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814B1 -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814B1
KR102052814B1 KR1020180003756A KR20180003756A KR102052814B1 KR 102052814 B1 KR102052814 B1 KR 102052814B1 KR 1020180003756 A KR1020180003756 A KR 1020180003756A KR 20180003756 A KR20180003756 A KR 20180003756A KR 102052814 B1 KR102052814 B1 KR 102052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mount
fuel consumption
load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641A (ko
Inventor
히토히로 이시모토
다카유키 가와치
나세루 나카자와
마코토 이데구치
히로시 아카세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50/40
    • B63J2099/006

Abstract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선박의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선박의 재화 중량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22)은 선박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선박의 항행 거리를 나타내는 항행 거리 데이터를 생성한다.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은 선박의 연료 탱크로부터 추진 기관에 흐르는 연료의 유량을 나타내는 유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산출 수단(24)은 적재량 데이터, 항행 거리 데이터 및 유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선박이 단위량의 적재물을 단위 거리만큼 수송한 경우의 연료 소비량인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산출한다. 출력 수단(25)은 산출 수단(24)에 의해 산출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본 발명은 선박의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을 기재한 특허문헌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펄스 발신식 유량계에 의해 계측한 연료의 유량으로부터 주기관의 순시 연료 소비량을 구하고, 순시 연료 소비량에 기초하는 연료 소비량의 경시 변화나 적산량을 표시하는 연료 소비 모니터링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85924호 공보
선박의 연료 소비량은, 선박에 적재된 적재물의 양과 수송 거리에 의존한다. 따라서, 선박에 있어서의 연료 소비량의 평가에 있어서는, 연료 소비량의 절댓값보다도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이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이란, 단위량의 적재물을 단위 거리만큼 수송하기 위해 요한 연료 소비량을 의미한다.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의 단위는, 예를 들어 「ton/(tonㆍmile)」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료 소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경우, 선박의 연료 소비량의 절댓값의 계시 변화나 적산량은 표시되지만,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이 표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료 소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저는,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하여 평가할 수는 없다.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형태로서, 선박에 적재된 적재물의 양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선박의 항행 거리를 나타내는 항행 거리 데이터를 취득하는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적재량 데이터와 상기 항행 거리 데이터와 상기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출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선박의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한 선박의 연료 소비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재량 데이터는, 화물의 양과 밸러스트수의 양과 연료의 양을 포함하는 양을 나타낸다는 구성이 제2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 밸러스트수 및 연료의 총량을 고려한 연료 소비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선박의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흘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흘수에 따른 배수량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경하 배수량을 감산한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적재량 데이터로서 생성함으로써 취득한다는 구성이 제3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선박의 흘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적재량(재화 중량)을 고려한 연료 소비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선박의 항행 중의 복수의 시점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선박의 흘수를 나타내는 상기 흘수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복수의 시점의 각각에 관해 상기 흘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흘수에 따른 배수량으로부터 상기 경하 배수량을 감산한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적재량 데이터로서 생성함으로써 취득한다는 구성이 제4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밸러스트수의 도입이나 배출, 연료의 소비에 의한 잔량의 변화 등에 의해 선박의 항행 중에 적재량이 변화되어도, 당해 변화가 반영된 적재량을 사용하여 산출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재량 데이터는, 화물의 양을 나타낸다는 구성이 제5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양을 고려한 연료 소비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선박의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와, 상기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밸러스트수의 양을 나타내는 밸러스트수량 데이터와, 상기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연료량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흘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흘수에 따른 배수량으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밸러스트수의 양과 상기 연료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료의 양과 상기 선박의 경하 배수량을 감산한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적재량 데이터로서 생성함으로써 취득한다는 구성이 제6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선박의 흘수, 밸러스트수의 양, 연료의 양을 사용하여 산출된 화물의 양을 고려한 연료 소비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선박이 항행한 항간 항로의 각각에 관해 상기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는 구성이 제7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항간 항로의 각각에 관해,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한 선박의 연료 소비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과거의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선박의 항행에 관해 상기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는 구성이 제8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과거의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항행에 