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322A -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 - Google Patents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322A
KR20190058322A KR1020180142396A KR20180142396A KR20190058322A KR 20190058322 A KR20190058322 A KR 20190058322A KR 1020180142396 A KR1020180142396 A KR 1020180142396A KR 20180142396 A KR20180142396 A KR 20180142396A KR 20190058322 A KR20190058322 A KR 2019005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guide rail
guide rails
side guid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362B1 (ko
Inventor
쇼헤이 야마시타
이치로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세이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세이꼬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세이꼬쇼
Publication of KR2019005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간이한 구성으로 시트상물을 일방향으로 연신, 타방향으로 수축시키거나, 또한, 일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수축시키거나 할 수 있는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시트상물(1)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5)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을 평행하게, 또한, 가이드 레일(5,6)의 간격을 제 1 거리간격으로 배치한 입구측 영역(A)과, 이 입구측 영역(A)에 연결되고 외주측 가이드 레일(5)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을 시트상물(1)의 반송방향을 향해서 점차 끝쪽이 펴져가는 형상으로 배치한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B)과, 이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B)에 연결되고 시트상물(1)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5)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을 평행하게, 또한, 가이드 레일(5,6)의 간격을 제 1 거리간격보다 넓은 제 2 거리간격으로 배치한 출구측 영역(C)을 갖고, 입구측 영역(A)에 배치한 가이드 레일(5,6)의 제 1 거리간격을 등장 링크 장치(2)의 링크 플레이트(15,16)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내주측 가이드 레일(6)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Description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TRANSVERSE STRETCHING MACHINE HAVING CONTRACTING FUNCTION FOR SHEET-LIKE MATERIAL IN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의 시트상물을 연신시키는 연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트상물을 연신시키는 연신기로서 시트상물의 측단부를 파지하는 파지 장치를 구비하는 접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등장 링크 장치가 무단상으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무단 링크 장치를 구비하고, 시트상물의 양측에 시트상물을 도입하는 입구측으로부터 시트상물을 송출하는 출구측을 거쳐 입구측으로 되돌아오는 대략 수평면 상에 형성된 폐쇄된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안내로 복수의 등장 링크 장치를 폐쇄된 경로를 따라 주행시킴으로써, 시트상물을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해서 반송하면서, 시트상물의 반송방향을 따르는 종방향(MD방향)과 이것과 직각을 이루는 시트상물의 폭방향을 따르는 횡방향(TD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한 후에 출구측으로부터 송출하도록 구성된 것이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일본 특허 공고 평 5-4896호 공보 일본 특허 제4379306호 공보 일본 특허 제4802919호 공보
한편, 최근, 시트상물의 재질이나 기능의 다양화에 따라, 일방향으로 연신, 타방향으로 수축시키거나, 또한, 일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수축시키거나 하는 요청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부터 사용되어지고 있는 시트상물을 연신시키는 연신기의 기본 구성을 답습하면서, 간이한 구성으로 시트상물을 일방향으로 연신, 타방향으로 수축시키거나, 또한, 일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수축시키거나 할 수 있는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는,
시트상물의 측단부를 파지하는 파지 장치를 구비하는 접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등장 링크 장치가 무단상으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무단 링크 장치를 구비하고, 시트상물의 양측에 시트상물을 도입하는 입구측으로부터 시트상물을 송출하는 출구측을 거쳐서 상기 입구측으로 되돌아오는 대략 수평면 상에 형성된 폐쇄된 경로를 따라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배치하고, 이들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안내로 상기 복수의 등장 링크 장치를 상기 폐쇄된 경로를 따라 주행시킴으로써, 시트상물을 상기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출구측을 향해서 반송하면서, 시트상물의 반송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시트상물의 폭방향을 따르는 횡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동시에, 