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155B1 -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155B1
KR101285155B1 KR1020120077817A KR20120077817A KR101285155B1 KR 101285155 B1 KR101285155 B1 KR 101285155B1 KR 1020120077817 A KR1020120077817 A KR 1020120077817A KR 20120077817 A KR20120077817 A KR 20120077817A KR 101285155 B1 KR101285155 B1 KR 10128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ase frame
disabled
bushing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남
Original Assignee
박일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남 filed Critical 박일남
Priority to KR102012007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63B2071/0018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for wheelchair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의 일측에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에 비장애인이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를 구비하여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 별다른 불편함이 없이 운동기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의자;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암;을 포함하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PUBLIC EXERCISE MACHINE FOR DISABITIES}
본 발명은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의 일측에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에 비장애인이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를 구비하여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 별다른 불편함이 없이 운동기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가슴, 어깨, 등, 팔 등 다양한 신체의 부위를 운동하도록 하는 기구로서 공원이나 천변 등 시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에 구비된다.
하지만 선천적이나 후천적으로 장애를 가진 장애인의 경우 신체적인 제약 때문에 운동을 하는 시간의 감소에 따른 체력저하 및 정신건강, 대인기피 등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더욱이 운동에 관심이 있는 장애인들도 운동을 하고 싶어도 이들이 사용가능한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이 별로 없고, 가까운 공원에 비치되어 있는 운동기구 또한 정상인의 기준에 맞추어 제작되므로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특히 휠체어를 타고서 해당 운동기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휠체어에서 내려서 운동을 한 후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다시 휠체어에 올라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가 개발되었고, 그 일예가 등록특허공보 제10-0653530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고 함)에 개시되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복합헬스운동기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복합헬스운동기구 장치의 분해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합헬스운동기구 장치는 일측으로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일측에 일반인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시트 힌지핀(4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시트(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인이 이용할 경우에는 시트(42)를 회전시켜 의자로 사용하고 장애인이 사용할 경우는 시트(42)를 접어서 등받이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힘이 약한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시트를 회전시켜 등받이로 하는 것이 불편하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653530호(2006. 11. 2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베이스의 일측에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에 비장애인이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를 구비하여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 별다른 불편함이 없이 운동기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의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저항력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힘이 약한 장애인도 무리 없이 운동할 수 있도록 된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관을 이용하여 코일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므로 암의 저항력을 조절이 용이한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의 선단에 형성된 파지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목이 꺽이지 않은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으므로 운동시 근육에 무리를 주지않도록 된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하여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휠체어가 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의자;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암;을 포함하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암과 제2암은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저항력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항력 조절수단은 상기 제1암과 제2암의 기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며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장방형 홈이 형성된 부싱, 상기 부싱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간에 상기 부싱의 장방형 홈에 삽입되는 반경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핀이 형성되고 하단에 분할홈이 형성된 수직축, 상기 수직축의 분할된 홈에 중심이 고정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의 장력이 조절되는 단관, 상기 단관과 상기 부싱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반경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조임너트 및 상기 단관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암과 제2암은 선단에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구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팔이 꺽이지 않도록 상기 파지구가 상기 제1암과 제2암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하여 수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는 베이스의 일측에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에 비장애인이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를 구비하여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 별다른 불편함이 없이 운동기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는 암의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저항력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힘이 약한 장애인도 무리 없이 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는 단관을 이용하여 코일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므로 암의 저항력을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는 암의 선단에 형성된 파지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목이 꺽이지 않은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으므로 운동시 근육에 무리를 주지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하여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휠체어가 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복합헬스운동기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복합헬스운동기구 장치의 분해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의 저항력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의 저항력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의 저항력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의 저항력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휠체어(W)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암(12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에 형성된 의자(118)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암(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지면과 설치되는 베이스부(110a)와, 상기 베이스부(110a)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1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0a)는 상기 수직부(110b)의 하중과 운동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도 요동하지 않도록 중량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은 휠체어(W)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118)는 사용자의 편안한 상태에서 운도알 수 있도록 등받이(119)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직부(110b)의 측면에는 양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보조프레임(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애인 사용자의 휠체어(W)가 이 보조프레임(112)의 내부로 진입하여 수용되므로 휠체어(W)가 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장애인 사용자가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어지러움증 등이 발생할 경우 보조프레임(112)을 잡을 수도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제1암(120)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에는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암(13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암(120)은 휠체어(W)를 탄 장애인이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암(130)은 비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암(120)과 제2암(130)은 위치만 서로 상이하고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암(120, 130)은 중간이 하향으로 절곡된 앵글형상으로 하부에 내측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구(122, 13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구(122, 132)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이 꺽이지 않으므로 부자연스러운 운동자세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암(120, 1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수직부(110b)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의 공용 운동기구는 상기 암(120, 130)의 회전시 저항력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력 조절수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저항력 조절수단(140)은 상기 제1암(120)과 제2암(130)의 기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며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장방형 홈(142a)이 형성된 부싱(142), 상기 부싱(142)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간에 상기 부싱(142)의 장방형 홈(142a)에 삽입되는 반경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핀(144a)이 형성되고 하단에 분할홈(144b)이 형성된 수직축(144), 상기 수직축(144)의 분할홈(144b)에 중심(146a)이 고정설치되는 코일스프링(146), 상기 부싱(14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상기 코일스프링(146)의 선단 돌기(146b)가 삽입되는 홈(148a)이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146)의 장력이 조절되는 단관(148), 상기 단관(148)과 상기 부싱(142)의 외주면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조임너트(149) 및 상기 단관(148)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커버(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싱(142)은 제1암(120)과 제2암(130)의 기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부싱(142)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따라 수직축(144)의 핀(144a)이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장방형 홈(142a)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축(144)은 부싱(142)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간에 상기 부싱(142)의 장방형 홈(142a)에 삽입되는 핀(144a)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축(144)의 하단에는 코일스프링(146)의 중심(146a)을 고정하기 위한 분할홈(144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146)이 장착된 상태에서 낙하하지 않도록 하단부에 스냅링(144c)이 설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46)은 그 중심(146a)이 상기 수직축(144)의 분할홈(144b)에 고정설치되며 선단에는 돌기(14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관(148)은 코일스프링(146)의 선단의 돌기(146a)가 삽입되는 홈(148a)이 형성되어 있고 부싱(14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관(148)에는 상기 단관(148)을 부싱(142)에 일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조임너트(14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149)를 푼 상태에서 상기 단관(148)을 회전시키면 상기 단관(148)이 회전하면서 코일스프링(146)의 선단이 회전하여 코일스프링(146)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커버(150)는 상기 단관(148)의 하부에 설치되어 단관(148)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46)이 설치되는 단관(148)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제1암
130 : 제2암
140 : 저항력 조절수단
142 : 부싱
144 : 수직축
146 : 코일스프링
148 ; 단관
149 : 조임너트
150 : 커버
W : 휠체어