관해,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한 선박의 연료 소비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은, 복수의 연료의 종류의 각각에 관한 상기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상기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복수의 연료의 종류의 각각에 관한 상기 정보를 출력한다는 구성이 제9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연료의 종류의 각각에 관해,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한 선박의 연료 소비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위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상기 선박이 항행한 복수의 해역의 각각에 관해 상기 정보를 출력한다는 구성이 제10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해역의 각각에 관해,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한 선박의 연료 소비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0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사용하여 산출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를 출력한다는 구성이 제11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한 선박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다는 구성이 제12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유저는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봄으로써,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한 선박의 연료 소비량의 평가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선박의 추진 기관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거버너에 대해,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접수된 조작에 따른 동작 지시를 내리는 지시 수단을 구비한다는 구성이 제13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유저는,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고려하여, 선박의 부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경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다는 구성이 제14 형태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유저는,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것 등의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5 형태로서, 컴퓨터에, 선박에 적재된 적재물의 양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와, 상기 선박의 항행 거리를 나타내는 항행 거리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와, 상기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와, 상기 적재량 데이터와 상기 항행 거리 데이터와 상기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출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컴퓨터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가 탑재된 선박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에 기억되는 테이블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가 탑재된 선박(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선박(3)은 예를 들어 화물선이다. 선박(3)의 주된 구성 요소는, 선체(30), 선교(31), 기관 제어실(32), 추진 기관(33), 샤프트(34), 프로펠러(35), 연료 탱크(36), 연료 배관(37), 거버너(38), 밸러스트수 탱크(39), 유량계(40), 회전계(41), 흘수계(42) 및 위성 항법 시스템(43)이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선교(3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관 제어실(32)에는 정보 처리 장치(1)에 표시되는 화면과 마찬가지의 화면을 표시함과 함께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디스플레이(2)가 배치되어 있다.
추진 기관(33)은 샤프트(34)를 구동하여 프로펠러(35)를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연료 탱크(36)는 연료를 수용하고, 연료 배관(37)은 연료 탱크(36)로부터 추진 기관(33)에의 연료의 공급 경로를 형성한다.
거버너(38)는 정보 처리 장치(1)로부터 출력된 지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진 기관(33)에 있어서의 연료의 분사량을 조정함으로써, 추진 기관(33)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유량계(40)는 연료 배관(37) 내를 이동하는 연료의 유량을 계측하고, 계측한 유량을 나타내는 유량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출력한다. 회전계(41)는 추진 기관(33)의 회전수(단위 시간당 회전수)를 계측하고, 계측한 회전수를 나타내는 회전수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출력한다.
흘수계(42)는 선박(3)의 흘수를 계측하고, 계측한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출력한다. 위성 항법 시스템(43)은 선박(3)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안테나에 의해 복수의 항법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항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항법 신호를 사용하여 안테나의 위치(위도 경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선박(3)의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이며, 연산부(11), 기억부(12), 입출력 IF(Interface)부(13) 및 UI(User Interface)부(14)를 구비한다.
기억부(12)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한다. 연산부(11)는 프로세서와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기억부(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입출력 IF부(13)에는 거버너(38), 유량계(40), 회전계(41), 흘수계(42), 위성 항법 시스템(43) 및 터치 디스플레이(2)가 접속된다. 연산부(11)는 입출력 IF부(13)를 통해 유량계(40)로부터 유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시각(계측 시각을 나타냄)과 대응지어 유량 데이터를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또한, 연산부(11)는 입출력 IF부(13)를 통해 회전계(41)로부터 회전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시각(계측 시각을 나타냄)과 대응지어 회전수 데이터를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또한, 연산부(11)는 입출력 IF부(13)를 통해 흘수계(42)로부터 흘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시각(계측 시각을 나타냄)과 대응지어 흘수 데이터를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또한, 연산부(11)는 입출력 IF부(13)를 통해 위성 항법 시스템(43)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시각(계측 시각을 나타냄)과 대응지어 위치 데이터를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UI부(14)는 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각종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유저에 의한 조작을 접수한다. 또한, UI부(14)가 정보 처리 장치(1)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장치로서 구성되고, 입출력 IF부(13)에 UI부(14)가 접속되어도 된다. 연산부(11)는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거버너(38)에 대한 동작 지시를 나타내는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입출력 IF부(13)를 통해 거버너(38)에 지시 데이터를 송신한다.
