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471A - 복합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합운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8471A KR20180048471A KR1020180046250A KR20180046250A KR20180048471A KR 20180048471 A KR20180048471 A KR 20180048471A KR 1020180046250 A KR1020180046250 A KR 1020180046250A KR 20180046250 A KR20180046250 A KR 20180046250A KR 20180048471 A KR20180048471 A KR 201800484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disposed
- actuating
- independent
-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2—Abdomen moving torso and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합운동기구는,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1 작동바; 상기 제1 작동바의 아래에 배치되어 바닥에 접촉하는 제2 작동바; 그리고 상기 제1 작동바의 전방과 상기 제2 작동바의 전방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작동바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작동바는, 상기 힌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의 회전축과 수직한 제2-1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수직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2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1 절곡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1 몸체와 나란한 제2-3 몸체; 그리고 상기 제2-2 몸체와 상기 제2-3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2 절곡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체단련을 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어깨 팔 운동을 통한 상체단련 및 다리 사이에 끼고 조이거나 이완시키는 괄약근운동은 물론, 윗몸일으키기를 통한 복근단련 및 스테퍼 다리운동을 통한 하체단련까지 포함하는 모든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복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팔 근력을 강화하거나, 어깨나 목 등의 근육이 뭉치는 경우 이를 풀어주고 근력을 단련하기 위한 상체단련기구, 완력기 내지는 맛사지 운동기구 등이 널리 제공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종래기술이 도 1에, 좌로부터 우로 그리고 위로부터 아래로, 등록특허 제1731790호(2017.04.25.); 등록특허 제1523545호(2015.05.21.); 등록특허 제1351991호(2014.01.09.); 등록특허 제1351991호(2014.01.09.); 등록특허 제1576738호(2015.12.04.); 및 등록특허 제1351773호(2014.01.08.);의 순서대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복부의 살을 빼고 허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윗몸일으키기와 같은 복근운동이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있고, 다리의 군살을 빼고 근력을 기르기 위하여서는 페달운동이나 스텝운동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에는, 등록특허 제1498675호(2015.02.26.) 및 등록실용신안 제478887호(2015.11.20.)가 개시되어 있다.
나이가 고령이 되거나 출산이후나 운동부족이나 부상 또는 병력 등의 이유로 괄약근이 퇴화, 약화되는 경우, 이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양 다리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괄약근 단련 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팔, 어깨 및 목 등의 상체강화운동, 전신의 근력강화 및 스트레칭 노젓기운동, 복근 및 스텝운동 등을 하나의 운동기구로 통합할 운동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각 구성요소를 접철시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보관성과 휴대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는 제1 독립부를 포함한다. 더하여, 제2 독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독립부 및 상기 제2 독립부는 각각,
제1 작동부; 제2 작동부; 및 힌지부;를 포함한다. 더하여, 저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부 및 상기 제2 작동부는 각각,
제1 몸체; 제1 절곡부; 제2 몸체; 제2 절곡부; 및 제3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는 종측으로 진행하고; 상기 제2 몸체는 횡측으로 진행하고; 상기 제3 몸체는 다시 종측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가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3 몸체 사이가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작동부의 제1 몸체의 전방과 상기 제2 작동부의 제1 몸체의 전방을 서로 힌지 결합시킨다.
