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594A -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594A
KR20160063594A KR1020140167017A KR20140167017A KR20160063594A KR 20160063594 A KR20160063594 A KR 20160063594A KR 1020140167017 A KR1020140167017 A KR 1020140167017A KR 20140167017 A KR20140167017 A KR 20140167017A KR 20160063594 A KR20160063594 A KR 2016006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amount
fuel
actual
estim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594A/ko
Publication of KR2016006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B63H21/213Levers or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engine or the transmission, e.g. single hand control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컴퓨터 실행 가능하고, 상기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항 구간 각각에 대하여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실제 운항 중에 해당 항해 구간에서 실제로 사용된 실제 연료 사용량 및 실제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 또는 상기 예상 가스 배출량 및 상기 실제 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OF MONITORING FUEL CONDITION,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 상태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운항 구간에 따른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실제 연료 사용량을 비교하고 선박의 연료 잔유량을 기초로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을 제어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제어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도입된 선박 운항 시스템은 기상조건을 반영하여 최적항로를 제공하는 방식과 선체조건을 고려하는 방식이 있다. 기상조건을 반영하는 모델의 경우 육상의 기상정보 제공 업체에서 전송되는 기상조건을 기반으로 최적 항로를 설계하고, 선체조건을 고려하는 모델의 경우 스케쥴, 선적 상태, 선체 컨디션, 엔진 상태, 연료특성, 기상, 조류 등을 반영하여 최적 항로와 최적 엔진 모드를 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2334호는 선박 운항지시 최적화 구현을 위한 에너지 효율 최적화를 이용한 선박 연료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선박의 내외부적인 에너지 소모를 집중 분석하여 연료유를 절감하고, 에너지 소비 최적화를 위한 선박 항해정보기기와 엔진 제어기 간의 최적 운항조건을 통합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35024호는 항해 또는 계류 중인 선박의 공기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 운동 및 표류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함을 통한 선박의 연료절감 및 안전운항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선박의 항해 또는 계류 시 소모되는 연료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233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3502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 운항의 운항 구간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예상 연료 사용량을 실제 연료 사용량과 비교하여 현재 선박의 운항 상태가 경제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현재 운항 상태가 경제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선박의 잔유량을 기초로 운항 속도 및 운항 가능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잔유량을 기초로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들의 작동을 제어하여 잔유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컴퓨터 실행 가능하고, 상기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운항 구간에 따른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운항 중에 상기 항해 구간에서 실제로 사용된 실제 연료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운항 시간에 따른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이전 선박 운항에 대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연료 사용량의 통계를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선박의 운항 구간에서의 기상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연료 사용량을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경제적인 운항 상태, 중간 상태 또는 비경제적인 운항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상기 선박의 연료 잔유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속도 및 운항 가능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상기 선박의 연료 잔유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운항 구간에 따른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을 산정하는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 상기 선박의 운항 중에 상기 항해 구간에서 실제로 사용된 실제 연료 사용량을 확인하는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 및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운항 상태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상기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 운항의 운항 구간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예상 연료 사용량을 실제 연료 사용량과 비교하여 현재 선박의 운항 상태가 경제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의 현재 운항 상태가 경제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선박의 잔유량을 기초로 운항 속도 및 운항 가능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의 잔유량을 기초로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들의 작동을 제어하여 잔유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서 수행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서 생성하는 선박 운항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서 생성하는 선박 운항 조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서 제공하는 선박 운항 조건 중 결정 또는 추천된 항목을 예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120), 운항 상태 제어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는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는 운항 구간 각각에 대하여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한다. 