반송방향을 따르는 종방향으로 수축시킨 후에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상물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평행하게, 또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간격을 제 1 거리간격으로 배치한 입구측 영역과, 상기 입구측 영역에 연결되고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시트상물의 반송방향을 향해서 점차 끝쪽이 펴져가는 형상으로 배치한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과, 상기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상물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평행하게, 또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간격을 상기 제 1 거리간격보다 넓은 제 2 거리간격으로 배치한 출구측 영역을 갖고,
상기 입구측 영역에 배치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제 1 거리간격을 등장 링크 장치의 링크 플레이트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내주측 가이드 레일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과 출구측 영역 사이에,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시트상물의 반송방향을 향해서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한 횡방향 수축 영역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에 의하면, 시트상물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평행하게, 또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간격을 제 1 거리간격으로 배치한 입구측 영역과, 상기 입구측 영역에 연결되고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시트상물의 반송방향을 향해서 점차 끝쪽이 펴져가는 형상으로 배치한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과, 상기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상물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평행하게, 또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간격을 상기 제 1 거리간격보다 넓은 제 2 거리간격으로 배치한 출구측 영역을 가짐으로써, 종래부터 사용되어지고 있는 시트상물을 연신시키는 연신기의 기본구성을 답습하면서, 간이한 구성으로 횡방향으로 연신, 종방향으로 수축시키거나, 또한, 시트상물의 원단에 연신된 시트상물을 사용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연신시킨 시트상물을 수축시키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측 영역에 배치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제 1 거리간격을 등장 링크 장치의 링크 플레이트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내주측 가이드 레일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길이 및 수축률을 크게 설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등장 링크 장치 사이의 구동력의 전달 및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과 출구측 영역 사이에,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시트상물의 반송방향을 향해서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한 횡방향 수축 영역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트상물을 횡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수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연신기의 가이드 레일 및 등장 링크 장치의 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동 연신기의 등장 링크 장치의 링크 플레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연신기의 등장 링크 장치의 링크 플레이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동 연신기의 등장 링크 장치를 나타내고, (a)는 도 3의 X-X 단면도, (b)는 (a)의 저면도, (c)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동 연신기의 등장 링크 장치의 도 3의 Y-Y 단면도이다.
도 7은 동 연신기의 등장 링크 장치의 도 3의 Z-Z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는, 처리 대상인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상물(1)을 반송하기 위해서 중앙부에 있어서 전후방향(도 1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반송 스페이스와, 이 반송 스페이스를 사이에 두도록 그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무단 링크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신기에 있어서는, 입구측 영역(예열영역)(A),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B) 및 출구측 영역(열고정영역)(C)이 시트상물(1)의 반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무단 링크 장치(3)는 특허문헌 1∼3과 마찬가지로, 시트상물(1)의 측단부를 파지하는 파지 장치(18)를 구비하는 접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등장 링크 장치(2)가 무단상으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무단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등장 링크 장치(2)는 반송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시트상물(1)의 입구측 및 출구측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소요의 입구측 스프로킷(4) 및 출구측 스프로킷(7)과 맞물려져 있다.
