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987B1 -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 Google Patents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987B1
KR102374987B1 KR1020210092585A KR20210092585A KR102374987B1 KR 102374987 B1 KR102374987 B1 KR 102374987B1 KR 1020210092585 A KR1020210092585 A KR 1020210092585A KR 20210092585 A KR20210092585 A KR 20210092585A KR 102374987 B1 KR102374987 B1 KR 10237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ntrol plate
guide
stretch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용
이호철
이광주
장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Priority to KR102021009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987B1/ko
Priority to CN202210830832.0A priority patent/CN11560989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5Membranes, diaphrag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변환하여 분리막 연신 시 선형성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품질이 우수한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는 동시이축 MD 연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시이축 MD 연신장치는 TD 레일 및 상기 TD 레일의 후방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MD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 상기 TD 레일과 상기 MD 레일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TD 레일과 상기 MD 레일을 고정함과 동시에 함께 이동하는 레일 가이드, 상기 TD 레일에 고정된 TD 레일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TD 레일 가이드 하부에 배치된 TD 컨트롤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TD 레일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TD 레일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TD 연신부, 및 상기 MD 레일에 고정된 MD 레일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MD 레일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MD 레일의 간격을 조절하는 MD 연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MD 연신부는 상기 MD 레일에 체결되는 상기 MD 레일 가이드가 올려져 고정되는 MD 컨트롤 플레이트, 및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MD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시이축 MD 연신장치{APPARATUS FOR SIMULTANEOUS BIAXIAL MD STRETCHING}
본 발명은 동시이축 MD 연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 분리막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압출된 PP 필름을 연신하여 기공을 형성하는 건식 분리막 공법, 또는 압출된 PE 필름 용제로 기공을 형성하는 습식 분리막 공법이 적용된다.
건식 분리막 공법의 경우, 기공의 형성이 기계적인 힘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균일한 기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습식 분리막 공법의 경우, 정량출력 및 장시간 배터리 성능을 유지해야 하는 전기기기에 유리하며 우수한 기계적 강도, 균질한 구멍의 형성, 공정 안정성의 장점이 있으나, 높은 공정비용, 낮은 열적안정성의 단점이 있다.
이 중에서, 습식 분리막 생산 공정은 기공형성을 위한 오일(wax)를 혼합한 원료 압출, 캐스팅(Casting) 후 종방향 연신(MDO) 공정, 1차 횡방향 연신(TDO, 1st) 공정, 오일(wax) 추출 공정, 2차 횡방향 연신(TDO, 2st)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기공의 형상이 균일한 원형 형태와 균일한 크기를 갖는 경우, 이온의 통과가 원활하게 되어 고신뢰성을 갖는 전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분리막 생산 공정인 캐스팅 후 종방향 연신, 횡방향 연신, 추출 후 열고정 공정을 거치게 되나, 오일 추출 공정에서 분리막 필름이 수축되며, 이 과정에서 필름의 기공 형상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온 통과가 어려워지며 이온전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분리막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연신 공정에서 균등한 연신, 연신비율을 최적화하는 공정 설계, 열수축 최소화 및 열고정을 통한 기공의 형성, 및 기계적 강도 확보가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분리막 제조 설비는 MD(종방향) 연신과 TD(횡방향) 연신 설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리막 제조 시 응력에 의해 비선형적인 연신 결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분리막의 품질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8733호(발명의 명칭: 레일 지지 장치 및 시트의 연신 방법, 2012. 03. 1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5050호(발명의 명칭: 클립식 연신 장치, 2017. 12. 1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레일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변환하여 분리막 연신 시 선형성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품질이 우수한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는 동시이축 MD 연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는 연신 대상인 분리막 필름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클립이 설치되고, 상기 클립이 파지하는 분리막 필름과 근접 위치에 배치되는 TD(전방) 레일 및 상기 TD 레일의 후방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MD(후방)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 상기 TD 레일과 상기 MD 레일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TD 레일과 상기 MD 레일을 고정함과 동시에 함께 이동하는 TD 레일 가이드와 MD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는 레일 가이드, 상기 TD 레일에 고정된 