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278B1 - 드럼 유닛 - Google Patents

드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278B1
KR102058278B1 KR1020177027904A KR20177027904A KR102058278B1 KR 102058278 B1 KR102058278 B1 KR 102058278B1 KR 1020177027904 A KR1020177027904 A KR 1020177027904A KR 20177027904 A KR20177027904 A KR 20177027904A KR 102058278 B1 KR102058278 B1 KR 10205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pin
coupling member
drive sid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366A (ko
Inventor
시게미 가모시다
겐 기쿠치
준 미야모토
도모노리 모리
다이스케 아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0126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143333A1/en
Publication of KR2017013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1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without axial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3/20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 F16D3/205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having two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265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in which one coupling part has a tongue received with the intermediate member(s) in a recess with a transverse axis in the other coupling pa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44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the intermediate member being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s by ridges, pins, ball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between cogs
    • F16D3/4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the intermediate member being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s by ridges, pins, ball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between cogs each coupling part embracing grooves or ridges on the intermediat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03G21/1871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1Rotational subunit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드럼 실린더 유닛은 감광 드럼 및 플랜지 부재를 포함한다. 플랜지 부재는 감광 드럼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실린더부, 실린더부의 엣지에 설치되는 홈부 및 기어부를 포함한다. 홈부 및 중공부는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의 외축으로 개방되어 있다.

Description

드럼 유닛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와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드럼 실린더 유닛 및 드럼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플링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이하의 구성이 제안된다: 화상 형성에 관련되는 회전체로서의 감광 드럼, 현상 롤러 등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이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일체화된다. 카트리지 내의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구동력이 장치 본체로부터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측의 커플링 부재를 장치 본체측의 구동 핀(pin)과 같은 구동력 전달 유닛에 결합시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일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장치 본체의 커버를 개폐함으로써 장치 본체의 구동 핀을 회전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갖지 않는 장치 본체가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는, 감광 드럼의 단부에 제공된 커플링 부재가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에 대해 틸팅(tilting)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카트리지에 제공된 커플링 부재가 장치 본체에 제공된 구동 핀에 결합하여, 장치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로 구동력이 전달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33867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12169호
본 발명은 상술한 관련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며, 감광 드럼의 단부에 제공되는 커플링 부재의 감광 드럼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감광 드럼 및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드럼 실린더 유닛으로서, 상기 플랜지 부재는, 상기 감광 드럼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 내부에 중공부(hollow portion)가 형성된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엣지에 설치된 홈부 및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 및 상기 중공부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외측에 개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장치 본체 및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장치 본체에 대한 카트리지를 착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b는 장치 본체에 대한 카트리지를 착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aa는 커플링 부재를 기울이면서, 장치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ba는 커플링 부재를 기울이면서, 장치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b는 커플링 부재를 기울이면서, 장치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bb는 커플링 부재를 기울이면서, 장치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c는 커플링 부재를 기울이면서, 장치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bc는 커플링 부재를 기울이면서, 장치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d는 커플링 부재를 기울이면서, 장치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bd는 커플링 부재를 기울이면서, 장치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드럼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6b는 드럼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커플링 부재와 핀의 설명도이다.
도 7b는 커플링 부재와 핀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커플링 부재와 핀의 설명도이다.
도 8a는 드럼 실린더 유닛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8b는 드럼 실린더 유닛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8c는 드럼 실린더 유닛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9a는 구동측 플랜지의 설명도이다.
도 9b는 구동측 플랜지의 설명도이다.
도 9c는 구동측 플랜지의 단면도이다.
도 9d는 구동측 플랜지의 단면도이다.
도 9e는 구동측 플랜지의 확대도이다.
도 10a는 드럼 실린더 유닛에 대한 커플링 부재와 핀의 조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b는 드럼 실린더 유닛에 대한 커플링 부재와 핀의 조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c는 드럼 실린더 유닛에 대한 커플링 부재와 핀의 조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드럼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11b는 드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드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클리닝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구동측 플랜지의 오버행부(overhang portion)의 설명도이다.
도 13b는 구동측 플랜지의 오버행부의 설명도이다.
도 13c는 구동측 플랜지의 오버행부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구동측 플랜지와 덮개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4b는 구동측 플랜지와 덮개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4c는 구동측 플랜지와 덮개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드럼 실린더 유닛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5b는 드럼 실린더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6a는 드럼 실린더 유닛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6b는 드럼 실린더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7a는 구동측 플랜지 및 핀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7b는 구동측 플랜지 및 핀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7c는 구동측 플랜지 및 핀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7d는 구동측 플랜지 및 핀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8a는 핀 스토퍼(stopper)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18b는 핀 스토퍼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18c는 핀 스토퍼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19a는 구동측 플랜지와 상부 덮개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9b는 구동측 플랜지와 상부 덮개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0a는 드럼 유닛의 조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b는 드럼 유닛의 조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c는 드럼 유닛의 조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구동측 플랜지 및 핀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구동측 플랜지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전자 사진 방식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라고 칭한다. 전자 사진 방식은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상을 토너로 현상하기 위한 방식이다. 1-성분 현상 시스템, 2-성분 현상 시스템 및 건식(dry) 현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임의의 현상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드럼 형상의 실린더의 표층에 감광체를 갖는다.
여기에서,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화상 형성에 관련되는 대전 롤러, 현상 롤러 등을 프로세스 수단이라 칭한다. 화상 형성에 관련되는 감광체 또는 프로세스 수단(예를 들면, 클리닝 블레이드, 현상 롤러)을 갖춘 카트리지를 프로세스 카트리지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 대전 롤러, 현상 롤러 및 클리닝 블레이드가 일체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합기, 팩시밀리 및 프린터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 레이저 빔 프린터를 설명한다. 실시예 중의 참조 부호는 도면을 참조하기 위해 제공되며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의 치수는 관계를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며,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이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과 평행(시트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하다. 길이 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감광 드럼이 회전력을 받는 측이 구동측(피구동측)으로 규정되고, 그 반대측이 비구동측으로 규정된다. 달리 특정하지 않는다면, “위”(상부)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설치했을 때의 중력 방향에서 상부측을 의미하고, 그 반대측이 중력 방향에서 “아래”(하부)로 규정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 프린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는, 감광체(화상 담지체 또는 회전체)로서의 감광 드럼과,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 대전 롤러 및 클리닝 블레이드가 일체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다. 이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다.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회전 부재로서 기어, 감광 드럼, 플랜지, 현상 롤러 등을 갖는다.
회전체/회전 부재 중에, 토너상을 담지 및 반송하는 부재를 화상 담지체라고 칭한다.
이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구성과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이저 빔 프린터와 화상 형성 프로세스)
도 1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인 레이저 빔 프린터 장치 본체 A(이하, “장치 본체 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 B”)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 B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장치 본체 A란,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B를 제외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인 레이저 빔 프린터를 칭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착탈 가능한 전자 사진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었을 때, 카트리지 B는 노광 유닛(노광 장치)인 레이저 스캐너 유닛(3)의 하부에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을 형성하는 대상(목적)인 기록 매체(시트재)로서의 시트 P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 트레이(4)가 카트리지 B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 A에는, 시트 P의 반송 방향 X1을 따라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쌍(5b), 반송 롤러쌍(5c), 전사 가이드(6), 전사 롤러(7), 반송 가이드(8), 정착 장치(9), 배출 롤러쌍(10), 배출 트레이(11)가 배치되어 있다.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장치(9)는 가열 롤러(9a) 및 가압 롤러(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해 개략 설명한다.