UI부(14) 또는 터치 디스플레이(2)가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조작에는, 선박(3)이 항로상의 항의 각각에 관한 입항 시각 및 출항 시각을 입력하는 조작이 포함된다. 유저에 의해 입력된 입항 시각 및 출항 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기억부(12)에 기억된다. 기억부(12)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구성의 입출항 테이블에,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입항 시각 및 출항 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출항 테이블의 「항명」란에는 미리 선박(3)의 항로상의 항의 명칭이 저장되어 있고, 유저는 이들 항의 명칭 중에서 대상의 항의 명칭을 선택한 후, 입항 시각 또는 출항 시각의 입력을 행한다.
도 4는 정보 처리 장치(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구성부는, 연산부(11)가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선박(3)의 적재량, 즉 선박(3)의 적재물의 양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기억부(12)로부터 흘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흘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흘수에 따른 배수량으로부터 선박(3)의 경하 배수량을 감산한 양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적재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적재량은 일반적으로 재화 중량이라 불리는 양이다. 재화 중량의 주요한 내역은 화물의 중량, 밸러스트수의 중량 및 연료의 중량이지만, 재화 중량에는 청수, 빌지, 승조원 등의 중량도 포함된다.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22)은 선박(3)의 항행 거리를 나타내는 항행 거리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22)은 기억부(12)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위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를 시계열순으로 연결한 경로의 거리를 나타내는 항행 거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항행 거리 데이터를 취득한다.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은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은 기억부(12)로부터 유량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유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료의 유량의 누계를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취득한다.
산출 수단(24)은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에 의해 취득되는 적재량 데이터와,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22)에 의해 취득되는 항행 거리 데이터와,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에 의해 취득되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산출한다.
출력 수단(25)은 산출 수단(24)에 의해 산출되는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출력 수단(25)은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그 시점의 시각(계측 시각을 나타냄)과 대응지어 기억부(12)에 출력한다. 기억부(12)는 출력 수단(25)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표시 수단(26)은 출력 수단(25)에 의해 출력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UI부(14)와 터치 디스플레이(2)에 표시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수단(26)은 출력 수단(25)에 의해 출력되어, 기억부(12)에 기억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가 나타내는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포함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후술하는 도 5)을 UI부(14)와 터치 디스플레이(2)에 표시시킨다.
조작 수단(27)은 유저에 의한 조작을 접수한다. 지시 수단(28)은 조작 수단(27)에 의해 접수된 조작에 따른 동작 지시를, 추진 기관(3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거버너(38)에 제공한다.
도 5는 UI부(14)와 터치 디스플레이(2)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 중의 「#」은 숫자를 나타낸다. 이 화면에는, 가상적인 조작자로서, 「회전수의 설정」으로 표시된 조작자(51), 「연료 소비량의 설정」으로 표시된 조작자(52), 「입출항 시각의 입력」으로 표시된 조작자(53) 및 텐키(54)가 배치된다.
유저에 의해 조작자(51)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면, 텐키(54)에 의한 회전수의 설정이 접수된다. 연산부(11)는 입출력 IF부(13)를 통해, 유저에 의해 설정된 회전수로 추진 기관(33)을 운전하기 위한 동작 지시를 나타내는 지시 데이터를 거버너(38)에 송신한다. 거버너(38)는 당해 지시 데이터가 나타내는 동작 지시에 따라, 유저에 의해 설정된 회전수로 추진 기관(33)이 운전되도록, 추진 기관(33)에 있어서의 연료의 분사량을 조정한다.
유저에 의해 조작자(52)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면, 텐키(54)에 의한 연료 소비량(단위 시간당 연료 소비량)의 설정이 접수된다. 연산부(11)는 입출력 IF부(13)를 통해, 설정된 연료 소비량으로 추진 기관(33)을 운전하기 위한 동작 지시를 나타내는 지시 데이터를 거버너(38)에 송신한다. 거버너(38)는 당해 지시 데이터가 나타내는 동작 지시에 따라, 유저에 의해 설정된 연료 소비량으로 되도록, 추진 기관(33)에 있어서의 연료의 분사량을 조정한다.
또한, 도 5의 화면에 있어서, 회전수가 설정된 경우에는 연료 소비량의 설정은 무효로 되고, 연료 소비량이 설정된 경우에는 회전수의 설정은 무효로 된다.
