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703B1 -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배기 가스 스크러버를 구비한 선박, 및 정화 유닛 - Google Patents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배기 가스 스크러버를 구비한 선박, 및 정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703B1
KR102056703B1 KR1020147025758A KR20147025758A KR102056703B1 KR 102056703 B1 KR102056703 B1 KR 102056703B1 KR 1020147025758 A KR1020147025758 A KR 1020147025758A KR 20147025758 A KR20147025758 A KR 20147025758A KR 102056703 B1 KR102056703 B1 KR 10205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exhaust gas
ship
purified
membran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377A (ko
Inventor
한스 랑그
Original Assignee
오와이 랑그 테크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9848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5670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와이 랑그 테크 에이비 filed Critical 오와이 랑그 테크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40126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25Regeneration of liquid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81Removing sulfur dioxide or sulfur tr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7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4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6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01D2252/1035Sea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 B01D2258/012Diesel engines and lean burn gasoline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6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permeate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5Recirculation, recycling or bypass, e.g. recirculation of concentrate into th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5Recirculation, recycling or bypass, e.g. recirculation of concentrate into the feed
    • B01D2311/252Recirculation of concentrate
    • B01D2311/2523Recirculation of concentrate to feed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2Elements in series
    • B01D2317/022Reject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4Elements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2Use of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33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 B01D2321/2058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by vibration of the membrane, e.g. with an actua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urification of gaseous effl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황 배출물 및 다른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되는 세척수를, 정화를 거친 물이 바로 바다로 방출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효율적으로 정화하도록 할 수 있기 위해, 그리고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정화 유닛이 선박 선상에 용이하게 배치될 정도로 충분히 작도록 하기 위해,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스크러버(1)에서 스크러빙되고, 불순물을 함유하고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부터 유출되는 정화될 세척수, 즉 폐수가 선박 선상 정화 유닛(2)에 공급되며, 여기서, 폐수는 폐수 회로(3)에서 순환되며, 이에 의해 폐수는 정화된 폐수와 불순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을 얻기 위해서 막 필터(4)의 반투막(7)을 통해 여과되며, 필요시 정화된 폐수의 pH 값은 6.5 이상으로 조절되고, 이후, 정화된 폐수는 바다로 방출되거나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 복귀되는 한편, 불순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은 폐수 회로(3)로 역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선박 및 정화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배기 가스 스크러버를 구비한 선박, 및 정화 유닛{METHOD FOR TREATING IMPURITIES CONTAINED IN EXHAUST GASES OF SHIPS, SHIP WITH EXHAUST GAS SCRUBBER, AND PURIFICATION UNIT}
본 발명은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 배기 가스의 이산화황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기 가스 스크러버에서 배기 가스를 물로 스크러빙(scrubbing)하는 단계,
- 불순물을 함유하고,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하는 정화될 세척수를 선박 선상의 정화 유닛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 정화된 폐수의 pH 값을 모니터링하여, 그 값이 6.5 미만인 경우, 이는 6.5 이상의 값으로 조정되고, 그 후에 정화된 폐수를 바다로 방출하거나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 되돌려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선박의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스크러빙하고, 이산화황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배기 가스 스크러버, 및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하는 정화될 세척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선박의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되는 오염된 세척수, 즉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 유닛에 관한 것이다.
US 2010224070A1호로부터, 전술한 유형의 방법 및 전술한 유형의 선박이 공지되어 있다.
선박의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스크러버에 의해 청소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배기 가스의 이산화황 배출물이 환경상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산화황 배출물을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선박의 엔진이 엔진의 연료 연소 공정 동안 산화되는 황-함유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황 배출물이 발생한다. 저황 연료는 이산화황 배출물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저황 연료는 고가이다. 황 함량이 비교적 높을 수 있는, 즉 이른바 저황 연료에서보다 황 함량이 높을 수 있는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스크러버에서 스크러빙되며, 이로써 배기 가스를 스크러빙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이산화황 배출물을 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배기 가스 스크러빙 공정은, 세척수가 다량의 불순물을 함유하고, 전형적으로 세척수의 pH 값도 세척수가 바다로 방출되기에는 너무 낮기 때문에, 불순물을 함유하고 그대로는 바다로 방출될 수 없는 세척수를 생산하게 된다.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되는 세척수는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 역으로 공급될 수 있지만, 세척수는 이러한 방식으로 "무한적으로" 순환될 수는 없는데, 이는 보다 많은 배기 가스가 세척수로 스크러빙 될수록 반드시 세척수의 오염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바다로 방출되기 전에, 세척수는 물로 희석되지만, 이것이 폐수에 의해 야기되는 환경 문제를 없애지는 못한다. 선박으로부터 바다로 방출할 수 있을 정도로 세척수를 충분히 정화하는데 성공한 경우가 없었다. 세척수가 선박 선상의 대형 탱크에 수집되고, 항구에서 상기 탱크로부터 세척수가 펌핑되어 해안에 있는 정수장으로 이동되는 절차는 세척수의 양이 대량인 관계로 시간과 노력을 너무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실현할 수 없다.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세척수로 전달되는 배기 가스 및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전술한 방식은 우수한 최종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거나(원하는 만큼 효율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하지 못하거나), 복잡하며(예를 들어, 선박으로부터 해안으로의 세척수의 전달), 화학물질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US 6810662 B2호에는,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스크러버에서 정화하기 위한 배열체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는 물이 배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과 반응할 때 생성되는 반응 생성물 또는 세척수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GB 2288342호에는,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스크러버에서 정화하기 위한 배열체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정화 유닛에서의 세척수의 정화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세척수에 함유되어 있는 고체 불순물 입자가 필터에 수집된다. 그러나, 기술된 정화 유닛은 세척수에 용해되어 있는 불순물 또는 극도로 작은 불순물 입자를 세척수로부터 처리 및 제거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고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정화 유닛이 하나 이상의 막 필터를 포함하는 폐수 회로를 포함하며, 정화될 세척수, 즉 폐수는 폐수 회로에서 순환되며, 이에 의해 폐수는 정화된 폐수 및 불순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을 얻기 위해 막 필터의 반투막을 통해 여과되고, 폐수 회로에서 잔류물이 계속하여 순환되는 동안, 정화된 폐수가 폐수 회로의 순환으로부터 그리고 막 필터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폐수 회로에서의 폐수의 불순물 농도는 폐수 회로에 공급되는 폐수의 양이 늘어날수록 증가하며, 이에 따라 정화 공정을 실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압력 차이가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불순물이 고도로 농축되는 폐수 회로 내 잔류물의 적어도 일부가 폐수 회로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거되며,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매우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폐수가 추가 처리를 위해 탱크에서 수집된다. 추가 처리되는 폐수의 양 및 체적이, 불순물을 함유하고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정화 유닛으로 유출되는 세척수의 양 및 정화 유닛에서 정화되는 폐수의 양과 비교하면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탱크로의 수집은 실제로 구체화하기 쉽다. 탱크의 내용물들은 내부에 함유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폐기물 처리 플랜트에 전달되기 쉽다. 비록, 폐수 회로로부터 유출되는 폐수의 양을 적게 하는데에 있어 바람직하지만, 폐수 회로를 청소하는 동안, 불순물이 농축되어 있는 모든 물을 한꺼번에 제거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막 필터의 정화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막 필터는 상기 막 필터의 반투막에 불순물이 쌓여 있을 때, 간격을 두고 청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청소는 역세정에 의해 수행되며, 이에 따라 막 필터의 반투막에 있는 불순물이 제거된다. 불순물은 추가 처리를 위해 탱크에 수집된다. 이 탱크는 폐수 회로로부터 제거되며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폐수가 수집되는 것과 동일한 탱크일 수 있다.