인쇄 개시 신호에 따라, 현상제를 담지하여 회전 가능한 감광 드럼으로서의 드럼 실린더(62)가 화살표 R 방향(이하, “회전 방향 R”)으로 소정의 주속도(peripheral speed)(프로세스 스피드)로 회전 구동된다.
드럼 실린더(62)는 감광층이 그 표면에 형성된 드럼 형상(원통형)의 전자 사진 감광체(감광 드럼)이다.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대전 롤러(66)는 드럼 실린더(6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드럼 실린더(62)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노광 유닛으로서의 레이저 스캐너 유닛(3)은 레이저 프린터에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따라 레이저 광 L을 출력한다. 레이저 광 L은 카트리지 B의 상부 표면의 노광 창(74)을 통과하여 드럼 실린더(62)의 외주면을 주사-노광한다. 이에 의해, 드럼 실린더(62)가 일부 제전되고, 감광 드럼 표면에 정전상(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장치로서의 현상 유닛(20)에서, 토너실(29) 내의 현상제(이하, “토너 T”)가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스크류(43)의 회전에 의해 교반 및 반송되어, 토너 공급실(28)에 내보내진다.
현상제로서의 토너 T는, 마그넷 롤러(34)(고정 자석)의 자력에 의해, 현상 유닛(프로세스 수단 및 회전체)으로서의 현상 롤러(32)의 표면에 담지된다. 현상 롤러(32)는 드럼 실린더(62) 상에 형성된 정전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현상제를 현상 영역으로 담지 및 반송하는 회전체로서 기능한다. 현상 영역으로 반송되는 현상 롤러(32) 주위면의 토너 T의 층 두께는 현상 블레이드(42)에 의해 규제된다. 토너 T는 현상 롤러(32)와 현상 블레이드(42)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대전된다.
현상 롤러(32)에 의해 담지된 토너 T가 드럼 실린더(62) 상에 형성된 정전상을 현상(가시화)한다. 드럼 실린더(62)는 그 표면에 현상된 토너(토너상, 현상제상)를 담지하여, 회전 방향 R로 회전한다. 즉, 드럼 실린더(감광 드럼)(62)는 화상(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이다. 현상 롤러(32)는 현상제(토너)를 담지하여 드럼 실린더(62)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담지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광 L의 출력 타이밍에 따라,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쌍(5b) 및 반송 롤러쌍(5c)에 의해, 장치 본체 A의 하부에 수납된 시트 P가 시트 트레이(4)로부터 급송된다.
시트 P가 전사 가이드(6)를 경유하여 드럼 실린더(62)와 전사 롤러(7) 사이의 전사 위치(전사 닙(nip)부)에 공급된다. 이 전사 위치에서, 토너상은 화상 담지체로서의 드럼 실린더(62)로부터 기록 매체로서의 시트 P로 순차로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 P는 드럼 실린더(62)로부터 분리되어 반송 가이드(8)를 따라 정착 장치(9)로 반송된다. 시트 P는 정착 장치(9)를 구성하는 가열 롤러(9a)와 가압 롤러(9b)의 정착 닙부를 통과한다. 이 정착 닙부에서, 시트 P 상의 미정착 토너상이 압력과 열에 의해 시트 P로 정착된다. 그 후,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 P는 배출 롤러쌍(10)에 의해 반송되어, 배출 트레이(11)로 배출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T를 시트에 전사한 후의 드럼 실린더(62)의 표면에는 시트에 전사 되지 않고 드럼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가 부착된다. 잔류 토너는 드럼 실린더(62)의 주위면에 접촉하는 클리닝 블레이드(77)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면, 드럼 실린더(62) 상에 잔류하고 있던 토너가 클리닝되고, 클리닝된 드럼 실린더(62)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되기 위해 다시 대전된다. 드럼 실린더(62)로부터 제거된 토너(잔류 토너)는 클리닝 유닛(60)의 폐토너실(29)에 저장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대전 롤러(66), 현상 롤러(32) 및 클리닝 블레이드(77)는 드럼 실린더(62)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클리닝 블레이드(77)로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방식을 채용했지만, 전하가 조정된 잔류 토너가 현상 장치에서의 현상과 동시에 회수되는 방식(클리너리스(cleanerless) 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클리너리스 방식에서, 잔류 토너의 전하를 조정하기 위한 보조 대전 부재(예컨대, 보조 대전 브러쉬)도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
다음으로, 카트리지 B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카트리지 B의 분해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B의 프레임은 복수의 유닛으로 분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B는 서로 일체화된 2개의 유닛(즉,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실린더(62)를 보유하는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이 2개의 연결 핀(75)으로 연결되지만, 3개 이상의 유닛이 일체화되어도 좋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유닛이 핀과 같은 커플링 부재로 결합되지 않고 사용되어, 유닛 중 일부가 교환될 수 있다.
클리닝 유닛(60)은 클리닝 프레임(71), 드럼 유닛 U1, 대전 롤러(66), 클리닝 블레이드(77) 등으로 구성된다.
드럼 유닛 U1은 드럼 실린더 유닛 U2, 드럼 실린더 유닛 U2의 구동측 단부에 설치되는 커플링 부재(86), 및 핀(88)(도 6a 및 6b 참조)으로 구성된다. 드럼 실린더 유닛 U2는 드럼 실린더(62)와, 드럼 실린더(62)의 구동측에 장착되는 플랜지 부재로서의 구동측 플랜지(87) 등으로 구성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장치 본체 A로부터의 회전력은 구동측 플랜지(87) 및 커플링 부재(86)를 통해 드럼 실린더(62)에 전달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실린더(62)는 회전 축선 L1(이하, “축선 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커플링 부재(86)는, 회전 축선 L2(이하, “축선 L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커플링 부재(86)는 드럼 실린더(62)에 대해 경사(틸팅)질 수 있다. 즉, 구동측 플랜지(87)나 드럼 실린더(62)에 대한 커플링 부재(86)의 경사 각도는 가변이다. 따라서, 축선 L2가 축선 L1에 대해서 경사 가능하다(경사 각도는 가변). 상세한 것은 후술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유닛(20)은 토너 수납 용기(22), 바닥재(21), 제1측 부재(26L)(비구동측), 제2측 부재(26R)(구동측), 현상 블레이드(42), 현상 롤러(32) 및 마그넷 롤러(34)로 구성된다. 토너 용기(22) 내에는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스크류(43)(교반시트 및 현상제로서의 토너 T가 제공된다. 현상 유닛(20)은, 현상 유닛(20)과 클리닝 유닛(60) 사이에 현상 유닛(20)의 자세를 규제하기 위해서 가압력을 인가하는 압축 스프링(46)을 갖는다. 연결 부재로서의 연결 핀(75)에 의해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은 피벗(pivot) 가능하게 연결되어 카트리지 B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현상 유닛(20)의 길이 방향(현상 롤러(32)의 축선 방향) 양단에 제공되는 암부(23aL, 23aR)의 단부에, 피벗 구멍(23bL, 23bR)이 제공된다. 이 피벗 구멍(23bL, 23bR)은 현상 롤러(32)의 축선과 평행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클리닝 유닛(60)측 프레임인 클리닝 프레임(7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연결 핀(75)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71a)이 형성된다. 암부(23aL, 23aR)를 클리닝 프레임(71)의 소정의 위치에 맞추어, 연결 핀(75)이 피벗 구멍(23bL, 23bR)과 삽입 구멍(71a)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이 연결 부재로서의 연결 핀(75)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다.
