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050B1 - 클립식 연신 장치 - Google Patents

클립식 연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050B1
KR102055050B1 KR1020177032879A KR20177032879A KR102055050B1 KR 102055050 B1 KR102055050 B1 KR 102055050B1 KR 1020177032879 A KR1020177032879 A KR 1020177032879A KR 20177032879 A KR20177032879 A KR 20177032879A KR 102055050 B1 KR102055050 B1 KR 102055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haft member
link
stretch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7854A (ko
Inventor
요시히사 이케다
미치히코 사이토
유이치 와타나베
히로아키 가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시트상 부재를 동시 2축 연신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시트상 부재의 연신의 패턴에 적합한 동시 2축 연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클립식 연신 장치를 제공한다. 클립식 연신 장치(1)는, 클립(10)을 갖는 제1 클립 담지 부재(31)를 구비하는 주 링크 장치(30)와, 클립(10)을 갖는 종 링크 장치(60)와, 클립(10)의 순회 경로를 획정하는 기준 레일(12)과, 기준 레일(12)과의 이격 거리에 의하여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 사이의 피치를 설정하는 피치 설정 레일(13)과,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제1 축 부재(42)에 설치된 구동 롤러(48)가 걸림 결합하여 제1 클립 담지 부재(31)를 주행시키는 구동용 스프로킷(14, 15)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클립식 연신 장치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을 연신하는 클립식 연신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미리 설정된 연신 패턴에 기초하여 시트나 필름 등의 시트상 부재에 대한 동시 2축 연신(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클립식 연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는, 필름이나 시트(이하, 시트상 부재)를 연속적으로 연신하는 동시 2축 연신기(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achine)가 나타나 있다. 동시 2축 연신기에 있어서, 2개의 링크 장치가 평면에서 보아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링크 장치는, 예를 들어 시트상 부재의 에지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파지자(clip)를 갖고 있다. 복수의 파지자(clip)는 체인에 의하여 무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동시 2축 연신기는 횡 연신을 행함과 동시에 종 연신을 행할 수 있다. 횡 연신(Transversal Stretching)에서는, 좌우의 파지자 사이의 거리를 서서히 확대함으로써 시트상 부재에 대한 횡 연신 처리가 행해진다. 종 연신(Longitudinal Stretching)에서는, 링크 장치를 신장시켜 파지자의 피치를 서서히 확대함으로써 시트상 부재에 대한 종 연신 처리가 행해진다.
특허문헌 1의 동시 2축 연신기에는, 링크 장치(친 링크) 사이에 링크 장치와 마찬가지의 파지자(clip)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파지자(clip)는 링크 장치의 신장에 맞추어 신장된다. 또한 동시 2축 연신기에는, 가이드 레일을 전동하는 롤러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 링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하 용량이 큰 롤러(베어링)를 채용하여 장치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장치의 입구에 있어서, 연신 전의 필름을 파지할 때의 파지자(clip)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시트상 부재의 양 측연부가 파형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고 소44-715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동시 2축 연신기는 클립측 가이드 레일과 반클립측 가이드 레일과 스프로킷을 갖고 있다.
클립측 가이드 레일은 링크 장치의 클립측의 롤러를 전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반클립측 가이드 레일은 링크 장치의 반클립측의 롤러를 전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가이드 레일의 간격을 조절한다. 링크 장치를 신장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파지자(clip)의 피치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로킷은, 링크 장치를 2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순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프로킷은 반클립측의 롤러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동시 2축 연신기에 의하면, 3개의 롤러에 의하여 링크 장치의 자세가 정해짐과 함께, 링크의 신장 상태가 정해진다. 이 경우, 3개의 롤러에 있어서, 2개의 롤러는 반클립측 가이드 레일을 전동하는 2개의 롤러이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이웃하는) 2개의 롤러이다. 나머지 1개의 롤러는 클립측 가이드 레일을 전동하는 롤러이고, 또한 반클립측 가이드 레일을 전동하는 2개의 롤러의 상호 간을 전동하는 롤러이다.
