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015B1 - 의류용 장식구 - Google Patents

의류용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015B1
KR100914015B1 KR1020090029611A KR20090029611A KR100914015B1 KR 100914015 B1 KR100914015 B1 KR 100914015B1 KR 1020090029611 A KR1020090029611 A KR 1020090029611A KR 20090029611 A KR20090029611 A KR 20090029611A KR 100914015 B1 KR100914015 B1 KR 10091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in body
clothing
preventing member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이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진 filed Critical 이호진
Priority to KR102009002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015B1/ko
Priority to PCT/KR2009/006307 priority patent/WO201011711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셔츠, 바지, 모자 등과 같은 의류에 부착되는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구 본체에충진되어 있는 접착제에 열을 가하여 녹인 후에 의류에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고, 의류에 부착된 후에는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박리방지부재가 본체와 접착제의 박리(剝離)현상을 방지하여 장기 사용이 가능한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용 장식구는 수용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수용부에 충진되는 접착제; 상기 접착제가 상기 본체 수용부에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의류에 손쉽게 부착되고, 장기간 사용하거나 잦은 세탁에도 의류에서 쉽게 떨어지지 아니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쟁력이 높다.
의류, 장식구, 접착제, 박리방지

Description

의류용 장식구{DECORATION IMPLEMENT FOR CLOTHES}
본 발명은 티셔츠, 바지, 모자 등과 같은 의류에 부착되는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구 본체에 충진되어 있는 접착제에 열을 가하여 녹인 후에 의류에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고, 의류에 부착된 후에는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박리방지부재가 본체와 접착제의 박리(剝離)현상을 방지하여 장기 사용이 가능한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티셔츠, 바지, 모자 등과 같은 의류에는 미적 아름다음을 향상시켜 수요를 증진시키기 위한 장식구가 부착된 것이 많다.
이러한 장식구를 의류에 부착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은 장식구에 뾰족한 고정편을 구비하고, 이 고정편으로 의류를 뚫은 후에 의류의 반대편에서 고정편을 젖혀서 장식구를 의류에 부착(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편을 이용하여 의류에 부착시키는 종래의 장식구는 의류를 뚫게되어 의류의 손상이 발생되고, 일일이 수작업으로 장식구의 고정편을 의류에 박 고 젖혀야 하므로 작업시간과 인건비가 증가하고, 고정편이 피부에 접촉되어 상처를 입히거나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이 고정편을 이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장식구를 의류에 부착하는 것이다. 즉, 장식구 내면과 의류 표면을 접착제로 부착시킴으로써, 의류에 손상도 없고 장식구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장식구와 접착제의 접착력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여 장식구와 접착제 간에 박리 현상이 발생하여 장식구가 의류(또는 접착제)에서 떨어져 나가기 쉽다는 것이다. 특히, 잦은 세탁은 장식구가 보다 빨리 의류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의류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직물지(의류)에는 강하게 접착되지만 금속에는 그리 강하게 접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장식구는 접착제에서 박리되어 의류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접착제와 장식구 간의 박리 현상을 방지하여 장기사용, 잦은 세탁 과정에서 장식구가 의류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런데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종래의 장식구에는 이러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참고로, 등록특허 제0701401호 "의류용 접착 장식구"는 접착제가 충진되어 있는 장식구 몸체 내면에 하부로 돌출된 고정다리 다수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다리는 장식구와 직물(의류)의 직접 접촉면적을 늘리고, 가열되어 액화된 접착제가 장식구 내면에서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장식구 몸체와 접착젝 간의 박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물론, 고정다리가 접착제와의 접촉 면적을 늘림에 따라 장식구 몸체와 접착제 간의 박리 현상을 억제할 수도 있지만 그 기능은 미미할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의 장식구는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단가가 높은 구조이다. 즉, 입체 형상의 볼록한 몸체 내면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다리로 인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는 방식으로는 장식구를 제조할 수 없고, 금형으로 몸체 내면에 고정다리를 형성하거나 용접하여 몸체 내면에 고정다리를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단가가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류의 손상 없이 접착제로 손쉽게 부착되고, 박리방지부재를 통해 접착제와 장식구 간에 박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제가 의류에서 떨어지지 않는 한 장식구가 의류에서 떨어져 나가는 일이 없고, 생산성이 뛰어난 의류용 장식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용 장식구는
