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87B1 -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987B1
KR102052987B1 KR1020180053147A KR20180053147A KR102052987B1 KR 102052987 B1 KR102052987 B1 KR 102052987B1 KR 1020180053147 A KR1020180053147 A KR 1020180053147A KR 20180053147 A KR20180053147 A KR 20180053147A KR 102052987 B1 KR102052987 B1 KR 10205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ortion
adherend
heat
auxiliary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871A (ko
Inventor
임영빈
Original Assignee
(주)우주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우주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05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8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with snap-action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1/00Fastening by snap action
    • A44D2201/10Details of the stud or socket memb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스냅식 단추에 핫멜팅에 의한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적용하여 의류 등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고 외관이 수려한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 {BUTTON ASSEMBLY INCLUDING HEAT-SEALABLE THERMAL ADEHNSIVE SHE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냅식 단추에 핫멜팅에 의한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적용하여 의류 등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고 외관이 수려한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추(button)는 금속, 플라스틱, 유리, 조개, 뼈, 나무 등의 재료를 가공 성형한 작은 조각으로, 실을 이용해 의복에 달며 여밈이나 트임을 여미게 하는 기능적인 목적과 장식으로 쓰인다. 실로 여미는 단추 자체에 뚫려 있는 구멍은 겉 구멍으로 2개나 4개고 속 구멍은 대개 옆으로 뚫려 있다.
이중에서 금속단추는 주로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의한 주조방식으로 단추를 성형하고, 도금하여 완성하는 작업방법을 사용하므로 금속단추의 성형이 매우 까다롭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대량생산(大量生産)이 어려웠을 뿐 아니라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도 1a에는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의류용 단추가 적용된 의류 예컨대, 학생복용 재킷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의 'A'부 상세도에는, 일반적으로 몸체(21)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몸체(21) 내에 다수 개(통상 4개)의 고정홀(22)이 형성되며, 플라스틱 사출 성형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일반단추(2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일반단추(20)는, 몸체(21)에 다수 개가 형성된 고정홀(22)로 실(30)을 꿰매어서 의류(10)의 내측의류부(12)에 고정 부착된다. 이렇게 고정 부착된 일반단추(20)는, 외측의류부(11)에 형성된 단춧구멍(15)에 삽입 및 결합됨으로써, 의류(10)의 개방된 곳이 여미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a에서 B-B 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도 1b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의류부(11)의 안쪽에는 상기 일반단추(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밑단추(4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일반단추(20) 및 밑단추(40)는 학생복과 같이 의류(10)가 대량생산되는 경우에는 단추부착장치(또는 단추 달이 기계)(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추 구조는 다수의 부품이 체결되는 부착 과정이 복잡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불필요하게 과도하고 거치장스러울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외관이 고급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이러한 단추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중량이 가벼우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외관이 수려하고 부착과정이 간소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6-0002967호 (1996.04.1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104호 (2004.03.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단추와 원단을 핫 멜팅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개재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중량이 가볍고 단추 조립체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는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는,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로 이루어진 단추; 및
상기 단추와 피착재 사이에 개재되는 열접착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암체결부와 수체결부에는 상기 열접착시트의 융착으로 상기 피착재와 접촉하는 보조 피착재가 형성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보조 피착재는 상기 암체결부와 수체결부에 압축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보조 피착재는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메시(mesh) 크기를 갖는 섬유복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열접착시트는 핫멜팅(hot-melting) 방식으로 열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추는 사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추는 스냅단추(snap butto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암체결부와 수체결부의 접촉 부위에는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의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바,
(a) 상호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착재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
(b) 상기 피착재의 절개 부위에 암체결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c) 상기 피착재와 대면하는 인접한 피착재의 절개 부위에 수체결부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피착재와 상기 암체결부 및 수체결부 사이에 열접착시트를 개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열접착시트를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피착재는 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열접착시트는 폴리아미드(PA), 코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PES), 코폴리에스테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EVA) 및 이의 코폴리머(EVA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비정질 폴리알파올레핀(APAO),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단추와 원단을 핫 멜팅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개재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중량이 가볍고 단추 조립체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류용 단추가 적용된 의복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추 조립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추 조립체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냅 단추의 평면과 배면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추 