상기 저항부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회전운동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제1 작동부와 상기 제2 작동부의 거리 변동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한다.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는 상기 제1 독립부 및 상기 제2 독립부와 함께 구속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1 독립부와 상기 제2 독립부를 서로 구속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구속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독립부에 또는 상기 제2 독립부에 탈부착 고정되고, 상기 구속부의 타단은 상기 제2독립부에 또는 상기 제1 독립부에 탈부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구속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 작동부 또는 상기 제2 작동부는,
파이프가 동일 평면상에서 적어도 두 번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제1 몸체; 제1 절곡부; 제2 몸체; 제2 절곡부; 및 제3 몸체;를 이룬다.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횡측으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3 몸체가 종측의 후방으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3 몸체는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 종측으로 놓이고, 그 사이에 상기 제2 몸체는 횡측으로 놓여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3 몸체를 연결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 제1 작동부와 상기 제2 작동부는 상하에 배치되며 각 전방이 힌지부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작동부의 제1 몸체 전방은 상기 제2 작동부의 제1 몸체 전방과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작동부 또는 상기 제2 작동부 중 바닥에 놓이는 것의 제1 몸체; 제1 절곡부; 제2 몸체; 제2 절곡부; 및 제3 몸체;는 서로 어우러져 바닥에 대하여 수평하게 접촉하며 최소한 3곳의 지지점을 이루어서 자립하여 넘어지지 않고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저항부는 상기 제1 작동부와 상기 제2 작동부에 사이에 구성되어 양자의 상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게된다. 상기 저항부는 상기 힌지부 자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결국은 상기 힌지부에 구성된 저항부의 저항력이 최종적으로 상기 제1 작동부와 상기 제2 작동부 사이에 전달 작용되도록 구성되므로, 저항부가 상기 제1 작동부와 상기 제2 작동부에 사이에 구성된 것과 동일하게 보기로 하며, 설명 및 표현에 상관 없이 동일한 의미로 해석한다.
상기 저항부는 상기 힌지부의 마찰력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마찰력을 가하여 저항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작동부를 상기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펼치거나 접을 때 양 쪽 다 저항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부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제공되어서, 상기 저항부의 일단이 상기 제1 작동부에 저항력을 가하고 상기 저항부의 타단은 상기 제2 작동부에 저항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을 실시하여 힘을 가하면 상기 제1 작동부와 상기 제2 작동부가 상기 힌지부를 회전의 축으로 회전할 시에 저항력에 의한 부하를 제공하고 상기 힘이 해지되면 탄성력으로 원위치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합운동기구는,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1 작동바; 상기 제1 작동바의 아래에 배치되어 바닥에 접촉하는 제2 작동바; 그리고 상기 제1 작동바의 전방과 상기 제2 작동바의 전방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작동바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작동바는, 상기 힌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의 회전축과 수직한 제2-1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수직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2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1 절곡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1 몸체와 나란한 제2-3 몸체; 그리고 상기 제2-2 몸체와 상기 제2-3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2 절곡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2 몸체, 그리고 상기 제2-3 몸체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바는, 상기 힌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의 회전축과 수직한 제1-1 몸체; 상기 제1-1 몸체와 수직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몸체; 상기 제1-1 몸체와 상기 제1-2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1-1 절곡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1 몸체와 나란한 제1-3 몸체; 그리고 상기 제1-2 몸체와 상기 제1-3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1-2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작동바는 상하대칭일 수 있다.
상기 복합운동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바를 감싸는 쿠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운동기구는, 상기 힌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2 몸체와 나란한 연장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운동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바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전운동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저항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합운동기구는,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독립부;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독립부를 결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독립부는,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1 작동바; 상기 제1 작동바의 아래에 배치되어 바닥에 접촉하는 제2 작동바; 그리고 상기 제1 작동바의 전방과 상기 제2 작동바의 전방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작동바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작동바는, 상기 힌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의 회전축과 수직한 제2-1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수직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2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1 절곡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1 몸체와 나란한 제2-3 몸체; 그리고 상기 제2-2 몸체와 상기 제2-3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2 절곡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속부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독립부의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 