유저에 의해 조작자(53)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면, 텐키(54)에 의해, 먼저 선박(3)의 항로상의 항의 선택이 접수되고, 계속해서, 선택된 항의 입항 시각 및 출항 시각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접수된다. 그 후, 선택된 항의 입항 시각 또는 출항 시각의 입력이 접수된다.
영역(55)에는, 추진 기관(33)의 현재의 회전수가 실측값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유저에 의해 회전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역(55)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회전수도 표시된다. 영역(55)에 표시되는 회전수의 실측값은, 예를 들어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의 회전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회전수이다.
영역(56)에는, 추진 기관(33)의 현재의 연료 소비량(단위 시간당 연료 소비량)이 실측값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유저에 의해 연료 소비량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역(56)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연료 소비량도 표시된다. 또한, 도 5는 유저에 의해 회전수가 설정되고, 영역(56)에 연료 소비량의 설정값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영역(56)에 표시되는 연료 소비량의 실측값은, 예를 들어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가장 최근의 단위 시간의 기간 내의 시각에 대응지어 기억되어 있는 유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유량의 누계값(예를 들어, 1분간당의 유량(리터)을 1시간당의 유량(톤)으로 환산한 것)이다.
영역(57)에는, 선박(3)의 현재의 적재량(재화 중량)과, 현재의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이 표시된다. 또한, 영역(58)에는, 선박(3)의 과거의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표시된다. 도 6은 정보 처리 장치(1)가 영역(57 및 48)에 선박(3)의 적재량 및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행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하에 도 6에 도시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A01).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으면(스텝 A01 : "예"),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기억부(12)로부터 가장 가까운 과거의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간)의 기간 내의 시각에 대응지어 기억되어 있는 흘수 데이터를 판독한다(스텝 A02).
계속해서,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판독한 흘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흘수의 대표값(예를 들어, 최신값, 평균값, 중앙값 등)을 특정한다(스텝 A03). 계속해서,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스텝 A03에 있어서 특정한 흘수의 대표값에 따른 배수량[선박(3)의 현재의 배수량]으로부터, 선박(3)의 경하 배수량을 감하여, 선박(3)의 현재의 적재량(재화 중량)을 산출한다(스텝 A04). 또한, 선박(3)의 경하 배수량은, 예를 들어 선박(3)의 제조자에 의해 산출된 상수이며, 정보 처리 장치(1)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스텝 A04에 있어서 산출한 적재량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예를 들어 그 시점의 시각(측정 시각을 나타냄)에 대응지어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스텝 A05).
스텝 A02∼A05의 처리와 병행하여,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22)은 기억부(12)로부터 가장 가까운 과거의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간)의 기간 내의 시각에 대응지어 기억되어 있는 위치 데이터를 판독한다(스텝 A06). 계속해서,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22)은 판독한 위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를 시계열순으로 연결한 경로의 거리를, 가장 가까운 과거의 소정 시간에 있어서의 선박(3)의 항행 거리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산출한다(스텝 A07).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22)은 스텝 A07에 있어서 산출한 항행 거리를 나타내는 항행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예를 들어 그 시점의 시각(측정 시각을 나타냄)에 대응지어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스텝 A08).
스텝 A02∼A08의 처리와 병행하여,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은 기억부(12)로부터 가장 가까운 과거의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간)의 기간 내의 시각에 대응지어 기억되어 있는 유량 데이터를 판독한다(스텝 A09). 계속해서,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은 판독한 유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유량의 누계값을, 가장 가까운 과거의 소정 시간에 있어서의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산출한다(스텝 A10).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은 스텝 A10에 있어서 산출한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예를 들어 그 시점의 시각(측정 시각을 나타냄)에 대응지어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스텝 A11).
스텝 A02∼A11의 처리가 완료되면, 계속해서, 산출 수단(24)은 스텝 A11에 있어서 생성된 연료 소비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을, 스텝 A05에 있어서 생성된 적재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적재량과 스텝 A08에 있어서 생성된 항행 거리 데이터가 나타내는 항행 거리를 승산한 값으로 제산하여, 가장 가까운 과거의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간)의 기간 내의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산출한다(스텝 A12).
산출 수단(24)은 스텝 A12에 있어서 산출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산출 수단(24)에 의해 생성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출력 수단(25)에 의해, 예를 들어 그 시점의 시각(측정 시각을 나타냄)에 대응지어 기억부(12)에 출력된다. 기억부(12)는 출력 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스텝 A13).