조립체를 부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추 구조 및 부착 방법은 다수의 부품이 체결되는 부착 과정이 복잡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불필요하게 과도하고 거치장스러울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외관이 고급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단추와 원단을 핫 멜팅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개재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중량이 가볍고 단추 조립체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추 조립체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500)는 제 1 체결부(150)를 포함하는 수체결부(100), 제 2 체결부(350)을 포함하는 수체결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암체결부(300) 및 열접착시트(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추 조립체(500)의 제 1 체결부(150)와 제 2 체결부(350)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수체결부(10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의류 원단(10)에 접촉되는 합성섬유소재의 보조 피착재(110)가 사출에 의해 제 1 체결부(150)과 일체로 압축 성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암체결부(300)는 수체결부(100)의 보조 피착재(1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보조 피착재(310)와 사출에 의해 제 2 체결부(350)과 일체로 압축 성형되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수체결부(100)의 제 1 체결부(15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체결돌기(A)가 형성되어 있고, 암체결부(300)의 제 2 체결부(350)에는 체결돌기(A)에 대응하는 부위에 걸림턱(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돌기(A)가 걸림턱(B)에 결합되면서 제 1 체결부(150)은 제 2 체결부(25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게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열접착시트(200)는 단추 조립체(500)를 의복 등의 원단(10)에 용융되어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써, 보조 피착재(110, 31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열접착시트(200)는 핫 멜팅에 의하여 용융될 수 있는 소재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티-다이 공법으로 폴리우레탄 수지를 시트 형태로 경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접착시트(20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80~99중량%와 슬립제 1~2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립제로는 몬탄 왁스, 고무 계열의 엘라스토머, 무기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면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체결부(100)와 암체결부(300)의 접촉 부위에는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한 요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널링(knurling)이란 소재의 외주면에 기어 이와 유사한 요철을 형성하는 가공을 말한다. 이와 같은 널링 가공은 통상 선반과 같은 공작기계에서 수행되는데, 구체적인 가공 공정을 설명하면, 소재를 선반의 척에 고정시킨 후, 상기 소재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널링 공구를 접촉시켜 소재의 외주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단추 조립체(500)의 부착 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추 조립체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추 조립체를 피착재에 부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추 조립체(500)을 사용하여 피착재(10)에 부착하는 방법은, 제 1 체결부(150) 및 제 2 체결부(350)를 보조 피착재(110, 310)에 각각 사출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S1), 피착재의 일부를 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S2), 피착재(10)의 일부에 한 쌍의 수체결부(100)와 암체결부(300)로 구성되는 단추 조립체(500)를 각각 대응 부위에 고정하는 단계(S3) 및 피착재(10)와 수체결부(100)와 암체결부(300) 사이에 열접착시트(200)를 배치하고 핫 멜팅(hot melting)에 의해 열융착시키는 단계(S4, S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추 조립체(500)의 제 1 체결부(150) 및 제 2 체결부(350)를 합성섬유 소재인 보조 피착재(110, 310)에 일체로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한다.
그 다음, 피착재(10)인 의복 등의 소매 등에 제 1 체결부(150) 및 제 2 체결부(3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레이저 커팅 된다. 이 경우에 레이저 커팅 장치를 통하여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레이저 커팅은 10 ~ 50mm/sec의 속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커팅 속도가 10mm/sec 미만일 경우에는 그 속도가 매우 느린 관계로 생산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절단 속도가 50mm/sec을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열의 발생으로 인해 패치 원단의 표면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커팅된 피착재(10)의 해당 부위에 제 1 체결부(150) 및 제 2 체결부(350)가 노출되도록 삽입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 1 체결부(150)은 중앙 부위의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소정의 형상 변경에 의한 탄력을 제공하므로, 제 1 체결부(150)이 제 2 체결부(350)에 보다 탄력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체결부(150) 및 제 2 체결부(350)를 삽입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시트(200)을 피착재(10) 사이에 개재 시키고 핫 멜팅을 통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수체결부(100)와 암체결부(300)가 각각 비착재(10)의 대응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체결부(100)와 암체결부(300)에 압축 성형되어 있는 보조 피착재(110, 310)는 섬유사 다발로 이루어진 복합섬유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접착시트(200)가 용융되어 섬유사 간의 공극에 유입되면서 피착재(10)과 보조 피착재(110, 310)가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어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추 조립체(500)는 피착재(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수체결부(100)와 암체결부(300)만 노출된 상태에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하므로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적어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보조 부재없이 열접착시트(200)의 열융착에 의한 접합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및 부착 단계가 감소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피착재 100: 수체결부
110, 310: 보조 피착재 150: 제 1 체결부
A: 체결돌기 B: 걸림턱
200: 열접착시트 300: 암체결부
350: 제 2 체결부

Claims (11)

  1.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로 이루어진 단추; 및
    상기 단추와 피착재 사이에 개재되는 열접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암체결부와 수체결부에는 상기 열접착시트의 융착으로 상기 피착재와 접촉하는 보조 피착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체결부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체결부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하는 수체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체결부는 중앙 부위의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피착재(110)가 사출에 의해 제 1 체결부와 일체로 압축 성형되고, 암체결부는 수체결부의 보조 피착재(1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보조 피착재(310)와 사출에 의해 제 2 체결부과 일체로 압축 성형되어 형성되고,