독립부의 상기 제2-1 몸체에 각각 결착가능한 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독립부의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 독립부의 상기 제2-1 몸체에 각각 결착가능하고, 아래에서 위로 오목하게 패인 한 쌍의 결착홈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좌우측에 상기 결착홈들이 배치되는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의 구성이나 상기 저항부의 구성은 물론, 저항부의 저항력에 변동을 주는 구성은 공지공용되는 종래기술을 인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구성요소를 합체한 상태에서, 윗몸일으키기를 통한 복근단련, 스테퍼 다리운동을 통한 하지단련, 노젓기운동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반대로 각 구성요소를 독립적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손에 들고 상체근육강화운동, 양 다리 사이에 끼워서 괄약근단련 등을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이 경우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분리된 각 부분을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접철시키거나 독립적으로 분리시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운반,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여러가지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도 2 A는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 B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A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 B의 좌우측 각 도면은 다른 방향에서 보인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윗 도면은 외부에서 하중을 가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아랫 도면은 하중을 가한 후의 상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로서, 윗 도면은 제1 독립부와 제2 독립부를 함께 배치하고 이를 결속할 구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아랫 도면은 구속부의 다른 예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후방 아래에서 올려다 보인 사시도로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도 2 A는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 B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A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 B의 좌우측 각 도면은 다른 방향에서 보인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윗 도면은 외부에서 하중을 가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아랫 도면은 하중을 가한 후의 상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로서, 윗 도면은 제1 독립부와 제2 독립부를 함께 배치하고 이를 결속할 구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아랫 도면은 구속부의 다른 예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후방 아래에서 올려다 보인 사시도로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운동기구는 제1 독립부(100a)만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제2 독립부(100b)가 추가되어 함께(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제1 독립부(100a)와 상기 제2 독립부(100b)는 좌우에 배치되며 서로 좌우 대칭적인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명칭은 상대적인 것으로서 좌우 배치위치에 따라 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독립부(100a) 및 상기 제2 독립부(100b)는 각각, 제1 작동부(100a1)와 제2 작동부(100a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100a1)의 전방과 상기 제2 작동부(100a2)의 전방은 힌지부(200)를 통하여 힌지결합이 된다. 더하여, 상기 힌지부(200)의 회전운동에 저항을 가할 저항부(300)를 추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제1 작동부(100a1)와 상기 제2 작동부(100a2)는 상하에 배치되며 서로 상하 대칭적인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명칭은 상대적인 것으로서 상하 배치위치에 따라 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한 운동방법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제1 독립부(100a)만 단독으로 분리시켜 사용하는 방법으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팔로 하는 완력기 운동, 등 뒤로 위치시켜 양 팔로 잡고 하는 어깨운동, 좌우 허벅지 사이에 개재시키고 허벅지를 서로 조이거나 이완시키는 괄약근운동(괄약근 단련 케겔운동)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독립부(100a)를 바닥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누운채로 제1 몸체(101)를 베게처럼 베고 하는 목운동이 가능하고, 한 쪽 다리로 상하로 밟을 수 있는 다리운동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제1 독립부(100a)와 상기 제2 독립부(100b)를 대칭되게 바닥에 함께 놓고 사용하는 방법으로, 복근운동(복근단련, 윗몸일으키기, 싯업운동), 양 다리를 번갈아 상하로 움직이는 스텝운동(계단오르기, 다리밟기운동) 등이 있다. 이때, 운동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제1 독립부(100a) 또는 제2 독립부(100b)의 자리이탈이나 흔들림을 줄여서 보다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양자를 일체가 되게 결합시킬 수 있는데 이는 구속부(60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복근운동 시에는 도 5 및 도 6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제1 독립부(100a)의 제3 몸체(105)와 상기 제2 독립부(100b)의 제3 몸체(105)를 맞닿게 하거나 근접시켜서 배치한 후, 상기 제1 독립부의 제2 몸체(103) 및 상기 제2 독립부의 제2 몸체(103)에 등을 대고 뒤로 상체를 눕히는 윗몸일으키기를 실시하면, 상기 저항부(300)의 탄성력으로 도움을 받아 용이하게 복근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저항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200)는,
상기 제1 작동부(100a1)의 전방과 상기 제2 작동부(100a2)의 전방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힌지결합 시킨다.
상기 힌지부(200)의 구성은 브라킷(210)을 별도로 마련하고 상기 브라킷(210)에, 상기 제1 작동부(100a1) 또는 상기 제2 작동부(100a2) 중 어느 한 쪽의 제1 몸체(101) 전방을 고정하고, 상기 브라킷(210)에 축받이가 되도록 힌지축(220)을 구성한 후, 상기 힌지축(220)에 상기 제1 작동부(100a1) 또는 상기 제2 작동부(100a2) 중 다른 한 쪽의 제1 몸체(101) 전방을 고정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3 A는, 제1 작동부(100a1)의 제1 몸체(101) 전방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제2 작동부(100a2)의 제1 몸체(101) 전방에 브라킷(210)을 구비하여 서로 힌지결합 시키는 구성을 예시한다. 브라킷(210)을 이용하는 경우, 제1 작동부(100a1)의 전방과 제2 작동부(100a2)의 전방은 각자의 힌지축(220)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힌지부(200)는 상기 제1 작동부(100a1)의 제1 몸체(101) 전방과 상기 제2 작동부(100a2)의 제1 몸체(101) 전방이 함께 힌지축(220)으로 직접 고정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200)와 관련하여서 도 1의 예시는 물론, 다른 종래기술을 인용할 수 있다.