스텝 A13의 처리가 완료되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스텝 A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 결과, 기억부(12)에는, 적재량, 항행 거리, 연료 소비량 및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간다.
도 5에 도시된 화면의 영역(57)에 표시되는 적재량 및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은, 상기와 같이 기억부(12)에 기억되어 가는 데이터의 최신 것이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영역(58)에 표시되는 그래프는,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된 그래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저는 과거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선박의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유저는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되어도 된다. 이하에 그것들의 변형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되어도 된다.
(1)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흘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적재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적재량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저가 적재량을 입력하고,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유저에 의해 입력된 적재량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해도 된다.
(2)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재화 중량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한다. 재화 중량은, 화물의 중량에 더하여, 밸러스트수의 중량, 연료의 중량을 포함하는 중량이다.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취득하는 적재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적재량은, 화물의 중량, 밸러스트수의 중량 및 연료의 중량을 포함하는 중량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화물의 중량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해도 된다.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화물의 중량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흘수 데이터에 더하여, 선박(3)에 적재되어 있는 밸러스트수의 중량을 나타내는 밸러스트수량 데이터와, 선박(3)에 적재되어 있는 연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연료량 데이터를 취득하고, 흘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흘수에 따른 배수량으로부터, 밸러스트수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밸러스트수의 중량과, 연료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료의 중량과, 선박(3)의 경하 배수량을 감산한 중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적재량 데이터로서 생성함으로써 취득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선박(3)은 연료 탱크(36)에 수용되는 연료의 액위를 계측하는 액위계와, 밸러스트수 탱크(39)에 수용되는 밸러스트수의 액위를 계측하는 액위계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이들 액위계는 각각으로부터, 연료 또는 밸러스트수의 액위를 나타내는 액위 데이터를, 예를 들어 소정 시간의 경과마다 수신하고, 수신 시각(계측 시각을 나타냄)에 대응지어 기억부(12)에 기억한다.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도 6의 스텝 A02에 있어서, 흘수 데이터에 더하여, 연료 및 밸러스트수의 각각에 관한 액위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도 6의 스텝 A03에 있어서, 흘수의 대표값의 특정에 더하여, 연료 및 밸러스트수의 각각에 관한 액위의 대표값의 특정을 행하고, 특정한 연료의 액위의 대표값에 따른 연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연료량 데이터와, 특정한 밸러스트수의 액위의 대표값에 따른 밸러스트수의 중량을 나타내는 밸러스트수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도 6의 스텝 A03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생성한 연료량 데이터 및 밸러스트수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적재량 데이터의 생성을 행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단위 중량의 화물을 단위 거리만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 연료 소비량이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으로서 제시된다. 그 결과, 유저는, 화물의 수송 효율의 관점에서 연료 소비량의 평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변형예에 있어서,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화물의 중량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선박(3)이 항에 있어서 모든 화물의 짐 부리기가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 흘수계(42)에 의해 계측된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와, 화물의 짐 싣기가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 흘수계(42)에 의해 계측된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화물의 중량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생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짐 싣기의 완료 시에 있어서의 흘수에 따른 배수량으로부터, 짐 부리기의 완료 시에 있어서의 흘수에 따른 배수량을 감산한 값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3)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선박(3)의 항행 중의 복수의 시점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박(3)의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것들의 복수의 시점의 각각에 관해 흘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흘수에 따른 배수량으로부터 선박(3)의 경하 배수량을 감산한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적재량 데이터로서 생성한다. 그 때문에, 선박(3)의 항행 중의 밸러스트수의 도입이나 배출, 연료의 소비 등에 수반되는 재화 중량의 변화가 반영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이 제시된다.
항행 중에 밸러스트수의 도입이나 배출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나, 항행 중의 연료의 소비량이 재화 중량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경우,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항행 중에는 재화 중량의 산출은 행하지 않고,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항에 정박 시의 선박(3)의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출한 재화 중량을 항행 중의 재화 중량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4) 출력 수단(25)이, 선박(3)이 항행한 항간 항로의 각각에 관해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산출 수단(24)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선박(3)의 항로상의 항의 각각에 관한 입항 시각 및 출항 시각에 기초하여, 선박(3)이 항간 항로의 각각을 항행한 기간을 특정한다. 계속해서, 산출 수단(24)은 특정한 기간에 따른 적재량 데이터, 항행 거리 데이터 및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산출한다. 출력 수단(25)은 산출 수단(24)에 의해 산출된 항간 항로의 각각에 관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유저는 항간 항로의 각각에 관해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을 평가할 수 있다.
