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602B1 -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602B1
KR102055602B1 KR1020180016963A KR20180016963A KR102055602B1 KR 102055602 B1 KR102055602 B1 KR 102055602B1 KR 1020180016963 A KR1020180016963 A KR 1020180016963A KR 20180016963 A KR20180016963 A KR 20180016963A KR 102055602 B1 KR102055602 B1 KR 10205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augmented reality
avm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480A (ko
Inventor
황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1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6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G06K2209/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속 차량에 설치되며,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촬영부(20)와, 상기 촬영부(20)의 영상을 입력받아 어라운드 뷰를 구현하는 AVM 생성부(30)와, 상기 AVM 생성부(30)의 어라운드 뷰 영상에서 주정차금지구역 정보를 나타내는 부분 및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영상인식부(40)와, 상기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한 영상에서 문자를 판독하는 문자인식부(45)와, 상기 영상인식부(40)의 인식결과에 부합하는 증강현실을 생성함과 아울러 위치정보 수신부(60)를 통해 수신한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를를 표시하는 증강현실을 생성하는 증강현실 생성부(50)와, 상기 AVM 생성부(30)의 영상과 증강현실 생성부(50)에서 생성된 증강현실을 혼합하여 표시부(90)에 표시하는 제어부(10)와, 주정차 단속 영상 또는 번호판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70)와, 상기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한 결과 또는 번호판 이미지를 행정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Mobile illegal parking regulation system using a AVM}
본 발명은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주차 환경에서도 정확한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 등에 불법으로 주정차된 차량은 교통 소통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사각지대를 형성하여 교통사고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정차 금지구역을 정하고, 해당 주정차 금지구역에 대한 주정차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위의 주정차 금지구역에는 통상 고정식 단속카메라를 사용하여 주정차 단속을 시행하고 있지만, 고정식 단속카메라는 하나의 카메라로 단속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며, 설치와 유지 및 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하나의 카메라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로 관할 지역을 순찰하면서 단속하는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등록특허 10-0801936호(이동식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2008년 1월 31일 등록)에 기재되어 있다.
위의 등록특허의 기재에 따르면 CCTV 카메라를 차량에 장착하고, 이동하면서 주정차된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 및 단속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레이저를 단속 대상 차량에 조사하고, 그 반송파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이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정확한 주정차 단속을 할 수 있다.
하지만 CCTV 카메라를 사용하는 종래의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개당 설치 비용이 약 4,500만원 정도로 매우 고가이며, 검지 한계를 벗어나 주차를 한 차량이나 앞두 주차된 차량과의 간격이 일정 간격 이하인 경우 단속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을 하면서 얻어진 영상을 통해 단속을 하기 때문에 해당 위치가 주정차 금지구역인지의 판단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에 기반하고 있지만 해당 위치정보는 카메라를 장착한 차량의 위치정보이며, 불법 주정차 된 차량을 촬영한 영상의 위치정보가 주정차 금지구역 밖인 경우 단속에 불복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CCTV 카메라를 차량에 장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경우, 서로 가까이 주차된 차량들의 사이에서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하여, 이동식 주정차 단속 차량에 설치된 CCTV 카메라가 주행방향에 대하여 일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로 장착되며, 따라서 주행방향의 좌측에 주차된 차량들만 단속이 가능하고, 반대편 차로에 주차된 차량들은 단속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영상 인식 및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촬영 위치가 주정차 금지구역인지를 명확하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행 차로에 주정차된 차량 및 반대편 차로에 주정차된 차량의 단속도 가능한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주차 환경을 고려하여 주정차된 차량들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번호판을 인식하여 단속할 수 있는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단속 차량에 설치되며,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촬영부(20)와, 상기 촬영부(20)의 영상을 입력받아 어라운드 뷰를 구현하는 AVM 생성부(30)와, 상기 AVM 생성부(30)의 어라운드 뷰 영상에서 주정차금지구역 정보를 나타내는 부분 및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영상인식부(40)와, 상기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한 영상에서 문자를 판독하는 문자인식부(45)와, 상기 영상인식부(40)의 인식결과에 부합하는 증강현실을 생성함과 아울러 위치정보 수신부(60)를 통해 수신한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를를 표시하는 증강현실을 생성하는 증강현실 생성부(50)와, 상기 AVM 생성부(30)의 영상과 증강현실 생성부(50)에서 생성된 증강현실을 혼합하여 표시부(90)에 