상기 저항부(300)는,
상기 힌지부(200)의 회전운동에 대하여 부하를 가하도록 저항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1 작동부(100a1)와 상기 제2 작동부(100a2)의 거리 변동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한다. 결국, 상기 저항부(300)의 일단이 상기 제1 작동부(100a1)에 저항력을 가하고 상기 저항부(300)의 타단은 상기 제2 작동부(100a2)에 저항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근력을 강화시킨다. 상기 저항력은 마찰력 또는 탄성력이 이용된다. 상기 탄성력은 탄성부재의 복원력은 물론, 자석의 자기력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부(300)의 구성은 상기 힌지부(200) 자체의 마찰력을 이용하거나 마찰패드 등을 설치하여 마찰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부(200)를 회전축으로 상기 제1 작동부(100a1)와 상기 제2 작동부(100a2)를 서로 펼치거나 접을 때 양 쪽 방향 모두에 저항력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저항부(300)의 구성에 탄성부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힘이 해지되면 탄성력으로 원위치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에는, 상기 제1 작동부(100a1)와 상기 제2 작동부(100a2)에 양단부(320)가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320)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저항부(300)는 상기 힌지부(200)에, 외장되게 하거나 내장되게 하여, 직접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결국은, 상기 힌지부(200)에 구성된 저항부(300)의 저항력이 최종적으로 상기 제1 작동부(100a1)와 상기 제2 작동부(100a2) 사이에 전달 작용되므로, 저항부(300)는 상기 제1 작동부(100a1)와 상기 제2 작동부(100a2)에 사이에 구성된 것과 다름이 없는 것이고 따라서, 표현에 상관 없이 동일한 것으로 본다.
상기 저항부(300)와 관련하여서 도 1 예시는 물론, 기타 다른 종래기술을 인용할 수 있다. 한편, 근력운동의 목적이 아닌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재활운동의 경우와 같이, 특별히 저항을 가할 필요가 적은 때에는 상기 저항부(30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작동부(100a1) 및 상기 제2 작동부(100a2)는 각각,
상기 힌지부(20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길이가 종측(c1)으로 놓이는 제1 몸체(101); 상기 제1 몸체(101)로부터 횡측(c2)으로 절곡되는(꺽이는, 휘는, 굽는) 제1 절곡부(102); 상기 제1 절곡부(102)로부터 그대로 횡측(c2)으로 연장되어 길이(c2`)가 횡측(c2)으로 놓이는 제2 몸체(103); 상기 제2 몸체(103)로부터 다시 후방을 향하도록 종측(c1)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104); 및 상기 제2 절곡부(104)로부터 그대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길이(c1`)가 종측(c1)으로 놓이는 제3 몸체(10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절곡부(102)는 상기 제1 몸체(101)와 상기 제2 몸체(103) 사이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곡부(104)는 상기 제2 몸체(103)와 상기 제3 몸체(105) 사이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몸체(101); 상기 제1 절곡부(102); 상기 제2 몸체(103); 상기 제2 절곡부(104); 및 상기 제3 몸체(105);가 동시에 바닥에 접촉하여 다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수평면상에서 절곡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바닥에 기립되게 세워두어도 넘어지지 않고 지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예시에서, 파이프(110)가 동일 평면상에서 적어도 두 번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제1 몸체(101); 제1 절곡부(102); 제2 몸체(103); 제2 절곡부(104); 및 제3 몸체(105);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따로 용접을 하거나 하지 않고 단지, 파이프를 절곡시키는 작업만으로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위 및 바닥에 놓였을 때 지지점이 자연스럽게 제공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파이프에는 사용자와 접촉시에 쿠션을 부여하기 위한 쿠션부재(120)가 도포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운동 시에는 상기 제1 작동부(100a1) 및 상기 제2 작동부(100a2)의 몸체 어는 부분이든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고, 전체가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쿠션부재(120)는 가능한 전체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A의 예시를 참조한다. 