동작하게 하는 설비제어신호 전송부;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의 동작상태에 관한 제어결과신호를 입력받는 제어결과신호 입력부; 및
    상기 제어결과신호에 따른 제어결과 SMS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결과 SMS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결과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송수신 모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관리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인증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인증된 관리자 단말기일 경우, 상기 설비제어신호가 생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설비의 제어권한이 있는 관리자 단말기들의 전송주소가 저장되는 관리자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인증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전송주소와 상기 관리자 DB의 전송주소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설비의 현재상태에 관한 현재상태 SMS를 더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더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6. 설비 원격 제어 장치가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SMS의 전송이 있는지 감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SMS가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SMS가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인증하는 제 2 단계;
    상기 SMS가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일 경우, 상기 SMS의 명령에 따라 설비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의 동작상태에 관한 제어결과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결과신호에 따른 제어결과 SMS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결과 SMS를 상기 SMS를 전송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인증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전송주소와 상기 설비 원격 제어 장치에 미리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들의 전송주소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설비 원격 제어 장치가 날짜와 시간을 변수로 하는 암호화된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제 2-1 단계;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2-2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번호를 수신하는 제 2-3 단계; 및
    상기 송신한 인증번호와 상기 수신한 인증번호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경우 상기 SMS가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인증하는 제 2-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방법.
KR1020080085445A 2008-08-29 2008-08-29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26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445A KR20100026440A (ko) 2008-08-29 2008-08-29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445A KR20100026440A (ko) 2008-08-29 2008-08-29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440A true KR20100026440A (ko) 2010-03-10

Family

ID=4217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445A KR20100026440A (ko) 2008-08-29 2008-08-29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4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033B1 (ko) * 2012-02-20 2014-05-30 (주)유인프라웨이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5376436A (zh) * 2014-08-25 2016-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访问方法及装置
KR101982005B1 (ko) * 2019-03-12 2019-08-30 박진규 매연 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033B1 (ko) * 2012-02-20 2014-05-30 (주)유인프라웨이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5376436A (zh) * 2014-08-25 2016-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访问方法及装置
KR101982005B1 (ko) * 2019-03-12 2019-08-30 박진규 매연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0310A (zh) 家庭网络系统中的安全管理方法和安全管理设备
CN101366259A (zh) 用于装置在引入连网环境时的自动配置的方法、设备和制品
CN106101147A (zh) 一种实现智能设备与远程终端动态加密通讯的方法及系统
CN103634795B (zh) 无线通信装置和方法
CN105743841A (zh) 智能酒店的房间设备控制权限分配方法、客户端及系统
KR101765917B1 (ko) 개인망 엔티티 인증을 위한 방법
US11328543B2 (en) Key delegation for controlling access
CN107067516A (zh) 开锁方法及系统、及门锁系统
CN109103986A (zh) 变电站远方操作安全防护方法及系统
CN105429960A (zh) 一种对智能家居终端鉴权方法及装置
US201303467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Authentication
CN103716161B (zh) 能够远程控制的智能设备在服务器里认证的方法及装置
CN105553924A (zh) 一种应用于智能家居的安全防护方法、智能家居及系统
CN105825656A (zh) 电器控制方法和装置、空调以及遥控器
CN112042157A (zh) 目标设备在网络上登录的方法
CN114189863A (zh) 智能门锁的绑定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100026440A (ko)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46753A (ko) 단거리 통신을 사용한 네트워크 노드 보안
KR101553482B1 (ko) 비밀번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5553675B (zh) 登录路由器的方法及装置
US20080117837A1 (en) Method for setting wireless lan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lan access point
KR20090041606A (ko) 공기조화 시스템
CN104837182A (zh) 接入控制方法、控制方法、接入控制装置和控制装置
KR101744858B1 (ko) 보안키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2014175698A (ja) スマートアクセ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