상기 TD 레일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TD 레일 가이드 하부에 배치된 TD 컨트롤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TD 레일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TD 레일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TD(횡방향) 연신부, 및 상기 MD 레일에 고정된 상기 MD 레일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MD 레일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MD 레일의 간격을 조절하는 MD(종방향) 연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MD 연신부는 상기 MD 레일에 체결되는 상기 MD 레일 가이드가 올려져 고정되는 MD 컨트롤 플레이트, 및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MD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D 연신부와 상기 TD 연신부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동되고, 상기 레일부의 한 구간에서 상기 MD 연신부와 상기 TD 연신부가 동시동작 또는 개별동작 함으로써 상기 레일부의 폭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TD 컨트롤 플레이트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TD 레일 가이드가 이동하면서 상기 TD 레일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TD 컨트롤 플레이트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MD 레일 가이드가 이동하면서 상기 MD 레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는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와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는 일측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는 판면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MD 연신부는 구동기어에 치합된 한 쌍의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베어링 하우징 사이를 왕복하면서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MD 레일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송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에 따르면, 레일의 길이방향 이동 및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레일의 안정적인 동작으로 분리막 연신 시 선형성을 확보하여 보다 우수한 품질의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시이축 MD 연신장치의 기능이 향상되어 분리막 필름의 이송방향 연신 변환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연신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를 통해 레일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연신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분리막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동시이축 연신설비(100)는 레일부(10), 레일 가이드(20), TD(횡방향) 연신부(30), 및 MD(종방향) 연신부(40)를 포함하고, 상기 TD 연신부(30) 및 MD 연신부(40)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부(10)를 이동시킴으로써 클립(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파지된 분리막 필름을 연신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10)는 TD(전방) 레일(11)과 MD(후방) 레일(12)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 가이드(20)는 TD 레일(11)과 MD 레일(12)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TD 레일(11)과 MD 레일(12)을 고정함과 동시에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 가이드(20)는 TD 레일(11)이 고정되는 TD 레일 가이드(21)와 MD 레일(12)이 고정되는 MD 레일 가이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D 레일 가이드(21) 및 MD 레일 가이드(22)의 이동을 통해 상기 TD 레일(11) 또는 MD 레일(12)의 각도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시이축 연신설비(100)에 사용되는 분리막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별도의 필름이나 시트를 상기 동시이축 연신설비(100)를 통해 연신할 수 있다. 상기 동시이축 연신설비(100)에 사용되는 필름을 분리막 필름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1)는 TD 레일(11), MD 레일(12), TD 레일 가이드(21), MD 레일 가이드(22), TD 연신부(30), 및 MD 연신부(40)를 포함하고, 상기 MD 연신부(40)를 통해 MD 레일(12)의 길이방향 조절이나 MD 레일(12)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분리막 필름의 연신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시이축 MD 연신장치(1)의 TD 연신부(30)는 상기 TD 레일(11)에 체결되는 상기 TD 레일 가이드(21)가 올려져 고정되는 TD 컨트롤 플레이트(31), 상기 TD 컨트롤 플레이트(31)의 하부에 배치되어 TD 컨트롤 플레이트(31)와 함께 연동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2),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TD 컨트롤 플레이트(31)를 가이드하는 TD 가이드 플레이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D 컨트롤 플레이트(31)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TD 레일 가이드(21)가 이동하면서 상기 TD 레일(1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시이축 MD 연신장치(1)의 MD 연신부(40)는 상기 MD 레일(12)에 체결되는 상기 MD 레일 가이드(22)가 올려져 고정되는 MD 컨트롤 플레이트(41), 및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41)를 이동시키는 MD 가이드 플레이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41)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MD 레일 가이드(22)가 이동하면서 상기 MD 레일(1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MD 연신부(40)와 상기 TD 연신부(30)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동되고, 상기 레일부(10)의 한 구간에서 상기 MD 연신부(40)와 상기 TD 연신부(30)가 동시동작 또는 개별동작 함으로써 