상기 제1 절곡부(102)는 상기 제1 몸체(101)와 상기 제2 몸체(103)가 횡측(c2)으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곡부(104)는 상기 제2 몸체(103)와 상기 제3 몸체(105)가 종측(c1)의 후방으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몸체(101)와 상기 제3 몸체(105)는 상기 제2 몸체의 길이(c2`)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 종측(c1)으로 놓이고, 그 사이에 상기 제2 몸체(103)는 횡측(c2)으로 놓여서 상기 제1 몸체(101)와 상기 제3 몸체(105)를 연결하여 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몸체(103)의 길이(c2`)는 복근운동 시에 사용자의 상체 좌우측 어느 한 쪽을 받쳐줄 수 있는 길이(c2`)로 정하여져서, 제1 독립부와 제2 독립부를 함께 놓았을 때 각각의 제2 몸체의 길이의 합이 사용자의 상체 좌우측 너비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상기 제1 작동부(100a1)는 위에 배치되어 사용자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작동부(100a2)는 아래에 배치되어 바닥에 접촉하도록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작동부(100a1)와 상기 제2 작동부(100a2)는 각각의 전방이 힌지부(200)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도록 힌지결합이 된다. 즉, 상기 제1 작동부(100a1)의 제1 몸체(101) 전방은 상기 제2 작동부(100a2)의 제1 몸체(101) 전방과 힌지결합이 된다.
도 2, 도 3 B의 좌측 도면 및 도 4에는, 바닥에 놓이는 상기 제2 작동부(100a2)의 제1 몸체(101); 제1 절곡부(102); 제2 몸체(103); 제2 절곡부(104); 및 제3 몸체(105);는 서로 어우러져 바닥에 대하여 수평하게 접촉하며 각 지지점(a1, a2, a3, a4) 중에서 3곳의 지지점이 삼각형으로 배치되어서 자립하여 넘어지지 않고 서 있도록 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3 B의 좌측 도면 및 도 4의 아랫 도면에는, 상기 힌지부(200) 또는 상기 제1 몸체(101)의 전방에 위치한 제1 지지점(a1)과; 상기 제1 몸체(101)의 후단과 상기 제2 몸체(103)의 일측에 위치한 제2 지지점(a2)과; 상기 제2 몸체(103)의 타측과 상기 제3 몸체(105)의 전방에 위치한 제3 지지점(a3)과; 상기 제3 몸체(105)의 후방에 위치한 제4 지지점(a4);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지지점(a1)과 상기 제2 지지점(a2)과 상기 제3 지지점(a3)이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2 지지점(a2)과 상기 제3 지지점(a3)과 상기 제4 지지점(a4)이 모여서 삼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 형태를 취한다. 상기 제1 지지점(a1)과 상기 제2 지지점(a2)과 상기 제3 지지점(a3)과 상기 제4 지지점(a4)은 두 삼각형이 모인 평행사변형 사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 형상을 취하므로, 제1 독립부(100a) 또는 제2 독립부(100b)는 자립하여 기립된(서 있는) 상태를 더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B의 예시와 같이 상기 힌지부(200) 또는 제1 몸체(101)의 전방으로부터 제2 몸체(103)가 배치된 종측(c1)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시키면 추가 지지점(a0)이 전방에 제공되어서, 전체의 지지점이 함께 장방형 형태를 이루므로 더욱 안정되게 기립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운동 시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제1 독립부(100a)의 제1 작동부(100a1)에 발로 밟는 다리운동 또는 팔로 누르는 푸쉬업 팔운동을 위하여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가압(f1)을 할 수 있다. 이때, 주로 제1 작동부(100a1)의 제2 몸체(103)를 가압하게 되는 데 여기에서, 제2 작동부(100a2)의 제3 몸체(105)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즉, 제1 작동부(100a1)의 제2 몸체(103)를 발로 밟는 등 가압(f1)을 하면 바닥에 접촉하는 제2 작동부(100a2)의 제2 몸체(103)가 지렛대의 축이 되어 제1 몸체(101)의 전방 및 힌지부(200) 쪽을 위로 들어올리는 들림현상(f3)을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제3 몸체(105)가 상기 제2 몸체(103)보다 후방으로 배치되어서 바닥으로부터 지지된 상태로 받침(f2)이 되어 버티어주므로 상기 들림현상이 상쇄되어서 안정되게 상기 제2 몸체(103)를 아랫 방향으로 가압(f1) 할 수가 있다. 도 2 A에서 상기 제3 몸체(105)는 후방으로 돌출 연장된 길이(c1`)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제1 독립부(100a) 또는 제2 독립부(100b)를 그냥 바닥에 세워둔 채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마련하지 않아도, 스텝운동이나 복근운동시에 아랫방향으로 가압할 때 제1 독립부(100a)가 뒤로 넘어가지 않고 버틸 수 있다.