또한 복수의 등장 링크 장치(2)는 무단상으로 연결되어서 무단 링크 장치(3)를 구성하고, 시트상물(1)을 도입하는 입구측으로부터 시트상물(1)을 송출하는 출구측을 거쳐서 입구측으로 되돌아오는 대략 수평면 상에 형성된 폐쇄된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5)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6) 상에 지지 롤러(14a,14b)를 통해 적재되고, 폐쇄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 외주측 가이드 레일(5)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을 특별히 구별해서 서술할 필요가 없을 때는 양자를 합쳐서 간단히 「가이드 레일(5,6)」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무단 링크 장치(3)는 입구측 스프로킷(4)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입구측에 설치된 개폐 가이드 등의 개폐 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파지 장치(18)가 개폐되어서 시트상물(1)을 파지하고, 예열영역(입구측 영역)(A)에서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하는데에 필요한 온도로 가열된다. 또한, 무단 링크 장치(3)는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B)에 있어서 진행방향으로 점차 끝쪽이 펴져가는 형상으로 배치된 가이드 레일(5,6)에 안내되어서 파지 피치가 P1로부터 P2로 서서히 축소됨으로써, 시트상물(1)을 시트상물(1)의 반송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시트상물(1)의 폭방향을 따르는 횡방향(TD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동시에, 반송방향을 따르는 종방향(MD방향)으로 수축시키고, 그 후에 열고정영역(출구측 영역)(C)에 있어서 소정의 온도에서 열고정하고, 필요에 따라 냉각영역(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설치해서 급랭하고, 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가이드 등의 개폐 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파지 장치(18)를 개폐해서 시트상물(1)을 떼어내고, 떼어내어진 시트상물(1)은 그대로 진행시키게 된다. 또한, 무단 링크 장치(3)는 출구측 스프로킷(7)에 의해 구동되어서 입구측 스프로킷(4)으로 되돌아오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도 2(a)에 나타내어지듯이,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B)과 출구측 영역(C) 사이에, 외주측 가이드 레일(5)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을 시트상물(1)의 반송방향을 향해서 약간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축소되도록)으로 배치한 횡방향 수축 영역(B')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상물(1)을 횡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약간 수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이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는 시트상물(1)의 단부를 파지하는 다수의 파지 장치(18)를 시트상물(1)의 양측단에 구비한 무단 링크 장치(3)를 설치하고, 이 무단 링크 장치(3)는 접자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등장 링크 장치(2)로 이루어지고, 시트상물(1)의 입구측 스프로킷(4)에 의해 구동되고, 진행방향으로 점차 끝쪽이 펴져가는 형상으로 배치된 가이드 레일(5,6)에 안내되고, 시트상물(1)을 시트상물(1)의 반송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시트상물(1)의 폭방향을 따르는 횡방향(TD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동시에, 반송방향을 따르는 종방향(MD방향)으로 수축시키고, 그 후 시트상물(1)을 떼어내고, 출구측 스프로킷(7)에 의해 구동되어서 입구측 스프로킷(4)으로 되돌아오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파지 장치(18)에는 파지력이 작은 것, 구체적으로는 MD방향의 파지력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6)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시트상물측의 외주측 가이드 레일(5)과, 반시트상물측의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이 병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세트로 되어 있다.
외주측 가이드 레일(5)의 상방에는 걸쳐지도록 링크축 홀더(10)(제 1 링크축 홀더)가 배치되고, 그 양측 하방에는 2쌍의 횡롤러(레이디얼 베어링)(12(12a∼12d))가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의 상방에는 걸쳐지도록 링크축 홀더(11)(제 2 링크축 홀더)가 배치되고, 그 양측 하방에는 1쌍의 횡롤러(레이디얼 베어링)(13)이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횡롤러(12,13)는 등장 링크 장치(2)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이드 레일(5,6)의 양측면을 사이에 두고 전동하도록 배치되고, 그 작용(회동)에 의해, 항상 가이드 레일(5,6)의 양측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접촉하면서 변화(회동)함으로써, 링크축(8,9)(후술)을 고속으로 이동시키고, 등장 링크 장치(2)를 가이드 레일(5,6)에 안내되어서 고속 주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링크축 홀더(10)에는 시트상물측으로 돌출(대략 수직으로 돌출)해서 부착부(17)가 형성되고, 이 부착부(17)에 파지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 장치(18)는 가이드 레일(5)로부터의 돌출거리가 작아지도록 가이드 레일(5)에 근접해서 배치되고, 링크축 홀더(10)에 요동이 있어도, 파지 위치의 이동이 적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링크축 홀더(10)의 반대면에는 등장 링크 장치의 접자부를 구성하는 링크 플레이트(15,16)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링크축(8)이 부착되어 있다. 링크축 홀더(10)의 링크축(8)은 파지 장치(18)가 가이드 레일(5)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5)의 중심으로부터 가이드 레일(6)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링크축 홀더(11)의 하단에는 가이드 레일(6)의 중심의 대략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링크축(9)이 설치된다. 링크축(9)은 링크축(8)과 함께, 링크 플레이트(15 및 16)를 회전 가능하게 조인트하기 위한 링크축이다.