폐수 내의 어떠한 큰 고체 불순물도 막 필터의 반투막에 수집되거나 이러한 반투막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폐수는 바람직하게는 폐수 회로로 폐수를 공급하기 전에 거친 필터 및/또는 미세 필터에 의해 여과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정화 유닛이 순환 펌프 및 반투막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막 필터를 포함하는 폐수 회로를 포함하고, 순환 펌프는, 불순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이 막 필터의 방출 단부로부터 역으로 순환 펌프로, 그리고 다시 순환 펌프로부터 막 필터의 유입구 단부로 안내되는 동안, 막 필터를 통해 유동하는 폐수가 반투막을 통해 여과되고, 막 필터의 유출구로부터, 그리고 폐수 회로로부터 정화되어 유출되도록, 폐수를 막 필터의 유입구 단부로 공급함으로써 폐수 회로에서 정화될 폐수를 순환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폐수 회로는, 정화 유닛의 여과 효율이, 연료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황으로 인해 그리고/또는 많은 연료를 소비하는 (대형) 내연 기관으로 인해 연소 공정 동안 실제로 다량의 불순물이 생산되는 상황인, 심지어 다량의 불순물 및 다량의 폐수를 정화할 필요성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막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막 필터들로 구성함으로써, 적합한 필터 세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 유닛은, 정화 유닛을 선박의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나오는 폐수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 수단, 정화 유닛을 선박의 배수(water distribution)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 수단, 및 정화 유닛 내에서 정화된 폐수를 정화 유닛으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유출구 라인을 포함하는 이동가능 용기-형 유닛으로서 설계되며, 폐수 회로는 순환 펌프 및 반투막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막 필터를 포함하고, 순환 펌프는 불순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이 막 필터의 방출 단부로부터 역으로 순환 펌프로, 그리고 다시 순환 펌프로부터 막 필터의 유입구 단부로 안내되는 동안, 막 필터를 통해 유동하는 폐수가 반투막을 통해 여과되고, 막 필터의 유출구로부터, 그리고 폐수 회로로부터 정화되어 유출되도록, 폐수를 막 필터의 유입구 단부로 공급함으로써 폐수 회로에서 정화될 폐수를 순환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정화 유닛은 가압 공기가 막 필터의 깨끗한 측면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화 유닛을 선박의 가압 공기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제 3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투막을 포함하는 막 필터를 활용하여 정화 유닛에서 불순물을 포함하고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된 세척수, 즉 폐수의 처리와 배기 가스 스크러버에 의해 구체화되는 배기 가스의 정화를 조합하여, 폐수에 용해된 불순물, 및 고도로 농축된 형태의 미시적으로 작은 불순물이 폐수의 중간 저장용의 대형 저장 탱크를 사용할 필요 없이 폐수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규정에 따라 정화된 처리 후의 오수의 대부분이 바다로 펌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사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선박의 이점은, 막 필터의 활용이 정화 유닛을 선박 선상에 배치하는 것이 쉬워질 정도로 정화 유닛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의 요구를 작게 한다는 것이다. 정화 유닛은, 폐수 회로로부터 유출된 정화수가 바다로 직접 방출될 수 있을 정도로 효과적으로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되어 불순물을 포함하는 세척수, 즉 폐수를 정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화수는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 역으로 되돌아 가서 재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량의 세척수를 해안에서 처리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세척수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화학약품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제, 본 발명은 2개의 예에 의해,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배기 가스 내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제 1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선박 선상의 배기 가스 스크러버(1) 및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되는 세척수를 정화하기 위해 배기 가스 스크러버에 연결된 정화 유닛(2)을 도시한다. 도면 부호 「10」은 선박을 예시한다. 선박의 내연 기관은 도면 부호 「46」으로 예시되어 있고, 내연 기관(46)에 연결된 캐터라이저는 도면 부호 「47」로 표시되며, 도면 부호 「48」은 배기 가스 보일러를 나타낸다. 내연 기관(46)은 디젤 엔진이다. 캐터라이저(47)는 산화질소 배출물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캐터라이저(47)는 산화질소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요소(urea)를 사용한다. 캐터라이저(47)의 구조 및 작동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연유로 캐터라이저(47)의 구조 및 작동은 논의되지 않는다.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보일러(48)에서 냉각된다. 배기 가스 보일러(48)가 배기 가스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선박의 다양한 열 수요를 위해 열 에너지가 배기 가스로부터 회수된다. 배기 가스 보일러(48)의 작동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배기 가스 보일러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서는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의 배열체에서, 선박(10)의 내연 기관(46)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 안내되는 지점(23)에 있다.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 공급하기 전에, 체적 백분율로 배기 가스의 이산화탄소 농도(CO2 농도)를 판정하기 위해 측정 장치(24)가 사용된다. 배기 가스 보일러(48)로 인해, 배기 가스는 냉각된 상태로 배기 가스 스크러버(1)에 도달하며, 이로써 배기 가스의 체적 및 유동률은 배기 가스 보일러(48)가 없는 경우에서보다 작게 되며, 배기 가스 정화를 위한 물 수요가 감소한다. 지점(25 및 26)으로부터 물이 배기 가스로 분무된다. 물은 염기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성 물(neutral water)도 사용될 수 있다. 분무 지점(25, 26)의 개수 및 장소는 변동될 수 있다. 정화된 배기 가스는 지점(27)에서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부터 유출된다.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되는 배기 가스의 이산화황 농도(SO2 농도)를 판정하기 위해 측정 장치(28)가 사용된다. 배기 가스 스크러빙 시, SO2/CO2의 비가 측정되는데, 여기서 SO2는 연도 가스 정화 후 연도 가스 내 이산화황의 체적 백분율 농도이며, CO2는 연도 가스 정화 전 이산화탄소의 체적 백분율 농도이다.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배기 가스 스크러버(1)의 작동은 SO2/CO2의 비가 주어진 필요 값 미만, 25 ppm SO2/CO2 %(v/v)(즉, SO2 (ppm)/CO2 (% v/v))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ppm SO2/CO2 %(v/v) 미만,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3 ppm SO2/CO2 %(v/v) 미만이 되도록 조정된다. 배기 가스 스크러버(1)에서의 배기 가스의 스크러빙은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스크러빙을 행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배기 가스 스크러빙 시, 고체 불순물 및 물에 용해되어 있는 불순물 둘 모두 세척수 내에 모이게 된다. 불순물을 함유하고 배기 가스 스크러버(1)의 바닥으로 지향되는 고온의 세척수는 펌프(29)에 의해 열교환기(11)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14)로 펌핑된다. 펌프(29)는 예를 들어, 원심형 펌프이다. 저온의 원수가 열교환기(11)로 공급되고, 이로써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고온의 세척수의 온도는 열교환기 내에서 예를 들어 약 80℃의 값으로부터 30℃의 값으로 떨어진다. 원수는 바닷물이거나, 대안적으로 담수(강물 또는 호숫물)일 수 있다. 세척수는 라인(15)을 따라 다시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 안내된다.
열교환기(11)로부터 유출되어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 되돌아가는 세척수의 pH 값은 7 이상임이 보장된다. 실제로, 이는 측정 수단(17)이 세척수의 pH 값을 판정하고, 측정 수단(17)에 의해 측정된 pH 값이 7 미만인 경우, pH 값이 적어도 7, 바람직하게는 7.5에 이르도록 공급 수단(16)에 의해 염기가 세척수에 공급되게끔 행해진다. 사용되는 염기는 예를 들어, 잿물, 즉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다른 중화 물질이다. 제어 수단(18)이 바람직하게는 공급 수단(16)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의 세척수의 공급 속도는 주로 선박의 엔진 출력에 따라 대략 100 내지 1000 m3/h이다. 특히 소형 엔진에서, 공급 속도는 100 m3/h 미만, 예를 들어 40 내지 100 m3/h일 수 있다. 세척수 공급 속도는 전형적으로 20 내지 50 m3/MWh이다. 따라서, 약 6000 kW 전력의 중유 작동식 디젤 엔진의 경우에 세척수 공급 속도는 세척수 공급 압력이 3 내지 5 바인 때, 전형적으로 30 내지 300 m3/h, 그리고 보다 전형적으로는 100 내지 250 m3/h일 수 있다. 공급 압력이 이보다 더 높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세척수 공급 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필요 시,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 이어지는 라인(15)에 보다 많은 물이 공급된다. 도면 부호 「55」는 라인(15)에 대한 물 공급 지점을 나타낸다. 물은 담수이거나 염수일 수 있다. 또한, 라인(15)에는 후술하는 정화 유닛(2)에서 정화수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 물은 라인(49)(유출구 라인)을 따라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 안내되어 내부 순환을 이룬다.
열교환기(11)의 하류측에서, 라인(30)은 불순물을 함유하는 세척수, 즉 폐수를 정화하기 위해 정화 유닛(2) 쪽으로 이어진다. 공급 펌프(13)는 거친 필터(12)를 통해 폐수 회로(3)로 폐수를 공급한다. 폐수 공급 속도는 약 0.1 내지 5 m3/h이다. 공급 속도의 크기는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연료의 황 농도에 크게 좌우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급 펌프(13)는 변위형 펌프(양-변위 펌프)이며, 공급 펌프의 하류측 라인(30) 내에 0.1 내지 5 바의 압력을 생성하도록 배열된다. 압력은 또한, 5 바를 초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심 스크루 펌프형의 것인 변위 펌프의 이점은 먼지 및 부식에 대한 내성이 높고, 이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매질을 많이 혼합시키지 않는다는 점이다. 공급 펌프(13)의 상류측 라인(30) 내 폐수의 압력은 0.1 내지 10 바, 예를 들어 3 내지 5 바이지만, 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거친 필터(12)의 공극 크기는 크기가 5 ㎛를 초과하는 고체 불순물 입자가 여과되고, 이보다 작은 입자는 필터를 통과하도록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거친 필터(12)의 공극 크기는 크기가 40 ㎛ 이상인, 예를 들어 적어도 50 내지 100 ㎛인 불순물 입자가 여과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불순물 입자는 녹 파편, 큰 검뎅 입자, 및 경우에 따라서는 염정을 포함한다. 거친 필터(12)는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메쉬 필터이다. 거친 필터(12) 다음에, 크기가 0.4 ㎛를 초과하는 불순물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제 2 필터(12a)가 배열된다. 필터(12a)의 공극 크기는 크기가 예를 들어, 10 ㎛를 초과하는 고체 불순물 입자를 여과하도록 선택된다. 필터(12a)는 미세 필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필터(12a)는 특히 작은 검뎅 입자 및 경우에 따라서는 폐수에 포함되는 작은 염정을 여과한다. 필터(12a)는 정화 유닛(2)에 포함되는 막 필터(4, 4a)를 청소할 필요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필터(12, 12a)는 청소 가능하거나 교체 가능한 필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거친 필터(12)는 자동 자체 청소식 필터일 수 있다.