제1 독립부(100a) 또는 제2 독립부(100b)를 손에 들고서 할 수 있는 운동에는, 도 1에 예시된 운동기구로 수행되는 양 팔의 완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바, 양 손으로 각각 제1 작동부(100a1)의 제3 몸체(105) 및 제2 작동부(100a2)의 제3 몸체(105)를 파지하면 매우 편리하다. 이때, 도 1에 예시된 종래기술과 같이 상기 저항부(300)의 강약을 조절해서 운동부하를 변경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몸체(101), 상기 제2 몸체(103) 및 상기 제3 몸체(105)를 선택적으로 3단계 파지하여 상기 힌지부(200)와의 거리차이를 이용한 운동부하 조절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2 몸체(103)는 횡측(c2)으로 배치되므로 파지하는 방향이 바뀌는데, 이러한 점을 독자적으로 이용하거나, 종측(c1)으로 배치되는 다른 제1 몸체(101) 또는 제3 몸체(105)와 함께 활용하여서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창의적인 운동방법을 창출할 수 있다.
제1 독립부(100a)를 양 무릎 사이 또는 양 허벅지 사이에 끼우고 수행하는 괄약근운동은 제2 절곡부(104)를 활용한다. 사용자는 제1 작동부의 제2 절곡부(104) 및 제2 작동부의 제2 절곡부(104)에, 좌우 허벅지를 각각 개재시킨 후, 도 4 B와 같이 간격을 좁히도록 제1 작동부의 제2 몸체(103)와 제2 작동부의 제2 몸체(103)에 힘을 가하여 괄약근운동을 실시한다. 즉, 도 3 B의 우측 도면과 같이, 힌지부(200)가 아래로 향하고 제3 몸체(105)가 위로 향하게 세운 후, 제1 작동부(100a1)의 제2 절곡부(104)에 한 쪽 다리의 허벅지를 끼워 접촉시키고,. 제2 작동부(100a2)의 제2 절곡부(104)에 다른 쪽 다리의 허벅지를 끼워 접촉시키고, 양 다리의 허벅지를 모으고 벌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괄약근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몸체(105)는 허벅지의 윗 쪽에 위치되어서 허벅지에 걸리는 형태를 취하므로, 손으로 제1 독립부(100a)를 파지하지 않아도 이탈하거나 낙하하지 않고 허벅지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괄약근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600)는,
상기 제1 독립부(100a)와 상기 제2 독립부(100b)를 서로 구속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구속부(600)의 일단은 상기 제1 독립부(100a)에 또는 상기 제2 독립부(100b)에 탈부착 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구속부(600)의 타단은 상기 제2독립부에 또는 상기 제1 독립부(100a)에 탈부착 방법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600)에는 복근운동을 실시할 시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6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 2 내지 도 3 예시와 같은 단독 사용의 형태와 도 5 및 도 6의 예시와 같은 복합 사용 형태로 변신을 꾀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운동방법을 제공하고 흥미를 증진시켜서 지루함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예시에서, 구속부 몸체(610)는 길이방향이 횡측(c2)으로 놓이며 사용자의 좌우측 신체 너비에 대응하도록 제2 몸체(103)의 두 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속부 몸체(610)의 좌우 각 단부에는 아래에서 위로 오목하게 패인 요홈에 의해 제공되는 결착홈(620)이 구성된다. 상기 결착홈(620)은 상기 제1 몸체(101)의 전방 또는 힌지부(200)에서 제공하는 결착부위(d1)의 형태에 대응되게 패인 요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결착부위(d1)에 상기 결착홈(620)이 긴밀히 밀착되어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끼워져)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착홈을 형성하지 않는 다른 방법으로는, 제1 몸체(101)의 옆 쪽에 홈을 내고, 상기 구속부의 단부를 그대로 상기 홈에 끼워서 고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구속부(600)에는 복근운동을 실시할 시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패드 형태의 시트(66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구속부 몸체(610)를 상기 시트(660)에 부착시키되 상기 시트(660)의 좌우측에 각각 상기 결착홈(620)이 위치하도록 부착하여 구성한 예시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시트(660)의 좌우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독립부(100a) 및 제2 독립부(100b)가 시트(660)의 하중으로 보다 강력히 상기 결착홈(620)이 결착될 수 있어서 격렬한 스텝운동이나 복근운동 시에도 결합이 해제되지 않고 보다 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복근운동 시에 사용자가 상기 시트(660)에 앉으면 그 하중으로 인한 강력한 결합이 유도되어서, 제1 독립부의 제1 작동부와 제2 독립부의 제1 작동부를 동시에 사용자의 등으로(상체로) 뒤로(또는 아래로) 가압하여 밀어부칠 때 발생할 수 있는 요동에 영향받지 않고 잘 대응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복근운동시에, 제2 몸체(103)와 제2 절곡부(104)와 제3 몸체(105)가 삼각형상으로 등받이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상체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므로, 상기 쿠션부재(120)가 손으로 파지되는 얇은 두께로 제공되어도, 상기 쿠션부재는 등받이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여 불편하거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편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독립부(100a); 제2 독립부(100b);