표시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 생성부(50)는, 상기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된 주정차 금지 노면 표시와 중첩되는 위치에 주정차 금지 구역 증강현실(AR1)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90)에 영상과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 생성부(50)는, 상기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된 주정차 안내문을 표시부(90)에 표시하는 증강현실(AR4)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주정차 안내문의 인식결과와 상기 현재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단속 시간인지 확인하여 단속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정차 단속 영상 또는 번호판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70)와, 상기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한 결과를 행정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기존 부피와 무게가 크고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CCTV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VM) 기술을 접목하여, 설치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GPS 위치정보를 영상에 함께 표시함과 아울러 현재 영상에서 주정차 금지구역 정보를 추출하여 증강현실로 표현함으로써, 단속 증거 영상의 증거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단속 차량의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역방향에 주정차된 차량들도 단속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이성이 증가하며 단속 차량의 주행거리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을 이용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의 회전, 탑뷰의 재현 등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주정차된 차량들의 번호판을 쉽게 확인함이 가능하여, 단속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촬영된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증강현실이 표시되는 영상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단속 차량에 설치되며,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들인 촬영부(20)와, 상기 촬영부(20)의 영상을 입력받아 어라운드 뷰를 구현하는 AVM 생성부(30)와, 상기 AVM 생성부(30)의 어라운드 뷰 영상에서 주정차금지구역 정보를 나타내는 부분 및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영상인식부(40)와, 상기 영상인식부(40)의 영상에서 문자정보를 판독하는 문자인식부(45)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60)와, 상기 영상인식부(40)의 인식결과에 부합하는 증강현실을 생성함과 아울러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증강현실을 생성하는 증강현실 생성부(50)와, 상기 AVM 생성부(30)의 영상과 증강현실 생성부(50)에서 생성된 증강현실을 혼합하여 표시부(90)에 표시하는 제어부(10)와,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70)와, 불법 주정차된 차량의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차량의 이력을 수신하는 무선통신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촬영부(20)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통상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을 구현하기 위해서 4개의 광각 카메라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카메라의 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광각 카메라는 단속 차량의 전방, 후방, 양측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존의 CCTV 카메라를 사용하는 구성에 비하여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0)에서 촬영된 영상은 AVM 생성부(30)로 제공되며, AVM 생성부(30)는 복수의 광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조합하여 단속 차량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조합하고, 탑뷰 영상을 제공한다.
이는 영상의 공간적인 정보를 해석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이후 해당 영상에서 특정한 위치를 확대하거나, 시야각을 조정하는 등의 조작이 가능하다.
특히 복수의 광각 카메라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에서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촬영할 수 있어 번호판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평면적인 단속 영상에서는 불법 주정차된 차량간의 간격이 좁아 번호판의 판독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확대 및 시야각의 조정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주정차된 차량들의 번호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60도 방향을 모두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주행하는 주행차로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과 함께 반대 차로에 주정차된 차량의 번호판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물체와 가까이 위치하여 전방에 설치된 광각 카메라로 촬영되지 않는 번호판의 경우 측방에 설치된 광각 카메라로는 촬영이 가능하며, 차량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번호판은 후방에 설치된 광각 카메라로 촬영이 가능하다.
상기 AVM 생성부(30)를 통해 생성된 어라운드 뷰 영상은 영상인식부(40)로 제공된다.
도 2는 촬영된 영상의 일예로, 어라운드 뷰 영상에서 전방 영역만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영부(20)에서 촬영된 영상에는 불법 주정차된 차량(1)과 함께 주정차 노면 표시(3,4), 주정차 금지 표지판(5)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영상인식부(40)는 다양한 패턴의 인식을 통해 영상에서 주요 정보를 가지는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경계를 검출하는 에지검출, 불법 주정차된 차량(1)의 번호판(2)의 가로 및 세로의 비율과 색상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고, 문자인식부(45)는 추출된 번호판 영역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인식할 수 있다.