전술한 사전 여과를 거친 폐수는 폐수 회로(3)로 안내된다. 폐수 회로(3)는 필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반투막(7, 7a)을 포함하는 2개의 직렬-접속 막 필터(4, 4a)를 포함한다. 막 필터(4, 4a)는 크기가 0.1 ㎛ 미만인 불순물을 여과할 수 있다. 막 필터는 통상적으로 구매 가능한 필터이다. 이들 필터는, 막 필터의 유출구 단부(6, 6a)로부터 막 필터의 방출 단부(9, 9a)로 연장되는 복수의 드릴링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진 세장형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세라믹 프레임의 재료는 예를 들어, 소결 알루미나(Al2O3), 산화티타늄(TiO2), 실리콘 산화물(SiO2) 또는 산화지르코늄(ZrO2)이다. 간략화를 위해, 도면에는 2개의 드릴링만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드릴링의 직경은 예를 들어, 3 내지 4 mm이고, 막 필터의 길이는 예를 들어, 약 1000 mm이다. 막 필터의 활성 층(막)은 전형적으로 프레임 구조체와 동일한 산화물로 제조된다. 따라서, 활성층은 막 필터가 미세 필터 유형인 경우,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TiO2)이며, 필터가 한외 필터형이거나 나노필터형인 경우, 예를 들어 산화지르코늄(ZrO2)일 수 있다. 활성층은 또한, 소결 알루미나(Al2O3) 및 실리콘 산화물(SiO2) 또는 상기 산화물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물층 대신, 활성층은 적합한 규산염 또는 탄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반투막을 이루는 재료는 압력이 충분히 높은 상태에서 폐수에 함유되는 물 분자의 선택적인 투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다공성을 띤다. 그러나, 반투막을 이루는 재료는 용해된 탄소화합물, 탄화수소화합물, (질산염 및 아질산염과 같은) 질소화합물 및 (황산염 및 아황산염과 같은) 황화합물과 같은 폐수에 용해된 화합물 및 극히 작은 고체 불순물 입자의 침투를 불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이들 화합물 및 불순물 입자가 폐수 회로(3)에서 계속하여 순환하게 된다. 막 필터의 유형 및 공극 크기에 따라, 막 필터(4, 4a)는 크기가 수 나노미터 정도로 작은 입자만을 여과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물 분자의 크기가 단지 약 0.3 nm이기 때문에, 이는 막 필터의 반투막을 관통한다.
바람직하게는, 한외 필터 또는 나노필터 및 매우 작은 물질의 침투가 억제되는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역삼투 필터가 막 필터(4, 4a)로서 사용될 수 있다. 나노필터의 여과 능력은 약 0.0008 내지 0.008 ㎛의 범위(여과될 약 200 내지 15000의 분자량) 내에서 있는 반면, 역삼투 필터는 이 필터를 통해 분자량이 1 내지 400의 범위 내에 있는 약 0.0011 ㎛(약 1 n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물질을 통과시킨다. 금속 이온은 역삼투 필터에 의해 여과될 수 있지만, 나노필터는 이를 통해 금속 이온을 통과시킨다. 나노필터의 이점은 이들 필터가 역삼투 필터보다 낮은 압력에서 작동한다는 점이다. 막 필터(4, 4a)의 공극 크기는 물 정화를 위해 설정되는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선택된다. 당업자는 상식에 기초하여 또는 시행을 거쳐 막 필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에는 지나친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막 필터의 물리적 구현은 상당히 변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나선 형태(몇몇 섬유 층을 포함), 관형 형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 필터시스템즈 게엠베하(Pall Filtersystems GmbH)에 의해 상표명 슈마시브(SCHUMASIV)(type Pall - MF 0050T6021)로 제조되는 공극 크기가 0.05 ㎛인 필터가 막 필터(4, 4a)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폐수는 순환 펌프(5)에 의해 폐수 회로(3)에서 순환한다. 폐수 회로에서의 폐수 순환 속도는, 특히 막 필터(4, 4a)의 개수에 따라, 그리고 최적의 유동률(m/s 단위)을 얻기 위해, 막 필터의 작동이 고려되는 한 50 내지 110 m3/h, 예를 들어 50 내지 70 m3/h이며, 폐수 회로(3) 내 압력은 예를 들어, 2 내지 7 바, 그리고 전형적으로는 3 내지 5 바일 수 있지만, 7 바를 초과, 예를 들어 7 내지 100 바의 범위가 가능할 수 있다. 최적의 유동률은 예를 들어, 4 내지 6 m/s일 수 있다. 막 필터(4, 4a)의 유출구(8, 8a)로부터 반투막(7, 7a)을 통해, 폐수가 정화된 여과액은 라인(32)으로 방출된다. 라인(32)에서 정화된 폐수의 유동률은 예를 들어, 1 m3/h이다. 유동률은 상당 부분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정화 유닛(2)의 효율에 따르며, 정화 유닛은 정화 요구에 대응하도록 치수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라인(32) 내 유동률은 상당히 변동 가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0.5 내지 5 m3/h이다. 잔류물, 즉 불순물을 함유하는 폐수가 막 필터(4)의 방출 단부(9)로부터 막 필터(4a)의 유입구 단부(6a)로 유출되고, 잔류물, 즉 불순물을 함유하는 폐수가 막 필터(4a)의 방출 단부(9a)로부터 순환 펌프(5)의 유입구 단부(31) 내로 유출된다.
폐수를 순환시키는 동안, 막(7, 7a)은 막 필터의 분해능(정화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주파수 30 내지 70 kHz, 예를 들어 50 kHz의 초음파 및/또는 주파수 50 내지 1000 Hz의 진동을 받게 된다. 막은 이 막을 진동 고정물 또는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배치함으로써 진동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면 부호 「33 내지 40」는 복귀 밸브를 나타낸다. 복귀 밸브(33 내지 40)는 정화 장치의 작동이 고려되는 한 확실하게 유체가 잘못된 방향으로 순환하지 않도는 것을 보장한다.
간격을 두고, 폐수 회로(3)는 폐수 및 모인 불순물들이 청소되는데, 이는 폐수가 폐수 회로(3)에서 순환할 때 폐수에 불순물들이 농축되어 정화된 폐수가 라인(32)으로부터 유출되기 때문이다. 폐수가 폐수 회로(3)에서 순환할 때, 막 필터(4, 4a)의 반투막(7, 7a)에서 미시적인 작은 고체 불순물이 모인다. 막 필터(4, 4a)의 반투막(7, 7a)에는 검댕(soot) 입자들과 같은 매우 작은 고체 불순물이 점진적으로 채워지게 되며, 이후 이들의 여과 성능이 저하되어 청소되어야 한다. 물에 용해된 불순물은 막 필터(4, 4a)에 모이는 것이 아니라 폐수 회로(3)에서 계속해서 순환한다. 정화된 폐수가 라인(32)으로부터 라인(49)으로 유출함에 따라, 새로운 폐수가 라인(30)으로부터 폐수 회로(3)로 공급되며, 이로부터 물이 배기 가스 스크러버(1)에 그리고/또는 밸브(54)를 통해 바다로 보내진다. 압력 차이가 막 여과를 실행하기에 불리할 정도로 커지고, 폐수 회로에서 순환하는 폐수의 불순물 농도가 높아질 때, 폐수 회로(3)는 폐수 회로를 비움으로써 청소된다.
