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966Y1 - 교육완구용 큐브 - Google Patents

교육완구용 큐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966Y1
KR200389966Y1 KR20-2005-0004065U KR20050004065U KR200389966Y1 KR 200389966 Y1 KR200389966 Y1 KR 200389966Y1 KR 20050004065 U KR20050004065 U KR 20050004065U KR 200389966 Y1 KR200389966 Y1 KR 200389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cell
nucleus
cells
vari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광식
Original Assignee
한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식 filed Critical 한광식
Priority to KR20-2005-0004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2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육완구용 큐브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 조립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면서 조립시 셀(Cell)의 위치변환 또한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기능의 다양화를 유도하여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사용 연령별로 교육 또한 시킬 수 있어 지능개발및 학습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은 큐브의 중심에 위치하며 자체적으로 자력을 띠거나 또는 자력이 통하도록 된 구형의 핵과, 상기 구형의 핵 외주면에 밀착되어 방향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한 다수의 셀로 구성하되, 상기 셀은 핵의 외주 구면과 동일한 구면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셀에 형성된 구면의 중심에는 핵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자력이 잘 통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자력성질을 가진 부착편을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셀의 외주면(조립후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면을 말함)에는 별도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각종 기호, 숫자, 문자, 도형, 그림 등이 형성된 표식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멍 또는 돌기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표식에는 구멍 또는 돌기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부 또는 요홈을 대응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큐브에 따르면, 셀과 핵의 분해조립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는데다가 셀에 다양한 표식을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게임을 유도함과 동시에 표식의 선택에 따라 사용연령에 맞는 교육 또한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지능개발과 학습능력 향상에 일조 할 수 있는 교육완구용 큐브를 제공하는 특징이 따른다.

