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071B1 - 장애인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071B1
KR102057071B1 KR1020180110591A KR20180110591A KR102057071B1 KR 102057071 B1 KR102057071 B1 KR 102057071B1 KR 1020180110591 A KR1020180110591 A KR 1020180110591A KR 20180110591 A KR20180110591 A KR 20180110591A KR 102057071 B1 KR102057071 B1 KR 10205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main frame
arm
exerci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현
Original Assignee
(주)개선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개선스포츠 filed Critical (주)개선스포츠
Priority to KR102018011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63B2071/0018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for wheelchair u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가 진입하기 위한 진입 공간 및 운동용구가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 지지대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팔 지지대가 형성된 상기 일 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동기구에 휠체어 진입 공간을 형성시켜 사용자가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운동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휠체어를 타고 내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의 위치를 상하 이동 유닛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의자의 높낮이 조절이 없어도 사용자의 다양한 체구 또는 장애 상태와 관계없이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운동기구 {EXERCISE DEVICE FOR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기구에 휠체어 진입 공간을 형성시켜 사용자가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장애를 가진 장애우 또는 재활 치료자들은 여러 가지 신체적 제약 때문에 운동을 하는 시간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운동에 관심이 있는 장애우 또는 재활 치료자들이 체력 단련을 위한 운동을 하고 싶어도 이들이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를 구비한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이 없으며, 가까운 체육공원에 비치되어 있는 운동기구는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기준에 맞추어 제작되어 있는 관계로 몇몇의 제한적인 기구밖에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헬스운동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제품만 제작되고 있어서 장애우 또는 재활 치료자들이 헬스운동을 하고자 하여도 이와 같은 운동을 하고자 하는 욕망을 만족하게 채워줄 수 있는 적합한 운동기구들이 없는 관계로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스스로 헬스운동을 할 수가 없었다.
특히 휠체어를 타고 있는 경우 암컬 운동기구를 포함하는 다양한 운동기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휠체어에서 내려서 운동을 한 후, 운동이 끝나면 다시 휠체어에 올라타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컬 운동기구를 포함하는 일반인용 운동기구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운동기구와 사용자간의 밀착을 도모하고 있으나 휠체어를 타고 있는 경우 높낮이 조절이 곤란하므로 다른 해결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09481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기구에 휠체어 진입 공간을 형성시켜 사용자가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휠체어가 진입하기 위한 진입 공간 및 운동용구가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 지지대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팔 지지대가 형성된 상기 일 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회동 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이 상호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측 중 상기 팔 지지대가 형성된 일 측이 이와 반대되는 타 측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타 측 단부에 형성되는 무게 추;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 이동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외주 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래칫(Ratchet)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래칫 플레이트와 일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기어와 결합되는 폴(paw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칫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pawl)은 중심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 측이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폴(pawl)의 상기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을 당겨주는 텐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운동기구에 휠체어 진입 공간을 형성시켜 사용자가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운동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휠체어를 타고 내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의 위치를 상하 이동 유닛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의자의 높낮이 조절 없이도 사용자의 다양한 체구 또는 장애 상태와 관계없이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운동기구에 휠체어가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운동기구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운동기구는, 도 1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가 진입하기 위한 진입 공간(110) 및 운동용구가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120)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00), 메인 프레임(100)에 회동 부재(22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 지지대(210)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200), 메인 프레임(100)과 지지 프레임(200)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200)의 팔 지지대(210)가 형성된 상기 일 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메인 프레임(100)은 단면이 타원 형상인 한 쌍의 봉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100)의 단면이 타원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메인 프레임(100)은 한 쌍의 봉이 상호 이격한 상태로 배치되므로, 그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이 이격 공간으로 휠체어(10)가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격 공간이 휠체어(10)의 진입 공간(110)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운동용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20)는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 봉을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100)으로부터 상부로 상승된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운동용구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거치대(120)는 운동용구를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측(도 1의 좌측)에는 운동용구의 웨이트를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운동용구 거치대(120) 및 운동용구의 웨이트 거치대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 