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306B1 -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 Google Patents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306B1
KR102053306B1 KR1020180064818A KR20180064818A KR102053306B1 KR 102053306 B1 KR102053306 B1 KR 102053306B1 KR 1020180064818 A KR1020180064818 A KR 1020180064818A KR 20180064818 A KR20180064818 A KR 20180064818A KR 102053306 B1 KR102053306 B1 KR 10205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cabin
edge sealing
cab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캐빈은, 운전실 전면의 상단에 위치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유리와 상기 운전실 전면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 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운전실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테두리 실링 부재; 상기 슬라이딩 유리와 상기 고정 유리 사이에 제공되며 단부가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교차하는 중간 실링 부재; 및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상기 중간 실링 부재가 교차하는 영역에 제공되는 보조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CABIN AND WORKING MACHINE HAVING THE CABIN}
본 발명은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에 관한 것이다.
캐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 등 작업기계의 운전실 구조를 통칭하며, 하부 주행체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캐빈은 운전실 전·후면과, 좌·우측면에 유리창을 마련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유리창들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캐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빈(10)은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11)이 형성되고, 운전실 전면의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슬라이딩 유리(G1)가 설치되며, 운전실 전면의 하단에는 고정 유리(G2)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빈(1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운전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13)가 설치된다.
여기서, 프레임(11)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 실링 부재(15)가 설치되고 슬라이딩 유리(G1)와 고정 유리(G2) 사이에 중간 실링 부재(16)가 설치되어 운전실 내부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테두리 실링 부재(15)는 중간 실링 부재(16)와 교차하는 영역에서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누수 취약 부위로 인하여, 고압 세차시 운전실 내부로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캐빈은, 운전실 전면의 상단에 위치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유리와 상기 운전실 전면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 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운전실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테두리 실링 부재; 상기 슬라이딩 유리와 상기 고정 유리 사이에 제공되며 단부가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교차하는 중간 실링 부재; 및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상기 중간 실링 부재가 교차하는 영역에 제공되는 보조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상기 보조 실링 부재 각각은, 단면이 폐곡선 형상인 쿠션부와 단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상인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의 홈부와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보조 실링 부재의 홈부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실링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배면에 제공되면서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내측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기계는 상기 캐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는, 캐빈의 누수 취약부위에 보조 실링 부재를 설치하여 누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압 세차시 운전실 내로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 부품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간단한 구조의 보조 실링 부재를 추가하는 구조이므로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캐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캐빈의 운전실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테두리 실링 부재와 중간 실링 부재의 교차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작업기계는 캐빈이 설치될 수 있는 굴삭기, 로더, 지게차 등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캐빈은 작업기계에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캐빈의 운전실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테두리 실링 부재와 중간 실링 부재의 교차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캐빈(10)은 프레임(11), 테두리 실링 부재(15), 중간 실링 부재(16) 및 보조 실링 부재(17)를 포함한다.
프레임(11)은 운전실 전면의 상단에 위치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유리(G1)와 운전실 전면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 유리(G2)를 수용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유리(G1)는 캐빈(10)의 천정으로 들어올려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1)에는 슬라이딩 유리(G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도시 안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1)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두리 실링 부재(15)는 프레임(11)의 전면 테두리 둘레를 따라 제공되어 운전실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고, 프레임(11)에 장착된 유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컨대, 테두리 실링 부재(15)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그 일측이 프레임(11)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테두리 실링 부재(15)의 타측에 슬라이딩 유리(G1)와 고정 유리(G2)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 실링 부재(15)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실링 부재(16)는 슬라이딩 유리(G1)와 고정 유리(G2) 사이에 제공되며 단부가 테두리 실링 부재(15)와 교차한다. 예컨대, 중간 실링 부재(16)의 일측은 고정 유리(G2)의 상측 일변에 끼워져 고정되며, 중간 실링 부재(16)의 타측은 슬라이딩 유리(G1)의 하측 일변에 접한다.
중간 실링 부재(16)는 슬라이딩 유리(G1)의 개폐시 마찰 또는 충격 등으로부터 슬라이딩 유리(G1)와 고정 유리(G2)를 보호할 수 있다. 중간 실링 부재(16)는 테두리 실링 부재(15)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중간 실링 부재(16)는 슬라이딩 유리(G1)와 고정 유리(G2)의 경계에 구비되므로, 중간 실링 부재(16)의 좌우 양 단부가 테두리 실링 부재(15)와 교차하게 된다. 즉, 중간 실링 부재(16) 위로 테두리 실링 부재(15)가 덮이게 되고, 이에 따라 테두리 실링 부재(15)의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
보조 실링 부재(17)는 테두리 실링 부재(15)와 중간 실링 부재(16)가 교차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보조 실링 부재(17)는 테두리 실링 부재(15)와 내측으로 중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실링 부재(17)는 "U"자로 휜 형태일 수 있으며, 테두리 실링 부재(15) 또는 중간 실링 부재(16)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두리 실링 부재(15)의 들뜸이 발생하면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고압 세차시 운전실 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테두리 실링 부재(15)와 중간 실링 부재(16)가 교차하는 영역에 보조 실링 부재(17)를 설치함으로써, 누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I-I'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테두리 실링 부재(15)는 단면이 폐곡선 형상인 제1 쿠션부(15a)와 단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상인 제1 홈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실링 부재(17)는 단면이 폐곡선 형상인 제2 쿠션부(17a)와 단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상인 제2 홈부(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쿠션부(15a)와 제2 쿠션부(17a)는 내부 중공을 갖는 형상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 유리(G1) 또는 고정 유리(G2)와 접하면서 압착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제1 홈부(15b)와 제2 홈부(17b)는 내측으로 프레임(11)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삽입된 프레임(11)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11)은 제1 홈부(15b)와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부(11a)와, 제2 홈부(17b)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11a)와 제2 플레이트부(11b)는 각각 판 형태로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는다.
제1 플레이트부(11a) 및 제2 플레이트부(11b)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11)의 기둥에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제2 플레이트부(11b)는 제1 플레이트부(11a)로부터 분기되어 절곡된 구조일 수 있다.
보조 실링 부재(17) 및 제2 플레이트부(11b)는 제1 플레이트부(11a)의 배면에 제공되므로, 캐빈(10)의 외부에 가시화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테두리 실링 부재(15)와 보조 실링 부재(17)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구조임을 예시하고 있으나, 테두리 실링 부재(15)와 보조 실링 부재(17)는 서로 다른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캐빈(10)의 누수 취약부위에 보조 실링 부재(17)를 설치하여 누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압 세차시 운전실 내로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 부품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간단한 구조의 보조 실링 부재(17)를 추가하는 구조이므로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캐빈 11: 프레임
11a: 제1 플레이트부 11b: 제2 플레이트부
13: 도어 15: 테두리 실링 부재
15a: 제1 쿠션부 15b: 제1 홈부
16: 중간 실링 부재 17: 보조 실링 부재
17a: 제2 쿠션부 17b: 제2 홈부
G1: 슬라이딩 유리 G2: 고정 유리

