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472B1 - 입체 게임기 - Google Patents

입체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472B1
KR101997472B1 KR1020170074919A KR20170074919A KR101997472B1 KR 101997472 B1 KR101997472 B1 KR 101997472B1 KR 1020170074919 A KR1020170074919 A KR 1020170074919A KR 20170074919 A KR20170074919 A KR 20170074919A KR 101997472 B1 KR101997472 B1 KR 101997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disposed
main body
chip
gam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235A (ko
Inventor
안태영
Original Assignee
안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영 filed Critical 안태영
Priority to KR102017007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47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14Three-dimensional game 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47Playing pieces with particular shapes
    • A63F2003/00794Stereometric shapes
    • A63F2003/00813Cub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 A63F2003/00899Instruments for handling a playing piece
    • A63F2003/00902Instruments for handling a playing piece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면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상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게임판; 상기 게임판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게임칩; 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게임판 상에 배치된 상기 게임칩의 위치에 따라 게임 전에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게임의 승패를 판단하는 입체 게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각 면에는 게임판을 부착하여 각 게임판 상에 배치되는 게임칩의 위치를 서로 연결하여 게임의 승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입체적으로 배치된 게임판에 게임칩을 부착하며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여 입체적인 사고력과 독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많은 인원이 동시에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 플라스틱과 같은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게임기{Three dimensional game apparatus}
본 발명은 입체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면체 형태로서 게임판의 탈부착이 가능한 입체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보드게임은 판 위에서 말이나 카드를 놓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진행하는 게임으로서, 세부적으로는 카드로 게임을 진행하는 카드게임과, 주사위 및 병마를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둘 모두를 포괄하여 보드게임이라고 칭한다.
보드게임이란 하나의 보드(board)를 두고 여러 사람들이 함께 모여 게임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상황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진행하는 게임이다. 보드게임은 주어진 상황을 인지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목표를 달성하는 즐거움과 다양한 학습과 창의성 향상, 사회성 향상을 이끌어내는 교육적인 가치를 지닌다. 이에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상상력을 바탕으로 무언가를 끊임없이 만들어가는 메이커 교육으로서 흥미유발, 성취감, 몰입감을 내포하여 학생 지도를 위한 보드게임 개발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학생들은 게임 규칙의 해석과 이해를 통해 게임 상황을 인지하고, 다양한 전략을 짜면서 보드 게임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보드게임의 진행 과정에서 동료 학생들과 경쟁하거나 협력하며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사회성을 신장시킬 수 있으며 보드게임 상에서의 다양한 상호작용은 인지능력, 사고능력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에 평소 보드게임을 좋아하는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롤릿과 러시아워, 자석블럭, 펜타고 등의 보드게임을 동료들과 해 보면서 다양한 보드게임 상황에서 흥미 요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감각요소, 상호작용 요소 등 보드게임의 중요한 원리들을 탐구하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인 보드 게임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학생들의 인지능력, 사고능력 향상에 한계가 있다.
또한, 2차원적인 평판 형태의 게임은 참여자가 2명으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09-0045015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에는 게임판을 부착하여 각 게임판 상에 배치되는 게임칩의 위치를 서로 연결하여 게임의 승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입체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으로 배치된 게임판에 게임칩을 부착하며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여 입체적인 사고력과 독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을 통해 게임판을 실제 모습과 반대의 모습으로 보며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여 입체적인 사고력과 독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인원이 동시에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입체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 플라스틱과 같은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입체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면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상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게임판; 상기 게임판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게임칩; 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게임판 상에 배치된 상기 게임칩의 위치에 따라 게임 전에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게임의 승패를 판단하는 입체 게임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면상에 배치되는 거울; 상기 거울의 가장 자리에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상기 거울의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면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상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게임판; 및 상기 게임판 상에 부착되는 게임칩;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게임판 상에 배치된 상기 게임칩의 위치에 따라 게임 전에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게임의 승패를 판단하는 입체 게임기를 제공한다.