수용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수용부에 충진되는 접착제;
상기 접착제가 상기 본체 수용부에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박리방지부재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접착제가 수용부에서 박리되는 힘에 저항하는 저항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박리방지부재는
상기 본체 외곽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절곡부위에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절곡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온에서는 고체 상태이고, 가열되면 액화되는 고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장식구는 의류의 손상 없이 의류에 손쉽게 부착되고 피부에 접촉되지 아니하여 피부 손상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박리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장식구 본체와 접착제의 박리현상을 방지하여 장식구가 의류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박리방지부재를 구비하기 위해 생산성이 떨어지거나 특별히 생산단가가 증가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장식구의 사용 상태도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장식구는 의류에 부착되어 심미감을 더하여 수요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장식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접착제(30)를 충진하기 전의 장식구 사시도이고, 도4는 다양한 형태의 박리방지부재(20)를 도시한 장식구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구는 본체(10), 접착제(30), 박리방지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입체형상을 가져 내면에 접착제(30)가 충진되는 수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입체적 형상은 소비자의 기호, 의류의 디자인 특징 등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도면과 같이 육각뿔일 수 있고, 별모양, 삼각형, 사각형, 돔형 등이 그 일례이다.
그리고 그 재질은 통상 금속이 될 것이며, 금속 중에서도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부식에 강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특히, 황동은 부식에 강하면서 공기와 접촉되어 푸른빛을 내는 것이 자연스럽다.
상기 접착제(30)는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1)에 충진되어 본체(10)의 수용부(11) 내면에 접착되고, 수용부(11)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의류에 접착된다.
상기 접착제(30)는 상온에서는 고체형태로 존재하고 가열되면 액화되는 공지된 고형 접착제(30)로서, 본체(10) 수용부(11)에 고체 상태로 미리 충진되어 유통, 보관되다가 의류에 부착 전에 노출부위를 가열하여 의류에 접착시킬 수 있고, 본체(10)와 접착제(30)가 별도로 유통, 보관되다가 의류에 부착 전에 액체 상태의 접 착제(30)를 본체(10) 수용부(11)에 충진하여 의류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박리방지부재(20)는 본체(10) 내면 수용부(11)에 구비되어 충진된 접착제(30)가 본체(10) 수용부(11)에서 박리(떨어져 나감)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형 접착제(30)는 그 특성상 초기에는 금속 표면에 잘 접착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력이 점차 약해진다. 특히, 세탁과 같이 불규칙한 외력이 사방에서 가해지고 접촉 틈새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접착력을 보다 급격히 약화시켜 접착제(30)와 금속의 접촉은 쉽게 분리된다.
이처럼 고형 접착제(30)와 금속재질 본체(10)의 접착력 특성에 대항하여 수용부(11)에 충진된 접착제(30)와 금속재질의 본체(10) 내면의 접촉이 쉽게 분리되지 않고, 접촉이 분리되더라도 본체(10)가 접착제(30)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박리방지부재(20)이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양산성을 고려하여 상기 박리방지부재(20)는 상기 본체(10)와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 수용부(11)의 개구(미(未)지시됨) 쪽을 하부라고 하고, 그 반대쪽을 상부라고 할 때
상기 박리방지부재(20)는 상기 본체(10) 수용부의 면적을 줄이는 형태의 하 광상협(下廣上狹) 형상(도4의 (b) 및 (c) 형태)을 갖거나,
상기 본체(10) 수용부 단부의 개구를 막는 형태(도4의 (a)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박리방지부재는 접착제(30) 내에 매립되어 저항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부는 상기 접착제(30)가 상기 수용부(11)에서 박리되려는 힘에 저항하여 본체(10)가 의류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접착제(30)가 수용부(11)에서 박리되려는 힘에 저항한다는 것은 1차적으로 접착제(30)가 수용부(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는 접착제(30)가 수용부(11)에서 이탈하기 전에 접착제(30)와 수용부(11)를 형성하는 본체(10) 내면에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저항부는 수용부(11)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의미한다.