암부(23aL, 23aR)의 베이스의 각각에 장착된 압축 스프링(46)이 클리닝 프레임(71)에 접촉되어, 피벗 샤프트로서 연결 핀(75)을 중심으로 현상 유닛(20)을 클리닝 유닛(60)에 대해 가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32)는 회전체로서의 드럼 실린더(62)의 방향으로 확실히 가압된다. 현상 롤러(32)의 양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링 형상의 이격 부재로서의 스페이서(미도시)에 의해, 현상 롤러(32)는 드럼 실린더(62)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상술의 구성에서, 카트리지 B의 장치 본체 A에 대한 착탈에 대해 도 4a 내지 도 5b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4b는 장치 본체 A에 대해 카트리지 B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a는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구동측이란 카트리지 B의 커플링 부재(86)가 제공되는 길이 방향의 단부를 가리킨다.
장치 본체 A에는 도어(13)가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4a 및 4b는, 도어(13)가 열린 상태의 장치 본체 A를 나타낸다.
장치 본체 A의 내부에는, 구동 헤드(14)와 가이드 기구로서의 가이드 부재(12)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 A측에 설치된 구동 헤드(14)는 장치 본체 A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B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본체측의 구동 전달 기구이며, 카트리지 B의 커플링 부재(86)와 결합한다. 결합 후에 구동 헤드(14)가 회전하면 카트리지 B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동 헤드(14)는 회전 가능하게 장치 본체 A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헤드(14)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인가부로서의 구동 핀(14b)을 갖는다(도 5bc 참조).
가이드 기구로서의 가이드 부재(12)는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 내로 가이드하는 본체측 가이드 부재이다. 가이드 부재(12)는 가이드 홈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거나, 카트리지 B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면서 카트리지 B를 가이드하는 부재일 수도 있다.
이하, 도 5aa 내지 5bd를 참조하여, 구동력 전달 부품으로서의 커플링 부재(86)를 경사(틸팅, 요동, 선회)지게 하면서, 장치 본체 A에 대해 카트리지 B가 착탈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a 내지 5bd는 커플링 부재(86)를 경사(틸팅, 요동, 선회)지게 하면서, 장치 본체 A에 대해 카트리지 B를 착탈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5aa 내지 도 5ad는 커플링 부재(86) 근방의 영역을 구동측으로부터 비구동측으로 보았을 때의 확대도이다. 또, 도 5ba는 도 5aa의 VB1-VB1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VB1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5bb는 도 5ab의 VB2-VB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VB2 단면도), 도 5bc는 도 5ac를 VB2-VB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VB3 단면도), 도 5bd는 도 5ad의 VB4-VB4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VB4 단면도).
도 5aa 내지 도 5ad의 순서대로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어 가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5ad는,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대해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a 내지 5bd에서, 장치 본체 A의 부품으로서 가이드 부재(12)와 구동 헤드(14)를 나타내며, 그 이외의 부품은 카트리지 B의 부품으로서 나타낸다.
도 5aa 내지 5bd에 있어서의 화살표 X2 및 화살표 X3으로 가리키는 방향은 구동 헤드(14)의 회전 축선 L3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화살표 X2로 가리키는 방향을 X2방향, 화살표 X3으로 가리키는 방향을 X3 방향으로 칭한다. 마찬가지로, X2 방향 및 X3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드럼 실린더(62)의 축선 L1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도 5aa 내지 5bd에서, 화살표 X2로 가리키는 방향은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에 장착하는 방향이다. 화살표 X3으로 가리키는 방향은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이다. 화살표 X2로 가리키는 방향과 화살표 X3으로 가리키는 방향을 총괄하여 착탈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착탈이 방향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 방향 상류”, “장착 방향 하류”, “분리 방향 상류”, “분리 방향 하류” 등의 표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aa 내지 5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B는 가압 부재(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으로서 비틀림(torsion) 스프링(91)을 이용하고 있다. 비틀림 스프링(91)은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를 구동 헤드(14)를 향해 넘어지도록 가압한다. 즉, 카트리지 B의 장착 프로세스에서, 자유 단부(86a)가 장착 방향의 하류를 향하도록 비틀림 스프링(91)은 커플링 부재(86)를 가압한다.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구동 헤드(14)를 향한 상태로, 카트리지 B는 장치 본체 A에 삽입된다.
여기서, 드럼 실린더(62)의 회전 축선을 축선 L1,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축선을 축선 L2, 본체측 결합부로서의 구동 헤드(14)의 회전 축선을 축선 L3으로 규정한다. 도 5ba 내지 도 5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L2가 축선 L1 및 축선 L3에 대해 경사져 있다.
카트리지 B를 도 5ac 및 도 5bc에 나타내는 정도로 삽입하면, 커플링 부재(86)가 구동 헤드(14)에 접촉한다. 도 5bc에서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인가부로서의 구동 핀(14b)이 커플링 부재의 대기부(86k1)와 접촉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접촉은 커플링 부재(86)의 위치(틸팅)을 규제하여, 축선 L2의 축선 L1(축선 L3)에 대한 경사(틸팅)량이 서서히 작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가부로서의 구동 핀(14b)이 커플링 부재의 대기부(86k1)와 접촉한다. 그러나, 커플링 부재(86) 및 구동 헤드(14)의 회전 방향의 위상 상태에 따라서, 커플링 부재(86)와 구동 헤드(14)의 접촉 위치 변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접촉 위치는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커플링 부재의 자유 단부(86a)의 임의의 부위가 구동 헤드(14)의 임의의 부위에 접촉하기만 하면 된다.
장착 완료 위치까지 카트리지 B를 삽입하면, 도 5ad 및 5b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L2는 축선 L1(축선 L3)과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한다. 즉, 커플링 부재(86), 구동 헤드(14) 및 드럼 실린더(62)의 회전 축선이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 B에 설치된 커플링 부재(86)가 장치 본체 A에 설치된 구동 헤드(14)에 결합하면, 장치 본체 A로부터 카트리지 B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본체 A로부터 카트리지 B가 분리될 때, 도 5ad 및 5bd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5aa 및 5ba에 나타낸 상태로 천이 한다. 장착 동작과 동일 방식으로 커플링 부재(86)가 축선 L1에 대해서 경사(틸팅)지게 되면, 커플링 부재(86)는 구동 헤드(14)로부터 분리된다. 즉, 카트리지 B가 X2 방향과는 반대의 X3 방향(구동 헤드(14)의 회전 축선 L3과 실질적으로 직교)으로 이동하여, 커플링 부재(86)가 구동 헤드(14)로부터 분리된다.
카트리지 B가 X2 방향 또는 X3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장착 완료 위치 근방의 영역에서만이다. 장착 완료 위치 근방 이외의 영역에서는, 카트리지 B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좋다. 즉, 커플링 부재(86)가 구동 헤드(14)에 결합 또는 분리되기 직전의 카트리지 B의 이동 궤적이 구동 헤드(14)의 회전 축선 L3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기만 하면 된다.
(드럼 유닛)
클리닝 유닛(60)(도 3 참조)에 통합되는 드럼 유닛 U1에 대해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6b는 드럼 유닛 U1의 설명도이다. 도 6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 유닛 U1은 드럼 실린더 유닛 U2에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을 장착함으로써 구성된다. 이하, 드럼 유닛 U1를 구성하는 각 부품과 조립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플링 부재와 핀)
우선,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여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내지 7c는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구동 헤드(14)가 추가된 커플링 부재(86)를 축선 L2와 수직인 방향으로 본 측면 설명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VIIB-VIIB 선을 따라 절단한 VIIB 단면도이다. 도 7c는 사시도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는 주로 3개의 부분을 갖는다. 제1 부분은 구동 헤드(14)와 결합하여 구동 헤드(14)(그 구동 핀(14b))로부터 회전력을 받는 자유 단부(86a)이다. 제2 부분은 실질적으로 구(spherical) 형상인 결합부(86c)이며, 구동측 플랜지(87)의 중공부(hollow portion)(87e)(상세한 것은 후술한다)에 수용된다. 제3 부분은 자유 단부(86a)와 결합부(86c)를 연결하는 연결부(86b)이다.