Claims (5)

  1. 일측으로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의자;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1암과 제2암은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저항력 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저항력 조절수단은 상기 제1암과 제2암의 기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며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장방형 홈이 형성된 부싱, 상기 부싱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간에 상기 부싱의 장방형 홈에 삽입되는 반경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핀이 형성되고 하단에 분할홈이 형성된 수직축, 상기 수직축의 분할된 홈에 중심이 고정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의 장력이 조절되는 단관, 상기 단관과 상기 부싱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반경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조임너트 및 상기 단관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2. 일측으로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의자;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1암과 제2암은 선단에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구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팔이 꺽이지 않도록 상기 파지구가 상기 제1암과 제2암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하여 수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KR1020120077817A 2012-07-17 2012-07-17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KR101285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17A KR101285155B1 (ko) 2012-07-17 2012-07-17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17A KR101285155B1 (ko) 2012-07-17 2012-07-17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155B1 true KR101285155B1 (ko) 2013-07-16

Family

ID=4899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817A KR101285155B1 (ko) 2012-07-17 2012-07-17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1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38A (ko) 2021-03-15 2022-09-23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KR20230021210A (ko) 2021-08-04 2023-02-14 주식회사 이앤씨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36310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이앤씨 재활 운동 기구
KR20230140693A (ko) 2022-03-30 2023-10-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신체 능력 재활을 위한 iot 기반 장애인용 안전운동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40037431A (ko) 2022-09-14 2024-03-22 주식회사 이앤씨 휠체어 탑승 장애인용 재활 운동 기구
KR20240052162A (ko) 2022-10-13 2024-04-23 주식회사 이앤씨 운동 자세 모니터링 기능이 포함된 휠체어 탑승 장애인용 재활 운동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975B1 (ko) * 2010-07-12 2011-03-03 장기수 재활인과 일반인 겸용 운동기구
KR200464221Y1 (ko) * 2009-08-07 2012-12-18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복근 운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221Y1 (ko) * 2009-08-07 2012-12-18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복근 운동기
KR101018975B1 (ko) * 2010-07-12 2011-03-03 장기수 재활인과 일반인 겸용 운동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38A (ko) 2021-03-15 2022-09-23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KR20230021210A (ko) 2021-08-04 2023-02-14 주식회사 이앤씨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36310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이앤씨 재활 운동 기구
KR20230140693A (ko) 2022-03-30 2023-10-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신체 능력 재활을 위한 iot 기반 장애인용 안전운동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40037431A (ko) 2022-09-14 2024-03-22 주식회사 이앤씨 휠체어 탑승 장애인용 재활 운동 기구
KR20240052162A (ko) 2022-10-13 2024-04-23 주식회사 이앤씨 운동 자세 모니터링 기능이 포함된 휠체어 탑승 장애인용 재활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155B1 (ko)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JP3579429B2 (ja) 身体障害者の移動用可動式回動円形プラットホーム
US6368260B1 (en) Rehabilitation chair
US10016324B1 (en) Walker
US10894182B2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KR101629724B1 (ko)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이동방법
KR102022567B1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KR20180048471A (ko) 복합운동기구
JP2006305123A (ja) 義足
KR200436896Y1 (ko) 헬스 운동 보조 기구
KR20230001757U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11660499B2 (en)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KR101790441B1 (ko) 보행보조기 겸용 휠체어
US5529561A (en) Leg press
WO2016019624A1 (zh) 一种腿部康复护理移动椅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EP3122304A2 (en) A wheelchair of self propelled type for disabled people, provided with a reclining backrest that allows the user to put his ankles when it is sitting back to front
JP6535940B2 (ja) 運動補助器具
TWM469904U (zh) 多功能行動復健輔具
KR100407093B1 (ko) 다목적 운동 기구
JP5006995B2 (ja) 旋回運動補助具
JP2000254178A (ja) シーソー式起立補助椅子
WO2016019623A1 (zh) 一种腿部康复训练护理车
JP3020788U (ja) 松葉杖の機能を持つ歩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