1차적으로 접착제(30)가 수용부(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은 수용부(11) 본체(10) 내면에서 접촉이 분리된 접착제(30)가 수용부(11)의 개구부를 통해 빠져 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조는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 내면 수용부(11)에 돌출된 박리방지부재(20)가 수용부(11) 개구면에 수평방향성분을 갖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즉, 도4의 (a)와 같이 본체(10)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절곡 돌출(20)되거나, (b)와 같이 본체(10) 내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20a)되거나, (c)와 같이 본체(10) 내면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점차 두꺼워지도 록(즉, 상협하광 형상) 돌출(20b)되는 등과 같이 구조가 그 일례이다.
2차적으로 접착제(30)와 수용부(11)를 형성하는 본체(10) 내면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본체(10)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본체(10)와 접착제(30)가 일체화되어 결합되어 외력에 반응함으로써 접촉면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고, 본체(10)와 접착제(30)의 접촉틈새가 벌어진 경우 틈새의 벌어짐이 내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중 본체(10)와 접착제(30)를 일체화시켜 결합시키는 것은 본체(10) 내면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복잡하게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하면 되나, 이는 장식구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생산단가를 높이게 되어 적합하지 않다.
그렇다면 본체(10)와 접착제(30)의 벌어진 틈새가 내측으로 확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구조는 도4의 (a)와 같이 본체(10)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용부(11)의 개구면 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져 돌출된 박리방지부재(2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박리방지부재(20)를 외면을 덮은 접착제(30)와 박리방지부재(20)의 접착틈새가 벌어지더라도 그 틈새는 박리방지부재(20)의 외면 단부까지는 확장되지만, 외면 단부에서 내면을 거쳐 본체(10)로는 쉽게 확장되지 않는다.
이처럼 틈새가 내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체(10) 테두리 전체에 박리방지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그 때는 박리방지부재(20)를 구비하기 위한 원자재, 인건비 등의 증가 가져오게 되므로 박리방지부재(20)의 구비 범위는 적절히 선택할 것이다.
그리고 장식구 개개는 소형이고 가볍지만, 의류에 여러개의 장식구가 부착되는 때에는 착용자는 의류가 무겁다고 낄 수 있으므로 무게를 줄일 필요가 있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식구 개개의 제조용이성(생산성)과 접착제의 박리현상 방지하는 저항력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때, 박리방지부재는 본체 테두리에 2개 내지 4개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식구는 경쟁력 제고를 위해 생산단가가 낮아야 한다. 따라서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이나, 용접 등의 방식으로 박리방지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은 경쟁력이 없고, 프레스 성형 가공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하여야 한다.
즉, 장식구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가 있으면 프레스 성형 가공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장식구는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박리방지부재(20)를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프레스 성형 가공 한 후에 내측으로 절곡시켰다.
그리고 박리방지부재(20)의 절곡부위 내면 또는 외면, 또는 이들 모두에는 프레스 성형 가공 과정에서 절곡홈(21)(도면에서는 외면에 절곡홈 형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절곡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절곡홈에 의한 박리방지부재의 절곡 용이성은 대안적으로 박리방지부재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는 형태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 달성될 수 있 다.
또 상기 박리방지부재(20)의 양측에는 절개부(미(未)지칭됨)를 형성하여 절곡된 박리방지부재(20)가 본체(10) 단부 테두리 보다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절곡되어 [장식구-접착제-의류] 사이의 접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물론 본체(10) 테두리 보다 절곡된 박리방지부재(2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절곡홈만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상기 절개부 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의류용 장식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장식구의 사용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의류용 장식구의 사시도.
도 3 은 접착제 충진 전의 의류용 장식구의 사시도.
도 4 는 다양한 형상의 박리방지부재를 도시한 장식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수용부
20 : 박리방지부재 21 : 절곡홈
30 : 접착제