제1 작동부(100a1); 제2 작동부(100a2); 힌지부(200); 저항부(300);
구속부(600);
제1 작동부(100a1); 제2 작동부(100a2); 힌지부(200); 저항부(300);
구속부(600);
Claims (9)
-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1 작동바;
상기 제1 작동바의 아래에 배치되어 바닥에 접촉하는 제2 작동바; 및
상기 제1 작동바의 전방과 상기 제2 작동바의 전방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작동바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작동바는,
상기 힌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의 회전축과 수직한 제2-1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수직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2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1 절곡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1 몸체와 나란한 제2-3 몸체; 및
상기 제2-2 몸체와 상기 제2-3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2 절곡부를 구비하는, 복합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2 몸체, 그리고 상기 제2-3 몸체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복합운동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작동바는 상하대칭인, 복합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운동기구는, 상기 힌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2 몸체와 나란한 연장바를 더 포함하는, 복합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운동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바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전운동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저항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합운동기구. -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독립부;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독립부를 결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독립부는,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1 작동바;
상기 제1 작동바의 아래에 배치되어 바닥에 접촉하는 제2 작동바; 및
상기 제1 작동바의 전방과 상기 제2 작동바의 전방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작동바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작동바는,
상기 힌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의 회전축과 수직한 제2-1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수직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 몸체;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2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1 절곡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1 몸체와 나란한 제2-3 몸체; 및
상기 제2-2 몸체와 상기 제2-3 몸체를 연결하고 절곡된 형상인 제2-2 절곡부를 구비하는, 복합운동기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독립부의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 독립부의 상기 제2-1 몸체에 각각 결착가능한 몸체를 구비하는, 복합운동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독립부의 상기 제2-1 몸체와 상기 제2 독립부의 상기 제2-1 몸체에 각각 결착가능하고, 아래에서 위로 오목하게 패인 한 쌍의 결착홈들을 가지는, 복합운동기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좌우측에 상기 결착홈들이 배치되는 시트를 더 포함하는, 복합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341U KR20170001181U (ko) | 2016-07-28 | 2016-07-28 | 아암부독립복합운동기구 |
