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915A -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 Google Patents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915A
KR20080041915A KR1020060110127A KR20060110127A KR20080041915A KR 20080041915 A KR20080041915 A KR 20080041915A KR 1020060110127 A KR1020060110127 A KR 1020060110127A KR 20060110127 A KR20060110127 A KR 20060110127A KR 20080041915 A KR20080041915 A KR 20080041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hole
ornament
clothe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현 filed Critical 김기현
Priority to KR102006011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915A/ko
Publication of KR2008004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41D27/085Luminou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쉽게 떨어지지 않는 결합 및 고정특성을 갖게 한 장식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천, 비닐지, 레쟈, 가죽으로 만든 신변품이나 의류등에 천공되는 다수개의 작은 구멍들을 구비하고, 그 구멍들에는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하여 장식효과를 발휘하는 유광층을 갖는 헤드부를 그 헤드부에 일체로 성형됨과 아울러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부에 의해서 이탈됨이 없이 견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식물, 신변품, 옷, 신발

Description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Ornament article for one`s person article and clothe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사시도,
도4∼도8은 도3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의류 3:구멍
100:장식물 101:헤드부
103:걸림부 105:홈
107:연결부
본 발명은 의복, 허리띠, 멜빵(suspender), 모자, 신발 등 신변용품 및 가방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장식효과를 내는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홈을 구비하며 천은 물론 가죽이나 비닐지 등에도 이탈되는 일이 없이 견실하게 설치할 수 있게한,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신변용품, 가방 및 의복등에는 장식물을 부착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식물은 접착을 통해서 부착되기 때문에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한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83-0002813호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83171호에서도 개시된 바와 같이, 장식물은 저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옷에 댄후 열을 가함으로서 부착되는데, 피 부착물을 물에 젖었을 시 또는 세탁 등으로 인하여 충격을 받았을 시 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접착력이 상실되는 등의 이유로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가열 접착방식은 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워 결과적으로는 숙련공들만이 부착할 수 있어 생산비의 증가 요인이 되는 결점이 있고, 또한 이와 같은 가열 접착방식은 천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사용폭의 한계가 있다. 즉, 가죽이나 비닐에는 열에 의하여 손상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가열 접착방식은 천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게하며 천은 물론 열에 약한 비닐지, 가죽에도 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게 하였고, 또한 장기간 사용에도 이탈됨이 없는 견실성을 갖게 한 장식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원형, 원추형, 각뿔형, 제 두(除頭)원추형 또는 제두(除頭)각뿔형 중 어느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장신구.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사시도, 도4∼도8은 도3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100)은 의류(1)혹은 허리띠, 멜빵(suspender), 모자, 신발류 등의 신변용품(2)에 설치되어 각자의 개성 연출을 위한 장식특성을 발휘한다. 장식물(100)은 헤드부(101)와 하단의 걸림부(103)및 그리고 헤드부(101)와 걸림부(103)를 일체화하는 연결부(10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헤드부(101)가 직접적으로 장식효과를 내는 부분이고, 판형상의 걸림부(103)는 의류(1)나 신변용품(2)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하는 부분이 될 것이다. 상기 걸림부(103)는 상기 헤드부(101)와는 연결부(107)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연결부(107)의 주위로는 홈(105)이 형성된다. 상기 홈(105)의 폭은 의류(1)나 신변용품(2)의 두께가 될 것이다.
상기 헤드부(101)는 장식효과를 내기 위해서, 빛의 반사가 가능하도록 다양 한 색상 처리된 유광층(108)이 형성된다. 또한 헤드부(101)의 모양도 미려함과 시인성(視認性)을 갖도록 하기위해, 헤드부(101)는 반원형, 원추형, 각뿔형, 재두(載頭)원추형 또는 재두(載頭)각뿔형 중 어느하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예들은 도3∼도8에 표시한 바와 같다. 즉, 도3은 재두8각뿔형의 헤드부(101)를, 도4는 재두4각뿔형의 헤드부(101)를, 도5는 반원형의 헤드부(101)를, 도6은 재두원추형의 헤드부(101)를, 도7은 원추형의 헤드부(101)를, 그리고 도8은 4각뿔대의 헤드부(101)를 각각 예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식물(100)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금속 중 어느하나일 수 있고,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중 어느하나일 수 있고, 사출금형에 의해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식물(100)은 의류(1)에 설치된 구멍(3)에 설치되게 되는데, 구멍(3)에 끼움으로써 의류(1)에 견고하게 고정부착된다. 헤드부(101)를 구멍(3)을 관통하게 끼우게되면, 그 구멍(3)의 테두리가 상기 홈(105)에 끼워지게 되고, 이때 걸림부(103)가 의류(1)에 걸리게 됨으로써 장식물(100)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걸림부(103)가 상기 구멍(3)의 직경보다 커야함은 자명한 사실이고, 상기 헤드부(101) 또한 상기 구멍(3)의 직경보다 커야만 상기 구멍(3)에 끼워진 장식물(100)이 빠지지 않게한다. 상기 장식물(100)은 헤드부(101) 상기 구멍(3)에 끼워지게 함으로서 그 구멍(3)에 삽입된다. 상기 헤드부(101)는 뿔대형이고 그 저면 직경이 상기 걸림편(103)보다는 작기 때문에 상기 구멍(3)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다.
이처럼 상기 구멍(3)에 끼워진 본 발명의 장식물(100)은 헤드부(101)와 걸림부(103)가 걸림으로서 억지로 잡아 빼지 않는 이상 충격이나 물에 젖어서는 결코 빠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착을 통해서 부착되는 기존의 장식물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상기 구멍(3)에 단순히 끼워짐으로서 그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쉽다.
또한 구멍(3)은 천이나 비닐 또는 가죽 등, 심지어는 종이나 나무, 금속에도 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식물(100)은 특정 재질에만 한정되지 않고 결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천에 구멍(3)이 천공되면 혹시 실밥이 풀어져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구멍(3)의 테두리를 견실하게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워 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으므로 인해 쉽게 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착작업이 쉽기 때문에 생산성 등을 향상시키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천이나 비닐 또는 가죽 등 어떤 재질의 의류에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천, 비닐지, 레쟈, 가죽으로 만든 신변품 및 의류에 천공된 다수개의 구멍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들에 끼움이 쉽게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 주변부를 갖으며 상기 구멍들에 끼워진 후 외부 돌출되어 장식효과를 내는 소정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헤드부분보다는 큰 직경을 이루어 구멍의 주위로 걸리게 하여 상기 헤드부가 구멍들로부터 이탈됨이 없게 지지하는 판형상의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헤드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주위로는 상기 구멍의 주연부위가 밀착되게 위치하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전표면에는 빛의 반사를 유도하기 위한 여러가지색의 유광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반원형, 원추형, 각뿔형, 재두(載頭)원추형, 또는 재두(載頭)각뿔형 중 어느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KR1020060110127A 2006-11-08 2006-11-08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KR20080041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27A KR20080041915A (ko) 2006-11-08 2006-11-08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27A KR20080041915A (ko) 2006-11-08 2006-11-08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915A true KR20080041915A (ko) 2008-05-14