(5) 출력 수단(25)이 과거의 소정 기간 내(예를 들어, 역년에 있어서의 1년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선박(3)의 항행에 관해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산출 수단(24)은 과거의 소정 기간의 개시 시각(예를 들어, 대상의 해의 1월 1일의 0시)부터 종료 시각(예를 들어, 대상의 해의 12월 31일의 24시)까지의 기간에 따른 적재량 데이터, 항행 거리 데이터 및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산출한다. 출력 수단(25)은 산출 수단(24)에 의해 산출된 과거의 소정 기간 내의 항행에 있어서의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유저는 과거의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을 평가할 수 있다.
(6)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이, 복수의 연료의 종류의 각각에 관한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취득하고, 출력 수단(25)이 그것들 복수의 연료의 종류의 각각에 관해,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해도 된다.
이 변형예는, 추진 기관(33)이 복수의 종류의 연료(예를 들어, A 중유와 C 중유와 천연가스 등)를 전환하여 사용 가능한 경우에 적용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선박(3)은 예를 들어 제1 종류의 연료(예를 들어, A 중유)를 수용하는 연료 탱크로부터 추진 기관(33)에 흐르는 연료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와, 제2 종류의 연료(예를 들어, C 중유)를 수용하는 연료 탱크로부터 추진 기관(33)에 흐르는 연료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를 구비한다.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은 이들 유량계의 각각에 의해 계측된 유량을 나타내는 유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종류의 연료의 각각에 관한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산출 수단(24)은 복수의 종류의 연료의 각각에 관해,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산출하고, 출력 수단(25)은 복수의 종류의 연료의 각각에 관해 산출 수단(24)에 의해 산출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유저는 상이한 종류의 연료의 각각에 관해, 그 종류의 연료를 사용한 경우의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을 평가할 수 있다.
(7) 정보 처리 장치(1)가, 선박(3)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출력 수단(25)이 위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선박(3)이 항행한 복수의 해역의 각각에 관해,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해도 된다. 또한,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은, 예를 들어 위성 항법 시스템(43)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산출 수단(24)은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해역의 각각에 관해, 선박(3)이 그 해역을 항행한 기간을 특정한다. 계속해서, 산출 수단(24)은 복수의 해역의 각각에 관해, 특정한 기간의 적재량 데이터, 항행 거리 데이터 및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산출한다. 출력 수단(25)은 복수의 해역의 각각에 관해 산출 수단(24)에 의해 산출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유저는 상이한 해역의 각각에 관해, 그 해역을 항행한 경우의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을 평가할 수 있다.
(8) 출력 수단(25)이, 산출 수단(24)에 의해 산출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사용하여 산출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산출 수단(24)은, 예를 들어 산출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대해, 연료의 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 환산 계수(단위 중량의 연료가 연료된 경우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중량을 나타내는 계수)를 승산하여,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출한다. 출력 수단(25)은 산출 수단(24)에 의해 산출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유저는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다.
(9) 정보 처리 장치(1), 출력 수단(25)에 의해 출력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경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통지 수단은, 예를 들어 출력 수단(25)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가 나타내는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것 등의 소정의 조건이 만족시켜지면, 표시, 음성 등에 의해 경보를 통지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적재물의 양 및 수송 거리를 고려한 경우의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의 효율이 악화된 경우, 유저는 그것을 용이하게 알아차릴 수 있다.
(10) 상술한 실시 형태 또는 그 변형예에 있어서, 선박(3)이 구비하는 계측 기기[유량계(40), 흘수계(42), 위성 항법 시스템(43), 연료 또는 밸러스트수의 액위계 등]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종류의 계측 기기에 의해 대체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유량계(40) 대신에, 연료 탱크(36)에 수용되어 있는 연료의 액위를 계측하는 액위계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23)은 유량계(40)로부터 출력되는 유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대신에, 액위계로부터 출력되는 액위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료의 잔량의 감소분을 연료 소비량으로서 산출하여 사용한다.