프레임(200)은 원 형상의 한 쌍의 봉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며, 일 측 단부가 상호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한 쌍의 봉의 사이 거리는 메인 프레임(100)의 한 쌍의 봉의 사이 거리와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지지 프레임(200)의 연결된 상기 일 측에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 지지대(210)가 형성되며, 팔 지지대(210)가 형성된 상기 일 측에 대향하는 타 측에 무게 추(230)가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200)은 회동 부재(220)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동 부재(220)를 중심으로 양 측이 상호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200)이 회동 부재(220)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팔 지지대(210)는 회동 부재(220)를 축으로 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지지 프레임(200)의 회동 부재(220)를 중심으로 분할된 양 측 중 팔 지지대(210)가 형성된 상기 일 측의 길이가 무게 추(230)가 형성된 상기 타 측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무게 추(230)는 지지 프레임(200)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갈 때 팔 지지대(210)의 무게로 인하여 급격히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200)과 팔 지지대(210)의 무게를 고려한 무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200)의 팔 지지대(210)가 형성된 상기 일 측이 무게 추(230)가 형성된 타 측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무게 추(230)가 지지 프레임(200)의 팔 지지대(210)가 형성된 상기 일 측의 무게보다 가벼운 무게를 갖도록 형성되면, 사용자가 팔 지지대(210)를 내릴 때 급격히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팔 지지대(210)를 올리는 도중에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팔 지지대(210)가 상부로 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하 이동 유닛(300)은 래칫(Ratchet) 플레이트(310), 고정 플레이트(320) 및 폴(pawl, 330)을 포함한다.
먼저, 래칫 플레이트(310)는 지지 프레임(200)에서 메인 프레임(1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외주 면에 기어(311)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320)는 메인 프레임(100)에서 지지 프레임(2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래칫 플레이트(310)와 일부가 맞닿도록 형성된다.
또한, 폴(pawl, 330)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와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폴(pawl, 330)은 중심부가 고정 플레이트(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 측이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에 치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폴(pawl, 330)이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에 결합됨으로써 래칫 플레이트(310)가 고정되어 지지 프레임(200)의 상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폴(pawl, 330)의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와 결합되는 상기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에 텐션 부재(340)가 연결되어 폴(pawl, 330)의 상기 타 측을 당겨주게 된다.
텐션 부재(340)는 일반적인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일 측이 고정 플레이트(320)에 고정되고, 타 측은 폴(pawl, 330)의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와 결합되는 상기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에 연결되어 폴(pawl, 330)을 당겨주게 된다.
한편, 래칫 플레이트(3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312) 및 고정 플레이트(320)에 형성되어 래칫 플레이트(310)의 가이드 홈(31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313)가 더 형성된다. 가이드 홈(312)은 지지 프레임(200)이 상하 이동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돌기(313)가 가이드 홈(312)에 삽입되어 있어 지지 프레임(200)의 상하 이동이 이에 의해 가이드 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32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강 제한 부재(321)가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200)이 하강 제한 부재(321)에 걸림에 의해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상하 이동 유닛(300)에 의해 지지 프레임(200)이 상하 이동 되는 것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와 폴(330)이 결합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에는 팔 지지대(210)가 가장 하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 후, 사용자가 팔 지지대(210)를 위로 올리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와 폴(330)이 상호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2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추기 위해 팔 지지대(210)를 더욱 올리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폴(330)이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를 따라 이동되어 팔 지지대(210)가 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팔 지지대(210)를 끌어 올림으로서 팔 지지대(21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팔 지지대(210)의 위치를 하부로 이동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팔 지지대(210)를 더 끌어올려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와 폴(330)을 분리시킨 후, 팔 지지대(210)를 내리게 되는데 이때 도 2와 같이 팔 지지대(210)를 완전히 내린 후 다시 팔 지지대(210)를 들어 올리면서 높이를 맞추어 위치를 고정 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330)을 텐션 부재(340)가 당기고 있어 래칫 플레이트(310)의 기어(311)와 폴(330)이 분리되었을 때, 폴(33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팔 지지대(210)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위치시킨 후, 거치대(120)에 거치된 운동용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운동기구는 운동기구에 휠체어(10) 진입 공간(110)을 형성시켜 사용자가 휠체어(10)를 탄 상태에서 운동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휠체어(10)를 타고 내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00)의 위치를 상하 이동 유닛(300)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체구 또는 장애 상태와 관계없이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운동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휠체어 100: 메인 프레임
110: 진입 공간 120: 거치대
200: 지지 프레임 210: 팔 지지대
220: 회동 부재 230: 무게 추
300: 상하 이동 유닛 310: 래칫 플레이트
311: 기어 312: 가이드 홈
313: 가이드 돌기 320: 고정 플레이트
321: 하강 제한 부재 330: 폴
340: 텐션 부재

Claims (6)

  1. 휠체어가 진입하기 위한 진입 공간 및 운동용구가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 지지대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팔 지지대가 형성된 상기 일 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회동 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이 상호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측 중 상기 팔 지지대가 형성된 일 측이 이와 반대되는 타 측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타 측 단부에 형성되는 무게 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운동기구.