Claims (4)

  1. 수용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수용부에 충진되는 접착제;
    상기 접착제가 상기 본체 수용부에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리방지부재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접착제가 수용부에서 박리되는 힘에 저항하는 저항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장식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방지부재는
    상기 본체 외곽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장식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온에서는 고체 상태이고, 가열되면 액화되는 고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장식구.
KR1020090029611A 2009-04-06 2009-04-06 의류용 장식구 KR10091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611A KR100914015B1 (ko) 2009-04-06 2009-04-06 의류용 장식구
PCT/KR2009/006307 WO2010117119A1 (en) 2009-04-06 2009-10-29 Ornament for clot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611A KR100914015B1 (ko) 2009-04-06 2009-04-06 의류용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015B1 true KR100914015B1 (ko) 2009-08-28

Family

ID=4121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611A KR100914015B1 (ko) 2009-04-06 2009-04-06 의류용 장식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4015B1 (ko)
WO (1) WO20101171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939A (ko) 2021-10-29 2023-05-10 류규현 의류용 장식 부착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095Y1 (ko) * 1986-02-07 1987-09-19 최영동 의복에 부착하는 장식품
KR200264376Y1 (ko) 2001-11-07 2002-02-19 이영철 의복 장식용 핫 픽스
KR100701401B1 (ko) * 2006-11-15 2007-03-28 최낙종 의류용 접착 장식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6726A (en) * 1991-04-03 1992-08-11 Elizabeth Kellin Stretchable articles of apparel with detachable decorative elements
US5232752A (en) * 1991-12-06 1993-08-03 Mario Crespi Decorative ornaments for garments
US8196221B2 (en) * 2008-02-13 2012-06-12 Michael Houtkin Bottle opener attached to a gar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095Y1 (ko) * 1986-02-07 1987-09-19 최영동 의복에 부착하는 장식품
KR200264376Y1 (ko) 2001-11-07 2002-02-19 이영철 의복 장식용 핫 픽스
KR100701401B1 (ko) * 2006-11-15 2007-03-28 최낙종 의류용 접착 장식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939A (ko) 2021-10-29 2023-05-10 류규현 의류용 장식 부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7119A1 (en)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58034A (ja) 襟固定器具
KR101179615B1 (ko)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아일렛
KR100914015B1 (ko) 의류용 장식구
US20140322506A1 (en) Composite cloth sheet for decoration
KR20170079044A (ko) 가죽 제품의 표면에 부착하는 장식물
KR101723208B1 (ko) 의류 장신구
KR101161825B1 (ko) 핫픽스로 된 글리터 스티커 시트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한 글리터 스티커 시트지
KR101519005B1 (ko) 모조보석을 이용한 타투용 스티커 및 시트와 그 제조방법
CN110236247A (zh) 一种应用多用胶条的防水服装
KR100701401B1 (ko) 의류용 접착 장식구
KR200181113Y1 (ko) 직물로 되는 머리 장식체
KR20080041915A (ko)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KR200447174Y1 (ko) 이중 색상을 가지는 각징과 이를 이용한 판박시트
KR102028972B1 (ko) 결합형 장식구 및 그 조립방법
JP6164916B2 (ja) 軟質の合成樹脂製ハトメ、その取付方法及びこれらを用いて製造されるハトメを有する物品
KR20080004264U (ko)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
KR100973057B1 (ko) 장식용 테이프의 제조방법
EP2274996B1 (en) Removable button construction
KR100932526B1 (ko) 고무장식 혁대용 버클
CN205456539U (zh) 一种二合扣
KR20130001844U (ko) 장신용 리벳
KR200475671Y1 (ko) 귀걸이
JP3191976U (ja) 脱着可能な装飾物付き履物
KR200451837Y1 (ko) 마그네틱 자석을 이용한 장식용 악세사리
KR20160001304U (ko)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