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300Y1 - 콘 스팽글 - Google Patents

콘 스팽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300Y1
KR200398300Y1 KR20-2005-0021429U KR20050021429U KR200398300Y1 KR 200398300 Y1 KR200398300 Y1 KR 200398300Y1 KR 20050021429 U KR20050021429 U KR 20050021429U KR 200398300 Y1 KR200398300 Y1 KR 200398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sequin
sequins
base film
gl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진
Original Assignee
장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진 filed Critical 장우진
Priority to KR20-2005-0021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300Y1/ko
Priority to PCT/KR2005/003265 priority patent/WO200701109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 등에 부착하여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콘 스팽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이 코로나 처리된 베이스 필름층과, 베이스 필름층의 저면에 형성된 핫멜트층과, 베이스 필름층의 상면에 형성된 반짝이층과, 반짝이가 견고하게 부착되게 투명 수지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 투명 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되, 이를 가공하여 전체적으로 상면은 오목하고 저면은 볼록하게 반구 형상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은 반구 형상을 갖기 때문에 반사력을 극대화시켜 우수한 반짝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에 형성된 핫멜트층이 녹으면서 스팽글이 피부착물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고 신속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 스팽글{Spangle}
본 고안은 콘 스팽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신발, 가방, 벨트, 스카프, 모자 및 각종 직물 등에 부착하여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콘 스팽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팽글은 각종 직물이나 의류나 가방, 모자 등을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이 박막의 반사체를 가공하여 의류, 핸드백, 구두 등에 장식·액세서리용으로 사용된다. 주로 평평한 원형, 육각형 또는 접시형의 것이 많이 사용되는데, 그 크기는 보통 지름 0.4∼0.5cm것이 일반적이며, 큰 것은 2cm 가까이 되는 것도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스팽글은 중심부에 봉제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이 봉제 구멍을 통해 직물이나 의류 등의 피부착물에 재봉실로 꿰어서 고정시키는 것이 보통의 부착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팽글은 박막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측면 각도에서 보았을 때는 그 반짝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스팽글은 입체감이 없기 때문에 반짝 효과가 한정되며, 따라서 화려한 미감을 표현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팽글은 재봉실로 의류에 꿰어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된 후에도 세탁을 하는 경우와 같이 외부에서 마찰력이 가해지면 재봉실이 쉽게 끊어지면서 스팽글이 피부착물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67926호에서는 반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광체면을 형성하여 화려한 빛의 반사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조된 스팽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팽글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재봉을 이용한 고정방법에 따른 문제점이 여전히 있을 뿐만 아니라, 측면 각도에서 보았을 때 광체면의 반사 면적이 넓지는 않아 빛의 반사 효과를 극대화하지는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반구 형상으로 제조하여 빛의 반사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저면에 핫멜트층을 형성하여 피부착물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콘 스팽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구 형상의 테두리를 날카롭게 형성하여 피부착물에 부착할 때 날카로운 부분이 피부착물에 박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 콘 스팽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은 양 표면은 코로나 처리되고, 상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게 마련된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저면에 형성된 핫멜트층으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 상면은 오목하고 저면은 볼록하게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상면에 반짝이를 도포하여 반짝이층을 형성하고, 도포된 반짝이가 견고하게 부착되게 투명 수지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 코팅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구 형상의 하단 테두리는 그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피부착물에 가압 부착될 때 양 단부가 벌어지면서 피부착물에 파고 들어가 박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의 일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의 다른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은 어느 방향에서든지 반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상면은 오목하고 저면은 볼록하게 반구 형상으로 제조된 형상 상의 특징으로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 스팽글의 구조는 베이스 필름층(10)과, 베이스 필름층(10)의 저면에 형성된 핫멜트층(20)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필름층(10)을 형성하는 필름의 상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은 코로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코로나 처리라는 것은 필름의 표면에 전기적인 충격 또는 레이져를 투사하여 필름의 표면 상태를 변화시켜주는 것으로, 필름이 표면에 미세한 흠을 형성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코로나 처리 기술은 공지된 기술로써,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필름은 코로나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저면의 핫멜트가 잘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상면에 반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코팅액을 도포할 때 코팅액이 잘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핫멜트층(20)은 베이스 필름층(10)의 저면에 핫멜트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공지의 초음파 융착기 등으로 일정한 열이 가해지면 녹으면서 스팽글을 피부착물(P)에 부착시키게 된다. 