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307B1 -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 Google Patents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307B1
KR102062307B1 KR1020170074014A KR20170074014A KR102062307B1 KR 102062307 B1 KR102062307 B1 KR 102062307B1 KR 1020170074014 A KR1020170074014 A KR 1020170074014A KR 20170074014 A KR20170074014 A KR 20170074014A KR 102062307 B1 KR102062307 B1 KR 10206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lock
unit
blocks
uni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661A (ko
Inventor
김관명
양지현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74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307B1/ko
Priority to PCT/KR2017/007107 priority patent/WO2018230763A1/ko
Publication of KR2018013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2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 A63F9/083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with vacant positions or gap mig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2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 A63F9/0838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with an element, e.g. invisible core, staying permanently in a central position having the function of central retaining spider and with groups of elements rotatable about at least three axes intersecting in one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블록으로 유입되어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을 회전하면, 이웃하는 단위 블록의 상기 홈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볼이 연결된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한다.

Description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maze-type cube block}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큐브 블록은 회전을 통해서 각면체의 통일된 색 또는 통일된 모양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맞추는 퍼즐 장남감이다. 사용자는 큐브 블록을 3개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통일된 색이나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각 면의 색이나 모양을 맞추는 것으로는 사용자에게 관심을 쉽게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시간이 길어지면 쉽게 해결할 수 있으므로 흥미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기존의 큐브는 답이 한가지로 정해져 있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이동 경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창의성을 키울 수 있고, 큐브 전체를 돌려가며 볼을 이동볼을 움직여야 함으로, 중력과 공간에 대한 이해를 길러줄 수 있다.
큐브 블록은 완구에 관한 것으로, 현재 아이들의 장난감 시장은 성장추세에 있는 상황이며, 큐브 블록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까지 대중성이 높으므로 새로운 형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예를 들어, 큐브 블록은 일반적으로 많이들 이용하는 3X3, 4X4, 5X5 등의 각면의 엘리먼트를 확장하는 것 이외에, 피라미드, 정십이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큐브 블록에 대해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특히, 큐브 블록의 각 면의 엘리먼트의 확장은 큐브 블록의 조립 방법이 복잡하여 어린 아이들이 접근하기 어려운바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도록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큐브 블록들의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블록으로 유입되어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을 회전하면, 이웃하는 단위 블록의 상기 홈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볼이 연결된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볼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동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은 상기 홈의 상부에 배치되는 투명한 커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블록은 상기 홈이 복수개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블록의 위치 변경에 의해서 상기 홈이 연결하여 생성하는 경로가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큐브 블록의 제1 면에 위치하는 제1 단위 블록의 제1 홈과 연결되면 제1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큐브 블록의 제2 면에 위치하는 제2 단위 블록의 제2 홈과 연결되면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큐브 블록들은 각각 상기 홈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홈이 연결되면 발광하는 조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큐브 블록들은 서로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큐브 블록이 상기 홈을 연결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볼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과,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의 상기 홈을 덮는 투명한 커버부 및 상기 홈과 상기 커버부에 의해 둘러싸인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외부에 보여지는 이동볼을 포함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볼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동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블록은 상기 홈이 복수개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큐브 블록의 제1 면에 위치하는 제1 단위 블록의 제1 홈과 연결되면 제1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큐브 블록의 제2 면에 위치하는 제2 단위 블록의 제2 홈과 연결되면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큐브 블록들은 각각 상기 홈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홈이 연결되면 발광하는 조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큐브 블록들은 서로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큐브 블록이 상기 홈을 연결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볼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는 외측면에 상기 이동볼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큐브 블록은 단위 블록을 회전시켜서 다양한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웃하는 단위 블록들의 배치에 의해서 단위 블록의 홈이 연결되어 생성하는 경로는 서로 다르게 생성되므로 다양한 변형가능성을 가지는 큐브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큐브 블록은 사용자가 이동볼의 이동 경로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가지는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큐브 블록은 사용자가 이동볼의 이동과정을 직접 보면서 큐브 블록을 조립하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을 A-A를 따라 취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의 회전에 따른 배치변화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큐브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큐브 블록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1)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을 A-A를 따라 취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1)은 이동볼(5)과 복수개의 단위 블록(10)을 구비할 수 있다. 단위 블록(10)은 홈(20)과 커버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볼(5)은 큐브 블록(1)에 유입된 후에 단위 블록(10)의 홈(20)을 따라 이동한 뒤에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동볼(5)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면체, 구형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동볼(5)이 구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된 큐브 블록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면체, 사면체, 팔면체, 십이면체, 구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큐브 블록은 2*2, 3*3, 4*4, 5*5 등의 단위 블록이 조립되어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조립된 큐브 블록은 정육면체 형태를 가지고, 일면에 3*3 개의 단위 블록이 조립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위 블록(10)은 3가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코어(2)에 지지되고 하나의 면만 외측에 나타나는 중앙 블록, 큐브 블록(1)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3개의 면이 외측에 나타나는 모서리 블록, 모서리 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면이 외측에 나타나는 가장자리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은 각각 홈(20)을 구비할 수 있다. 홈(20)은 단위 블록(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블록은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 블록은 최대 2개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모서리 블록은 최대 3개 면에 형성될 있다.