KR2020160004341 | 2016-07-28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3978A Division KR20170102833A (ko) | 2016-07-28 | 2017-07-25 | 복합운동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8471A true KR20180048471A (ko) | 2018-05-10 |
Family
ID=584966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4341U KR20170001181U (ko) | 2016-07-28 | 2016-07-28 | 아암부독립복합운동기구 |
KR1020170093978A KR20170102833A (ko) | 2016-07-28 | 2017-07-25 | 복합운동기구 |
KR1020180046250A KR20180048471A (ko) | 2016-07-28 | 2018-04-20 | 복합운동기구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4341U KR20170001181U (ko) | 2016-07-28 | 2016-07-28 | 아암부독립복합운동기구 |
KR1020170093978A KR20170102833A (ko) | 2016-07-28 | 2017-07-25 | 복합운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20170001181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183Y1 (ko) * | 2017-12-06 | 2018-04-11 | 한창권 | 골반 강화용 운동기 |
KR200488265Y1 (ko) * | 2018-05-04 | 2019-01-04 | 최주호 | 수동식 안마 장치 |
KR200490597Y1 (ko) | 2018-10-18 | 2019-12-04 | 백승국 |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1621Y1 (ko) * | 2005-12-12 | 2012-07-26 | 에이치엘 코포레이션 (심천) | 복부 단련 기계 |
WO2013048025A1 (ko) * | 2011-09-29 | 2013-04-04 | Na Hun Gyu |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
KR101351991B1 (ko) * | 2012-07-12 | 2014-01-21 | 고혁진 | 악력기가 구비된 완력기 |
TWM462133U (zh) * | 2013-06-07 | 2013-09-21 | Jin-Cheng Chuang | 健身器 |
KR101576738B1 (ko) * | 2014-06-11 | 2015-12-10 | 안태진 | 완력기 |
-
2016
- 2016-07-28 KR KR2020160004341U patent/KR20170001181U/ko unknown
-
2017
- 2017-07-25 KR KR1020170093978A patent/KR20170102833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4-20 KR KR1020180046250A patent/KR201800484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2833A (ko) | 2017-09-12 |
KR20170001181U (ko) | 2017-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46276B2 (en) | Exercis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bdominal muscles | |
US6213923B1 (en) | Back exercise device | |
US7686750B2 (en) | Seated abdominal exerciser | |
US6203473B1 (en) | Stretching and exercise apparatus | |
US6110081A (en) | Portable resistance-based exercise apparatus | |
US8092354B2 (en) | Portable and adjustable stretching device | |
US7591773B2 (en) | Abdominal muscle training apparatus | |
CA2153347C (en) | Abdominal exerciser device | |
US8197393B2 (en) | Adaptable bi-directional range-of-motion exercise apparatus providing repose configuration | |
US7488281B2 (en) | Abdominal muscle training apparatus | |
US20060270535A1 (en) | Wheeled abdominal exerciser | |
US8905906B2 (en) | Adaptor for converting conventional office chair into a multifunctional office/fitness chair | |
JP7089111B2 (ja) | 身体均衡補助器具 | |
US7357759B2 (en) | Exercise device | |
KR20180048471A (ko) | 복합운동기구 | |
US6024679A (en) | Compact exercise device | |
JP2008508928A (ja) | シットアップボード | |
KR20090055983A (ko) | 다목적 조립식 운동기구 | |
KR20130134802A (ko) |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 |
JP3112700U (ja) | 脚部用運動器具 | |
US20070225134A1 (en) | Portable exercise device | |
US20040192521A1 (en) | Multi-mode exerciser | |
TW201729872A (zh) | 蹲立健身器 | |
WO2005053799A1 (ja) | 運動器具用サドルおよび同サドルを用いた運動器具 | |
US20190282853A1 (en) | Abdominal Exerciser Utilizing Musculature of Lower Bo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