여기에서,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은은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의 각 구간 별로 운항을 위한 엔진 출력 및 운항 속도를 특정 기준으로 유지하였을 때 사용될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배출량은 선박 운항에 대한 가스 배출 규제에 따라 기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선박의 온실 가스 저감 규제에 따라서 선박이 1톤의 화물을 1해리(Nautical mail) 운송하는데 배출할 수 있는 온실 가스의 질량이 기 설정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예상 가스 배출량이 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항 구간은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초로 선택된 특정 운항 경로에 대하여 기상 정보, 타 선박 운항 정보 또는 운항 경로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항 구간은 기상 정보를 기초로 파고가 1m 이하로 유지되는 운항 구간1, 파고가 1~3m로 유지되는 운항 구간2 및 파고가 불규칙한 운항 구간3으로 구분 될 수 있고, 운항 경로의 형태를 기초로, 직선 운항 구간 및 방향의 변경이 필요한 운항 구간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는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운항 시간에 따른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출발 시간 및 도착시간을 기초로 해당 시간을 일정한 간격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한 간격에 따라 해당 시간에 사용될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 시간이 07:00이고 도착 시간이 21:00인 경우에는 07:00~08:00, 08:00~09:00, …, 20:00~2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예상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는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이전 선박 운항에 대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의 통계를 산출하거나 또는 선박의 운항 구간에서의 기상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저장되어 있는 연료 사용량은 해당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항 경로 중에서 해당 선박이 운항할 예정에 있는 운항 경로와 동일한 운항 경로를 통하여 운항한 선박의 실제 연료 사용량이 저장되어 있는 것에 해당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가스 배출량은 해당 출발지와 도착지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항 경로 중에서 해당 선박이 운항할 예정에 있는 운항 경로와 동일한 운항 경로를 통하여 운항한 선박의 실제 가스 배출량이 저장되어 있는 것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는 기 저장되어 있는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을 산출하거나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산출하여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는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되어 있는 예상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 운항 경로의 기상 정보를 반영하여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상 정보가 폭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예상 연료 사용량 보다 일정 비율 증가한 예상 연료 사용량을 산정할 수 있다.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120)는 선박의 실제 운항 중에 운항 구간에서 실제로 사용된 실제 연료 사용량 및 실제로 배출된 실제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120)는 운항 구간 또는 운항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실제 연료 사용량 및 실제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실제 연료 사용량 또는 예상 가스 배출량 및 실제 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실제 연료 사용량을 비교하거나 또는 예상 가스 배출량 및 실제 가스 배출량을 비교하여 선박의 운항 상태를 경제적인 운항 상태, 중간 상태 또는 비경제적인 운항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중간 상태의 기준이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10%범위 이내로 설정된 경우에는, 실제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가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10%범위 내이면 중간 상태, 10% 범위를 벗어나고 실제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가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보다 많은 경우에는 비경제적인 운항 상태, 10% 범위를 벗어나고 실제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가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보다 적은 경우에는 경제적인 운항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운항 상태를 일정한 주기로 업데이트 하거나 또는 운항 거리를 기초로 일정 구간별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실시간으로 운항 상태를 업데이트 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운항 상태를 선박의 네비게이션 브리지(Navigation Bridge)에 제공하여 선박 관리자가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실제 연료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선박의 연료 잔유량 또는 실제 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산출된 선박의 가스 배출 가능량을 기초로 선박의 운항 속도 및 운항 가능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박의 연료 잔유량은 선박의 총 연료량에서 실제 연료 사용량을 뺀 값으로서, 실제 연료 사용량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연료 잔유량도 업데이트 될 수 있고, 선박의 가스 배출 가능량은 기 설정된 가스 배출 기준량에서 실제 가스 배출량을 차감함으로써 산출된 값으로서, 실제 가스 배출량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가스 배출 가능량도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항 속도는 엔진 출력 및 기상 정보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고, 엔진 출력은 선박의 화물 