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04U -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 Google Patents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04U
KR20160001304U KR2020140007394U KR20140007394U KR20160001304U KR 20160001304 U KR20160001304 U KR 20160001304U KR 2020140007394 U KR2020140007394 U KR 2020140007394U KR 20140007394 U KR20140007394 U KR 20140007394U KR 20160001304 U KR20160001304 U KR 201600013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art
cubic
holder
decora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희
Original Assignee
이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희 filed Critical 이보희
Priority to KR2020140007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304U/ko
Publication of KR20160001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7Special types of gems
    • A44C17/008Glass ston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의 제조에 관한 기술분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큐빅을 직접 접합하는 방식으로 발생하는 접착제의 노출과 접착제의 흐름과 접착면의 불균형 등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려는 큐빅홀더가 성형된 장식파트의 제조에 관한 기술적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는 천공이 된 큐빅홀더가 형성된 장식파트본체의 배면에 장식파트배면부가 접합되고, 큐빅홀더에 큐빅이 접착되어 결합하여 장신구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장식파트의 작용을 하는 것을 과제해결의 특징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의 장식파트의 제조기술에 의해서 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전하게 안정적으로 미감의 표현을 다양이 하는 효과가 있다.
[색인어]
장신구. 장식파트. 장식파트본체. 큐빅홀더. 큐빅. 장식파트배면부. 장식파트성형부.