자유 단부(86a)는 2개의 돌출부(86a1, 86a2)를 포함하고, 이들은 구동 헤드(14)의 구동 핀(14b)과 접촉하여 구동 헤드(14)의 회전력을 받는다.
결합부(86c)는 실질적으로 구 형상인 구면(86e)과 구면(86e)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부(86d)를 가지고 있다. 결합부(86c)(그 구중심(86f))는, 커플링 부재(86)가 구동측 플랜지(87)에 수용되었을 때에 커플링 부재(86)의 틸트 중심이 된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인 핀(88)은, 관통 구멍부(제1 관통 구멍부)(86d)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핀(88)의 길이 Z5는 구면(86e)의 직경 sφZ4(도 7a 참조)보다 크고, 핀(88)의 양단(88a, 88b)이 구면(86e)보다 외측으로 돌출한다. 구동 헤드(14)로부터 커플링 부재(86)로 회전 방향 R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관통 구멍부(86d)(그 측면(86d1, 86d2))가 핀(88)의 원통면(88c)에 접촉하여, 핀(88)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핀(88)의 양단부(88a, 88b)가 구동측 플랜지(87)의 측면(87f1)(상세한 것은 후술한다)과 접촉하여, 핀(88)이 구동측 플랜지(87)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핀(88)은 커플링 부재(86)의 회전력(구동력)을 구동측 플랜지(87)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이다.
(드럼 실린더 유닛과 구동측 플랜지)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장착되는 드럼 실린더 유닛 U2에 대해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내지 8c는 드럼 실린더 유닛 U2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8a는 구동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비구동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c는 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 실린더 유닛 U2는 드럼 실린더(62), 구동측 플랜지(87), 비구동측 플랜지(64) 및 접지판(65)으로 구성되어 있다. 드럼 실린더(62)는, 외주면이 감광층으로 피복된 예컨대 Al로 이루어진 도전성 부재이다. 드럼 실린더(62)는, 중공(hollow) 또는 내부가 차 있을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87)에 대해, 드럼 실린더(62)의 구동측에서, 고정부(87d)가 드럼 실린더(62)의 개구(62a1)에 끼워 맞추어져, 접착, 코킹(caulking) 및 다른 수단에 의해 드럼 실린더(62)에 고정된다. 구동측 플랜지(87)가 회전하면, 드럼 실린더(62)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동측 플랜지(87)의 회전 축선이 드럼 실린더(62)의 축선 L1과 동축(동일 직선 상)이 되도록, 구동측 플랜지(87)는 드럼 실린더(62)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구동측 플랜지(87)의 회전 축선도 축선 L1로 칭한다.
마찬가지로, 비구동측 플랜지(64)는, 비구동측 플랜지(64)의 회전 축선이 드럼 실린더(62)와 동축이 되도록, 드럼 실린더(62)의 비구동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구동측 플랜지(64)에 대해, 피고정부(64a)가 드럼 실린더(62)의 개구(62a2)에 끼워 맞춰져, 접착, 코킹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드럼 실린더(62)에 고정된다. 비구동측 플랜지(64)에는, 도전성(주로 금속)의 접지판(65)이 배치되어 있다. 접지판(65)은 드럼 실린더(62)의 내주면에 접하여, 미도시한 전기 접점을 추가로 개입시켜 드럼 실린더(62)와 장치 본체 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도 9a 내지 9e를 참조하여, 구동측 플랜지(87)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 내지 9e는 구동측 플랜지(87)의 설명도이다.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구동측의 외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9d는 도 9b의 IXD-IXD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IXC-IXC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e는 도 9d의 일부의 확대도이다(IXE).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87)가 드럼 실린더(62)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측 플랜지(87)는 드럼 실린더(62)에 고정되는 고정부(87d)를 가지고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87)는 중심 축선이 축선 L1인 실린더부(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실린더부)(87a)를 갖는다. 실린더부는 고정부(87d)보다 구동측(고정부(87d)보다 드럼 실린더(62)의 외측: 도 8a 참조)에 배치된다. 구동측 플랜지(87)는 실린더부(87a)의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제2 실린더부(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실린더부)(87b)를 추가로 갖는다. 구동측 플랜지(87)는, 실린더부(87a)와 제2 실린더부(87b)의 사이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홈부(실질적으로 링 형상의 홈부, 제2 홈부)(87c)를 추가로 갖는다.
실린더부(87a)는 반경 방향 내측에 중공부(87e)와 한 쌍의 홈부(87f)를 가지고 있다. 중공부(87e)와 한 쌍의 홈부(87f)는 도 7a 내지 7c에 나타내는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 및 핀(88)의 양단부(88a, 88b)를 각각 수용한다.
중공부(87e)는 축선 L1을 중심 축으로 하는 내주면(87e1)과 축선 L1과 교차(본 실시예에서는 직교)하는 바닥면(87e2)을 가지고 있다. 바닥면(87e2)은 축선 L1에 의해 관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내주면(87e1)이란 실린더부(87a)의 엣지의 내면이다. 바닥면(87e2)은 중공부(87e)의 바닥이 되는 바닥부를 가리킨다.
홈부(87f)는 내주면(87e1)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홈부(87f)는 중공부(87e)를 형성하는 실린더부(87a)의 엣지를 반경 방향 외측에서 패어냄으로써 형성된다. 2개의 홈부(87f)는 축선 L1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축선 L1을 통해 서로 180번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홈부(87f)의 비구동측 단부에는 축선 L1과 교차(본 실시예에서는 직교)하는 평면인 바닥부(87f3)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87f3)는 홈부(87f)의 바닥이 되는 부분이다.
홈부(87f)는, 고정부(87d)와는 반대측(구동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어(홈부(87f)는 실린더부(87a)의 단부까지 도달하도록 형성), 홈부(87f)의 구동측 단부가 개구(87g)가 된다. 또한, 홈부(87f)는 축선 L1 방향을 따른 측면(87f1, 87f2), 축선 L1에 평행하고 축선 L1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87f4)을 갖는다.
도 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87f3)와 개구(87g)와의 사이에는, 측면(87f1)과 측면(87f2) 사이의 거리(폭 Z1)보다 좁은 폭 Z2가 되는 협착부(87h)가 설치되어 있다.
협착부(87h)의 비구동측(바닥부(87f3)측)에는, 축선 L1에 대해 스토퍼 각도 θ1을 갖는 스토퍼부(87h1, 87h2)가 설치되어 있다. 협착부(87h)의 구동측에는, 축선 L1에 대해 삽입 각도 θ2를 갖는 입구부(87h3, 87h4)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각도 θ1 > 삽입 각도 θ2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스토퍼부(87h1, 87h2) 및 입구부(87h3, 87h4)가 설치되어 있다.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린더부(87b)는 현상 롤러(32)(도 2 참조)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그 외주 측의 기어부(87b1)를 갖는다. 링 형상의 홈부(87c)는 후술하는 베어링 부재(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87c1)를 갖는다.