적재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실제 연료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선박의 연료 잔유량 또는 실제 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산출된 선박의 가스 배출 가능을을 기초로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박에 설치된 시설은 엔진 출력 이외에 연료를 사용하는 모든 시설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선박 내에 설치된 냉장고, 냉난방 시설 또는 스팀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의 엔진 출력에 연료 잔유량의 많은 부분을 소모하면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을 위한 연료 소모량은 적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엔진 출력에 연료 잔유량을 많이 소모하면 선박의 냉장고, 냉난방 시설 또는 스팀에 적은 연료를 소모하여야 하기 때문에 냉장고는 설정 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제어될 수 있고, 냉방 또는 난방의 경우에도 설정 온도 보다 높게 또는 낮게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120) 및 운항 상태 제어부(130)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서 수행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는 운항 구간에 따른 예상 연료 사용량을 산정한다(단계 S210). 일 실시예에서, 예상 연료 사용량은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운항 시간 또는 운항 구간에 따라 산정되거나 또는 이전 선박 운항에 대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초로 통계로서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은 운항 구간에 따른 예상 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120)는 선박의 운항 구간에 따른 실제 연료 사용량을 확인한다(단계 S220). 일 실시예에서, 실제 연료 사용량은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운항 구간을 기초로 실제 연료 사용량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120)는 선박의 운항 구간에 따른 실제 가스 배출량을 확인할 수 있고, 실제 가스 배출량은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운항 기간을 기초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실제 연료 사용량을 기초로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한다(단계 S230). 일 실시예에서,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엔진 출력에 연료를 많이 소모하려면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의 작동에는 연료를 적게 소모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예상 가스 배출량 및 실제 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서 생성하는 선박 운항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박 운항 상태는 구간별 예상 사용량, 실제 사용량 및 운항 상태를 포함하고 모든 구간에 대한 총 소모량을 포함하며, 실제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잔유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110)는 구간별 예상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선박의 운항 경로를 구간1, 구간2, …, 구간4로 구분하여 해당 구간에 대한 예상 연료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120)는 예상 연료가 산정된 구간에 따라 해당 구간에서 실제 사용한 연료량을 확인할 수 있고, 최초 총 연료량을 기초로 잔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실제 사용량을 기초로 해당 구간별 선박의 운항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운항 상태에 대하여 중간 상태를 예상 사용량으로부터 10% 범위 이내라고 설정한 경우에, 구간1에서는 예상 사용량이 32,083 이고 실제 사용량이 30,149으로써 실제 사용량이 예상 사용량의 10% 범위 이내에 포함되므로 운항 상태가 중간 상태에 해당하고, 구간 3에서는 예상 사용량이 24,175이고 실제 사용량이 28,460으로써 실제 사용량이 예상 사용량의 10% 범위를 벗어나 예상 사용량보다 더 많이 사용 하였으므로 운항 상태는 비경제적인 운항 상태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총 소모량은 예상 사용량 및 실제 사용량에 대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사용량을 모두 합한 것으로서, 도 3에서는 구간1, …, 구간 4의 예상 사용량 및 실제 사용량을 각각 합한 것에 해당한다. 총 소모량에 대한 운항 상태는 각 구간별 운항 상태가 결정되는 것과 동일하게 결정되며, 도 3에서는 구간 1, … 및 구간4에 대하여 총 예상 사용량이 142,518 이고 실제 사용량이 139,899 로써 실제 사용량이 예상 사용량의 10% 범위를 벗어나 더 적게 사용하였으므로 구간 1, … 및 구간4에 대한 선박의 운항 상태는 경제적인 운항 상태에 해당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서 생성하는 선박 운항 조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예상 사용량 및 실제 사용량을 기초로 운항 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여기에서, 운항 상태는 엔진 출력 및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선박의 운항 상태 중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에 대하여 최소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의 선박 운항 조건의 예시이고, 도 4b는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에 대하여 최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의 선박 운항 조건의 예시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선박 운항 조건은 잔유량이 160,101, 남은 운항 거리가 85.012 및 시설 작동에 최소 연료가 사용되는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에 가능한 선박의 엔진 출력, 운항 속도 및 운항 가능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진 출력은 선박 메인 엔진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엔진 부하율 각각에 대한 선박의 메인 엔진 출력을 결정하여 [KW] 단위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엔진 출력을 기초로 선박의 운항 속도 및 운항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운항 속도는 [놋트(Knot)]로 산출될 수 있고, 선박 관리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항 가능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의 운항 조건은 운항 기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운항 기간은 엔진 출력과 운항 거기를 기초로 [day(24)시간] 단위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운항 기간은 엔진 출력 및 운항 속도에 반비례하여, 엔진 출력이 클수록 운항 속도가 빠를수록 짧아질 수 있다.