비움으로써 폐수 회로(3)를 청소하는 것은 라인(32)으로부터 라인(60)을 거쳐 물탱크(61)로 정화수를 안내하고, 물탱크로부터 라인(42)을 따라 물을 폐수 회로(3)로, 막 필터(4', 4a')의 "깨끗한 측면"으로 안내함으로써 행해진다. 대안적으로, 폐수 회로(3)는 폐수 회로로부터 유출되는 정화수가 아닌 소스로부터 취득되는 물을 사용하여 비워질 수 있다. 물이 막 필터(4, 4a)의 "깨끗한 측면"에 적용될 때, 폐수 회로가 역세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도면 부호 「62」는 라인(42) 내 압력을 라인(60) 내 압력보다 높도록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펌프를 가리킨다. 라인(42) 내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바, 예를 들어 8 바이다. 라인(42), 펌프(62), 및 물 탱크(61)는 함께 세정 장치(22)를 구성한다. 비교적 고압(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바)에서 라인(42)으로부터 막 필터(4, 4a)의 "깨끗한 측면"으로 안내되는 물은 막 필터의 막(7, 7a)에 모인 불순물을 제거한다. 정화수(또는 다른 적절한 유체)가 불순물이 정화된 폐수가 막(7, 7a)을 통해 유동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라인(42)을 거쳐 막(7, 7a)을 향해 세정 장치(22)에 의해 공급될 때, 막(7, 7a)에 모인 고체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고 라인(43)을 거쳐 폐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또는 다른 유체)이 압력 펄스로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는 막(7, 7a)으로부터의 불순물의 제거를 향상시킨다. 세정 장치(22)가 용해된 대량의 불순물을 함유하는 폐수를 폐수 회로(3)에서 비워내는 동안, 동시에 막 필터(4, 4a)의 막(7, 7a)에서 고체 불순물을 청소한다. 청소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물은 예를 들어, 30 내지 70℃의 온도까지 가열된 폐수 회로로 안내될 수 있다. 물 탱크(61)에는 바람직하게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65), 예를 들어 전기 저항기가 제공된다. 물 탱크(61)의 체적은 예를 들어, 50 내지 150 L이다. 바람직하게는, 물 탱크(61)는 단열된다. 밸브(63)는 물 탱크(61) 내로의 물의 진입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밸브(64)는 막 필터(4, 4a) 내로의 물의 진입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폐수 회로(3)를 청소하는 동안, 순환 펌프(5)는 정지된다. 세정 장치(22)가 그의 막 필터(4, 4a)를 포함하는 폐수 회로(3)에 물을 공급할 때, 막 필터(4, 4a) 내 및 폐수 회로의 라인 내 농축된 폐수는 막 필터(4)의 방출 단부(9)로부터 라인(56)을 거쳐 라인(43) 내로 안내될 수 있으며, 대응적으로 막 필터(4a)의 유입구 단부(6a)로부터 라인(41)(그리고 가능하게는, 막 필터(4a')의 방출 단부(9a')로부터 라인(58))을 거쳐 라인(43)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추가 처리를 위해서 라인(43)으로부터 제거된다. 막 필터(4a) 내 폐수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수적으로 밸브(59) 개방 시, 방출 단부(9a)로부터 라인(57 및 58)을 거쳐 라인(43)으로 안내되고 라인(4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라인(43)의 밸브(44) 및 라인(58)의 밸브(59)는 폐수가 폐수 회로(3)에서 순환될 때 통상적으로 폐쇄되지만, 폐수가 라인(43)으로부터 제거될 때, 또는 폐수 회로가 폐수 및 고체 불순물 (청소 장치(22)에 의해) 청소될 때, 밸브(44), 및 원하는 경우에는 밸브(59)도 개방된다.
라인(32)으로부터 얻어진 정화수 대신, 가압 공기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유체, 예컨대 질소가 폐수 회로(3)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폐수 회로(3)의 체적은 예를 들어, 100 내지 1000 L, 전형적으로는 50 내지 500 L이다. 체적은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정화 유닛(2)의 효율에 따른다. 예를 들어, 약 6000 kW 전력의 중유 작동식 디젤 엔진의 경우에, 폐수 회로의 체적은 약 60 L이다.
막 필터(4, 4a)의 기술된 역세정 및 그러한 관련 청소 및 라인(43)을 통한 폐수의 폐수 회로에서의 폐수의 비움은 압력차가 요구될 때 필요에 따라 간격을 두고 행해진다. 역세정 절차는 예를 들어, 시간당 4회 행해질 수 있다. 불순물을 포함하는 농축된 폐수는, 라인(43)을 통해 내용물이 해안에서 처리될 수 있는 중간 저장부로서 작용하는 수집 탱크(도 1에 도시 생략되었지만, 탱크(68)가 수집 탱크의 일종으로 불릴 수 있음)로 비워진다. 수집 탱크는, 라인(43)으로부터 유출되는 폐수의 양이 매우 적기 때문에 작을 수 있지만, 매우 많은 양의 불순물을 포함한다. 다른 것들 중에서, 라인(30)에서 흐르는 폐수의 공급 속도(m3/h 단위) 및 불순물 농도, 폐수 회로(3)의 체적, 막 필터(4, 4a)의 효율 및 개수, 라인(32)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위해 설정되는 순도 요구사항은 역세정이 행해지는 빈도에 영향을 미친다. 막(7, 7a)의 청소와 함께, 이들 막의 청소를 향상시키기 위해, 30 내지 70 kHz, 예를 들어 50 kHz의 주파수의 초음파, 및/또는 50 내지 1000 Hz의 주파수의 진동을 받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 유닛(2)은 라인(43)으로부터 라인(67)을 통해 슬러지 리셉터클(68)로 농축된 폐수가 전달될 수 있게 하며, 슬러지 리셉터클은 슬러지를 위한 일종의 중간 저장부 또는 버퍼 저장부로서 작용한다. 농축된 폐수는 슬러지 리셉터클(68)로부터 라인(69)을 거쳐 역으로 폐수 회로(3)로 공급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폐수가 막 필터(4, 4a)를 통해 다시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농축된 폐수의 거의 대부분이 정화되어, 정화수가 라인(32)으로 안내되는 한편, 먼지가 더욱더 농축되게되는 물은 라인(43)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농축된 폐수의 추가 처리는, 매우 효율적인 폐수 정화가 성취되는 것을 가능케 하여, 먼지가 매우 적은 공간을 취하며 최종 처리로 이송하기에 쉬운 매우 작은 체적으로 농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러지 리셉터클(68)은 유해 폐기물(hazardous waste) 처리를 위해 해안에서 소정 간격들로 취해지는 분리가능한 탱크일 수 있다. 밸브(70)는 라인(67)에 연결되는 한편, 밸브(71)는 라인(69)에 연결된다.
폐수 회로(3)는 완전히 비워지지 않도록 청소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적은 양의 폐수만이 폐수 회로로부터 제거된다. 막 필터의 반투막(7, 7a)이 막 필터의 작동을 저해하는 매우 작은 불순물로 빠른 시간에 막히게 되는 경우에, 적은 양의 폐수를 자주 제거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적은 양의 폐수가 폐수 회로(3)로부터 자주 제거되는 경우, 라인(43)으로부터 유출되는 폐수의 총량은 불순물이 고도로 농축된 실질적으로 모든 폐수가 폐수 회로(3)로부터 드물게 제거되는 경우보다 더 많다. 라인(43)으로부터 유출되는 폐수의 총량을 적게 유지하기 위해, 폐수 회로(3) 및 반투막(7, 7a)은 필요 시에만, 즉 이들이 더 이상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을 때에만 청소된다. 반투막(7, 7a)을 청소해야 할 필요성이 대수롭지 않다면, 폐수 회로(3)에 함유되는 적어도 대부분의 폐수는 짧은 간격을 두고 소량만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긴 간격을 두고 제거된다.
역세정을 포함한 전술한 청소에 더해, 염기성 세척제일 수 있는 세척제로 폐수 회로(3)를 청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제에 의한 청소는 역세정만에 의한 것보다 더 효율적으로 폐수 회로를 청소한다. 세척제에 의한 청소는 전술한 역세정 절차보다 훨씬 더 드문드문 행해진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72」는 폐수 회로에 연결되는 세척제 저장소를 가리킨다. 세척제 저장소(72)의 체적은 예를 들어, 100 L이다. 세척제 저장소는 라인(30)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세척제는 막 필터의 "오염된 측면"에 적용된다. 폐수 회로(3) 내 압력이 소정의 레벨 위로 올라갈 때, 폐수 회로(3)를 청소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폐수 회로(3)의 압력은 측정 장치(73)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측정 장치(73)에 의해 압력이 소정의 레벨 위로 올라간 것으로 표시된 경우, 세척제가 세척제 저장소(72)로부터 폐수 회로(3)로 공급된다. 대안적으로, 폐수 회로(3)는 소정의 결정된 간격을 두고 청소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측정 장치(73)는 전혀 필요치 않다. 당업자들은 필요한 공급 배열을 어떻게 설계할지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세척제를 폐수 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배열체는 본 명세서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세척제를 폐수 회로(3)에 공급하기 전에 폐수 회로에서 폐수를 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수단(19)이 정화된 폐수의 pH 값을 측정하기 위해 라인(32)에 연결된다. pH 값이 6.5 미만이면, 공급 장치(20)는 pH 값이 6.5 이상이 되도록 유출수로 염기(base), 예컨대 잿물(lye)이 이용된다. 일시적으로, 조종 상황(manoeuvring situation)에서, 내연 기관 상의 부하가 변할 때, 정화수의 pH 값은 선박 선상에서 취해진 물의 pH 값으로부터 약 2 의 pH 유닛들만큼 상이한 것이 허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수단(21)이 정화된 폐수의 혼탁도(turbidity)를 판정하기 위해 라인(32)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혼탁도는, 평균적으로(15분 초과의 시간 주기에서 측정됨) 선박 선상에서 취해진 물의 값을 초과하는 25 FNU 보다 높아서는 안 되며, 여기서, FNU는 혼탁도를 위한 단위이며, "Formazin Nephelomeric Units"을 말한다. 상기 혼탁도는, 또한 25 NTU의 값으로서 부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NTU는 "Nephelometric Turbidity Units"을 말한다. 정화 유닛(2), 내부에 포함된 필터(12, 12a, 4, 4a) 및 정화 라인의 작동 매개변수는 필요한 혼탁도 값을 실현하기 위해 적응된다. 물의 혼탁도는 물 산관랑(water scatter light)에 얼마나 작은 입자들이 포함되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검출기를 포함하는 혼탁도계(nephelometer)로 불리는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검출기는 광 빔의 일측에 설정된다. 물이 작은 입자들을 다량 포함한다면, 작은 입자들이 소량인 것 보다 검출기 내로 더 많은 광이 반사된다. 교정된(calibrated) 혼탁도계는 NTU로 물의 혼탁도를 측정한다. ISO 7027 표준은 물의 혼탁도를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정화된 폐수는 바다로 배출되고 그리고/또는 라인(49)을 통해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 역으로 공급된다. 필요하다면, 펌프(5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라인(15)에 공급된 물의 압력이 라인(49) 내의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라인(49) 내에서 물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정화된 모든 폐수가 배기 가스 스크러버(1)에 안내되는 것이 요망된다면, 라인(32)에서 밸브(54)는 폐쇄되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정화수의 pH 값이 배기 가스 스크러버(1)에 공급되기에 적당한(pH가 약 7)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공급 장치(20)가 사용된다. 정화된 모든 폐수가 바다로 배출되는 것이 요망된다면, 라인(49)에서 밸브(53)는 폐쇄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라인(32, 49)들의 연결에는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 역으로 공급되고 바다로 배출될 정화수의 비율들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3방향 밸브(도시 생략)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3방향 밸브는 자동이다.