링크축 홀더(10)는 가이드 레일(5)을 사이에 두는 한쪽의 쌍을 이루는 횡롤러(12a,12d)와, 가이드 레일(5)을 사이에 두는 다른쪽의 쌍을 이루는 횡롤러(12b,12c)를 갖는다. 상기 구성의 링크축 홀더(10)는 가이드 레일(5)을 따라 다수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한편, 링크축 홀더(11)는 가이드 레일(6)을 사이에 두는 1쌍의 횡롤러(13)를 갖고, 가이드 레일(6)을 따라 다수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링크축 홀더(10)는 2쌍의 횡롤러(12a∼12d)(4개)로 가이드 레일(5)의 양측면에 2개씩 접촉(2점 접촉)하므로, 그 자세가 가이드 레일(5)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링크축 홀더(10)에 부착되어 있는 파지 장치(18)의 자세도 규제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링크 플레이트(15,16)가 개방된 상태(링크 플레이트(15,16)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내주측 가이드 레일(6) 상에 위치하는 상태)와, 도 4에 나타내는 링크 플레이트(15,16)가 폐쇄된 상태 어느 것에 있어서나, 항상 가이드 레일(5)에 대해서 대략 직각방향(수직방향)으로 시트상물(1)측으로 돌출한 자세가 유지된다.
이것에 대해서 링크축 홀더(11)는 1쌍의 횡롤러(13,13)로 가이드 레일(6)의 양측면에 1개씩 접촉(1점 접촉)하므로, 링크축 홀더(10)와 비교해서 가이드 레일(6)에 의해 자세가 강하게 규제되지 않고, 기구적인 여유의 범위에서 링크축(9)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6)을 따라 이동할 때에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축 홀더(10)에 횡롤러(12a∼12d)를 상하로 어긋나게 하고, 대각끼리의 횡롤러(12b와 12d)를 가이드 레일(5)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대각끼리의 횡롤러(12a와 12c)를 하방에 위치시켜서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 상하 관계에 의해, 반력을 지지하는 횡롤러(12b와 12d)의 위치로부터 파지 장치(18)까지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이 사이의 휘어짐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휘어짐을 작게 함으로써 파지 장치(18)의 시트상물(1)의 파지 위치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정밀도 높은 연신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트상물측으로서 입구측의 횡롤러는 12b이며, 그 대각의 횡롤러는 12d이다.
횡롤러(12b)와 횡롤러(12d)는 가이드 레일(5)의 상부를 사이에 두도록 링크축 홀더(10)에 설치되고, 횡롤러(12a와 12c)는 가이드 레일(5)의 하부를 사이에 두도록 링크축 홀더(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시킨 지지축(12e)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링크축 홀더(10)는 횡롤러(12a∼12d)의 2쌍의 횡롤러가 횡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1쌍의 횡롤러와 비교해서 가이드 레일(5)을 따른 방향으로 큰 설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축 홀더(10)에 이웃하는 횡롤러를 상하로 어긋나게 하고, 또한 겹쳐서 설치함으로써, 가이드 레일(5)을 따른 상기 설치 스페이스를 억제하고 있다.