동시 2축 연신기의 예열 존이나 열처리 존에서는, 2개의 가이드 레일의 간격이 일정하며 직선형으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가이드 레일을 전동하는 롤러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 링크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예열 존과 열처리 존 사이의 연신 존에서는, 2개의 가이드 레일의 간격이 서서히 좁혀지고 있다. 예열 존과 접속되는 접속부에서는, 2개의 가이드 레일을 만곡시키면서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열 존을 이동해 온 링크 장치는 원활히 연신 존으로 이행한다.
이 연신 존의 접속부에서는, 클립측 가이드 레일의 곡률보다도 반클립측 가이드 레일의 곡률 쪽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링크 장치의 클립측의 2개의 롤러는 의도치 않게 그 간격이 커진다. 이것에 의하여, 이 접속부에서는, 링크 장치(친 링크)의 파지자(clip)의 이동의 궤적과 자 링크의 파지자(clip)의 이동의 궤적의 차가 커진다. 그 결과, 링크 장치(친 링크)의 파지자(clip)에서 파지한 부분의 연신 상태와 자 링크의 파지자(clip)에서 파지한 부분의 연신 상태가 서로 상이해져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상 부재를 동시 2축 연신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시트상 부재의 연신의 패턴에 적합한 동시 2축 연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클립식 연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클립식 연신 장치는, 클립을 갖는 제1 클립 담지 부재를 구비하는 주 링크 장치와, 클립을 갖는 종 링크 장치와, 클립의 순회 경로를 획정하는 기준 레일과, 기준 레일과의 이격 거리에 의하여 제1 클립 담지 부재끼리의 사이의 피치를 설정하는 피치 설정 레일과, 제1 클립 담지 부재의 제1 축 부재에 설치된 구동 롤러가 걸림 결합하여 제1 클립 담지 부재를 주행시키는 구동용 스프로킷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용 스프로킷이 제1 축 부재의 구동 롤러와 걸림 결합한다. 이 때문에, 무단상으로 연결된 제1 클립 담지 부재를 순회 경로를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이때, 연신 존의 접속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축 부재끼리의 피치(간격)가 의도치 않게 커지는 일은 없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축 부재의 주행 궤적과, 걸림 결합자(engaging element)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6 축 부재의 주행 궤적과의 차를, 허용 범위에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클립 담지 부재에 설치된 클립의 주행 궤적과 제2 담지 부재에 설치된 클립의 주행 궤적 사이의 차도 허용 범위에 들어간다. 그 결과, 연신 존의 접속부에 있어서 필름의 연신 상태가 상이하다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미리 설정된 연신 패턴에 기초하여 시트상 부재에 대한 동시 2축 연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식 연신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주 링크 장치와 종 링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주 링크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종 링크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연신 존의 접속부에 있어서, 주 링크 장치와 종 링크 장치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일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식 연신 장치(1)는, 평면에서 보아 좌우 양측에 무단 루프(11R과 11L)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는 복수의 클립(10)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립(10)은 연신 대상인 시트나 필름 등의 시트상 부재를 파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상 부재의 입구(1a) 측에서 보아 우측의 무단 루프를 우측의 무단 루프(11R), 좌측의 무단 루프를 좌측의 무단 루프(11L)라 한다.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의 클립(10)은 각각 기준 레일(12)에 안내되어 루프상으로 순회 이동한다. 우측의 무단 루프(11R)는 시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한다. 좌측의 무단 루프(11R)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한다. 연신 전의 시트상 부재는, 입구(1a)에서 클립(10)에 그 양쪽 에지부가 파지되어 연신된 후, 출구(1b)에서 클립(10)의 파지로부터 해방된다.
시트상 부재의 입구(1a)측(상류측)으로부터 출구(1b)측(하류측)을 향하여 예열 존 A, 연신 존 B, 열처리 존 C가 이 순서대로 배치 구성되어 있다.
예열 존 A에서는,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의 상호 간의 거리가 횡 연신 초기 폭 상당으로 되어, 비교적 작게 설정되어 있다. 예열 존 A의 전역에 걸쳐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는 서로 평행인 배치로 되어 있다.