각각의 단위 블록(10)에서 홈(20)의 배치는 특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단위 블록(10)은 서로 다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1에서 보여지는 홈(20)의 배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위 블록(10)은 이동볼(5)이 유입되는 유입홀(1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블록(10)은 이동볼(5)이 배출되는 배출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유입홀(15)과 배출홀(미도시)은 서로 다른 단위 블록(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홀(15)과 상기 배출홀은 모서리 블록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볼(5)을 유입홀(15)에 주입하고, 단위 블록(10)을 회전시켜서 이동볼(5)을 배출홀(미도시)으로 이동시켜서 이동볼(5)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큐브 블록(1)은 배출홀 없이 이동볼(5)이 유입홀(15)로 유입된 후에 다시 유입홀(15)로 배출될 수 있다.
홈(20)은 단위 블록(10)의 외측면에 형성되므로 이동볼(5)의 이동과정을 사용자가 집접 볼 수 있다. 홈(20)과 커버부(30)에 둘러싸이는 이동 유로가 형성되므로, 이동볼(5)은 상기 이동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홈(20)의 단위 블록(1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커버부(30)는 투명하므로 미로 형태의 단위 블록(1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이동볼(5)의 이동을 직접 확인하면서 놀이를 할 수 있다.
단위 블록(10)은 적어도 하나의 홈(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홈(20)은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가장자리 블록과 모서리 블록과 같이 복수개의 외측면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각의 외측면을 따라 2개 이상의 방향성을 가지는 홈(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외측면에서도 복수개의 홈이 방향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20)은 복수개의 방향으로 분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상면에서의 중앙 블록은 4개의 방향으로 분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홈(20)의 형태나 개수는 특정 형태나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홈(20)에 의해서 형성되는 유로의 형태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0)는 홈(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0)는 홈(20)을 덮도록 형성되므로, 홈(20)과 커버부(30)에 의해서 이동볼(5)이 이동하는 이동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0)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0)가 투명하므로, 사용자는 이동볼(5)의 이동을 확인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위 블록들을 회전하면, 이웃하는 단위 블록(10)의 각각의 홈(20)이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홈(20)이 연결되므로, 이동볼(5)의 이동 유로가 연장될 수 있다.
도 2a를 보면 단위 블록(10)은 단면도에서 제1 홈(20a) 내지 제11 홈(20k)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b를 보면 단위 블록(10)은 단면도에서 제12 홈(20l) 내지 제19 홈(20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홈(20c)과 제13 홈(20n)이 연결되고, 제6 홈(20f)과 제14 홈(20m)이 연결되고, 제8 홈(20h)과 제16 홈(20p)이 연결되고, 제9 홈(20i)과 제17 홈(20q)이 연결되고, 제11 홈(20k)과 제19 홈(20s)이 연결된다. 연결된 홈(20)이 이동볼(5)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되어 이동볼(5)이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의 회전에 따른 배치변화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단위 블록(10)이 회전하여 이동유로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상면의 큐브 블록(1)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중앙 블록으로 이동볼(5)은 P1으로 이동한 뒤에 P2, P3, P4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외측에 어떠한 단위 블록(10)이 배치하는지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이동볼(5)이 P2방향으로 이동하면, Q1방향으로 연결되고, 이후 다시 Q2방향이나 Q3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b는 단위 블록들을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단위 블록(10)의 배치를 다르게 한 큐브 블록(1)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에서는 이동볼(5)이 P2방향뿐 만 아니라, P3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볼(5)이 P3방향으로 이동하면 R1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2a와 도2b에서 제2홈(20b)과 제18홈(20r)이 연결되어 새로운 이동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c는 단위 블록들을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단위 블록(10)의 배치를 다르게 한 큐브 블록(1)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c에서는 이동볼(5)이 P2방향뿐 만 아니라, P4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볼(5)이 P4방향으로 이동하면 S1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다시 이동볼(5)은 S2방향, S3방향이나 S4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큐브 