또한, 선박(3)이 구비하는 계측 기기[유량계(40), 흘수계(42), 위성 항법 시스템(43), 연료 또는 밸러스트수의 액위계 등]에 의해 행해지는 계측의 적어도 일부가, 승조원 등에 의한 목시 계측에 의해 대체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선박(3)이 항에 정박 중에, 승조원 등이 선체(30)에 기록된 흘수 게이지에 기초하여 눈으로 흘수를 계측한다. 그리고, 승조원 등이, UI부(14) 또는 터치 디스플레이(2)를 조작하여, 계측한 흘수를 정보 처리 장치(1)에 입력한다.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21)은 흘수계(42)로부터 출력되는 흘수 데이터 대신에, 승조원 등에 의해 입력된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를 사용한다.
(11) 적재량의 단위는 메트릭톤, 영톤, 미톤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재량은 중량인 것으로 하였지만, 적재량이 중량 이외의 양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재량이 화물의 양을 나타내고, 화물의 밀도가 균일하면, 화물의 중량 대신에, 화물의 체적이 적재량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12)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은 추진 기관(33)의 연료 소비량인 것으로 하였지만, 선박(3)의 연료 소비량이 추진 기관(33) 이외의 장치에 의한 연료 소비량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선박(3)이 추진 기관(33)에 더하여, 발전용의 엔진을 구비하는 경우, 그것들의 엔진의 연료 소비량과 추진 기관(33)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값이 선박(3)의 연료 소비량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13) 정보 처리 장치(1)의 배치는 선교(31)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2)의 배치는 기관 제어실(32)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2) 대신에, 정보 처리 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장치가 사용되어도 된다.
(14)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르는 데이터 처리를 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것 대신에, 정보 처리 장치(1)가 소위 전용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15) 컴퓨터에, 정보 처리 장치(1)가 행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광 기록 매체, 반도체 메모리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된 상태에서 제공되어도 되고,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기억된 상태에서 제공되는 경우, 컴퓨터가 당해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컴퓨터가 당해 프로그램을 배신원의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사용한다.
1 : 정보 처리 장치
3 : 선박
11 : 연산부
12 : 기억부
13 : 입출력 IF부
14 : UI부
21 :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
22 :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
23 :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
24 : 산출 수단
25 : 출력 수단
26 : 표시 수단
27 : 조작 수단
28 : 지시 수단
30 : 선체
31 : 선교
32 : 기관 제어실
33 : 추진 기관
34 : 샤프트
35 : 프로펠러
36 : 연료 탱크
37 : 연료 배관
38 : 거버너
39 : 밸러스트수 탱크
40 : 유량계
41 : 회전계
42 : 흘수계
43 : 위성 항법 시스템

Claims (15)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선박에 적재된 적재물의 양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선박의 항행 거리를 나타내는 항행 거리 데이터를 취득하는 항행 거리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적재량 데이터와 상기 항행 거리 데이터와 상기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출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량 데이터는 화물의 양을 나타내고,
    상기 적재량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선박의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와, 상기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밸러스트수의 양을 나타내는 밸러스트수량 데이터와, 상기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연료량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흘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흘수에 따른 배수량으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밸러스트수의 양과 상기 연료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료의 양과 상기 선박의 경하 배수량을 감산한 양을 나타내는 화물의 중량 데이터를 상기 적재량 데이터로서 생성함으로써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선박이 항행한 항간 항로의 각각에 관해 상기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과거의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선박의 항행에 관해 상기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소비량 데이터 취득 수단은, 복수의 연료의 종류의 각각에 관한 상기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상기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복수의 연료의 종류의 각각에 관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위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상기 선박이 항행한 복수의 해역의 각각에 관해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을 사용하여 산출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선박의 추진 기관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거버너에 대해,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접수된 조작에 따른 동작 지시를 내리는 지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경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컴퓨터에,
    선박에 적재된 적재물의 양을 나타내는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와,
    상기 선박의 항행 거리를 나타내는 항행 거리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와,
    상기 선박의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와,
    상기 적재량 데이터와 상기 항행 거리 데이터와 상기 연료 소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출한 단위 적재량 단위 거리당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적재량 데이터는 화물의 양을 나타내고,