연신 존 B에서는, 예열 존 A측으로부터 열처리 존 C를 향함에 따라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의 상호 간의 거리가 서서히 확대되고 있다. 연신 존 B의 전역에 걸쳐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는 비평행인 배치로 되어 있다. 연신 존 B에 있어서,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의 상호 간의 거리는, 연신 개시 단부(예열 존 A와의 접속 단부)에서는 횡 연신 초기 폭 상당으로 설정되고, 연신 종료 단부(열처리 존 C와의 접속 단부)에서는 횡 연신 최종 폭 상당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예열 존 A와의 접속부 Bf에 있어서,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는 클립(10)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시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열 존 A를 이동해 온 클립(10)은 원활히 연신 존 B로 이행 가능해진다.
열처리 존 C에서는,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의 상호 간의 이격이 횡 연신 최종 폭 상당으로 되어,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열처리 존 C의 전역에 걸쳐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는 서로 평행인 배치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클립식 연신 장치(1)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립(10)은 시트상 부재 W를 파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립(10)은, 요크 형상의 클립 본체(20)와, 클립 본체(20)에 고정 장착된 하측 고정 클립 부재(21)와, 핀(22)에 의하여 클립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레버(23)와, 가동 레버(23)의 하단부에 핀(24)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측 가동 클립 부재(25)를 갖고 있다.
하측 고정 클립 부재(21)와 상측 가동 클립 부재(25) 사이에 시트상 부재 W의 측연부를 끼워 넣어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클립(10)은 시트상 부재 W를 사이에 놓고 지지하거나 그 지지 상태를 해방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클립(10)은, 그 반수가 주 링크 장치(30)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나머지 반수가 종 링크 장치(60)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주 링크 장치(30)」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링크 장치(30)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1 클립 담지 부재(clip support member)(3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클립 담지 부재(31)는 클립(10)을 담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립(10)은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전방측)에 담지되어 있다.
제1 클립 담지 부재(31)는, 상측 빔(32), 하측 빔(33), 전방벽(34), 후방벽(35)에 의하여 폐쇄된 프레임 구조(도 3 참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는 견고하여 강성이 우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양 단부{전방벽(34), 후방벽(35)}에는 주행륜(38, 39)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륜(38, 39)은 각각 축(36, 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행륜(38, 39)은 기대(80)에 형성된 수평인 주행 노면(81, 82) 상을 전동한다. 주행 노면(81, 82)은 전역에 걸쳐 기준 레일(12)에 병행하고 있다.
상측 빔(32)의 타 단부측(후방측), 및 하측 빔(33)의 타 단부측(후방측)에는 각각 제1 긴 구멍(긴 형상의 구멍)(40)이 구성되어 있다. 상하의 제1 긴 구멍(긴 형상의 구멍)(40)은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다. 상하의 제1 긴 구멍(40)에는 제1 슬라이더(4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일 단부{클립(10)측}의 근방에는, 상측 빔(32), 하측 빔(33)을 관통하여 1개의 제1 축 부재(42)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상하 제1 슬라이더(41)에는, 1개의 제2 축 부재(43)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제1 축 부재(42)에는 제1 링크 부재(44)의 일 단부가 피벗 연결(Pivot connection)되어 있다. 제1 링크 부재(44)의 타 단부는, 시트상 부재 W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제2 축 부재(43)에 피벗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44)의 중간부에는 제3 축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축 부재(46)에는 제2 링크 부재(45)의 일 단부가 추축 연결(Pivot connection)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45)의 타 단부는, 시트상 부재 W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제1 축 부재(42)에 피벗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링크 부재(45)에 있어서의 제3 축 부재(46)와 제1 축 부재(42) 사이의 거리는 제1 링크 부재(44)에 있어서의 제3 축 부재(46)와 제1 축 부재(42)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1 링크 부재(44), 제2 링크 부재(45)에 의한 링크기구에 의하여 제1 슬라이더(41)가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타 단부측(반클립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접하는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작아진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더(41)가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일 단부측(클립측)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시트상 부재 W의 반송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커진다.