(커플링 부재와 핀의 장착)
도 10a 내지 10c 및 도 11a 내지 11c를 참조하여 드럼 실린더 유닛 U2에 커플링 부재(86) 및 구동 핀(88)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 내지 10c는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을 드럼 실린더 유닛 U2에 조립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a는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조립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c는 도 10b의 XC 가상 평면(핀(88)의 축선(도 10a 참조)이 법선인 평면)을 따라 절단한 XC 단면도이고, 중공부(87e) 근방 영역이 확대되었다. 도 10c는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조립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조립 전의 상태(도 10a)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조립 후의 상태(도 10b)는 가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11a 내지 11c는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이 드럼 실린더 유닛 U2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드럼 유닛 U1의) 설명도이다. 도 11a는 구동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XIB-XIB 선을 따라 절단한 XIB 단면도이고, 도 11c는 도 11a의 XIC-XIC 선을 따라 절단한 XIC 단면도이다.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을 드럼 실린더 유닛 U2에 조립할 때,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88)을 관통 구멍부(86d)에 삽입한 상태로, 핀(88)과 커플링 부재(86)를 축선 L1 방향을 따라 구동측 플랜지(87)에 삽입한다. 중공부(87e)는 축선 L1 방향으로 드럼 실린더(62)의 외측(구동측), 즉 도 10a의 우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86)는 우측으로부터 중공부(87e)로 축선 L1 방향으로 삽입된다.
핀(88)(그 양단부(88a, 88b))과 홈부(87f)의 회전 방향 R로의 위상을 맞추어, 결합부(86c)가 중공부(87e)에 삽입되고, 핀(88)이 홈부(87f)에 삽입된다.
핀(88)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홈부(87f)는 실린더부(87a)의 중심(즉, 축선 L1)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된다.
핀(88)을 홈부(87f)에 삽입시킬 때,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착부(87h)의 폭 Z2는 핀(88)의 직경 φZ3보다 작으므로, 핀(88)을 홈부(87f)에 삽입시키는 데 저항이 발생한다. 핀(88)에 대해 저항을 극복하는 삽입력을 인가함으로써 협착부(87h) 근방 부분이 탄성 변형되어,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이 삽입된다. 그러면, 핀(88)이 협착부(87h)를 통과하여, 홈부(87f)에의 핀(88)의 삽입과 중공부(87e)에의 결합부(86c)의 삽입이 완료된다.
도 11a 내지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이 드럼 실린더 유닛 U2에 조립되고, 드럼 유닛 U1이 완성된다. 이 때, 커플링 부재(86)는, 결합부(86c)가 내주면(87e1)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경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커플링 부재(86)는, 결합부(86c)가 바닥면(87e2)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바닥면(87e2)에 의해 비구동측에서 빠져 나가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면(87e2)은 축선 L1에 의해 관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바닥면(87e2)은 축선 L1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배치에서, 바닥면(87e2)이 축선 L1에 직교하는 구성보다, 바닥면(87e2)이 축선 L1에 경사지는 구성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면(87e2)이 축선 L1에 경사지는 구성이 결합부(86c)의 표면과 가능한 한 평행하게 바닥면(87e2)을 형성할 수 있어, 결합부(86c)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관통 구멍부(86d)(그 비구동측 단부면(86d3), 도 11c 참조)가 핀(88)에 접촉하므로, 커플링 부재(86)는 구동측에서 빠져 나가지 않는다. 관통 구멍부(86d)의 양측면(86d1, 86d2)이 핀(88)과 접촉하므로, 커플링 부재(86)는 회전 방향 R(약간의 놀음(play)을 가지고)에서 위치 결정된다. 핀(88)은 바닥부(87f3)와 협착부(87h)(그 스토퍼부(87h1, 87h2))에 의해 축선 L1 방향으로 빠져 나가지 않고, 대향면(87f4)에 의해 핀(88)의 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핀(88)은 홈부(87f)의 양측면(87f1, 87f2)에 의해 회전 방향 R에 대해서도 위치 결정된다. 커플링 부재(86)에 회전 방향 R로의 회전이 입력되면, 핀(88)을 통해 홈부(87f)중 측면(87f1)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즉, 측면(87f1)이 회전력이 전달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스토퍼 각도 θ1>삽입 각도 θ2의 관계가 충족되므로, 핀(88)을 홈부(87f)에 삽입하는 데 필요한 삽입력이 핀(88)을 홈부(87f)로부터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작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핀(88)을 구동측 플랜지(87)에 조립할 때의 삽입력이 저감될 수 있고, 핀(88)이 구동측 플랜지(87)로부터 쉽게 빠져 나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2개의 홈부(87f) 중 하나만 협착부(87h)를 가질 수 있어 핀(88)의 빠져 나감을 방지한다. 하지만 2개의 홈부(87f)의 양쪽에 협착부(87h)를 설치하는 것이 핀(88)의 빠져 나감을 확실히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이 드럼 실린더 유닛 U2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고 회전력이 커플링 부재(86)로부터 구동측 플랜지(87)에 전달되도록 조립된다. 원통형 내주면(87e1)이 구면(86e)을 지지하므로, 커플링 부재(86)는 구동측 플랜지(87)에 대해 구 중심(86f)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도 11a 및 11b의 K1 방향, K2 방향 및 이들의 합성 방향). 커플링 부재(86)가 K1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기 위해, 핀(88)과 관통 구멍부(86d)(비구동측 단부면(86d3)과 구동측 단부면(86d4))에, 축선 L2 방향으로의 갭 S1이 제공된다(도 7a 내지 7c 참조).
(클리닝 유닛의 구성)
이하, 드럼 유닛 U1을 클리닝 유닛(60)에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클리닝 유닛(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60)의 비구동측에는, 드럼 유닛 U1의 비구동측 플랜지(64)의 베어링부(64a)(도 8b 참조)가 드럼 샤프트(7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드럼 샤프트(78)는 클리닝 프레임(71)의 비구동측에 설치된 지지부(71b)에 압입(press-fitting)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한편, 클리닝 유닛(60)의 구동측에서, 구동측 플랜지(87)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76)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76)의 벽면(판 부분(planar portion))(76h)은 스크류(90)에 의해 클리닝 프레임(71)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76)의 지지부(76a)가 구동측 플랜지(87)의 링 형상 홈부(87c)를 감합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드럼 유닛 U1은 드럼 샤프트(78)와 베어링 부재(76)를 통해 클리닝 프레임(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87)에 링 형상 홈부(87c)를 설치함으로써 구동측 플랜지(87)의 각 부분을 이하와 같이 배치할 수 있다. 즉, 베어링 부재(76)(그 지지부(76a))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피지지부(87c1))이 기어부(87b1), 중공부(87e)(이들에 대해 도 11b 참조) 및 홈부(87f)에 의해 축선 L1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즉,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형상 홈부(87c)(피지지부(87c1)), 기어부(87b1) 및 중공부(87e)의 위치는 축선 L1을 따른 영역 A1 내에서 중첩한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76)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기어부(87b1) 및 중공부(87e)의 축선 L1 방향으로 외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카트리지 B의 축선 L1 방향으로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기어부(87b1)와 홈부(87f)가 축선 L1 방향으로 중첩되므로, 홈부(87f)의 측면(87f1)(도 9e 참조)에서 받은 힘이 안정적으로 기어부(87b1)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축선 L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 기어부(87b1)는 링 형상 홈부(87c)의 외측에 배치되고, 링 형상 홈부(87c)는 중공부(87e) 및 홈부(87f)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부재(76)가 클리닝 프레임(71)에 스크류(90)에 의해 고정되지만, 베어링 부재(76)는 접착제 또는 용해 수지로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클리닝 프레임(71)과 베어링 부재(76)는 서로 일체화되어도 좋다.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카트리지 B가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구동측의 외측(감광 드럼에 대해 축선 방향의 외측: 도 10a에 있어서의 우측)으로부터 드럼 실린더 유닛 U2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카트리지 B의 조립 공정이 간략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는 경사질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 B의 조립 공정에서, 조립 공구나 조립되는 부품과 커플링 부재(86)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86)의 조립의 하류측 공정에 대해서는, 손, 공구, 장치 등으로 커플링 부재(86)의 경사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 커플링 부재(86)가 일단 구동측 플랜지(87)에 조립되면, 카트리지 B의 조립의 하류측 공정은 커플링 부재(86)의 경사를 제어하면서 수행되어야만 한다. 이는 작업 공정에 대한 부하이다.