블록(1)은 단위 블록(10)을 회전시켜서 다양한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단위 블록(10)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이동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단위 블록(10)은 이웃하는 단위 블록의 위치에 따라 홈이 연결되어 생성하는 경로는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블록은 도 3a와 같이 일면의 제1 단위 블록이 연결되어 제1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3b와 같이 다른 면의 제2 단위 블록이 연결되어 제2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c와 같이 또 다른 면의 제3 단위 블록이 연결되어 제3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큐브 블록(1)은 사용자가 이동볼(5)의 이동 경로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가지는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큐브 블록(1)은 사용자가 이동볼(5)의 이동과정을 직접 보면서 큐브 블록(1)을 조립하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큐브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큐브 블록은 이웃하는 단위 블록의 홈이 연결되면 홈을 따라 조명이 생성될 수 있다. 큐브 블록은 조명부와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조명부는 커넥터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명부는 이웃하는 단위 블록의 홈이 연결되면 발광할 수 있다. 조명부는 도 4와 같이 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홈의 내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조명부는 일 예로 LE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는 이웃하는 단위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는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단위 블록의 홈이 연결될 경우에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는 단위 블록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홈에 의해서 생성되는 이동 경로에 따라 각각의 커넥터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제1 단위 블록(10a)은 2개의 외측면에 각각 제1-1홈(20-1)과 제1-2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1홈(20-1)에는 제1a 조명부(50a)가 배치되고, 제1-2홈(20-2)에는 제1b 조명부(51a)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1a 조명부(50a)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a 커넥터(40a)와 제1b 조명부(51a)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b 커넥터(41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단위 블록(10b)은 복수개의 방향성을 가지는 제2-1홈(2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위 블록(10b)은 제2-1홈(20-3)을 따라 배치되는 제2a 조명부(50b)를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2a 조명부(50b)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2a 커넥터(4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a 커넥터(40a)와 제2a 커넥터(40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1홈(20-1)과 제2-1홈(20-3)이 연결되면, 제1a 커넥터(40a)와 제2a 커넥터(4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제1b 커넥터(41a)와 제2a 커넥터(40b)는 연결되지 않는다. 제1b 커넥터(41a)는 다른 단위 블록(미도시)의 커넥터와 연결되어서 제1b 조명부(51a)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단위 블록의 홈에 이동볼이 접촉하면 조명부가 발광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이동볼에서 빛이 발생할 수 있다. 이동볼이 홈에 접촉하면 이동볼에서 빛이 발생할 수 있다.
큐브 블록은 단위 블록에 의해서 생성되는 이동 경로를 따라서 조명부에서 빛이 발생하거나, 이동볼에서 빛이 발생하므로 사용자가 단위 블록 조립에 더욱 흥미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큐브 블록(1‘)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큐브 블록(1‘)은 이동볼(5)을 보관하는 스토리지 홈(11)을 구비할 수 있다. 스토리지 홈(11)은 큐브 블록(1‘)의 각각의 단위 블록(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스토리지 홈(11)이 큐브 블록(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큐브 블록(1‘)의 중앙 영역, 모서리 영역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홈(11)은 유입홀(15)이나 배출홀(미도시)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홈(11)은 이동볼(5)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큐브 블록(1‘)을 사용시에는 이동볼(5)을 스토리지 홈(11)에서 탈착하고, 유입홀(15)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큐브 블록(1‘)의 사용을 종료시에는 이동볼(5)을 스토리지 홈(11)에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스토리지 홈(11)의 내측면(11a)은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볼(5)이 금속 구술인 경우에는 자성에 의해서 이동볼(5)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홈(11)은 이동볼(5)을 억지끼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토리지 홈(11)과 이동볼(5) 사이의 틈을 이용하여 이동볼을 스토리지 홈(11)에서 분리할 수 있다.