즉, 지지축(12e)은 횡롤러(12b) 및 횡롤러(12d)의 두께분 이상 돌출되어 있으므로, 횡롤러(12a)와 횡롤러(12b), 및 횡롤러(12c)와 횡롤러(12d)를 각각 접촉하는 않고 횡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겹침분만큼 가이드 레일(5)을 따른 횡롤러(12a)와 횡롤러(12b)의 설치 스페이스가 억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링크축 홀더(10)를 가이드 레일(5)에 따라 다수 나란히 배치하면, 인접하는 링크축 홀더(10)의 횡롤러(12a)와 횡롤러(12b), 및 횡롤러(12c)와 횡롤러(12d)가 각각 서로 이웃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웃의 링크축 홀더(10)의 횡롤러가 상하로 떨어져 있어서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링크축 홀더(10)를 횡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할 수 있고, 이 겹침분만큼 인접하는 링크축 홀더(10)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링크축 홀더(11)는, 횡롤러(13)가 1쌍으로 가이드 레일(6)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6)의 같은 위치(같은 높이의 위치)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고 안정된 상태로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링크축 홀더(10)의 각 횡롤러의 설치 스페이스 및 피치를 작게 함으로써, 링크축 홀더(10과 11)는 가이드 레일에 다수 나란히 배치되었을 때, 동일 피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크축 홀더(11)의 링크축(9)은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의 중심의 대략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링크(링크 플레이트(15,16))의 치수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MD방향(필름의 진행방향)의 수축길이 및 수축률을 크게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같은 수축길이 및 수축률을 달성하는데에 가이드 레일(5,6)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구측 영역(A)에 배치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5)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의 거리간격(제 1 거리간격)을 등장 링크 장치(2)의 링크 플레이트(15,16)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내주측 가이드 레일(6)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시트상물(1)의 종방향의 수축길이 및 수축률을 크게 설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등장 링크 장치(2) 사이의 구동력의 전달 및 외주측 가이드 레일(5)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의 안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등장 링크 장치(2)가 주행 중에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파지 장치의 부착부(17)에 부상 방지 롤러(19)를 배치하여 고정측에 부설한 부상 방지 레일(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5,6)에 안내되는 등장 링크 장치(2)의 주행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구측 영역(A)에 있어서는 등장 링크 장치(2)의 링크 플레이트(15,16)가 개방되어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내주측 가이드 레일(6)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고, 가이드 레일(5)로부터 대략 수직방향으로 돌출한 각 파지 장치(18)에 의해 시트상물(1)의 단부를 피치(P1)의 간격으로 파지한다. 등장 링크 장치(2)가 입구측 스프로킷(4)에 의해 구동되면, 각 링크축 홀더의 횡롤러가 각각 가이드 레일(5와 6)에 접촉해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등장 링크 장치(2)의 횡롤러(12(12a∼12d)), 횡롤러(13)가 가이드 레일(5,6)이 점차 끝쪽이 퍼져가는 상태로 배치된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B)에 이르면, 외주측 가이드 레일(5)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의 간격이 점차로 넓어져서 등장 링크 장치(2)의 링크 플레이트(15,16)의 각도(θ)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개방된 상태(180°)로부터 점차 폐쇄되어 간다. 인접하는 링크축 홀더(10)끼리 및 링크축 홀더(11)끼리는 간격이 좁아지고, 파지 장치(18)의 간격도 파지 피치 P1로부터 P2로 좁아진다. 링크축 홀더(10,11)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는 영역은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B)과 그 후의 출구측 영역(열고정영역)(C)이며, 출구측 영역(열고정영역)(C)에서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5)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의 거리간격(제 2 거리간격)은 입구측 영역(A)에 배치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5)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의 거리간격(제 1 거리간격)보다 큰 일정 거리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링크축 홀더(10)는 가이드 레일(5)에 의해 자세가 규제된 채 안내되고, 파지 장치(18)는 가이드 레일(5)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자세상태로 시트상물(1)을 시트상물(1)의 반송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시트상물(1)의 폭방향을 따르는 횡방향(TD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동시에, 반송방향을 따르는 종방향(MD방향)으로 수축시켜서 연신한다.
이렇게, 이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시트상물을 연신시키는 연신기의 기본구성을 답습하면서, 간이한 구성으로 횡방향으로 연신, 종방향으로 수축시키거나, 또한, 시트상물의 원단에 연신된 시트상물을 사용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연신시킨 시트상물을 수축시키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입구측 영역(A)에 배치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5)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의 제 1 거리간격을 등장 링크 장치(2)의 링크 플레이트(15,16)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내주측 가이드 레일(6)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트상물(1)의 종방향의 수축길이 및 수축률을 크게 설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등장 링크 장치(2) 사이의 구동력의 전달 및 외주측 가이드 레일(5)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의 안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나타내어지듯이,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B)과 출구측 영역(C) 사이에 외주측 가이드 레일(5)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6)을 시트상물(1)의 반송방향을 향해서 약간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축소되도록)으로 배치한 횡방향 수축 영역(B')을 갖도록 함으로써, 시트상물(1)을 횡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약간 수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에 대해서, 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하게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는 간이한 구성으로 시트상물을 일방향으로 연신, 타방향으로 수축시키거나, 또한, 일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수축시키거나 할 수 있는 점에서, 시트상물의 재질이나 기능의 다양화에 대응한 시트상물을 연신 및 수축시키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크다.
