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266B1 -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266B1
KR101379266B1 KR1020120136777A KR20120136777A KR101379266B1 KR 101379266 B1 KR101379266 B1 KR 101379266B1 KR 1020120136777 A KR1020120136777 A KR 1020120136777A KR 20120136777 A KR20120136777 A KR 20120136777A KR 101379266 B1 KR101379266 B1 KR 101379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liding member
exercise device
wheelchai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연
서지은
Original Assignee
임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연 filed Critical 임지연
Priority to KR102012013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63B2071/0018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for wheelchair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신체 단련을 할 수 있는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는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설치되는 발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견인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OUTDOOR EXERCISE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본 발명은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팔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많이 가짐으로써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야외에서도 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로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자전거 타기 운동기구, 상체 운동기구, 파도타기 운동기구, 런닝 운동기구 등 여러 가지의 운동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공원이나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사람들이 공원이나 놀이터 등을 지나다가 간편하게 사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자전거 타기 운동기구, 상체 운동기구, 파도타기 운동기구, 런닝 운동기구 등은 일반인들을 위한 야외 운동기구로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운동기구에 눕워 상체를 올리거나 내려 복근 운동을 하거나, 운동기구에 직접 올라타서 페달을 밟으면서 운동을 하거나, 운동기구에 올라서서 달리면서 운동을 하는 기구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야외 운동기구들은 장애인, 특히 다리가 불편하여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장애인들은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신체 단련을 할 수 있는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는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딩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설치되는 발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견인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는 로테이션 조인트; 및 상기 로테이션 조인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로테이션 조인트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양발을 한 쌍의 발 안착 부재에 올려놓은 후 양손으로 한 쌍의 손잡이를 잡고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면 사용자의 다리가 굽혀지거나 펴지게 되며, 다리가 굽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다리를 펼수도 있지만 굽혀진 다리를 펴면서 상기 발 안착 부재를 밀게 되어도 발 안착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리가 펴지게 됨으로써, 장애인이 야외에서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로도 안전하고 손쉽게 팔 다리 운동뿐만 아니라 전신 운동 등과 같은 신체 단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3은 장애인용 핸드 사이클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장애인용 휠체어 활차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장애인용 휠체어 웨이트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장애인용 휠체어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장애인용 휠체어 와이어 스트레칭 운동기구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기구와 함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가 야외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는 마운팅 부재(110), 가이드 부재(120), 지지부재(130), 슬라이딩 부재(140), 발 안착 플레이트(150), 견인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부재(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가 설치될 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마운팅 부재(110)는 한 쌍이 상기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가 설치될 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마운팅 부재(11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가 설치될 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20)는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마운팅 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0) 사이에는 휠체어(200)가 출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마운팅 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부재(120)는 부메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0)의 하단부에는 장공 형태의 슬라이딩 홀(12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가 설치될 장소의 바닥면에 한 쌍이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30)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120)와 마찬가지로 휠체어(200)가 출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30)의 상부 끝단은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0)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0)를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0)를 지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재(130)는 금속 재질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는 상기 가이드 부재(120)의 슬라이딩 홀(121)을 관통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120)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와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는 몸체부(151), 지지 턱(152), 안착 홈(153)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51)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와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부(151)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152)은 상기 몸체부(151)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몸체부(151)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턱(152)은 사용자가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에 발을 올려놓았을 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착 홈(153)은 상기 몸체부(151)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턱(152)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착 홈(153)은 사용자가 발 안착 플레이트(150)에 발을 보다 편안하게 올려놓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를 사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견인부재(16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와 연결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120)를 중심으로 상기 견인부재(16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를 상기 슬라이딩 홀(121)을 따라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견인부재(160)는 링크(161), 로테이션 조인트(162), 손잡이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161)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링크(161)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테이션 조인트(162)는 상기 가이드 부재(12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로테이션 조인트(162)의 회전축(162a)에는 상기 손잡이부(163)를 삽입 연결할 수 있는 결합 홀(162b)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63)는 상기 로테이션 조인트(162)의 회전축(162a)에 형성된 결합 홀(162b)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로테이션 조인트(16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63)는 상기 링크(161)의 끝단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부(163)는 상기 링크(161)의 끝단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장애인용 핸드 사이클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장애인용 휠체어 활차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장애인용 휠체어 웨이트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장애인용 휠체어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장애인용 휠체어 와이어 스트레칭 운동기구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기구와 함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가 야외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야외에 설치되어 야외에서도 장애인들이 휠체어(200)를 탄 채로 간단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 발을 발 안착 플레이트(150)에 올려놓은 상태로 양손으로 손잡이부(163)를 잡고 상기 손잡이부(163)를 잡아당기거나 양 발로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를 밀어 팔 다리의 싸이클론 운동을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는 휠체어(200)를 탄 상태로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사이클 운동을 할 수 있는 핸드 사이클 운동기구(101)와, 휠체어(200)를 탄 상태로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활차를 회전시키면서 운동할 수 있는 휠체어 활차 운동기구(102), 휠체어(200)를 탄 상태로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리프트 운동을 할 수 있는 휠체어 웨이트 운동기구(103), 휠체어(200)를 탄 상태로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허리를 회전시켜 운동을 할 수 있는 휠체어 트위스트 운동기구(104), 휠체어(200)를 탄 상태로 양손으로 와이어(105a) 잡고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휠체어 와이어 스트레칭 운동기구(105) 등과 같은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와 함께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야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야외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를 사용하여 장애인이 야외에서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장애인이 휠체어(200)를 탄 상태로 상기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을 한다.
상기와 같이 휠체어(200)를 탄 상태로 상기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을 한 다음에는, 상기 휠체어(200)를 탄 상태에서 양발을 들어 올려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에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의 몸체부(151)와 지지 턱(152)에는 안착 홈(15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에 올려놓아진 양발이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의 지지 턱(152)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에 올려놓아진 사용자의 발이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150)의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상기 견인부재(160)의 손잡이부(163)를 잡고 상기 손잡이부(163)를 로테이션 조인트(162)를 중심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되는 손잡이부(163)에 의해 링크(161)가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당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링크(161)와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140)가 슬라이딩 홀(121)을 따라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에 연결된 상기 발 안착 부재(150)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와 연동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다리가 'ㄱ'자 형태로 굽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163)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발 안착 부재(150)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가 'ㄱ'자 형태로 굽혀진 다음에는, 사용자가 굽혀진 다리를 펴면서 상기 발 안착 부재(150)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굽혀진 다리를 펴게 되면 사용자의 발에 의해 지지 턱(152)이 화살표 B'방향으로 밀려 상기 발 안착 부재(150)가 화살표 B'방향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상기 발 안착 부재(150)와 연결될 슬라이딩 부재(140)가 상기 가이드 부재(120)의 슬라이딩 홀(121)을 따라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40)가 상기 슬라이딩 홀(121)을 따라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면 링크(161)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와 연동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링크(161)에 의해 손잡이부(163)가 잡아 당겨져 로테이션 조인트(162)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부(163)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163)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발 안착 부재(150)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가 'ㄱ'자 형태로 굽혀진 다음, 상술한 바와는 다르게 사용자가 손잡이부(163)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발 안착 부재(150)를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ㄱ'자 형태로 굽혀진 다리가 펴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부(163)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163)와 연결된 링크(161)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링크(161)와 연동되어 슬라이딩 홀(121)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140)가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와 연결된 발 안착 부재(150)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140)와 연동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ㄱ'자 형태로 굽혀진 다리가 펴지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오른쪽에 있는 손잡이부(163)와 왼쪽에 있는 손잡이부(163), 그리고 오른쪽에 있는 발 안착 부재(150)와 왼쪽에 있는 발 안착 부재(15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왼손으로 잡고 있는 손잡이부(163)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오른손으로 잡고 있는 손잡이부(163)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왼발이 안착된 발 안착 부재(150)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 왼쪽 다리가'ㄱ'자 형태로 굽혀졌을 경우에는 오른발이 안착된 발 안착 부재(150)는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 오른쪽 다리가 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휠체어(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양발을 한 쌍의 발 안착 부재(150)에 올려놓은 후 양손으로 한 쌍의 손잡이부(163)를 잡고 상기 손잡이부(163)를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면 사용자의 다리가 굽혀지거나 펴지게 되며, 다리가 굽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부(163)를 이용하여 다리를 펼 수도 있지만 굽혀진 다리를 펴면서 상기 발 안착 부재(150)를 밀게 되어도 발 안착 부재(15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리가 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100)는 장애인이 야외에서 휠체어(200)에 착석한 상태로도 안전하고 손쉽게 팔 다리 운동뿐만 아니라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야외 운동기구 (110) : 마운팅 부재
(120) : 가이드 부재 (130) : 지지부재
(140) : 슬라이딩 부재 (150) : 발 안착 플레이트
(160) : 견인부재