상기 게임은 오델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은 신호등 빼기 빙고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은 입체 사고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울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의 중앙으로는 상기 본체의 일면과 연결되는 회전축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의 형태는, 상기 회전판이 배치되는 상기 본체의 일면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면 꼭지점 측으로는 제1 위치 고정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꼭지점 측으로는 상기 제1 위치 고정 자석에 대응하는 제2 위치 고정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임판은, 상기 회전판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임판의 모서리 측으로는 상기 제2 위치 고정 자석에 대응하는 제3 위치 고정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임판 상에는 상기 게임칩이 부착되는 복수의 칩 부착 자석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각 면에는 게임판을 부착하여 각 게임판 상에 배치되는 게임칩의 위치를 서로 연결하여 게임의 승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으로 배치된 게임판에 게임칩을 부착하며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여 입체적인 사고력과 독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을 통해 게임판을 실제 모습과 반대의 모습으로 보며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여 입체적인 사고력과 독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인원이 동시에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 플라스틱과 같은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체 게임기에서의 회전판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입체 게임기에서의 게임판의 부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게임기를 이용한 여섯 방향 입체 사고 게임의 수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게임기를 이용한 오델로 게임의 수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게임기를 이용한 신호등 빼기 빙고 게임의 수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기(100)는 본체(110), 회전판(120), 게임판(130) 및 게임칩(14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정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아크릴과 같은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지만, 정육면체 형태를 유지하고 후술하는 구성 요소들을 외주에 부착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회전판(120)은 본체(110)의 각 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판(120) 상에는 후술하는 게임판(1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체 게임기에서의 회전판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회전판(120)의 형태는 회전판(120)이 배치되는 본체(110)의 일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판(120)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120)의 중앙으로는 본체(110)의 일면과 연결되는 회전축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회전판(120)의 위치 유지를 위해, 본체(110) 일면의 모서리 부위 각각으로는 제1 위치 고정 자석(112)이 배치되고, 회전판(120)의 모서리 부위 각각에는 제1 위치 고정 자석(112)에 대응하는 제2 위치 고정 자석(122)이 배치된다.
제1 위치 고정 자석(112)과 제2 위치 고정 자석(122)은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120)에 대하여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다면 회전판(120)은 본체(110) 일면상에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게임판(130)은 회전판(120)과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게임판(130)은 회전판(120) 상에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여기서, 게임판(130)의 모서리 측으로는 회전판(120) 상에 배치되는 제2 위치 고정 자석(122)에 대응하는 제3 위치 고정 자석(132)이 배치된다.
제3 위치 고정 자석(132)은 제2 위치 고정 자석(122)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이에 따라 게임판(130)이 회전판(12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게임판(130) 상에는 복수의 칩 고정 자석(134)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도면에 의하면, 16개의 칩 고정 자석(134)이 4x4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석의 개수와 행렬수는 변화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25개의 칩 고정 자석(134)이 5x5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거나, 36개의 칩 고정 자석(134)이 6x6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칩 고정 자석(134)에는 후술하는 게임칩(140)이 부착될 수 있다.
게임칩(14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반 형태로서, 자력에 의해 칩 고정 자석(134)에 부착될 수 있다. 게임칩(140)의 크기는 대략 바둑돌 크기일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게임칩(140)은 게임판(13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정 장소에 배치되거나, 배치된 위치에서 뒤집히는 등의 조작을 수행하며 필요로 하는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칩(140)은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에 따라 표면에 소정의 색상이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칩(140)의 표면 색상은 양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표면의 무늬는 별모양 또는 삼각형 또는 만화 캐릭터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기(100A)는 본체(110), 회전판(120), 게임판(130), 게임칩(140), 거울(150) 및 지지대(160)를 더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거울(150)은 지면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거울(150)은 본체(110)의 하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본체(110) 하부면의 모습을 게임 참여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도면에서, 거울(15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체(110)의 하부면의 모습을 게임 참여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면, 그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거울(150)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100A)의 주위에 둘러앉은 여러 게임 참여자에게 본체(110) 하부면의 모습을 차례대로 보여줄 수 있다.