1: 시트상물
2: 등장 링크 장치
3: 무단 링크 장치
4: 입구측 스프로킷
5: 외주측 가이드 레일
6: 내주측 가이드 레일
7: 출구측 스프로킷
8: 링크축
9: 링크축
10: 링크축 홀더
11: 링크축 홀더
12, 12a∼12d: 2쌍의 횡롤러
12a, 12c: 대각끼리의 횡롤러
12b, 12d: 대각끼리의 횡롤러
13: 횡롤러
14a, 14b: 지지 롤러
15, 16: 링크 플레이트
17: 파지 장치의 부착부
18: 파지 장치
19: 부상 방지 롤러
20: 부상 방지 레일
A: 입구측 영역(예열영역)
B: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
B': 횡방향 수축 영역
C: 출구측 영역(열고정영역)

Claims (2)

  1. 시트상물의 측단부를 파지하는 파지 장치를 구비하는 접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등장 링크 장치가 무단상으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무단 링크 장치를 구비하고, 시트상물의 양측에 시트상물을 도입하는 입구측으로부터 시트상물을 송출하는 출구측을 거쳐서 상기 입구측으로 되돌아오는 대략 수평면 상에 형성된 폐쇄된 경로를 따라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배치하고, 이들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안내로 상기 복수의 등장 링크 장치를 상기 폐쇄된 경로를 따라 주행시킴으로써, 시트상물을 상기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출구측을 향해서 반송하면서, 시트상물의 반송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시트상물의 폭방향을 따르는 횡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동시에, 반송방향을 따르는 종방향으로 수축시킨 후에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상물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평행하게, 또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간격을 제 1 거리간격으로 배치한 입구측 영역과, 상기 입구측 영역에 연결되고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시트상물의 반송방향을 향해서 점차 끝쪽이 펴져가는 형상으로 배치한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과, 상기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상물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평행하게, 또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간격을 상기 제 1 거리간격보다 넓은 제 2 거리간격으로 배치한 출구측 영역을 갖고,
    상기 입구측 영역에 배치한 외주측 가이드 레일과 내주측 가이드 레일의 제 1 거리간격을 등장 링크 장치의 링크 플레이트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내주측 가이드 레일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신 및 종방향 수축 영역과 출구측 영역 사이에, 외주측 가이드 레일 및 내주측 가이드 레일을 시트상물의 반송방향을 향해서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한 횡방향 수축 영역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
KR1020180142396A 2017-11-20 2018-11-19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 KR102192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22508 2017-11-20
JP2017222508A JP6969050B2 (ja) 2017-11-20 2017-11-20 シート状物の縦方向の収縮機能を備えた横方向延伸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22A true KR20190058322A (ko) 2019-05-29
KR102192362B1 KR102192362B1 (ko) 2020-12-17

Family

ID=6667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396A KR102192362B1 (ko) 2017-11-20 2018-11-19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69050B2 (ko)
KR (1) KR102192362B1 (ko)
CN (1) CN109968641B (ko)
TW (1) TWI732157B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919Y1 (ko) 1970-07-01 1973-01-25
KR20040041057A (ko) * 2002-11-08 2004-05-13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시트형상물의 연신기
JP2004322366A (ja) * 2003-04-22 2004-11-18 Hitachi Ltd シート状物の延伸機及びその方法
JP4379306B2 (ja) 2003-12-16 2009-12-09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2014180779A (ja) * 2013-03-18 2014-09-29 Hitachi Plant Mechanics Co Ltd 延伸・収縮機能選択式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2017159464A (ja) * 2016-03-07 2017-09-1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シート状物の延伸・収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3817C2 (de) * 1978-12-13 1985-06-20 Erwin Kampf Gmbh & Co Maschinenfabrik, 5276 Wiehl Vorrichtung zum simultanen, biaxialen Recken von Folienbahn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JPS62158016A (ja) * 1986-01-07 1987-07-14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からなるフイルムの熱処理方法
IT1246460B (it) * 1990-10-11 1994-11-18 Andrea Vittone Dispositivo p?er l'estensione trasversale di materiali resiformi particolarmente di film polimerici fibrillati.