정화 유닛(2)은 또한, 다륜성 방향족 탄화수소(PAH)를 정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정화 유닛(2)의 작동은 정화된 폐수의 PAH 농도가 취해진 물의 PAH 농도보다 50 ㎍/L 이하로 높도록 설계 및 치수설정되며, 이로써 상기 값 50 ㎍/L은 45 t/MWh 폐수 속도와 관련되며, 여기서 MW는 내연 기관의 최대 전력의 80%인 전력으로 내연 기관을 구동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도면 부호 「45b」는 정화된 폐수 내, 즉 라인(32) 내 PAH 농도를 판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가리키며, 도면 부호 「45a」는 정화 유닛(2) 및 폐수 회로(3)에 앞서 라인(30) 내 PAH 농도를 판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가리킨다. 측정 장치(45a, 45b)는 폐수 속도가 2.5 t/MWh 초과 시 형광 발광에 기초한 측정 장치이고, 폐수 속도가 2.5 t/MWh 미만 시 자외선광 등에 기초한 측정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장치는 ISO 7027:1999 표준에 따라야 한다.
비소, 카드뮴, 크롬, 구리, 납, 니켈, 아연, 바나듐, 몰리브덴 및 망간과 같은 폐수에 함유된 많은 금속은 환경에 해롭다. 정화 유닛(2)은 상기 금속들을 함유하는 고체 화합물, 즉 입자들이 폐수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라인(32)으로부터 유출되는 여과액에 이들 입자들이 함유되지 않도록 한다. 막 필터(4, 4a)에서 정화되지 않는 폐수에 용해되어 있는 금속 화합물은 이온 교환에 의해 막 필터로부터 유출되는 정화된 폐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정화된 폐수는 이온 교환 장치로 안내되며, 이온 교환 장치는 도면 부호 「66」로 표시된다. 이온 교환 장치는 용해된 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온 교환 페이스트 또는 수지를 포함한다. 이온 교환은 처리 중인 물이 이온 교환 페이스트 또는 수지를 통과할 때 발생한다. 금속 양이온의 제거에 적합한 이온 교환 페이스트 또는 수지는 예를 들어, 고도의 산성 양이온 수지 및 킬레이트화 양이온 수지이다. 사용된 이온 교환 페이스트 또는 수지는 필요 시, 재생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이온 교환 장치(66)는 금속 이온, 질산염 및 아질산염과 같이 나노필터에 의해 도달될 수 없는 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정화 장치(2)는 질산염의 양이 배기 가스 내 NOX의 양의 12% 감소와 관련하여 배기 가스 내 NOX의 양을 초과하지 않거나, 폐수 제거 속도가 45 t/MWh 시에 60 mg/ℓ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조건들 중 보다 큰 조건이 결정 조건임), 폐수에 함유된 질산염(NO3 -)을 정화하도록 설계된다. 폐수에 함유된 아질산염(NO2 -)도 정화된다.
전형적으로, 폐수에 함유된 황 화합물은 황산염 형태(SO4 2 -)이기 때문에 무해하며, 이들 화합물은 바닷물로 방출될 수 있고, 정화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이들 화합물은 역세정과 관련해서 라인(43)으로부터 제거된다. 폐수는 또한, 적은 양의 아황산염(SO3 2-)을 함유한다.
전술한 배열체는 황 및 질소 화합물이 주어진 최댓값 미만으로 남아 있도록, 선박의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배기 가스의 스크러빙은 pH, PAH 및 조성이 다음과 같을 수 있는 세척수를 생성한다:
pH 7.1
PAH 22 ㎍/L
물 < 75 wt%
황산염(SO4 2 -) < 25 wt%
질산염(NO3 -) < 0.2 wt%
아질산염(NO2 -) < 0.2 wt%
총 금속 < 0.0001 wt%(예를 들어, 65500 ㎍/L V, 8000 ㎍/L Ni, 1100 ㎍/L Mo, 240 ㎍/L Zn, 137 ㎍/L Cr, 130 ㎍/L Cu, 95 ㎍/L Mg, 58 ㎍/L AS, 2 ㎍/L Pb, 1 ㎍/L Cd, 및 Hg < 0.2 ㎍/L)
총 탄화수소 < 0.0001 wt%.
조성은 엔진의 작동 상태, 사용된 연료, 및 배기 가스 스크러버의 운전 상태(물의 유형, 양 및 온도)에 따른다.
당업자는 질산염이 전술한 요구사항이 충족될 정도로 충분히 정화 유닛(2)에서 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상기 요구사항에 따라 질산염의 양은 배기 가스 내 NOX의 양의 12% 감소와 관련하여 배기 가스 내 NOX의 양을 초과하지 않거나, 폐수 제거 속도가 45 t/MWh 시에 60 mg/L을 초과하지 않게 되며, 상기 조건들 중 보다 큰 조건이 결정 조건이 된다. 비록 황산염들이 정화되지 않고 바다로 방출될 수 있지만, 이들 황산염들도 정화될 수 있다. 아질산염도 정화될 수 있다. 정화 유닛(2)에 포함된 필터(12, 12a, 4, 4a)는, 고체 금속 화합물이 정화되는 것을 보장하는 한편, 이온 교환 장치(66)는 용해된 금속 화합물이 정화됨을 보장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선박에의 접속 시, 정화 유닛이 선박 선상에 위치되도록, 도 2a에 도시된 선박(10')에 접속되어 있는 정화 유닛(2')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의 구성요소들의 도면 부호는 구성요소들의 기능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할 때, 도 1에 있어서의 구성요소들에 대략 대응한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는 특히, 이 실시예가 배기 가스 스크러버(1')와 폐수 회로(3') 사이에 배열되고 배기 가스 스크러버(1')와 슬러지 리셉터클(68') 양자 모두를 연통하는 탱크(107')를 포함하도록, 도 1의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슬러지 리셉터클(68')은 역세정 탱크라 불릴 수 있다. 폐기물은 슬러지 리셉터클(68')로부터 슬러지 리셉터클(68a')로 안내될 수 있으며, 슬러지 리셉터클(68a')은 해안에 있는 폐기물 처리 공장으로 이동된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는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되는 오염된 세척수를 수용하기 위해 배기 가스 스크러버(1')의 하류측에 배열되는 탱크(113')를 추가로 포함한다. 탱크(113')는 선박의 기술적 물과 연통하고, 정화 유닛(3')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이에 공급될 수 있다. 라인(도시되지 않음)은 도 1의 실시예에서 앞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라인(49')으로부터 라인(15')으로 정화된 폐수를 안내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라인(49')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술한 라인 및 라인(15')을 거쳐) 배기 가스 스크러버(1')에 대한 또는 탱크(113')에 대한, 또는 동시에 배기 가스 스크러버(1') 및 탱크(113') 양자 모두에 대한 대안적으로 제어되는 정화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밸브 배열체(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도면 부호 「114'」는 필요 시, 바닷물을 선박(10')으로부터 유출되는 정화수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가리킨다. 필요 시, 펌프(114')는 정화된 폐수를 바닷물로 방출하기 전에 정화된 폐수를 희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서,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막 필터(4', 4a')의 막(7', 7a')으로부터 불순물을 청소하기 위해 상기 막이 어떻게 화학 세척제로 청소되는지 그리고 막 필터가 어떻게 중간 세정을 거치게 되는지가 설명될 것이다. 펌프(13')는 막(7', 7a')이 청소 중인 동안 정지된다. 막(7', 7a')을 청소하기 전에, 막 필터(4', 4a')의 오염된 측면에서 폐수가 비워진다. 이러한 비움은 가압 공기로 또는 배수 펌프(100')에 의해, 또는 가압 공기 및 배수 펌프(100') 둘 모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가압 공기에 의한 막 필터의 오염된 측면 비움
가압 공기가 가압 공기 라인(106')으로부터 막 필터(4', 4a')의 깨끗한 측면으로 적용되며, 이로써 공기는 막 필터의 깨끗한 측면으로부터 막 필터의 오염된 측면으로 흐르며, 폐수는 밸브(101', 102', 109') 개방에 의해 슬러지 리셉터클(68')로 안내된다.