Description

교육완구용 큐브{A cube}
본 고안은 교육완구용 큐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큐브를 다수의 셀과 핵으로 분리 구성하여, 분해조립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짐으로서 사용자가 임의의 조합을 할 수 있게 하고, 또, 핵을 중심으로 셀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게임 및 교육방식의 다양화로 지능개발은 물론 학습능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교육완구용 큐브는 정사각형의 입방체로 형성되며, 6개의 면 각각에 9개의 셀이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종래의 큐브는 통상 면마다 셀의 색상을 달리하여 주로 색상을 맞추는 게임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게임과정에서 지능이 발달되게 되어 지능개발 또는 교육용 완구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큐브는 단순히 색상을 맞추는 정도의 게임 이외에 다른 게임이나 교육을 기대할 수 없어 게임이나 교육이 지나치게 획일적이며, 따라서 오래 사용하지 않아 쉽게 싫증이 유발되는 등의 폐단이 따른다.
또한, 큐브를 구성하는 셀을 사용자가 분해 조립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임의로 게임의 형태 등을 다양화시킬 수 없는 등의 한계가 따르게 되며,더불어 셀의 조립부위 형상이 복잡하여 조립과정이 까다롭고, 이로 인해 인력과 시간이 과다 소요되어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폐단도 따랐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큐브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일군의 셀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90°씩 회전시켜가면서 단순히 색상을 맞추는 정도의 게임 외에는 할 수 없는데다가 셀 자체가 전혀 분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게임의 다양화를 이룰 수 없었음은 물론, 셀의 조립부위가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조립과정에서 인력과 시간이 과다 소요되기 때문에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음은 물론, 게임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없음에 따라 쉽게 싫증이 나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큐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셀과 중심의 핵이 손쉽게 분해 조립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게임의 다양화를 이룰 수 있게 하려는 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셀의 표면에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숫자, 문자, 기호, 도형, 그림 등등의 다양한 표식을 별도 형성하여 이를 게임, 또는 교육의 목적 및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게임의 다양화와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 데도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큐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1과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분해 사시도와 종단면도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큐브(10)의 중심에 위치하며 자체적으로 자력을 띠거나 또는 자력이 통하는 재질로 형성된 구형의 핵(1)과, 상기 구형의 핵 외주면에 자력에 의해 밀착되어 자유롭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다수의 셀(2)(2')(2")로 구성하되, 상기 셀(2)(2')(2")은 핵(1)의 외주 구면과 동일한 구면(21)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2)(2')(2")셀에 형성된 구면(21)의 중심에는 핵(1)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자력이 잘 통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자력성질을 가진 부착편(3)을 매립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셀(2)와 (2') 및 (2")는 각각 큐브의 코너부와 중앙부 모서리 및 중앙에 위치하는 셀로 구분 형성되며, 코너부에 위치하는 셀(2)은 3면이 노출되고, 중앙 모서리부분에 위치하는 셀(2')은 2면이 노출되며, 중앙에 위치하는 셀(2")은 1면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또, 상기 셀(2)(2')(2")은 회전시키더라도 항상 본래의 위치를 고수하는 상태로 회전된다.
따라서 각각의 셀(2)(2')(2")에 형성된 구면(21)의 형태는 하나의 핵(1)에 작용하게 됨으로서 동일한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되지만, 그 모양에 있어서는 위치에 따라 상이하며, 구형의 핵(1)에 작용하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위치에 따른 모양의 상이가 당연한 문제이므로 본 고안에 있어서 셀(2)(2')(2")의 구면은 모두 동일한 부호로 설명한다.
한편, 셀(2)(2')(2")의 구면에 설치된 부착편(3)과 핵(1)중 하나는 자성을 가진 물체 즉, 자석이어야 하고, 다른 하나는 자력이 잘 통하는 재질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부착편(3)은 표면이 구면(21)으로 노출되게 하거나 또는 얕게 매립된 상태로 인서트 몰딩하여도 되며,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편(3)을 형성할 경우에는 금속은 물론, 합성수지 자석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기에 셀(2)(2')(2")의 구면에 부착편(3)을 설치하는 구성의 변화 및 재질의 변화는 셀(2)(2')(2")이 핵(1)에 자력을 이용하여 분해 조립되게 한다는 근본 취지에 부합됨으로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제반구성 및 작용이 3열 3단으로 구성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셀(2)의 갯수가 2열 2단으로 되게 함으로서 셀(2)의 모양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핵(1)을 중심으로 회전 및 분해가능하게 구성된 2열 2단구성의 큐브를 구성하는 셀(2) 자체를 노출되는 면마다 대각선 방향으로 다시 2등분 구성하여 하나의 셀(2)이 동일한 크기로 6등분된 여섯개의 분할 셀(2a∼2f)로 구성되게 한 것이며, 따라서 이 경우에는 셀(2)단위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도1∼도3에서와 같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분할 셀(2a∼2f)을 활용하여 회전시킬 때는 대각선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보다 다양한 게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지력개발, 지능 향상, 사고력 증진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이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셀(2)(2')(2")의 노출면 중앙부에 삽입홈(22)(또는 돌기)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22)(또는 돌기)에 이면에 삽입돌기(41)(또는 홈)를 가진 각종 숫자, 각종 문자, 각종 기호, 각종 도형, 각종 부호, 각종 그림 등의 표식(4)을 선택하여 끼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게임의 다양화와 연령에 따른 선택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사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지능이 향상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특히, 도1∼도4에 도시한 본 고안의 큐브(10)는 색상 맞춤은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할 수 있게 되며, 큐브(10)를 구성하는 셀(2)(2')(2")이 모두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다 다양한 조합과 게임의 개발, 그리고 취사선택이 가능하게 되는 특징이 따른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이 큐브(10)를 핵(1)과 셀(2)(2')(2")로 구성하되, 이들이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하고 또, 효율적이고도 신속한 분해조립을 위해 자력을 이용하였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서, 이는 셀(2)(2')(2")이 분해 조립됨에 따라 단순히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셀 조립체가 회전되게 하여 색상 정도를 맞출 수 있게 한 종래의 큐브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다양한 게임을 구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더불어 사용자 스스로 다양한 게임의 개발이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위 경우에 셀(2)(2')(2")의 외주 표면에 색상 외에 각종 그림, 숫자, 기호, 도형 등을 형성하여 색상 맞추기 외에 그림 맞추기, 숫자 맞추기, 기호 맞추기, 도형 맞추기 등을 비롯하여 이들의 조화에 의한 게임 또는 지능교육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종래 큐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다양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셀(2)(2')의 외주면(조립후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면을 말함)에 별도로 형성된 각종 기호, 숫자, 문자, 도형, 그림 등의 표식(4)을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홈(22)(또는 돌기)이 형성되고, 표식(4)에는 상기 삽입홈(22)(또는 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41)(또는 요홈)을 대응 형성함으로서, 사용자의 취향 또는 연령층에 따라 각종 표식(4)을 취사선택하여 숫자 맞추기, 그림 맞추기, 색상 맞추기, 학습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게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숫자와 기호, 그림 등을 조합하여 활용하면 게임 및 교육적 효과 또한 한층 더 다양하게 기대할 수 있어 사용연령에 따른 지능개발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단순히 색상 맞추기의 용도로만 사용되었던 큐브를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게임 및 교육완구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장시간 또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싫증이 유발되지 않게 되며, 오히려 게임 및 교육방법이 변화무쌍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남녀노소 어느 계층에서도 즐겁게 사용할 수 있는 큐브를 제공하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의 큐브는 반드시 정육면체의 형상으로만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깝게 면 처리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높이와 직경이 같은 원기둥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큐브의 형상을 정육면체 외에 원기둥, 구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등의 형상의 변형은 본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큐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셀과 핵의 분해 조립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셀의 표면에 문자, 숫자, 기호, 도형, 그림 등을 비롯한 다양한 표식을 선택적으로 분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게임을 유도함과 동시에 표식의 선택에 따라 사용연령에 맞는 교육 또한 할 수 있어 되어 사용자의 지능개발에 일조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로서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 단면도.