도 4b는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에 대하여 최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의 선박 운항 조건의 예시이며, 도 4a에 비하여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에 대하여 연료를 더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도 4a와 동일한 엔진 출력에 해당하더라고 실질적인 운항 속도는 도 4a의 경우보다 작게 나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에 대하여 연료를 사용하는 량에 대한 설정은 선박 관리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소 연료 사용, 보통 연료 사용 또는 최대 연료 사용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선박 관리자에 의하여 잔유량에 대한 특정 비율 또는 특정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서 제공하는 선박 운항 조건 중 결정 또는 추천된 항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운항 가능 거리 또는 운항 기간에 따라 선박 운항 조건 중 하나를 선박 관리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항 상태 제어부(130)는 생성된 선박 운항 조건이 입력된 표에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행을 검출하여 하이라이트로 표시하여 선박 관리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110: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 120: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
130: 운항 상태 제어부 140: 제어부

Claims (9)

  1.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항 구간 각각에 대하여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실제 운항 중에 해당 운항 구간에서 실제로 사용된 실제 연료 사용량 및 실제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 또는 상기 예상 가스 배출량 및 상기 실제 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 및 해당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 상기 선박이 운항하는데 걸리는 예상 운항 시간에 따른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이전 선박 운항에 대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의 통계를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선박의 운항 구간에서의 기상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연료 사용량 및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을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예상 가스 배출량 및 상기 실제 가스 배출량을 비교하여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경제적인 운항 상태, 중간 상태 또는 비경제적인 운항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상기 선박의 연료 잔유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속도 및 상기 선박의 운항 속도에 따른 운항 가능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소모 상태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산출된, 기 설정된 가스 배출 기준량에서 상기 실제 가스 배출량을 차감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는, 상기 선박의 가스 배출 가능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속도 및 상기 선박의 운항 속도에 따른 운항 가능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소모 상태 모니터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상기 선박의 연료 잔유량 또는 상기 실제 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산출된 상기 선박의 가스 배출 가능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엔진 출력 및 선박에 설치된 시설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8. 선박 운항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항 구간 각각에 대하여 기 정의된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예상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정하는 예상 연료 사용량 산정부;
    상기 선박의 실제 운항 중에 해당 항해 구간에서 실제로 사용된 실제 연료 사용량 및 실제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실제 연료 사용량 확인부; 및
    상기 예상 연료 사용량 및 상기 실제 연료 사용량 또는 상기 예상 가스 배출량 및 상기 실제 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상태를 제어하는 운항 상태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9. 제1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167017A 2014-11-27 2014-11-27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063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17A KR20160063594A (ko) 2014-11-27 2014-11-27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17A KR20160063594A (ko) 2014-11-27 2014-11-27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594A true KR20160063594A (ko) 2016-06-07

Family

ID=5619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017A KR20160063594A (ko) 2014-11-27 2014-11-27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5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824A (ko) * 2016-10-25 2018-05-04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에서 소비된 연료유의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80084641A (ko) * 2017-01-16 2018-07-25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CN117990632A (zh) * 2024-03-29 2024-05-07 海南中南标质量科学研究院有限公司 船舶尾气自动采集与计量监测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34B1 (ko) 2010-07-07 2011-06-17 (주)뉴월드마리타임 선박 운항지시 최적화 구현을 위한 에너지 효율 최적화를 이용한 선박 연료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30135024A (ko) 2012-05-30 2013-12-10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항해 또는 계류 중인 선박의 공기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운동 및 표류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함을 통한 선박의 연료절감 및 안전운항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34B1 (ko) 2010-07-07 2011-06-17 (주)뉴월드마리타임 선박 운항지시 최적화 구현을 위한 에너지 효율 최적화를 이용한 선박 연료 절감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30135024A (ko) 2012-05-30 2013-12-10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항해 또는 계류 중인 선박의 공기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운동 및 표류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함을 통한 선박의 연료절감 및 안전운항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824A (ko) * 2016-10-25 2018-05-04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에서 소비된 연료유의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80084641A (ko) * 2017-01-16 2018-07-25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JP2018114767A (ja) * 2017-01-16 2018-07-2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7990632A (zh) * 2024-03-29 2024-05-07 海南中南标质量科学研究院有限公司 船舶尾气自动采集与计量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2466B2 (ja) 船舶におけるエネルギー使用量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201501491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a ship
US2012007219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eling Turbine Operation
US20140336853A1 (en) Methods for automatically optimizing ship performance and devices thereof
US20110251726A1 (en) Method of optimising energy consumption
KR20150072808A (ko) 선박의 최적 항로 결정 장치
KR20150021971A (ko) 선박 성능의 평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8610A (ko) 선박에 대한 항로의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3839440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施設監視制御装置、エネルギー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施設監視制御プログラム
KR101642752B1 (ko) 선박운항정보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운항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EP2489855B1 (en) Distributed bleed ai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60063594A (ko) 연료 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571770B1 (ko) 냉동컨테이너 선박의 발전기 제어 시스템
US20170254554A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Du et al. Budgeting fuel consumption of container ship over round-trip voyage through robust optimization
KR20160063597A (ko) 연료 소모량 예측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연료 소모량 예측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063593A (ko) 선박 운항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운항 제어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022990A (ko) 선박운항정보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운항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150810B1 (ko)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JP2015123806A (ja) 船速制御装置、船速制御システム、船速制御方法及び船速制御用プログラム
KR102340069B1 (ko) 산업설비의 운전 효율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 기화기의 최적 운전 및 감시 시스템
CN112214866B (zh) 船用设备健康状况判定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20160063595A (ko) 최적 운항 경로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최적 운항 경로 제공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80045341A (ko) 실해역 환경 예측을 통한 최적운항항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Xing et al. Disruption Management in Liner Shipping: A Service-Cost Trade-off Model for Vessel Schedule Recovery Probl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