배수 펌프에 의한 막 필터의 오염된 측면 비움
배수 펌프(100')는 가장 낮은 순환 지점에서의 흡인을 위해 사용되며, 폐수는 슬러지 리셉터클(68')로 안내된다. 비움을 위해, 순환의 상부 부분에 제공되는 통기 밸브(103')가 개방되어야 한다.
가압 공기 및 배수 펌프에 의한 막 필터의 오염된 측면 비움
배수 펌프(100')는 가장 낮은 순환 지점에서의 흡인을 위해 사용되며, 폐수는 슬러지 리셉터클(68')로 안내된다. 비움을 위해, 순환의 상부 부분에 제공되는 통기 밸브(103')가 개방되어야 한다.
청소를 위한 막 필터의 충전, 및 염기성 세척제에 의한 청소
막 필터(4', 4a')가 비워진 후에, 청소를 위한 막 필터의 충전이 개시된다. 팽창 탱크(104')로의 공기 통기 라인의 통기 밸브(103', 110')가 개방된다. 막 필터(4', 4a')는 라인(111')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기술적 물로 충전되며, 동시에 염기성 세척제가 세척제 공급 펌프(108')에 의해 염기성 세척제 저장소(72a')로부터 분배된다. 도면 부호 「112'」는 히터를 가리킨다. 막 필터(4', 4a')는 팽창 탱크(104')와 연결되어 있는 레벨 스위치(105')가 이를 가리킬 때, 가득 채워진다. 순환 펌프(5')를 기동시킴으로써 청소가 개시된다.
막 필터의 비움 및 중간 세정
청소 후, 막 필터(4', 4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워지며, 그 후에 막 필터가 세척제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되고 세정된다.
전술한 처리 후에, 막 필터(4', 4a')가 청소되었으며,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의 폐수 정화 공정은 공급 펌프(13') 및 순환 펌프(5')를 기동시킴으로써 계속될 수 있다.
필요 시, 막 필터(4', 4a')는 또한, 산성 세척제로 청소될 수 있다. 산성 세척제에 의한 청소는 염기성 세척제를 대신하여, 산성 세척제 저장소(72b')로부터 취득된 산성 세척제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대로 실행된다. 막 필터(4', 4a')가 산성 세척제로 청소된 후에, 막 필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워지고 중간 세정을 거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 유닛(2')은 운송식 용기-형 유닛일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구조체가 개보수 시 낡은 기존의 선박에 매우 용이하게 연결되기 때문이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K1」은 정화 유닛(2')을 선박의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부터 유출되는 폐수 파이프(3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K1')을 가리키며, 참조 부호 「K2'」는 정화 유닛을 선박의 배수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가리키며, 참조 부호 「K3'」는 가압 공기가 막 필터의 깨끗한 측면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박의 가압 공기 회로에 정화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가리킨다. 도면 부호 「19', 21', 45' 및 20'」에 의해 표시된 구성요소들은 용기-형 유닛 내측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정화 유닛을 약 6000 kW 전력의 중유 작동식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의 폐수를 처리하는데 사용하였다. 정화 전 폐수의 혼탁도, pH 및 조성은, 전체적으로, 혼탁도 87 FNU, pH 12, 질산염(NO3 -) 5.0 mg/L, 아질산염(NO2 -) 5.3 mg/L, 황산염(SO4 2 -) 940 mg/L, 아황산염(SO3 2 -) < 20 mg/L, 및 PAH 화합물 84 ㎍/L이었다. 폐수는 공극 크기가 35 ㎛인 거친 필터를 통해 약 1.5 m3/h로 정화 유닛으로 공급되었다. 폐수 회로 내에서 순환되는 폐수에는 공극 크기가 50 nm인 2개의 직렬-접속 막 필터가 제공되었다. 폐수 회로 내 유동률은 약 6 m/s였으며, 압력은 3 바였다. 정화 후 폐수의 혼탁도, pH 및 조성은, 전체적으로, 혼탁도 1.6 FNU, pH 12, 질산염(NO3 -) 4.8 mg/L, 아질산염(NO2 -) 5.1 mg/L, 황산염(SO4 2 -) 380 mg/L, 아황산염(SO3 2 -) < 10 mg/L, 및 PAH 화합물 6.9 ㎍/L이었다.
요약하면, 전술한 배열체는 예를 들어 2009년에 발의된 IMO 결의안 MPEC.184(59)("배기 가스 청정 시스템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엄격한 요구사항 및 권고사항조차도 충족하도록, 배기 가스를 정화할 수 있고, 세척수를 처리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배열체는 정화 장치의 작동을 원하는 대로 수행하고 설정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도록, 일부 실험 및 조정이 요구되는 것은 명확하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에 사용된 도면 부호의 의미를 설명하는 리스트가 제공된다.
1, 1' 배기 가스 스크러버
2, 2' 정화 유닛
3, 3' 폐수 회로
4, 4a, 4', 4a' 막 필터(반투막을 포함하는 필터)
5, 5' 순환 펌프
6, 6' 막 필터(4, 4')의 유입구 단부
6a, 6a' 막 필터(4a, 4a')의 유입구 단부
7, 7' 반투막
7a, 7a' 반투막
8, 8' 막 필터(4, 4')의 유출구
8a, 8a' 막 필터(4a, 4a')의 유출구
9, 9' 막 필터(4, 4')의 방출 단부
9a, 9a' 막 필터(4a, 4a')의 방출 단부
10, 10' 선박
11, 11' 열교환기
12, 12' 거친 필터
12a' 미세 필터
13, 13' 공급 펌프
14, 14' 냉각 장치
15, 15' 라인
16, 16' 염기 공급 수단
17, 17' 배기 가스 스크러버(1)로부터 유출되는 폐수의 pH 값을 판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
18, 18' 염기 공급 수단(1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19, 19', 19a' 정화된 폐수의 pH 값을 판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
20, 20' 정화된 폐수에 염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
21, 21' 정화수의 혼탁도를 판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
22 역세정 시스템
23, 23' 배기 가스 진입 지점
24, 24' 배기 가스의 CO2 값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25, 26, 25', 26' 물 공급 지점
27, 27' 정화된 배기 가스의 방출 지점
28, 28' 배기 가스의 SO2 값을 판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29, 29' 펌프
30, 30' 라인(폐수 라인)
31, 31 순환 펌프(5, 5')의 유입구 단부
32, 32' 라인
33 내지 40 복귀 밸브
41, 42, 43 라인
44 밸브
45a, 45b, 45a', 45b' PAH 농도를 판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46, 46' 디젤 엔진
47, 47' 캐터라이저
48, 48' 배기 가스 보일러
49, 49' 라인(유출구 라인)
50, 50' 펌프
51, 52 복귀 밸브
53, 54, 53', 54' 밸브
55 물 공급 지점
56, 57, 58 라인
59 밸브
60, 60' 라인
61, 61' 물 탱크
62, 62' 펌프
63, 64, 63', 64' 밸브
65 가열 장치
66, 66' 이온 교환 장치
67, 67' 라인
68, 68', 68a' 슬러지 리셉터클
69, 69 라인
70, 70' 밸브
71, 71' 밸브
72, 72a', 72b' 세척제 저장소
73, 73' 측정 장치
100' 배수 펌프
101', 102' 밸브
103' 통기 밸브
104' 팽창 탱크
105' 레벨 스위치
106' 가압 공기 라인
107' 워터 라인
108' 공급 펌프
109' 밸브
110' 통기 밸브
111' 라인
112' 히터
113' 탱크
114' 펌프
K1', K2', K3' 연결 수단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서만 전술되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상세는 첨부된 독립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반투막을 포함하는 막 필터(4, 4a)의 개수가 바뀔 수 있다. 막 필터는 도면에서 도시된 직렬 연결과는 달리, 병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정화 유닛(2)은 복수의 폐수 회로(3) 및 막 필터(4, 4a)를 포함하며, 폐수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폐수 회로 및/또는 그 폐수 회로 내의 적어도 하나의 막 필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폐수 회로 및/또는 그 폐수 회로 내의 적어도 하나의 막 필터가 폐수 및/또는 불순물을 청소할 때 사용되도록 그룹화된다. 이는 청소 동안 정화 유닛이 지장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급 펌프(13) 대신, 적어도 원칙적으로 정화될 세척수가 중력에 의해 폐수 회로(3)에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폐수 회로(3)로 안내되기 전에, 폐수는 하나 이상의 필터(필터(12 및 12a) 참조)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Claims (20)

  1. 이산화황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배기 가스의 이산화황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에서 배기 가스를 물로 스크러빙(scrubbing)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크러빙은 정화될 세척수인 불순물 함유 폐수(effluent containing impurities)를 만드는, 배기 가스를 물로 스크러빙(scrubbing)하는 단계;