상기 레일부(10)의 폭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TD 컨트롤 플레이트(31)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TD 레일 가이드(21)가 이동하면서 상기 TD 레일(11)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TD 컨트롤 플레이트(31)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41)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MD 레일 가이드(22)가 이동하면서 상기 MD 레일(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41)는 MD 가이드 플레이트(42)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MD 레일(11)을 종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MD 레일(11)을 분리막 필름의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D 연신부(40)는 MD 가이드 플레이트(42)의 작동을 통해 이에 조립된 상부의 MD 컨트롤 플레이트(41)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41)에 고정된 상기 MD 레일 가이드(22)가 움직이면서 상기 MD 레일(1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시이축 MD 연신장치(1)의 TD 연신부(30)와 MD 연신부(40)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레일부(10)의 한 구간에서 상기 TD 연신부(30)와 MD 연신부(40)가 동시동작함으로써 레일부(10)의 폭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TD 연신부(30)와 MD 연신부(40)의 동시동작을 통해 동시이축 연신설비(100)를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TD 연신부(30)의 TD 컨트롤 플레이트(31)는 제1 TD 컨트롤 플레이트(31A)와 제2 TD 컨트롤 플레이트(31B)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TD 컨트롤 플레이트(31A)는 일측에 결합돌기(31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TD 컨트롤 플레이트(31B)는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31a)를 수용하는 결합홈(31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TD 컨트롤 플레이트(31A)와 제2 TD 컨트롤 플레이트(31B)가 서로 결합홈(31b)에 결합돌기(31a)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결합돌기(31a)를 중심으로 상기 제1 TD 컨트롤 플레이트(31A)와 제2 TD 컨트롤 플레이트(31B)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TD 컨트롤 플레이트(31A)와 제2 TD 컨트롤 플레이트(31B)에 고정된 TD 레일 가이드(21)를 이동시킴으로써 TD 레일(1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TD 컨트롤 플레이트(31A)와 상기 제2 TD 컨트롤 플레이트(31B)는 판면에 고정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연결부재(34)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4)는 쌍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홀의 상하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에 상기 제1 TD 컨트롤 플레이트(31A)와 제2 TD 컨트롤 플레이트(31B)를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MD 연신부(40)의 MD 컨트롤 플레이트(41)는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41A)와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41B)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41A)는 일측에 결합돌기(41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41B)는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41a)를 수용하는 결합홈(41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41A)와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41B)가 서로 결합홈(41b)에 결합돌기(41a)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결합돌기(41a)를 중심으로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41A)와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41B)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41A)와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41B)에 각각 고정된 MD 레일 가이드(22)는 분리막 필름의 이송방향, 즉 MD 레일(12)의 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MD 레일(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41A)와 상기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41B)는 판면에 고정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연결부재(43)가 삽입되어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42)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는 쌍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홀의 상하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42)에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41A)와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41B)를 조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동시이축 MD 연신장치(1)의 MD 연신부(40)는 구동기어(44)에 치합된 한 쌍의 종동기어(45), 상기 종동기어(45)에 연결되어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4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스크류(46), 상기 이송 스크류(46)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47), 및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42)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47)과 베어링 하우징(47) 사이를 왕복하면서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42)를 이동시켜 상기 MD 레일(12)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송 너트(4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42)와 연결된 이송 너트(48)가 상기 이송 