지지대(16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서, 상단은 본체(110) 하부의 꼭지점 부위에 연결되고, 하단은 거울(15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되어, 거울(150)과 본체(110)의 거리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입체 게임기(100, 100A)는 플라스틱, 아크릴과 같이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널리 보급되고 있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입체 게임기(100)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여섯 방향 입체 사고 게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섯 방향 입체 사고 게임은 소정 개수의 칩을 게임판(130)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게임자가 승리하는 게임으로, 여기서는 게임자가 8개의 칩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였을 때 승리자가 되는 규칙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게임 참여자는 2 명 내지 4명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게임 참여자는 번갈아가며 서로 이웃하는 게임판(130) 상에 차례대로 게임칩(140)을 배치하여 자신의 게임칩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되, 상대 게임 참여자의 게임칩(140)은 연속적으로 배열하지 못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게임기를 이용한 여섯 방향 입체 사고 게임의 수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게임 참여자가 배치한 A 게임칩(140A)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게임판(130)에 걸쳐 8개가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어, A 게임칩(140A)을 사용한 게임자가 승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게임은 일반적인 오목 게임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게임 참여자는 3차원상으로 배치된 게임판(130) 상에서 게임을 수행하므로, 평면 상에서 수행하던 기존의 게임보다 공간 사고력을 더 필요로 한다.
여기서, 도4에 도시된 입체 게임기(100A)를 사용한다면, 거울(150)에 비춰진 게임판(130)은 좌우가 반대로 보이는 등, 실제 모습과 반대되는 모습이므로, 게임 참여자들은 입체 사고 게임 수행 시, 공간 사고력을 더 필요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게임기를 이용한 오델로 게임의 수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입체 게임기(100)의 일측면을 이용하여 오델로 게임을 수행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서는 다음과 같이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참여자 2명이 가위, 바위, 보로 순서와 자석칩 색상을 정한다. 이후, 게임 참여자는 순서대로 원하는 자리에 게임칩을 놓는다.
예들 들어, A 게임칩(140AA)가 3개의 B 게임칩(140BB)을 포위하면, B 게임칩(140BB)은 뒤집어 A 게임칩(140AA)으로 바뀔 수 있다. 여기서, B 게임칩(140BB)이 4개 이상 연결되면 포위할 수 없는 규칙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입체 게임기(100)의 다섯 면을 모두 채워졌을 때, 자신의 게임칩이 많은 게임 참여자가 승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게임기를 이용한 신호등 빼기 빙고 게임의 수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2 내지 4명의 게임 참여자는 신호등 색상(파랑, 빨강, 노랑)에 해당하는 게임칩을 복수로 준비한다. 그리고, 자신의 게임판을 선정한 후, 자신의 게임판에 신호등 색상(파랑, 빨강, 노랑)에 해당하는 게임칩을 부착한다. 이때, 게임 참여자는 상대 게임 참여자의 게임판을 보지 않는다. 여기서는 소정의 신호등을 게임에 사용할 수 있다.