통상 현재의 주정차 노면 표시는 흰색 실선은 주정차 가능, 황색 점선(4)은 탄력적 주차 허용, 황색 실선(3)은 주정차 금지이다. 관련 법률의 개정으로 이와 같은 주정차 노면 표시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영상인식부(40)는 에지 검출 및 색상 검출을 통해 주정차 노면 표시를 인식한다.
또한, 주정차 금지 표지판(5)을 인식할 수 있으며, 주정차 금지 표지판과 함께 설치되는 주정차 금지 안내문(6)을 인식한다. 주정차 금지 안내문(6)에 기재된 문자는 문자인식부(45)에서 판독될 수 있다.
주정차 금지 안내문(6)에는 주정차 금지 요일 및 시간 또는 주정차 금지이기는 하나 공휴일 등 주차가 한시적으로 허용되는 조건이 기재되어 있으며, 주정차 금지 안내문(6)에 기록된 문자를 인식하여 현재 시간이 주차가 허용되는 시간인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상기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된 정보는 증강현실 생성부(50)로 제공되며, 상기 증강현실 생성부(50)는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된 정보에 따라 설정된 증강현실을 영상의 해당 픽셀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생성한다.
이때의 증강현실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특히 황색 실선(3)으로 표시되는 주정차 금지 노면 표시 부분은 황색 실선으로 표시하여 주정차된 차량(1)의 위치가 금지 구역에 위치하는지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수신부(60)에서 위치정보와 함께 시각정보를 수신하여 단속 위치와 시간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며,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증강현실로 표시할 수 있도록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증강현실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60)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정차 금지 안내문(6)에서 인식된 문자를 영상에 표시하는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생성된 증강현실을 제어부(10)로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10)는 AVM 생성부(30)에서 생성한 어라운드 뷰 영상에 상기 증강현실 생성부(50)에서 생성한 증강현실을 더하여 표시부(90)에 표시한다.
도 3은 상기 표시부(90)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실시예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영상의 황색 실선(3)에는 주정차 금지 구역 증강현실(AR1)이 중첩되도록 표시하고, 적당한 공간을 지정하여 위치정보 증강현실(AR2), 현재시각 증강현실(AR3)을 표시한다. 이때 위치정보와 현재시각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60)를 통해 수신된 정보로 한다.
또한, 주정차 금지 안내문(6)의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내용을 단속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주정차 금지 안내문 증강현실(AR4)을 표시한다. 이때의 주정차 금지 안내문 증강현실(AR4)에 기재되는 내용은 상기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한 내용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주정차 금지 안내문(6)에 기재된 문자 인식 결과와 현재 시각을 비교하여 현재 시각이 주정차 허용 시간이면 단속을 하지 않고, 주정차 금지 시간이면 단속을 수행한다.
이때 인식된 차량(1)의 영역이 증강현실로 표현되는 주정차 금지 구역 내에 있는 것인지 판단하고, 주정차 금지 구역 내에 있는 경우 번호판(2)의 인식정보를 저장부(70)에 저장한다.
이때 번호판(2)은 확대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번호판(2) 이미지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단속 시점의 영상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70)에 저장되는 영상은 촬영 영상과 함께 상기 증강현실이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상기 번호판(2)의 문자를 인식한 문자인식부(45)의 인식결과를 무선통신부(8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때의 송신은 불법주정차 단속 권한이 있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단속서버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행정기관서버라고 설명한다.
상기 행정기관서버는 단속된 차량번호의 차주를 확인하고, 불법 주정차 단속이 되었음을 알림문자 등을 이용하여 통지할 수 있다.