큐브 블록(1‘)은 이동볼(5)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홈(11)을 구비하여, 이동볼(5)을 쉽게 보관하고, 큐브 블록(1‘)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큐브 블록
2: 코어
5: 이동볼
10: 단위 블록
20: 홈

Claims (19)

  1.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블록으로 유입되어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은
    상기 홈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이동볼의 이동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커버부;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미사용시에 상기 이동볼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홈;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일부 블록이 다른 블록에 대해서 회전하면, 상기 단위 블록들의 위치 변경에 의해서 상기 홈이 연결되어 생성되는 상기 이동볼의 경로가 변경되며, 상기 이동볼이 변경된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홈은 상기 단위 블록의 표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홈을 커버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의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를 통해서만 상기 이동볼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볼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구비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동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블록은 상기 홈이 복수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큐브 블록의 제1 면에 위치하는 제1 단위 블록의 제1 홈과 연결되면 제1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큐브 블록의 제2 면에 위치하는 제2 단위 블록의 제2 홈과 연결되면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를 형성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큐브 블록들은
    각각 상기 홈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홈이 연결되면 발광하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큐브 블록들은
    서로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큐브 블록이 상기 홈을 연결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볼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광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11.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의 상기 홈을 덮는 투명한 커버부; 및
    상기 홈과 상기 커버부에 의해 둘러싸인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외부에 보여지는 이동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큐브 블록들은
    각각 상기 홈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홈이 연결되면 발광하는 조명부;
    이웃하는 큐브 블록들의 서로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큐브 블록이 상기 홈을 연결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미사용시에 상기 이동볼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일부 블록이 다른 블록에 대해서 회전하면, 상기 단위 블록들의 위치 변경에 의해서 상기 홈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볼의 경로가 변경되며, 변경된 상기 경로를 따라 조명부가 발광하고, 상기 이동볼이 변경된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상기 홈은 상기 단위 블록의 표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홈을 커버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의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를 통해서만 상기 이동볼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볼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구비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동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블록은 상기 홈이 복수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큐브 블록의 제1 면에 위치하는 제1 단위 블록의 제1 홈과 연결되면 제1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큐브 블록의 제2 면에 위치하는 제2 단위 블록의 제2 홈과 연결되면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를 형성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16. 삭제
  17. 삭제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볼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광하는,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홈은 내측면에 자성체가 구비된,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KR1020170074014A 2017-06-13 2017-06-13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KR10206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014A KR102062307B1 (ko) 2017-06-13 2017-06-13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PCT/KR2017/007107 WO2018230763A1 (ko) 2017-06-13 2017-07-04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014A KR102062307B1 (ko) 2017-06-13 2017-06-13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661A KR20180135661A (ko) 2018-12-21
KR102062307B1 true KR102062307B1 (ko) 2020-01-03

Family

ID=6466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014A KR102062307B1 (ko) 2017-06-13 2017-06-13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2307B1 (ko)
WO (1) WO2018230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5932B1 (en) * 2019-10-02 2020-09-08 Kuo-Ming Tsai Maze capable of changing rolling path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1569A (ja) * 2005-03-29 2006-10-12 Zhizhong Fang 迷路式立体パズル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1036A (en) * 1987-11-04 1989-08-29 Tsutomu Watanabe Multi-level crossing maze toy
JP2006000619A (ja) * 2004-05-17 2006-01-05 Goshu Keiki Kogyo Kk 立体迷路形成用玩具
TW200836813A (en) * 2007-03-12 2008-09-16 Wen-Jeng Yen Luminous magic cube
CN202427149U (zh) * 2012-01-06 2012-09-12 周琬芸 一种迷宫魔方
CN203370274U (zh) * 2013-05-16 2014-01-01 陆寅 发光魔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1569A (ja) * 2005-03-29 2006-10-12 Zhizhong Fang 迷路式立体パズル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0763A1 (ko) 2018-12-20
KR20180135661A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7797B1 (ja) 装飾ビーズ玩具及びビーズ玩具セット
JP2005525148A (ja) ブロック玩具
JPS584578A (ja) 内視鏡用插通具の插入口における施栓装置
RU2601923C2 (ru) Фигуры игровые
KR100524153B1 (ko) 자석놀이완구의 패널 구조
KR102062307B1 (ko) 미로 형태의 큐브 블록
WO2007018331A1 (en) Magnetic toy having magnetic blocking plate
US20070187890A1 (en) Assembled spherical building block
KR200389966Y1 (ko) 교육완구용 큐브
JP2010507422A (ja) ストラテジーゲーム
KR200394479Y1 (ko) 입체형 자석놀이완구
CN201154203Y (zh) 立体迷宫玩具
US20080108274A1 (en) Assembled spherical building blocks
KR20120138103A (ko) 자석퍼즐
KR100546070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RU194656U1 (ru) Куб-головоломка
EP1716894A1 (en) Assemblable spherical building blocks
JP6484788B2 (ja) 立体パズル
US6773011B1 (en) Puzzle
US20100244378A1 (en) Jigsaw Puzzle Game
KR20110028698A (ko) 조립 완구
KR20070079213A (ko) 완구용 안전 구슬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472B1 (ko) 입체 게임기
JP2007160064A (ja) ピンポン玉を回すカーソルを利用した五目ならべゲーム
RU2253496C1 (ru) Объемная комбинаторная головолом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