제1 축 부재(42)의 하단부에는 안내 롤러{제1 걸림 결합자(engaging element)}(4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안내 롤러(47)는 오목 홈 형상의 기준 레일(12)의 오목 홈(83)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기준 레일(12){오목 홈(83)}은 기대(80) 상에 설치되어 있다. 기준 레일(12){오목 홈(83)}은 클립(10)의 순회 경로를 획정하고 있다.
제1 축 부재(42)의 상단에는 구동 롤러(4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48)는 구동용 스프로킷{14, 15(도 1 참조)}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한다. 구동용 스프로킷(14, 15)은 전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있다. 구동용 스프로킷(14, 15)은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구동 롤러(48)와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한다. 이때, 제1 클립 담지 부재(31)를 순회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는 힘을 제1 클립 담지 부재(31)에 부여한다. 이렇게 하여 제1 클립 담지 부재(31)를 순회 경로를 따라 주행시킨다.
제2 축 부재(43)의 하단부에는 피치 설정 롤러(제2 걸림 결합자)(4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치 설정 롤러(49)는 오목 홈 형상의 피치 설정 레일(13)의 오목 홈(84)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피치 설정 레일(13){오목 홈(84)}은 기대(80) 상에 설치되어 있다. 피치 설정 레일(13){오목 홈(84)}은 제1 긴 구멍(40)에 있어서의 제1 슬라이더(41)의 위치를 설정한다.
피치 설정 레일(13)은, 기준 레일(12)과의 이격 거리에 의하여, 제1 긴 구멍(40)에 있어서의 제1 슬라이더(41)의 위치를 정하는 작용을 한다. 피치 설정 레일(13)은, 시트상 부재 W의 반송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를 가변 설정한다. 예를 들어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가 길수록, 즉, 피치 설정 레일(13)이 기준 레일(12)보다 멀어져 있을수록 제1 슬라이더(41)를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타 단부측(반클립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작아진다.
이에 대하여,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가 짧을수록, 즉, 피치 설정 레일(13)이 기준 레일(12)에 근접해 있을수록 제1 슬라이더(41)를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일 단부측(클립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커진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열 존 A의 전역에 걸쳐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는 최댓값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열 존 A에 있어서, 피치 설정 레일(13)은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최소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연신 존 B는 연신 개시 단부(예열 존 A와의 접속 단부)와 연신 종료 단부(열처리 존 C와의 접속 단부)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연신 개시 단부(예열 존 A와의 접속 단부)에 있어서,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는 최댓값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는 최소로 되어 있다. 한편, 연신 종료 단부(열처리 존 C와의 접속 단부)에 있어서,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는 최솟값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는 최대로 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연신 존 B는, 연신 개시 단부로부터 연신 종료 단부를 향함에 따라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가 서서히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연신 존 B는, 연신 개시 단부로부터 연신 종료 단부를 향함에 따라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서서히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처리 존 C의 전역에 걸쳐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는 최댓값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열처리 존 C에 있어서, 피치 설정 레일(13)은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최대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 레일(12)과 피치 설정 레일(13)을 배치 구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시트상 부재 W를 파지하는 다수의 클립(10)을 갖는 무단 루프(11R과 11L) 클립(10)의 순회 경로가 설정된다. 그 결과, 시트상 부재 W가 입구(1a)로부터 출구(1b)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실시되는 연신 패턴이 획정된다.
「종 링크 장치(60)」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 링크 장치(60)는, 직사각형을 갖는 제2 클립 담지 부재(clip support member)(61)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클립 담지 부재(61)는 클립(10)을 담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립(10)은 제2 클립 담지 부재(61)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전방측)에 담지되어 있다.
제2 클립 담지 부재(61)는, 상측 빔(62), 하측 빔(63), 전방벽(64), 후방벽(65)에 의하여 폐쇄된 프레임 구조(도 4 참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는 견고하여 강성이 우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측 빔(62)의 타 단부측(후방측), 및 하측 빔(63)의 타 단부측(후방측)에는 각각 제2 긴 구멍(긴 형상의 구멍)(66)이 구성되어 있다. 상하의 제2 긴 구멍(긴 형상의 구멍)(66)은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다. 상하의 제2 긴 구멍(66)에는 제2 슬라이더(6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상하의 제2 슬라이더(67)에는, 1개의 제3 축 부재(46)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 링크 장치(60)는 제3 링크 부재(68)와 제4 링크 부재(70)를 갖고 있다.