    - 상기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로부터 유출되는 정화될 세척수인 불순물 함유 폐수를 선박 선상의 정화 유닛(2, 2')으로 공급하고, 상기 정화 유닛(2, 2')에서 정화된 폐수를 만들기 위하여 정화될 세척수인 불순물 함유 폐수를 정화시키는 단계; 및
    - 정화된 폐수의 pH 값을 모니터링하여, 그 값이 6.5 미만인 경우, 6.5 이상의 값으로 조정하고, 그 후에 정화된 폐수를 바다로 방출하거나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로 되돌려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며,
    정화 유닛(2, 2')은 하나 이상의 막 필터(4, 4')를 포함하는 폐수 회로(3)를 포함하고, 정화될 세척수인 불순물 함유 폐수는 폐수 회로(3, 3')에서 순환되며, 이에 의해 불순물 함유 폐수는, 상기 정화된 폐수 및 불순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을 달성하도록, 정화될 세척수의 상기 정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막 필터(4, 4')의 반투막(7, 7')을 사용하여 여과되고, 폐수 회로(3)에서 잔류물이 계속하여 순환되는 동안, 상기 정화된 폐수가 폐수 회로의 순환으로부터 그리고 막 필터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불순물이 고농축된 상기 폐수 회로(3. 3') 내의 잔류물이 폐수 회로(3, 3')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막 필터(4, 4')는 막 필터를 통해 유동하는 정화된 폐수의 유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은 유체로 상기 막 필터(4, 4')의 반투막(7, 7')에 대해 역세정을 상기 막 필터에 행함으로써 간격을 두고 불순물이 청소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막 필터에 모인 불순물이 막 필터(4, 4')로부터 제거되고, 그 후 추가 처리를 위해서 상기 유체와 함께 불순물이 폐수 회로(3, 3') 외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로부터 유출되는 폐수는 냉각되며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로 부분적으로 다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는 폐수 회로(3, 3')로 안내되기 이전에 거친 필터(coarse filter)(12, 12')에 의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6. 선박의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스크러빙(scrubbing)하고 이산화황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 및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로부터 유출되는 정화될 세척수인 불순물 함유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 유닛(2, 2')을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2, 2')은 순환 펌프(5, 5') 및 반투막(7, 7')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막 필터(4, 4')를 포함하는 폐수 회로(3, 3')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펌프는 불순물 함유 폐수를 막 필터(4, 4')의 유입구 단부(6, 6')로 공급함으로써 폐수 회로에서 정화될 상기 불순물 함유 폐수를 순환시키도록 배열되어, 불순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이 막 필터의 방출 단부(9, 9')로부터 순환 펌프(5, 5')로 역으로 안내되고 다시 순환 펌프로부터 막 필터의 유입구 단부(6, 6')로 안내되는 동안, 불순물 함유 폐수는 상기 막 필터의 상기 반투막(7, 7')을 통해 여과되고 막 필터(4, 4')의 유출구(8, 8')로부터 및 폐수 회로(3, 3')로부터 정화된 폐수로서 정화되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2, 2')은 정화될 폐수를 폐수 회로(3, 3')에 펌핑하도록 배열되는 공급 펌프(13, 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로부터 유입하는 세척수를 냉각하기 위해 정화 유닛(2, 2')의 상류에 위치되는 냉각 장치(14, 14') 및 냉각된 세척수를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에 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라인(15, 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14, 14')는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에 역으로 세척수를 안내하기 이전에 원수(raw water)에 의해 세척수를 냉각하도록 배열되는 열교환기(11, 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에 역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이전에 세척수에 염기(base)를 공급하기 위한 염기 공급 수단(16, 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로부터 유출된 세척수의 pH 값을 판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17, 17') 및 염기 공급 수단(16, 1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18, 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2, 2')은 폐수 회로(3, 3')의 상류에 배열되는 거친 필터(12, 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막 필터(4, 4')의 유출구(8, 8')로부터 유출된 정화된 폐수의 pH 값을 판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19, 19') 및 정화된 폐수에 염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20, 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4. 제 6 항에 있어서,
    정화된 폐수를 상기 배기 가스 스크러버(1, 1')에 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라인(49, 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막 필터(4, 4')로부터 유출된 정화된 폐수의 혼탁도를 판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21, 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회로(3, 3')는 2 이상의 막 필터(4, 4a, 4', 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7. 제 6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 필터(4, 4a, 4', 4a')의 반투막(7, 7a, 7', 7a')으로부터 불순물 입자를 세정하기 위한 역세정 시스템(22, 106')을 포함하고, 상기 역세정 시스템은 정화된 폐수의 유동 방향과는 반대인 막 필터의 반투막(7, 7a, 7', 7a')의 유동 방향으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은 유체를 공급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8. 제 6 항에 있어서,
    막 필터(4, 4a, 4', 4a')는 세라믹 막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9. 선박의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유출되는 오염된 세척수인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 유닛(2')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2')은, 정화 유닛을 선박의 배기 가스 스크러버로부터 나오는 폐수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 수단(K1'), 정화 유닛을 선박의 배수 회로(water distribution circuit)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 수단(K2') 및 정화 유닛 내에서 정화된 폐수를 정화 유닛으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유출구 라인(49')을 포함하는 운송가능 용기-형 유닛이며, 상기 정화 유닛(2')은 폐수 회로(3')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 회로(3')는 순환 펌프(5')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막 필터(4')는 반투막(7')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 펌프는, 불순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이 막 필터의 방출 단부(9')로부터 역으로 순환 펌프(5')로, 그리고 다시 순환 펌프로부터 막 필터의 유입구 단부(6')로 안내되는 동안, 상기 막 필터를 통해 유동하는 폐수가 반투막(7')을 통해 여과되고, 막 필터(4')의 유출구(8')로부터, 그리고 폐수 회로(3')로부터 정화되어 유출되도록, 폐수를 막 필터(4')의 유입구 단부(6')로 공급함으로써 폐수 회로에서 정화될 폐수를 순환시키게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유닛.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가압 공기가 상기 막 필터(4')의 깨끗한 측면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박의 가압 공기 회로에 정화 유닛(2')을 연결하기 위한 제 3 연결 수단(K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유닛.