Description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Part decoration for accessory holder is formed}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장신구용 장식파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기술분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파트의 일면 또는 전면에 천공을 하여 큐빅을 접착하는 것과, 장식파트본체의 배면에 장식파트배면부가 접합되어 접착제의 흐름을 방지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이전의 종래의 기술은 큐빅을 원단 등의 표면에 접착하는 방식에서 직접 목적물에 접착하는 기술로서,
선행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20-0437798호 [장식용 큐빅이 부착된 섬유원단을 이용한 접착식 액세서리]를 보면,
"본 고안은 장식용 큐빅이 부착된 섬유원단을 이용한 접착식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핫 멜트(Hot melts) 처리된 섬유원단 재질로 이루어진 바탕천의 일면에 직물용접착제가 도포 된 직물용접착제층과; 상기 직물용접착제층 상에 임의의 형태로 도포 되어 형성되는 메탈릭파우더(Metalic powder)층과; 상기 메탈릭파우더(Metalic powder)층 상에 코팅(Coating)되어 상기 메탈릭 파우더의 탈착을 방지하는 우레탄 엘라스토머 (Urethane elastomer)층과; 상기 우레탄 엘라스토머 (Urethane elastomer)층상에 접착되는 큐빅(Cubic)층; 및 상기 바탕천의 타면에 부착되는 아크릴 접착제가 도포 된 양면테잎과; 상기 양면테잎의 일면에 부착되는 이형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핫 멜트와 장식용 큐빅이 견고하게 접착되어 바탕천으로부터 장식용 큐빅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아울러 바탕천의 소재가 섬유원단이라 인체에 무해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느끼게 하고, 섬유원단 본래의 유연함을지니고 있어 굴곡 있는 대상물의 접착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종래의 장식용 접착식 액세서리와 달리 점착 대상물에 반복되는 탈·부착에도 바탕천이 되는 섬유원단의 신축성에 의해 늘어나고 찢어지는 등의 자체변형이 적기 때문에 바탕천에 접착되어 있는 장식용 큐빅이 쉽게 탈락하지 않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으로 구성되어,
접착제층을 접착면 전체를 도포하면 큐빅이 접착되고 남는 공간은 미감을 해치는 접착층이 노출된다는 것이 단점이며 문제점으로서,
상기의 단점과 문제점이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방식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798호 [장식용 큐빅이 부착된 섬유원단을 이용한 접착식 액세서리], 2007.12.20.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인 목적대상면에 큐빅을 직접 접합하는 방식으로 발생하는 접착제의 노출과 접착제의 흐름과 접착면의 불균등 접착으로 인한 큐빅이 쉽게 이탈되는 단점과 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큐빅의 접착 목적물에 큐빅홀더를 구비하여 해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의 이점이 있는 것에 그 기술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해결을 위한 기술적 특징 및 작용은,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은 큐빅홀더가 천공되어 구비된 장식파트본체의 배면에 장식파트배면부가 접합되고, 장식파트본체의 큐빅홀더에 접착제를 투입하고, 큐빅의 밑면을 삽입하여 접착시켜 접착제의 흔적이 남지 않는 장식파트가 구성되면, 장신구의 본체에 접합하여 미감을 높이는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기술적 특징에 있어서,
완성된 장식파트의 배면에 장식파트의 크기보다 작은 면적의 장식파트 성형부가 접합되어 장식파트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과 - -으로 이루어져 종래의 --의 단점과 - -의 문제점을 특징적으로 해결하여, 사용함에 - -하는 것과 다양한 미감을 표현하는 것과 작업성 향상에 의한 생산성에 있어서 - -하는 것에 매우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사시사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큐빅 접착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성형 장식파트 절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파트성형부 구성 절단면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의 과제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100)는 천공이 된 큐빅홀더(210)가 형성된 장식파트본체(200)의 배면에 장식파트배면부(300)가 접합되고, 큐빅홀더(210)에 큐빅(220)이 접착되어 결합하여 장신구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장식파트(100)의 작용을 하는 것을 과제해결의 특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파트본체(200)는 두께가 있는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평면을 갖는 원단으로 구비되며, 창작된 도안에 따라 장신구의 본체와 결합되는 장식파트(100)의 형상에 따라 금형이나 레이저로 재단되거나 커팅되어, 장식파트(100)를 구성하는 장식파트본체(200)로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큐빅홀더(210)는 장식파트본체(200)의 형상에 맞게 준비된 도안에 따라 큐빅(220)이 장식파트(100)에 배치되는 형상과, 큐빅(220)이 위치하는 장식파트본체(200)의 표면에 큐빅(220)의 크기에 맞춰 장식파트본체(200)의 지정된 공간에 천공되어 큐빅홀더(210)가 형성된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파트배면부(300)는 장식파트본체(200)의 큐빅홀더(210)가 천공된 배면에는 큐빅(200)이 접착되기 위해 투입된 접착제의 흐름을 방지하는 장식파트본체(200)와 같은 크기와 형상의 장식파트배면부(300)가 장식파트본체(200)와 같은 금형 또는 레이저로 큐빅홀더(210)의 천공이 없는 원지로 장식파트본체(200)의 배면에 접합되어 접착제의 흐름을 방지하는 용도로 장식파트배면부(300)가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큐빅(220)은 큐빅홀더(210)가 도안에 따라 다수가 천공된 장식파트본체(200) 배면에 장식파트배면부(300)가 접합되 구비된 큐빅홀더(210)에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큐빅(220)의 밑면을 삽입하여 접착시켜 장식파트(100)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구비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도안에 따라 제조된 장식파트본체(200)에 지정된 형상에 따라 큐빅홀더(210)가 천공되어 구비되고, 장식파트본체(200)의 배면에 장식파트배면부(300)를 접합하여 구성되고, 장식파트본체(200)에 성형된 큐빅홀더(210)에 접착제를 투입하고, 접착제가 투입된 큐빅홀더(210)에 큐빅(220)의 밑면을 삽입하여 접착시켜 장식파트(100)가 구성되면, 장식파트(100)를 장신용 장신구의 본체에 접합하여 미감을 높이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기술적인 구성에 의한 또 다른 구성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빅홀더(210)가 천공되어 구비된 장식파트본체(200)의 배면에, 접착제의 흐름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장식파트본체(200)와 같은 형상으로 천공을 하지 않은 장식파트배면부(300)를 장식파트본체(200)에 접합하고, 큐빅홀더(210)에 접착제를 투입하고 큐빅홀더(210)에 큐빅(220)의 밑면을 삽입하여 접착시켜 완성된 장식파트(100)가 구성되면,
상기 완성된 장식파트(100)의 배면에, 금속이나 합성수지재의 얇은 두께를 갖는 판형의 플레이트로 장식파트(100)의 크기보다 작은 면적에 같은 형상으로 사출 또는 커팅을 하여, 장식파트(100)에 접합되어 장식파트(100)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으로 또는 형상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장식파트성형부(400)가 구성된다.