제3 링크 부재(68)의 일 단부는 제1 링크 부재(44)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 부재(44)의 중간부는 제1 축 부재(42)와 제3 축 부재(46)의 중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중간부에는 제4 축 부재(69)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3 링크 부재(68)의 일 단부는 제4 축 부재(69)에 피벗 연결되어 있다.
제4 링크 부재(70)의 일 단부는 제2 링크 부재(45)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45)의 중간부는 제1 축 부재(42)와 제3 축 부재(46)의 중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중간부에는 제5 축 부재(71)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4 링크 부재(70)의 일 단부는 제5 축 부재(71)에 피벗 연결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68)에 있어서의 제4 축 부재(69)와 제6 축 부재(72) 사이의 거리는 제1 링크 부재(44)에 있어서의 제4 축 부재(69)와 제1 축 부재(42)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4 링크 부재(70)에 있어서의 제5 축 부재(71)와 제6 축 부재(72) 사이의 거리는 제2 링크 부재(45)에 있어서의 제5 축 부재(71)와 제1 축 부재(42)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3 링크 부재(68)의 타 단부, 및 제4 링크 부재(70)의 타 단부는 제6 축 부재(72)에 의하여 서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6 축 부재(72)는 제2 클립 담지 부재(61)의 일 단부{클립(10)측}의 근방에서, 상측 빔(62), 하측 빔(63)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클립 담지 부재(61)의 제6 축 부재(72)와 클립(10) 사이의 거리는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제1 축 부재(42)와 클립(10)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 종 링크 장치(60)에 있어서, 제3 링크 부재(68)는 주 링크 장치(30)의 제1 링크 부재(44)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 링크 부재(70)는 주 링크 장치(30)의 제2 링크 부재(45)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종 링크 장치(60)는 주 링크 장치(30)의 신장에 맞추어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 링크 장치(60)의 제6 축 부재(72)는, 인접하는 주 링크 장치(30)끼리의 제1 축 부재(42)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위치 부여되어 있다. 즉, 제6 축 부재(72)는 인접하는 제1 축 부재(42)의 상호 간의 중간부(중간점)에 위치 부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클립(10)을 갖는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는 각각, 무단상으로 연결된 다수의 주 링크 장치(30)와 복수의 종 링크 장치(60)을 구비하고 있다. 종 링크 장치(60)는 인접하는 주 링크 장치(30)끼리의 사이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클립식 연신 장치(1)의 동작」
우측의 무단 루프(11R)의 구동용 스프로킷(14, 15)은 전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좌측의 무단 루프(11L)의 구동용 스프로킷(14, 15)은 전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구동용 스프로킷(14, 15)에는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구동 롤러(48)가 걸림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용 스프로킷(14, 15)으로부터 구동 롤러(48)를 통하여 제1 클립 담지 부재(31)에 주행력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하여 우측의 무단 루프(11R)는 시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한다. 좌측의 무단 루프(11L)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한다. 그 결과, 연신 전의 시트상 부재 W가 입구(1a)로부터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 사이에 넣어진다.
이 입구(1a)에 있어서,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의 클립(10)에 의하여 시트상 부재 W의 양 측연부가 파지(클립 온)된다.
여기서,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의 이동, 즉, 기준 레일(12)에 안내된 주 링크 장치(30)의 이동과, 그에 수반하는 종 링크 장치(60)의 이동에 의하여, 시트상 부재 W는 먼저 예열 존 A에 진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예열 존 A의 전역에 걸쳐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은 서로 평행으로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다.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는 최댓값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열 존 A에 있어서, 피치 설정 레일(13)은,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최소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예열 존 A에 있어서는, 시트상 부재 W에 대하여 횡 연신도 종 연신도 행해지지 않으며, 예열만이 행해진다.