KR1020147025758A 2012-02-13 2012-10-11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배기 가스 스크러버를 구비한 선박, 및 정화 유닛 KR102056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25156 2012-02-13
FI20125156A FI123737B (fi) 2012-02-13 2012-02-13 Menetelmä laivojen pakokaasuissa olevien epäpuhtauksien käsittelemiseksi, ja laiva, jossa pakokaasupesuri
PCT/FI2012/050977 WO2013121081A2 (en) 2012-02-13 2012-10-11 Method for treating impurities contained in exhaust gases of ships, ship with exhaust gas scrubber, and purification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377A KR20140126377A (ko) 2014-10-30
KR102056703B1 true KR102056703B1 (ko) 2020-01-22

Family

ID=4898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758A KR102056703B1 (ko) 2012-02-13 2012-10-11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배기 가스 스크러버를 구비한 선박, 및 정화 유닛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273406B2 (ko)
EP (1) EP2788104B1 (ko)
KR (1) KR102056703B1 (ko)
CN (1) CN104168976B (ko)
CA (1) CA2858500C (ko)
DK (1) DK2788104T3 (ko)
FI (1) FI123737B (ko)
HR (1) HRP20180346T1 (ko)
NO (1) NO2788104T3 (ko)
PL (1) PL2788104T3 (ko)
WO (1) WO20131210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3737B (fi) 2012-02-13 2013-10-15 Oy Langh Ship Ab Menetelmä laivojen pakokaasuissa olevien epäpuhtauksien käsittelemiseksi, ja laiva, jossa pakokaasupesuri
JP6204816B2 (ja) * 2013-12-18 2017-09-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ラバーの浄水システム
DE102014007913A1 (de) 2014-05-27 2015-12-03 Man Diesel & Turbo Se Abgasnachbehandlungssystem und Verfahren zur Abgasnachbehandlung
DE102014017789A1 (de) * 2014-12-03 2016-06-09 Man Truck & Bu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Wasserfahrzeugs
CN105879558A (zh) * 2014-12-24 2016-08-24 苏州超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双频超声波与等离子结合垃圾存储臭气净化工艺
CN107427768A (zh) * 2015-03-04 2017-12-01 三星重工业株式会社 污染物质减少装置及方法
WO2016147741A1 (ja) * 2015-03-16 2016-09-22 富士電機株式会社 装置およびpHの算出方法
US10422260B2 (en) 2015-08-06 2019-09-24 Clean Air-Engineering-Maritime, Inc. Movable emission control system for auxiliary diesel engines
US10287940B2 (en) 2015-08-06 2019-05-14 Clean Air-Engineering—Maritime, Inc. Movable emission control system for auxiliary diesel engines
WO2017152340A1 (zh) * 2016-03-07 2017-09-14 刘湘静 一种制药及化工行业废气净化装置
FR3051436B1 (fr) * 2016-05-17 2018-06-22 Lab Sa Dispositif d'introduction de fumees d'echappement d'un moteur de navire marin dans un laveur
FR3056412B1 (fr) * 2016-09-29 2021-02-19 Lab Sa Procede d'epuration des effluents liquides d'un laveur humide de traitement de fumees d'echappement emises par un moteur diesel, ainsi que procede de traitement de telles fumees
EP3339585A1 (en) * 2016-12-23 2018-06-27 Makarlan Talli Oy Combination of a ship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cleaning system for treating impurities contained in exhaust gases of ship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994997B1 (ko) * 2017-06-19 2019-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염수 처리 시스템
DE102017115193A1 (de) * 2017-07-06 2019-01-10 Bilfinger Engineering & Technologies Gmbh Rauchgasrein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Rauchgasen auf Schiffen
KR102060693B1 (ko) * 2017-09-19 2019-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053544B1 (ko) * 2018-03-16 2019-1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08704478A (zh) * 2018-05-25 2018-10-26 哈尔滨工程大学 钠碱法船舶尾气脱硫脱硝一体化装置及方法
JP7175636B2 (ja) * 2018-06-01 2022-11-21 オルガノ株式会社 スクラバ排水の浄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塩分濃度差発電システム
JP7176720B2 (ja) * 2018-06-13 2022-11-22 株式会社加来野製作所 熱分解装置
PL3640444T3 (pl) 2018-10-15 2021-08-02 Alfa Laval Corporate Ab Układ czyszczenia spalin i metoda czyszczenia spalin
KR102256309B1 (ko) * 2019-09-27 2021-05-27 (주) 우연기전 선박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849849B1 (ja) * 2020-09-08 2021-03-31 株式会社三井E&Sマシナリー 船舶排ガスの洗浄排水処理装置
CN112939138A (zh) * 2021-03-02 2021-06-11 威海普益船舶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烟气海水脱硫后PAHs的降解方法及系统
CN112919707A (zh) * 2021-04-19 2021-06-08 上海海事大学 一种船舶尾气脱硫洗涤废水的深度处理及回用装置
CN115159734A (zh) * 2022-07-29 2022-10-11 中船动力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处理系统和船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5400A1 (de) * 1992-08-27 1994-03-17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Rauchgasentschwefelung
WO2002055182A1 (en) 2001-01-09 2002-07-18 Teknowsmartz Innovations/Technology Inc. Reverse osmosis system with controlled recirculation
US20080197075A1 (en) * 2006-09-07 2008-08-21 Musale Deepak A Removing mercury and other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wastewater
US20100224070A1 (en) * 2009-03-05 2010-09-09 Patterson Ronald G Shipboard Vessel Having a Vertically Aligned Scrubber and Process Component
US20120018671A1 (en) * 2010-07-21 2012-01-26 Q5 Innov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salt water exhaust scrubber efficiency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4579A (en) * 1992-10-09 1993-09-14 Zenon Environmental Inc. Transportable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unit
JPH07279648A (ja) 1994-04-05 1995-10-27 Isao Yamamoto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US5518624A (en) * 1994-05-06 1996-05-21 Illinois Water Treatment, Inc. Ultra pure water filtration
GB2303316B (en) * 1995-07-19 1999-06-16 Baker Hughes Ltd Biofouling reduction
WO1999044722A1 (en) 1998-03-02 1999-09-10 Kvaerner Ships Equipment A.S Apparatus for reducing contaminants in a pulsating exhaust gas
FR2802508B1 (fr) 1999-12-20 2002-02-15 Dessalator Systeme de dessalinisation d'eau de mer pour bateau
US6613232B2 (en) 2000-03-21 2003-09-02 Warren Howard Chesner Mobile floating water treatment vessel
FI116156B (fi) 2000-07-11 2005-09-30 Marioff Corp Oy Menetelmä ja laite dieselmoottoreiden pakokaasujen puhdistamiseksi
US6789288B2 (en) * 2002-10-25 2004-09-14 Membrane Technology And Research, Inc. Natural gas dehydration process and apparatus
DE202004002616U1 (de) 2004-02-24 2004-04-29 Boll & Kirch Filterbau Gmbh Wasserfilteranlage, insbesondere Seewasserfilteranlage
US7578939B2 (en) * 2004-12-09 2009-08-25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Ceramic membrane water filtration
FI120213B (fi) 2005-10-21 2009-07-31 Stx Finland Cruise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polttomoottorin syöttöilman ja pakokaasujen käsittelemiseksi
FI118576B (fi) 2005-11-10 2007-12-31 Aker Yards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vesialuksen polttomoottorin pakokaasujen puhdistamiseksi
FI20065330L (fi) 2006-05-16 2007-11-17 Kvaerner Power Oy Menetelmä ja laitteisto laivamoottorin rikkidioksidipäästöjen vähentämiseksi
CN101104130A (zh) 2007-08-01 2008-01-16 大连海事大学 对船舶尾气进行海水洗涤处理的装置及方法
CN101468856A (zh) 2007-12-26 2009-07-01 赵亮 海水淡化处理方法
KR101566936B1 (ko) 2008-06-13 2015-11-06 시간 펭 선박 연료가스의 탈황 방법 및 장치
ES2851339T3 (es) 2008-06-13 2021-09-06 Marine Protech Ltd Dispositivo de depuración y método de depuración de gases de combustión de escape marino
US20100224062A1 (en) 2009-03-05 2010-09-09 Ronald Patterson Caustic-assisted seawater scrubber system
JP2011115783A (ja) 2009-10-30 2011-06-16 Fujifilm Corp 水浄化装置及び水浄化方法
FI124473B (fi) 2009-12-15 2014-09-15 Wärtsilä Finland Oy Pesuriyksikköjärjestely ja menetelmä pakokaasun puhdistamiseksi pesuriyksikköjärjestelyssä
DE102009059773A1 (de) 2009-12-21 2011-06-22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51373 Anlage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Schiffsdieselabgasen
CN101757846B (zh) 2010-02-10 2012-04-11 青岛海德威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尾气处理方法和装置
EP2402288B1 (en) 2010-07-02 2016-11-16 Alfa Laval Corporate AB Cleaning equipment for gas scrubber fluid
IL207208A (en) 2010-07-25 2015-08-31 Clean Marine As Install exhaust gas cleaning and methods for this
FI123737B (fi) 2012-02-13 2013-10-15 Oy Langh Ship Ab Menetelmä laivojen pakokaasuissa olevien epäpuhtauksien käsittelemiseksi, ja laiva, jossa pakokaasupesuri
JP5929303B2 (ja) * 2012-02-24 2016-06-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5400A1 (de) * 1992-08-27 1994-03-17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Rauchgasentschwefelung
WO2002055182A1 (en) 2001-01-09 2002-07-18 Teknowsmartz Innovations/Technology Inc. Reverse osmosis system with controlled recirculation
US20080197075A1 (en) * 2006-09-07 2008-08-21 Musale Deepak A Removing mercury and other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wastewater
US20100224070A1 (en) * 2009-03-05 2010-09-09 Patterson Ronald G Shipboard Vessel Having a Vertically Aligned Scrubber and Process Component
US20120018671A1 (en) * 2010-07-21 2012-01-26 Q5 Innov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salt water exhaust scrubber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58500A1 (en) 2013-08-22
NO2788104T3 (ko) 2018-05-12
EP2788104B1 (en) 2017-12-13
WO2013121081A3 (en) 2013-10-10
HRP20180346T1 (hr) 2018-04-06
CN104168976B (zh) 2016-08-31
FI123737B (fi) 2013-10-15
CA2858500C (en) 2019-09-17
US20150007719A1 (en) 2015-01-08
KR20140126377A (ko) 2014-10-30
EP2788104A2 (en) 2014-10-15
FI20125156A (fi) 2013-08-14
US11273406B2 (en) 2022-03-15
CN104168976A (zh) 2014-11-26
EP2788104A4 (en) 2015-10-07
DK2788104T3 (en) 2018-03-19
PL2788104T3 (pl) 2018-06-29
WO2013121081A2 (en)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703B1 (ko)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배기 가스 스크러버를 구비한 선박, 및 정화 유닛
KR102056708B1 (ko) 선박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스크러버를 구비한 선박, 및 정화 유닛
JP7289000B2 (ja) 排煙ガス洗浄液浄化システム
KR102439657B1 (ko) 스크러버 배수의 정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염분 농도차 발전 시스템
KR102039006B1 (ko)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8949B1 (ko)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US5388542A (en) Water-borne ship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DK201700132U3 (da) Kombination af en forbrændingsmotor og et rensningssystem til behandling af urenheder indeholdt i udstødningsgasser fra skibets forbrændingsmotor
JP7148731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および排気ガスを浄化するための方法
KR102038950B1 (ko)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JP7270478B2 (ja) 排水処理設備及び排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