그 때문에, 커플링 부재(86)의 조립이 카트리지 B의 조립 공정에서 가능한 한 하류측에서 행해질 수 있으면, 커플링 부재(86)의 경사가 규제될 필요가 있는 공정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 구동측 플랜지(87)가 드럼 실린더(62)에 고정된 후에, 구동측 플랜지(87)에 커플링 부재(86)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측 플랜지(87)가 드럼 실린더(62)에 장착되지 전에 커플링 부재(86)가 구동측 플랜지(87)에 장착되는 경우에 비해, 구동측 플랜지(87)를 드럼 실린더(62)에 고정하는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즉, 구동측 플랜지(87)가 드럼 실린더(62)에 고정될 때 구동측 플랜지(87)에 커플링 부재(86)가 없기 때문에, 커플링 부재(86)가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클리닝 유닛(60)에 드럼 실린더 유닛 U2가 조립된 후에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조립되어도 좋다. 이 경우, 클리닝 유닛(60)에 대한 드럼 실린더 유닛 U2의 조립 공정도 간소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이 연결된 후에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이 조립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87e2)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비구동측에 대한 빠져 나감이 막히지만, 구동측에 대한 스토퍼와 같이, 핀(88)과 관통 구멍부(86d)(그 구동측 단부면(86d4))에 의해 빠져 나감이 막힐 수도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핀(88)과 관통 구멍부(86d)(그 구동측 단부면(86d4)) 사이에는 갭 S1이 제공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바닥면(87e2)에 의해 빠져 나감이 막히는 구성이 커플링 부재(86)를 정밀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에 대한 커플링 부재(86)의 스토퍼를 위해 오버행부(187k)가 구동측 플랜지(187)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오버행부(187k) 사이의 간격 φZ6을 결합부(86c)의 직경 φZ4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의 구동측에 대한 빠져 나감이 막힐 수 있다.
오버행부(187k)란, 중공부(187e)의 내벽(실린더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중공부(187e)의 내부(실린더부의 중심측, 반경 방향 내측)로 돌출하는 돌출부이다. 오버행부(187k)가 커플링 부재(86)와 접촉하여, 커플링 부재(86)가 드럼 실린더(62)의 외측(도 13c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오버행부(187k)가 커플링 부재(86)에 걸려서, 구동측 플랜지(187)로부터 커플링 부재(86)가 빠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구동측 플랜지(187)는 기어부(87b1)와 같은 기어부(187b1)를 갖는다.
따라서, 구동측으로의 빠져 나감이 핀(88)과 관통 구멍부(86d)(그 비구동측 단부면(86d3))에 의해 막히는 경우에 비해, 커플링 부재(86)는 보다 정밀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측 플랜지(87)가 일체화된 부재이지만, 2개의 부품이 일체화되어도 좋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 도 14a 내지 14c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4a 내지 14c는 구동측 플랜지(487)와는 별개로 덮개 부재(489)가 제공되는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c는 핀(88)을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바닥면(489e2)과 바닥부(489f3)를 갖는 덮개 부재(489)가 구동측 플랜지(487)에 고정되어 있다. 바닥면(489e2)은, 덮개 부재(489)가 구동측 플랜지(487)에 고정되었을 때에, 중공부(487e)의 바닥을 형성한다. 바닥부(489f3)는 홈부(487f)의 일부를 형성한다. 구동측 플랜지(487)는 기어부(87b1)와 같은 기어부(487b1)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9a 내지 9e에 나타내는 협착부(87h)를 금형 상에 형성하기 위한 구멍(87m)(도 9c 참조)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구동측 플랜지(487)의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덮개 부재(489)가 설치되는 경우, 도 14c에 나타낸 구성으로 핀(88)의 빠져 나감이 또한 막힐 수 있다. 이 구성예에서는, 덮개 부재(489)의 바닥면(489f3)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489h)와 구동측 플랜지(487)의 스토퍼면(487h1)에 의해 협착부(487h)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88)이 개구(487g)로부터 홈부(487f)에 화살표 W1 방향으로 우선 삽입된다. 그 후, 커플링 부재(86)(미도시)와 함께 핀(88)을 회전 방향 R로 회전시킴으로써, 핀(88)이 돌기부(489h)와 스토퍼면(487h1)에 의해 형성되는 협착부(487h)를 넘어,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487f)는 굴곡부 Z3을 갖는다. 즉, 홈부(487f)는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 Z1, 및 제1 부 Z1보다 바닥면(489f3)에 가까이 위치되고 실린더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 Z2를 갖는다. 굴곡부 Z3은, 제 1 부 Z1과 제2 부 Z2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며, 홈부(487f)가 연장되는 방향이 변하는 부분, 즉 홈부(487f)가 굴곡되는 부분이다. 협착부(487h)는 홈부(487f)의 제2부 Z2에 위치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대해 도 15a 내지 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구동측 플랜지(287)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측 플랜지(287)에 대해서도, 홈부(287f)와 협착부(287h)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a 및 15b는 본 실시예에 따라 구동측 플랜지(287)가 설치되는 드럼 실린더 유닛 U22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287)는 실시예 1과 같이, 개구(287g)에서 구동측(축선 방향으로 감광 드럼의 외측)에 개방된 한 쌍의 홈부(287f)를 갖는다. 한 쌍의 홈부(287f)는 실린더부(287a)의 엣지(중공부(287e)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287f)의 양측면(287f1, 287f2) 중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부분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회전 방향 R 상류측의) 측면(287f2)은 탄성 변형부(287k)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변형부(287k)는 바닥부(287f3)로부터 구동측으로 연장되고, 실린더부(287a)와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탄성 변형부(287k)와 실린더부(287a)는 화살표 V 방향으로도 갭 V1을 갖는다. 따라서, 탄성 변형부(287k)는 바닥부(287f3)를 기점으로 도 15b의 화살표 V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된다. 측면(287f2)으로부터, 대향하는 측면(287f1)으로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287h1)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287h1)와 측면(287f1) 사이에, 핀(88)의 직경 φZ3보다 좁은 간격 Z7을 갖는 협착부(287h)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87h1)의 구동측(개구(287g)측)에는 축선 L1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287h2)가 설치되고, 비구동측(바닥부(287f3)측)에는 축선 L1과 직교하는 스토퍼부(287h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플랜지(287)는 기어부(87b1)와 같은 기어부(287b1)를 갖는다.