Claims (8)

  1. 운전실 전면의 상단에 위치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유리와 상기 운전실 전면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 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운전실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테두리 실링 부재;
    상기 슬라이딩 유리와 상기 고정 유리 사이에 제공되며 단부가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교차하는 중간 실링 부재; 및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상기 중간 실링 부재가 교차하는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의 내측 방향에서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중첩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와 상기 보조 실링 부재 각각은, 단면이 폐곡선 형상인 쿠션부와 단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상인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의 홈부와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보조 실링 부재의 홈부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실링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배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실링 부재는,
    외측 방향으로 길이를 따라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유리와 상기 고정 유리 또는 상기 보조 실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맞닿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실링 부재는,
    외측 방향으로 길이를 따라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리 또는 상기 고정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맞닿도록 마련되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캐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KR1020180064818A 2018-06-05 2018-06-05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KR10205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18A KR102053306B1 (ko) 2018-06-05 2018-06-05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18A KR102053306B1 (ko) 2018-06-05 2018-06-05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306B1 true KR102053306B1 (ko) 2019-12-09

Family

ID=6883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818A KR102053306B1 (ko) 2018-06-05 2018-06-05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3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15A (ja) * 2000-09-19 2002-03-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5001599A (ja) * 2003-06-13 2005-01-06 Iseki & Co Ltd キャビンのフロントガラス
JP2018021354A (ja) * 2016-08-03 2018-02-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15A (ja) * 2000-09-19 2002-03-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5001599A (ja) * 2003-06-13 2005-01-06 Iseki & Co Ltd キャビンのフロントガラス
JP2018021354A (ja) * 2016-08-03 2018-02-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6740B2 (ja) サッシュ部材
US20150183306A1 (en) Vehicle door frame structure
US10081232B2 (en) Weatherstrip assembly for a vehicle
CN105564516A (zh) 清扫车驾驶室及清扫车
KR102053306B1 (ko)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CN108569119B (zh) 一种车辆闭合构件的结构
CN102530104B (zh) 工程机械用驾驶室
JP2008049777A (ja) 運転室のドア
JP2018021354A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13226919A (ja) 車両のウインドシール構造
US11879230B2 (en) Cab and work vehicle
CN100372755C (zh) 电梯装置
KR102042030B1 (ko) 차량용 도어 웨더스트립
JP4936979B2 (ja) キャビンの開閉式前窓のシール構造
KR20080046961A (ko) 굴삭기용 보닛의 씰링구조
JP6444470B1 (ja) 荷役車両および荷役車両用止水部材
WO2020184541A1 (ja) カバー部材及びカバー部材取付構造
JP6924082B2 (ja) 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JP2009046078A (ja) 車両用ドアシール構造
JP5173497B2 (ja) スライド式開閉窓
JP4962859B2 (ja) ガラスラン
JP2018161993A (ja) 車体側部構造
JP2021094866A (ja) 建設機械のドア
KR20000000747A (ko)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킨 굴삭기의 캡
JP6183164B2 (ja) 車両用ドア、該車両用ドアの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