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264U -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 - Google Patents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264U
KR20080004264U KR2020070005036U KR20070005036U KR20080004264U KR 20080004264 U KR20080004264 U KR 20080004264U KR 2020070005036 U KR2020070005036 U KR 2020070005036U KR 20070005036 U KR20070005036 U KR 20070005036U KR 20080004264 U KR20080004264 U KR 200800042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string
necklace
groove
orna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현
Original Assignee
권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세현 filed Critical 권세현
Priority to KR2020070005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264U/ko
Publication of KR20080004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2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는 장신구와 끈조임구를 세라믹 재질로 형성하여 생산성을 용이하게 향상하고 장신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목적으로, 장신구의 뒤면에 설치되어 끈 상에서 장신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에 있어서, 장신구의 뒤쪽면에 홈을 형성하고, 끈 상에 위치한 끈조임구가 상기 장신구의 홈에 삽입 접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끈조임구에 형성되는 관통구의 일부가 상기 장신구의 홈 내부에 위치하여 끈을 눌러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목걸이, 장신구, 위치조정, 장신구 위치조정, 위치조정구조

Description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ADJUSTING STRUCTURE OF ORNAMENT POSITION OF NECKLA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신구
la : 홈
2 : 끈조임구
2a : 관통구
3 : 끈
본 고안은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신구와 위치조정부재를 세라믹재질로 형성하여 생산성을 용이하게 향상하고 장신구의 위치 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를 포함한 장신구는 착용자의 목이나 팔 및 귀 등의 신체에 부착하여 의복과 함께 멋을 내는 것이며, 착용자의 개성을 표출하는 수단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신구 자체의 다양하고 섬세한 모양과 색상은 착용자의 멋을 더욱 배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특히 목에 거는 목걸이의 경우에는 착용자의 미적 감각이 직접적으로 표출될 수 있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착용자는 목걸이의 장식물이 상의 중앙으로 살짝 드러나게 하고자 상의 위쪽의 단추를 풀어놓는 행위로서 목걸이의 장식물이 신체 밖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넥타이 또는 일반 목걸이를 대신하여 많이 사용되는 목걸이가 많이 사용되는 바, 이는 장신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장신구의 뒤쪽에 구비되어 있다.
즉 종래의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신구(101) 뒷면에 금속재질의 끈조임구(102)를 결합시켜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천 재질의 끈(103)을 끈조임구(102)로 통과시킴으로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끈(103) 상에서 장신구(101)의 착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장신구의 뒤쪽에 금속판을 절단 절곡하여 탄성적인 끈조임구가 적용되기 때문에, 끈조임구를 탄성력이 없는 세라믹 재질로 만들지 못할 뿐만아니라 세라믹으로 장신구를 생산하는 업체가 목걸이를 생산하고 자 하더라도 세라믹 재질의 장신구에 금속재질의 끈조임구가 적용될 때에는 생산하는 업체가 별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업성이 매우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최근에는 세라믹 업체가 장신구를 많이 생산하고 있으나, 세라믹으로 끈조임구를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떨어져서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더우기 종래의 끈조임구는 금속판을 절단 및 절곡하고 분리된 구성요소를 용접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을 하기 위하여 금속판을 절단하는 금형, 금속판을 절단 및 절곡하는 금형, 구성요소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 등이 갖추어져야 하므로 제품의 생산 설비가 많이 사용되어 생산성의 저하와 제품 단가의 상승 등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신구와 끈조임구를 세라믹 재질로 형성하여 생산성을 용이하게 향상하고 장신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신구의 뒤면에 설치되어 끈 상에서 장신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에 있어서, 장신구의 뒤쪽면에 홈을 형성하고, 끈 상에 위치한 끈조임구가 상기 장신구의 홈에 삽입 접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끈조임구에 형성되는 관통구의 일부가 상기 장신구의 홈 내부에 위치하여 끈을 눌러주는 것으로 이 루어지는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위치조정구조가 적용되는 목걸이는 장신구(1)의 뒤쪽면에 끈조임구(2)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끈조임구(2)가 끈(3) 상에서 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장신구(1)와 끈조임구(2)가 탄성적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바이오 세라믹 재질로 장신구(1)와 끈조임구(2)를 형성하여 장신구와 끈조임구가 금형으로 생산될 수 있어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는 장신구(1)의 뒤쪽면에 홈(la)을 형성하고, 끈(3) 상에 위치한 끈조임구(2)가 상기 장신구(1)의 홈(la)에 삽입 접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끈조임구(2)에 형성되는 관통구(2a)의 일부가 상기 장신구(1)의 홈(la) 내부에 위치하여 끈(3)을 눌러주는 구조이다.
물론 상기 장신구(1)의 홈(la)의 내부에 위치하는 관통구(2a)는 끈(3)의 재질에 따라 결정되며,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끈(3)은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탄력성을 구비한 직물 재질, 가죽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장신구(1)의 홈(la)의 가장자리부가 관통구(2a)의 직경을 축소하기 때문에 끈(3)을 눌러주기 되어 장신구(1)가 끈(3) 상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장신구(1)의 위치를 쉽게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장신구(1)와 끈조임구(2)가 분리된 상태에서 끈(3)을 끈조임구(2)의 관통구(2a)에 삽입하여 끈(3) 상에 끈조임구(2)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장신구(1)의 홈(la) 또는 끈조임구(2)의 외부면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끈조임구(2)를 장신구(1)의 홈(la)에 삽입하여 끈조임구(2)를 접착 고정하면 조립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장신구(1)와 끈(3)를 잡고 장신구(1)를 상하로 당겨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신구(1)의 홈(la)의 가장자리가 끈(3)을 눌러주기 때문에 장신구(1)가 아래로 쉽게 하강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는 장신구와 끈조임구를 세라믹 재질로 형성할 수 있어 끈조임구를 하나의 금형으로 쉽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용이하게 향상되어 생산 시간이 매우 단축될 뿐만 아니라 목걸이의 조립 시간이 매우 단축되며, 장신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