Claims (2)

  1. 장신용 장신구의 표면에 부착되어 미감을 향상시키는,
    큐빅이 장식파트본체의 천공이 된 큐빅홀더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장식파트에 관한 기술에 있어서,
    상기 장식파트는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평면을 갖는 원단으로 도안에 따라 장식파트의 형상이 지정되어 재단 또는 커팅되어 장식파트본체로 구비되고,
    상기 큐빅홀더는 장식파트본체의 형상에 맞게 큐빅이 배치되는 형상과 큐빅의 크기에 맞춰 장식파트본체에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식파트의 배면에는 투입된 접착제의 흐름을 방지하는 하는 장식파트와 같은 크기와 형상의 장식파트배면부가 장식파트의 배면에 접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큐빅은 큐빅홀더가 천공된 장식파트본체 배면에 장식파트배면부를 접합하고, 큐빅홀더에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큐빅의 밑면을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것으로 구비되어,
    지정된 형상에 따라 큐빅홀더가 천공되어 구비된 장식파트본체의 배면에 장식파트배면부를 접합하고, 장식파트본체의 큐빅홀더에 접착제를 투입하고, 접착제가 투입된 큐빅홀더에 큐빅의 밑면을 삽입하여 접착시켜, 장신구의 본체에 접합하여 미감을 높이는 기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2. 제 1항에 있어서,
    큐빅홀더가 천공되어 구비된 장식파트본체의 배면에 장식파트배면부를 접합하고, 큐빅홀더에 접착제를 투입하고, 큐빅홀더에 큐빅의 밑면을 삽입하여 접착시켜 완성된 장식파트가 구성되면,
    상기 완성된 장식파트의 배면에 장식파트의 크기보다 적은 면적의 장식파트성형부가 접합되어 장식파트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KR2020140007394U 2014-10-13 2014-10-13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KR201600013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94U KR20160001304U (ko) 2014-10-13 2014-10-13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94U KR20160001304U (ko) 2014-10-13 2014-10-13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04U true KR20160001304U (ko) 2016-04-21

Family

ID=5591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394U KR20160001304U (ko) 2014-10-13 2014-10-13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0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3165B2 (ja) 合成皮革又は皮革のインサート成型方法
KR20160001304U (ko)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KR20100117490A (ko) 피혁재에 보석류를 부착시키는 방법
KR101519005B1 (ko) 모조보석을 이용한 타투용 스티커 및 시트와 그 제조방법
US6296913B1 (en) Three dimensional, detailed, sculptured item
JP3200599U (ja) 装飾体
KR200390449Y1 (ko) 장식용 스티커
JP3178055U (ja) 装飾されたシート製品
KR100914015B1 (ko) 의류용 장식구
KR200479413Y1 (ko) 몰드프레임에 구성되는 장신구용 장식
WO2017046877A1 (ja) 装飾具
KR20100054573A (ko) 보석장식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73057B1 (ko) 장식용 테이프의 제조방법
JP2016112071A (ja) 装飾具および装飾具の製造方法
JP3217015U (ja) 装飾具
KR20160000421U (ko) 체결홀더가 구성되는 장신구용 장식
KR101589378B1 (ko) 입체무늬 핫픽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입체무늬 핫픽스
KR101664117B1 (ko) 가방 및 이의 제조방법
JP3196185U (ja) 装飾具
CA190895S (en) Adhesive bandage with decorated pad
CA190885S (en) Adhesive bandage with decorated pad
CA190893S (en) Adhesive bandage with decorated pad
CA190889S (en) Adhesive bandage with decorated pad
CA190890S (en) Adhesive bandage with decorated pad
CA190886S (en) Adhesive bandage with decorated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