예열 후, 시트상 부재 W는 뒤이어 연신 존 B에 진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신 존 B에서는, 예열 존 A측으로부터 열처리 존 C를 향함에 따라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의 상호 간의 거리가 서서히 확대되고 있다. 연신 존 B는, 연신 개시 단부로부터 연신 종료 단부를 향함에 따라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가 서서히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연신 존 B는, 연신 개시 단부로부터 연신 종료 단부를 향함에 따라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서서히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주 링크 장치(30)의 제1 슬라이더(41)가 제1 클립 담지 부재(31)의 일 단부측(클립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연신 존 B에서는, 시트상 부재 W에 대하여 횡 연신과 동시에 종 연신이 행해진다. 이때, 종 링크 장치(60)는, 제6 축 부재(72)가 인접하는 주 링크 장치(30)끼리의 제1 축 부재(42)를 연결하는 직선 상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신장된다.
동시 2축 연신 후, 시트상 부재 W는 뒤이어 열처리 존 C에 진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처리 존 C의 전역에 걸쳐 피치 설정 레일(13)과 기준 레일(12)의 이격 거리는 최댓값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열처리 존 C에 있어서, 피치 설정 레일(13)은 제1 클립 담지 부재(31)끼리의 피치가 최대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열처리 존 C에 있어서는, 시트상 부재 W에 대하여 횡 연신도 종 연신도 행해지지 않으며, 열처리만이 행해진다.
열처리 존 C의 종단부의 출구(1b)에서는, 좌우의 무단 루프(11R, 11L)의 클립(10)에 의하여 시트상 부재 W에 대한 파지가 해방(클립 오프)된다. 이후, 시트상 부재 W는 직진한다. 또한 주 링크 장치(30)와 종 링크 장치(60)는 기준 레일(12)에 안내되어 루프상으로 순회 이동한다.
「실시 형태의 효과」
구동용 스프로킷(14, 15)이, 클립(10)측의 제1 축 부재(42)에 설치된 구동 롤러(48)와 걸림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클립 담지 부재(31)를 순회 경로를 따라 주행시킨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10)이 연신 존 B의 접속부 Bf를 통과할 때, 2개의 안내 롤러(제1 걸림 결합자)(47)와 1개의 피치 설정 롤러(제2 걸림 결합자)(49)의 3점에서 주 링크 장치(30)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레일(12)과 피치 설정 레일(13)의 이격 간격을 조정한다. 그렇게 하면, 인접하는 제1 축 부재(42)끼리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동시에, 제1 축 부재(42)의 주행 궤적과, 걸림 결합자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6 축 부재(72)의 주행 궤적의 차 E를 허용 범위에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클립 담지 부재(31)에 설치된 클립(10)의 주행 궤적과 제2 담지 부재(61)에 설치된 클립(10)의 주행 궤적의 차도 허용 범위에 들어간다.
또한 주 링크 장치(30)의 제1 링크 부재(44)에 종 링크 장치(60)의 제3 링크 부재(68)을 피벗 연결하는 제4 축 부재(69)는 제1 축 부재(42)와 제3 축 부재(46)의 중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주 링크 장치(30)의 제2 링크 부재(45)에 종 링크 장치(60)의 제4 링크 부재(70)를 피벗 연결하는 제5 축 부재(71)도 제1 축 부재(42)와 제3 축 부재(46)의 중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기준 레일(12) 및 피치 설정 레일(13)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기준 레일(12)과 피치 설정 레일(13)의 간격을 L이라 한다. 그렇게 하면, 구동용 스프로킷(14, 15)에 걸림 결합하는 제1 링크 부재(44)의 구동 롤러(48)와, 제4 축 부재(69) 및 제5의 축 부재(71)의 간격은, 상기한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L/4로 된다. 이러한 간격(L/4)은, 제1 클립 담지 부재(31)를 순회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는 힘의 작용점에 가까운 위치 관계로 된다. 그 결과, 안정적으로 종 링크 장치(60)을 신장(신축, 전개)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연신 존 B의 접속부 Bf에서의 필름의 연신 상태가 상이하다는 종래의 문제를 억제하면서 미리 설정된 시트상 부재 W의 연신의 패턴에 적합한 동시 2축 연신을 행할 수 있다.