위에서는 문자인식부(45)에서 인식된 차량번호를 행정기관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예로들었으나, 본 발명의 처리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번호판(2)의 이미지를 행정기관서버로 전송하고, 행정기관서버에서 수신된 번호판 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주정차 금지구역의 표시를 더욱 명확하게 함과 아울러 주변의 안내문 정보와 단속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실제 불법 주정차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단속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제어부 20:촬영부
30:AVM 생성부 40:영상인식부
45:문자인식부 50:증강현실 생성부
60:위치정보 수신부 70:저장부
80:무선통신부 90:표시부

Claims (5)

  1. 단속 차량에 설치되며,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촬영부(20);
    상기 촬영부(20)의 영상을 입력받아 어라운드 뷰를 구현하는 AVM 생성부(30);
    상기 AVM 생성부(30)의 어라운드 뷰 영상에서 주정차금지구역 정보를 나타내는 부분 및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영상인식부(40);
    상기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한 영상에서 문자를 판독하는 문자인식부(45);
    상기 영상인식부(40)의 인식결과에 부합하는 증강현실을 생성함과 아울러 위치정보 수신부(60)를 통해 수신한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증강현실을 생성하는 증강현실 생성부(50); 및
    상기 AVM 생성부(30)의 영상과 증강현실 생성부(50)에서 생성된 증강현실을 혼합하여 표시부(90)에 표시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생성부(50)는 상기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된 주정차 안내문을 표시부(90)에 표시하는 증강현실(AR4)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주정차 안내문의 인식결과와 상기 현재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단속 시간인지 확인하여 단속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부(50)는,
    상기 영상인식부(40)에서 인식된 주정차 금지 노면 표시와 중첩되는 위치에 주정차 금지 구역 증강현실(AR1)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90)에 영상과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주정차 단속 영상 또는 번호판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70); 및
    상기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한 결과 또는 번호판 이미지를 행정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80)를 더 포함하는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20180016963A 2018-02-12 2018-02-12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205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963A KR102055602B1 (ko) 2018-02-12 2018-02-12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963A KR102055602B1 (ko) 2018-02-12 2018-02-12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480A KR20190097480A (ko) 2019-08-21
KR102055602B1 true KR102055602B1 (ko) 2020-01-22

Family

ID=6780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963A KR102055602B1 (ko) 2018-02-12 2018-02-12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424B1 (ko) * 2020-10-21 2022-12-23 주식회사 올룰로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679A (ja) 2001-11-05 2003-05-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Police Science Japan 交通信号無視車両自動記録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413231B1 (ko) * 2013-02-18 2014-06-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차량 주변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2442A (ja) * 1995-03-06 1996-09-17 Kubota Corp 監視用映像記録装置
KR100801936B1 (ko) * 2006-05-12 2008-02-12 주식회사 라이크텍 이동식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679A (ja) 2001-11-05 2003-05-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Police Science Japan 交通信号無視車両自動記録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413231B1 (ko) * 2013-02-18 2014-06-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차량 주변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480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497B1 (ko) 영상융합을 이용한 교통 위반 단속 시스템
RU2680216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и идентификаци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комплекс таких систем
KR101698026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cctv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US6396535B1 (en) Situation awareness system
US8284996B2 (en) Multiple object speed tracking system
US8134693B2 (en) Traffic violation detection, recording and evidence processing system
KR101624986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및 주차관리 통합관제장치
KR100895846B1 (ko) 주차정보제공및 불법주차와 불법차량의 무인단속시스템
KR101624991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100779039B1 (ko) 불법유턴 차량의 감시,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5762B1 (ko) 추적 대상 차량번호의 이동 패턴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EP3806061A1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system
KR101143521B1 (ko)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방법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KR102159144B1 (ko) 보행신호등 주변의 위반차량 무인단속시스템
KR20190025165A (ko) 3d 교통단속장치를 이용한 주정차 단속 방법 및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2055602B1 (ko)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0785759B1 (ko) 차량 탑재형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방법
KR101882888B1 (ko)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에서의 파노라마 영상 제공 방법
WO2017022268A1 (ja) 車両特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特定システム
KR101917674B1 (ko) 주차 상태 자기 분석 검지 방법을 적용한 지능형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283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apturing Potential Traffic Infractions
KR100444762B1 (ko) 도로 차선위반 감시, 추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3108B1 (ko) 차량단속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36111B1 (ko) 모빌리티 시스템으로 위법 차량을 단속하도록 한 인공지능 기반 이벤트검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