게임 참여자는 신호등의 점등에 따라 자신의 게임칩을 게임판에서 떼어, 가로, 세로, 대각선 등 1줄을 먼저 다 떼는 사람이 승리자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게임을 수행하는 도중, 회전판(120)의 회전시키거나 거울(150)을 회전시키는 게임룰을 추가하면 보다 흥미롭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게임을 수행하는 도중, 회전판(120)을 회전시키거나 거울(150)을 회전시키는 게임룰을 추가하면 보다 흥미롭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입체 게임기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학습의 편리성, 효과성, 용이성이 인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각 면에는 게임판을 부착하여 각 게임판 상에 배치되는 게임칩의 위치를 서로 연결하여 게임의 승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입체적으로 배치된 게임판에 게임칩을 부착하며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여 입체적인 사고력과 독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많은 인원이 동시에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 플라스틱과 같은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A: 입체 게임기
110: 본체 120: 회전판
130: 게임판 140: 게임칩
150: 거울 160: 지지대

Claims (12)

  1. 삭제
  2. 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지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면의 모습을 게임 참여자에게 보여주되, 상기 본체의 하부면의 모습과 반대되는 모습으로 보여주는 거울;
    하단은 상기 거울의 가장 자리에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본체의 꼭지점 부위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본체의 면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상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게임판; 및
    상기 게임판 상에 부착되는 게임칩;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게임판 상에 배치된 상기 게임칩의 위치에 따라 게임 전에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게임의 승패를 판단하는 입체 게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오델로를 포함하는 입체 게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신호등 빼기 빙고 게임을 포함하는 입체 게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입체 사고 게임을 포함하는 입체 게임기.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중앙으로는 상기 본체의 일면과 연결되는 회전축이 배치되는 입체 게임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형태는,
    상기 회전판이 배치되는 상기 본체의 일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입체 게임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 꼭지점 측으로는 제1 위치 고정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꼭지점 측으로는 상기 제1 위치 고정 자석에 대응하는 제2 위치 고정 자석이 배치되는 입체 게임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은,
    상기 회전판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입체 게임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의 모서리 측으로는 상기 제2 위치 고정 자석에 대응하는 제3 위치 고정 자석이 배치되는 입체 게임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 상에는 상기 게임칩이 부착되는 복수의 칩 부착 자석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입체 게임기.
KR1020170074919A 2017-06-14 2017-06-14 입체 게임기 KR101997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919A KR101997472B1 (ko) 2017-06-14 2017-06-14 입체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919A KR101997472B1 (ko) 2017-06-14 2017-06-14 입체 게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235A KR20180136235A (ko) 2018-12-24
KR101997472B1 true KR101997472B1 (ko) 2019-07-08

Family

ID=6501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919A KR101997472B1 (ko) 2017-06-14 2017-06-14 입체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73Y1 (ko) * 2019-04-04 2020-01-30 김수만 자석을 이용한 블록교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95B1 (ko) * 2007-11-01 2011-10-20 남 영 김 입체바둑판을 이용한 게임시스템 및 게임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블로그] 네이버 "https://blog.naver.com/pingmom/130068859771", 2009.09.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235A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488B2 (en) Three dimensional game device
US8087671B2 (en) Spatial puzzle apparatus
US9795869B2 (en) Geometrical shape apparatus
KR101622351B1 (ko) 블록 놀이학습교구
KR101997472B1 (ko) 입체 게임기
US20190275417A1 (en) Multifaced 3-D Puzzle Building Blocks
RU2699846C1 (ru) Головоломка - магнит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EA021219B1 (ru) Игров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в частности игральная кость
GB2064965A (en) Moving-block puzzle
KR20110000788A (ko) 보드게임 세트
RU170680U1 (ru) Комбинаторная головоломка
JP4309861B2 (ja) ゲーム器具
JP2006212363A (ja) 三角形状ゲーム盤と三角錐形駒
JP2007160064A (ja) ピンポン玉を回すカーソルを利用した五目ならべゲーム
JP3808460B2 (ja) 駒並べゲーム具および電子駒並べゲーム機
CN212327389U (zh) 七巧立方玩具
JP3220124U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キーホルダ
US20050285335A1 (en) Geometric random selection device
WO2006121328A1 (en) Three-dimensional board game
JP2011078724A (ja) カード式トライアングル計算パズル具
JP3121336U (ja) 三次元盤ゲーム
US20100109241A1 (en) Image Puzzle
JP2002325879A (ja) 立方体盤面で行う相手の駒を挟んで自分の駒とするゲーム
JP5719072B1 (ja) 球体盤上ゲーム
KR20180126831A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게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