스크류(46)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42)가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42)의 상부에 연결된 MD 컨트롤 플레이트(41)를 이동시킴으로써 MD 레일(12)의 간격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44)의 회전으로 상기 종동기어(45)는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종동기어(45)에 연결된 이송 스크류(46)의 회전을 통해 상기 이송 너트(48)가 이동하면서 MD 레일(12)의 MD(종방향)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46)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 하우징(47)은 상기 이송 스크류(46)의 이동을 단속하는 스톱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47)과 베어링 하우징(47)의 거리를 통해 MD(종방향) 간격의 한계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이축 MD 연신장치를 통해 레일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시이축 연신설비(10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TD 연신부(30)가 구비되고, 상기 TD 연신부(30)와 TD 연신부(30)의 사이에는 TD 레일(11)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TD 연신부(30)를 통해 분리막 필름의 폭방향(a)을 따라 TD 레일(1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D 연신부(30)의 후방에 TD 연신부(30)와 동일한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MD 연신부(40)가 구비되고, 상기 MD 연신부(40)와 MD 연신부(40)의 사이에는 MD 레일(12)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MD 연신부(40)를 통해 분리막 필름의 이송방향(b)을 따라 MD 레일(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개로 배치되는 상기 TD 연신부(30)의 동작을 통해 분리막 필름의 폭방향으로 TD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TD 연신부(30)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MD 연신부(40)의 동작을 통해 분리막 필름의 이송방향으로 MD 라인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TD 라인과 MD 라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TD 레일(11)과 MD 레일(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TD 라인과 MD 라인의 각도를 조절하여 분리막 필름의 연신률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D 연신부(30)와 MD 연신부(40)는 동시에 동작되거나 TD 연신부(30)에 MD 연신부(40)가 종속적으로 동작됨으로써 상기 TD 라인과 MD 라인의 간격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TD 연신부(30)를 통해 TD 라인이 먼저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TD 라인을 따라 MD 라인을 조절할 수 있는 바, #1 MD 연신부(40)에서 #6 MD 연신부(4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MD 레일(11)을 따라 수평을 유지하면서 일렬로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3 MD 연신부(40)에서 #5 MD 연신부(40)를 동작시켜 상기 TD 레일(11)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분리막 필름의 이송방향 연신률이 점점 늘어나게 되고, 상기 #5 MD 연신부(40)와 동일한 위치로 #6 MD 연신부(40)를 이동시켜 분리막 필름의 이송방향 연신률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TD 연신부(30) 및 MD 연신부(40)를 제어함으로써 TD 레일(11)과 MD 레일(12)을 일정한 각도로 조절하여 분리막 필름의 연신률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시이축 MD 연신장치(1)를 통해 레일의 길이방향 이동 및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레일의 안정적인 동작으로 분리막 연신 시 선형성을 확보하여 보다 우수한 품질의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시이축 MD 연신장치(1)의 기능이 향상되어 분리막 필름의 이송방향 연신 변환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10: 레일부
11: TD 레일 12: MD 레일
20: 레일 가이드 21: TD 레일 가이드
22: MD 레일 가이드 30: TD 연신부
31: TD 컨트롤 플레이트 31A: 제1 TD 컨트롤 플레이트
31B: 제2 TD 컨트롤 플레이트 31a: 결합돌기
31b: 결합홈 32: 베이스 플레이트
33: TD 가이드 플레이트 34: 연결부재
40: MD 연신부 41: MD 컨트롤 플레이트
41A: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 41B: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
41a: 결합돌기 41b: 결합홈
42: MD 가이드 플레이트 43: 연결부재
44: 구동기어 45: 종동기어
46: 이송 스크류 47: 베어링 하우징
48: 이송 너트
100: 동시이축 연신설비

Claims (6)

  1. 연신 대상인 분리막 필름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클립이 설치되고, 상기 클립이 파지하는 분리막 필름과 근접 위치에 배치되는 TD(전방) 레일 및 상기 TD 레일의 후방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MD(후방)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
    상기 TD 레일과 상기 MD 레일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TD 레일과 상기 MD 레일을 고정함과 동시에 함께 이동하는 TD 레일 가이드와 MD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는 레일 가이드;
    상기 TD 레일에 고정된 상기 TD 레일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TD 레일 가이드 하부에 배치된 TD 컨트롤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TD 레일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TD 레일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TD 연신부; 및