  4. 휠체어가 진입하기 위한 진입 공간 및 운동용구가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 지지대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팔 지지대가 형성된 상기 일 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 이동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외주 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래칫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래칫 플레이트와 일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기어와 결합되는 폴(pawl);을 포함하는 장애인용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운동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pawl)은 중심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 측이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폴(pawl)의 상기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을 당겨주는 텐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운동기구.
KR1020180110591A 2018-09-16 2018-09-16 장애인용 운동기구 KR10205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91A KR102057071B1 (ko) 2018-09-16 2018-09-16 장애인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91A KR102057071B1 (ko) 2018-09-16 2018-09-16 장애인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071B1 true KR102057071B1 (ko) 2019-12-18

Family

ID=6905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591A KR102057071B1 (ko) 2018-09-16 2018-09-16 장애인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0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38A (ko) 2021-03-15 2022-09-23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KR20230021210A (ko) 2021-08-04 2023-02-14 주식회사 이앤씨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0883B2 (ja) 1996-05-01 1998-03-25 セノー株式会社 筋力鍛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0883B2 (ja) 1996-05-01 1998-03-25 セノー株式会社 筋力鍛練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공보 US4911435(1990.3.27.) 1부.*
미국 특허공보 US6063014(2000.5.16.)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38A (ko) 2021-03-15 2022-09-23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KR20230021210A (ko) 2021-08-04 2023-02-14 주식회사 이앤씨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2421B2 (en) Recumbent hand and foot pedal exercise apparatus with seat accommodating a wheelchair
US8968164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with sliding handle assembly
KR102057071B1 (ko) 장애인용 운동기구
US10814164B2 (en) Neck muscle exercise device
US10894182B2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KR20160107133A (ko) 어깨운동기구
KR101285155B1 (ko)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KR101144976B1 (ko) 복합 헬스 운동기구
KR102626396B1 (ko) 스쿼트 머신
KR101230029B1 (ko) 안전장치를 갖는 역기내리기 운동기구
KR200324294Y1 (ko) 복부와 하체 운동기구
KR20090102473A (ko) 보행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평행봉용 재활보조장치
KR101205343B1 (ko)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KR20130096878A (ko) 보행재활 훈련장치
KR101035491B1 (ko) 헬스 및 재활의료기구용 의자구조체
CN214436235U (zh) 一种儿童康复护理悬吊疗法用悬吊装置
CN111315339A (zh) 高度调节设备
KR102254963B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102675842B1 (ko) 장애인용 운동기구
RU190411U1 (ru) Настен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лиц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которые перемещаются в инвалидных колясках
KR101841012B1 (ko) 편마비 환자용 수동형 보행재활 훈련장치
KR101379266B1 (ko)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JP2002345995A (ja) 平行棒型歩行訓練機
KR20100000829U (ko) 하체 운동기구
CN213047537U (zh) 一种康复科牵引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