Claims (7)

  1. 큐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큐브(10)의 중심에 위치하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구형의 핵(1);과,
    상기 핵(1)의 외주 구면에 대응하는 구면(21)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면(21)의 중심에 자력이 잘 통하는 재질로 된 부착편(3)을 설치하여서 된 다수의 셀(2)(2')(2")로 구성하여, 핵(1)을 중심으로 분해 조립 및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완구용 큐브.
  2. 제1항에 있어서, 큐브(10)는 2열 2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완구용 큐브.
  3. 제1항에 있어서,
    핵(1)은 자력이 통하는 재질로 형성하고, 부착편(3)은 자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완구용 큐브.
  4. 제2항에 있어서,
    셀(2)은 노출되는 면마다 대각선 방향으로 다시 2등분 구성하여 6등분된 여섯 개의 분할 셀(2a∼2f)로 구성함으로서, 분할셀(2a∼2f)이 핵(1)을 중심으로 가로 및 세로방향의 회전은 물론 대각선 방향으로도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완구용 큐브.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셀(2)(2'(2") 노출면 중앙부에 삽입홈(22)(또는 돌기)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22)(또는 돌기)에 이면에 삽입돌기(41)(또는 홈)를 가진 각종 숫자, 각종 문자, 각종 기호, 각종 도형, 각종 부호, 각종 그림 등의 표식(4)을 선택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완구용 큐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큐브를 구형, 또는 원기둥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완구용 큐브.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부착편(3)을 셀(2)(2')(2")에 매립시켜 부착편(3)의 부착면이 노출되지 않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완구용 큐브.
KR20-2005-0004065U 2005-02-14 2005-02-14 교육완구용 큐브 KR200389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065U KR200389966Y1 (ko) 2005-02-14 2005-02-14 교육완구용 큐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065U KR200389966Y1 (ko) 2005-02-14 2005-02-14 교육완구용 큐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966Y1 true KR200389966Y1 (ko) 2005-07-14

Family

ID=4369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065U KR200389966Y1 (ko) 2005-02-14 2005-02-14 교육완구용 큐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96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166B1 (ko) 2008-11-13 2009-04-22 (주)아트하우스 자석결합부재를 이용한 조합식 완구
KR101761287B1 (ko) 2016-03-14 2017-07-2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이너 소재 교육 및 학습을 위한 소재 매칭 큐브 및 소재 매칭 시스템
KR101799789B1 (ko) 2017-07-10 2017-11-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소재 컨셉 추천을 위한 소재 매칭 시스템
KR101799790B1 (ko) 2017-07-10 2017-11-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소재 매칭 큐브의 회전 정보 인식을 위한 소재 매칭 시스템
KR102137522B1 (ko) * 2019-02-22 2020-07-27 (주)스마트큐브랩스 마그네틱 스마트 매직 큐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166B1 (ko) 2008-11-13 2009-04-22 (주)아트하우스 자석결합부재를 이용한 조합식 완구
KR101761287B1 (ko) 2016-03-14 2017-07-2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이너 소재 교육 및 학습을 위한 소재 매칭 큐브 및 소재 매칭 시스템
KR101799789B1 (ko) 2017-07-10 2017-11-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소재 컨셉 추천을 위한 소재 매칭 시스템
KR101799790B1 (ko) 2017-07-10 2017-11-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소재 매칭 큐브의 회전 정보 인식을 위한 소재 매칭 시스템
KR102137522B1 (ko) * 2019-02-22 2020-07-27 (주)스마트큐브랩스 마그네틱 스마트 매직 큐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7469A1 (en) Polyhedral block-type magnetic toys
US6027117A (en) Geometric and cryptographic puzzle
US7547019B2 (en) Three-dimensional DIY assembly intelligence structure
US20080160875A1 (en) Interconnectible Building Elements For Intellectual Challenge Games
KR200414572Y1 (ko) 덮개와 패널이 설치되는 자석블럭 완구
KR100641366B1 (ko) 자력차단판이 결합된 자석 완구
KR200389966Y1 (ko) 교육완구용 큐브
CA2640667A1 (en) Three dimensional geometric puzzle
CA2669490C (en) Didactic game piece
JPS5875575A (ja) 立体パズル装置
US4034980A (en) Magnetic game board and playing pieces
KR200399428Y1 (ko) 1면 다극 자석이 결합된 자석 완구
KR100937354B1 (ko) 회전이 가능한 조립식 블록 완구
WO2006129903A1 (en) Panel-type magnetic toys
KR100546070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CN101002987A (zh) 可转动球体拼图
KR200450701Y1 (ko) 퍼즐조립체
KR100875290B1 (ko) 퍼즐식 학습놀이구
US20100244378A1 (en) Jigsaw Puzzle Game
KR20050090955A (ko) 교육완구용 큐브
KR20110104143A (ko) 조립용 자석블럭의 표면 구조
KR20050095560A (ko) 조립식 블럭완구
KR102026835B1 (ko) 매쓰 큐브 교구
US6834451B1 (en) Picture ball
KR200394449Y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