    상기 MD 레일에 고정된 상기 MD 레일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MD 레일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MD 레일의 간격을 조절하는 MD 연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MD 연신부는 상기 MD 레일에 체결되는 상기 MD 레일 가이드가 올려져 고정되는 MD 컨트롤 플레이트, 및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MD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는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와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는 일측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된 상기 MD 레일 가이드는 분리막 필름의 이송방향인 상기 MD 레일의 종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MD 레일의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MD 컨트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MD 컨트롤 플레이트는 판면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D 연신부와 상기 TD 연신부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동되고, 상기 레일부의 한 구간에서 상기 MD 연신부와 상기 TD 연신부가 동시동작 또는 개별동작 함으로써 상기 레일부의 폭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D 컨트롤 플레이트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TD 레일 가이드가 이동하면서 상기 TD 레일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TD 컨트롤 플레이트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MD 컨트롤 플레이트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MD 레일 가이드가 이동하면서 상기 MD 레일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D 연신부는 구동기어에 치합된 한 쌍의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베어링 하우징 사이를 왕복하면서 상기 MD 가이드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MD 레일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송 너트를 포함하는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KR1020210092585A 2021-07-15 2021-07-15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KR10237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85A KR102374987B1 (ko) 2021-07-15 2021-07-15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CN202210830832.0A CN115609899A (zh) 2021-07-15 2022-07-15 同步双向纵向拉伸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85A KR102374987B1 (ko) 2021-07-15 2021-07-15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987B1 true KR102374987B1 (ko) 2022-03-17

Family

ID=8093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585A KR102374987B1 (ko) 2021-07-15 2021-07-15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4987B1 (ko)
CN (1) CN1156098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8031A (zh) * 2023-10-10 2023-11-14 龙华相位新材料(绵阳)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膜拉伸装置及拉伸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733B1 (ko) 2009-05-19 2013-07-23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레일 지지 장치 및 시트의 연신 방법
KR20190058321A (ko) * 2017-11-20 2019-05-29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세이꼬쇼 시트상물의 2축 연신기
KR102055050B1 (ko) 2015-05-19 2019-12-11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클립식 연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733B1 (ko) 2009-05-19 2013-07-23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레일 지지 장치 및 시트의 연신 방법
KR102055050B1 (ko) 2015-05-19 2019-12-11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클립식 연신 장치
KR20190058321A (ko) * 2017-11-20 2019-05-29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세이꼬쇼 시트상물의 2축 연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8031A (zh) * 2023-10-10 2023-11-14 龙华相位新材料(绵阳)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膜拉伸装置及拉伸方法
CN117048031B (zh) * 2023-10-10 2023-12-19 龙华相位新材料(绵阳)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膜拉伸装置及拉伸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09899A (zh)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987B1 (ko) 동시이축 md 연신장치
US9557036B2 (en) Light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CN109449717B (zh) 排线全自动剥线压端插壳方法及其设备
US20180362267A1 (en) Apparatus for feeding solar panel
DE102014212181B4 (de) Batteriemodulgehäuse sowie Batteriemodul, Batterie, Batteriesystem,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tteriemoduls
CN102674056B (zh) 一种用于柔性膜同步输送的夹持进给系统及其应用
CN109792025A (zh) 连接模块
CN114050300B (zh) 一种电动车铅蓄电池极板的自动化组装装置
KR102358924B1 (ko) 레일 길이 보상용 동시이축 연신장치
JP4433098B2 (ja) シートクランプ装置
CN100351489C (zh) 驱动装置
CN214773976U (zh) 一种聚酯薄膜双向拉伸生产装置
KR102347855B1 (ko) 동시이축 연신장치
CN115476501A (zh) 同步双向横向拉伸装置
CN108649276B (zh) 卷针装置及卷绕设备
CN109262885B (zh) 一种汽车橡胶配件原料tpv颗粒加工的造粒工装
KR102358928B1 (ko) 동시이축 연신용 클립 시스템
CN209814400U (zh) 变道装置以及包装机
CN115990988B (zh) 一种树脂墙板生产用挤塑成型设备
CN218230894U (zh) 三距变距机构及制造设备
KR102373300B1 (ko) 선형 가이드 유닛 상에서의 안내를 위한 슬라이드
CN218706428U (zh) 位置调节装置
CN102205634A (zh) 同时双轴拉伸膜的制造方法
CN212374520U (zh) 一种用于吹塑薄膜收卷的自动切割设备
CN219278792U (zh) 一种拘束托盘内等距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