    상기 적재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는, 상기 선박의 흘수를 나타내는 흘수 데이터와, 상기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밸러스트수의 양을 나타내는 밸러스트수량 데이터와, 상기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연료량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흘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흘수에 따른 배수량으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밸러스트수의 양과 상기 연료량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료의 양과 상기 선박의 경하 배수량을 감산한 양을 나타내는 화물의 중량 데이터를 상기 적재량 데이터로서 생성함으로써 취득하는 처리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80003756A 2017-01-16 2018-01-11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52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04962A JP6807237B2 (ja) 2017-01-16 2017-01-16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7-004962 2017-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41A KR20180084641A (ko) 2018-07-25
KR102052814B1 true KR102052814B1 (ko) 2019-12-05

Family

ID=6298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756A KR102052814B1 (ko) 2017-01-16 2018-01-11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07237B2 (ko)
KR (1) KR102052814B1 (ko)
CN (1) CN1084605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109B1 (ko) * 2018-09-27 2023-08-22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의 이중 연료 추진시스템 및 그 시스템이 탑재된 선박
JP7281961B2 (ja) * 2019-05-17 2023-05-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オーバフロー防止装置、船舶、オーバフロー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016730B (zh) * 2019-05-31 2024-01-16 中电科海洋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港口泊位装卸效率挖掘方法、装置、设备和储存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928B1 (ko) * 2014-11-28 2016-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491A (ja) * 2003-04-14 2004-11-11 Nippon Seiki Co Ltd 燃料残量計測装置
JP4690730B2 (ja) * 2005-01-17 2011-06-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運行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船舶の運行管理システム
JP4928823B2 (ja) * 2006-04-28 2012-05-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性能評価システムおよび航海情報ファイル作成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3531580A (ja) * 2010-07-07 2013-08-08 ニュー−ワールド マリタイ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船舶運航指示最適化具現のためのエネルギー効率最適化を利用した船舶燃料節減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る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を保存した記録媒体
CN102072753A (zh) * 2010-11-05 2011-05-25 南京长江油运公司 船舶单位距离主机油耗测量装置及其实现方法
JP2015085924A (ja)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小野寺鐵工所 燃料消費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20160265920A1 (en) * 2013-10-31 2016-09-15 Nippon Yusen Kabushiki Kaisha Device,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termination of bunkering port and bunkering amount for ship
JP5613348B1 (ja) * 2014-06-18 2014-10-22 株式会社エクサ 荷物重量計算プログラム
KR20160063593A (ko) * 2014-11-27 2016-06-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운항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운항 제어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063594A (ko) * 2014-11-27 2016-06-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6197089B1 (ja) * 2016-10-25 2017-09-13 ナブテスコ株式会社 船舶において消費された燃料油の量を示すデータの信頼性を確認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928B1 (ko) * 2014-11-28 2016-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07237B2 (ja) 2021-01-06
CN108460514A (zh) 2018-08-28
KR20180084641A (ko) 2018-07-25
JP2018114767A (ja)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803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JP5276720B2 (ja) 操船制御方法及び操船制御システム
KR102052814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WO2014188584A1 (ja) 船舶管理装置、船舶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661928B1 (ko) 선박용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0036A (ko) 선박 에너지 효율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40167B1 (ko) 선박의 작동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5543037B1 (ja) 航行解析装置、航行解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3178394A (ja) 船舶の実海域性能提供システム
JP5433117B1 (ja) 配船装置、配船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220010730A (ko) 선박의 주기관 모니터링 방법, 주기관 모니터링 시스템, 주기관 상태 예측 시스템, 및 운항 상황 예측 시스템
US20130197728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Marine Propulsion System
JP2006330884A (ja) 潮流予測システム
EP02155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ship performance
JP7189764B2 (ja) 船舶性能推定装置及び船舶性能推定プログラム
JP5890540B2 (ja) 船舶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0136828A2 (en) Powered boat performance analyser
CN112985362A (zh) 一种基于云网交互的内河航道图更新系统及方法
EP1714865A1 (en) Prognosing the course of a vessel
JP7483535B2 (ja) 航行支援装置
JPS61247917A (ja) 自動航海装置
FI67679C (fi) Digital roderindikator
CN110411456A (zh) 一种基于船舶任务的导航信息综合显示系统
KR20230047672A (ko) 선박의 스마트 속도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Yang et al. Ship Speed and Maneuverability Measurement & Analysis System Based On GP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