Claims (3)

  1.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딩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설치되는 발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는 로테이션 조인트; 및
    상기 로테이션 조인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로테이션 조인트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KR1020120136777A 2012-11-29 2012-11-29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KR101379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777A KR101379266B1 (ko) 2012-11-29 2012-11-29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777A KR101379266B1 (ko) 2012-11-29 2012-11-29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266B1 true KR101379266B1 (ko) 2014-04-02

Family

ID=5065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777A KR101379266B1 (ko) 2012-11-29 2012-11-29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38A (ko) 2021-03-15 2022-09-23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4655A1 (en) 1991-09-09 1993-03-18 Craig Prest Leg exercising apparatus
KR19980016626A (ko) * 1996-08-29 1998-06-05 송양섭 자동 운동 기구
KR20010047135A (ko) * 1999-11-18 2001-06-15 이광덕 물리치료용 건강자전거
US7118515B2 (en) 2002-11-08 2006-10-10 Arthur Michael Kassel Exercis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4655A1 (en) 1991-09-09 1993-03-18 Craig Prest Leg exercising apparatus
KR19980016626A (ko) * 1996-08-29 1998-06-05 송양섭 자동 운동 기구
KR20010047135A (ko) * 1999-11-18 2001-06-15 이광덕 물리치료용 건강자전거
US7118515B2 (en) 2002-11-08 2006-10-10 Arthur Michael Kassel Exercis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38A (ko) 2021-03-15 2022-09-23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0877B2 (ja) エクササイズ抵抗ケーブルを使用するエクササイズ・システム
US8303472B2 (en) Shoulder stretcher assembly
US9011296B2 (en) Therapeutic exercise apparatus with multiple selectively interlockable sliding platforms
US5080353A (en) Aerobic exercise chair
US9259612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US6001051A (en) Body exerciser
US20110294633A1 (en) Exercise apparatus
WO2007117924A2 (en) Exercise device
TWI658850B (zh) 划船器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TWM429498U (en) Abdomen stretching equipment with retractable and angle adjustable foot stand
KR101379266B1 (ko)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US9295875B2 (en) Recumbent stepper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102434907B1 (ko) 아령 들어올리기
KR102618260B1 (ko)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KR102482764B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20190037090A (ko) 종합 헬스기구
KR102252959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140124194A (ko) 호랑이걸음용 다용도 운동기구
KR102434911B1 (ko) 역기 내리기
WO2021246728A9 (ko) 운동 방법 및 장치
TWM541873U (zh) 多人使用之複合式運動器材
JP6150160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座椅子
TWI380835B (zh) 使用健身抗力索之健身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