핫멜트로 사용되는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우레탄이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피부착물(P)은 의류, 신발, 가방, 벨트, 스카프, 모자 및 각종 직물 원단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정면 뿐만 아니라 측면을 포함한 여러 각도에서 보더라도 빛의 반사 효과가 우수하며, 따라서 반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콘 스팽글의 저면에 핫멜트층이 마련되고, 이 핫멜트층이 직접 녹으면서 스팽글을 피부착물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재봉실에 의해 스팽글을 고정시키는 종래의 방법보다 스팽글을 보다 용이이고 견고하며 미려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스팽글이 피부착물(P)에서 분리된 느낌이 아니라 일체화된 느낌을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외적인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 스팽글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층(10)과, 베이스 필름층(10)의 저면에 형성된 핫멜트층(20)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기본으로 하되, 베이스 필름층(10)의 상면에 반짝이를 도포하여 반짝이층(30)을 형성하고, 도포된 반짝이가 견고하게 부착되게 투명 수지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 코팅층(40)을 더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 필름층(10)과 핫멜트층(20)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내용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짝이층(30)은 빛을 잘 반사키는 성질을 갖는 반짝이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그 반짝이의 색상 등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반짝이층(30)을 형성하는 반짝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필름이 주로 사용되며, 폴리에스테르필름에 색인쇄를 하여 작은 입자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투명 코팅층(40)은 부착성 및 내굴곡성이 우수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투명 수지 도료를 반짝이층(30) 상에 도포 및 건조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필름 상에 부착된 반짝이가 외부와의 마찰 및 습기 등에 의하여 쉽게 떨어지는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반짝이층과 투명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팽글의 디자인을 보다 미려하고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으며, 외부 요인에 의해 반짝이층에 마찰이 가해지더라도 투명 코팅층이 반짝이층을 보호하기 때문에 반짝이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원상태를 계속 보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 스팽글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 스팽글은 반구 형상을 갖는 스팽글의 하단 테두리(12)를 그 단면이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되게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물론, 도면 상에는 본 실시예가 상기 일 실시예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팽글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자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12)는 그 양 단부(12a)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스팽글이 피부착물에 가압 부착될 때 양 단부가 벌어지면서 피부착물에 파고 들어가 박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12) 내에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20-1)가 도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콘 스팽글은 피부착물에 부착될 때 핫멜트에 의해 부착될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팽글을 피부착물에 열을 가해 눌러 부착할 때 스팽글의 하단 테두리의 양 단부가 벌어지면서 날카로운 부분이 피부착물에 파고 들어가 박히면서 더욱 견고한 부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마찰 등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스팽글이 피부착물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콘 스팽글의 다른 작용 효과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며, 따라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은 반구 형상을 갖기 때문에 반사력을 극대화시켜 우수한 반짝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에 형성된 핫멜트층이 녹으면서 스팽글이 피부착물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고 신속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은 핫멜트에 열을 가하면서 피부착물에 가압하여 부착할 때 하단 테두리의 양 단부가 벌어지면서 피부착물로 파고 들어가 박히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부착력 및 고정력을 갖게 되며, 따라서 외부에서 마찰이 가해지더라도 스팽글이 피부착물에서 떨어지지 않고 원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 스팽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콘 스팽글의 단부가 피부착물에 박힌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필름층 12: 테두리
12a: 단부 20: 핫멜트층
30: 반짝이층 40: 투명 코팅층