1: 클립식 연신 장치
10: 클립
11L, 11R: 무단 루프
12: 기준 레일
13: 피치 설정 레일
14, 15: 구동용 스프로킷
30: 주 링크 장치
31: 제1 클립 담지 부재
32: 상측 빔
33: 하측 빔
34: 전방벽
35: 후방벽
40: 제1 긴 구멍
41: 제1 슬라이더
42: 제1 축 부재
43: 제2 축 부재
44: 제1 링크 부재
45: 제2 링크 부재
46: 제3 축 부재
47: 안내 롤러
48: 구동 롤러
49: 피치 설정 롤러
60: 종 링크 장치
61: 제2 클립 담지 부재
62: 상측 빔
63: 하측 빔
64: 전방벽
65: 후방벽
66: 제2 긴 구멍
67: 제2 슬라이더
68: 제3 링크 부재
69: 제4 축 부재
70: 제4 링크 부재
71: 제5 축 부재
72: 제6 축 부재
80: 기대
83, 84: 오목 홈

Claims (1)

  1. 좌우 양측에 배치된 다수의 클립에 의하여 시트상 부재의 양 측연부를 파지하여 상기 시트상 부재의 연신을 행하는 클립식 연신 장치이며,
    직사각형을 이루고,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상기 시트상 부재를 파지하는 상기 클립을 갖고, 타 단부측에 길이 방향으로 긴 제1 긴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제1 클립 담지 부재와,
    상기 제1 클립 담지 부재의 상기 일 단부의 근방에 설치된 제1 축 부재와,
    상기 제1 클립 담지 부재의 상기 제1 긴 구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한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설치된 제2 축 부재와,
    일 단부가, 상기 제1 클립 담지 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1 축 부재에 피벗 연결되고, 타 단부가, 인접하는 상기 제1 클립 담지 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2 축 부재에 피벗 연결된, 제1 링크 부재와,
    일 단부가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3 축 부재에 의하여 피벗 연결되고, 타 단부가 인접하는 상기 제1 클립 담지 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1 축 부재에 피벗 연결된 제2 링크 부재와,
    일 단부가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상기 제1 축 부재와 상기 제3 축 부재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4 축 부재에 의하여 피벗 연결된 제3 링크 부재와,
    일 단부가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상기 제1 축 부재와 상기 제3 축 부재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5 축 부재에 의하여 피벗 연결된 제4 링크 부재와,
    상기 제3 링크 부재의 타 단부와 상기 제4 링크 부재의 타 단부를 상호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6 축 부재와,
    직사각형을 이루고,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상기 시트상 부재를 파지하는 상기 클립을 갖고, 상기 제6 축 부재가 상기 일 단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타 단부측에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긴 제2 긴 구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3 축 부재에 연결된 제2 슬라이더가 설치된 복수의 제2 클립 담지 부재와,
    상기 제1 축 부재에 설치된 제1 걸림 결합자가 걸림 결합하여 상기 클립의 순회 경로를 획정하는 기준 레일과,
    상기 기준 레일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2 축 부재에 설치된 제2 걸림 결합자가 걸림 결합하여, 상기 기준 레일과의 이격 거리에 의하여 인접하는 상기 제1 클립 담지 부재와의 사이의 피치를 가변 설정하는 피치 설정 레일과,
    상기 제1 축 부재에 설치된 구동 롤러가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하여 상기 제1 클립 담지 부재를 상기 순회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는 구동용 스프로킷을 구비한, 클립식 연신 장치.