  1. 장신구의 뒤면에 설치되어 끈 상에서 장신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에 있어서,
    장신구의 뒤쪽면에 홈을 형성하고, 끈 상에 위치한 끈조임구가 상기 장신구의 홈에 삽입 접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끈조임구에 형성되는 관통구의 일부가 상기 장신구의 홈 내부에 위치하여 끈을 눌러주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
KR2020070005036U 2007-03-26 2007-03-26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 KR200800042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036U KR20080004264U (ko) 2007-03-26 2007-03-26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036U KR20080004264U (ko) 2007-03-26 2007-03-26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264U true KR20080004264U (ko) 2008-10-01

Family

ID=4132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036U KR20080004264U (ko) 2007-03-26 2007-03-26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26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3733A (zh) * 2016-11-25 2017-05-31 林方杰 一种装饰性挂坠绳调节装置
KR200486739Y1 (ko) * 2017-11-15 2018-06-27 주식회사 케이엠 마스크의 착용끈 길이조절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3733A (zh) * 2016-11-25 2017-05-31 林方杰 一种装饰性挂坠绳调节装置
CN106723733B (zh) * 2016-11-25 2018-03-13 永春县建祥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装饰性挂坠绳调节装置
KR200486739Y1 (ko) * 2017-11-15 2018-06-27 주식회사 케이엠 마스크의 착용끈 길이조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1596C1 (ru) Носимый декоративный элемент комплекта, имеющий подкладку, зажатую под вырезанной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ластиной
KR20080004264U (ko) 목걸이용 장신구의 위치조정구조
JP3155597U (ja) 装身具用留め具
KR100680852B1 (ko) 신발끈 악세서리
US20160106249A1 (en) Fashion accessory and method of operating a zipper
CN104082922A (zh) 可拆卸戒指
KR20130002459U (ko) 의류에 사용하는 장식물
JP2006333891A (ja) アクセサリ
CN203814757U (zh) 可拆卸戒指
KR200476905Y1 (ko) 장식구 부착용 반지 몸체 구조
JP3230027U (ja) 鼻緒飾り
KR200457632Y1 (ko)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JP3115924U (ja) 装飾部分が連結具機能を兼ね備えたバンド
KR20110103860A (ko) 혁대용 장식 버클
CN216493891U (zh) 一种便于调节绳线长度的黄金饰品
KR100914015B1 (ko) 의류용 장식구
JP3149627U (ja) 腕時計におけるバンド用のアクセサリー
KR102211031B1 (ko) 액세서리 고정부 제조 방법
CN208211615U (zh) 一种双头束带圈固定结构
KR200388139Y1 (ko) 슬라이드 목걸이
KR20220100485A (ko) 액세서리용 팔찌의 제조 방법
JP3099521U (ja) 履物
KR200292027Y1 (ko)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JP5278659B2 (ja) 装身具
TWI590782B (zh) 可更換彈性繩圈的髪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