Family

ID=3964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127A KR20080041915A (ko) 2006-11-08 2006-11-08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9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3707B2 (en) 2014-01-07 2016-03-01 Seong Hwan Lee Female-male combination type ornament
KR101713491B1 (ko) * 2016-06-22 2017-03-22 주식회사 금도하드웨어 장식용 찡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3707B2 (en) 2014-01-07 2016-03-01 Seong Hwan Lee Female-male combination type ornament
KR101713491B1 (ko) * 2016-06-22 2017-03-22 주식회사 금도하드웨어 장식용 찡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7935A (en) Self-attaching button
KR20080041915A (ko)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KR200398300Y1 (ko) 콘 스팽글
KR101140550B1 (ko) 피혁재에 보석류를 부착시키는 방법
EP263715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label, particularly for items of clothing.
KR100874577B1 (ko) 의류에 부착되는 반짝이 장신구 제조방법
KR100914015B1 (ko) 의류용 장식구
KR101683099B1 (ko) 고리가 일체로 구비되는 악세서리
US506268A (en) Nuta manas seidlitz
KR20190136871A (ko) 돌출부에 끼워 고정시키는 장식물
KR200453147Y1 (ko) 향이 누출되지 않는 의류용 메달 텍
KR100973057B1 (ko) 장식용 테이프의 제조방법
KR200264305Y1 (ko) 장식용 원단
JP3178055U (ja) 装飾されたシート製品
CN205649304U (zh) 挂贴装置
KR101891691B1 (ko) 자수가 형성된 원단
CN205682499U (zh) 一种服饰及家纺
JP6164916B2 (ja) 軟質の合成樹脂製ハトメ、その取付方法及びこれらを用いて製造されるハトメを有する物品
CN209983595U (zh) 一种服装磁性夹扣
KR200186180Y1 (ko) 로고부가 부착된 단추
KR101811821B1 (ko) 자수가 형성된 원단
KR200372486Y1 (ko) 단추
CN205794856U (zh) 一种穿设式装饰件可拆装的衣服
KR20210022922A (ko) 로고가 구비된 단추
JPH0743650U (ja) ボタン、ホック等留め具付き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