구동측 플랜지(287)에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을 조립할 때, 핀(88)이 경사부(287h2)에 접촉하게 되어, 탄성 변형부(287k)가 화살표 V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러면, 협착부(287h)가 확장되어, 핀(88)을 통과시킨다. 스토퍼부(287h3)는 축선 L1에 직교하므로, 핀(88)이 구동측에서 빠져 나오려고 해도, 탄성 변형부(287k)가 화살표 V 방향으로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핀(88)을 삽입할 때 협착부(287h)가 용이하게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부(287k)가 설치된다. 탄성 변형부(287k)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실시예 1)와 비교해, 핀(88)을 드럼 실린더 유닛 U22에 조립할 때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는 반대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측면(287f1)측에 탄성 변형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핀(88)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될 때 탄성 변형부가 변형하여, 핀(88)이 돌기부(287h1)를 넘어 빠져 나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측면(287f2)측에 탄성 변형부를 설치하는 것이 더욱 적합하다.
본 실시예의 다른 형태에 대해, 도 16a 및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a 및 16b는 구동측 플랜지(387)를 포함하는 드럼 실린더 유닛 U32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6a 및 16b에 나타내는 구동측 플랜지(387)의 형태에서는, 구동측 플랜지(387)는 실린더부(387a), 중공부(397e), 협착부(387h) 등을 갖는다. 구동측 플랜지(387)는 축선 L1에 대향하는 대향면(387f4)측에, 실린더부(387a)와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탄성 변형부(387k)가 설치되어, 돌기(387h1)를 대향면(387f4)으로부터 축선 L1로 향해 돌출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6a 및 16b에 나타내는 폭 Z32(대향하는 2개의 돌기부(387h1) 사이의 거리)가 협착부(387h)로서 규정되고, 폭 Z32가 핀(88)의 전체 길이 Z5(도 7a 내지 7c 참조)보다 작아지도록 돌기부(387h1)가 설치된다. 구동측 플랜지(387)는 기어부(87b1)와 같은 기어부(387b1)를 갖는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 대해, 도 17a 내지 1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도 구동측 플랜지(587)(687) 이외에는 실시예 1의 구성과 같으므로,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구동측 플랜지(587)(687)에 대해, 홈부(587f)(687f)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a 내지 17d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측 플랜지(587), 구동측 플랜지(687) 및 핀(88)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7a 및 도 17c는 본 실시예의 예를 나타내는 구동측 플랜지(587) 및 구동측 플랜지(687)의 사시도이다. 도 17b 및 17d는 도 17a 및 17c의 구동측 플랜지(587)(687)에 핀(88)을 삽입한 후에 핀(88)의 빠져 나감이 막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 및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587)(687)의 실린더부(587a)(687a)는 한 쌍의 홈부(587f)(687f)를 갖는다. 홈부(587f)(687f)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바닥부(587f3)(687f3)보다 구동측에 위치하는 개구면(587g1)(687g1)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플랜지(587)(687)는 기어부(87b1)와 같은 기어부(587b1)(687b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 587f(687f)는 축선 L1 방향으로 개구면(587g1)(687g1)까지 달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홈부(587f)(687f)의 구동측 단부가 되는 개구(587g)(687g)는 축선 L1 방향으로 개구면(587g1)(687g1)의 위치와 동일 위치에 있다. 개구면(587g1)(687g1)에는, 구동측에 돌출하는 돌출부(587i)(687i)가 실린더부(587a)(687a)와 갭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587i)(687i)에는, 법선이 홈부(587f)(687f)의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축선 L1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587i1)(687i1)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587i)(687i)는 폴리아세탈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구동측 플랜지(587)(687)의 돌출부(587i)(687i) 이외의 부분은 돌출부(587i)(687i)와 동일한 재료 또는 2-컬러 성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측 플랜지(587)(687)의 홈부(587f)(687f)에 핀(88)을 삽입한 후, 열가소성 수지(열변형 가능한 수지)로 이루어진 돌출부(587i)(687i)에, 경사부(587i)(687i)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과 열이 인가된다. 따라서, 도 17b 및 1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587i)(687i)가 홈부(587f)(687f)를 향해 변형되어 스토퍼부(587h)(687h)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개구(587g)(687g)가 막히고, 핀(88)의 빠져 나감을 막을 수 있다. 돌출부(587i)(687i)는, 열변형될 때 핀(88)이 감광 드럼의 축방향 외측(도 17d에서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열변형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을 드럼 실린더 유닛 U52의 구동측의 외측으로부터 조립할 수 있으므로, 드럼 실린더 유닛 U52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비해 구동측 플랜지(587)가 더욱 간단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금형 제작이 더욱 용이하게 되고, 성형 후의 부품 정밀도가 쉽게 안정화된다.
대안적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변형시키지 않고, 다른 방법에 의해 핀(88)의 빠져 나감을 막을 수 있다. 핀(88)의 다른 스토퍼 구성에 대해 도 18a 내지 도 1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a 내지 18c는 핀(88)의 예시적인 스토퍼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8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b 및 18c는, 핀(88)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9a 및 19b는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b는, 핀(88)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핀(88)의 스토퍼 구성의 예로서,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미도시)와 함께 핀(88)을 구동측 플랜지(787)의 홈부(787f)에 삽입한 후, 핫 멜트(hot melt)나 접착제와 같은 접착성의 봉지재 H를 도포해도 좋다. 대안적으로,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부재(789)가 삽입되어, 압입, 접착, 용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다. 도 19a 및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덮개 부재(889)에 홈부(889f)와 스토퍼부(889h)를 포함한 실린더부(889a)를 형성하고, 상부 덮개 부재(889)가 바닥부(887f3)를 갖는 구동측 플랜지(887)에 고정되어도 좋다. 상부 덮개 부재(889)는 구동측 플랜지(887)에 대해 구동측(감광 드럼의 외측)으로부터 장착되어 고정된 고정 부재이다. 상부 덮개 부재(889)는 또한 핀(88)의 이동(빠져 나감)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이다. 구동측 플랜지(787)는 기어부(87b1)와 같은 기어부(787b1)를 갖고, 구동측 플랜지(887)는 기어부(87b1)와 같은 기어부(887b1)를 갖는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해, 도 20a 내지 2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a 내지 20c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드럼 유닛 U91의 조립 설명도이다. 도 20a로부터 도 20c의 순서대로 조립 공정이 사시도에서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0a 내지 2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987)의 형상과 핀(88)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기 때문에, 이들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987)에는, 드럼 실린더(6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987d)의 구동측에, 기어부(987b1) 및 실린더부(987a)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부(987a)는 실시예 1과 같이, 반경 방향 내측에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를 지지하는 중공부(987e)를 가진다. 실린더부(987a)는, 중공부(987e)로부터 외주면(987a1)까지 관통하여, 축선 L1과 직교하는 관통 구멍(제2 관통 구멍부)(987f)을 갖는다.
즉, 2개의 관통 구멍(987f)의 각각은 실린더부(987a)의 엣지를 관통하여 중공부(987e)와 연통한다. 2개의 관통 구멍(987f)은 축선 L1을 통해 서로 180도 대향하게 설치된다. 즉, 2개의 관통 구멍(987f)은 축선 L1(실린더부(987a)의 중심)에 대해서 대칭으로 위치된다.
2개의 관통 구멍(987f) 각각의 직경 φZ9는 핀(88)의 직경 φZ3보다 약간 작다.