Claims (6)

  1. 양 표면은 코로나 처리되고, 상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게 마련된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저면에 형성된 핫멜트층으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 상면은 오목하고 저면은 볼록하게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스팽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상면에 반짝이를 도포하여 반짝이층을 형성하고, 도포된 반짝이가 견고하게 부착되게 투명 수지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 코팅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스팽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 형상의 하단 테두리는 그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피부착물에 가압 부착될 때 양 단부가 벌어지면서 피부착물에 파고 들어가 박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스팽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 형상의 테두리 내에 핫멜트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스팽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 스팽글은
    의류, 신발, 가방, 벨트, 스카프, 모자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스팽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 스팽글은
    의류, 신발, 가방, 벨트, 스카프, 모자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스팽글.
KR20-2005-0021429U 2005-07-22 2005-07-22 콘 스팽글 KR200398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429U KR200398300Y1 (ko) 2005-07-22 2005-07-22 콘 스팽글
PCT/KR2005/003265 WO2007011095A1 (en) 2005-07-22 2005-10-04 Sp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429U KR200398300Y1 (ko) 2005-07-22 2005-07-22 콘 스팽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300Y1 true KR200398300Y1 (ko) 2005-10-13

Family

ID=3766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429U KR200398300Y1 (ko) 2005-07-22 2005-07-22 콘 스팽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98300Y1 (ko)
WO (1) WO200701109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375B1 (ko) 2007-02-21 2008-03-12 이상근 대량생산이 가능한 인조켓츠아이 반사고정체
KR100827646B1 (ko) 2007-01-19 2008-05-07 주식회사 신한양행 글리터 네일헤드
KR101098319B1 (ko) 2011-09-08 2011-12-26 최낙종 액세서리용 컨벡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574787B1 (ko) * 2008-12-12 2015-12-08 유창순 스팽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7A (ja) * 1993-06-21 1995-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転写シート
FR2714576B1 (fr) * 1993-12-30 1996-03-08 Bruno Roualdes Matériau pour la confection et le décor constitué d'une peau et/ou étoffe stratifiées avec une âme métallique.
KR200226385Y1 (ko) * 1998-10-09 2001-10-25 이인철 장식용스팽글의반사구조_
KR200294181Y1 (ko) * 2002-06-15 2002-11-04 이건섭 폴리에스텔 홀로그램 스팽글의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646B1 (ko) 2007-01-19 2008-05-07 주식회사 신한양행 글리터 네일헤드
KR100813375B1 (ko) 2007-02-21 2008-03-12 이상근 대량생산이 가능한 인조켓츠아이 반사고정체
KR101574787B1 (ko) * 2008-12-12 2015-12-08 유창순 스팽글 모듈
KR101098319B1 (ko) 2011-09-08 2011-12-26 최낙종 액세서리용 컨벡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1095A1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8300Y1 (ko) 콘 스팽글
US20100154103A1 (en) Gemmed sequin
KR20090004087U (ko) 질감 및 심미감이 우수한 장식용 스티커
KR200415708Y1 (ko) 더블 톤 핫 픽스
KR101286256B1 (ko) 장식용 스팽글
KR20000002420U (ko) 장식용 원단
US20020055317A1 (en) Flexible, transparent and elastic band with decorative light-reflecting pattern, applicable to the textile industry
KR200409878Y1 (ko) 장식품
CN205636311U (zh) 一种新型印花反光合成革
KR200447174Y1 (ko) 이중 색상을 가지는 각징과 이를 이용한 판박시트
KR200202786Y1 (ko) 머리핀
KR20080041915A (ko) 신변품 및 의복용 장식물
KR20090004739U (ko) 섬유층이 구비된 핫픽스와 이를 이용한 판박 시트
KR200383392Y1 (ko) 장식품
CN214905175U (zh) 一种装饰用构件结构以及应用其的背景面
JP2813961B2 (ja) 縫い着け型衣服用装飾品
KR200336908Y1 (ko) 개량 스팽글
KR200367925Y1 (ko) 스팽글
JP3049273U (ja) パーティー用衣裳等の装飾構造
JPH03199404A (ja) 装飾品
KR20130111710A (ko) 장식용 스팽글
KR200181113Y1 (ko) 직물로 되는 머리 장식체
JP3204091U (ja) 光透過性立体物がインサート成形により固定された装飾具付き用具
KR101470860B1 (ko) 반짝이 효과를 갖는 장식용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JP3034567U (ja) 合布カーテ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