KR1020177032879A 2015-05-19 2016-05-18 클립식 연신 장치 KR102055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1752 2015-05-19
JPJP-P-2015-101752 2015-05-19
PCT/JP2016/064783 WO2016186141A1 (ja) 2015-05-19 2016-05-18 クリップ式延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854A KR20170137854A (ko) 2017-12-13
KR102055050B1 true KR102055050B1 (ko) 2019-12-11

Family

ID=5732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879A KR102055050B1 (ko) 2015-05-19 2016-05-18 클립식 연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4351B2 (ko)
JP (1) JP6772130B2 (ko)
KR (1) KR102055050B1 (ko)
CN (1) CN107614243B (ko)
TW (1) TWI611906B (ko)
WO (1) WO201618614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855B1 (ko) 2021-05-17 2022-01-06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동시이축 연신장치
KR102358925B1 (ko) 2021-09-08 2022-02-08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분리막 두께 균일화용 td 연신장치
KR102358924B1 (ko) 2021-07-29 2022-02-08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레일 길이 보상용 동시이축 연신장치
KR102374987B1 (ko) 2021-07-15 2022-03-17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071A1 (ja) * 2018-12-07 2020-06-11 東芝機械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フィルム製造装置及びセパレータ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059219B2 (ja) * 2019-02-13 2022-04-25 芝浦機械株式会社 同時2軸延伸装置のクリップリンク機構
CN114228121B (zh) * 2022-02-24 2022-05-13 佛山市盟思拉伸机械有限公司 提高薄膜在拉伸起始段同步性的拉伸装置
CN114228122B (zh) * 2022-02-24 2022-06-14 佛山市盟思拉伸机械有限公司 薄膜双向混合拉伸装置与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339A (ja) * 2006-07-19 2008-02-28 Toshiba Mach Co Ltd クリップ式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WO2008090797A1 (ja) 2007-01-23 2008-07-31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クリップ式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7155Y1 (ko) 1967-01-11 1969-03-18
JPS5949939A (ja) * 1982-09-17 1984-03-22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の延伸装置
US4807336A (en) * 1984-01-24 1989-02-28 Toray Industries, Inc. Link device for stretching sheet material and stretching apparatus using said link device
KR101021768B1 (ko) * 2006-07-19 2011-03-15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클립식 시트ㆍ필름 연신 장치
CN102485471B (zh) * 2010-12-01 2016-08-03 天津东皋膜技术有限公司 具有自适应调整运动轨迹的同步双向拉伸链夹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339A (ja) * 2006-07-19 2008-02-28 Toshiba Mach Co Ltd クリップ式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WO2008090797A1 (ja) 2007-01-23 2008-07-31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クリップ式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855B1 (ko) 2021-05-17 2022-01-06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동시이축 연신장치
KR102374987B1 (ko) 2021-07-15 2022-03-17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KR102358924B1 (ko) 2021-07-29 2022-02-08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레일 길이 보상용 동시이축 연신장치
KR102358925B1 (ko) 2021-09-08 2022-02-08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분리막 두께 균일화용 td 연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72130B2 (ja) 2020-10-21
KR20170137854A (ko) 2017-12-13
CN107614243B (zh) 2020-03-27
US10894351B2 (en) 2021-01-19
WO2016186141A1 (ja) 2016-11-24
CN107614243A (zh) 2018-01-19
TW201711829A (zh) 2017-04-01
JPWO2016186141A1 (ja) 2018-03-08
TWI611906B (zh) 2018-01-21
US20180071973A1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050B1 (ko) 클립식 연신 장치
KR101033703B1 (ko) 시트ㆍ필름의 경사 연신 방법 및 클립식 시트ㆍ필름 연신 장치
JP4668215B2 (ja) クリップ式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KR101133888B1 (ko) 클립식 시트 필름 연신 장치
US20060115548A1 (en) Simultaneous longitudinal and transverse film drawing device
US9102094B2 (en) Rail support device and sheet stretching method
KR20120064618A (ko) 시트 형상물의 연신기
JP3787528B2 (ja) シート状物の薄膜成形装置
JP2019107872A (ja) 熱可塑性材料から形成されるフィルムを伸張するための機械
KR101021768B1 (ko) 클립식 시트ㆍ필름 연신 장치
JP5587668B2 (ja) 延伸試験装置および延伸試験方法
JP6076387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5572079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5539147B2 (ja) テンター装置
JP7242517B2 (ja) 同時2軸延伸装置のクリップリンク機構
JP7349873B2 (ja) 同時二軸延伸装置
JP2014172275A (ja) テンター装置
JP2005349698A (ja) フィルム延伸機
KR20190058322A (ko)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