구동측 플랜지(987)에 커플링 부재(86) 및 핀(88)을 조립할 때, 우선,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의 결합부(86c)를 중공부(987e)에 삽입한다. 그 다음에, 핀(88)을 한쪽의 관통 구멍(제2 관통 구멍부)(987f)으로부터 중공부(987e)로 향해 삽입한다. 도 2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88)을 커플링 부재(86)의 관통 구멍(제1 관통 구멍부)(86d)를 통과시켜 반대측의 관통 구멍(제2 관통 구멍부)(987f)(도 20c에서는 미도시)까지 삽입한다. 핀(88)이 관통 구멍(987f)에 압입되기 때문에, 핀(88)이 구동측 플랜지(987)에 대해 빠져나오는 것이 막힌다. 이에 의해, 구동측 플랜지(987)에 대한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86)는 드럼 실린더 유닛 U92의 구동측으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같이, 드럼 실린더 유닛 U92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 구멍(987f)으로 핀(88)을 압입함으로써 핀(88)을 고정했지만, 관통 구멍(987f)의 한쪽은 약간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핀(88)이 다른 쪽의 관통 구멍(987f)에만 압입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압입 이외의 다른 임의의 고정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통 구멍(987f)의 직경이 핀(88)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게 설정될 수 있고, 핀(88)이 관통 구멍(987f)에 삽입된 후에, 핀(88)과 관통 구멍(987f) 사이의 갭에 접착제가 도포되어도 좋다. 또한, 핀(88) 중 임의의 하나가 그 단부에 수나사(male screw)로서 형성될 수 있고, 핀(88)을 고정하기 위해 태핑(tapping)되어 관통 구멍(987f)의 한쪽에 삽입된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써 통합되는, 2015년 3월 1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047603호 및 2016년 2월 17일자로 출원된 제2016-028430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Claims (35)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드럼 유닛으로서,
    감광 드럼;
    플랜지 부재;
    관통 구멍부를 포함하는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플랜지 부재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핀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부재는,
    상기 감광 드럼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핀과 접촉 가능하여 상기 핀으로부터 회전력을 수용하는 회전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제공되며, 상기 실린더부와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탄성 변형부로서, 상기 회전 축선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가 구비된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수용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핀과 플랜지 부재에 대한 상기 커플링 부재의 경사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돌기 사이의 폭 Z32는, 상기 핀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핀의 길이 Z5보다 작도록 좁게 되어 있는, 드럼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177027904A 2015-03-10 2016-03-08 드럼 유닛 KR102058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7603 2015-03-10
JP2015047603 2015-03-10
JP2016028430A JP6794117B2 (ja) 2015-03-10 2016-02-17 ドラムシリンダユニット、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ドラムユニット
JPJP-P-2016-028430 2016-02-17
PCT/JP2016/001268 WO2016143333A1 (en) 2015-03-10 2016-03-08 Drum cylinder unit, method for attaching coupling member, and drum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366A KR20170133366A (ko) 2017-12-05
KR102058278B1 true KR102058278B1 (ko) 2019-12-20

Family

ID=5698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904A KR102058278B1 (ko) 2015-03-10 2016-03-08 드럼 유닛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613465B2 (ko)
EP (1) EP3268813A4 (ko)
JP (1) JP6794117B2 (ko)
KR (1) KR102058278B1 (ko)
CN (1) CN107407899B (ko)
AU (1) AU2016230559B2 (ko)
BR (1) BR112017018204A2 (ko)
CA (1) CA3028671C (ko)
CL (1) CL2017002251A1 (ko)
CO (1) CO2017010099A2 (ko)
MA (1) MA44841A (ko)
MX (1) MX2017011036A (ko)
PH (1) PH12017501632A1 (ko)
RU (2) RU2667311C1 (ko)
SG (1) SG11201706983RA (ko)
TW (1) TWI6009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6410B2 (ja) * 2018-02-21 2022-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10656592B1 (en) * 2019-01-09 2020-05-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CN112283259A (zh) * 2020-11-20 2021-01-29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组合式柔性联轴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067B2 (ja) * 1993-06-30 2001-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燃比検出装置の異常診断装置
JP2014112169A (ja) * 2011-12-06 2014-06-1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本体に着脱可能なカートリッジ、感光体ドラム用駆動伝達装置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5005446A1 (ja) * 2013-07-12 2015-01-15 三菱化学株式会社 軸受部材、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現像ローラ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中間部材、及び軸受部材の本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2552A (ja) 2006-11-10 2008-05-29 Murata Mach Ltd 感光体ドラ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135031B2 (ja) 2007-10-05 2013-01-30 株式会社リコー 連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59507B2 (ja) 2008-06-20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TW201026975A (en) 2009-01-06 2010-07-16 Hou-Fei Hu Universal joint
JP2011095604A (ja) 2009-10-30 2011-05-12 Canon Inc 現像装置、回転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683281B2 (ja) * 2010-02-02 2015-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
JP2013174653A (ja) * 2012-02-23 2013-09-05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80556A (ja) * 2012-06-05 2014-05-08 Nsk Ltd 潤滑剤組成物及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前記潤滑剤組成物を封入した転がり軸受
US20140165761A1 (en) * 2012-12-17 2014-06-19 Mitsubishi Kagaku Imaging Corporation Drive transmission par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N203894537U (zh) * 2014-06-12 2014-10-22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组件、感光鼓单元和处理盒
JP2015121776A (ja) * 2013-11-19 2015-07-02 三菱化学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及び一組の端部部材
WO2016143912A1 (en) 2015-03-10 2016-09-15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of drive transmission unit
JP6771899B2 (ja) * 2015-03-10 2020-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駆動伝達ユニットの組み立て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067B2 (ja) * 1993-06-30 2001-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燃比検出装置の異常診断装置
JP2014112169A (ja) * 2011-12-06 2014-06-1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本体に着脱可能なカートリッジ、感光体ドラム用駆動伝達装置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5005446A1 (ja) * 2013-07-12 2015-01-15 三菱化学株式会社 軸受部材、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現像ローラ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中間部材、及び軸受部材の本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44841A (fr) 2019-03-13
EP3268813A1 (en) 2018-01-17
CN107407899A (zh) 2017-11-28
US10613465B2 (en) 2020-04-07
RU2018129136A3 (ko) 2019-04-01
JP6794117B2 (ja) 2020-12-02
MX2017011036A (es) 2017-11-10
SG11201706983RA (en) 2017-09-28
CO2017010099A2 (es) 2017-10-10
KR20170133366A (ko) 2017-12-05
JP2016170402A (ja) 2016-09-23
CN107407899B (zh) 2021-02-26
AU2016230559A1 (en) 2017-09-14
PH12017501632B1 (en) 2018-02-12
CL2017002251A1 (es) 2018-04-13
PH12017501632A1 (en) 2018-02-12
RU2691137C2 (ru) 2019-06-11
EP3268813A4 (en) 2019-03-13
BR112017018204A2 (pt) 2018-04-10
CA3028671A1 (en) 2016-09-15
AU2016230559B2 (en) 2019-09-12
US20180087580A1 (en) 2018-03-29
RU2018129136A (ru) 2019-03-14
TW201638681A (zh) 2016-11-01
CA3028671C (en) 2022-06-21
TWI600985B (zh) 2017-10-01
RU2667311C1 (ru)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3389A1 (en) Cartridge and drum unit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WI489226B (zh) 可裝卸於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本體的卡匣,感光體鼓用驅動傳達裝置的組裝方法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EP1229406B1 (en) Coupling part for photosensitive drum i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1003129B2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of drive transmission unit
KR102058278B1 (ko) 드럼 유닛
JP7146410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A2977914C (en) Drum cylinder unit, method for attaching coupling member, and drum unit
US9921536B2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cartridge, and flange member
US10331077B2 (en) Cartridge where biasing member is reliably held on coupling member
US11526125B2 (en) Cartridg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cartridge
US10156827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12241U (ja) 軸受部材、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26154B2 (ja)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