    수체결부의 제 1 체결부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암체결부의 제 2 체결부에는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부위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단추 조립체는 피착재(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수체결부와 암체결부만 노출된 상태에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는 접촉 부위에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열접착시트는 상기 보조 피착재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접착시트는 핫멜팅(hot-melting) 방식으로 열융착되고,
    상기 열접착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80~99중량%와 슬립제 1~20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피착재는 섬유사 다발로 이루어진 복합섬유 소재로 형성되고,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메시(mesh) 크기를 갖는 섬유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a) 상호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착재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
    (b) 상기 피착재의 절개 부위에 보조 피착재가 압축 형성된 암체결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c) 상기 피착재와 대면하는 인접한 피착재의 절개 부위에 보조 피착재가 압축 형성된 수체결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피착재와 상기 암체결부 및 수체결부 사이에 열접착시트를 개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열접착시트를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추 조립체는 피착재(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수체결부와 암체결부만 노출된 상태에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하고,
    수체결부의 제 1 체결부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암체결부의 제 2 체결부에는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부위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제 1 체결부는 중앙 부위의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보조 피착재는 섬유사 다발로 이루어진 복합섬유 소재로 형성되고,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메시(mesh) 크기를 가지고,
    상기 피착재는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 방식으로 절개되고,
    상기 레이저 커팅은 10 ~ 50mm/sec의 속도로 실시하고,
    상기 열접착시트는 폴리아미드(PA), 코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PES), 코폴리에스테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EVA) 및 이의 코폴리머(EVA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비정질 폴리알파올레핀(APAO),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의 부착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53147A 2018-05-09 2018-05-09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 KR10205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147A KR102052987B1 (ko) 2018-05-09 2018-05-09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147A KR102052987B1 (ko) 2018-05-09 2018-05-09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71A KR20190128871A (ko) 2019-11-19
KR102052987B1 true KR102052987B1 (ko) 2019-12-06

Family

ID=6877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147A KR102052987B1 (ko) 2018-05-09 2018-05-09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5245A (zh) * 2021-09-18 2022-01-14 陈衍宏 无车缝的衣物纽扣和扣眼加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8042A (ja) * 2003-06-06 2004-12-24 Morito Co Ltd 補修用スナップボタン
JP2012034872A (ja) * 2010-08-09 2012-02-23 Amagasaki Seikan Kk テープ付きスナップ
KR101195042B1 (ko) * 2011-06-20 2012-10-29 강도웅 스냅 단추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008A (en) * 1980-05-16 1981-12-18 Shigeyoshi Komatsu Attaching of hook or the like
JPH088650Y2 (ja) * 1993-01-11 1996-03-13 株式会社ユタックス テープ付き合成樹脂着脱具
US5537294A (en) 1994-06-01 1996-07-16 The Whitaker Corporation Printed circuit card having a contact clip for grounding a printed circuit board found therein
JPH1033211A (ja) * 1996-07-29 1998-02-10 Morito Kk テープ付きスナップ
KR200346104Y1 (ko) 2003-12-30 2004-03-26 박창덕 의류용 단추
KR20180116917A (ko) * 2017-04-18 2018-10-26 이정문 단추가 부착된 테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8042A (ja) * 2003-06-06 2004-12-24 Morito Co Ltd 補修用スナップボタン
JP2012034872A (ja) * 2010-08-09 2012-02-23 Amagasaki Seikan Kk テープ付きスナップ
KR101195042B1 (ko) * 2011-06-20 2012-10-29 강도웅 스냅 단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71A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914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aterial having at least two layers
JPH02175111A (ja) 表皮材を貼着した合成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で使用する装置
JP2000157310A (ja) テープ付きファスナー類
KR102052987B1 (ko) 열융착이 가능한 열접착 시트를 구비한 단추 조립체 및 이의 부착방법
US8888555B2 (en) Method for joining fabric panels and manufacturing brassieres
US6156000A (en) Limb protective pad fabrication method
US4233099A (en) Slide fastener method of manufacture
JP2010144320A (ja) 防水用手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87553B1 (ko) 로고 라벨 부착방법 및 로고 라벨
WO2013081388A1 (ko) 장식용 복합 원단시트
KR102200415B1 (ko) 로고 라벨 제조방법 및 로고 라벨
CA1087379A (en) Slide fastener with clear binder seal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809482B1 (ko) 방수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EP1120489A4 (en) WATERPROOF FABRIC ASSEMBLY
WO2007143928A1 (en) Method for joining fabric panels and manufacturing brassieres
EP0980216A1 (en) Method for fastening buttons by welding and a device for making said method
KR101202910B1 (ko) 토시 제조방법
JP3136098U (ja) ショーツ
KR20190082105A (ko)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무봉제 일체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
JP3603160B2 (ja) 肩パットと衣服の肩部分内側面に対するスナップ釦部材による着脱手段の取付構造
KR100914015B1 (ko) 의류용 장식구
TWI755134B (zh) 醫療防護衣
KR20180124341A (ko) 인장강도 및 방수성능이 우수한 아웃도어 의류의 마감처리 방법.
TWI523618B (zh) 偏移防止具之製造方法及偏移防止具
US20240100806A1 (en) Surfacing Device Tether End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