US6476289B1 (en) * 1991-02-28 2002-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arment having elastomeric laminate
AU6247898A (en) * 1997-01-27 1998-08-18 Velcro Industries B.V. Stretched fasteners
JP2002096383A (ja) * 2000-09-25 2002-04-0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熱収縮性フィルムの弛緩方法
FR2849801B1 (fr) * 2003-01-15 2006-12-08 Darlet Marchante Tech Sa Dispositif pour l'etirage simultane de films dans le sens longitudinal et dans le sens transversal
JP4804882B2 (ja) * 2005-11-02 2011-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マー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4582103B2 (ja) * 2007-03-12 2010-11-17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5001045B2 (ja) * 2007-03-28 2012-08-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溶液製膜方法及び溶液製膜設備
FR2924048B1 (fr) * 2007-11-28 2013-03-08 Darlet Marchante Technologie Procede d'etirage d'un film en matiere synthetique
JP5371523B2 (ja) * 2009-04-14 2013-12-18 東芝機械株式会社 フィルム延伸装置およびフィルムの延伸方法
JP5611796B2 (ja) * 2010-12-09 2014-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5362059B2 (ja) * 2012-03-09 2013-12-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919Y1 (ko) 1970-07-01 1973-01-25
KR20040041057A (ko) * 2002-11-08 2004-05-13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시트형상물의 연신기
JP2004322366A (ja) * 2003-04-22 2004-11-18 Hitachi Ltd シート状物の延伸機及びその方法
JP4379306B2 (ja) 2003-12-16 2009-12-09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2014180779A (ja) * 2013-03-18 2014-09-29 Hitachi Plant Mechanics Co Ltd 延伸・収縮機能選択式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2017159464A (ja) * 2016-03-07 2017-09-1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シート状物の延伸・収縮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 공고 평 5-4896호 공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362B1 (ko) 2020-12-17
JP6969050B2 (ja) 2021-11-24
TWI732157B (zh) 2021-07-01
JP2019093571A (ja) 2019-06-20
TW201922453A (zh) 2019-06-16
CN109968641B (zh) 2021-03-30
CN109968641A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5548A1 (en) Simultaneous longitudinal and transverse film drawing device
KR102259756B1 (ko) 합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필름을 적어도 횡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신장 장치
JP5371523B2 (ja) フィルム延伸装置およびフィルムの延伸方法
KR101336421B1 (ko) 시트 형상물의 연신기
US10894351B2 (en) Clip-type stretching apparatus
JP4379343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6076387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2011240621A (ja) 延伸試験装置および延伸試験方法
KR102180285B1 (ko) 시트상물의 2축 연신기
JP5125714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およびシート状物の延伸方法
JP5372852B2 (ja) フィルムの弛緩処理機構及びフィルムの横延伸機
KR20190058322A (ko) 시트상물의 종방향의 수축 기능을 구비한 횡방향 연신기
JP7193277B2 (ja) 合成材料製のフィルムを少なくとも横方向に延伸するための延伸装置
JP2010208074A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5572079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5662895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2021121492A (ja) 合成材料で形成されたフィルムを延伸するための延伸装置
JP7292250B2 (ja) フィルム延伸装置
JP6513871B1 (ja) 延伸装置
JP5344705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H04119821A (ja) シート状物の同時二軸延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